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511B1 -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511B1
KR102003511B1 KR1020180080321A KR20180080321A KR102003511B1 KR 102003511 B1 KR102003511 B1 KR 102003511B1 KR 1020180080321 A KR1020180080321 A KR 1020180080321A KR 20180080321 A KR20180080321 A KR 20180080321A KR 102003511 B1 KR102003511 B1 KR 10200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p
folded
piece
cup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396A (ko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스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스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스랩스
Priority to PCT/KR2018/0078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13546A1/ko
Priority to US16/609,430 priority patent/US20200140167A1/en
Priority to JP2019566656A priority patent/JP2020521689A/ja
Publication of KR2019000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511B1/ko
Priority to PH12019502829A priority patent/PH120195028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65D71/504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the element being formed from a flexible sheet provided with slits or apertures intended to be stretched over the articles and adapt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Abstract

본 발명은 컵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해야 할 컵의 개수에 맞추어 컵 캐리어를 변형시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컵 캐리어에 다수의 컵을 수용하여도 컵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어 컵 캐리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Bondless eco safety cup carrier}
본 발명은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해야 할 컵의 개수에 맞추어 컵 캐리어를 변형시켜 활용할 수 있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여러 패스트푸드점, 커피숍에서는 콜라, 사이다, 주스 등의 여러 가지 음료수를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즐겨먹는 사람들은 음식의 특성상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하면서 음식을 섭취할 때가 많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한 손에 음료수가 담긴 컵은 들고 다른 한 손에 음식물을 들고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상기와 같이 한 손에는 음료수 용기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음식물 용기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중심 잡기에 곤란하여 다른 행동을 할 경우에는 음료수 또는 음식물을 떨어뜨릴 가능성과 함께 두 손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인하여 행동이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음료용기용 캐리어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는 일 측면의 한 쪽에는 훅크형 수 걸림편(11)을 가지고 다른 일 측에는 암 슬릿홀(12)을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10), 상기 박스(10)의 개구 상부를 가로지르는 상부에 손잡이용 구멍(13)을 갖는 행거편(14), 상기 행거편의 양측으로 평면상 직각 되게 연장되어서 상기 박스(10)의 개구 상부단과 일체로 연장된 지지편(15,16)으로 형성된 손잡이(17)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는 일정 부피를 유지할 수밖에 없어 소정의 공간을 차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캐리어를 보관하는 별도의 장소를 마련해야만 했으며, 보관 가능한 수량 또한 매우 한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 종래의 음료 용기 캐리어의 경우 용기 캐리어에 수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 수용공간의 개수를 고정해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2개의 음료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캐리어를 이용해 3개의 음료용기를 수용해서 휴대하고자 할 경우 최소한 용기 캐리어를 2개 이상 구비해서 3개의 음료용기를 용기 캐리어에 각각 나누어 휴대하여야 한다. 즉, 1개의 음료용기가 수용된 용기 캐리어는 음료용기가 수용된 방향으로 무게가 쏠리기 때문에 용기 캐리어의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없으며 음료용기가 수용되지 않은 잉여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용기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료 용기 캐리어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부재들의 접착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캐리어의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 상승, 효용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뒤따랐다.
