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831A -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831A
KR20090124831A KR1020080051254A KR20080051254A KR20090124831A KR 20090124831 A KR20090124831 A KR 20090124831A KR 1020080051254 A KR1020080051254 A KR 1020080051254A KR 20080051254 A KR20080051254 A KR 20080051254A KR 20090124831 A KR20090124831 A KR 2009012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recess
support member
buff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838B1 (ko
Inventor
홍석기
홍종오
손진현
김종암
박병춘
Original Assignee
영천시
홍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천시, 홍석기 filed Critical 영천시
Priority to KR102008005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83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와, 하향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박스본체 내에 안착되는 하측 지지부재와, 상기 하측 함몰부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하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하측 함몰부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하측 완충시트를 포함하여, 상기 하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의 상기 하측 완충시트 상에 포장대상물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포장되는 포장대상물이 상자본체나 지지부재에 밀착되지 아니하므로 포장대상물이 상자본체나 지지부재에 압착됨으로써 발생되는 포장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포장대상물로는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포장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포장, 박스, 완충, 충격, 진동, 이격

Description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PACKING BOX HAVING SHOCK-ABSORBING SPACE}
본 발명은 포도 등의 과일과 같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포장대상물을 보다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포장대상물로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박스 본체와 포장대상물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계란, 도자기 등과 같이 파손되기 쉬운 포장대상물은 일반적인 종이박스로만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기 어렵다. 따라서 파손되기 쉬운 포장대상물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완충부재로 감싸진 후 박스 내에 포장되는데, 포장대상물이 박스 내에서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완충부재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포장대상물 포장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포장용 상자'(등록번호 : 10-0736468호)가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포장용 상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포장용 상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포장용 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용 상자(100)는, 포장대상물(200)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102)이 내부에 마련되는 상자본체(110)와, 상기 포장대상물(200)의 상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공간(102) 내에 구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20)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일면이 개방되며 그 대향면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평면은 상기 상자본체(110)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자본체(110)의 평면과 동일한 형상과 상자본체(1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면은 개방되고 그에 대향하는 면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120)의 개방된 면은 상기 상자본체(110)의 내측 벽면을 향하고 관통공(122)이 형성된 면은 포장대상물(200)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22)에는 포장대상물(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관통공(122)이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120)의 타측평면에는 상기 관통공(122)을 덮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완충재(1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종래의 포장용 상자(100)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포장대상물(200)이 지지부재(120)와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지지부재와(120)의 접촉으로 인한 포장대상물(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포장대상물(200)이 상자본체(110)와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상자본체(110)로 인가되는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한 포장대상물(200)의 손상우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100)는, 포장대상물(200)이 지지부재(120) 더 정확하게는 관통공(122) 내주면에 직접 밀착되므로, 자중에 의해 상기 관통공(122) 내주면에 닿는 부위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포장대상물(200)이 포도 등과 같이 매우 무른 과일인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관통공(122) 내주면과 닿는 부위가 쉽게 짓무르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1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 또는 충격이 포장대상물(20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포장대상물(200)의 훼손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포장되는 포장대상물이 상자본체나 지지부재에 밀착되지 아니함으로써 포장대상물이 상자본체나 지지부재에 압착됨으로써 발생되는 포장대상물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포장대상물로는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포장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 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
하향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박스본체 내에 안착되는 하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하측 함몰부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하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하측 함몰부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하측 완충시트;
를 포함하여,
상기 하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의 상기 하측 완충시트 상에 포장대상물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측 완충시트는,
상기 하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포장대상물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포장대상물의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쳐지되, 상기 하측 함몰부의 바닥면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측 함몰부가 형성되는 상측 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함몰부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상측 지지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상 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상측 함몰부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 완충시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측 완충시트는,
상기 상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포장대상물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상측 함몰부의 바닥면을 향해 밀려 들어가되, 상기 상측 함몰부의 바닥면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저면과 상기 박스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하측 함몰부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하측 함몰부가 안착되는 완충함몰부가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측 함몰부가 상기 완충 함몰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하측 함몰부의 저면과 상기 완충 함몰부의 바닥면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포장되는 포장대상물이 상자본체나 지지부재에 밀착되지 아니하므로 포장대상물이 상자본체나 지지부재에 압착됨으로써 발생되는 포장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포장대상물로는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포장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10)와, 하측 함몰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박스본체(10) 내에 안착되는 하측 지지부재(20)와,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측 완충시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측 지지부재(20)는 상기 하측 함몰부(22)가 