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940B1 - 꽃다발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꽃다발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940B1
KR102514940B1 KR1020200162884A KR20200162884A KR102514940B1 KR 102514940 B1 KR102514940 B1 KR 102514940B1 KR 1020200162884 A KR1020200162884 A KR 1020200162884A KR 20200162884 A KR20200162884 A KR 20200162884A KR 102514940 B1 KR102514940 B1 KR 10251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quet
fixing
support
fixtur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407A (ko
Inventor
정휘빈
Original Assignee
정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빈 filed Critical 정휘빈
Priority to KR102020016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9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cut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 포장 용기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본체,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꽃다발을 고정하기 위한 꽃다발 고정구를 포함하고, 꽃다발 고정구는 꽃다발의 줄기부가 꽂히는 꽃다발 고정부를 구비하는 꽃다발 고정면과 꽃다발 고정면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면과 두 개의 지지면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면을 포함한다. 두 개의 결합면은, 꽃다발 고정구가 위에서 아래로 꽃다발 고정면, 지지면, 결합면의 순서가 되도록 위로 볼록한 준비 상태와, 위에서 아래로 결합면, 지지면, 꽃다발 고정면의 순서가 되도록 아래로 볼록하되 꽃다발 고정면이 꽃다발의 줄기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 내부 저면보다 위에 있는 상태인 고정 상태를 가질 수 있는 높이로 용기 본체 내부 측면에 결합된다.

Description

꽃다발 포장 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BOUQUET}
본 개시의 실시예는 꽃다발을 담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꽃다발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반할 수 있는 꽃다발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의 꽃다발 포장 용기라 함은, 꽃들이 모여 있는 부분인 꽃부가 위로 가고 줄기가 모여 있는 부분인 줄기부가 아래로 가도록 꽃다발을 세워서 보관하고 운반할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용기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 가방 형태이든 손잡이가 없는 단순한 박스 형태이든, 덮개가 있어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형태이든 없는 형태이든 불문한다.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다발 포장 용기(200)에는 꽃다발(F)이 운반 중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꽃다발 고정구(210)가 상면이 개방된 용기 본체(220) 내부 하측에 구비된다.
꽃다발 고정구(210)는 꽃다발 고정면(211)과 꽃다발 고정면(211) 양단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어 꽃다발 고정면(211)을 용기 본체(220) 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두 개의 지지면(212)으로 구성된다.
꽃다발 고정면(211)의 대략 중앙에는 관통공(도 5에서 꽃다발(F)이 삽입되어 있어 보이지 않음)과 그 주위로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형태로 관통공을 에워싸며 형성된 복수의 지지날개(213a)들을 구비하는 꽃다발 고정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꽃다발(F)의 줄기부(F1)가 꽃다발 고정부(213) 중앙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아래로 이동되면 꽃다발(F)의 줄기부(F1)와 접촉된 지지날개(213a)들이 아래로 힘을 받아 줄기부(F1)와 접촉된 채로 아래쪽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꽃다발(F)을 더 아래로 이동시켜 줄기부(F1) 하단이 용기(200) 내부 저면에 닿아 꽃다발(F)이 자리를 잡고 나서 작업자가 손을 떼도 줄기부(F1)에 단부가 접촉된 지지날개(213a)들이 원위치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줄기부(F1) 아래쪽 둘레로 가하는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의해 꽃다발(F)이 운반 중에 쓰러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꽃다발 포장 용기(200)는 꽃다발 고정구(210)의 꽃다발 고정면(211)이 용기 본체(220)의 아래쪽에 있어 용기 본체(220) 상면으로부터 꽃다발(F)을 내리면서 꽃다발(F)의 줄기부(F1)를 꽃다발 고정면(211)의 꽃다발 고정부(213)에 실수 없이 한 번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꽃다발(F)에 가려서 용기 본체(220) 바닥쪽에 위치한 꽃다발 고정부(213)가 육안으로 확인이 잘되지 않기도 하고, 멀리서 조작하여 꽃다발 고정부(213)의 관통공에 꽃다발(F)의 줄기부(F1) 하단을 정확히 맞추는 것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용기 본체(220)가 깊어 꽃다발 고정면(211)이 용기 본체(220) 상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이러한 문제점은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꽃다발 고정부(213)에 꽃다발(F)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꽃다발(F)의 형태가 손상되거나 꽃부(F2)의 꽃들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꽃다발 고정면(211)의 꽃다발 고정부(213)에 의해서 꽃다발(F) 줄기부(F1)의 아래쪽이 힘을 받기는 하나 꽃다발(F)의 무게중심에 가까운 위치는 꽃부(F2)의 근방인데 그 부분을 지지하는 힘이 없어 외부 충격에 의해 꽃다발(F)이 쓰러져 꽃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본 