KR20090127192A - 차량용 제가습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가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192A
KR20090127192A KR1020097022950A KR20097022950A KR20090127192A KR 20090127192 A KR20090127192 A KR 20090127192A KR 1020097022950 A KR1020097022950 A KR 1020097022950A KR 20097022950 A KR20097022950 A KR 20097022950A KR 20090127192 A KR20090127192 A KR 2009012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midification
heat exchange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026B1 (ko
Inventor
다카노부 나카구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12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한다.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서는, 제어 유닛 (26) 이「간헐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히터 (30) 에 의해 동시에 가열되고 있을 때에는, 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양방에서 가습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서 교대로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7022950
차량용 제가습 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제가습 장치{VEHICLE DEHUMIDIFIER AND HUMIDIFIER}
본 발명은,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차실내를 가습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로서는, 다음의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는, 차실내에 가습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공조 기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조 기기에서는, 열전변환 모듈의 열전도판에 흡습 피막이 구비되어 있고, 열전도판이 가열됨으로써 흡습 피막으로부터 수분이 방출되고, 이 수분을 얻은 공기가 가습 공기가 되어 차실내로 배기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97038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제296467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공조 기기에서는, 그 작동시에 가습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량이 항상 일정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재를 각각 갖는 1 쌍의 열교환부, 및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1 쌍의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로부터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제가습 유닛과, 상기 제가습 유닛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를 차실내의 탑승자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으로 불어내기 위한 가습 유로와, 상기 제가습 유닛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를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으로 불어내기 위한 제습 유로와, 상기 제가습 유닛의 각 열교환부와, 상기 가습 유로 및 상기 제습 유로와의 연통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와, 상기 제가습 유닛의 각 열교환부를 통하여 상기 가습 유로 및 상기 제습 유로로부터 불려 나오는 공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송풍부와 노멀 모드로부터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었을 때, 상기 제가습 유닛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을 상기 노멀 모드의 경우에 비교하여 증대시키기 위한 가습량 증대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서는, 송풍부가 작동하면, 제가습 유닛의 각 열교환부를 통하여 가습 유로 및 제습 유로로부터 불려 나오는 공기류가 형성된다. 제가습 유닛에서는, 각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재에 의해 흡착됨으로써 제습 공기가 생성되고, 그 일방으로, 각 열교환부가 가열부에서 가열되어, 이 각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에 흡착재로부터 수분이 방출됨으로써 가습 공기가 생성된다. 제가습 유닛의 각 열교환부와, 가습 유로 및 제습 유로와의 연통 상태는 전환부에 의해 전환되고, 제가습 유닛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 중, 가습 공기는 가습 유로를 통하여 차실내의 탑승자를 포함하는 제 1 영역으로 불려 나오고, 제습 공기는 제습 유로를 통하여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에 불려 나온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서는, 노멀 모드로부터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가습량 증대부의 작용에 의해, 제가습 유닛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이 노멀 모드의 경우에 비교하여 증대된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량 증대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열교환부에 대한 공기 도입량을 조정하기 위한 공기 도입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서는,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는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되고,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는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그리고, 열교환부가 가열 상태와 비가열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제가습 유닛으로부터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가 생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술한 가습량 증대부는, 열교환부에 대한 공기 도입량을 조정하기 위한 공기 도입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고,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지도록 열교환부에 대한 공기 도입량을 조정한다. 따라서, 각 열교환부에 있어서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비가열로 되어 있을 때에는, 공기 도입량이 많기 때문에, 흡착재에 의해 보다 많은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열교환부가 그 후에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고 있을 때에는, 흡착재로부터 보다 많은 수분을 도입 공기로 방출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열교환부에는, 가열되고 있을 때가 비가열로 되어 있을 때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도입된다. 이상으로부터, 노멀 모드로부터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제가습 유닛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을 노멀 모드의 경우에 비교하여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량 조정부는, 상기 송풍부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송풍하는 송풍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송풍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송풍부의 송풍량을 조정하기 위한 송풍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서는, 상기 서술한 공기 도입량 조정부가, 송풍부의 송풍량을 조정하기 위한 송풍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고, 송풍부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하는 송풍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송풍부의 송풍량을 조정한다. 이로써,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지도록 열교환부에 대한 공기 도입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량 조정부는, 상기 송풍부와 상기 1 쌍의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송풍부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상기 1 쌍의 열교환부에 대한 비율을 변경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풍 비율 변경부와, 상기 송풍부로부터 상기 1 쌍의 열교환부 중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되는 송풍량보다 상기 1 쌍의 열교환부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송풍 비율 변경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송풍 비율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서는, 상기 서술한 공기 도입량 조정부가, 송풍부와 1 쌍의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송풍부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1 쌍의 열교환부에 대한 비율을 변경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풍 비율 변경부를 구비하고, 이 송풍 비율 변경부의 동작을 송풍 비율 제어부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송풍부로부터 1 쌍의 열교환부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되는 송풍량보다 1 쌍의 열교환부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송풍부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1 쌍의 열교환부에 대한 비율을 조정한다. 이로써, 1 쌍의 열교환부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1 쌍의 열교환부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지도록 1 쌍의 열교환부에 대한 공기 도입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량 증대부는,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서는, 1 쌍의 열교환부가 가열부에 의해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된다. 이 때, 1 쌍의 열교환부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각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는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되고, 1 쌍의 열교환부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고 있을 때에는, 각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는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그리고, 1 쌍의 열교환부가 가열부에 의해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되는 것이 반복됨으로써, 제가습 유닛으로부터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가 교대로 연속적에서 생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술한 가습량 증대부는, 1 쌍의 열교환부를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하도록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1 쌍의 열교환부가 가열부에 의해 동시에 가열되고 있을 때에는, 이 1 쌍의 열교환부의 양방에서 가습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노멀 모드로부터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제가습 유닛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을 노멀 모드의 경우에 비교하여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교대로 가열하기 위한 제 1 가열부와,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동시에 가열하기 위한 제 2 가열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서는, 가열부가 1 쌍의 열교환부를 교대로 가열하기 위한 제 1 가열부와, 1 쌍의 열교환부를 동시에 가열하기 위한 제 2 가열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열교환부를 여러 가지 패턴으로 가열할 수 있고,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보다 세세한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노멀 모드로부터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가습량 증대부의 작용에 의해 제가습 유닛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이 노멀 모드의 경우에 비하여 증대된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전체 구성 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연속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연속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간헐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간헐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고습도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고습도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제 2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측면도) 이다.
도 10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주요부 확대 평면도) 이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연속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연속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간헐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간헐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고습도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의 고습도 운전 모드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차량에 형성된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16 은 도 14 에 나타내는 제어 유닛에 데이터화되어 기억된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A 은 도 14 에 나타내는 제어 유닛에 데이터화되어 기억된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B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제어 유닛에 데이터화되어 기억된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 은 복수의 목적 항목과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목표값) 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제어 유닛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 은 도 14 에 나타내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에 의해 가습된 차실내의 절대 습도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 도 15 에 나타내는 조작 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실시형태]
처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나타내는 화살표 (FR), 화살표 (OUT), 화살표 (UP) 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가 차량에 탑재된 경우의 차량 전후 방향 앞측, 차량폭 방향 외측,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는, 1 쌍의 블로어 (12A, 12B) (송풍부) 와,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와, 제가습 유닛 (16) 과,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와, 전환 댐퍼 (20) (전환부) 와, 가습 유로 (22) 와, 제습 유로 (24) 와, 제어 유닛 (26) (가습량 증대부, 공기 도입량 조정부, 송풍량 조정부, 송풍 비율 제어부, 가열 제어부) 을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 순서로 설명한다.
1 쌍의 블로어 (12A, 12B) 는, 예를 들어, 전동 팬 모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는,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입력하면 기동하여,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를 후술하는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측에 송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는, 후술하는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예를 들어 회전수가 변경되어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측에 송풍하는 송풍량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는, 각각 중공체로 구성되고, 1 쌍의 블로어 (12A, 12B) 와, 후술하는 제가습 유닛 (16) 에 형성된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각각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가습 유닛 (16) 은,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열교환부) 와, 히터 (30) 및 펠티에 소자 (32) (가열부) 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는, 그 내부를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이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의 표면부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재가 도포되어 구성되어 있다.
