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835B1 -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 Google Patents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835B1
KR101170835B1 KR1020100020036A KR20100020036A KR101170835B1 KR 101170835 B1 KR101170835 B1 KR 101170835B1 KR 1020100020036 A KR1020100020036 A KR 1020100020036A KR 20100020036 A KR20100020036 A KR 20100020036A KR 101170835 B1 KR101170835 B1 KR 10117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ing
lobe
sliding
operation uni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937A (ko
Inventor
김강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비오비패키지스타일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비오비패키지스타일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비오비패키지스타일그룹
Priority to KR102010002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8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지기 상측으로 마치 꽃이 개화하듯 개화부재가 펼쳐지도록 하여, 더욱 향상된 심미감을 갖도록 하며, 이로써 상품지기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하면서 또한 내부에 담겨진 물품의 상품가치도 함께 향상되도록 하는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개화지기의 상품지기 내부에 물건이 담겨지되, 향수, 화장품, 샴프, 남성용 화장품, 여성용 화장품 등의 물품이 담겨질 수도 있고, 또한 꽃다발, 꽃, 보석, 보석장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심미감을 갖는 물품이 담겨질 수 있어서, 마치 꽃이 개화하듯 펼쳐지도록 하는 개화지기에 의하여 담겨진 물품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물품이 담겨지는 상품지기에 있어서, 물품이 담겨지는 상품담체케이스; 상품담체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와 상품담체케이스에 각각 연결되어 양옆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모여지는 개화작동되는 개화작동부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FLOWERING GOODS CASE WITH FLOWERING OPERATION MODULE}
본 발명은 상품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지기 상측으로 마치 꽃이 개화하듯 개화부재가 펼쳐지도록 하여, 더욱 향상된 심미감을 갖도록 하며, 이로써 상품지기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하면서 또한 내부에 담겨진 물품의 상품가치도 함께 향상되도록 하는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개화지기의 상품지기 내부에 물건이 담겨지되, 향수, 화장품, 샴프, 남성용 화장품, 여성용 화장품 등의 물품이 담겨질 수도 있고, 또한 꽃다발, 꽃, 보석, 보석장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심미감을 갖는 물품이 담겨질 수 있어서, 마치 꽃이 개화하듯 펼쳐지도록 하는 개화지기에 의하여 담겨진 물품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포장 케이스는 내부에 상품이 내재되도록 하고, 외부에는 상품을 나타내는 도안이나 상품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하여 내재된 상품이 효과적으로 홍보됨과 함께 다양한 사용방법이 제시되는 등, 상품의 보관 및 이동과 함께 상품 판매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상품 케이스는, 유리나 플라스틱재 케이스와 같이 몸체와 뚜껑이 분리되는 형태로 만들어지기도 하여, 뚜껑을 분리시켜 상품을 꺼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케이스 몸체와 뚜껑이 분리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케이스 제조공정도 다수의 단계를 거치게 되며, 나아가 상품케이스가 무겁고 사용하기도 불편하게 된다.
이에 종이상자와 같은 지기가 종종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품지기의 경우, 대부분 지기의 상측부분이나 하측부분을 개방하여 상품을 넣거나 꺼내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지기에 상품을 넣거나 상품을 꺼낼 경우에는, 지기를 기울여야 상품의 덮개를 열 수 있어, 상품이 기울어지거나 한쪽으로 쏠리게 되며, 그리하여 상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 상품지기의 경우 단순히 상품만 담겨질 수 있도록 내부 담체공간만 형성되어 있을 뿐, 상품 포장 이외에 특별한 기능을 갖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상품지기는 단순한 함체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심미감을 갖출 수 없어, 상품가치를 향상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품지기 상측으로 마치 꽃이 개화하듯 개화부재가 펼쳐지도록 하여, 더욱 향상된 심미감을 갖도록 하며, 이로써 상품지기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하면서 또한 내부에 담겨진 물품의 상품가치도 함께 향상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이처럼 상품지기 상부의 개화부재가 개화작동 및 닫혀지는 작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 케이스를 따라 상하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개화부재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개화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화 작동 중에 케이스경사무늬와 슬라이딩부재의 경사하면에 의한 무늬연동현상에 의해 더욱 생동적인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개화지기의 상품지기 내부에 물건이 담겨지되, 향수, 화장품, 샴프, 남성용 화장품, 여성용 화장품 등의 물품이 담겨질 수도 있고, 또한 꽃다발, 꽃, 보석, 보석장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심미감을 갖는 물품이 담겨질 수 있어서, 마치 꽃이 개화하듯 펼쳐지도록 하는 개화지기에 의하여 담겨진 물품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품이 담겨지는 상품지기에 있어서, 물품이 담겨지는 상품담체케이스(20);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40);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상품담체케이스(20)에 각각 연결되어 양옆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모여지는 개화작동되는 개화작동부(50)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부(40)는, 상기 개화상품지기(10)의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슬라이딩부(41); 후면에 위치되는 후면슬라이딩부(42); 좌측과 우측에 위치되는 좌면슬라이딩부(43), 우면슬라이딩부(44)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전면슬라이딩부(41), 후면슬라이딩부(42), 좌면슬라이딩부(43), 우면슬라이딩부(44) 각각의 아래 끝단이 경사지는 형상, 물결무늬 형상, 삼각 또는 다각 형상, 원호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좌면슬라이딩부(43)와 우면슬라이딩부(44)가 상기 