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96B1 -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 Google Patents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96B1
KR101643596B1 KR1020150026919A KR20150026919A KR101643596B1 KR 101643596 B1 KR101643596 B1 KR 101643596B1 KR 1020150026919 A KR1020150026919 A KR 1020150026919A KR 20150026919 A KR20150026919 A KR 20150026919A KR 101643596 B1 KR101643596 B1 KR 10164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tension
supporting
box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수
Original Assignee
제이윌컴퍼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윌컴퍼니(주) filed Critical 제이윌컴퍼니(주)
Priority to KR102015002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3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of other type, e.g.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U-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을 담는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자의 아래에는 소정 높이를 이루는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텐션으로 물건을 지지하여 요동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물건을 포함하고 측벽면을 구비한 상자에 있어서, 내부에 담겨진 물건의 상부에 지지력을 가하는 텐션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지지부의 지지력에 의하여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며, 상기 텐션지지부는 상자의 측벽면 상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절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BOX WITH CUSHIONER AND TENSIONER}
본 발명은 물건을 담는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자의 아래에는 소정 높이를 이루는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텐션으로 물건을 지지하여 요동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담는 상자는 물건을 담아 보관하거나 이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 물건을 상자에 담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자를 들거나 내리거나 이동하는 중에 상자를 움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요동의 외력이 상자에 작용한다.
이러한 요동의 외력이 작용하면 물건이 상자 내부에서 이리저리 왔다갔다 이동할 수 있어 물건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자와 물건 사이의 내부 공간에 신문지나 종이를 구겨 채움으로써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였다.
근래에는 대부분 발포체나 공기를 포함한 완충부재를 물건 주위에 채워넣거나 물건을 감싸도록 포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포장 과정은 상자를 조립하는 과정, 물건을 담는 과정에 더하여, 별도의 완충 부재들을 채워 감싸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특히 별도의 신문, 종이, 완충부재들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포장비용이 증가한다. 그리고 포장을 하는 시간도 상당시간 소모되어, 배송이 지연될 우려도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0270호(2010년 12월 13일 공개)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42516호(2008년 11월 14일 공고)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1999-0017491호(1999년 05월 25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의 전개지 형태의 판지로부터 절첩과정으로 상자를 조립하며, 연속적으로 연결된 부재로써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는 텐션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조립이 손쉬우면서도 별도의 부재가 아닌 상자 자체로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전개지 형태의 판지로부터 절첩과정으로 형성된 하부의 완충지지부에 의해 물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지지부의 구성이 소정 높이를 이루는 완충공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완충부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텐션지지부의 각 부재들을 절첩하는 힘에 대한 반발력을 이용한 텐션력으로 물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건을 포함하고 측벽면을 구비한 상자에 있어서, 내부에 담겨진 물건의 상부에 지지력을 가하는 텐션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지지부의 지지력에 의하여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며, 상기 텐션지지부는 상자의 측벽면 상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절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지지부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물건 일측을 지지하는 텐션1지지부; 및 측벽면 타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물건 타측을 지지하는 텐션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1지지부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중앙으로 연장된 중앙1연장부; 상기 중앙1연장부에 연결되어 굽혀져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물건 일측을 가압하는 지지력을 갖는 텐션1지지편; 및 상기 중앙1연장부와 텐션1지지편 사이에 연결되어 텐션1지지편이 펼쳐지려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1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1지지편에서 상향 연장되는 끝단1슬라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끝단1슬라이드편은 아래측이 텐션1지지편에 연결되고 상측이 측벽면 내벽에 접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텐션2지지부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중앙으로 연장된 중앙2연장부; 상기 중앙2연장부에 연결되어 굽혀져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물건 일측을 가압하는 지지력을 갖는 텐션2지지편; 및 상기 중앙2연장부와 텐션2지지편 사이에 연결되어 텐션2지지편이 펼쳐지려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2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텐션2지지편에서 