히터 (30) 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걸쳐 그 이면 전체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펠티에 소자 (32) 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측면간에 개재 삽입되어 있고, 그 일방의 평면부 (34A) 가 일방의 열교환 소자 (28A) 의 측면부에 장착되고, 그 타방의 평면부 (34B) 가 타방의 열교환 소자 (28B) 의 측면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펠티에 소자 (32) 는, 후술하는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 (인가 전압의 극성) 에 따라, 쌍방의 평면부 (34A, 34B) 의 발열 (고온) 과 흡열 (저온) 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펠티에 소자 (32) 는, 쌍방의 평면부 (34A, 34B) 의 발열과 흡열을 전환함으로써,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일방을 가열하고 타방을 냉각시키는 상태와,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일방을 냉각시키고 타방을 가열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는, 각각 중공체로 구성되고,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와, 후술하는 전환 댐퍼 (20) 를 각각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환 댐퍼 (20) 는 구동부를 갖고, 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와, 후술하는 가습 유로 (22) 및 제습 유로 (24) 와의 연통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이 전환 댐퍼 (20) 는, 일방의 연결 유로 (18A) 와, 가습 유로 (22) 를 연통함과 함께 타방의 연결 유로 (18B) 와 제습 유로 (24) 를 연통하는 연통 상태와, 일방의 연결 유로 (18A) 와 제습 유로 (24) 를 연통함과 함께 타방의 연결 유로 (18B) 와 가습 유로 (22) 를 연통하는 연통 상태와,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와 가습 유로 (22) 를 연통하는 연통 상태와,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와 제습 유로 (24) 를 연통하는 연통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전환 댐퍼 (20) 는, 후술하는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서술한 연통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습 유로 (22) 및 제습 유로 (24) 는, 예를 들어 배기 덕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습 유로 (22) 는, 전환 댐퍼 (20) 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예를 들어 차실내의 탑승자 (제 1 영역) 를 향하여 불어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편, 제습 유로 (24) 는, 전환 댐퍼 (20) 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어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어 유닛 (26) 은, 예를 들어, CPU, ROM, RAM 등을 구비한 전기 회로로 구 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 상기 서술한 1 쌍의 블로어 (12A, 12B), 히터 (30),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20) 의 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유닛 (26) 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장치 전체의 동작과 함께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26)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연속 운전 모드」,「간헐 운전 모드」,「고습도 운전 모드」가 되고, 각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이하와 같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히터 (30),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20) 의 각 동작을 제어한다.
도 4 내지 도 6 에는, 제어 유닛 (26) 이「연속 운전 모드」,「간헐 운전 모드」,「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전체의 동작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연속 운전 모드」가 본 발명에 관련된 노멀 모드로 되어 있고,「간헐 운전 모드」및「고습도 운전 모드」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어 있다.
(연속 운전 모드)
먼저, 도 4 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26) 이「연속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전체의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26) 은,「연속 운전 모드」로 되면,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발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흡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전환 댐퍼 (2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일방의 연결 유로 (18A) 와 가습 유로 (22) 가 연통됨과 함께 타방의 연결 유로 (18B) 와 제습 유로 (24)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20) 를 전환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26)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이 동일해지도록 한다 (송풍량 1 : 1).
이로써,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이 중, 일방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한편, 타방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 는,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20)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20) 에 의해 가습 유로 (22) 및 제습 유로 (24) 에 각각 안내된다. 그리고, 이 중,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22)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탑승자 (제 1 영역) 를 향하여 불려 나오고,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24)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연속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전환 동작한다.
요컨대, 제어 유닛 (26) 은,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흡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발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전환 댐퍼 (2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일방의 연결 유로 (18A) 와 제습 유로 (24) 가 연통됨과 함께 타방의 연결 유로 (18B) 와 가습 유로 (22)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20) 를 전환 동작시킨다.
이로써,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이 중, 일방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 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한편, 타방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20)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20) 에 의해 가습 유로 (22) 및 제습 유로 (24) 로 각각 안내된다. 그리고, 이 중,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22)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오고,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24)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전환 동작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펠티에 소자 (32) 및 전환 댐퍼 (20) 를 재차 전환 동작시킨다 (도 4A 참조).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 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연속 운전 모드」를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 (도 4A 의 동작과 도 4B 의 동작) 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로써,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로부터는 가습 공기 (화살표 (A)) 및 제습 공기 (화살표 (B)) 가 연속하여 불려 나온다. 또한, 이 때, 2 ∼ 3 g/㎥ 의 수분량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서는, 제어 유닛 (26) 이「연속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가 동시에 연속하여 불려 나온다. 이로써, 탑승자에게 습기를 공급하여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프론트 윈도우의 흐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간헐 운전 모드)
다음으로, 도 5 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26) 이「간헐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전체의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26) 은,「간헐 운전 모드」로 되면, 전환 댐퍼 (2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와 제습 유로 (24)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20) 를 전환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26)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이 동일해지도록 한다 (송풍량 1 : 1).
이로써,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 풍된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히터 (30) 및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20)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20) 에 의해 제습 유로 (24)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24)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간헐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전환 동작한다.
요컨대, 제어 유닛 (26) 은, 히터 (3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이 히터 (30) 을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전환 댐퍼 (2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와 가습 유로 (22)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20) 를 전환 동작시킨다.
이로써,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 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히터 (30)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20)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20) 에 의해 가습 유로 (22)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22)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전환 동작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펠티에 소자 (32) 및 전환 댐퍼 (20) 를 재차 전환 동작시킨다 (도 5A 참조).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간헐 운전 모드」를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 (도 5A 의 동작과 도 5B 의 동작) 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로써,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로부터는 가습 공기 (화살표 (A)) 및 제습 공기 (화살표 (B)) 가 교대로 연속적으로 불려 나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서는, 제어 유닛 (26) 이「간헐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히터 (30) 에 의해 동시에 가열되고 있을 때에는, 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양방에서 가습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연속 운전 모드일 때와 같이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서 교대로 가습 공기를 생성하는 경우 (도 4 참조) 에 비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의하면, 차실내라는 수분량이 한정된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간헐 운전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분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고습도 운전 모드)
다음으로, 도 6 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26) 이「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전체의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26) 은,「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면,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발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흡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전환 댐퍼 (2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일방의 연결 유로 (18A) 와 가습 유로 (22) 가 연통됨과 함께 타방의 연결 유로 (18B) 와 제습 유로 (24)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20) 를 전환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26) 은, 일방의 블로어 (12A) 의 송풍량이 타방의 블로어 (12B) 의 송풍량의 1/2 배로 되도록 한다 (송풍량 1 : 2).
이로써,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이 중, 일방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일방, 타방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20)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20) 에 의해 가습 유로 (22) 및 제습 유로 (24) 에 각각 안내된다. 그리고, 이 중,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22)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탑승자 (제 1 영역) 를 향하여 불려 나오고,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24)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 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고습도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전환 동작한다.
요컨대, 제어 유닛 (26) 은,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흡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발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전환 댐퍼 (2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일방의 연결 유로 (18A) 와 제습 유로 (24) 가 연통됨과 함께 타방의 연결 유로 (18B) 와 가습 유로 (22)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20)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작동 상태를 전환하여 일방의 블로어 (12A) 의 송풍량이 타방의 블로어 (12B) 의 송풍량의 2 배로 되도록 한다 (송풍량 2 : 1).
이로써,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이 중, 일방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한편, 타방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는, 1 쌍의 연결 유로 (18A, 1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20)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20) 에 의해 가습 유로 (22) 및 제습 유로 (24) 에 각각 안내된다. 그리고, 이 중,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22)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오고,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24)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전환 동작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펠티에 소자 (32) 및 전환 댐퍼 (20) 를 재차 전환 동작시킨다 (도 6A 참조).