개화작동부(50)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화작동부(50)는,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가 일측으로 연결되고 타측으로 슬라이딩부(40)가 연결되는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가 구비되고,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가 대향되어 구비되며, 상기 좌개화작동부(51)는,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연결되는 좌외엽연결부(511);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되는 좌내엽연결부(512); 상기 좌외엽연결부(511)와 좌내엽연결부(512) 사이에 연결되어 연동회동되면서 좌외엽연결부(511) 끝단과 좌내엽연결부(512) 끝단이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좌엽사이간(513); 상기 좌엽사이간(513)에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끼움돌부(525)가 삽입되는 좌엽삽입홈부(514); 상기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삽입홈부(524)에 삽입되는 좌엽끼움돌부(515)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우개화작동부(52)는,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연결되는 우외엽연결부(521);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되는 우내엽연결부(522); 상기 우외엽연결부(521)와 우내엽연결부(522) 사이에 연결되어 연동회동되면서 우외엽연결부(521) 끝단과 우내엽연결부(522) 끝단이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우엽사이간(523); 상기 우엽사이간(523)에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끼움돌부(515)가 삽입되는 우엽삽입홈부(524); 상기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삽입홈부(514)에 삽입되는 우엽끼움돌부(525)가 포함되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40)가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양측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가 양 옆으로 펼쳐지고, 내측으로 모여지는 개화작동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는, 전면부(21), 후면부(22), 좌면부(23), 우면부(24), 상면부(25), 하면부(26)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면부(23)의 상부로 상기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가 연결되고, 상기 우면부(24)의 상부로 상기 개화작동부(50)의 우개화작동부(52)가 연결되며, 상기 상면부(25)는, 상기 전면부(21)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상체결공(253)이 형성된 상내겹편(251)과, 상기 후면부(22)와 연결되고 상체결공(253)에 결합되는 상체결돌부(254)가 형성된 상외겹편(252)이 구비되고, 상기 하면부(26)는, 전면부(21)와 연결되는 전하면편(261)과; 후면부(22)와 연결되는 후하면편(262)과; 좌면부(23)와 연결되는 좌하면편(263)과; 우면부(24)와 연결되는 우하면편(264)이 구비되며, 상기 전하면편(261), 후하면편(262), 좌하면편(263), 우하면편(264)은 서로 끼움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품지기 상측으로 마치 꽃이 개화하듯 개화부재가 펼쳐지도록 하여, 더욱 향상된 심미감을 갖도록 하며, 이로써 상품지기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하면서 또한 내부에 담겨진 물품의 상품가치도 함께 향상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처럼 상품지기 상부의 개화부재가 개화작동 및 닫혀지는 작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 케이스를 따라 상하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개화부재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개화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화 작동 중에 케이스경사무늬와 슬라이딩부재의 경사하면에 의한 무늬연동현상에 의해 더욱 생동적인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가 개화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가 개화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에 대한 일실시예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조금 열려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조금 더 열려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상향으로 열려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외향으로 젖혀져서 열려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외향으로 젖혀져 열려지고 슬라이딩부의 상부로 상품담체케이스가 조금 보여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개화된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 대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슬라이딩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슬라이딩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개화작동부의 상측이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개화작동부의 상측이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상면부 부분이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상면부 부분이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상품담체케이스와 개화작동부 사이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상품담체케이스와 개화작동부 사이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슬라이딩부가 상품담체케이스 외면에 접하도록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슬라이딩부가 상품담체케이스 외면에 접하도록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좌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좌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후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후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우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우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후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좌면부와 후면부가 접착된 상태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하면부의 우하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저부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하면부의 전하면부와 후하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저부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하면부의 좌하면부가 접혀진 상태에 대한 저부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전개지에서 하면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저부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가 