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604B1 - 부케용 상자 - Google Patents

부케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604B1
KR101668604B1 KR1020140181257A KR20140181257A KR101668604B1 KR 101668604 B1 KR101668604 B1 KR 101668604B1 KR 1020140181257 A KR1020140181257 A KR 1020140181257A KR 20140181257 A KR20140181257 A KR 20140181257A KR 101668604 B1 KR101668604 B1 KR 10166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quet
surface portion
box
f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011A (ko
Inventor
임훈
Original Assignee
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훈 filed Critical 임훈
Priority to KR102014018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6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다발을 보관하기 위한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본체 내부에 별도로 이루어진 지지용상자에 부케를 고정시킴으로써 상자 내부에서 부케가 요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케를 넣고 꺼내는 것도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한 부케용 상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부케를 담는 상자에 있어서, 부케의 꽃과 자루 사이를 지지하는 부케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케지지부는 함체 형상으로 되어 상부에 부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케용 상자{BOUQUET BOX}
본 발명은 꽃다발을 보관하기 위한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본체 내부에 별도로 이루어진 지지용상자에 부케를 고정시킴으로써 상자 내부에서 부케가 요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케를 넣고 꺼내는 것도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한 부케용 상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다발은 조화로도 만들지만 대부분 생화로 꽃다발을 만들고, 특히 생화 꽃다발로써 결혼식장에 신부가 사용하는 것을 부케(bouquet)라고 하며, 부케는 신부에게 있어서는 중요한 의미를 갖곤 한다.
또한 부케 등의 꽃다발은 결혼식장을 비롯하여 각종 식장에서도 이용되고 또한 장식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꽃다발 및 부케 등은 주로 화원에서 만들어지지만 그 사용은 결혼식장이나 각종 식장, 전시장소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원에서 결혼식장 등으로 이송이 필요하며, 이송 중에 꽃다발이 손상되거나 꽃이 훼손당하지 않아야 함은 중요한 사항인 것이다.
그만큼 신부나 당사자에게는 꽃다발이 손상되었는지는 중요한 사항인 것이다.
따라서 꽃다발, 부케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화원에서 결혼식장 등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에 대부분 종래기술들에서는 단순한 형태의 상자 또는 선물용 커다란 봉투에 부케나 꽃다발을 넣고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하는 중에 다른 사람에 의해 꽃잎이나 장식이 떨어지거나 차량을 탑승하거나 출입문을 이동할 때 꽃잎이 손상되는 등, 꽃다발, 부케의 안정적 이송에 문제점이 발생되곤 한다.
일부 상자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있으나, 부케나 꽃다발의 형태 그대로 이송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여, 부케나 꽃다발이 손상되지 않기 위한 구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번호 제10-1997-0069836호(1997년 11월 07일 공개)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98118호(2005년 10월 12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케를 담는 상자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부케지지부를 구성함에, 부케지지부를 함체 형상을 이루게 하여 소정 높이로써 부케의 자루를 지지하여 부케를 흐트러지지 않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부케를 보관 및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케용 상자 내부에 결합되는 부케지지부를 함체 형상을 이루게 하면서, 상부에 다수의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부케가이드 및 삽입공을 형성함으로써, 삽입공에 삽입된 부케 자루를 다수의 지지편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부케가 쓰러지지 않고 꽃잎이나 꽃다발이 손상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담겨진 부케를 상자에 의해 외부의 물체나 사람들의 접촉을 방지하여 꽃잎이나 꽃다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자 내부에 부케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물건이나, 장갑, 코사지(corsage, 가슴에 다는 꽃), 리본 등을 함께 보관할 수 있고, 더욱이 부케 자루 아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케를 담는 상자에 있어서, 부케의 꽃과 자루 사이를 지지하는 부케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케지지부는 함체 형상으로 되어 상부에 부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케지지부는, 상자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높이에서 부케를 지지하고, 부케가 삽입되는 꽃삽입공; 및 상기 꽃삽입공 내부에 둘러 내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꽃지지편을 포함한 부케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꽃삽입공으로 부케 자루를 삽입할 경우 다수 개의 꽃지지편의 내향 끝단이 부케 자루와 함께 하향으로 기울면서 부케 자루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케가이드부는, 상기 꽃삽입공 및 꽃지지편이 이분할되어 부케1분할지지부 및 부케2분할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케2분할지지부가 위치된 상부면 일측에는 연장형성되어 부케1분할지지부가 위치된 상부면 끝단과 겹치는 겹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케지지부는, 상자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높이를 이루도록 전후 및 좌우로 위치되는 전방외면부, 후방외면부, 좌측외부면부, 및 우측외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외면부, 좌측외부면부, 및 우측외면부의 상부에는 각각 내향으로 소정 폭을 이루는 전방상부턱, 좌측상부턱, 및 우측상부턱이 이어지며, 상기 전방외면부, 좌측외부면부, 및 우측외면부의 내향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고 