또, 제어 유닛 (26)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작동 상태를 전환하여 일방의 블로어 (12A) 의 송풍량이 타방의 블로어 (12B) 의 송풍량의 1/2 배로 되도록 한다 (송풍량 1 : 2).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고습도 운전 모드」를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 (도 6A 의 동작과 도 6B 의 동작) 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로써,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로부터는 가습 공기 (화살표 (A)) 및 제습 공기 (화살표 (B)) 가 연속하여 불려 나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서는, 제어 유닛 (26) 이「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일방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송풍하는 송풍량과,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타방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송풍하는 송풍량의 비율이 2 : 1 로 되도록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이 조정된다. 이 때문에,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있어서는,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로 되어 있을 때에는, 공기 도입량이 많기 때문에, 흡착재에 의해 보다 많은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그 후에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로 되었을 때에는, 흡착재로부터 보다 많은 수분을 도입 공기에 방출할 수 있다. 게다가,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 는 열교환 소자에는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도입된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서술한 연속 운전 모드의 경우 (도 4 참조) 에 비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 단위량당의 가습량 (가습 공기의 절대 습도) 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4 ∼ 6 g/㎥ 의 수분량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의하면, 차실내라는 수분량이 한정된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습도 운전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분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는,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되어 있어도 된다. 도 7 내지 도 9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 1 변형예)
도 7 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1 쌍의 블로어 (12A, 12B) 및 1 쌍의 연결 유로 (14A, 14B) 대신에, 블로어 (12) 및 연결 유로 (14) 가 1 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 유로 (14) 에는, 후류측 (後流側) 유로에 대응하여 유로를 상하로 구분하듯이, 조정 댐퍼 (36) (가습량 증대부, 공기 도입량 조정부, 송풍 비율 제어부)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 댐퍼 (36) 는, 구동부를 갖고, 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블로어 (12) 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대한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있어서, 제어 유닛 (26) 은,「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송풍되는 송풍량과,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송풍되는 송풍량의 비율이 2 : 1 로 되도록 조정 댐퍼 (36) 를 작동시킨다.
요컨대, 조정 댐퍼 (36) 는, 도 7A 에서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측인 열교환 소자 (28B) 에 송풍되는 송풍량과,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측인 열교환 소자 (28A) 에 송풍되는 송풍량의 비율이 2 : 1 로 되도록 조정되고, 도 7B 에서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측인 열교환 소자 (28A) 에 송풍되는 송풍량과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측인 열교환 소자 (28B) 에 송풍되는 송풍량의 비율이 2 : 1 로 되도록 조정된다. 이로써,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있어서는,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로 되어 있을 때에는, 공기 도입량이 많기 때문에, 흡착재에 의해 보다 많은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그 후에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로 되었을 때에는, 흡착재로부터 보다 많은 수분을 도입 공기에 방출할 수 있다. 게다가,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는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도입된다. 이상으로부터,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 단위량당의 가습량 (가습 공기의 절대 습도) 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제어 유닛 (26) 은,「연속 운전 모드」또는「간헐 운전 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송풍되는 송풍량의 비율이 1 : 1 로 되도록 조정 댐퍼 (36) 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게 연속 운전 (도 4 참조) 및 간헐 운전 (도 5 참조) 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 2 변형예)
도 8 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히터 (30) 및 펠티에 소자 (32) 대신에, 1 쌍의 펠티에 소자 (32A, 3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1 쌍의 펠티에 소자 (32A, 32B) 는,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그 각 이면 전체를 덮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고,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 (인가 전압의 극성) 에 따라,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각각 독립적으로 가열 및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이「연속 운전 모드」,「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이 1 쌍의 펠티에 소자 (32A, 32B) 에 의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일방이 가열되고 타방이 냉각되는 상태와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일방이 냉각되고 타방이 가열되는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게 연속 운전 (도 4 참조) 및 고습도 운전 (도 6 참조) 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제어 유닛 (26) 이「간헐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이 1 쌍의 펠티에 소자 (32A, 32B) 에 의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게 간헐 운전 (도 5 참조) 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제 2 변형예에 의하면, 각 펠티에 소자 (32A, 32B) 에 의해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각각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착재에 의한 공기 중의 수분의 흡착 효율 (제습 효율) 을 높일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9 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히터 (30) 대신에, 펠티에 소자 (38) (가열부)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펠티에 소자 (38) 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그 이면 전체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고,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 (인가 전압의 극성) 에 따라,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동시에 가열 및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이「간헐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이 펠티에 소자 (38) 에 의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게 간헐 운전 (도 5 참조) 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제 3 변형예에 의하면, 펠티에 소자 (38) 에 의해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착재에 의한 공기 중의 수분의 흡착 효율 (제습 효율) 을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간헐 운전 모드일 때에, 1 쌍의 블로어 (12A, 12B) 가 히터 (30) 에 의해 가열되고 있을 때의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송풍하는 송풍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을 때의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송풍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제어 유닛 (26) 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을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서술한 고습도 운전 모드일 때와 동일하게,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 단위량당의 가습량 (가습 공기의 절대 습도) 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유로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었지만, 각 유로가 차량폭 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습 유로 (24) 로부터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 면을 향하여 제습 공기가 불려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제습 유로 (24) 로부터 리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을 향하여 제습 공기가 불려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제습 유로 (24) 로부터 프론트의 사이드 윈도우 또는 리어의 사이드 윈도우 등의 차실측의 면을 향하여 제습 공기가 불려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A 에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의 측면도, 도 10B 에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 나타나는 화살표 (FR), 화살표 (OUT), 화살표 (UP) 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가 차량에 탑재된 경우의 차량 전후 방향 앞측, 차량폭 방향 외측,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는, 블로어 (12A, 12B) (송풍부) 와, 연결 유로 (52A, 52B) 와, 전환 댐퍼 (54A, 54B) (전환부의 일부) 와, 1 쌍의 연결 유로 (56A, 56B) 와, 제가습 유닛 (16) (제가습 유닛) 과, 1 쌍의 연결 유로 (58A, 58B) 와, 취출 (吹出) 유로 (60A, 60B) 와, 제어 유닛 (62) (가습량 증대부, 공기 도입량 조정부, 송풍량 조정부, 가열 제어부) 을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블로어 (12A, 12B), 제가습 유닛 (16) 은,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와 동일한 것 (내부 배치만 약간 상이함) 이 사용되고 있다.
연결 유로 (52A, 52B) 는, 각각 중공체로 구성되어 있다. 일방의 연결 유로 (52A) 는, 블로어 (12A) 와, 전환 댐퍼 (54A) 를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고, 타방의 연결 유로 (52B) 는, 블로어 (12B) 와, 전환 댐퍼 (54B) 를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환 댐퍼 (54A) 는 구동부를 갖고, 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연결 유로 (52A) 및 취출 유로 (60B) 와, 1 쌍의 연결 유로 (56A, 56B) 와의 연통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이 전환 댐퍼 (54A) 는 연결 유로 (52A) 와 연결 유로 (56A) 를 연통함과 함께 취출 유로 (60B) 와 연결 유로 (56B) 를 연통하는 상태와, 연결 유로 (52A) 와 연결 유로 (56B) 를 연통함과 함께 취출 유로 (60B) 와 연결 유로 (56A) 를 연통하는 상태로 완전히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전환 댐퍼 (54B) 는 구동부를 갖고, 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연결 유로 (52B) 및 취출 유로 (60A) 와, 1 쌍의 연결 유로 (58A, 58B) 와의 연통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이 전환 댐퍼 (54B) 는 연결 유로 (52B) 와 연결 유로 (58B) 를 연통함과 함께 취출 유로 (60A) 와 연결 유로 (58A) 를 연통하는 상태와, 연결 유로 (52B) 와 연결 유로 (58A) 를 연통함과 함께 취출 유로 (60A) 와 연결 유로 (58B) 를 연통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전환 댐퍼 (54A, 54B) 는 후술하는 제어 유닛 (62) 으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서술한 연통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연결 유로 (56A, 56B, 58A, 58B) 는, 각각 중공체로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연결 유로 (56A, 56B) 는 전환 댐퍼 (54A) 와,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각각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고, 1 쌍의 연결 유로 (58A, 58B) 는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와 전환 댐퍼 (54B) 를 각각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취출 유로 (60A, 60B) 는, 예를 들어 배기 덕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방의 취출 유로 (60A) 는, 전환 댐퍼 (54B) 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예를 들어 차실내의 운전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어내기 위한 가습 유로 (64A) 와, 전환 댐퍼 (54B) 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어내기 위한 제습 유로 (66A) 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전환 댐퍼 (54B) 로부터의 송풍 공기를 가습 유로 (64A) 와 제습 유로 (66A) 에 배분할 수 있는 전환 댐퍼 (68A, 70A) (전환부의 일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타방의 취출 유로 (60B) 는, 전환 댐퍼 (54A) 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예를 들어 차실내의 조수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를 향하여 불어내기 위한 가습 유로 (64B) 와, 전환 댐퍼 (54A) 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어내기 위한 제습 유로 (66B) 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전환 댐퍼 (54A) 로부터의 송풍 공기를 가습 유로 (64B) 와 제습 유로 (66B) 에 배분할 수 있는 전환 댐퍼 (68B, 70B) (전환부의 일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 (62) 은, 예를 들어, CPU, ROM, RAM 등을 구비한 전기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 상기 서술한 블로어 (12A, 12B), 제가습 유닛 (16) 의 히터 (30) 및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54A, 54B), 전환 댐퍼 (68A, 68B, 70A, 70B) 의 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유닛 (62) 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장치 전체의 동작과 함께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62)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연속 운전 모드」,「간헐 운전 모드」,「고습도 운전 모드」가 되고, 각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이하와 같이 블로어 (12A, 12B), 제가습 유닛 (16) 의 히터 (30) 및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54A, 54B), 전환 댐퍼 (68A, 68B, 70A, 70B) 의 각 동작을 제어한다.