또한, 상기한 음료 용기 캐리어의 경우 음료용기 중 가장 큰 컵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음료 용기가 스몰사이즈일 경우 음료 제작자 및 주문자가 음료 용기를 넣고 꺼내기가 불편하며, 자칫 실수로 인해 음료가 쏟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음료가 뜨거울 경우 음료에 의해 음료 제작자 및 주문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47436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컵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해야 할 컵의 개수에 맞추어 컵 캐리어를 변형시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컵 캐리어에 다수의 컵을 수용하여도 컵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어 컵 캐리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컵 캐리어를 제작함에 있어 접착공정을 생략함에 따라 원가 절감 및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컵 캐리어의 뼈대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과정을 생략함으로써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컵 캐리어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의 용이성이 증대되고 신속하게 컵 캐리어를 전개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컵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추어 다양한 컵을 호환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 판과 제2 판으로 나누어지도록 중심절곡선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판상의 판재; 상기 제1 판의 상부 일부면이 절개되어 접혀지되 중앙에 컵을 거치하기 위한 제1 고정구가 형성되는 제1 거치편; 상기 제2 판의 상부 일부면이 절개되어 접혀지되 중앙에 컵을 거치하기 위한 제2 고정구가 형성되는 제2 거치편; 및 제1 판과 제2 판의 하부를 동시에 절개하는 한 쌍의 절개선에 의해 판재에 형성되는 제3 거치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거치편과 제2 거치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가동편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3 거치편은 제1 판과 제2 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질 때 제1 판과 제2 판이 마주보는 내측으로 인출되면서 가상의 중공부를 형성해서 상기 중공부에 컵이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편에는 끝단이 접혀질 수 있도록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판과 제2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하부에는 접혀진 가동편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끝단이 삽입구에 삽입 고정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면 컵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컵 캐리어는, 판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판과 제2 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질 때 제1 판과 제2 판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 캐리어는,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제1 거치편과 제2 거치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가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컵 캐리어는, 판재가 편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판재의 일측으로 인출돼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해야 할 컵의 개수에 맞추어 제3 거치편을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조작하여 컵이 수용되지 않는 잉여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해야 할 컵의 개수에 맞추어 컵 캐리어를 적절하게 변형시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컵 캐리어를 제작함에 있어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컵 캐리어의 뼈대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평평한 판재를 기준으로 제1, 2 거치편이 접혀지기 때문에 보관시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보관의 용이성이 증대되고 신속하게 컵 캐리어를 전개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넷째, 제1, 2, 3 파지편에 각각 컵을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컵 캐리어로 다수의 컵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지지편을 통해 컵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어 컵 캐리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섯째, 가변수단을 통해 컵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추어 고정구의 직경을 가변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 캐리어를 나타낸 개념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에서 제3 거치편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 2 가동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제1 가동편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의 조절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컵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컵 캐리어의 전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컵 캐리어에서 제3 거치편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가 베이스판에서 재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의 실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는 제1 판(110)과 제2 판(120)으로 나누어지도록 중심절곡선(140)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판상의 판재(100), 상기 제1 판(110)의 상부 일부면이 절개되어 접혀지되 중앙에 컵을 거치하기 위한 제1 고정구(111a)가 형성되는 제1 거치편(111), 상기 제2 판(120)의 상부 일부면이 절개되어 접혀지되 중앙에 컵을 거치하기 위한 제2 고정구(121a)가 형성되는 제2 거치편(121) 및 제1 판(110)과 제2 판(120)의 하부를 동시에 절개하는 한 쌍의 절개선(200)에 의해 판재(100)에 형성되는 제3 거치편(1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거치편(111)과 제2 거치편(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가동편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3 거치편(130)은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질 때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마주보는 내측으로 인출되면서 가상의 중공부를 형성해서 상기 중공부에 컵이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재(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판(B)에 복수의 판재(10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지의 펀칭기에 의해 재단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판(B)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재생지, 골판지 등을 포함하는 각종 종이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된다. 즉, 베이스판(B)의 재질에 따라 후술되는 컵 캐리어의 재질이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지의 크기로 구비된 베이스판(B)에 판재(100)를 형성하게 된다.
판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판재(100)의 중앙 부분을 가로지르는 중심절곡선(140)에 의해 제1 판(110)과 제2 판(120)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제1 판(110)과 제2 판(120)은 중심절곡선(140)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지거나 후술되는 제3 거치편(130)이 작용할 경우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컵이 수용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인접하여 마주보도록 접어 사용하되 3개의 컵을 수용하고자 할 경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제3 거치편(130)이 인출되어 제3 거치편(130)에 의해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제3 거치편(13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즉, 상기 판재(100)는 단순히 펀칭기에 의해 펀칭가공 되기 때문에 종래의 컵 캐리어처럼 접착공정이나 부가적인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컵 캐리어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판재(100)의 외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각형,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현된 판재(100)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또한, 제1, 2 거치편(111, 121)과 제1, 2 고정구(111a, 121a)의 형상 또한 판재(100)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의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2, 3 거치편(111, 121, 13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판(110)에 제1 거치편(111)이, 제2 판(120)에 제2 거치편(121)이 각각 형성되는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제1 거치편(111)은 상기 제1 판(110)의 상부 일부면이 대략 '∩'형상의 제1 절취선(112)에 의해 절개돼서 제1 판(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첩 가능하게 동작한다.