상향 연장되는 끝단2슬라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끝단2슬라이드편은 아래측이 텐션2지지편에 연결되고 상측이 측벽면 내벽에 접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에 물건을 포함하고 측벽면을 구비한 상자에 있어서, 내부에 담기는 물건의 저부에 위치되어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완충지지부에 의하여 물건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자의 측벽면 아래에 연결된 전개지 상태에서 절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는, 측벽면 하부에서 연장된 완충저부; 상기 완충저부의 상부로 소정 간격이 이격된 물건지지면부; 및 상기 완충저부와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한 완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기 완충저부가 양측 측벽면 하부에서 내향으로 연장되게 양측으로 각각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건지지면부가 각각의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물건1지지면부 및 물건2지지면부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완충지지형; 상기 완충저부가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물건지지면부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전면완충지지형; 및 상기 완충저부가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물건지지면부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완충저부 및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완충공간 내에 물건지지면부와 연결된 겹침지지부를 포함하는 전면겹침완충지지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완충지지형 완충지지부는, 양측 측벽면 하부에서 내향으로 굽혀져 연장되어 양측으로 각각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 각각의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물건1지지면부 및 물건2지지면부; 상기 완충1저부와 물건1지지면부, 그리고 완충2저부와 물건2지지면부 일측을 연결하는 저부연결부; 상기 물건1지지면부 및 물건2지지면부 각각 끝단에 하향으로 굽혀져 연결되는 공간연결부; 및 상기 저부연결부 및 공간연결부의 높이에 의하여 각각 상하로 물건1지지면부와 완충1저부, 그리고 물건2지지면부와 완충2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완충공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완충지지형 완충지지부는,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는 완충저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부의 물건을 지지하는 물건지지면부; 완충저부 타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결되고 물건지지면부 일측이 연결되는 저부연결부; 상기 물건지지면부 타측에서 하향으로 굽혀져 연결되는 공간연결부; 반대측 측벽면 하부에서 연장되는 완충하부; 상기 저부연결부 및 공간연결부에 대해 상하로 연결되는 물건지지면부 및 완충저부 사이의 형성된 공간인 완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겹침완충지지형 완충지지부는,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는 완충저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부의 물건을 지지하는 물건지지면부; 물건지지면부 및 완충저부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저부연결부와 공간연결부; 완충저부 및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완충공간; 및 완충저부 및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완충공간 내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물건지지면부와 연결된 겹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단일의 전개지 형태의 판지로부터 절첩과정으로 상자를 조립하며, 연속적으로 연결된 부재로써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는 텐션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조립이 손쉬우면서도 별도의 부재가 아닌 상자 자체로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단일의 전개지 형태의 판지로부터 절첩과정으로 형성된 하부의 완충지지부에 의해 물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완충지지부의 구성이 소정 높이를 이루는 완충공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완충부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텐션지지부의 각 부재들을 절첩하는 힘에 대한 반발력을 이용한 텐션력으로 물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있어서 양측 상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있어서 양측 상부 커버 및 일측 텐션지지부 등 개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 내부에 물건이 담긴 상태에서 일측 텐션지지부가 닫혀진 상태에 대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 내부에 물건이 담긴 상태에서 타측 텐션지지부를 접는 상태에 대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 내부에 물건이 담긴 상태에서 일측 텐션지지부의 텐션지지편을 안쪽으로 접는 상태에 대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 내부에 물건이 담긴 상태에서 양측 텐션지지부에 의해 물건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태에 대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완충지지형의 상자 아래의 완충지지부 상부로 놓인 물건의 상부 양측이 텐션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완충지지형의 상자 아래의 완충지지부 상부로 놓인 물건의 상부 양측이 텐션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텐션지지부 끝단에 연결된 슬라이드편이 측벽면에 지지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완충지지형의 상자 아래의 완충지지부 상부로 놓인 물건의 상부 양측이 텐션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완충지지형의 상자에서 아래 하부커버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완충지지형의 상자에서 아래 하부커버 및 완충지지부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겹침완충지지형의 상자 아래의 완충지지부 상부로 놓인 물건의 상부 양측이 텐션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겹침완충지지형의 상자에서 아래 하부커버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겹침완충지지형의 상자에서 아래 하부커버 및 완충지지부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된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양측 하부커버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 아래의 