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003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003A
KR20090119003A KR1020097021208A KR20097021208A KR20090119003A KR 20090119003 A KR20090119003 A KR 20090119003A KR 1020097021208 A KR1020097021208 A KR 1020097021208A KR 20097021208 A KR20097021208 A KR 20097021208A KR 20090119003 A KR20090119003 A KR 2009011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re
bead filler
bead
fill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260B1 (ko
Inventor
다까유끼 후꾸나가
슈 나가이
도시하루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09011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009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 B60C15/0036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with high ply turn-up, i.e. folded around the bead core and terminating radially above the point of maximum section width
    • B60C15/0045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with high ply turn-up, i.e. folded around the bead core and terminating radially above the point of maximum section width with ply turn-up up to the belt edges, i.e. folded around the bead core and extending to the belt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1Tyres requiring an asymmetric or a special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14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에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를 설치하고, 차량 장착 외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에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를 설치하고,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 H1을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 H2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차량 장착 외측의 사이드부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고, 운전자가 의도하는 조타력의 노면에의 전달이 용이해지게 하는 한편, 노면 요철에 의한 입력이 큰 차량 장착 외측의 강성 증가가 억제되므로, 타이어, 나아가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ure P1020097021208
비드 필러 시트, 공기입 타이어, 카커스, 트레드 고무, 사이드 고무, 비드 코어, 비드 필러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고속 주행시의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성능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조종 안정성, 승차감, 저소음성, 내마모 성능 등, 종래의 사고 방식으로는 서로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되어 왔던 복수의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 하나의 흐름으로서, 타이어를 그의 적도면에 관하여 비대칭화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의, 차량에의 장착 자세 하에서, 타이어의 장착 내측과 외측에서 상기한 각 성능에 대한 기여가 다른 것에 착안하여, 타이어 내부의 구조를 적도면에 대해 비대칭으로 하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
물론, 적도면에 대해 트레드 패턴을 비대칭으로 하는 것이나, 단면 형상을 비대칭으로 하는 개량안은 많다.
이상의 비대칭화 기술은, 타이어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의 사용 환경에 있어서, 서스펜션의 거동이나 얼라인먼트가 타이어 적도면에 대해 비대칭인 결과로서, 직진 중, 코너링 중을 불문하고 타이어에 작용하는 힘이 타이어 적도면에 대해 역시 비대칭이 되는 것에 착안하여, 타이어의 장착 내측과 외측에서의 기능 분리를 제안한 것이다.
그와 같은 기술로서, 예를 들어 조종 안정성에 관하여, 고속, 대 타각(舵角) 입력 하에서의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에는, 당해 조건하에서 차량의 코너링의 외측이 끼워 넣어지도록 경사졌을 때, 코너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이어, 그리고 그 타이어 중에서도, 특히 차량 장착 외측의 부위에 큰 횡방향력이 작용하는 것에 착안하여, 이 횡방향력에 길항시켜 차량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차량 장착 외측의 사이드월부의 강성을 높인 내부 구조나 단면 형상이 있다.
또한, 승차감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예로서는, 네거티브 캠버가 부여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여 타이어에 가해지는 변형이 차량 장착 내측에 있어서 특히 커지는 것에 착안하여, 종방향의 진동 감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차량 장착 내측 사이드부의 곡률을 작게 한 타이어 단면 형상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소63-800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20821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7529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너링시에 작용하는 횡방향력에 길항시켜 차량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이드월부의 강성을 높인 내부 구조나 단면 형상으로 하는 방법에 따르면, 타이어의 종강성(縱剛性)의 증가에 의해 승차감이 악화되어 버린다.
또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이드월부의 강성을 저하시켜 노면 요철로부터의 입력을 흡수시키는 방법에 따르면, 조종 안정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이들 상반되는 성능을 양립하기 위해, 차량에의 장착 자세의 타이어의 차량 장착 외측의 강성을 높게 하는 비대칭 형상이나 구조가 많이 제안되고 있지만, 만족할 수 있는 성능의 것은 없었다.
