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286A -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 및 시팅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 및 시팅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286A
KR20090122286A KR20097021350A KR20097021350A KR20090122286A KR 20090122286 A KR20090122286 A KR 20090122286A KR 20097021350 A KR20097021350 A KR 20097021350A KR 20097021350 A KR20097021350 A KR 20097021350A KR 20090122286 A KR20090122286 A KR 2009012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ide support
cross support
latching
det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608B1 (ko
Inventor
루드거 뮈렌브룩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2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36Surface interlo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66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with supplemental joining
    • Y10T29/49968Metal fusion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를 구비한 차량 시트용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크로스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15)을 포함하고, 사이드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8)을 구비한다. 조립 동안, 디텐트 수단 및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은 서로에 대하여 결합되는데, 사이드 지지체 및 조립 지지체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된다. 크로스 지지체는 결합을 위해 사이드 지지체를 에워싼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시팅 구조물에 관계한다.
조립 방법, 크로스 지지체, 사이드 지지체, 디텐트 수단, 시팅 구조물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 및 시팅 구조물{ ASSEMBLY METHOD FOR FORMING A SEATING STRUCTURE OF A VEHICLE SEAT, AND SE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크로스 지지체(cross support) 및 사이드 지지체(side support)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에 대한 것이다. 크로스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detent means)을 갖고 사이드 지지체는 거기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을 갖는다. 조립를 위해 디텐트 수단들 및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들은 서로에 대하여 래칭(latching)에 의해 연결된다.
래칭에 의해 연결되는 디텐트 수단들을 갖는 조립 방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져왔다. 예를 들어, 독일등록특허 DE 10 2004 053 257 A1호는 프로파일 단면(profile section)을 캐리어(carrier)에 조이기 위한 배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프로파일 단면 및/또는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고정 부재(fixing element)를 갖는다. 래칭 텅(latching tongue)을 구비한 래칭부는, 예를 들어, 고정 부재로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알려진 조립 방법의 단점은 조립된 요소들이 다른 하나에 대하여 빠져나가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오정렬에 의해 래칭 수단은 래칭 효과를 시도하는 동안 손상될 수 있고, 부품 전체가 폐기물로서 버려질 것이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어 웰딩(welding)에 의해, 부분들이 최종적으로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에, 그것들은 서로에 대하여 부정확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동안 및 구성 요소들이 고정되기 이전에 구성 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정확한 정렬이 미리 보장되도록 조립 방법을 구체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크로스 지지체(cross support) 및 사이드 지지체(side support)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크로스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은 사이드 지지체의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과 래칭 방식으로 결합한다. 조립 동안, 크로스 지지체와 사이드 지지체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 위치이고, 래칭 결합을 위해 크로스 지지체는 사이드 지지체 둘레로 연장된다.
따라서,유리하게는,조립 동안 크로스 지지체에 대한 사이드 지지체의 미끄러짐(slippage)이 그 둘레로의 크로스 지지체의 연장에 의해 실질적으로 배제되는데, 이로 인해 오정렬 없이 래칭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 방법은 실질적으로 더 빠르게 비숙련가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원가 및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조립 동안의 잘못된 래칭 위치에 의한 디텐트 수단의 손상 위험이 상당히 줄어든다.
사이드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네 개의 면들을 갖는데, 두 개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들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두 개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들은 수직으로 배열되며, 수직면들은 수평면들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다. 두 개의 수평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움직인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지지체가 사이드 지지체 둘레로 연장되어 사이드 지지체의 하나의 수평면은 오버랩 영역 내에서 크로스 지지체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고 사이드 지지체의 하나의 수직면은 오버랩 영역 내에서 크로스 지지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래칭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하나에 대한 사이드 지지체 및 크로스 지지체의 최초 고정(first fixing)으로 작용한다. 다른 하나에 대한 사이드 지지체 및 크로스 지지체의 최종 고정(final fixing)을 위해,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물질 접합(material joint), 바람직하게는 웰딩(welding)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그것들의 최종 위치내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최종 고정 이전에 크로스 지지체와 사이드 지지체가 래칭 결합에 의해 형상-맞춤(form-fitting)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최초 고정을 통해 물질 접합에 의한 최종 고정이 단순화되고 이 경우에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가 실질적으로 더 이상 다른 하나에 대하여 교체될 수 없다.