도 11 내지 도 13 에는, 제어 유닛 (62) 이「연속 운전 모드」,「간헐 운전 모드」,「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전체의 동작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연속 운전 모드」가 본 발명에 관련된 노멀 모드로 되어 있고,「간헐 운전 모드」및「고습도 운전 모드」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어 있다.
(연속 운전 모드)
먼저, 도 11 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62) 이「연속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전체의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62) 은,「연속 운전 모드」로 되면,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발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흡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A) 와 연결 유로 (56A)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B) 와 연결 유로 (56B)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8B) 와 연결 유로 (52B)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A) 와 연결 유로 (58A)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B)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A, 70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B)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A, 70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B, 70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A)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B, 70B) 를 전환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 유닛 (62)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62)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이 동일해지도록 한다 (송풍량 1 : 1).
이로써,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블로어 (12A)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A, 56A)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한편, 타방의 블로어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B, 58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는, 연결 유로 (58A)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B)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B) 에 의해 취출 유로 (60A)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A)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A, 70A) 에 의해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64A)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운전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는, 연결 유로 (56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A)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A) 에 의해 취출 유로 (60B)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B)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B, 70B) 에 의해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66B)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연속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전환 동작한다.
요컨대, 제어 유닛 (62) 은,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흡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발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A) 와 연결 유로 (56B)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B) 와 연결 유로 (56A)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B) 와 연결 유로 (58A)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A) 와 연결 유로 (58B)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B) 를 전환 동작시킨다.
이로써,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블로어 (12A)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A, 56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 다. 한편, 타방의 블로어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B, 58A)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는, 연결 유로 (5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B)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B) 에 의해 취출 유로 (60A)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A)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A, 70A) 에 의해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64A)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운전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는, 연결 유로 (56A)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A)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A) 에 의해 취출 유로 (60B)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B)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B, 70B) 에 의해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66B)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연속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 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펠티에 소자 (32) 및 전환 댐퍼 (54A, 54B) 를 재차 전환 동작시킨다 (도 11A 참조).
그리고, 제어 유닛 (62)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연속 운전 모드」를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 (도 11A 의 동작과 도 11B 의 동작) 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로써,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로부터는 가습 공기 (화살표 (A)) 및 제습 공기 (화살표 (B)) 가 연속하여 불려 나온다. 또한, 이 때, 2 ∼ 3 g/㎥ 의 수분량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에서는, 제어 유닛 (62) 이「연속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가 동시에 연속하여 불려 나온다. 이로써, 탑승자에게 습기를 공급하여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프론트 윈도우의 흐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간헐 운전 모드)
다음으로, 도 12 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62) 이「간헐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전체의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62) 은,「간헐 운전 모드」로 되면, 전환 댐퍼 (54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A) 와 연결 유로 (56A)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B) 와 연결 유로 (56B)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B) 와 연결 유로 (58B)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A) 와 연결 유로 (58A)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B)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A, 70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B)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제습 유로 (66A)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A, 70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B, 70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A)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B, 70B) 를 전환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 유닛 (62)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62)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이 동일해지도록 한다 (송풍량 1 : 1).
이로써,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히터 (30) 및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는, 전환 댐퍼 (54A, 54B)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A, 54B) 에 의해 취출 유로 (60A, 60B) 의 각 제습 유로 (66A, 66B)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중, 취출 유로 (60A) 의 제습 유로 (66A) 에 안내된 제습 공기 (화살표 (B1)) 는, 제습 유로 (66A)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오고, 취출 유로 (60B) 의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된 제습 공기 (화살표 (B2)) 는, 제습 유로 (66B)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간헐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전환 동작한다.
요컨대, 제어 유닛 (62) 은, 히터 (30)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이 히터 (30) 을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A, 70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B)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A, 70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B, 70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A)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가습 유로 (64B)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B, 70B) 를 전환 동작시킨다.
이로써,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블로어 (12A,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제가습 유닛 (16) 의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다.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히터 (30)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는, 전환 댐퍼 (54A, 54B) 에 각각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A, 54B) 에 의해 취출 유로 (60A, 60B) 의 각 가습 유로 (64A, 64B)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중, 취출 유로 (60A) 의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된 가습 공기 (화살표 (A1)) 는, 가습 유로 (64A)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운전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오고, 취출 유로 (60B) 의 가습 유로 (64B) 에 안내된 가습 공기 (화살표 (A2)) 는, 가습 유로 (64B)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조수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상기 서술한 전환 동작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히터 (30) 및 전환 댐퍼 (68A, 68B, 70A, 70B) 를 재차 전환 동작시킨다 (도 12A 참조).
그리고, 제어 유닛 (62)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간헐 운전 모드」를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 (도 12A 의 동작과 도 12B 의 동작) 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로써,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로부터는 가습 공기 (화살표 (A1, A2)) 및 제습 공기 (화살표 (B1, B2)) 가 교대로 연속적으로 불려 나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에서는, 제어 유닛 (62) 이「간헐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히터 (30) 에 의해 동시에 가열되고 있을 때에는, 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의 양방에서 가습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연속 운전 모드의 경우 (도 11 참조) 에 비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에 의하면, 차실내라는 수분량이 한정된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간헐 운전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분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고습도 운전 모드)
다음으로, 도 13 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62) 이「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전체의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유닛 (62) 은「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면,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발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흡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 로 (52A) 와 연결 유로 (56A)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B) 와 연결 유로 (56B)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B) 와 연결 유로 (58B)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A) 와 연결 유로 (58A)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B)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A, 70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B)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A, 70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68B, 70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전환 댐퍼 (54A) 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되도록 이 전환 댐퍼 (68B, 70B) 를 전환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 유닛 (62)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62) 은, 일방의 블로어 (12A) 의 송풍량이 타방의 블로어 (12B) 의 송풍량의 1/2 배로 되도록 한다 (송풍량 1 : 2).
이로써, 도 13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블로어 (12A)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A, 56A)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한편, 타방의 블로어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B, 58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는, 연결 유로 (58A)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B)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B) 에 의해 취출 유로 (60A)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A)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A, 70A) 에 의해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64A)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운전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는, 연결 유로 (56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A)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A) 에 의해 취출 유로 (60B)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B)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B, 70B) 에 의해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66B)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고습도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전환 동작한다.
요컨대, 제어 유닛 (62) 은, 펠티에 소자 (32)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펠 티에 소자 (32) 의 일방의 평면부 (34A) 가 흡열하고 타방의 평면부 (34B) 가 발열하도록 이 펠티에 소자 (32) 를 작동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A)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A) 와 연결 유로 (56B)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B) 와 연결 유로 (56A)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A)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전환 댐퍼 (54B)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연결 유로 (52B) 와 연결 유로 (58A) 가 연통됨과 함께 취출 유로 (60A) 와 연결 유로 (58B) 가 연통된 연통 상태가 되도록 이 전환 댐퍼 (54B) 를 전환 동작시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62) 은 일방의 블로어 (12A) 의 송풍량이 타방의 블로어 (12B) 의 송풍량의 1/2 배로 되도록 한다 (송풍량 1 : 2).
