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319A -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319A
KR20090123319A KR1020080049319A KR20080049319A KR20090123319A KR 20090123319 A KR20090123319 A KR 20090123319A KR 1020080049319 A KR1020080049319 A KR 1020080049319A KR 20080049319 A KR20080049319 A KR 20080049319A KR 20090123319 A KR20090123319 A KR 2009012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rotor
hole
disk
immobiliz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547B1 (ko
Inventor
정진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47B1/ko
Priority to US12/336,431 priority patent/US20090293566A1/en
Priority to CN2008101879472A priority patent/CN101591995B/zh
Priority to DE200810063405 priority patent/DE102008063405A1/de
Publication of KR2009012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1/00Devices preventing keys from being removed from the lock ; Devices preventing falling or pushing out of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74False or picking key tr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키의 고유코드와 미리 마련된 정보를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키 로킹 장치로서, 내벽에 후퇴홈(110)이 형성된 로터케이스(100); 로터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키홀(310)이 형성되고 후퇴홈(110)측에 관통홀(330)이 형성된 로터(300); 로터(300)의 내부에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게 설치되며, 키(500)가 관통하는 제2키홀(7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관통홀(330)을 통하여 후퇴홈(110)으로 돌출되는 걸림부(740)가 형성된 디스크(700); 및 제1키홀(310)을 통해 로터(300)에 삽입되고, 제2키홀(720)을 관통하며 걸림부(740)가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크(700)를 후퇴시켜 디스크(700) 및 로터(300)와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디스크(700)에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디스크(700)가 끼워지는 걸림홈(542)이 형성된 키(500);를 포함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가 소개된다. 그 키 로킹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인증은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으로 구현하게 되는바, 그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키를 돌린 상태에서 키가 탈거되지 않는다.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도어 록, 키 로킹

Description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Locking Unit For A Key For A Immobilizer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키의 고유코드와 미리 마련된 정보를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키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 로킹장치는 도어의 개폐나 차량의 시동시 그 차량의 진정한 소유자인지를 인식하기 위해 키 상에 고유의 라인을 형성하고, 그 라인과 로터의 텀블러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키를 통하여 차량 기구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시동장치의 키 로킹장치를 살펴본다. 시동장치의 경우, 키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스트어링 잠금장치(54)를 통하여 스트어링(30) 로킹을 하고, 시동 잠금장치(52)를 통하여 키를 통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한 스티어링 잠금장치(54)와 시동 잠금장치(52)는 일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시동 잠금장치(54)와 스티어링 잠금장치(52)가 일체로 구성되어 차종별 디자인에 따라 차이가 있어 부품의 공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시동부 위(10) 키홀 위치 디자인의 자유도가 제한되었다. 또한, 시동 잠금장치(52)가 설치되어 시동부위(10)의 패널이 과대해져 차량충돌시 탑승자의 상해위험이 있었다.
종래의 키 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5801호에 기재되어있다. 종래의 키 장치는 특정 형상의 키와 조합되는 복수 개의 텀블러를 로터에 설치하고, 텀블러와 키가 맞을 경우에만 키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는 복수 개의 복잡한 구성이 필요한 것이었고, 복제가 용이하여 보안상에도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차량의 사용자인식과 관련하여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416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차량의 키에 고유의 아이디 정보를 심어놓고, 그 아이디 정보와 차량에 미리 마련된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대조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이나 시동을 허가하는 것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법규상 스티어링 잠금장치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되므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하에서는 더 이상 복잡한 구조의 키 로킹장치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이모빌라이저 시스템과 종래의 키 로킹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기능의 중복과 제조 원가의 상승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증은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으로 수행하고, 키 로킹장치의 경우는 키를 꽂아 돌린 경우, 돌려진 상태에서 키가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이 사용되는 