크로스 지지체의 디텐트 수단은 조립 이동이 실행되는 동안 바람직하게 사이드 지지체의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에 의해 래치되는데, 크로스 지지체는 조립 이동에 반하는 이동에 관하여 래칭 결합을 통해 사이드 지지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이드 지지체에 대한 크로스 지지체의 최초 고정은 단 하나의 이동 또는 두 개의 이동에 의해 유리하게 생성된다. 따라서, 복잡하고 비싼 고정 툴들 또는 최초 고정을 위한 다수의 조립 단계가 불필요하다.
더욱이, 래칭 결합은 조립 이동에 반하는 이동에 의해 다시 해제될 수 있다. 디텐트 수단 및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이 서로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래칭 결합 자체에 대한 것 보다 더 큰힘이 사용되어야 한다.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 사이의 최초 고정은 유리하게 가역적이고, 조립 에러(error)의 경우에도 크로스 지지체는 사이드 지지체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해져야하는 더 큰 힘 때문에, 고정의 의도되지 않는 해제가 더 어려워진다.
제 1의 구현예에서, 바람직하게 크로스 지지체 상의 하나 이상의 래칭 러그(latching lug)가 디텐트 수단으로 제공되고 하나 이상의 접힌 에지(folded edge)가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조립 동안 바람직하게 래칭 러그는 접힌 에지 뒤에 결합하여 사이드 지지체 및 크로스 지지체의 서로에 대한 최초 고정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접힌 에지는 사이드 지지체와 일체로(integrally) 제공되고/되거나 래칭 러그는 크로스 지지체 상에 일체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일체로(integrally)"는 접힌 에지 및/또는 래칭 러그가 사이드 지지체 및/또는 크로스 지지체와 동일한 물질로부터 생산되고 사이드 지지체 및/또는 크로스 지지체와 하나의 피스(piece)로 생산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형태의 성형 툴(forming tool)에 의해 래칭 러그는 그것이 생성되는 동안 크로스 지지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텐트 수단 및/또는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의 형성은 특히 빨리 이뤄져서 크로스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 지지체의 생산 공정이 길지 않다. 부가적으로, 디텐트 수단들과 크로스 지지체 사이 및/또는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들과 사이드 지지체 사이의 연결은 특히 견고하고 안정적이다. 따라서, 크로스 지지체로부터의 디텐트 수단의 해제 및/또는 사이드 지지체로부터의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의 해제는 유리하게도 더 어려워진다.
이러한 제 1의 구현예에서 래칭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크로스 지지체의 래칭 러그는 특히 바람직하게 사이드 지지체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따라서, 사이드 지지체는 크로스 지지체의 위치확정을 위한 방향자(orientation)로 기능한다. 오로지 특정한 영역 내에서 크로스 지지체를 사이드 지지체 상에 놓기 위해, 예를 들어, 마킹들(markings)이 사이드 지지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조립는 특히 단순해지는데, 크로스 지지체가 마킹후 그 위치에 놓음으로써 위치 확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크로스 지지체는 디텐트 수단으로 하나 이상의 리세스(recess)를 갖고 사이드 지지체는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으로 하나 이상의 탭(tab)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탭은 바람직하게 리세스에 의해 수용되어 래칭 결합을 생성한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탭과 리세스 사이에서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으로 형성되고, 리세스는 탭이 리세스 내에 위치될 때 형성된다. 이러한 제 2의 구현예에서, 역시, 디텐트 수단 및/또는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은/수단들은 바람직하게 크로스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의 구현예에서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래칭 러그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탭의 개구부 내에 삽입된다. 개구부 내에 래칭 러그를 더 삽입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탭과 리세스 사이에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연결을 생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 2의 구현예에서,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는 두 개의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연결 수단에 의해 다른 하나에 대하여 유리하게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탭을 리세스 내에 삽입함으로써, 사이드 지지체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크로스 지지체가 사이드 지지체와 결합된다. 따라서, 리세스는 마킹으로 작용한다.