조립된 상태에 대한 상부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조금 열려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상향으로 열려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하강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개화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상면부가 개방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상면부가 닫혀지는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상승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상향으로 위치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상승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거의 닫혀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의 슬라이딩부의 상승작동으로 개화작동부가 닫혀져 함체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10)는 도 1 내지 도 44 등에서와 같이, 내부에 물품이 담겨지는 개화상품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물품이 담겨지는 상품담체케이스(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는, 전면부(21), 후면부(22), 좌면부(23), 우면부(24), 상면부(25), 하면부(26)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전면부(21), 후면부(22), 좌면부(23), 우면부(24) 등에 의하여 내부에 담겨지는 물품(12)의 측방향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면부(26)에 의하여 담겨지는 물품(12)의 아래 부분을 받치는 것이고, 상면부(25)를 통해서 개화상품지기(10)의 내부로 물품(12)을 넣고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개화상품지기(10)의 상품담체케이스(20)에 있어서, 상기 좌면부(23)의 상부로 상기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구조로, 상기 우면부(24)의 상부로 상기 개화작동부(50)의 우개화작동부(52)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5)는, 상기 전면부(21)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상체결공(253)이 형성된 상내겹편(251)과, 상기 후면부(22)와 연결되고 상체결공(253)에 결합되는 상체결돌부(254)(도 40 참조)가 형성된 상외겹편(252)이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도 39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상내겹편(251)과 상외겹편(252)이 젖혀져 열린 상태에서, 상품담체케이스(20) 내부로 물품(12)이 담겨지도록 하고, 양측 상내겹편(251)과 상외겹편(252)이 닫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닫혀지는 과정 중에, 도 40에서와 같이 상외겹편(252)의 상체결돌부(254)가 상내겹편(251)의 상체결공(253)에 끼워져 체결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면부(25)의 상내겹편(251)과 상외겹편(252)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에서 내부에 담겨진 물품(12)이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26)는, 전면부(21)와 연결되는 전하면편(261)과, 후면부(22)와 연결되는 후하면편(262)과, 좌면부(23)와 연결되는 좌하면편(263)과, 우면부(24)와 연결되는 우하면편(264)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31 내지 도 34 등에서와 같이, 상기 전하면편(261), 후하면편(262), 좌하면편(263), 우하면편(264)은 서로 끼움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하면부(26)에 의하여 내부의 물품(12)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담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도 31 내지 도 34 등에서와 같은 체결부분의 형태 및 하면부(26)의 각 부분의 형태 등은 내부에 담겨지는 물품(12)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자유로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10)는, 특히 상품이 담겨지는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부면으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40)가 구비되고, 이러한 슬라이딩부(40)에 연동되는 개화작동부(50)가 마련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상품담체케이스(20)에 각각 연결되어 양옆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모여지게 개화작동되는 개화작동부(50)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이러한 슬라이딩부(40)의 형태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됨을 예로 하고 있으나, 사각 파이프 형상을 비롯하여, 원형파이프 형태, 타원형 파이프 형태, 다각 파이프 형태, 별형상 또는 기타 다양한 파이프 형상으로 하여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내부에 위치되는 상품담체케이스(20)의 형태에 알맞게 하여 슬라이딩부(40)의 형태도 마련될 수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상품담체케이스(20)가 횡방향 원형 링의 단면형상으로 되면, 슬라이딩부(40)도 원형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품담체케이스(20)가 횡방향 사각 링의 단면형상으로 되면, 슬라이딩부(40)도 사각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형태로 하여 상품담체케이스(20)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40)도 알맞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10)에 있어서, 상품담체케이스(20), 슬라이딩부(40), 개화작동부(50) 등으로 하는 각 부재들의 재질은, 종이재, 종이판재, 골판지재, 플라스틱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종이재, 종이판재로 되는 경우에는 소재가 가볍게 될 뿐만 아니라 절첩과정도 쉽게 되어 보관, 이동 및 제조과정이 편리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개화상품지기(10)는 상품담체케이스(20)에 대해서, 슬라이딩부(40)가 상향으로 올려진 상태에서는, 양측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로 되는 개화작동부(50)가 닫혀진 상태가 되어, 전체적으로 함체 형상으로 하게 된다. 