전방상부턱, 좌측상부턱, 및 우측상부턱과 각각 이어지는 전방내면부, 좌측내면부, 및 우측내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케지지부 아래에는 소정 물건을 담는 내부담체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담체부는, 부케 자루를 지지하는 꽃받침부; 및 코사지를 담는 코사지담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부케를 담는 상자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부케지지부를 구성함에, 부케지지부를 함체 형상을 이루게 하여 소정 높이로써 부케의 자루를 지지하여 부케를 흐트러지지 않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부케를 보관 및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부케용 상자 내부에 결합되는 부케지지부를 함체 형상을 이루게 하면서, 상부에 다수의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부케가이드 및 삽입공을 형성함으로써, 삽입공에 삽입된 부케 자루를 다수의 지지편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부케가 쓰러지지 않고 꽃잎이나 꽃다발이 손상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내부에 담겨진 부케를 상자에 의해 외부의 물체나 사람들의 접촉을 방지하여 꽃잎이나 꽃다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자 내부에 부케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물건이나, 장갑, 코사지(corsage, 가슴에 다는 꽃), 리본 등을 함께 보관할 수 있고, 더욱이 부케 자루 아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 내에 부케가 담겨진 상태에 대해 일부 절개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 내에 부케가 담겨진 상태에 대해 일부 절개된 상태에서 상부에 본체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상부로 부케와 본체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상부로 부케거치함부, 부케 및 본체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 내에 부케가 결합되고 그 아래 공간에 장갑과 코사지(corsage, 가슴에 다는 꽃), 리본이 위치된 상태의 일부절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 내에 대한 일부절개사시도로, 상자 내부의 부케거치함부에서 부케가 담길 경우 다수의 꽃지지편 내측이 아래로 경사지게 휘어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 내에 부케가 결합되고 그 아래의 내부담체부에 장갑과 코사지(corsage, 가슴에 다는 꽃)가 위치된 상태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 내에서 물건을 별도로 담는 내부담체부가 상자 상측으로 위치된 상태의 부케거치함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의 상측 부케지지부가 2분할되어 각각 부케1분할지지부와 부케2분할지지부로 나누어져 실시되는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의 상측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의 하측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전방외면부에 대해 우측외면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전방외면부에 대해 우측외면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하측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좌측외면부에 대해 전방외면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좌측외면부에 대해 전방외면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하측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후방외면부에 대해 접착을 위한 접착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후방외면부에 대해 접착을 위한 접착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하측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후방외면부에 대해 좌측외면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후방외면부에 대해 좌측외면부가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하측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좌측외면부에 대해 상측의 좌측상부턱이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좌측상부턱에 대해 좌측내면부가 하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우측외면부에 대해 상측의 우측상부턱이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우측상부턱에 대해 우측내면부가 하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전방외면부에 대해 상측의 전방상부턱이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전방상부턱에 대해 전방내면부가 하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의 부케거치함부를 판지로 실시될 경우 절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전개지에서 후방외면부에 대해 상측의 부케지지면부가 전방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는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7 등에서와 같이, 내부에 부케를 안전하게 담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부케의 꽃과 자루 사이를 지지하는 부케지지부를 포함하여, 상자 내부에 담겨진 부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꽃이 상하지 않게 보관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자에 담겨진 부케는 다수 꽃을 이용하여 부케의 꽃다발로 만드는 것은 화원에서 이루어지고, 부케를 사용하는 것은 결혼식장이나 교회, 화려한 장식이나 회견, 잔치 장소 등이어서 이러한 장소로 이동할 경우 안정하게 부케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렇듯 부케는 하나하나의 꽃을 모아 꽃다발로 만드는 것이고 대부분 생화이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로 안전하게 부케를 보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자에 의해 이물질이나 외부의 충격이 가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도, 상자 내에서도 요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케의 꽃들이 생생하게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부케용 상자는, 상자 전체의 외체를 이루며 외부에서 이물질이나 충격을 방지하는 상자본체(20)가 있고, 상자본체(20) 상부로 부케를 담고 꺼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것이다. 그리고 상자본체(20)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덮기 위한 본체덮개(21)가 마련된다.