제 2의 구현예에서, 크로스 지지체는 바람직하게 사이드 지지체 상에 놓여 래칭 결합을 이룬다. 이러한 경우에 탭은 리세스 내로 가이드된다. 따라서,사이드 지지체 및 리세스는 래칭 결합동안 크로스 지지체에 대한 가이드를 형성하고, 사이드 지지체에 대한 크로스 지지체의 부정확한 위치는 실질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래칭 결합후에, 바람직하게 사이드 지지체 및 크로스 지지체는 서로에 대하여 웰딩되어(welded) 물질 접합이 생성된다. 자명하게,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는 서로에 대하여 결합될(bonded) 수 있고/있거나 스크류(screwed) 될 수 있고/있거나 리베트(riveted)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이드 지지체 및 크로스 지지체는 클린칭(clinching)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연결된다. 클린칭은 예를 들어, DIN 859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점을 갖는데, 특히, 연결을 위해 예비-펀칭(pre-punching)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 물질 접합은 바람직하게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가 서로에 대하여 최종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시트용 시팅 구조물로서, 시팅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크로스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을 갖고 사이드 지지체는 거기에 상보적인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을 갖는다. 디텐트 수단 및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에 의해 크로스 지지체와 사이드 지지체가 래칭 결합된 후에, 크로스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오버랩 영역 내에서 사이드 지지체 둘레로 연장된다.
제 1의 구현예에서 사이드 지지체는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으로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접힌 에지를 갖고 크로스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수직 벽(vertical wall)을 같는다. 부가적으로, 크로스 지지체의 수직 벽은 디텐트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래칭 러그를 갖는데 사이드 지지체의 접힌 에지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래칭 러그 및 접힌 에지는 바람직하게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가 서로에 대하여 래치되는 방식으로 래칭 연결을 형성한다. 시팅 구조물은 두 개의 크로스 지지체 및 두 개의 사이드 지지체를 갖는데, 하나의 크로스 지지체는 항상 두 개의 사이드 지지체에 고정된다.
제 2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사이드 지지체는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으로 하나 이상의 탭을 갖고 크로스 지지체는 디텐트 수단으로 수직 벽 및 하나 이상의 래칭 러그를 더 구비한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다.
크로스 지지체의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튜브-형상(tub-shaped)이고, 튜브-형상 리세스의 하나 이상의 여분의 수직 벽은 제거되고/제거되거나 리세스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rectangular)이다. 하나 이상의 여분의 수직 벽의 제거는 예를 들어 펀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립 동안 크로스 지지체의 탭은 바람직하게 제거된 여분의 수직 벽을 통해 가이드된다. 리세스의 두 개의 여분의 수직 벽이 바람직하게 제거된다. 디텐트 수단 및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의 형성은 유리하게 빠르고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여, 디텐트 수단 및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은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의 생성 동안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지지체의 여분의 래칭 러그는 바람직하게 기울어지고/기울어지거나 탭은 리세스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적합하게 된다. 탭이 리세스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탭은 리세스가 직사각형이면 직사각형이다. 탭은 그것의 리세스에 대한 크기에 맞게 되는데, 예를 들어, 그것은 리세스의 깊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리세스 내의 탭은 유리하게 크로스 지지체 이상으로 연장되지 않아서, 원하지 않는 탭의 티어-오프(tearing-off)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고 예시적인 방식으로 표현될 것이다.
도 1 내지 4는 차량 시트용 시팅 구조물(1)의 일부분으로서의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의 제 1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시팅 구조물(1)은 바람직하게 주요한 연장 방향을 갖는 서로 다른 프레임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어 프레임-형(frame-like) 구조물을 형성한다. 특히, 프레임 부분들은 물질 접합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최종 위치에 고정되는데, 물질 접합은 바람직하게는 웰딩(welding)이지만, 서로에 대한 프레임 부분들의 본딩(bonding), 리베팅(riveting) 또는 스크류잉(screwing)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최종 고정에 우선하여 프레임 부분들을 서로에 대하여 형상-맞춤 방식, 특히 서로를 래치(latched)하는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의 구현예에서, 시팅 구조물(1)의 전방 크로스 지지체(2)가 위에서(즉, 차량의 Z-방향) 사이드 지지체(3)로 밀어져서 래치될 수 있도록 이를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래칭 결합을 통해, 미리 조립된 프레임 부분들의 핸들링(handling)이 단순화될 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래칭의 음향 신호(acoustic signal)는 프레임 부분들, 즉,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의 서로에 대한 교정 위치에 관하여 피드백을 제공한다.