물론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 함체인 육면체함체로 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형태의 함체로 하여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물품(12)이 담겨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12, 도 35 내지 도 38 등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부(40)가 상품담체케이스(20)에 대해서 아래로 내려가는 개화작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0) 및 상품담체케이스(20)의 상측으로는, 양측으로 각각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로 하는 개화작동부(50)가 양옆 외향으로 펼쳐진 상태인 개화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개화상품지기(10)의 개화작동부(50)가 양 옆으로 펼쳐진 개화상태의 형상으로 하면, 마치 꽃이 활짝 핀 개화상태로 보여짐으로써, 단순히 물품(12)을 담고, 진열하는 용도로 개화상품지기(10)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화상태의 심미감을 주도록 함으로써, 물품(12)의 상품적 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개화작동을 위한 슬라이딩부(40)의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40)는, 상기 개화상품지기(10)의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슬라이딩부(41)와, 후면에 위치되는 후면슬라이딩부(42)와, 그리고 좌측과 우측에 위치되는 좌면슬라이딩부(43), 우면슬라이딩부(44) 등이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면슬라이딩부(43)와 우면슬라이딩부(44)가 상기 개화작동부(50)와 연결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전면슬라이딩부(41), 후면슬라이딩부(42), 좌면슬라이딩부(43), 우면슬라이딩부(44) 각각의 아래 끝단(도 3, 도 4의 경우 각각의 상단 끝 부분들)이 경사지는 형상, 물결무늬 형상, 삼각 또는 다각 형상, 원호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이처럼 전면슬라이딩부(41), 후면슬라이딩부(42), 좌면슬라이딩부(43), 우면슬라이딩부(44) 등의 아래 부분이 경사지는 형상, 물결무늬 형상, 삼각 또는 다각 형상, 원호형상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부(40)를 비롯한 개화상품지기(10)의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슬라이딩부(40)의 내측에 접하게 되는 상품담체케이스(20)의 전면부(21), 후면부(22), 좌면부(23), 우면부(24) 등의 외면에도, 경사지는 형상, 물결무늬 형상, 삼각 또는 다각 형상, 원호형상 등이 함께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이러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된 케이스경사무늬(28)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0)의 상승 및 하강 작동 중에, 슬라이딩부(40)의 하측 무늬와 상품담체케이스(20)의 각각의 외면에 형성된 케이스경사무늬(28)를 비롯한 다양한 무늬들이 서로 겹쳐지거나 겹쳐지는 부분이 옆으로 이동되면서 겹쳐지고 벌어짐으로써, 더욱 생동감있는 심미감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에, 해뜨는 모습, 바다 풍경, 산수화 풍경, 물건, 인물화 등에 대한 그림 또는 사진이 도안되거나, 설명서, 안내문구, 명언 등의 글이 쓰여져 있도록 함에, 슬라이딩부(40)의 상하 작동에 따라 일부가 보여지거나 가려지는 과정에 따라 심미감 또는 읽기가 가능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개화작동부(50)는,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가 일측으로 연결되고 타측으로 슬라이딩부(40)가 연결되는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가 구비되고,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가 대향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상품담체케이스(20)와 슬라이딩부(40) 등의 구성이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개화작동부(50)가 대향되는 양측의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 등으로 마련됨을 예로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다른 실시로, 상품담체케이스(20) 및 슬라이딩부(40)의 형상이 다각형, 원통형, 타원형, 별모양 등의 캐릭터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개화작동부(50)가 마련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응용의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즉 아래의 설명은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나, 그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한 것으로, 기타 사각 함체형상이 아닌 원통형, 타원형, 다각형, 별모양, 기타 캐릭터 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좌개화작동부(51)와 유사한 구성으로 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좌개화작동부(51)는,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연결되는 좌외엽연결부(5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좌외엽연결부(511)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부(40)의 상승 또는 하강의 힘을 좌외엽연결부(511)에서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되는 좌내엽연결부(512)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외엽연결부(511)와 좌내엽연결부(512) 사이에 연결되어 연동회동되면서 좌외엽연결부(511) 끝단과 좌내엽연결부(512) 끝단이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좌엽사이간(5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우개화작동부(52)는,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연결되는 우외엽연결부(521)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되는 우내엽연결부(522)와, 상기 우외엽연결부(521)와 우내엽연결부(522) 사이에 연결되어 연동회동되면서 우외엽연결부(521) 끝단과 우내엽연결부(522) 끝단이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우엽사이간(523) 등이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12, 도 35 내지 도 38 등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딩부(40)의 작동력은 좌외엽연결부(511), 우외엽연결부(521)를 통해 전달되며, 좌외엽연결부(511), 우외엽연결부(521)로 전달된 힘은 좌엽사이간(513), 우엽사이간(523) 등을 통하여 좌내엽연결부(512), 우내엽연결부(522) 등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좌내엽연결부(512) 또는 우내엽연결부(522) 등과 상품담체케이스(20)가 연결되는 경계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좌개화작동부(51), 우개화작동부(52) 등이 회전되는 개화작동부(50)의 개화작동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부(4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좌개화작동부(51)의 좌외엽연결부(511) 및 우개화작동부(52)의 우외엽연결부(521) 등의 연결부분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조금씩 내려가게 되고, 이에 따라 좌엽사이간(513), 우엽사이간(523) 등도 함께 조금씩 내려간다. 이러한 과정 중에 좌엽사이간(513), 우엽사이간(523) 등이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좌엽사이간(513), 우엽사이간(523) 등과 연결된 좌내엽연결부(512) 우내엽연결부(522) 등의 외향 끝단도 조금씩 내려가게 된다. 반면 좌내엽연결부(512), 우내엽연결부(522) 등의 내측은 상품담체케이스(20)에 연결되어 있는바, 결국 좌내엽연결부(512), 우내엽연결부(522) 등은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된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외향으로 회전되어, 좌내엽연결부(512), 우내엽연결부(522) 등의 외부측 및 좌엽사이간(513), 우엽사이간(523) 등은 회전된다.