공간연결부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의 물건지지부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의 저부연결부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져 물건지지부가 상향으로 향하게 된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의 완충저부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져 상자의 아래 부분을 가린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가 접힌 후 양측 하부커버가 접혀 완충지지부를 가린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를 접기 전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의 상부 끝단편을 내향으로 직각으로 접은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의 텐션지지편을 내향으로 직각으로 접은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의 텐션연결편을 내향으로 접어 텐션지지편이 하향으로 향한 경사의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의 중앙연장부를 내향으로 직각으로 접어 상자의 상부를 가린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 및 하부의 완충지지부를 접은 상태에서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접어 상자 형태를 이룬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완충텐션지지의 상자)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8 등에서와 같이, 내부에 담긴 물건(11)을 상부 및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완충구성을 마련하여 물건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도 요동을 방지하여 물건의 손상이 없도록 마련된 것이다. 즉 상자는 어쩔 수 없이 이송 중에 요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외부 힘에 의해 요동이 있어도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의하여 담겨진 물건의 손상이 없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는, 내부에 물건(11)을 포함하고 측벽면을 구비한 상자로써 그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내부에 담겨진 물건(11)의 상부에 지지력을 가하는 텐션지지부(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텐션지지부(20)의 지지력에 의하여 물건(11)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텐션지지부(20)는 상자의 측벽면 상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절첩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텐션지지부(20)는, 측벽면으로부터 연결되면서 소정 각도로 굽혀져 물건의 상부를 가리면서 물건 상부일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는 대체로 종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단일의 전개지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개별 측벽면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20) 및 하부의 완충지지부(40) 등은 각각의 측벽면에 연결되면서 굽혀지게 마련된 것이다.
이에 텐션지지부(20)와 완충지지부(40) 등의 개별 구성들은 각각 굽힐 때의 작용하는 힘에 반발하여 펴지려는 힘이 항상 반발력으로써 갖게 된다. 즉 사용자가 굽히는 과정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텐션지지부(20) 및 완충지지부(40)의 개별 구성들이 굽혀지게 되지만, 소정 두께를 갖는 종이재, 합성수지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굽히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펴질려는 반발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반발력을 갖는 상측의 텐션지지부(20)에 의해 물건의 상부가 지지되어 요동됨을 방지하고, 아래측의 완충지지부(40)에는 완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물건에 충격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물건은 손상없이 잘 보관하거나 이송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상측의 텐션지지부(20)는 일측 측벽면에 연결되는 단일 연장 구성으로 마련되어 물건(11) 상부를 가리면서 각 부재의 굽혀짐에 대한 반발력에 의한 텐션지지력으로 물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일 연장 구성의 경우 물건과 접하는 부분은 둥근 호형상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텐션지지부(2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양측 측벽면으로부터 연결되는 두 개의 텐션지지부들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물건(11) 일측을 지지하는 텐션1지지부(21); 및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물건(11) 타측을 지지하는 텐션2지지부(23)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건(11)의 양쪽 상측이 각각 텐션1지지부(21)와 텐션2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되어 양측으로의 요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각 텐션 구성들에 대한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텐션1지지부(21)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중앙으로 연장된 중앙1연장부(211), 그리고 상기 중앙1연장부(211)에 연결되어 굽혀져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물건(11) 일측을 가압하는 지지력을 갖는 텐션1지지편(212)을 구비한다.
이에 이러한 텐션1지지편(212)이 물건의 상부와 접하여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1연장부(211)와 텐션1지지편(212) 사이에 연결되어 텐션1지지편(212)이 펼쳐지려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1연결편(213)을 포함한다.
나아가 텐션1지지편(212)의 끝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끝단편이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끝단편으로, 상기 텐션1지지편(212)에서 상향 연장되는 끝단1슬라이드편(214)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끝단1슬라이드편(214)은 아래측이 텐션1지지편(212)에 연결되고 상측이 측벽면 내벽에 접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텐션1지지편(212)이 물건과 접하여 반발력에 의한 지지력을 갖으면서 끝단1슬라이드편(214)에 의해 측벽면에 지지되어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텐션2지지부(23)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중앙으로 연장된 중앙2연장부(231), 그리고 상기 중앙2연장부(231)에 연결되어 굽혀져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물건(11) 일측을 가압하는 지지력을 갖는 텐션2지지편(232)을 마련한다.