도 1은 전방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로 구성된 시트부의 부분적으로 미리 조립된 구조물(1)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구조물(1)은 시팅 구조물(1)이라고도 칭한다. 크로스 지지체(2)는 상부에서 사이드 지지체(3)(화살표 B)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는 서로에 대하여 래치될 수 있는 플러그-인(plug-in) 연결들(4)이 갖춰진 강판부(sheet steel parts)로 압축되고 펀치된다. 특히,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크로스 지지체(2)의 하향 돌출 수직벽(5)은 사이드 지지체(3)의 둘레로 연장된다. 공간적 참조(spatial references)는 차량 내에서의 통상 설치된 위치에 관계한다. 크로스 지지체(2)가 사이드 지지체(3) 둘레로 연장되기 때문에, 조립 방향(B)에 수직인 사이드 지지체(3)의 미끄러짐은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칭 결합을 위한 크로스 지지체(2)에 대한 사이드 지지체(3)의 위치는 유리하게 보장된다. 이것은 또한 크로스 지지체(2)에 대한 사이드 지지체(3)의 영구적으로 재현가능한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사이드 지지체(3)는 그것의 회전시에 상부(조립 방향 B에서 보았을 때)의, 수평으로 외부로 방향된 접힌 에지(6)가 장치되는데, 그 뒤에 수직 벽(5)으로부터 내부로 돌출된 래칭 러그(7)가 결합한다(도 2). 크로스 지지체(2)의 래칭 러그(7)는 또한 디텐트 수단(7)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지지체(3)의 접힌 에지(6)는 또한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6)으로 호칭될 수 있다. 자명하게,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의 적절한 컨투어링 결과, 화살표 방향 B 에서 사이드 지지체(3)로의 크로스 지지체(2)의 피팅은 크로스 지지체(2)가 사이드 지지체(3)에 대하여 다른 방향들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도 3 및 4는 시팅 구조물(1)의 세부사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구현예에서, 래칭 러그(7)는 기울어지는데, 이는 크로스 지지체(2)가 수동 조립(manual preassembly)을 위한 방향(도 1의 화살표 B)으로 밀릴때 작은 저항만을 제공하는 반면, 래칭 결합 이후에 반대 방향에서의 후퇴(withdrawal)가 주요 힘의 실행 및/또는 툴의 사용에 의해서만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의 서로에 대한 최초 고정이 유리하게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8은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에 대한 제 2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 2의 구현예에서, 또한, 프레임 부분들이 최종 연결에 우선하는 방식으로 형상-맞춤, 특히 래칭으로 서로에 대하여 직접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시팅 구조물(1)의 전방 크로스 지지체(2)가 사이드 지지체(3)를 시트 종축 방향(즉, 대개 차량의 X 방향)에 반하여 그 위에서 그것을 미는 것에 의해 래치 가능(latchable)하게 배치된다. 래칭 결합을 통해서 미리 조립된 프레임 부분들의 핸들링(handling)이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래칭의 음향 신호는 프레임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정확한 포지셔닝(positioning)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한다.
도 5는 전방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로 구성된 시트부의 부분적으로 미리 조립된 구조물(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크로스 지지체(2)는 시트 종 방향(화살표 A)에 반대하여 사이드 지지체(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의 구현예에서 또한,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는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래치될 수 있는 플러그-인(plug-in) 연결들(4)이 갖춰진 강판부(sheet steel parts)로 압축되고 펀치된다. 특히, 도 7 및 8에 명백히 나타나는 바와 같이, 크로스 지지체(2)는 튜브-형상의 직사각형 리세스(15)를 구비하고, 내부 및 후부의 여분의 수직 벽(16)이 제거된다. 이러한 경우에, 공간적 참조(spatial references)는 차량 내에서의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위치에 관계한다. 사이드 지지체(3)의 탭(17)은 리세스(15) 내에 삽입가능한데, 이는 리세스 내에 피트되도록 형성되고 리세스(15)의 베이스(9)로부터 돌출되는 여분의 래칭 러그(10)가 래치될 수 있는 개구(8)를 갖는다(도 6 및 8). 크로스 지지체(2)의 리세스(15)는 또한 디텐트 수단(15)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래칭 러그(10)는 디텐트 수단(10)으로 호칭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이드 지지체(3)의 탭(17) 또한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17)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탭(17)의 개구(8)는 상보적인 디덴트 수단(8)으로 호칭될 수 있다. 여분의 래칭 러그(10)는 경사진 배치를 갖는데, 이는 크로스 지지체(2)가 수동 조립을 위한 방향(도 5의 화살표 A)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하여 작은 저항만을 제공하는 반면, 래칭 결합 이후에 화살표 A에 대한 반대 방향에서의 후퇴(withdrawal)가 주요 힘의 실행 및/또는 툴의 사용에 의해서만 가능하게 한다. 크로스 지지체(2)가 슬라이드 지지체(3)로 미끄러짐에 따라 크로스 지지체(2)의 수직 벽(5)은 사이드 지지체(3) 둘레로 연장된다. 따라서, 사이드 지지체(3)는 래칭 결합을 위해 크로스 지지체(2)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 구현예에서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는 서로에 대하여 유리하게 래칭 가능하고, 크로스 지지체(2)는 사이드 지지체(3) 둘레로 연장된다. 사이드 지지체(3)는 이에 의해 그것이 두 개의 부분들 사이에 래칭 연결하고자 시도될 때 크로스 지지체(2)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따라서, 유리하게 두 개의 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부정확한 위치로 래칭되는 것이 방지되고, 래칭 동안 서로에 대한 부정확한 위치의 결과에 의해 디텐트 수단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제 1의 구현예에서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 1의 구현예의 상세 개략도이다.