이로써, 도 13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블로어 (12A)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A, 56B)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B)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B)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B)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을 얻어 가습 공기로 된다. 한편, 타방의 블로어 (12B) 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연결 유로 (52B, 58A) 를 통하여 제가습 유닛 (16) 의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다. 이 열교환 소자 (28A) 에 도입된 공기는, 열교환 소자 (28A) 가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냉각되고 있으므로, 이 열교환 소자 (28A) 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에 의해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 공기로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는, 연결 유로 (58B)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B)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B) 에 의해 취출 유로 (60A)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A)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A, 70A) 에 의해 가습 유로 (64A)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가습 공기 (화살표 (A)) 는, 가습 유로 (64A) 로부터 예를 들어 차실내의 운전석의 탑승자 (제 1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가습 유닛 (16) 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는, 연결 유로 (56A) 를 통하여 전환 댐퍼 (54A) 에 송풍되고, 이 전환 댐퍼 (54A) 에 의해 취출 유로 (60B) 에 안내되며, 또한, 이 취출 유로 (60B) 내에서 다시 전환 댐퍼 (68B, 70B) 에 의해 제습 유로 (66B) 에 안내된다. 그리고, 이 제습 공기 (화살표 (B)) 는, 제습 유로 (66B) 로부터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 (제 2 영역) 을 향하여 불려 나온다.
또, 제어 유닛 (62) 은, 고습도 운전 모드의 운전 개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 (28A) 의 흡착재가 수분 포화 상태가 되거나, 혹은, 열교환 소자 (28B) 의 흡착재가 수분을 모두 방출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몇 분간) 이 경과했을 때에는, 펠티에 소자 (32) 및 전환 댐퍼 (54A, 54B) 를 재차 전환 동작한다 (도 13 (a) 참조).
또, 제어 유닛 (62) 은, 1 쌍의 블로어 (12A, 12B) 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 유닛 (62) 은 일방의 블로어 (12A) 의 송풍량이 타방의 블로어 (12B) 의 송풍량의 1/2 배로 되도록 한다 (송풍량 1 : 2).
그리고, 제어 유닛 (62) 은,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메인 제어 유닛 혹은 조작 패널) 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차실내의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고습도 운전 모드」를 종료할 때까지, 상기 동작 (도 13 (a) 의 동작과 도 13 (b) 의 동작) 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로써,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로부터는 가습 공기 (화살표 (A)) 및 제습 공기 (화살표 (B)) 가 연속하여 불려 나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에서는, 제어 유닛 (62) 이「고습도 운전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일방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송풍하는 송풍량과,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타방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송풍하는 송풍량의 비율이 2 : 1 로 되도록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이 조정됨과 함께 전환 댐퍼 (54A, 54B) 의 동작이 전환된다. 이 때문에,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있어서는,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로 되어 있을 때에는, 공기 도입량이 많기 때문에, 흡착재에 의해 보다 많은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열교환 소자 (28A, 28B) 가 그 후에 펠티에 소자 (32) 에 의해 가열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로 되었을 때에는, 흡착재로부터 보다 많은 수분을 도입 공기에 방출할 수 있다. 게다가,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중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에는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 소자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도입된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서술한 연속 운전 모드의 경우 (도 11 참조) 에 비하여,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 단위량당의 가습량 (가습 공기의 절대 습도) 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4 ∼ 6 g/㎥ 의 수분량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에 의하면, 차실내라는 수분량이 한정된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습도 운전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분을 탑승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50)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간헐 운전 모드일 때에, 1 쌍의 블로어 (12A, 12B) 가 히터 (30) 에 의해 가열되고 있을 때의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송풍하는 송풍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을 때의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에 송풍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제어 유닛 (26) 이 1 쌍의 블로어 (12A, 12B) 의 송풍량을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서술한 고습도 운전 모드일 때와 동일하게, 제가습 유닛 (16) 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 단위량당의 가습량 (가습 공기의 절대 습도) 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유로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되고 있었지만, 각 유로가 차량폭 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습 유로 (66A, 66B) 로부터 프론트 윈도우의 차실측의 면을 향하여 제습 공기가 각각 불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제습 유로 (66A, 66B) 로부터 프론트의 사이드 윈도우 또는 리어의 사이드 윈도우 등의 차실측의 면을 향하여 제습 공기가 불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차량에 대한 적용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차량 (80) 에 대한 적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가 적용된 차량 (80) 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5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을 위한 조작 패널 (92) 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 에 있어서 나타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는, 차량 전후 방향 앞측,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차량 (80) 에 있어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제어 유닛 (26) 을 제외한 부분) 는, 차실 (82) 내의 천정부 (84) 에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형성된 가습 유로 (22) 의 취출구 (도 1 참조) 는, 예를 들어, 차실 (82) 내의 천정부 (84) 에 형성된 노즐 (86) 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 (86) 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취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되고, 가습 유로 (22) 로부터 보내진 가습 공기를 주로 탑승자 (P) 의 헤드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얼굴 전체, 눈, 코 및 입) 에 국소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형성된 제습 유로 (24) 의 취출구 (도 1 참조) 는, 차실 (82) 내의 천정부 (84) 에 형성된 취출구 (88) 에 접속되어 있다. 이 취출구 (88) 는, 프론트 윈도우 (90) 의 차실 (82) 측의 면을 향하여 제습 공기를 불어낼 수 있도록 취출 방향이 설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차량 (80) 에는, 상기 서술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추가로, 조작 패널 (92) 과, 거리 센서 (94) 와, 서모그래피 (96) 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 패널 (92) 은, 차량 (80) 에 장비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98) 의 예를 들어 차량폭 방향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 (92) 에는, 도 15 에 나타나도록,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ALL 모드 스위치 (10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 (92) 은, 상기 서술한 각 조작 스위치가 탑승자 (P) 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조작 신호를 제어 유닛 (26) 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거리 센서 (94) 는, 차실 (82) 의 천정부 (84) 에 노즐 (86) 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거리 센서 (94) 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나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거리 센서 (94) 는,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에 따른 측정 신호를 제어 유닛 (26) 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모그래피 (96) 는, 차실 (82) 내의 천정부 (84) 에 거리 센서 (94) 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 서모그래피 (96) 는, 탑승자 (P) 의 얼굴 전체의 온도 분포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데이터를 제어 유닛 (26) 에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 (26) 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98) 의 내부 등의 차량 (80) 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조작 패널 (92) 로부터의 조작 신호, 거리 센서 (94) 로부터의 측정 신호, 및 서모그래피 (96) 로부터의 검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동작 및 노즐 (86) 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또, 제어 유닛 (26) 에는, 상기 서술한 조작 패널 (92) 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1 회 분사당 가습량,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 및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도 16, 도 17 에는, 제어 유닛 (26) 에 데이터화되어 기억된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8 에는, 복수의 목적 항목과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 타겟 (목표값) 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제어 유닛 (26) 에 데이터화되어 기억된 정보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기 전에, 도 18 의 맵으로 나타내는 복수의 목적 항목과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목표값) 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이 맵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목적 항목으로서,「차실내의 탑승자의 피부 건조 방지」,「차 실내의 탑승자의 안구 건조 방지」,「차실내의 알레르겐의 비산 방지」,「차실내의 바이러스의 비산 방지」,「차실내의 박테리아의 비산 방지」를 설정하고 있다.
한편,「차실내의 탑승자의 피부 건조 방지」하기 위한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목표값) 으로서는, 절대 습도 11 g/㎏ 을 설정하고 있고,「차실내의 탑승자의 안구 건조 방지」하기 위한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목표값) 으로서는, 절대 습도 7 g/㎏ 을 설정하고 있고,「차실내의 알레르겐의 비산 방지」,「차실내의 바이러스의 비산 방지」,「차실내의 박테리아의 비산 방지」하기 위한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목표값) 으로서는, 절대 습도 9 g/㎏ 을 설정하고 있다.