본 발명은 차량 장착 자세의 타이어의, 차량의 내측의 강성을 높게 함으로써, 이들의 상반되는 성능, 즉 조종 안정성과 승차감을 효과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 검토의 결과, 이하를 알 수 있었다.
차량에의 승차감을 악화시키거나, 혹은 직진 안정성, 미소 타각에서의 조종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외적 요인으로서 가장 큰 것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을 불문하고, 주행 중인 차량에 진동을 부여하는 노면의 요철이다.
이 요철이 장착 자세의 타이어의, 차량 장착 외측에 부딪친 경우와, 차량 장착 내측에 부딪친 경우에 대한 비교를 행해 보면, 요철의 크기가 같으면, 대부분의 승용차에 있어서는, 차륜 장착 지지부(휠의 허브면)가 오프셋되어 있어, 하중 부하의 비율이 큰 차량 장착 외측 쪽이 보다 크게 진동한다. 그로 인해, 차량 장착 외측에서의 진동 입력과 내측에서의 진동 입력에서는, 외측에서의 진동 입력을 억제하는 쪽이 보다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한 쌍의 비드 코어와, 상기 한 쌍의 비드 코어에 걸쳐서, 단부 부분을 상기 비드 코어의 주위로 되접어 이루어지는 카커스와, 한쪽의 비드 코어로부터 다른 쪽 비드 코어로 연장되는 카커스의 본체 부분과 상기 비드 코어의 주위로 되접은 카커스의 되접힘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비드 코어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비드 필러와, 상기 카커스의 크라운 영역의 외주측에 배치된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주측에 배치된 트레드 고무와, 상기 카커스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고무를 구비하고, 차량에의 장착 자세에서 차량의 내측이 되는 타이어 사이드부에, 타이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를 설치하고,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차량 장착 외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보다 높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에 배치」라 함은, 카커스의 외면에 배치하는 것은 물론, 사이드 고무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타이어의 장착 내측이 되는 타이어 사이드부에 보강용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차량 장착 외측의 사이드부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차량은, 코너링시에 외측 차륜에 포지티브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방향력이 가 해지므로, 미리 네거티브 캠버에 설정해 둠으로써, 코너링시의 접지성이 확보된다.
청구항 1의 공기입 타이어를 차량의 전륜에 사용하면, 트레드의 차량 장착 내측 부분의 노면에 접촉하는 접지압이, 차량 장착 외측 부분의 노면에 접촉하는 접지압보다 높아져, 운전자가 의도하는 조타력의 노면에의 전달이 용이해지게 할 수 있고, 조종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차량 장착 외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이, 차량 장착 내측의 사이드부의 강성보다 작게 되어 있어, 노면 요철에 의한 입력이 큰, 차량 장착 외측의 강성 증가가 억제되어 있으므로, 타이어, 나아가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그린 타이어(green tire) 제조시에,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새롭게 몰드를 만들 필요는 없고, 종래와 같은 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차량에의 장착 자세에서 차량의 외측이 되는 타이어 사이드부에, 타이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를 구비하고, 타이어 단면 높이를 계측할 때의 림 직경 라인을 통해, 또한 타이어 중심축선과 평행으로 된 기준선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계측하였을 때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까지의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를 H1,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계측하였을 때의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 단부까지의 외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를 H2로 하였을 때에, H1/H2가 105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H1/H2를 105 내지 160%로 함으로써, 높은 조종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H1/H2가 105% 미만에서는,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 향상이 불충분해져, 조종 안정성의 향상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H1/H2가 160%를 초과하면,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승차감이 악화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및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가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의 고무 경도가,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의 고무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의 고무 경도를,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의 고무 경도보다 높게 함으로써,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높은 조종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의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및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가 상기 비드 필러와 동종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및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를, 비드 필러와 동종의 고무로 형성함으로써,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조시의 고무 종류를 늘리지 않아, 비용 저감이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 따르면, 조종 안정성과 승차감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축선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축선에 따른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 : 공기입 타이어
12 : 비드부
14 : 비드 코어
16 : 카커스
18 : 벨트
24 : 트레드 고무
28 : 사이드 고무
30 : 비드 필러
32IN :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32OUT :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타이어 폭 방향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림(11)에 장착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는, 한 쌍의 비드부(12)와, 한 쌍의 비드부(12)에 토로이드 형상에 걸쳐서, 단부 부분측이 비드 코어(14)의 주위로 되접힌 1 내지 복수매(본 실시 형태에서 1매)의 카커스 플라이로 이루어지는 카커스(16)와, 이 카커스(16)의 크라운 영역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복수매의 벨트층으로 이루어지는 벨트(18)와, 벨트(18)의 외주측의 양측부 부분에 배치된 벨트 보강층(20)과, 벨트 보강층(20)의 더 외주측에서 트레드부(22)를 형성하는 트레드 고무(24)와, 사이드월부(26) 및 비드부(12)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카커스(16)의 외면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고무(28)를 구비한, 레이디얼 구조로 할 수 있는 타이어이다.