도 3은 제 1의 구현예에 의한 래칭 연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 1의 구현예에 의한 래칭 연결의 다른 측면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제 2의 구현예에 의한 크로스 지지체 및 사이드 지지체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제 2의 구현예의 상세 개략도이다.
도 7은 제 2의 구현예에 의한 래칭 연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2의 구현예에 의한 래칭 연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팅 구조물
2: 크로스 지지체
3: 사이드 지지체
4: 플러그-인 연결
5: 수직 벽(크로스 지지체 2)
6: 접힌 에지/상보적인 디텐트 수단
7: 래칭 러그(크로스 지지체 2)/디텐트 수단
8: 개구/상보적인 디텐트 수단
9: 베이스
10: 여분의 래칭 러그/디텐트 수단
15: 리세스/디텐트 수단
16: 여분의 수직 벽(사이드 지지체 3)
17: 탭/상보적인 디텐트 수단
B: 방향/조립 방향
A: 방향/조립 방향

Claims (14)

  1. 크로스 지지체(cross support)(2) 및 사이드 지지체(side support)(3)를 구비한 차량 시트의 시팅 구조물(seating structure)(1)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assembly method)으로써,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들(detent means)(7, 15, 10)을 갖고, 상기 사이드 지지체(3)는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들(complementary detent means)(6, 8, 17)을 갖고, 상기 디텐트 수단들과 상기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들은 서로에 대하여 래칭 방식(latching manner)으로 연결되는 조립 방법에 있어서, 조립를 위해 상기 크로스 지지체(2) 및 사이드 지지체(3)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위치되고 크로스 지지체(2)는 래칭 결합을 위해 사이드 지지체(3) 둘레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지지체(2)의 디텐트 수단들(7, 15, 10)은 조립 이동(assembly movement)의 실행을 통해 상기 사이드 지지체(3)의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들(6, 8, 17)과 래치되고,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상기 조립 이동에 반하는 이동에 대한 래칭 결합에 의해 사이드 지지체(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결합은 조립 이동에 반하는 이동에 의해 해제되고, 이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래칭 결합을 위한 것보다 더 큰 힘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래칭 러그(latching lug)(7)가 접힌 에지(folded edge)(6) 뒤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개구(8)를 구비한 탭(17)이 여분의 래칭 러그(10)를 구비한 리세스(15)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5)의 여분의 래칭 러그(10)가 상기 탭(17)의 개구(8)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래칭 결합을 위해 사이드 지지체(3)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항 및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래칭 결합을 위해 상기 사이드 지지체(3)상으로 미끄러지는(slid)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체(3)와 크로스 지지체(2)의 래칭 결합 이후에, 사이드 지지체(3) 및 크로스 지지체(2)는 서로에 대하여 클린칭(clinching) 됨으로써 웰딩되고(welded)/웰딩되거나 결합되고(bonded)/결합되거나 스크류되고(screwed)/스크류되거나 리베트되고(riveted)/리베트되거나 조인(join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차량 시트용 시팅 구조물(1)로써, 상기 시팅 구조물(1)은 사이드 지지체(3) 및 크로스 지지체(2)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 수단들(detent means)(7, 15, 10)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지지체(3)는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디텐트 수단들(complementary detent means)(6, 8, 17)을 구비한 시팅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체(3) 및 크로스 지지체(2)의 서로에 대한 래칭 결합 이후에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사이드 지지체(3) 둘레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팅 구조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체(3)는 하나 이상의 접힌 에지(folded edge)(6)를 갖고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하나 이상의 수직 벽(vertical wall)(5)을 갖고, 상기 수직 벽(5)은 상기 접힌 에지(6)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래칭 러그(latching lug)(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팅 구조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지지체(2)는 여분의 래칭 러그(10)를 구비한 리세스(recess)(15)를 갖고, 상기 사이드 지지체(3)는 탭(tab)(17)을 갖고, 상기 리세스(15)는 상기 탭(17)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팅 구조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5)는 튜브-형상(tube-shaped)이고, 상기 튜브-형상 리세스(15)의 여분의 수직 벽(16)은 제거되고/제거되거나 상기 리세스(15)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rectangul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팅 구조물.