이에 이러한 텐션2지지편(232)이 물건의 상부와 접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중앙2연장부(231)와 텐션2지지편(232) 사이에 연결되어 텐션2지지편(232)이 펼쳐지려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2연결편(233)을 포함한다.
나아가 텐션1지지편(212)의 끝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끝단편이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끝단편으로, 상기 텐션2지지편(232)에서 상향 연장되는 끝단2슬라이드편(234)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끝단2슬라이드편(234)은 아래측이 텐션2지지편(232)에 연결되고 상측이 측벽면 내벽에 접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텐션2지지편(232)이 물건과 접하여 반발력에 의한 지지력을 갖으면서 끝단2슬라이드편(234)에 의해 측벽면에 지지되어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물건(11)을 포함하고 측벽면을 구비한 상자에 있어서, 내부에 담기는 물건(11)의 저부에 위치되어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완충지지부(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완충지지부(40)에 의하여 물건(11)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여 물건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완충지지부(40)에 대한 세부 구성을 보면, 측벽면 하부에서 연장된 완충저부(41), 상기 완충저부(41)의 상부로 소정 간격이 이격된 물건지지면부(42)를 포함한다.
특히 이들 상기 완충저부(41)와 물건지지면부(4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한 완충공간(43)을 형성함으로써, 물건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부(40)는 상자의 측벽면 아래에 연결된 전개지 상태에서 절첩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완충지지부(40)는 다양한 실시양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양측 측벽면에서 내향으로 연결되어 물건의 아래를 지지하는 중앙분리완충지지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분리완충지지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도 7, 도 8 등에서처럼, 상기 완충저부가 양측 측벽면 하부에서 내향으로 굽혀져 연장되어 양측으로 각각 완충1저부(411) 및 완충2저부(4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건지지면부는 각각의 완충1저부(411) 및 완충2저부(412)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물건1지지면부(421) 및 물건2지지면부(42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완충1저부(411)와 물건1지지면부(421), 그리고 완충2저부(412)와 물건2지지면부(422) 등은 저부연결부(44)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이러한 저부연결부(44)가 물건 및 상자의 중간아래에 마련되어 이들에 의해 양측 완충지지부 구성들이 분리되면서 물건을 중앙에서 완충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물건1지지면부(421) 및 물건2지지면부(422) 등의 끝단에는 공간연결부(45)가 하향으로 굽혀져 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저부연결부(44) 및 공간연결부(45) 등의 높이에 의하여 각각 상하로 물건1지지면부(421)와 완충1저부(411), 그리고 물건2지지면부(422)와 완충2저부(412) 등의 사이에 공간인 완충공간(43)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물건에 대한 충격의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일측 측벽면에 연결되면서 물건 및 상자 아래 전면을 전체적으로 가리면서 완충하는 전면완충지지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완충지지형의 완충지지부(40)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완충저부(41)가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건지지면부(42)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부의 물건(11)을 지지한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내향으로 완충저부(41)가 굽혀져 연결되고, 완충저부(41) 타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저부연결부(44)가 연결되는 것이며, 이러한 저부연결부(44) 상측에 물건지지면부(42) 일측이 연결되어 수평을 이루며, 물건지지면부(42) 타측에서 하향으로 굽혀져 연결되는 공간연결부(45)가 마련된다. 그리고 완충지지부(40)의 완충저부(41) 아래로는, 반대측 측벽면 하부에서 연장되는 완충하부(47)가 마련된다.
이로써 저부연결부(44) 및 공간연결부(45)에 대해 상하로 연결되는 물건지지면부(42) 및 완충저부(41) 사이의 완충공간(43)이 형성됨으로써 물건에 작용하는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완충지지형에서처럼 상자의 전면에 걸쳐 완충지지부가 마련되면서, 내부 완충공간에 보강부재를 더 부가한 전면겹침완충지지형으로 완충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겹침완충지지형의 완충지지부(40)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완충저부(41)가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건지지면부(42)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부의 물건(11)을 지지한다.