또한, 부호 11A는 림(11)에 설치된 림 플랜지이다. 또한, 도 1 중의 화살표 OUT은 차량에의 장착 자세에서, 차량의 외측이 되는 타이어 부분을 나타내고, 화살표 IN은, 같은 자세에서, 차량의 내측이 되는 타이어 부분을 나타낸다.
한쪽의 비드 코어(14)와 다른 쪽 비드 코어(14)에 걸치는 카커스(16)의 본체부(16A)와, 비드 코어(14)의 주위로 되접은, 카커스의 단부 부분을 폐쇄하는 카커 스(16)의 되접힘부(16B) 사이에는, 비드 코어(14)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비드 필러(30)가 배치되어 있다. 비드 필러(30)는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두께가 점감하고 있다.
또한, 비드 필러(30)는 사이드 고무(28)보다 고경질의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에는, 예를 들어 카커스(16)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가 부착되어 있고, 차량 장착 외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에는, 카커스(16)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가 부착되어 있다.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 및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는 각각 일정 두께이며, 사이드 고무(28)보다 고경질의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 및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를 구성하는 고무는 비드 필러(30)를 구성하는 고무와 동종의 고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를 구성하는 고무 및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를 구성하는 고무는, 비드 필러(30)와 같은 고무를 사용하고 있다.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 및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의 두께 t는 각각 0.5 내지 2.0㎜의 범위 내이며, 사이드 고무(28)의 두께는 1.5 내지 6.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 단부 및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각각 인접하는 비드 필러(30)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 단부보다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의 일부분 및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의 일부분은, 각각 인접하는 비드 필러(30)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의 일부분과, 카커스(16)의 되접힘부(16B)를 사이에 두고 오버랩하고 있다.
이에 의해, 특히 비드부(12)의 강성을 높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타이어 단면 높이를 SH, 타이어 단면 높이 SH를 계측할 때의 림 직경 라인을 통해, 또한 타이어 중심축선에 평행으로 된 기준선 L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계측하였을 때의, 기준선 L로부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 단부까지의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를 H1, 기준선 L로부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 단부까 지의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를 H2로 하였을 때에,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 H1은 타이어 단면 높이 SH보다 작고, 또한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 H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 H1은 타이어 단면 높이 SH의 50 내지 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H1/H2는 105 내지 1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선 L로부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h1, 기준선 L로부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의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h2로 하였을 때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h1=h2이다.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는, 적어도 타이어 최대폭 위치 부근을 덮으며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행 중인 차량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 방향 및 비틀림 방향의 강성은 높아져, 조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에서는,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에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를 설치하고, 차량 장착 외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에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를 설치하고, 차량 장착 내측 비 드 필러 시트 높이 H1을 타이어 단면 높이 SH의 50 내지 70%로 설정하는 동시에, H1/H2를 105 내지 160%로 설정함으로써,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차량 장착 외측의 사이드부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의도하는 조타력의 노면에의 전달이 용이해지게 하는 한편, 노면 요철에 의한 입력이 큰 차량 장착 외측의 강성 증가가 억제되므로, 타이어, 나아가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 H1이 타이어 단면 높이 SH의 50% 미만에서는,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 향상이 불충분해지고, 조종 안정성의 향상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 H1이 타이어 단면 높이 SH의 70%를 초과하면,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승차감이 악화된다.