이때, 제1 절취선(112)의 양단을 잇는 제1 수직절곡선(113)에 의해 제1 거치편(111)이 절첩 가능하게 동작하게 된다.
제1 거치편(111)과 제2 거치편(121)이 제1 판(110)과 제2 판(120)에서 각각 접혀지면 제1 판(110)과 제2 판(120)의 상단에는 컵 캐리어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제2 거치편(121)은 전술한 제1 거치편(111)과 그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제1 거치편(111)에는 컵을 거치하기 위한 제1 고정구(111a)가 형성되고, 가동편이 부분 절개되어 형성된다. 가동편이 접히게 되면 제1 거치편(111)에서 제1 고정구(111a)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때, 가동편은 제1 거치편(111)에 형성되는 제1 가동편(111b)과 제2 거치편(121)에 형성되는 제2 가동편(121b)으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다시, 제1 가동편(111b)은 제1 거치편(111)에서 완전히 절개되어 분할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1 거치편(111)에서 하방을 향해 접을 수 있도록 구현된다.
한편, 상기 가동편에는 끝단이 접혀질 수 있도록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판(110)과 제2 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하부에는 접혀진 가동편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끝단이 삽입구에 삽입 고정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면 컵이 수평으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선은 제1 가동편(111b)과 제2 가동편(121b)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절곡선(111c)과 제2 절곡선(121c)으로 구분되고, 상기 삽입구는 접혀진 제1 가동편(111b)과 제2 가동편(121b)의 끝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제1 삽입구(114)와 제2 삽입구(124)로 구분된다.
제1 거치편(111)에서 제1 가동편(111b)을 하방을 향해 접어 제1 고정구(111a)를 형성하고 제1 가동편(111b)의 끝단을 접어서 제1 삽입구(114)에 삽입 고정시키게 되면 제1 가동편(111b)이 대략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된다.
이 상태에서 제1 고정구(111a)에 컵을 거치하게 되면 컵의 외주면이 제1 가동편(111b)에 지지되므로 컵이 편심되지 않게 된다. 즉, 컵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컵 뚜껑이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컵 뚜껑이 없는 컵도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편(111b)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θ)를 조절하여 제1 가동편(111b)이 다양한 구배를 가지는 컵들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삽입구(114)를 상, 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하고 이 복수 개의 제1 삽입구(114)에 제1 가동편(111b)의 끝단을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시키게 되면 제1 가동편(111b)의 끝단이 이루는 각도(θ)를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거치편(130)은 제1 판(110)과 제2 판(120)의 하부 일부면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절개하는 한 쌍의 절개선(200)에 의해 판재(100)에 형성된다.
보다 구제척으로, 판재(100)에는 제1 판(110)과 제2 판(120)의 일부분을 동시에 절개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절개선(200)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선(200)에 의해 판재(100)에 제3 거치편(130)이 형성되고 제1 판(110)과 제2 판(120)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3 거치편(130)이 판재(100)에서 인출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3 거치편(130)은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질 때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마주보는 내측으로 인출되면서 가상의 중공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중공부에 컵이 거치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3 거치편(130)은 컵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대략 띠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가상의 중공부를 향해 구배가 형성된 컵이 끼워지면 제3 거치편(130)이 컵의 둘레를 파지하면서 컵 캐리어에서 컵이 자연스럽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컵 캐리어에 2개 이하의 컵을 수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 판(110)과 제2 판(120)을 서로 마주보게 접은 상태에서 제1, 2 거치편(111, 121)에만 컵을 수용하면 된다. 즉, 제3 거치편(130)을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게 되어 컵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는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질 때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접혀진 상태를 유치하기 위하여 판재(100)에 형성된 고정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300)은 체결홈(310)과 체결날개(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체결홈(310)은 제1 판(110)의 일측에 제1 판(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체결날개(320)는 제2 판(120)에 형성되며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각각 마주보며 접혀질 때 상기 체결홈(310)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체결날개(320)는 체결홈(3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판(120)의 일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구현되며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완전히 접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체결날개(320)가 체결홈(310)에 끼워져 제1 판(110)과 제2 판(120)이 서로 인접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300)의 체결홈(310)과 체결날개(320)는 하나의 일례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판(110)과 제2 판(120)의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변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컵 캐리어는 제1 고정구(111a)와 제2 고정구(121a)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제1 거치편(111)과 제2 거치편(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가변수단(400)을 더 포함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동편(111b)과 제2 가동편(121b)을 형성하지 않으며 제1 고정구(111a)와 제2 고정구(121a)가 완전히 타공 형성되되 이들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거치편(111)에 가변수단(400)이 형성된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상기 가변수단(400)은 칼집(410)과 조절편(4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칼집(410)을 통해 제1 거치편(111)에서 조절편(420)을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칼집(410)을 정의하자면, 조절편(420)을 제1 거치편(111)에서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서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해 제1 고정구(111a)의 주변에 가볍게 에어서 낸 진집을 의미한다.