아울러 완충저부(41) 및 물건지지면부(42) 사이의 완충공간(43) 내에 물건지지면부(42)와 연결된 겹침지지부(46)를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중간 부분에서의 물건(11)에 대한 하중이 작용하여도 지지하는 것이며, 전체적으로 완충 및 지지의 보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물건지지면부(42) 및 완충저부(41) 양측의 저부연결부(44)와 공간연결부(45)에 더하여, 중앙에서의 겹침지지부(46)에 의해 물건의 하중을 견디면서 완충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는 종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마련되고, 특히 소정 두께를 갖는 판지 형태로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상자는 도 15 등에서처럼 하나의 전개지로부터 차례로 접혀 상자를 마련함으로써, 단일 전개지로부터 제조되어 다수 구성들이 서로 연결되어 제조가 용이하면서 제조시간이 절약되는 것이다.
특히 텐션지지부(20) 및 완충지지부(40) 등의 각 구성들이 소정 각도로 굽혀지면서 굽혀지는 힘의 반발력에 의해 펴지려는 힘으로 물건을 지지하는 힘을 갖게 되어,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15에서와 같이 마련된 전개지 상태에서 접혀지는 과정을 도 16 내지 도 28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절첩과정의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중앙분리완충지지형을 기본으로 하여 예를 들고 있으며, 기타 전면완충지지형, 전면겹침완충지지형을 비롯한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절첩의 과정이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절첩의 과정을 보인 도 16 내지 도 22 등은 상자의 저부에 마련된 완충지지부(40)에 대한 절첩의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23 내지 도 28 등은 상자의 상부에 마련된 텐션지지부(20)에 대한 절첩의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에 각 과정들을 살펴보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된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이처럼 측벽면들이 접합된 상태에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양측 하부커버(13)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40) 아래의 공간연결부(45)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러한 공간연결부(45)는 추후 다 접힌 상태에서 저부연결부(44) 등에 의해 완충공간(43)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40)의 물건지지부(42)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따라서 물건지지부(42)가 수평을 이룬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40)의 저부연결부(44)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져 물건지지부(42)가 상향으로 향하게 된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때 저부연결부(44) 및 공간연결부(45) 등에 의해 완충저부(41)와 물건지지면부(4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완충공간(43)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40)의 완충저부(41)가 내향으로 지각으로 굽혀져 상자의 아래 부분을 가린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로써 상자 내부의 아래에는 물건지지면부(42)가 상향으로 위치되는 것이고, 완충저부(41)는 아래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한 전개지 상태에서 네 개의 측벽면이 둘러지도록 접합되고 완충지지부(40)가 접힌 후 양측 하부커버(13)가 접혀 완충지지부(40)를 가린 상태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에 더하여 하부커버(13) 및 완충지지부(40)가 분리되지 않도록 접합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이처럼 완충지지부(40) 및 하부커버(13)에 대한 절첩과정에 의해, 상자 아래 부분이 가려지게 되어,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자 상측의 텐션지지부(20)에 대한 절첩과정을 보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를 접기 전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20)의 상부 끝단편을 내향으로 직각으로 접은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이러한 끝단편에 대한 다른 실시로는 끝단편을 좀더 긴 길이로 형성하여 측벽면 내벽에 접하게 하는 끝단슬라이드편(214)(234)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20)의 텐션지지편(212)(232)을 내향으로 직각으로 접은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이에 텐션지지편(212)(232)은 수평면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20)의 텐션연결편(213)(233)을 내향으로 접어 텐션지지편(212)(232)이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이에 텐션지지편(212)(232)과 텐션연결편(213)(233) 등이 굽혀지는 각도는 직각이 아닌 소정 각도로 굽혀지게 실시되는 것이며, 그리하여 내부에 담겨지는 물건(11)의 상부를 지지하는 각도를 갖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20)의 중앙연장부(211)(231)를 내향으로 직각으로 접어 상자의 상부를 가린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따라서 상자의 상부에 평평한 중앙연장부(211)(231)가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텐션지지편(212)(232), 