다음으로, H1/H2가 105% 미만에서는,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 향상이 불충분해져, 조종 안정성의 향상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H1/H2가 160%를 초과하면,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승차감이 악화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에서는,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와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경우에 따 라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는 없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에서는,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를 구성하는 고무와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를 구성하는 고무가 같은 고무 종류였지만,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32IN)를 구성하는 고무 경도를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32OUT)를 구성하는 고무 경도보다 높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더욱 높여, 조종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종래예의 공기입 타이어 1종, 비교예의 공기입 타이어 1종, 및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 2종을 준비하고, 실제 차량으로 주행 시험을 행하여, 조종 안정성 및 승차감의 비교를 행하였다.
여기서, 종래예는 비드 필러 시트를 배치하지 않는 구조, 실시예 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 실시예 2는 도 2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 비교예 1은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와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를 동일한 길이로 배치한 구조, 비교예 2는 비드 필러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가 카커스의 되접힘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 예이다.
또한, 종래예, 비교예 1, 비교예 2는, 비드 필러와 비드 필러 시트 이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개량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실시예에 준하는 것으로 하였다.
시험은, 긴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주회로(周回路) 및 완만한 커브로부터 급격한 커브를 포함하는 핸들링 평가로(評價路)로 이루어지는 테스트 코스 내를, 저속부터 100㎞/h 정도까지의, 공도 상에서 일반적인 운전자가 경험하는 속도 영역에서 실제 차량 주행하여, 조종 안정성(핸들 응답성) 및 승차감을 테스트 운전자가 휠링(feeling)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타이어 사이즈 : 225/55R17
림 사이즈 : 7.5J×17
시험 차량 : 도요타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셀시오
타이어 공기압 : 220㎪(전후륜 모두)
평가는 이하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고, 10점 만점 표시로 하고, 수치가 클수록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종래예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드 필러 시트의 유무 차량 장착 외측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없음
차량 장착 내측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없음
비드 필러 시트 높이비 H1/H2 ---- ---- 140% 100% ----
조종 안정성 6 6.5 7 7 6
승차감 6 6 6 5.5 5.5
시험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종래예 및 비교예 1, 비교예 2보다 조종 안정성 및 승차감 모두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한 쌍의 비드 코어와,
    상기 한 쌍의 비드 코어에 걸쳐서, 단부 부분을 상기 비드 코어의 주위로 되접어 이루어지는 카커스와,
    한쪽의 비드 코어로부터 다른 쪽 비드 코어로 연장되는 카커스의 본체 부분과 상기 비드 코어의 주위로 되접은 카커스의 되접힘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비드 코어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비드 필러와,
    상기 카커스의 크라운 영역의 외주측에 배치된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주측에 배치된 트레드 고무와,
    상기 카커스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고무를 구비하고,
    차량에의 장착 자세에서 차량의 내측이 되는 타이어 사이드부에, 타이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를 설치하고, 차량 장착 내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을 차량 장착 외측의 타이어 사이드부의 강성보다 높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의 장착 자세에서 차량의 외측이 되는 타이어 사이드부에, 타이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를 구비하고,
    타이어 단면 높이를 계측할 때의 림 직경 라인을 통해, 또한 타이어 중심축선에 평행으로 된 기준선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계측하였을 때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까지의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를 H1,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계측하였을 때의,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 단부까지의 외측 비드 필러 시트 높이를 H2로 하였을 때에, H1/H2가 105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및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가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의 고무 경도가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의 고무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 내측 비드 필러 시트 및 상기 차량 장착 외측 비드 필러 시트가 상기 비드 필러와 동종의 고무 종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097021208A 2007-03-13 2008-03-12 공기입 타이어 KR101085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63953 2007-03-13
JP2007063953 2007-03-13
PCT/JP2008/054531 WO2008114666A1 (ja) 2007-03-13 2008-03-12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003A true KR20090119003A (ko) 2009-11-18
KR101085260B1 KR101085260B1 (ko) 2011-11-22

Family

ID=3976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208A KR101085260B1 (ko) 2007-03-13 2008-03-12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043935A1 (ko)
EP (1) EP2127912B1 (ko)
JP (1) JP5156736B2 (ko)
KR (1) KR101085260B1 (ko)
CN (1) CN101668649B (ko)
BR (1) BRPI0808870A2 (ko)
RU (1) RU2409477C1 (ko)
WO (1) WO2008114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7928B2 (ja) * 2008-12-15 2013-08-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775007B2 (ja) * 2012-01-27 2015-09-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FR2987312B1 (fr) * 2012-02-28 2014-03-14 Michelin & Cie Pneumatique ayant un bourrelet perfectionne.