차량의 경우 키 로킹장치를 단순화하여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고, 디자인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시며,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는, 차량용 키의 고유코드와 미리 마련된 정보를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키 로킹 장치로서, 원통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벽 상단에 후퇴홈이 형성된 로터케이스; 상기 로터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끔 설치되며 전방에 제1키홀이 형성되고 후퇴홈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로터; 상기 로터의 내부에 상방으로 탄성 가압 되게끔 설치되며, 키가 관통하는 제2키홀이 형성되고, 상단에 관통홀을 통하여 후퇴 홈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디스크; 및 상기 제1키홀을 통해 로터에 삽입되고, 제2키홀을 관통하며 걸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크를 후퇴시켜 디스크 및 로터와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디스크에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디스크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키;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는 로터에 스프링으로 지지되며 가이드홈을 통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는 삽입되는 키의 하단부에 눌려 후퇴되도록, 제2키홀의 하단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는, 원통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벽에 키의 회전궤적을 따라 플렌지부가 형성된 로터케이스; 상기 로터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끔 설치되며 전방에 제1키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가 관통하는 플렌지홀이 형성된 로터; 및 상기 제1키홀을 통해 로터에 삽입되고, 로터와 함께 회전되며 회전된 상태에서 플렌지부에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렌지부는 로터에 삽입된 키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에 따르면,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이 장착될 경우 키 로킹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저렴해지고, 디자인의 설계 자유도가 증대되며, 시동키 삽입부의 부피가 줄어들어 충돌시 상해위험이 감소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를 살펴본다. 두 실시예는 모두 홈이 형성된 이모빌라이저 키를 사용하고, 키가 돌려진 후 홈이 걸림턱에 걸려 탈거되지 않는 것을 공통되는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우선, 본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를 도 2 내지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본발명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는, 차량용 키의 고유코드와 미리 마련된 정보를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키 로킹 장치로서, 원통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내벽에 후퇴홈(110)이 형성된 로터케이스(100); 상기 로터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제1키홀(310)이 형성되고 후퇴홈(110)측에 관통홀(330)이 형성된 로터(300); 상기 로터(300)의 내부에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게 설치되며, 키(500)가 관통하는 제2키홀(7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관통홀(330)을 통하여 후퇴홈(110)으로 돌출되는 걸림부(740)가 형성된 디스크(700); 및 상기 제1키홀(310)을 통해 로터(300)에 삽입되고, 제2키홀(720)을 관통하며 걸림부(740)가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크(700)를 후퇴시켜 디스크(700) 및 로터(300)와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디스크(700)에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디스크(700)가 끼워지는 걸림홈(542)이 형성된 키(500);를 포함한다.
도 2은 키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키(500)는 손잡이부(520)에 이모빌라이저용 코드가 내장되고, 삽입키부(540)에는 홈(542)이 형성되어 있다. 홈(542)은 상하가 구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하 모두에 대칭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그 삽입키부(540)는 일자의 막대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는 로터케이스와 로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로터케이스(100)는 원통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로터(300)가 회전되도록 설 치된다. 로터(300)의 전방에는 키(500)가 삽입되는 제1키홀(31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의 디스크측 단면도로서, 로터케이스(100)의 상단 내벽에는 후퇴홈(110)이 형성된다. 로터(300)의 내측에는 디스크(700)가 설치되며, 로터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디스크(700)의 일측에는 스프링(760)이 마련되고, 그 스프링(760)은 로터(300)에 고정되어 디스크(700)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디스크(700)의 상단에는 걸림부(740)가 형성되어 로터(300)의 관통홀(330)을 통해 선택적으로 후퇴홈(110)에 삽입된다. 디스크(700)에는 제2키홀(720)이 형성되어 키(500)가 삽입된다.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키(500)는 제1키홀(310)을 통하여 로터(300)에 삽입된다. 이후 키는 제2키홀(720)을 통하여 디스크(700)에 삽입되고, 그 디스크(700)에는 삽입되는 키(500)의 하단부에 눌려 후퇴되도록, 제2키홀(720)의 하단에 요철부(722)가 형성된다.(도 5참조) 따라서 디스크(700)는 삽입되는 키(500)에 눌려 스프링(760)의 탄성을 이기고 하강된다. 키(500)가 완전히 꽂힌 상태에서는 디스크(700)가 키(500)의 걸림홈(542)에 끼워지며, 로터(300) 내측으로 들어와 있어 걸림부(740)가 더 이상 후퇴홈(11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키(500)를 돌릴 경우 키(500)는 디스크(700) 및 로터(300)와 함께 로터케이스(100) 내부에서 회전한다. 