텐션연결편(213)(233), 및 중앙연장부(211)(231) 등의 절첩에 앞서, 상자 내부에 물건을 담은 상태에서, 텐션지지편(212)(232), 텐션연결편(213)(233) 등을 소정 각도로 굽히고, 중앙연장부(211)(231)를 수평이 되도록 접게 되며, 이러한 과정 중에 중앙연장부(211)(231) 안쪽으로 굽혀진 텐션지지편(212)(232)이 물건의 상측에 접하면서 지지하여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에 대해 상측의 텐션지지부(20) 및 하부의 완충지지부(40)를 접은 상태에서 상부커버(12) 및 하부커버(13)를 접어 상자 형태를 이룬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의 조립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완충텐션지지의 상자는 단일의 전개지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각 부재들을 접하는 단순한 과정만으로도 손쉽게 접어 제작하는 것이며, 특히 이로써 서로의 연결 및 굽힘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물건을 지지하여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물건의 저부에 위치되는 완충지지부(40)는 소정 높이의 완충공간(43)을 형성함으로써 물건(11)에 대한 완충작용으로 물건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1 : 물건 12 : 상부커버
13 : 하부커버 20 : 텐션지지부
21 : 제1텐션지지부 22 : 제2텐션지지부
40 : 완충지지부 41 : 완충저부
42 : 물건지지면부 43 : 완충공간

Claims (5)

  1. 내부에 담겨진 물건의 상부에 지지력을 가하는 텐션지지부; 및 내부에 담기는 물건의 저부에 위치되어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여 내부에 물건을 포함하고 측벽면을 구비한 상자에 있어서,
    상기 텐션지지부의 지지력에 의하여 물건의 요동을 방지하고, 상기 텐션지지부는 상자의 측벽면 상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절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완충지지부에 의하여 물건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자의 측벽면 아래에 연결된 전개지 상태에서 절첩으로 구비되며,
    상기 텐션지지부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물건 일측을 지지하는 텐션1지지부; 및
    측벽면 타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물건 타측을 지지하는 텐션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1지지부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중앙으로 연장된 중앙1연장부;
    상기 중앙1연장부에 연결되어 굽혀져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물건 일측을 가압하는 지지력을 갖는 텐션1지지편; 및
    상기 중앙1연장부와 텐션1지지편 사이에 연결되어 텐션1지지편이 펼쳐지려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1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2지지부는,
    측벽면 일측 상부에서 연결되어 중앙으로 연장된 중앙2연장부;
    상기 중앙2연장부에 연결되어 굽혀져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물건 일측을 가압하는 지지력을 갖는 텐션2지지편; 및
    상기 중앙2연장부와 텐션2지지편 사이에 연결되어 텐션2지지편이 펼쳐지려는 힘을 작용하는 텐션2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지지부는,
    측벽면 하부에서 연장된 완충저부;
    상기 완충저부의 상부로 소정 간격이 이격된 물건지지면부; 및
    상기 완충저부와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한 완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1지지편은, 상기 중앙1연장부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형성하고 텐션1지지편의 면이 물건에 접하고,
    상기 텐션2지지편은, 상기 중앙2연장부에 대해 소정 기울기를 형성하고 텐션2지지편의 면이 물건에 접하며,
    상기 텐션1지지편에서 상향 연장되는 끝단1슬라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끝단1슬라이드편은 아래측이 텐션1지지편에 연결되고 상측이 측벽면 내벽에 접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텐션2지지편에서 상향 연장되는 끝단2슬라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끝단2슬라이드편은 아래측이 텐션2지지편에 연결되고 상측이 측벽면 내벽에 접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는,
    상기 완충저부가 양측 측벽면 하부에서 내향으로 연장되게 양측으로 각각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건지지면부가 각각의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물건1지지면부 및 물건2지지면부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완충지지형;
    상기 완충저부가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물건지지면부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전면완충지지형; 및
    상기 완충저부가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물건지지면부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완충저부 및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완충공간 내에 물건지지면부와 연결된 겹침지지부를 포함하는 전면겹침완충지지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완충지지형 완충지지부는,
    양측 측벽면 하부에서 내향으로 굽혀져 연장되어 양측으로 각각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