기타 상자본체(20) 상부 양측면으로는 부케용 상자를 손쉽게 들고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됨)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케용 상자의 손잡이(미도시됨)는 장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리본형 손잡이, 장식끈의 손잡이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케용 상자 내부에 담기는 부케지지부는 부케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예시에서처럼 대체로 함체 형태를 이루면서 상부 중앙에 부케를 꽂을 수 있는 부케의 꽃삽입공이 형성된 부케지지부로써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부케지지부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부케지지부는, 상자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높이에서 부케를 지지하는 부케가이드부(36)를 형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케지지부의 부케가이드부(36)는, 작은 상자 형태로써, 상부에는 부케가 삽입되는 꽃삽입공(361)이 형성되어, 부케의 꽃자루가 삽입됨으로써, 상부의 꽃은 안정하게 손상되지 않게 하면서, 꽃자루 부분은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부케가이드부(36)는 이러한 상기 꽃삽입공(361) 내부에 둘러 내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꽃지지편(362)을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부케가이드부(36)의 꽃삽입공(361)으로 부케 자루를 삽입할 경우 다수 개의 꽃지지편(362)의 내향 끝단이 부케 자루와 함께 하향으로 기울면서 부케 자루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즉 도 7의 예시에서처럼 부케 자루를 꽃삽입공(361)에 삽입하면 상측에서 아래방향으로 부케 자루가 지나면서 다수의 꽃지지편(362)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다수 꽃지지편(362)의 외향은 부케지지면부(35)에 고정되기 때문에, 내향 끝단이 부케 자루와 함께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기울게 된다.
이처럼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다수개의 꽃지지편(362)들은 상향으로 들어올려지려하는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복원력을 갖는 다수의 꽃지지편(362)에 의한 복수의 힘으로써 부케 자루를 둘러가면서 가하기 때문에 부케는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9, 그리고 도 11 내지 도 27 등에서는 상기에서의 부케지지부가 작은 상자 형태의 부케거치함부(30)로 이루어짐을 보인 것으로, 부케거치함부(30)의 상부면인 부케지지면부(35) 중앙으로 부케를 지지하기 위한 부케가이드부(36)를 형성함에, 부케지지면부(35) 및 부케가이드부(36)의 꽃삽입공(361)과 꽃지지편(362) 등이 단일로 이루어진 단일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이러한 부케지지면부(35)가 2분할되어, 부케1분할지지부(41)와 부케2분할지지부(42)로 이루어지는 분할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단일 실시예의 경우 상부의 부케이지면부(35)를 비롯한 지지부재들이 단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케를 좀더 견고하게 지지하여 요동이 심한 이동에 잘 견딜 수 있으며, 또한 대형 부케의 경우에도 더욱 효과적으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와 같인 분할 실시예의 경우에는 양측으로 부케를 지지하는 부분이 나누어지기 때문에 부케를 넣고 꺼낼 때 