개시는, 꽃다발을 꽃다발 고정구의 꽃다발 고정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누구나 실수없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꽃다발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꽃다발의 줄기부 아래쪽은 물론 꽃다발의 무게중심에 가까운 위치인 꽃부의 근방에도 지지력을 제공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꽃다발을 보호할 수 있는 꽃다발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 포장 용기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꽃다발을 고정하기 위한 꽃다발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꽃다발 고정구는 꽃다발의 줄기부가 꽂히는 꽃다발 고정부를 구비하는 꽃다발 고정면과 상기 꽃다발 고정면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면과 상기 두 개의 지지면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결합면은, 상기 꽃다발 고정구가 위에서 아래로 꽃다발 고정면, 지지면, 결합면의 순서가 되도록 위로 볼록한 준비 상태와, 위에서 아래로 결합면, 지지면, 꽃다발 고정면의 순서가 되도록 아래로 볼록하되 꽃다발 고정면이 꽃다발의 줄기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 내부 저면보다 위에 있는 상태인 고정 상태를 가질 수 있는 높이로 용기 본체 내부 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 포장 용기에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면 상에 위치한 폐곡선 형상이면서 일부를 제외한 테두리가 절개되어 있어 상기 지지면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로 기울어진 형태로 돌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꽃부 지지날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 포장 용기는 꽃다발을 꽃다발 고정구의 꽃다발 고정부에 삽입하고 고정하는 과정이 시행착오나 실수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꽃다발의 줄기부 아래쪽은 물론 꽃다발의 무게중심에 가까운 위치인 꽃부의 근방에도 지지력이 제공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꽃다발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꽃다발 포장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기준으로 꽃다발 포장 용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꽃다발 포장 용기에 적용되는 꽃다발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꽃다발 포장 용기에 꽃다발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꽃다발 포장 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 포장 용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다발 포장 용기(100)는 꽃다발 고정구(110)와 용기 본체(12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2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동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121)가 용기 본체 상측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꽃다발 고정구(110)는 용기 본체(120)내에 수용되는 꽃다발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꽃다발 고정면(111), 두 개의 지지면(112), 두 개의 결합면(114)을 포함한다.
꽃다발 고정면(111)에는 꽃다발(F, 도 3 참조, 이하 동일)의 줄기부(F1, 도 3 참조, 이하 동일)가 꽂히는 꽃다발 고정부(113)가 구비된다. 꽃다발 고정부(113)는 꽃다발 고정면(111)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며 관통공(113b)와 그 주위로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형태로 관통공을 에워싸며 형성된 복수의 줄기부 지지날개(113a)들로 형성된다.
꽃다발 고정면(111)의 양단에는 두 개의 지지면(112)이 각각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면(112)이 꽃다발 고정면(111)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절곡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꽃다발 고정면(111)과 두 개의 지지면(112)이 이루는 측면 프로파일이 원호 형상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두 개의 지지면(112)의 하단에서는 결합면(114)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 두 개의 결합면(114)은 용기 본체(120)의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이라 함은 직접적인 결합과 다른 것을 매개로 한 결합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벨크로 테잎을 이용한 부착,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부착, 결합면(114)에 부착된 단추와 용기 그에 대응하는 용기 본체(120)에 부착된 단추구멍 간의 체결 등이 가능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는 결합면(114)이 용기 본체(120)에 결합되는 높이가 매우 중요하다. 결합면(114)이 용기 본체(120)에 결합되는 높이는, 꽃다발 고정구(110)가 '준비 상태'와, '고정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준비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다발 고정구(110)가 위에서 아래로 꽃다발 고정면(111), 지지면(112), 결합면(114)의 순서가 되도록 위로 볼록한 상태로서, 초기 상태라 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상태'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다발 고정구(110)가 위에서 아래로 결합면(114), 지지면(112), 꽃다발 고정면(111)의 순서가 되도록 아래로 볼록한 상태이되, 꽃다발 고정면(111)의 용기 본체(120) 저면을 기준으로 한 높이는, 도 5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의 꽃다발 고정면(211)의 높이와 같은 정도여서, 꽃다발의 줄기부를 종래기술과 동일한 정도로 지지하게 되는 상태이다.