따라서 점점더 아래로 내려가는 슬라이딩부(40)의 하강 작동에 의하여, 좌외엽연결부(511), 좌내엽연결부(512) 및 좌엽사이간(513) 등, 우외엽연결부(521), 우내엽연결부(522), 우엽사이간(523) 등이 각각 외향으로 펼쳐지는 개화작동을 하게 되어, 도 2, 도 38 등과 같이 개화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개화작동부(50)에 있어서, 좌개화작동부(51)에는, 상기 좌엽사이간(513)에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끼움돌부(525)가 삽입되는 좌엽삽입홈부(514)(도 17 참조)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삽입홈부(524)에 삽입될 수 있는 좌엽끼움돌부(515)(도 17 참조)도 구비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개화작동부(52)에도, 상기 우엽사이간(523)에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끼움돌부(515)가 삽입될 수 있는 우엽삽입홈부(524)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삽입홈부(514)에 삽입될 수 있는 우엽끼움돌부(525)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개화상품지기(10)의 닫혀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개화된 개화상품지기(10)에 물품을 넣어 보관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41 내지 도 44 등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부(40)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부(40)와 연결된 좌외엽연결부(511), 우외엽연결부(521) 등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좌엽사이간(513), 우엽사이간(523) 등도 함께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에, 좌엽사이간(513)과 우엽사이간(523) 등이 연결된 좌내엽연결부(512), 우내엽연결부(522) 등은 각각의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되는 부분을 회전중심이 되어 회전되면서 내측으로 모여지게 된다.
이처럼 양측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가 서로 내측으로 모여지는 과정 중에,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삽입홈부(514), 좌엽끼움돌부(515), 또는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삽입홈부(524), 우엽끼움돌부(525) 등이 서로 결합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도 1, 도 44 등에서와 같이 양측 좌개화작동부(51), 우개화장동부(52) 등이 서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개화작동부(50)가 양측으로 나누어지는 좌개화작동부(51), 우개화작동부(52) 등으로 하는 이분된 개화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였으며, 이에 따른 각각의 삽입홈부 및 끼움돌부 등의 부재도 각각 홈과 돌출부분의 형태로 하는 결합부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부재로 하여 실시됨은 물론이고, 기타 슬릿형성에 따른 체결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응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는 상품담체케이스(20) 및 슬라이딩부(40) 등의 형태, 실시방식, 체결방식의 형태 등에 따라 알맞게 하여 정하여져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10)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40)가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양측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가 양 옆으로 펼쳐지고, 내측으로 모여지는 개화작동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개화작동 중에, 내부에 물품(12)이 담겨지도록 하고, 담겨진 물품(12)을 꺼내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화작동부(50)가 옆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마치 꽃모양을 이루는 심미감을 갖추기 때문에, 장식용, 진열용 등으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며, 접혀진 상태에서는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10)는, 종이재, 종이판재, 골판재, 플라스틱재, 금속판재 등으로 하여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유연성이 적은 플라스틱재, 두꺼운 판재, 금속판재 등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개화작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화작동부(50)와 상품담체케이스(20) 및 슬라이딩부(40) 등과의 접하는 부분에 경첩이나 회동보조부재, 회동심 등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개화상품지기(10)가 종이재, 얇은 종이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보다 가볍게 되고,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환경을 파괴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외면에 도안이 쉽게 되어 이용가치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이재로 실시되는 경우에는, 도 3, 도 4 등과 같이 전개지의 형태에서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와 같이, 상품담체케이스(20)의 전개지 형태가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배열된 순서가, 좌면부, 전면부, 우면부, 후면부 등의 순서로 되고, 이에 따른 개화작동부 및 슬라이딩부 등도 함께 같은 배열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품담체케이스의 배열 순서가, 좌로부터 전개지가 전면부, 우면부, 후면부, 좌면부의 배열로 하여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른 개화작동부 및 슬라이딩부 등이 알맞게 배열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상품담체케이스의 전면부, 우면부, 후면부, 좌면부 등의 배열을 비롯하여, 개화작동부 및 슬라이딩부 등의 각 부재들의 배열은 실시되는 실시 형태 및 내부에 담겨지는 물품의 특성 및 개화상품지기의 제조 상황에 알맞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각 부재들이 다양한 배열로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개화상품지기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상품담체케이스(20)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좌면부(23), 전면부(21), 우면부(24), 후면부(22) 그리고 이들을 접착하기 위한 케이스접착부(27) 등으로 배열됨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따른 슬라이딩부 및 개화작동부 등도 알맞게 하여 실시됨을 예로 하여, 도 13 내지 도 44 등에서 절첩에 따른 제조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3, 도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10)의 전개지(11)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품담체케이스(20)는 좌로부터, 좌면부(23), 전면부(21), 우면부(24), 후면부(22), 그리고 케이스접착부(27) 등이 마련된다.
그리고 좌면부(23) 아래에 하면부(26)의 좌하면편(263)이 연결되고, 전면부(21) 아래에 하면부(26)의 전하면편(261)이 연결되며, 우면부(24) 아래에 하면부(26)의 우하면편(264)이 연결되고, 후면부(22) 아래에 하면부(26)의 후하면편(262)이 연결되어 마련된다.
또한 좌면부(23)의 상부로는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가 연결되고, 좌개화작동부(51)의 상부로는 슬라이딩부(40)의 좌면슬라이딩부(43)가 연결된다.