요컨대, 도 18 의 꺾은선 그래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0 ∼ 10 g/㎏ 일 때에는 차실내의 탑승자의 피부 건조 방지 효과가 낮고, 반대로,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12 ∼ 20 g/㎏ 일 때에는 예를 들어 탑승자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차실의 창에 흐림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 차실내의 탑승자의 피부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10 ∼ 12 g/㎏ 인 것이 최적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실내의 절대 습도 10 ∼ 12 g/㎏ 의 중심값인 절대 습도 11 g/㎏ 을「차실내의 탑승자의 피부 건조 방지」하기 위한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Ta) (목표값) 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또, 도 18 의 꺾은선 그래프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0 ∼ 6 g/㎏ 일 때에는 차실내의 탑승자의 안구 건조 방지 효과가 낮고, 반대로,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8 ∼ 20 g/㎏ 일 때에는 예를 들어 탑승자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차실 (82) 의 창에 흐림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 차실내의 탑승자의 안구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6 ∼ 8 g/㎏ 인 것이 최적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실내의 절대 습도 6 ∼ 8 g/㎏ 의 중심값인 절대 습도 7 g/㎏ 을「차실내의 탑승자의 안구 건조 방지」하기 위한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Tc) (목표값) 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도 18 의 꺾은선 그래프 (c, d,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0 ∼ 8 g/㎏ 일 때에는 차실내의 알레르겐의 비산 방지, 차실내의 바이러스의 비산 방지, 차실내의 박테리아의 비산 방지의 효과가 낮고, 반대로,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10 ∼ 20 g/㎏ 일 때에는 예를 들어 탑승자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차실의 창에 흐림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차실내의 알레르겐의 비산, 차실내의 바이러스의 비산, 차실내의 박테리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8 ∼ 10 g/㎏ 인 것이 최적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실내의 절대 습도 8 ∼ 10 g/㎏ 의 중심값인 절대 습도 9 g/㎏ 을「차실내의 알레르겐의 비산 방지」,「차실내의 바이러스의 비산 방지」,「차실내의 박테리아의 비산 방지」하기 위한 차실내의 절대 습도의 타겟 (Tb) (목표값) 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차실내는 공조 장치 등에 의해 실온 25 ℃ 전후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겟 (Ta, Tb, Tc) 을 차실내의 상대 습도가 아니라 절대 습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에는,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를 상기 서술한 타겟 (Ta, Tb, Tc) (목표값) 에 유지하기 위하여,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타겟 (Ta, Tb, Tc) 마다, 1 회 분사당 가습량과 가습 공기의 단속 (斷續) 분사 간격을 규정하기 위한 가습 패턴 (Pa, Pb, Pc) 이 미리 정해져 기억되고 있다.
요컨대, 가습 패턴 (Pa) 은, 상기 서술한 타겟 (Ta) (절대 습도 11 g/㎏) 에 대응하여 설정된 것으로서, 3 가지의 가습 패턴 중에서, 1 회 분사당 가습량이 가장 많고,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이 가장 짧게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타겟으로 하는 차실 (82) 내의 습도가 높을수록 빨리 습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가습량을 많게 함과 함께 분사 간격을 짧게 하고 있다.
또, 가습 패턴 (Pb) 은, 상기 서술한 타겟 (Tb) (절대 습도 9 g/㎏) 에 대응하여 설정된 것으로서, 3 가지의 가습 패턴 중에서, 1 회 분사당 가습량 및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이 중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습 패턴 (Pc) 은, 상기 서술한 타겟 (Tc) (절대 습도 7 g/㎏) 에 대응하여 설정된 것으로서, 3 가지의 가습 패턴 중에서, 1 회 분사당 가습량이 가장 적고,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이 가장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가습 패턴 (Pa, Pb, Pc) 은, 가습전의 차실내의 절대 습도가 대략 5 g/㎏ 인 것을 전제로 하여 설정된 것이다.
또, 제어 유닛 (26) 에는, 도 17A, 도 17B 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보다 정확하게는, 거리 센서 (94) 와 탑승자 (P) 의 거리) 와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 (V) 및 1 회 분 사당 가습량 (Q) 의 관계가 각각 데이터화되어 미리 기억되고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가 증가됨에 따라, 일정한 증가율로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 (V) 가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1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가 증가됨에 따라, 1 회 분사당 가습량 (Q) 이 증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1) 를 경계로 1 회 분사당 가습량 (Q) 의 증가율이 증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기억된 제어 유닛 (26) 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적용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에는, 본 적용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도 20 에는, 본 적용예에 있어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의해 가습된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 (H) 와 시간 (S) 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탑승자 (P) 가 도 15 에 나타내는 조작 패널 (92) 에 형성된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ALL 모드 스위치 (106) 의 어느 것을 조작하면, 이 조작한 스위치에 따른 조작 신호가 도 14 에 나타내는 제어 유닛 (26) 에 출력된다.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 (92) 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하면, 도 19 의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는 프로그램 처리를 개시한다. 제어 유닛 (26) 은, 도 19 의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는 프로그램 처리를 개시하면, 먼저, 조작 패널 (92) 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도 16 에 나타내는 가습 패턴의 선정을 실시한다 (단계 S1).
즉, 단계 S1 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 (26) 은, 조작 패널 (92) 로부터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가 조작됨에 따라 출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를 타겟 (Ta) (절대 습도 11 g/㎏) 으로 하여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피부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습 패턴 (Pa) 를 선정한다.
동일하게, 단계 S1 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 (26) 은, 조작 패널 (92) 로부터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가 조작됨에 따라 출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를 타겟 (Tc) (절대 습도 7 g/㎏) 으로 하여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안구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습 패턴 (Pc) 을 선정한다.
또, 단계 S1 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 (26) 은, 조작 패널 (92) 로부터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가 조작됨에 따라 출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를 타겟 (Tb) (절대 습도 9 g/㎏) 으로 하여 차실 (82) 내의 알레르겐, 바이러스, 박테리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습 패턴 (Pb) 을 선정한다.
또한, 단계 S1 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 유닛 (26) 은, 조작 패널 (92) 로부터 ALL 모드 스위치 (106) 가 조작됨에 따라 출력된 조작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를 타겟 (Ta) (절대 습도 11 g/㎏) 으로 하여 차실 (82) 내에 쾌적 공간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습 패턴 (Pa) 를 선정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 조작 패널 (92) 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가습 패턴을 선정한 후,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 (가습부) 의 거리를 검출한다 (단계 S2). 즉, 제어 유닛 (26) 은, 거리 센서 (94) 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거리 센서 (94) 를 작동시킨다. 거리 센서 (94) 는, 제어 유닛 (26) 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작동하여, 탑승자 (P) 의 헤드부까지의 거리에 따른 측정 신호를 제어 유닛 (26) 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거리 센서 (94) 로부터 출력된 측정 신호를 입력하여, 이 측정 결과를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로서 검출한다.
계속해서, 제어 유닛 (26) 은,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 (가습 속도) 를 설정한다 (단계 S3). 즉, 제어 유닛 (26) 은, 도 17A 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보다 정확하게는, 거리 센서 (94) 와 탑승자 (P) 의 거리) 와,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 (V) 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술한 단계 S2 에서 검출한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로부터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를 산정하여 설정 (일시적으로 기억) 한다.
이 때, 제어 유닛 (26) 은, 도 17A 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가 증가됨에 따라 일정한 증가율로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 (V) 가 빨라지도록, 상기 서술한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단계 S1 에서 선정한 가습 패턴으로 규정되는 1 회 분사당 가습량의 조정을 실시한다 (단계 S4). 즉, 제어 유닛 (26) 은, 도 17B 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보다 정확하게는, 거리 센서 (94) 와 탑승자 (P) 의 거리) 와, 1 회 분사당 가습량 (Q) 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서술한 단계 S1 에서 선정한 가습 패턴으로 규정되는 1 회 분사당 가습량 (표준값) 의 증감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가습 패턴 (Pa) 에서 표준값으로서 규정되는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표준값) 에 대해, 상기 서술한 단계 S2 에서 검출한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실측값) 가 긴 경우에는, 이 거리의 증가분에 상당하는 가습량의 증가량을 도 17B 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관계로부터 산출하고, 이 산출한 증가량을 상기 서술한 단계 S1 에서 선정한 가습 패턴 (Pa) 으로 규정되는 가습량 (표준값) 에 가산한다.
또한, 이 때, 제어 유닛 (26) 은, 도 17B 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가 증가됨에 따라 1 회 분사당 가습량 (Q) 이 증가되도록, 상기 서술한 1 회 분사당 가습량을 설정한다. 또, 이 때에는, 도 17B 의 그래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 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1) 를 경계로 1 회 분사당 가습량 (Q) 의 증가율이 증가되도록, 상기 서술한 1 회 분사당 가습량을 설정한다.
한편, 예를 들어, 가습 패턴 (Pa) 에서 표준값으로서 규정되는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표준값) 에 대해, 상기 서술한 단계 S2 에서 검출한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실측값) 가 짧은 경우에는, 이 거리의 감소분에 상당하는 가습량의 감소량을 도 17B 의 그래프로 나타나는 관계로부터 산출하고, 이 산출한 감소량을 상기 서술한 단계 S1 에서 선정한 가습 패턴 (Pa) 으로 규정되는 가습량 (표준값) 으로부터 감산한다.