부케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꺼낼 때 부케지지면부(35) 자체가 양측으로 분리됨과 함께 상향으로 중간 부분이 들어올려져 열리면서 부케를 꺼내기 때문에, 부케를 손상시키지 않고 빠르게 꺼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할 실시예의 경우에는 요동이 덜하고 작은 크기의 부케에 적합할 수 있으며 특히 빠른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이에 이러한 분할실시예의 구성을 보면, 상기 부케가이드부(36)는, 상기 꽃삽입공 및 꽃지지편이 이분할되어 부케1분할지지부(41) 및 부케2분할지지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부케1분할지지부(41)는, 삽입되는 부케의 자루 일측이 통과하는 꽃삽입1공(411), 그리고 상기 꽃삽입1공(411) 내부에 둘러 내향으로 연장되어 삽입되는 부케의 자루 일측 부분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꽃지지1편(4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케2분할지지부(42)는, 상기 꽃삽입1공(411)과 함께 통공을 형성하면서 삽입되는 부케의 자루 타측이 통과하는 꽃삽입2공(421), 그리고 상기 꽃삽입2공(421) 내부에 둘러 내향으로 연장되어 삽입되는 부케의 자루 타측 부분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꽃지지2편(422)으로 이루어지며, 꽃지지1편(412)과 꽃지지2편(422)이 부케의 자루 부분을 둘러 감싸면서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케2분할지지부(42)가 위치된 상부면 일측에는 연장형성되어 부케1분할지지부(41)가 위치된 상부면 끝단과 겹치는 겹침부(423)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겹침부(423)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할된 부케지지면부(35)가 더욱 견고한 상태를 갖는 것이다.
아울러 도 6, 도 8 및 도 9 등에서와 같이 부케거치함부(30) 아래 내부에는 장갑, 코사지(corsage, 가슴에 다는 꽃), 리본 등과 같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담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부케지지부의 아래 공간 내에, 즉 작은 함체 형상의 부케거치함부(30) 아래 공간 내에는, 소정 물건을 담는 내부담체부(50)가 위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내부담체부(50)는 부케 자루를 지지하는 꽃받침부(53)를 함께 마련할 수 있다. 그리하여 부케 자루를 아래에서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안정하게 보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내부담체부(50)에는 장갑을 담는 장갑담체부(51), 리본을 담는 리본담체부(미도시됨), 코사지(corsage, 가슴에 다는 꽃)를 담을 수 있는 코사지담체부(52) 등과 같이 다수의 담체영역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내부담체부(50)는 주위를 두르는 소정 높이이 턱이 둘러지고, 중앙의 꽃받침부(53)가 있는 영역과 장갑담체부(51) 영역을 구분하는 격벽인 장갑담체격벽(511)이 형성되어 장갑담체부(51)에 위치되는 장갑이 돌아다니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의 꽃받침부(53)가 있는 영역과 코사지담체부(52) 영역을 구분하는 격벽인 코사지담체격벽(521)이 형성되어 코사지 등이 다른 곳을 움직이지 않게 하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케용 상자는 외부의 형태를 이루는 상자본체(20) 그리고 본체덮개(21)에 의해 부케가 내부에 위치되어 안전하게 보관하여 이동이 되는 것이며, 아울러 담겨진 부케를 요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작은 함체 형상의 부케거치함부(30)의 부케지지부를 포함한 것이다.