즉, 제1 고정구(111a)에 수용되는 컵의 직경에 따라 조절편(420)을 제1 거치편(111)에서 선택적으로 제거하면 제1 고정구(111a)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컵 캐리어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 거치편(130)에 형성되는 가상의 중공부에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판재(100)에는 보조칼집(6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칼집(600)은 절개선(200)의 일측으로 연장되되 절개선(200)과 같이 완전히 판재(100)를 절개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칼집(410)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제3 거치편(130)의 일측을 제1 판(110)에서 떼어 낼 수 있도록 하여 가상의 중공부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제3 거치편(130)도 전술한 제1, 2 거치편(111, 121)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에서는 대략 원형의 판재(100)를 예시하였다. 이 경우, 컵 캐리어가 지면에 놓였을 때 편심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컵 캐리어는 판재(100)가 편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판재(100)의 일측으로 인출돼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판재(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편(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컵 캐리어가 지면에 놓일 경우, 지지편(500)을 지면에 닿도록 인출해 접어놓으면 컵 캐리어가 편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컵 캐리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는 광고판(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고판(700)은 홍보하고자 하는 로고나 문구 등이 프린트될 수 있는 부분으로, 제1 판(110)과 제2 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판(110)과 제2 판(120) 모두에 광고판(700)이 형성된 일례를 도시하였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판(110)에 형성된 광고판(700)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판(700)은 제1 고정구(111a)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1 판(110)과 연결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제1 거치편(111)이 제1 판(110)에서 절첩되어도 광고판(700)은 제1 거치편(111)과 함께 절첩되지 않도록 구현하였다.
이에 더하여, 제1 거치편(111)과 제2 거치편(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빨대를 꼽아 거치할 수 있는 빨대고정구(H)가 타공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지지편(111)에 제1 가동편(111b)을 형성하고, 제2 지지편(121)에 가변수단(400)을 적용한 컵 캐리어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판재
110: 제1 판
111: 제1 거치편
111a: 제1 고정구
112: 제2 절취선
120: 제2 판
121: 제2 거치편
121a: 제2 고정구
122: 제2 절취선
130: 제3 거치편
140: 중심절곡선
200: 절개선
300: 고정수단
400: 가변수단
500: 지지편
600: 보조칼집
700: 광고판
B: 베이스판
H: 빨대고정구

Claims (5)

  1. 제1 판과 제2 판으로 나누어지도록 중심절곡선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판상의 판재;
    상기 제1 판의 상부 일부면이 절개되어 접혀지되 중앙에 컵을 거치하기 위한 제1 고정구가 형성되는 제1 거치편;
    상기 제2 판의 상부 일부면이 절개되어 접혀지되 중앙에 컵을 거치하기 위한 제2 고정구가 형성되는 제2 거치편; 및
    제1 판과 제2 판의 하부를 동시에 절개하는 한 쌍의 절개선에 의해 판재에 형성되는 제3 거치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거치편과 제2 거치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가동편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3 거치편은 제1 판과 제2 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질 때 제1 판과 제2 판이 마주보는 내측으로 인출되면서 가상의 중공부를 형성해서 상기 중공부에 컵이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에는 끝단이 접혀질 수 있도록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판과 제2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하부에는 접혀진 가동편의 끝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끝단이 삽입구에 삽입 고정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면 컵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친환경 컵 캐리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캐리어는,
    판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판과 제2 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질 때 제1 판과 제2 판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캐리어는,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제1 거치편과 제2 거치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가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캐리어는,