계속해서, 제어 유닛 (26) 은, 노즐 (86) 의 분사 방향을 설정한다 (단계 S5). 즉, 제어 유닛 (26) 은, 서모그래피 (96) 을 기동시키고, 이 서모그래피 (96) 로부터의 검출 데이터를 해석하여, 얼굴 전체, 눈, 코 및 입의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 (26) 은,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노즐 (86) 의 분사 방향을 탑승자 (P) 의 얼굴 전체로 설정하고,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노즐 (86) 의 분사 방향을 탑승자 (P) 의 눈을 중심으로 설정하고,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노즐 (86) 의 분사 방향을 탑승자 (P) 의 코 및 입을 중심으로 설정하고, ALL 모드 스위치 (106) 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노즐 (86) 의 분사 방향을 탑승자 (P) 의 얼굴 전체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각 설정을 실시한 후, 제어 유닛 (26) 은, 노즐 (86) 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노즐 (86) 의 분사 방향을 변경함과 함께, 1 쌍의 블로어 (12A, 12B), 히터 (30),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20) (이상, 도 1 내지 도 6 참조) 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장치 전체를 작동시킨다 (단계 S6).
또한, 이 때, 제어 유닛 (26) 은,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ALL 모드 스위치 (106) 에 의해 선택된 각 모드의 각각에 대해 자동적으로「연속 운전 모드」,「간헐 운전 모드」,「고습도 운전 모드」의 각 운전 모드가 되어, 1 쌍의 블로어 (12A, 12B), 히터 (30),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20) 의 각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로써, 조작 패널 (92) 의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가 조작된 경우에는, 가습 패턴 (Pa) 에 기초하여 1 회 분사당 가습량이 많아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이 짧게 설정되고, 도 20 의 꺾은선 그래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타겟 (Ta) 의 11 g/㎏ 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도 20 의 꺾은선 그래프 (a) 에서는, T
Figure 112009067446459-PCT00001
(T
Figure 112009067446459-PCT00002
<Tβ<Tγ) 가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도 20 의 꺾은선 그래프 (a)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로부터 가습 공기를 단속 분사함으로써 타겟 (Ta) 을 중심으로 하여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증감되게 되는데, 이 때의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 진폭의 상하값은 상기 서술한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피부 건조 방지에 최적인 습도 범위 10 ∼ 12 g/㎏ 내로 수렴되도록 조절된다. 이로써, 탑승자 (P) 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차실 (82) 의 창에 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피부 건조가 방지된다.
동일하게, 조작 패널 (92) 의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가 조작된 경우에는, 가습 패턴 (Pc) 에 기초하여, 1 회 분사당 가습량이 적고,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이 길게 설정되어,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타겟 (Tc) 의 7 g/㎏ 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도 20 의 꺾은선 그래프 (c) 에서는, Tβ (T
Figure 112009067446459-PCT00003
<Tβ<Tγ) 가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도 20 의 꺾은선 그래프 (c)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로부터 가습 공기를 단속 분사함으로써 타겟 (Tc) 을 중심으로 하여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증감되게 되는데, 이 때의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 진폭의 상하값은 상기 서술한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안구 건조 방지에 최적인 습도 범위 6 ∼ 8 g/㎏ 내로 수렴되도록 조절된다. 이로써, 탑승자 (P) 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차실 (82) 의 창에 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안구 건조가 방지된다.
또, 조작 패널 (92) 의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가 조작된 경우에는, 가습 패턴 (Pb) 에 기초하여, 1 회 분사당 가습량 및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이 중간 정도로 설정되고,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타겟 (Tb) 의 9 g/㎏ 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도 20 의 꺾은선 그래프 (b) 에서는, Tγ (T
Figure 112009067446459-PCT00004
<Tβ<Tγ) 가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도 20 의 꺾은선 그래프 (b)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로부터 가습 공기를 단속 분사함으로써 타겟 (Tb) 을 중심으로 하여 차실 (82) 내의 절 대 습도가 증감되게 되는데, 이 때의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 진폭의 상하값은 상기 서술한 차실 (82) 내의 알레르겐의 비산, 차실 (82) 내의 바이러스의 비산, 차실 (82) 내의 박테리아의 비산의 방지에 최적인 습도 범위 8 ∼ 10 g/㎏ 내로 수렴되도록 조절된다. 이로써, 탑승자 (P) 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차실 (82) 의 창에 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실 (82) 내의 알레르겐, 바이러스, 박테리아의 비산이 방지된다.
또한, 조작 패널 (92) 의 ALL 모드 스위치 (106) 가 조작된 경우에는, 가습 패턴 (Pa) 에 기초하여, 1 회 분사당 가습량이 많아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이 짧게 설정되고,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타겟 (Ta) 의 11 g/㎏ 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로써, 탑승자 (P) 가 불쾌하게 느끼거나 차실 (82) 의 창에 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탑승자 (P) 에 대해 쾌적한 차실 (82) 공간이 제공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86) 로부터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얼굴 전체, 눈, 코 및 입에 국소적으로 가습 공기가 분사되어, 노즐 (86) 로부터의 가습 공기가 차실 (82) 내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가 증가됨에 따라 가습 공기의 분사 속도 (V) 가 빨라져, 노즐 (86) 로부터의 가습 공기가 보다 멀리 날려져 탑승자 (P) 에게 확실하게 도달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86) 과 차실 (82) 내의 탑승자 (P) 의 헤드부의 거리 (L) 가 증가됨에 따라 1 회 분사당 가습량 (Q) 이 증가되어 노즐 (86) 로부터 탑승자 (P) 에 도달하는 가습 공기의 양이 유지된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노즐 (86) 로부터 가습 공기가 불려 나오는 한편으로, 취출구 (88) 로부터는 프론트 윈도우 (90) 의 차실 (82) 측 면을 향하여 제습 공기가 불려 나온다. 이로써, 프론트 윈도우 (90) 의 흐림도 방지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ALL 모드 스위치 (106) 가 선택되고, 각 모드의 운전이 실시되고 있을 때에는, 탑승자 (P) 를 향하여 불어내진 가습 공기와 차량 (80) 의 공조 장치로부터의 공조 바람이 간섭받지 않도록 차량 (80) 의 공조 장치를 프론트 윈도우 취출 모드 (혹은, 발밑 취출 모드, 프론트 윈도우 취출 모드 및 발밑 취출 모드) 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정 시간 경과 후, 혹은, 도시되지 않은 정지 스위치가 조작되는 것 등에 의해, 제어 유닛 (26) 은 상기 서술한 각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는 동작한다.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의하면,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안구 건조 보호 모드 스위치 (102), 알레르겐 억제 모드 스위치 (104), ALL 모드 스위치 (106) 의 선택 상황에 따른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어 탑승자 (P) 에 대해, 더욱 더 쾌적한 차실 (82) 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제가습 장치 (10) 에 의하면,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교대로 가열하기 위한 펠티에 소자 (32) 와, 1 쌍의 열교환 소자 (28A, 28B) 를 동시에 가열하기 위한 히터 (30) 을 구비함으로써, 차실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보다 세세한 가습량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적용예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적용예에서는, 타겟 (Ta, Tb, Tc) 을 차실 (82) 내의 상대 습도가 아니라 절대 습도로 설정했는데, 타겟 (Ta, Tb, Tc) 을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아니라 상대 습도로 설정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 본 적용예에서는, 차실 (82) 내의 절대 습도가 미리 정해진 타겟 (목표값) 을 유지하도록, 1 회 분사당 가습량 및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 (가습 간격) 을 조절했으나, 1 회 분사당 가습량 및 가습 공기의 단속 분사 간격 (가습 간격) 의 어느 것을 조절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적용예에서는, 제어 유닛 (26) 이, 고운 피부 모드 스위치 (100) 등에 의해 선택된 각 모드의 각각에 대해 자동적으로「연속 운전 모드」등의 각 운전 모드가 되어, 1 쌍의 블로어 (12A, 12B), 히터 (30),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20) 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는데,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 (92) 에 연속 운전 모드 스위치 (108), 간헐 운전 모드 스위치 (110), 고습도 운전 모드 스위치 (112) 가 형성되고, 이 각 스위치가 선택됨으로써 각 운전 모드가 되어, 1 쌍의 블로어 (12A, 12B), 히터 (30), 펠티에 소자 (32), 전환 댐퍼 (20) 의 각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6)

  1.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재를 각각 갖는 1 쌍의 열교환부, 및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1 쌍의 열교환부에 도입된 공기로부터 가습 공기 및 제습 공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제가습 유닛과,
    상기 제가습 유닛에서 생성된 가습 공기를 차실내의 탑승자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으로 불어내기 위한 가습 유로와,
    상기 제가습 유닛에서 생성된 제습 공기를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으로 불어내기 위한 제습 유로와,
    상기 제가습 유닛의 각 열교환부와 상기 가습 유로 및 상기 제습 유로와의 연통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와,
    상기 제가습 유닛의 각 열교환부를 통하여 상기 가습 유로 및 상기 제습 유로로부터 불려 나오는 공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송풍부와,
    노멀 모드로부터 가습량 증대 모드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가습 유닛에 의해 가습 공기가 생성될 때의 가습 공기에 대한 가습량을 상기 노멀 모드의 경우에 비하여 증대시키기 위한 가습량 증대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량 증대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도입되는 공기 도입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열교환부에 대한 공기 도입량을 조정하기 위한 공기 도입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량 조정부는, 상기 송풍부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송풍하는 송풍량보다 비가열로 되어 있는 상기 열교환부에 송풍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송풍부의 송풍량을 조정하기 위한 송풍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량 조정부는,
    상기 송풍부와 상기 1 쌍의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송풍부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상기 1 쌍의 열교환부에 대한 비율을 변경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풍 비율 변경부와,
    상기 송풍부로부터 상기 1 쌍의 열교환부 중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되는 송풍량보다 상기 1 쌍의 열교환부 중 비가열로 되어 있는 열교환부에 송풍되는 송풍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송풍 비율 변경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송풍 비율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량 증대부는,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동시 또한 간헐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교대로 가열하기 위한 제 1 가열부와,
    상기 1 쌍의 열교환부를 동시에 가열하기 위한 제 2 가열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가습 장치.