결합면(114)이 용기 본체(120)에 결합되는 높이는, 꽃다발 고정구(110)가 이러한 '준비 상태'와, '고정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하는 것이다.
'준비 상태'에서는 꽃다발 고정면(111)이 종래기술에 비해 높게, 예를 들어 실시예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 본체(120)의 상면을 넘어 돌출될 정도로 높게 되어 있음에 따라 꽃다발 고정면(111) 상의 꽃다발 고정부(113)에 삽입할 때 누구나 실수나 시행착오 없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준비 상태'와 '고정 상태'가 있도록 하는 것 외에도, 실시예에서는 지지면(112)에 꽃부 지지날개(112a)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꽃부 지지날개(112a)는 지지면(112) 상에 위치한 폐곡선 형상이면서 일부를 제외한 테두리가 절개되어 있어 지지면(112)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로 기울어진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에는 지지면(112)으로부터 기울어져 돌출되지 않은 형태의 꽃부 지지날개(112a)를 실선으로, 기울어져 돌출된 형태의 꽃부 지지날개(112a)를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줄기부 지지날개(113a)가 꽃다발의 줄기부를 지지하는 것과 달리, 꽃부 지지날개(112a)는 꽃다발의 꽃부에 가까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 2에서는 꽃부 지지날개(112a)가 꽃다발 고정구(1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꽃다발 고정구(1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나란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갯수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도 아니다. 꽃부 지지날개(112a)가 없는 경우에 비해 꽃부의 지지가 가능함에 의해 종래기술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의 꽃다발 고정구(110)를 보인 도 4와 같이, 꽃부 지지날개(112a)는 꽃다발 고정부(113)의 관통공(113b)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경우 꽃부에 작용하는 힘이 사방에서 균일하여 꽃부를 더욱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꽃부 지지날개(112a)의 단면 형상은 안쪽으로 오목한 원호형으로 되어 있고 이 경우 꽃부의 외부 형상과 유사하여 꽃부를 지지하기에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기준으로 꽃다발 포장 용기(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a는 상술한 '준비 상태'를 도시한다.
도 3b는 꽃부 지지날개(112a)를 경사지게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 역시 꽃다발 고정구(110)가 위에서 아래로 꽃다발 고정면(111), 지지면(112), 결합면(114)의 순서가 되도록 위로 볼록한 상태이므로 '준비 상태' 내지 초기 상태이다.
도 3c는 꽃다발 고정부(113)로 꽃다발(F)의 줄기부(F1)가 삽입되면서 하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인다. 꽃다발 고정부(113)에 인접한 꽃다발 고정면(111)은 아래로 오목해지고, 지지면(112)은 바깥쪽으로 볼록해짐을 볼 수 있다.
도 3d는 꽃다발 고정부(113)에 꽃다발 줄기부(F1)가 삽입된 상태로 계속 하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부와 하부 모두 위쪽을 향해 기립해 있던 지지면(112)이 상부부터 아래쪽을 향해 숙여지기 시작하여 도 3에서는 전체의 대부분이 아래쪽을 향해 숙여지고 하부 일부만이 위쪽을 향해 기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다.
지지면(112)이 아래로 숙여짐에 따라 용기 본체(120)의 외부에 위치하던 경사지게 돌출된 꽃부 지지날개(112a)가 용기 본체(112a)의 내부로 들어오면서 그 단부가 꽃다발(F)의 꽃부(F1)에 접촉하여 힘을 가하게 됨을 볼 수 있다.