  14.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의 래칭 러그(10)는 기울어지고(inclined)/기울어지거나 상기 탭(17)은 실질적으로 상기 리세스(15)의 형상에 매치(matches)되고, 상기 탭(17)은 상기 리세스(15)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팅 구조물.
KR1020097021350A 2007-03-21 2008-03-14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는 조립방법 및 시팅 구조물 KR101327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4072.1 2007-03-21
DE102007014074.8 2007-03-21
DE102007014072 2007-03-21
DE102007014074 2007-03-21
DE200710049752 DE102007049752A1 (de) 2007-03-21 2007-10-16 Montageverfahren zur Bildung einer Sitzstruktur eines Fahrzeugsitzes und Sitzstruktur
DE102007049752.2 2007-10-16
PCT/EP2008/002072 WO2008113527A1 (de) 2007-03-21 2008-03-14 Montageverfahren zur bildung einer sitzstruktur eines fahrzeugsitzes und sitzstrukt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286A true KR20090122286A (ko) 2009-11-26
KR101327608B1 KR101327608B1 (ko) 2013-11-12

Family

ID=3971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350A KR101327608B1 (ko) 2007-03-21 2008-03-14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는 조립방법 및 시팅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27370B2 (ko)
EP (1) EP2139719A1 (ko)
JP (1) JP5386375B2 (ko)
KR (1) KR101327608B1 (ko)
CN (1) CN101641238B (ko)
DE (1) DE102007049752A1 (ko)
WO (1) WO2008113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8686B3 (de) 2006-06-22 2007-07-12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JP5176555B2 (ja) * 2008-01-16 2013-04-0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フレーム構造
DE112008004000T5 (de) * 2008-08-29 2011-12-01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rahm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8702053B2 (en) 2011-05-26 2014-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interface assembly
DE102011114742A1 (de) * 2011-09-28 2013-03-28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JP5961453B2 (ja) * 2012-06-11 2016-08-02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3054375B (zh) * 2013-01-04 2016-03-16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座椅及其座盆
WO2014167639A1 (ja) * 2013-04-08 2014-10-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用フレーム
DE102013015357A1 (de) 2013-09-14 2015-03-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ahrzeugsitz mit modularem Fahrzeugsitzrahmen
US10843602B2 (en) * 2016-09-27 2020-11-24 Proma S.P.A. Seat for vehicles having an engagement edg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8584A (en) * 1950-09-25 1954-02-09 Greitzer Meyer Means for connecting chair back rests to tubular structural ends
EP0018851A1 (en) 1979-05-07 1980-11-12 Eaton Corporation Clip
GB2064052A (en) 1979-11-22 1981-06-10 Transequip Ltd Joining structural elements
DE3119399C2 (de) * 1981-05-15 1986-04-10 Keiper Recaro GmbH & Co, 7312 Kirchheim Fahrzeugsitz
FR2515946B1 (fr) * 1981-11-11 1985-10-11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Cadre de dossier pour sieges, notamment pour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FR2594760B1 (fr) * 1986-02-21 1989-11-10 Renault Armature de siege a modules de construction assembles
US4890888A (en) 1988-09-12 1990-01-02 Ford Motor Company Seat back attachment
US5487219A (en) * 1993-08-20 1996-01-30 A. O. Smith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engine cradles
DE9401415U1 (de) 1994-01-28 1994-03-10 Vogl Erich R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horizontal verlaufenden C-Profils mit einem zweiten, hierzu senkrecht verlaufenden C-Profil
JPH11216037A (ja) * 1998-02-04 1999-08-10 Araco Corp シートフレーム
DE19909362B4 (de) * 1998-03-05 2005-06-23 Aisin Seiki K.K., Kariya Sitzrahmenbaugruppe
US6463651B1 (en) * 1998-03-06 2002-10-15 William V. Koeneker Method of manufacturing bed frame