회전도중에는 키(500)의 걸림홈(542)에 디스크(700)가 걸려있고, 키(500)를 잡아당겨도 디스크(700)가 로터케이스(100)의 내벽에 제한되어 상승되지 못하므로 키(500)가 탈거되지 않는다. 키(500)를 다시 돌려 원위치할 경우 키(500)를 잡아당김에 따라 디스크(700)는 후퇴홈(110)측으로 상승되고 키(500)는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를 도 6 내지 8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6는 로터(30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로터는 로터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제1키홀(310)이 형성되고, 일측에 플렌지홀(320)이 형성된다. 플렌지홀(320)에는 로터케이스(100)의 플렌지부(120)가 끼워진다. 도 7을 살펴보면, 로터케이스(100)는 원통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벽에 키(500)의 회전궤적을 따라 플렌지부(120)가 형성된다. 플렌지부(120)는 로터(300)에 삽입된 키(500)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로터(300)는 플렌지홀(320)에 플렌지부(120)가 끼워진 상태로 로터케이스(100) 내측에서 회전된다. 키(500)는 제1키홀(310)을 통해 로터(300)에 삽입되고, 로터(300)와 함께 회전되며 회전된 상태에서 플렌지부(120)에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홈(542)이 형성된다.
도 8은 로터케이스(100)의 플렌지부(120)측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로터케이스(100) 내측에는 플렌지부(120)가 설치되고, 키(500)는 로터(300)에 삽입된 채로 플렌지부(120)에 걸림홈(542)이 끼워지며 로터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된다. 플렌지부(120)에 걸림홈(542)이 끼워지고 회전된 상태에서 키(500)는 탈거되지 않는다. 키(500)를 다시 제자리로 회전시킨 경우 걸림홈(542)은 플렌지부(120)로부터 이탈되고, 키(500)는 탈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키 로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의 로터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의 디스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의 로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의 로터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터케이스 110 : 후퇴홈
120 : 플렌지부 300 : 로터
310 : 제1키홀 320 : 플렌지홀
330 : 관통홀 500 : 키
520 : 손잡이부 540 : 삽입키부
542 : 걸림홈 700 : 디스크
720 : 제2키홀 722 : 요철부
740 : 걸림부 760 : 스프링

Claims (5)

  1. 차량용 키의 고유코드와 미리 마련된 정보를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키 로킹 장치로서,
    원통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내벽에 후퇴홈(110)이 형성된 로터케이스(100);
    상기 로터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제1키홀(310)이 형성되고 후퇴홈(110)측에 관통홀(330)이 형성된 로터(300);
    상기 로터(300)의 내부에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게 설치되며, 키(500)가 관통하는 제2키홀(7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관통홀(330)을 통하여 후퇴홈(110)으로 돌출되는 걸림부(740)가 형성된 디스크(700); 및
    상기 제1키홀(310)을 통해 로터(300)에 삽입되고, 제2키홀(720)을 관통하며 걸림부(740)가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크(700)를 후퇴시켜 디스크(700) 및 로터(300)와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디스크(700)에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디스크(700)가 끼워지는 걸림홈(542)이 형성된 키(500);를 포함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700)는 로터(300)에 스프링(760)으로 지지되며 가이드홈을 통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 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700)는 삽입되는 키(500)의 하단부에 눌려 후퇴되도록, 제2키홀(720)의 하단에 요철부(7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4. 차량용 키의 고유코드와 미리 마련된 정보를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키가 돌려진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키 로킹 장치로서,
    원통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벽에 키의 회전궤적을 따라 플렌지부(120)가 형성된 로터케이스(100);
    상기 로터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에 제1키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120)가 관통하는 플렌지홀(320)이 형성된 로터(300); 및
    상기 제1키홀(310)을 통해 로터(300)에 삽입되고, 로터(300)와 함께 회전되며 회전된 상태에서 플렌지부(120)에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홈(542)이 형성된 키(500);를 포함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부(120)는 로터(300)에 삽입된 키(500)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 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KR1020080049319A 2008-05-27 2008-05-27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KR10097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19A KR100974547B1 (ko) 2008-05-27 2008-05-27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US12/336,431 US20090293566A1 (en) 2008-05-27 2008-12-16 Key Locking Device for Immobilizer Systems
CN2008101879472A CN101591995B (zh) 2008-05-27 2008-12-23 停机系统的钥匙锁定装置
DE200810063405 DE102008063405A1 (de) 2008-05-27 2008-12-31 Schlüsselsperrvorrichtung für Wegfahrsicherungssyst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19A KR100974547B1 (ko) 2008-05-27 2008-05-27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19A true KR20090123319A (ko) 2009-12-02