도 3e는 상술한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꽃다발 고정구(110)가 위에서 아래로 결합면(114), 지지면(112), 꽃다발 고정면(111)의 순서가 되도록 아래로 볼록한 상태이되, 꽃다발 고정면(111)의 용기 본체(120) 저면을 기준으로 한 높이는, 도 5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의 꽃다발 고정면(211)의 높이와 같은 정도여서, 꽃다발의 줄기부를 종래기술과 동일한 정도로 지지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고정 상태'에서도 꽃부 지지날개(112a)는 여전히 꽃다발(F)의 꽃부(F1)에 접촉하여 힘을 가함을 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각종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로서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개시는 여러 여건상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설명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무수히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해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지된 본 개시의 근원적인 기술적 사항을 바탕으로 폭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꽃다발 포장 용기
110...꽃다발 고정구
111... 꽃다발 고정면
113... 꽃다발 고정부
113a... 줄기부 지지날개
113b... 관통공
112... 지지면
112a... 꽃부 지지날개
114... 접착면
120... 용기 본체
121... 손잡이
F... 꽃다발
F1... 줄기부
F2... 꽃부

Claims (2)

  1. 상면이 개방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꽃다발을 고정하기 위한 꽃다발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꽃다발 고정구는:
    꽃다발의 줄기부가 꽂히는 꽃다발 고정부를 구비하는 꽃다발 고정면;
    상기 꽃다발 고정면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면; 및
    상기 두 개의 지지면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용기의 마주보는 내부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결합면은:
    상기 꽃다발 고정구가 위에서 아래로 꽃다발 고정면, 지지면, 결합면의 순서가 되도록 위로 볼록한 준비 상태; 및
    위에서 아래로 결합면, 지지면, 꽃다발 고정면의 순서가 되도록 아래로 볼록하되 꽃다발 고정면이 꽃다발의 줄기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 저면보다 위에 있는 상태인 고정 상태;를 가질 수 있는 높이로 용기 내부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면 상에 위치한 폐곡선 형상이면서 일부를 제외한 테두리가 절개되어 있어 상기 지지면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로 기울어진 형태로 돌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꽃부 지지날개를 포함하는,
    꽃다발 포장 용기.
  2. 삭제
KR1020200162884A 2020-11-27 2020-11-27 꽃다발 포장 용기 KR10251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84A KR102514940B1 (ko) 2020-11-27 2020-11-27 꽃다발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84A KR102514940B1 (ko) 2020-11-27 2020-11-27 꽃다발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07A KR20220074407A (ko) 2022-06-03
KR102514940B1 true KR102514940B1 (ko) 2023-03-29

Family

ID=8198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884A KR102514940B1 (ko) 2020-11-27 2020-11-27 꽃다발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9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798Y1 (ko) * 2006-07-05 2006-10-27 천지영농조합법인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200449006Y1 (ko) 2009-12-17 2010-06-09 전희정 포장박스 받침대
KR101668604B1 (ko) 2014-12-16 2016-10-24 임훈 부케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561U (ko) * 1989-11-24 1991-07-29
KR200465967Y1 (ko) * 2011-03-22 2013-03-22 중앙화훼종묘(주)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JP3195303U (ja) * 2014-09-26 2015-01-15 加藤 憲司郎 切り花運搬用補助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798Y1 (ko) * 2006-07-05 2006-10-27 천지영농조합법인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200449006Y1 (ko) 2009-12-17 2010-06-09 전희정 포장박스 받침대
KR101668604B1 (ko) 2014-12-16 2016-10-24 임훈 부케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07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9623T3 (es) Piezas de inserción para una caja clasificadora
RU2189339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срезанных цветов
ES2034253T3 (es) Caja de carton para botes.
KR102514940B1 (ko) 꽃다발 포장 용기
KR200452414Y1 (ko) 포장계란 캐리어
KR101463269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200475933Y1 (ko) 과일 보관용 상자
KR200428425Y1 (ko) 상자의 손잡이 구조와 그 상자
ES2351766T3 (es) Soporte, sistema de envasado y método de envasado de bandejas de plántulas.
KR101997678B1 (ko) 음식물 포장상자
KR101953986B1 (ko) 와인병 보호 커버
US3055492A (en) Container for paint brushes
KR20070032859A (ko) 포장용 상자
KR102604033B1 (ko) 배송용 상자
KR102547737B1 (ko) 식물 배송용 포장 박스 및 식물 배송용 포장 박스 조립체
JPH11198983A (ja) 切花の収納箱
JPH055184Y2 (ko)
KR200463330Y1 (ko) 반지케이스
KR101668604B1 (ko) 부케용 상자
JP6924117B2 (ja) 製品固定パッド、および固定片の保持構造
KR200183186Y1 (ko)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20140001976U (ko) 식품 포장용기
JP4958949B2 (ja) 包装用緩衝材
JP6322236B2 (ja) 箱詰め瓶体用天部側緩衝部材及び瓶体収納箱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