형성된 부위에 포장대상물(G)이 안착되어 포장대상물(G)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하측 함몰부(22)가 포장대상물(G)의 위치를 제한해 줌에 따라 포장대상물간의 충돌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형상 및 크기는 포장대상물(G)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 지지부재(20)는 안착되는 포장대상물(G)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하측 지지부재(20)는 상기 박스본체(10)가 기울어지거나 상기 박 스본체(10)에 충격이 인가될 때 측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박스본체(10) 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하측 지지부재(20)는 상기 박스본체(10)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외측단이 상기 박스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 완충시트(30)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상면과 접촉되는 부위는 접착제 등에 의해 완전히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의 하측 완충시트(30) 저면과,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측 완충시트(3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나의 하측 함몰부(22)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 완충시트(30)가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하측 완충시트(30)를 제작하는 공정이나 상기 하측 완충시트(30)를 결합시키는 공정이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고, 상기 하측 완충시트(30)가 하나의 하측 함몰부(22)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측 완충시트(30) 재료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완충시트(30)의 구조는 하측 함몰부(22) 간의 간격이나 하측 완충시트(30)의 종류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의 상기 하측 완충시트(30) 상에 포장대상물(G)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장대상물(G)은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완전히 인입되지 아니하고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즉, 상기 하측 함몰부(22) 바닥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외부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그 충격력은 하측 함몰부(22)의 내부공간에서 대부분 소멸되고 상기 포장대상물(G)로는 거의 전달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하측 완충시트(30)의 저면과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완충공간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를 이용하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포장대상물(G)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하측 완충시트(30)가 합판과 같이 강성이 큰 재료로 제작된다면, 상기 포장대상물(G)이 안착되었을 때 포장대상물(G)의 일부가 상기 하측 함몰부(22) 내부로 인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포장대상물(G)이 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완충시트(30)는,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포장대상물(G)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포장대상물(G)의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쳐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부직포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장대상물(G)의 저면이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에 닿을 만큼 많이 쳐지게 되면 상기 포장대상물(G)의 저면이 자중에 의해 짓무르게 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이 인가될 때에는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에 반복적으로 부딪히게 되어 더욱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완충시트(30)는,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포장대상물(G)이 안착되더라도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만 쳐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대상물(G)이 하측함몰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흔들림이나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포장대상물(G)로는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한 포장대상물(G)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하측 완충시트(30)를 통해 어느 정도의 진동은 상기 포장대상물(G)로 전달될 수 있으나, 포장대상물(G)이 하측 지지부재(20)에 접촉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포장대상물(G)로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미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인가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포장대상물(G)을 포호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포장대상물(G) 측면과 상면에 스티로폼이나 종이 등과 같은 별도의 완충재가 채워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제2 실시예 분해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제2 실시예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측 함몰부(42)가 형성되는 상측 지지부재(40)와,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상측 지지부재(40)에 결합되되 상기 상측 함몰부(42)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 완충시트(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 지지부재(40) 및 상측 완충시트(50)의 재질 및 특성은 상기 하측 지지부재(20) 및 하측 완충시트(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측 지지부재(40)와 상측 완충시트(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면, 포장대상물(G)이 상측으로 튀어 올라오는 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포장대상물(G)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완충시트(50)는 상기 하측 완충시트(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측 함몰부(42)와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포장대상물(G)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바닥면을 향해 밀려들어가되,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바닥면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만큼만 밀려들어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포장대상물(G)의 상부 및 하부 일부가 각각 상측 함몰부(42) 및 하 측 함몰부(22) 내로 인입되면, 상기 포장대상물(G)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제3 실시예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저면과 상기 박스본체(1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박스본체(10)의 바닥면과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저면 간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6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60)는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하측 함몰부(22)가 안착되는 완충 함몰부(62)가 형성되는바,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와 상기 완충부재(60)는 상호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60)는 상기 하측 함몰부(22)가 상기 완충 함몰부(62)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저면과 상기 완충 함몰부(62)의 바닥면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완충 함몰부(62)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면, 상기 박스본체(10)의 저면으로 인가되는 충격이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완충 함몰부(62)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완화된 후 상기 하측 지지부재(20)로 전달되므로, 포장대상물(G)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한층 더 완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완충 함몰부(62)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하측 함몰부(22)가 완충 함몰부(62)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하측 함몰부(22) 전체가 완전히 상기 완충 함몰부(62) 내로 삽입되지 아니하고 자연스럽게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완충 함몰부(62)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포장용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포장용 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제2 실시예 분해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제2 실시예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의 제3 실시예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박스본체 20 : 하측 지지부재
22 : 하측 함몰부 30 : 하측 완충시트
40 : 상측 지지부재 42 : 상측 함몰부
50 : 상측 완충시트 G : 포장대상물