KR100974547B1 KR100974547B1 (ko) 2010-08-11

Family

ID=4125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319A KR100974547B1 (ko) 2008-05-27 2008-05-27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93566A1 (ko)
KR (1) KR100974547B1 (ko)
CN (1) CN101591995B (ko)
DE (1) DE102008063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658B (zh) * 2012-07-05 2014-07-09 杨加旭 一种锁止型电门锁
US9460571B2 (en) * 2014-10-17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up key for multiple backup key integration into a mobile device case
CN105206462B (zh) * 2015-09-07 2017-05-03 山东新大洋电动车有限公司 租赁车用整体式防盗点火开关
CN112593771B (zh) * 2021-01-05 2021-10-26 浦江杭浦工贸有限公司 一种吞入错钥匙的防盗门锁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9513A (en) * 1952-05-20 1958-04-08 Mefina Sa Security locks
US3789636A (en) * 1971-03-16 1974-02-05 Tokai Rika Co Ltd Device in an automobile for preventing an accidental locking of a steering shaft
CH662610A5 (de) * 1983-07-26 1987-10-15 Uniswitch Ag Sicherheitsschloss.
JP2774928B2 (ja) * 1993-11-22 1998-07-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掟
JP3585550B2 (ja) * 1994-02-03 2004-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キースイッチ装置
DE19839347C1 (de) * 1998-08-28 1999-12-02 Daimler Chrysler Ag Zündschloßsystem für Kraftfahrzeuge
US6389856B1 (en) * 1999-06-11 2002-05-21 Nissan Motor Co., Ltd. Lock apparatus
JP3545646B2 (ja) * 1999-06-11 2004-07-21 株式会社アルファ ロック装置
DE19939733C2 (de) * 1999-08-21 2001-10-11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Fahrzeugmotors mittels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KR100709441B1 (ko) * 2001-05-22 2007-04-18 에프에이비 에이. 에스. 실린더 로크, 특히 자동차용 실린더 로크
DE102004019919B3 (de) * 2004-04-21 2006-02-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Fahrzeugmotors mittels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und ein dazu zu verwendener Schlüssel
KR100570401B1 (ko) * 2004-07-14 200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난 방지용 도어락 구조
US20060053848A1 (en) * 2004-09-14 2006-03-16 Riad Ghabra Vehicle ignition lock
KR100616375B1 (ko) * 2004-12-27 2006-08-29 주식회사 신창전기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키 장치의 릴리스 레버
KR100706448B1 (ko) * 2005-07-04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난 방지를 위한 엔진 ecu의 시동 제어방법
KR20070088909A (ko) * 2006-02-27 2007-08-30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이모빌라이저 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1995A (zh) 2009-12-02
CN101591995B (zh) 2013-08-28
US20090293566A1 (en) 2009-12-03
DE102008063405A1 (de) 2009-12-03
KR100974547B1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5072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取り付ける盗難防止装置
JP2008255726A (ja) シリンダ錠装置
US6786069B2 (en) Steering lock apparatus
JP2000352231A (ja) ロック装置
US3863473A (en) Cylinder lock with key in particular for steering-wheel locks for motor vehicles
KR100974547B1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JP368849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766553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83818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99022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142389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333983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733449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01452337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対する盗難防止装置、および関連するステアリングコラム
CN211173471U (zh) 一种双锁绳挂锁
JP342389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657837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623658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盗難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4733450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009191603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403395B2 (ja) シリンダ錠
JP4733451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397979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716363B1 (ko)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JP5142388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