즉 부케지지부는 함체 형태이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부케 자루의 높이 정도로 상부로 소정 높이를 갖는 부케거치함부(30)로 이루어지며, 부케거치함부(30)는 다수의 외부면을 이루되, 전후방 및 좌우면이 소정 높이를 이루고, 상부면은 부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케지지부인 부케거치함부(30)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종이나 얇은 플라스틱 판을 접어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친환경 소재로써 꽃이 시들지 않도록 하면서 부케 자루나 꽃이 닿아도 손상이 덜하도록 종이 소재의 판지를 접어서 마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이러한 판지 종이 소재의 전개지로부터 부케거치함부(30)를 제조하는 과정 및 그 부재 구성들에 대한 설명을 첨부된 도 11 내지 도 27 등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케기지부의 부케거치함부(30)에 대한 세부 구성들을 보면, 상자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높이를 이루도록 전후 및 좌우로 위치되는 전방외면부(31), 후방외면부(34), 좌측외부면부(32), 및 우측외면부(3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외면부(31), 좌측외부면부(32), 및 우측외면부(33)의 상부에는 각각 내향으로 소정 폭을 이루는 전방상부턱(311), 좌측상부턱(321), 및 우측상부턱(331)이 이어지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전방외면부(31), 좌측외부면부(32), 및 우측외면부(33)의 내향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고 전방상부턱(311), 좌측상부턱(321), 및 우측상부턱(331)과 각각 이어지는 전방내면부(312), 좌측내면부(322), 및 우측내면부(33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전개지의 형태가 도 11 및 도 12 등에 도시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전개지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서처럼, 전방외면부(31)에 대해 우측외면부(33)가 직각으로 접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서처럼, 좌측외면부(32)에 대해 전방외면부(31)가 직각으로 접히도록 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 후방외면부(34)의 오른쪽에 도시된 접착부(37)를 접는 것으로, 후방외면부(34)에 대해 접착을 위한 접착부(37)가 직각으로 접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19 및 도 20에서처럼, 접착부(37)의 반대방향에 대한 것으로, 후방외면부(34)에 대해 좌측외면부(32)가 직각으로 접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접하는 우측외면부(33)와 접착부(37)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써 전방외면부(31), 좌측외면부(32), 우측외면부(33) 및 후방외면부(34) 등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됨으로써 부케거치함부(30)의 외부 형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도 21에서처럼 좌측외면부(32)에 대해 상측의 좌측상부턱(321)이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하고, 또한 도 22에서처럼 좌측상부턱(321)에 대해 좌측내면부(322)가 하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23에서처럼 우측외면부(33)에 대해 상측의 우측상부턱(331)이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하고, 또한 도 24에서처럼 우측상부턱(331)에 대해 우측내면부(332)가 하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한다.
또한 도 25에서처럼 전방외면부(31)에 대해 상측의 전방상부턱(311)이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하고, 도 26에서처럼 전방상부턱(311)에 대해 전방내면부(312)가 하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한다.
나아가 도 27에서처럼 후방외면부(34)에 대해 상측의 부케지지면부(35)가 전방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히도록 한다. 이로써 함체 형상의 부케거치함부(30)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부케거치함부(30)의 아래는 별도로 연결된 부재에 의해 더 접히는 과정으로서 아래면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아래 부분에 대한 것은 실시되는 양태에 알맞게 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전방면, 좌측면 및 우측면 등은 외면부와 내면부로 하는 2중 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고, 각 외면부와 내면부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상부턱들이 형성됨으로써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어서 부케거치함부(30)를 더욱 견고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내부에 담겨지는 부케가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20 : 상자본체 21 : 본체덮개
30 : 부케거치함부 31 : 전방외면부
32 : 좌측외면부 33 : 우측외면부
34 : 후방외면부 35 : 부케지지면부
36 : 부케가이드부

Claims (5)

  1. 부케의 꽃과 자루 사이를 지지하는 부케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케지지부는 함체 형상으로 되어 상부에 부케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부케지지부는,
    상자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높이에서 부케를 지지하고,
    부케가 삽입되는 꽃삽입공; 및
    상기 꽃삽입공 내부에 둘러 내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꽃지지편을 포함한 부케가이드부를 구비하여 부케를 담는 상자에 있어서,
    상기 꽃삽입공으로 부케 자루를 삽입할 경우 다수 개의 꽃지지편의 내향 끝단이 부케 자루와 함께 하향으로 기울면서 부케 자루를 지지하고,
    상기 부케지지부 아래 공간 내에는 소정 물건을 담는 내부담체부가 위치되며,
    상기 내부담체부는,
    부케 자루를 지지하는 꽃받침부;
    장갑을 담는 장갑담체부; 및
    코사지를 담는 코사지담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케가이드부는,
    상기 꽃삽입공 및 꽃지지편이 이분할되어 부케1분할지지부 및 부케2분할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케2분할지지부가 위치된 상부면 일측에는 연장형성되어 부케1분할지지부가 위치된 상부면 끝단과 겹치는 겹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케지지부는,
    상자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높이를 이루도록 전후 및 좌우로 위치되는 전방외면부, 후방외면부, 좌측외부면부, 및 우측외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외면부, 좌측외부면부, 및 우측외면부의 상부에는 각각 내향으로 소정 폭을 이루는 전방상부턱, 좌측상부턱, 및 우측상부턱이 이어지며,
    상기 전방외면부, 좌측외부면부, 및 우측외면부의 내향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고 전방상부턱, 좌측상부턱, 및 우측상부턱과 각각 이어지는 전방내면부, 좌측내면부, 및 우측내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담체부는,
    중앙의 꽃받침부가 있는 영역과 장갑담체부 영역을 구분하는 격벽인 장갑담체격벽; 및
    중앙의 꽃받침부가 있는 영역과 코사지담체부 영역을 구분하는 격벽인 코사지담체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케용 상자.