Claims (6)

  1.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본체(10);
    하측 함몰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박스본체(10) 내에 안착되는 하측 지지부재(20); 및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하측 완충시트(30);
    를 포함하여,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의 상기 하측 완충시트(30) 상에 포장대상물(G)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완충시트(30)는,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포장대상물(G)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포장대상물(G)의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쳐지되,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바닥면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측 함몰부(42)가 형성되는 상측 지지부재(40)와,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상측 지지부재(40)에 결합되되, 상기 상측 함몰부(42)와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 완충시트(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완충시트(50)는,
    상기 상측 함몰부(42)와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포장대상물(G)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바닥면을 향해 밀려 들어가되, 상기 상측 함몰부(42)의 바닥면과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함몰부(22)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하측 함몰부(22)가 안착되는 완충 함몰부(62)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지지부재(20)의 저면과 상기 박스본 체(1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함몰부(22)가 상기 완충 함몰부(62)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하측 함몰부(22)의 저면과 상기 완충 함몰부(62)의 바닥면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KR1020080051254A 2008-05-30 2008-05-30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KR100973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54A KR100973838B1 (ko) 2008-05-30 2008-05-30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54A KR100973838B1 (ko) 2008-05-30 2008-05-30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31A true KR20090124831A (ko) 2009-12-03
KR100973838B1 KR100973838B1 (ko) 2010-08-04

Family

ID=4168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54A KR100973838B1 (ko) 2008-05-30 2008-05-30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8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7351A (zh) * 2016-05-18 2016-09-21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抗压减震功能的快递盒
KR20170002118U (ko) 2015-12-07 2017-06-16 삼화페인트 공업주식회사 포장용 완충부재
CN111776439A (zh) * 2020-06-16 2020-10-16 天津科技大学 一种适用于薄皮品种葡萄贮运的柔性缓释一体化保鲜包装盒
KR20210156150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07A (ko) * 1999-09-28 2001-04-06 장광현 탄성파 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탄성파 소자
KR100412948B1 (ko) * 2001-11-20 2003-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급수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341611Y1 (ko) * 2003-11-04 2004-02-14 민건호 포장상자의 패킹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18U (ko) 2015-12-07 2017-06-16 삼화페인트 공업주식회사 포장용 완충부재
CN105947351A (zh) * 2016-05-18 2016-09-21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抗压减震功能的快递盒
CN105947351B (zh) * 2016-05-18 2018-04-24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抗压减震功能的快递盒
CN111776439A (zh) * 2020-06-16 2020-10-16 天津科技大学 一种适用于薄皮品种葡萄贮运的柔性缓释一体化保鲜包装盒
KR20210156150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838B1 (ko)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63569A (ja) 梱包用緩衝材および梱包物
JP6027255B2 (ja) 基板収納容器を梱包するための梱包構造体
KR100973838B1 (ko)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JP2008105683A (ja) 梱包構造及び緩衝部材
JPWO2017109967A1 (ja) 物品梱包箱
KR102111947B1 (ko) 기판수납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구조
WO2008072531A1 (ja) 緩衝部材
JP5053753B2 (ja) 梱包用緩衝部材
KR100736468B1 (ko) 포장용 상자
JP2676066B2 (ja) 輸送用除振コンテナ
JP7263752B2 (ja) 梱包装置
JP4496525B2 (ja) ハニカム部材の梱包体
JP3174178U (ja) シェルパッケージ
KR102655656B1 (ko) 택배 배송 가능한 날계란 트레이 포장재
JP6322236B2 (ja) 箱詰め瓶体用天部側緩衝部材及び瓶体収納箱
JP7381496B2 (ja) 異なったサイズの物品のための緩衝梱包体
JP2012025462A (ja) 底部緩衝箱
KR200164106Y1 (ko) 난좌포장박스
JP3807384B2 (ja) 梱包物
JP6751316B2 (ja) 緩衝材及び包装容器構造体
JP2005022701A (ja) 半導体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包装用梱包箱
KR101643596B1 (ko)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KR20230002375U (ko) 안전하게 제품을 보호하는 구조를 갖는 포장상자
JP2019051984A (ja) 梱包体
JP2006056549A (ja) 防振部材及びその防振部材を用いた運搬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