FR2786743B1 (fr) * 1998-12-04 2001-02-1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Procede pour fabriquer une structure de dossier de siege pour vehicule, et structure de dossier obtenue par ce procede
EP1008510B1 (en) 1998-12-11 2013-03-06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Production of vehicles
FR2793745B1 (fr) * 1999-05-18 2001-07-2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tructure d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rticulee autour de pivots emboites
DE10039070A1 (de) 2000-08-10 2002-02-21 Atl Engineering Gmbh Schweißverbindung mit zwei Blechen
JP2002193005A (ja) 2000-12-25 2002-07-10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のフィニッシャ取付構造
EP1419061B1 (en) * 2001-08-15 2005-08-1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mproved seating system
US20040113481A1 (en) 2002-09-13 2004-06-17 Mohammad Saberan Vehicle seat frame
DE10332681A1 (de) 2003-07-18 2005-03-03 Huwer Kg Verbindungssystem für Profilschienen
KR100590947B1 (ko) * 2004-06-07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마그네슘 합금재 시트백 프레임 및 그 성형방법
DE102004053257A1 (de) 2004-11-04 2006-05-11 Volkswagen Ag Befestigungsanordnung
JP4950899B2 (ja) * 2004-11-18 2012-06-1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シートフレーム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3040A (ja) 2005-01-13 2006-07-27 Recaro Kk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DE202005001773U1 (de) 2005-02-03 2006-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ehnenrahmen für Kraftfahrzeugsitze
DE102005033067A1 (de) 2005-07-15 2007-01-18 Keiper Gmbh & Co.Kg Lehnen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5043084A1 (de) * 2005-09-10 2007-03-15 Twb Presswerk Gmbh & Co. Kg Bausatz zur Herstellung einer kippbaren Rückenlehne für eine Sitzbank eines Fahrzeuges
US7237846B1 (en) * 2006-02-10 2007-07-03 Tachi-S Co. Ltd. Resin side cover for automotive seat
DE102006056859B3 (de) 2006-12-01 2008-03-27 Isringhausen Gmbh & Co. Kg Gleiter für eine Sitzkissentiefenein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sowie Sitzkissentiefeneinstellung
JP5629759B2 (ja) * 2009-04-21 2014-11-2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シートフレーム及びレーザ昇温接着を使用した形成方法。
JP5728349B2 (ja) * 2011-09-21 2015-06-03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608B1 (ko) 2013-11-12
US8827370B2 (en) 2014-09-09
EP2139719A1 (de) 2010-01-06
DE102007049752A1 (de) 2008-09-25
JP2010521369A (ja) 2010-06-24
WO2008113527A1 (de) 2008-09-25
CN101641238A (zh) 2010-02-03
US20100194170A1 (en) 2010-08-05
CN101641238B (zh) 2014-07-09
JP5386375B2 (ja)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2286A (ko)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 방법 및 시팅 구조물
JP4713455B2 (ja) クリップ
JP2006336821A (ja) 高固定強度の固定具
CN101223369B (zh) 夹具
JP4252881B2 (ja) タンク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WO1999061280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autoradio
JP2016121711A (ja) 車両部品の取付け構造
KR20190051791A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62129A (ja) 車両用内装部品
KR200457449Y1 (ko) 단자 이중 지지 및 작업성 향상 구조를 갖는 커넥터
JP2008057751A (ja) クリップ
EP3182019B1 (en)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upling element
JP2006088825A (ja) 内装部材の取付構造
JP5304606B2 (ja) ロック構造
CN107548246B (zh) 电子设备、组合连接构造以及安装方法
JP2005162046A (ja) 車載用電子制御部品の取付けブラケット
JP4497071B2 (ja) 車両の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2007181363A (ja) 取付具
JP2008071600A (ja) 電線カバー
JP2006216647A (ja) 位置規制爪およびシャーシ
JP2008192698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パネル
JP2007225092A (ja) クリップ
JPS6328396Y2 (ko)
JP5004137B2 (ja) 二部材の取付構造
KR200487873Y1 (ko) 자동차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