그리고 우면부(24)의 상부로는 개화작동부(50)의 우개화작동부(52)가 연결되고, 우개화작동부(52)의 상부로는 슬라이딩부(40)의 우면슬라이딩부(44)가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개화작동부(50)의 상부로 연결되는 슬라이딩부(40)는 좌측으로부터, 좌면슬라이딩부(43), 전면슬라이딩부(41), 우면슬라이딩부(44), 후면슬라이딩부(42) 및 이들을 접착하기 위한 슬라이딩접착부(45)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전면부(21)의 상부로는 상면부(25)의 상내겹편(251)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내겹편(251)은 양 옆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 등과 떨어져 있게 되고, 상측의 전면슬라이딩부(41)와는 상당한 공간이 형성되어 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후면부(22)의 상부로는 상면부(25)의 상외겹편(252)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외겹편(252)은 옆의 우개화작동부(52)와 떨어지게 되고, 상측의 후면슬라이딩부(42)와도 떨어져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좌개화작동부(51)는 좌면부(23)와 연결되는 좌내엽연결부(512), 좌면슬라이딩부(43)와 연결되는 좌외엽연결부(511), 좌내엽연결부(512)와 좌외엽연결부(511) 사이의 좌엽사이간(513) 등이 마련된다. 그리고 우개화작동부(52)는 우면부(24)와 연결되는 우내엽연결부(522), 우면슬라이딩부(44)와 연결되는 우외엽연결부(521), 우내엽연결부(522)와 우외엽연결부(521) 사이의 우엽사이간(523) 등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10)의 전개지(11)에 대해서, 도 14, 도 15에서와 같이, 개화작동부(50)의 상측을 중심으로 하여, 좌면슬라이딩부(43), 전면슬라이딩부(41), 우면슬라이딩부(44), 후면슬라이딩부(42), 슬라이딩접착부(45) 등이 전방으로 접혀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16, 도 17에서와 같이, 개화작동부(50)의 좌엽사이간(513), 우엽사이간(523)의 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내엽연결부(511) 및 우내엽연결부(521)가 전방으로 접혀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에서 언급된 전방으로 접혀지는 것은 일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후방으로 접혀져 실시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접혀지는 실시예일 경우에는 하기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은 그에 알맞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일부의 접혀지도록 하는 제조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절첩 순서는 서로가 순서를 바꾸어서 실시될 수도 있고, 일부의 절첩과정은 다른 절첩과정과 함께 실시되어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8, 도 19 등에서와 같이, 전면부(21)의 상측을 중심으로 하여 상면부(25)의 상내겹편(251)이 후방으로 접히도록 하고, 후면부(22)의 상측을 중심으로 하여 상면부(25)의 상외겹편(252)이 후방으로 접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0, 도 21 등에서와 같이, 좌면부(23), 전면부(21), 우면부(24), 후면부(24) 등의 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개화작동부(50)의 좌내엽연결부(512), 우내엽연결부(522)가 후방으로 접혀지도록 한다.
또한 도 22, 도 23 등에서와 같이, 개화작동부(50)의 좌외엽연결부(511)와 우외엽연결부(521)의 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면슬라이딩부(43), 전면슬라이딩부(41), 우면슬라이딩부(44), 후면슬라이딩부(41)가 접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품담체케이스(20)의 각 구성부재들과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딩부(40)의 각 구성부재들이 서로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4, 도 25에서와 같이, 전면부(21), 전면슬라이딩부(41)에 대해 좌면부(23), 좌면슬라이딩부(43)가 접혀지도록 한다. 또한 도 26, 도 27에서와 같이, 우면부(24), 우면슬라이딩부(44)에 대해 후면부(22), 후면슬라이딩부(42)가 접혀지도록 한다.
이후 도 28, 도 29에서와 같이 전면부(21), 전면슬라이딩부(41)에 대해 우면부(24), 우면슬라이딩부(44)가 접혀지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 중에 후면부(22)에 연결된 케이스접착부(27)가 접착제에 의하여 좌면부(23) 내면으로 접착되도록 하고, 후면슬라이딩부(42)에 연결된 슬라이딩접착부(45)가 접착제에 의하여 좌면슬라이딩부(43) 내면으로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도 30에서와 같이 상품담체케이스(20) 및 슬라이딩부(40)의 절첩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1 내지 도 34에서와 같이 하면부(26)에 대한 절첩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도 31 내지 도 34에서 제시된 하면부(26)의 절첩구조, 각 구조의 형상 및 절첩순서와 절첩방식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예중에서 하나의 예를 보인 것으로, 제시된 절첩예시에 더하여 다른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절첩예시가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도면에서 제시된 절첩과정은, 우선 도 31에서와 같이, 우면부(24)의 아래에 연결된 우하면편(264)이 접혀지도록 하고, 도 32에서와 같이 우하면편(264)의 양측인 전하면편(261)과 후하면편(262)이 접혀지도록 한다.