    판재가 편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판재의 일측으로 인출돼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판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KR1020180080321A 2017-07-12 2018-07-11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KR10200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7855 WO2019013546A1 (ko) 2017-07-12 2018-07-11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US16/609,430 US20200140167A1 (en) 2017-07-12 2018-07-11 Resource-sav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dhesive-free cup carrier
JP2019566656A JP2020521689A (ja) 2017-07-12 2018-07-11 資源節約型無接着エコカップキャリア
PH12019502829A PH12019502829A1 (en) 2017-07-12 2019-12-16 Resource-sav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dhesive-free cup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8253 2017-07-12
KR1020170088253 2017-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96A KR20190007396A (ko) 2019-01-22
KR102003511B1 true KR102003511B1 (ko) 2019-10-04

Family

ID=6532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321A KR102003511B1 (ko) 2017-07-12 2018-07-11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40167A1 (ko)
EP (1) EP3653528A1 (ko)
JP (1) JP2020521689A (ko)
KR (1) KR102003511B1 (ko)
CN (1) CN110753664A (ko)
PH (1) PH12019502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540B1 (ko) * 2019-01-23 2019-10-14 주식회사 레스랩스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비대칭 컵 홀더 및 이를 수용하는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 컵 캐리어
KR20220127435A (ko) 2021-03-11 2022-09-20 이형진 음료수 컵 캐리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64B1 (ko) 2012-08-16 2012-11-13 이원국 컵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37577A1 (en) * 2000-03-07 2001-09-17 Clare Louise Taylor Configurable cup holder
CN201856982U (zh) * 2010-10-08 2011-06-08 苏文洲 一种饮料杯包装盒
BR112013013405B1 (pt) * 2010-12-03 2020-05-05 Graphic Packaging Int Inc embalagem, matriz para formar um carregador, e método para formar uma embalagem
CN103359385B (zh) * 2012-03-29 2014-12-10 昆山市依托邦食品包装有限公司 杯托
KR101221758B1 (ko) * 2012-09-26 2013-01-11 이원국 컵 캐리어
KR200474366Y1 (ko) 2012-11-28 2014-09-12 현대다이모스(주) 언더 스토리지 락킹 장치
ES1078833Y (es) * 2013-02-12 2013-06-10 Porte Jose Rene Envase de comida con soporte para bebidas
CN203667124U (zh) * 2014-01-23 2014-06-25 深圳中钜铖国际商贸有限公司 纸袋连挂卡杯贴
CN203975406U (zh) * 2014-06-18 2014-12-03 龙利得包装印刷(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高脚玻璃杯包装盒
CN205819970U (zh) * 2016-05-13 2016-12-21 张锐 一种奶茶手提式包装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64B1 (ko) 2012-08-16 2012-11-13 이원국 컵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1689A (ja) 2020-07-27
EP3653528A1 (en) 2020-05-20
US20200140167A1 (en) 2020-05-07
PH12019502829A1 (en) 2020-12-07
CN110753664A (zh) 2020-02-04
KR20190007396A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702B1 (en) Integrated cup carrier
US6152362A (en) Food server and condiment holder
CA3077967C (en) Tray for supporting containers and a blank for making the same
JP3202643U (ja) 飲料用の支持部を備えた食品コンテナ
KR102003511B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US20130284616A1 (en) Carrier for beverage cups
US10045645B2 (en) Portable cup holder
KR101380398B1 (ko) 일회용 컵 캐리어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1546330B1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KR101589460B1 (ko) 컵 캐리어
US20080099356A1 (en) Flower shipment packaging
US9402491B1 (en) Pizza box and cup holder in combination
KR101221758B1 (ko) 컵 캐리어
WO2016040275A1 (en) Container or utensil support structure
US20100096397A1 (en) Cup Carrier for Inserting in a Bag
US20170008659A1 (en) Collapsible beverage holder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KR200491336Y1 (ko) 컵 캐리어 구조체
US20160015220A1 (en) Combination food and beverage carrier
US20060076382A1 (en) Waist-mounted tray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50060532A1 (en) Food Product Holder
US20040163992A1 (en) Single taco trap and holder
KR101668604B1 (ko) 부케용 상자
KR102667180B1 (ko) 컵 및 용기 운반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