    각각의 완충1저부 및 완충2저부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물건1지지면부 및 물건2지지면부;
    상기 완충1저부와 물건1지지면부, 그리고 완충2저부와 물건2지지면부 일측을 연결하는 저부연결부;
    상기 물건1지지면부 및 물건2지지면부 각각 끝단에 하향으로 굽혀져 연결되는 공간연결부; 및
    상기 저부연결부 및 공간연결부의 높이에 의하여 각각 상하로 물건1지지면부와 완충1저부, 그리고 물건2지지면부와 완충2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완충공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완충지지형 완충지지부는,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는 완충저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부의 물건을 지지하는 물건지지면부;
    완충저부 타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결되고 물건지지면부 일측이 연결되는 저부연결부;
    상기 물건지지면부 타측에서 하향으로 굽혀져 연결되는 공간연결부;
    반대측 측벽면 하부에서 연장되는 완충하부;
    상기 저부연결부 및 공간연결부에 대해 상하로 연결되는 물건지지면부 및 완충저부 사이의 형성된 공간인 완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겹침완충지지형 완충지지부는,
    일측 측벽면 하부에서 타측 측벽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의 하부를 커버하는 완충저부;
    상자 내부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부의 물건을 지지하는 물건지지면부;
    물건지지면부 및 완충저부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저부연결부와 공간연결부;
    완충저부 및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완충공간; 및
    완충저부 및 물건지지면부 사이의 완충공간 내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물건지지면부와 연결된 겹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KR1020150026919A 2015-02-26 2015-02-26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KR10164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919A KR101643596B1 (ko) 2015-02-26 2015-02-26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919A KR101643596B1 (ko) 2015-02-26 2015-02-26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96B1 true KR101643596B1 (ko) 2016-07-28

Family

ID=5668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919A KR101643596B1 (ko) 2015-02-26 2015-02-26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1164U (ko) * 1977-05-19 1978-12-16
JPS59191377U (ja) * 1983-06-07 1984-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管球包装容器
JP2540678Y2 (ja) * 1993-06-22 1997-07-09 小倉美術印刷株式会社 瓶類の包装用箱
KR19990017491A (ko) 1997-08-23 1999-03-15 윤종용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442516Y1 (ko) 2007-02-09 2008-11-14 정명숙 치킨 포장용 상자
KR20100130270A (ko) 2009-06-03 2010-12-13 김병갑 식품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1164U (ko) * 1977-05-19 1978-12-16
JPS59191377U (ja) * 1983-06-07 1984-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管球包装容器
JP2540678Y2 (ja) * 1993-06-22 1997-07-09 小倉美術印刷株式会社 瓶類の包装用箱
KR19990017491A (ko) 1997-08-23 1999-03-15 윤종용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442516Y1 (ko) 2007-02-09 2008-11-14 정명숙 치킨 포장용 상자
KR20100130270A (ko) 2009-06-03 2010-12-13 김병갑 식품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8316A1 (en) Suspension packaging assembly
KR200452414Y1 (ko) 포장계란 캐리어
JP2015160660A (ja) 緩衝機能を有する包装箱
KR101643596B1 (ko) 완충지지부 및 텐션지지부를 구비한 상자
US20110011312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KR100973838B1 (ko) 완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KR20100003634U (ko) 쿠키 포장상자
KR20140005679U (ko) 과일 보관용 상자
JP6712195B2 (ja) コンテナの中仕切り
KR200413360Y1 (ko) 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
CN106742729A (zh) 禽蛋包装盒
KR200479788Y1 (ko) 내부 완충 포장상자
KR100736468B1 (ko) 포장용 상자
CN208560392U (zh) 一种运输及展示货箱
KR101668604B1 (ko) 부케용 상자
JPH03187868A (ja) 包装装置
KR102259524B1 (ko) 멀티 핸드 카
JP2010006428A (ja) 梱包装置
JP6599488B2 (ja) 果物輸送用容器
JP2015212153A (ja) 容器用緩衝材及びそれを用いた梱包方法
KR200480468Y1 (ko) 포장용기
KR102074166B1 (ko) 금속 케이스 파렛트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KR101363582B1 (ko) 하부 가변형 상자
KR101220425B1 (ko) 휴대폰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