또한 도 33에서와 같이 하부체결돌부(265)가 형성된 좌하면편(263)이 접혀지도록 하여 하면부(26)의 조립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우하면편(264)에 형성된 하부수용부(266)에 양측 전하면편(261), 후하면편(262)의 체결부분이 결합되도록 하고, 이러한 하부수용부(266)에 좌하면편(263)의 하부체결돌부(265)가 결합되도록 하여, 하면부(26)의 조립을 수행하여, 도 34에서와 같이 하면부(26)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과정을 거친 본 발명에 따른 개화상품지기(10)는 도 34, 도 35 등에서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기본적인 육면체 함체인 상품담체케이스(20)가 마련되고, 이러한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으로 둘러져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하여 슬라이딩부(40)가 감싸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0)는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부(40)의 상측, 상품담체케이스(20)의 상측을 이어지게 하는 개화작동부(5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 34, 도 35 등에서와 같이 개화작동부(50)가 모여진 상태에서는 상부에 결합라인이 형성된 형태로 하여,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함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육면체 함체 형상으로 하여 닫혀진 상태에서, 개화작동부(50)가 개화작동을 거침으로써 마치 꽃이 펼쳐진 상태로 되는 개화상태로 진행되도록 하며, 이처럼 개화상태에서는 내부에 물품(12)을 담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개화작동의 과정은 도 35에서 도 38 등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35에서와 같이 개화작동부(50)가 닫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딩부(40)가 하강하면서, 도 36에서와 같이 개화작동부(50)의 양측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의 사이가 점차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40)가 좀더 하강함에 따라, 도 37에서와 같이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가 거의 상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후 슬라이딩부(4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도 38에서와 같이, 양측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는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는 것으로, 좌개화작동부(51)의 좌내엽연결부(512), 우개화작동부(52)의 우내엽연결부(522) 등은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부로 상면부(25)가 외부로 드러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에 물품(12)을 담을 수 있는 것으로, 우선 도 39에서와 같이 상면부(25)의 상내겹편(251)과 상외겹편(252)을 열어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12)을 넣게 되고, 도 40에서와 같이 상면부(25)의 상내겹편(251)을 접게 되고, 이후 상외겹편(252)을 접어, 도 41에서와 같이 상면부(25)의 절첩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41에서와 같이 물품(12)이 담겨진 상태이면서,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 등이 양측으로 펼쳐져 개화상태를 이루면, 마치 꽃이 활짝핀 개화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처럼 개화상태의 심미감을 갖는 개화상품지기(10)가 전시장, 매장 등에 전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가정에서도 물품(12)의 진열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처럼 개화상태가 된 후, 물품(12) 또는 개화상품지기(10)를 보관하거나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화작동부(50)가 닫혀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함체형상을 이루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41에서와 같은 개화상태에서, 도 42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부(40)를 상향으로 올리게 되면, 양측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의 끝 부분이 서로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에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 등은 상품담체케이스(20), 슬라이딩부(40) 등과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3에서와 같이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끼움돌부(515)가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삽입홈부(524)에 끼워지면서, 도 44에서와 같이 양측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의 조립이 완료되어 닫혀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닫혀진 상태의 개화상품지기(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함체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적층이 쉽고, 이동, 보관이 편리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도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화된 상태에서는 전체적으로 꽃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심미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개화상품지기(10)의 개화상태, 개화작동 및 닫혀져 다루기 편리한 함체 형상을 이루는 과정은, 상품담체케이스(20)에 대한 슬라이딩부(40)의 슬라이딩 상하 왕복 작동에 의한 것으로, 이처럼 상하왕복 부재의 구성도 기능적인 주요 특징인 것이다.
이로써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개화지기의 상품지기 내부에 물건이 담겨지되, 향수, 화장품, 샴프, 남성용 화장품, 여성용 화장품 등의 물품이 담겨질 수도 있고, 또한 꽃다발, 꽃, 보석, 보석장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심미감을 갖는 물품이 담겨질 수 있어서, 마치 꽃이 개화하듯 펼쳐지도록 하는 개화지기에 의하여 담겨진 물품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10 : 개화상품지기 11 : 전개지
12 : 물품 20 : 상품담체케이스
21 : 전면부 22 : 후면부
23 : 좌면부 24 : 우면부
25 : 상면부 26 : 하면부
27 : 케이스접착부 40 : 슬라이딩부
41 : 전면슬라이딩부 42 : 후면슬라이딩부
43 : 좌면슬라이딩부 44 : 우면슬라이딩부
45 : 슬라이딩접착부 50 : 개화작동부
51 : 좌개화작동부 52 : 우개화작동부
251 : 상내겹편 252 : 상외겹편
253 : 상체결공 254 : 상체결돌부
261 : 전하면편 262 : 후하면편
263 : 좌하면편 264 : 우하면편