KR1020097022950A 2007-04-06 2008-04-03 차량용 제가습 장치 KR101084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0537A JP4720772B2 (ja) 2007-04-06 2007-04-06 車両用除加湿装置
JPJP-P-2007-100537 2007-04-06
PCT/JP2008/056661 WO2008126751A1 (ja) 2007-04-06 2008-04-03 車両用除加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192A true KR20090127192A (ko) 2009-12-09
KR101084026B1 KR101084026B1 (ko) 2011-11-16

Family

ID=3986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950A KR101084026B1 (ko) 2007-04-06 2008-04-03 차량용 제가습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27652B2 (ko)
EP (1) EP2145787B1 (ko)
JP (1) JP4720772B2 (ko)
KR (1) KR101084026B1 (ko)
CN (1) CN101626912B (ko)
AT (1) ATE523368T1 (ko)
AU (1) AU2008239198B2 (ko)
WO (1) WO2008126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93A (ko) * 2013-03-05 2014-09-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220A (ja) * 2008-10-24 2010-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車室内用静電霧化装置
CN102259570B (zh) * 2010-05-26 2015-11-25 塞莫金公司 湿度控制和空调系统
JP5581886B2 (ja) * 2010-08-11 2014-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空調システム
WO2013048107A2 (ko) * 2011-09-28 2013-04-04 한라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43736B1 (ko) 2011-11-22 2013-12-19 갑을오토텍(주) 차량용 냉난방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US9592796B2 (en) * 2012-08-05 2017-03-14 Yokohama Heat Use Technlogy HVAC device for a vehicle
JP6394521B2 (ja) * 2014-08-21 2018-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加湿装置
JPWO2016158254A1 (ja) * 2015-04-01 2017-08-0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却装置、車両用空調装置
JP6304164B2 (ja) * 2015-07-29 2018-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加湿装置
US11596113B2 (en) * 2015-10-08 2023-03-07 Harvest Air, LLC Controlled agricultural system with energy wheel for treating recirculating air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7163580A1 (ja) * 2016-03-24 2017-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空調装置
JP2017171132A (ja) * 2016-03-24 2017-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空調装置
CN105928116A (zh) * 2016-04-22 2016-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设备及加湿方法
WO2018116592A1 (ja) * 2016-12-21 2018-06-28 株式会社デンソー 加湿装置
CN107554243A (zh) * 2017-08-02 2018-01-09 苏州蓝越软件有限公司 一种车内湿度控制系统
JP6964941B6 (ja) * 2017-09-13 2021-12-08 ハイリマレリジャパン株式会社 車両用の空調装置
JP2019066153A (ja) * 2017-10-05 2019-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調湿装置
CN110466308A (zh) * 2018-05-10 2019-11-19 张家港优全汽配有限公司 一种复合式聚氨酯发泡型车用风道板
GB2577557A (en) * 2018-09-28 2020-04-01 Dyson Automotive Res An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air conditioning
US11718142B2 (en) 2020-11-19 2023-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zing a vehicle inferi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0077U (ko) * 1987-10-27 1989-05-10
JP2964679B2 (ja) 1991-03-29 1999-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蒸発式加湿器
US5335719A (en) * 1991-10-12 1994-08-09 Behr Gmbh & Co. Apparatus for heating and/or cooling a compartment
US5327739A (en) * 1992-09-10 1994-07-12 Hughes Aircraft Company Desiccant adsorptio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US5873256A (en) * 1994-07-07 1999-02-23 Denniston; James G. T. Desiccant based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system
JP2000108655A (ja) * 1998-01-13 2000-04-18 Denso Corp 除湿装置
JP2000146220A (ja) * 1998-11-02 2000-05-26 Nissan Motor Co Ltd 空気調和手段及び空気調和装置
US6199388B1 (en) * 1999-03-10 2001-03-13 Semco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JP2000264054A (ja) * 1999-03-17 2000-09-26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1097038A (ja) 1999-10-01 2001-04-10 Nissan Motor Co Ltd 空調機器
JP3600163B2 (ja) * 2001-02-13 2004-12-08 三洋電機株式会社 車載空気調和機
JP2003314856A (ja) * 2002-04-22 2003-11-0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100504489B1 (ko) * 2002-12-26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2005140420A (ja) * 2003-11-06 2005-06-02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20070051835A (ko) * 2004-06-08 2007-05-18 나노포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 냉각 장치에 이용되는 수착 냉각 시스템 및 이에 관한방법
JP3861902B2 (ja) 2004-09-09 2006-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514624B2 (ja) * 2005-02-28 2010-07-28 株式会社西部技研 車両用空調装置
JP4538846B2 (ja) 2005-03-25 2010-09-08 スズ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6306293A (ja) 2005-04-28 2006-11-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93A (ko) * 2013-03-05 2014-09-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6197A1 (en) 2010-05-27
AU2008239198B2 (en) 2011-06-23
EP2145787B1 (en) 2011-09-07
US8327652B2 (en) 2012-12-11
CN101626912A (zh) 2010-01-13
EP2145787A1 (en) 2010-01-20
KR101084026B1 (ko) 2011-11-16
JP4720772B2 (ja) 2011-07-13
ATE523368T1 (de) 2011-09-15
CN101626912B (zh) 2012-06-27
EP2145787A4 (en) 2010-06-16
JP2008254637A (ja) 2008-10-23
AU2008239198A1 (en) 2008-10-23
WO2008126751A1 (ja)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026B1 (ko) 차량용 제가습 장치
JP6655057B2 (ja) 車両用空気浄化装置
WO2017145630A1 (ja) シート空調装置
US6928829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seat air conditioning unit
EP0688689A1 (e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JP702094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5936148B2 (ja) 逆気流の出力を防ぐように車両用hvac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7326407A (ja) 湿度制御装置
JPH0617135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1026482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19651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067157A (ja) 車両用除加湿装置
JP4513363B2 (ja) 空調座席装置
JP2008254636A (ja) 車両用除加湿装置
JPS6025552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8254638A (ja) 車両用加湿装置
JP200206766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299550A (ja) 空調座席装置
JP2019098770A (ja) 空調システム
JP200909086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53490A (ja) 空調座席装置
JPH0672141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40118088A (ko) 차량용 정전 무화 장치
KR100233586B1 (ko) 차량실내의 공기흐름 제어장치
JP2021055980A (ja) 加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