KR1020140181257A 2014-12-16 2014-12-16 부케용 상자 KR10166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257A KR101668604B1 (ko) 2014-12-16 2014-12-16 부케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257A KR101668604B1 (ko) 2014-12-16 2014-12-16 부케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11A KR20160073011A (ko) 2016-06-24
KR101668604B1 true KR101668604B1 (ko) 2016-10-24

Family

ID=5634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257A KR101668604B1 (ko) 2014-12-16 2014-12-16 부케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407A (ko) * 2020-11-27 2022-06-03 정휘빈 꽃다발 포장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8761A1 (en) * 2010-09-01 2012-03-01 1784936 Ontario Inc. Packaging of horticultural products for transpor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817U (ja) * 1984-07-25 1986-02-19 レンゴ−株式会社 包装箱
KR970069836A (ko) 1996-04-10 1997-11-07 김진국 상자형 꽃케이스 및 그 포장방법
KR200398118Y1 (ko) 2005-07-19 2005-10-12 한경석 이벤트용 꽃 포장 케이스
KR20100012982U (ko) * 2010-12-06 2010-12-30 김성국 부케용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8761A1 (en) * 2010-09-01 2012-03-01 1784936 Ontario Inc. Packaging of horticultural products for transpor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2008.02.1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407A (ko) * 2020-11-27 2022-06-03 정휘빈 꽃다발 포장 용기
KR102514940B1 (ko) 2020-11-27 2023-03-29 정휘빈 꽃다발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11A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9356A1 (en) Flower shipment packaging
KR101668604B1 (ko) 부케용 상자
KR101221758B1 (ko) 컵 캐리어
US2547849A (en) Box construction
KR102003511B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KR20130027131A (ko) 받침대 고정부가 부설된 케익 포장용 상자
JP6046415B2 (ja) 衣類用梱包箱
KR101034008B1 (ko) 슬라이딩 방식의 화환 거치대
KR101793097B1 (ko) 컵 캐리어
KR100820409B1 (ko) 꽃꽂이용 지지기구
JP2006219145A (ja) スリーブケース
USD560425S1 (en) Sleeve container with tray for the transport and handling of goods
KR20210001083U (ko) 꽃 풍선 장식 캐리어
KR101536407B1 (ko) 휴대용 구획 종이상자
CN203845132U (zh) 一种新型首饰包装盒
JP3216465U (ja) 収納容器
KR200495381Y1 (ko) 종이재 안경테 포장용기
KR200491731Y1 (ko) 포장 및 전시용 박스
CN209553749U (zh) 一种斜置展开窗口式包装盒
KR101170835B1 (ko)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KR200454876Y1 (ko) 술병 포장용 케이스
KR200236863Y1 (ko) 다용도 박스
JP2016145044A (ja) 装飾品梱包用具
CN204916701U (zh) 一种蛋托包装盒
JPH04434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