265 : 하부체결돌부 266 : 하부수용부
511 : 좌외엽연결부 512 : 좌내엽연결부
513 : 좌엽사이간 514 : 좌엽삽입홈부
515 : 좌엽끼움돌부 521 : 우외엽연결부
522 : 우내엽연결부 523 : 우엽사이간
524 : 우엽삽입홈부 525 : 우엽끼움돌부

Claims (4)

  1. 물품이 담겨지는 상품담체케이스(20)와,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40)와,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상품담체케이스(20)에 각각 연결되어 양옆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모여지는 개화작동되는 개화작동부(50)가 구비되어 내부에 물품이 담겨지는 상품지기에 있어서,
    상기 개화작동부(50)는,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가 일측으로 연결되고 타측으로 슬라이딩부(40)가 연결되는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가 구비되고, 좌개화작동부(51)와 우개화작동부(52)가 대향되어 구비되며,
    상기 좌개화작동부(51)는,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연결되는 좌외엽연결부(511);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되는 좌내엽연결부(512);
    상기 좌외엽연결부(511)와 좌내엽연결부(512) 사이에 연결되어 연동회동되면서 좌외엽연결부(511) 끝단과 좌내엽연결부(512) 끝단이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좌엽사이간(513);
    상기 좌엽사이간(513)에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끼움돌부(525)가 삽입되는 좌엽삽입홈부(514);
    상기 우개화작동부(52)의 우엽삽입홈부(524)에 삽입되는 좌엽끼움돌부(515);
    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우개화작동부(52)는,
    상기 슬라이딩부(40)와 연결되는 우외엽연결부(521);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와 연결되는 우내엽연결부(522);
    상기 우외엽연결부(521)와 우내엽연결부(522) 사이에 연결되어 연동회동되면서 우외엽연결부(521) 끝단과 우내엽연결부(522) 끝단이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우엽사이간(523);
    상기 우엽사이간(523)에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끼움돌부(515)가 삽입되는 우엽삽입홈부(524);
    상기 좌개화작동부(51)의 좌엽삽입홈부(514)에 삽입되는 우엽끼움돌부(525);
    가 포함되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40)가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의 외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양측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 및 우개화작동부(52)가 양 옆으로 펼쳐지고, 내측으로 모여지는 개화작동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40)는,
    개화상품지기(10)의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슬라이딩부(41);
    후면에 위치되는 후면슬라이딩부(42);
    좌측과 우측에 위치되는 좌면슬라이딩부(43), 우면슬라이딩부(44);
    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전면슬라이딩부(41), 후면슬라이딩부(42), 좌면슬라이딩부(43), 우면슬라이딩부(44) 각각의 아래 끝단이 경사지는 형상, 물결무늬 형상, 삼각 또는 다각 형상, 원호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좌면슬라이딩부(43)와 우면슬라이딩부(44)가 상기 개화작동부(5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담체케이스(20)는, 전면부(21), 후면부(22), 좌면부(23), 우면부(24), 상면부(25), 하면부(26)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면부(23)의 상부로 상기 개화작동부(50)의 좌개화작동부(51)가 연결되고, 상기 우면부(24)의 상부로 상기 개화작동부(50)의 우개화작동부(52)가 연결되며,
    상기 상면부(25)는, 상기 전면부(21)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상체결공(253)이 형성된 상내겹편(251)과, 상기 후면부(22)와 연결되고 상체결공(253)에 결합되는 상체결돌부(254)가 형성된 상외겹편(252)이 구비되고,
    상기 하면부(26)는, 전면부(21)와 연결되는 전하면편(261)과; 후면부(22)와 연결되는 후하면편(262)과; 좌면부(23)와 연결되는 좌하면편(263)과; 우면부(24)와 연결되는 우하면편(264)이 구비되며,
    상기 전하면편(261), 후하면편(262), 좌하면편(263), 우하면편(264)은 서로 끼움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KR1020100020036A 2010-03-05 2010-03-05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KR10117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36A KR101170835B1 (ko) 2010-03-05 2010-03-05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36A KR101170835B1 (ko) 2010-03-05 2010-03-05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37A KR20110100937A (ko) 2011-09-15
KR101170835B1 true KR101170835B1 (ko) 2012-08-02

Family

ID=4495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036A KR101170835B1 (ko) 2010-03-05 2010-03-05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8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37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131B2 (en) Product ensemble display and carrying package
JP5947396B2 (ja) 折り畳み箱
CN105083786A (zh) 用于钟表的折叠盒
US6045263A (en) Gift package
EP1008531A1 (en) Package and display device
CN220045124U (zh) 一种对开式首饰盒
KR101170835B1 (ko) 개화작동부가 구비된 개화상품지기
US7628274B2 (en) Cake-shaped decorative accessory made of a towel in a cup
CN205150479U (zh) 一种鞋盒
KR101086527B1 (ko) 경대형상품지기
CN211336792U (zh) 一种多角折叠盒
KR200454852Y1 (ko) 케이크 포장용 상자
CN103213724B (zh) 一种仿钻石饰品包装盒
CN201961617U (zh) 折叠式联体包装盒
CN112320057A (zh) 对开式月饼盒及其制作工艺
KR20090000631U (ko) 과일상자.
KR101668604B1 (ko) 부케용 상자
CN218344090U (zh) 一种具有展示功能的饰品包装盒
CN220536202U (zh) 多用途包装盒
CN203845132U (zh) 一种新型首饰包装盒
CN214030135U (zh) 一种灯具包装盒
CN218930106U (zh) 一种可双面打开式食品包装盒
CN209553749U (zh) 一种斜置展开窗口式包装盒
CN218477789U (zh) 一个便于展示和携带的耳饰包装盒
KR200468285Y1 (ko) 전시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