US9013143B2 (en) * 2012-03-09 2015-04-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charging a plug-in electric vehicle
JP6405306B2 (ja) * 2013-07-17 2018-10-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434235B2 (ja) * 2014-07-03 2018-12-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16107937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建設車両用タイヤ
DE102017215434A1 (de) 2017-09-04 2019-03-07 Krones Ag Klimatisierung von Direktdruckmaschinen
EP3747674B1 (en) * 2018-01-30 2023-09-27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7144263B2 (ja) * 2018-09-28 2022-09-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21095109A (ja) * 2019-12-19 2021-06-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9610A (en) * 1965-04-14 1967-09-05 Pirelli Pneumatic tires having asymmetrical structure
FR1445641A (fr) * 1965-06-01 1966-07-15 Fr Du Pneu Englebert Soc Carcasse pour pneumatique et pneumatique comprenant une telle carcasse
FR1475630A (fr) * 1965-06-01 1967-04-07 Fr Du Pneu Englebert Soc Pneumatique à dérive orientée
US4203481A (en) * 1978-12-11 1980-05-20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rim and combination thereof
JPS638005A (ja) 1986-06-26 1988-01-1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S6374704A (ja) 1986-09-18 1988-04-05 Yokohama Rubber Co Ltd:The 乗用車用ラジアルタイヤ
JP2652855B2 (ja) * 1987-09-01 1997-09-1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H06143945A (ja) * 1992-10-30 1994-05-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4785227B2 (ja) * 1999-04-27 2011-10-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れの装着方法
JP4368968B2 (ja) 1999-04-27 2009-11-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265119B2 (ja) 2001-07-17 2009-05-20 横河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フィルタ
JP4255243B2 (ja) 2002-04-26 2009-04-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179462B2 (ja) * 2003-06-17 2008-11-1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5075295A (ja) 2003-09-03 2005-03-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CN100491143C (zh) * 2003-10-20 2009-05-27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子午线轮胎
JP3902177B2 (ja) * 2003-12-10 2007-04-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タイヤ
US7278455B2 (en) * 2004-12-20 2007-10-0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symmetrical pneumatic run-flat tire
JP2006346999A (ja) * 2005-06-16 2006-12-28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US20070125469A1 (en) * 2005-12-05 2007-06-07 Poling David C Pneumatic tire
US7669625B2 (en) * 2006-11-22 2010-03-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symmetrical pneumatic tire
JP2008309208A (ja) * 2007-06-13 2008-12-25 Kanto Auto Works Ltd 無段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7912A4 (en) 2012-11-28
CN101668649B (zh) 2011-12-07
US20100043935A1 (en) 2010-02-25
EP2127912A1 (en) 2009-12-02
KR101085260B1 (ko) 2011-11-22
JP5156736B2 (ja) 2013-03-06
CN101668649A (zh) 2010-03-10
EP2127912B1 (en) 2014-09-10
BRPI0808870A2 (pt) 2014-09-09
JPWO2008114666A1 (ja) 2010-07-01
WO2008114666A1 (ja) 2008-09-25
RU2409477C1 (ru)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260B1 (ko) 공기입 타이어
EP2682286A1 (en) Pneumatic tire
WO2006070533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87332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1071715A (ja) 空気入りタイヤ
EP2196329B1 (en) Pneumatic tire
JP2009040361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6137252A (ja) 乗用四輪自動車用高性能偏平タイヤ及びそのタイヤの装着方法
EP2543522B1 (en) Two-wheeled automotive vehicle tire
JP45686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83466B2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61656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91078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3769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864085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5385662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9968906B (zh) 充气轮胎
JP7059746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23105830A1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WO2023105829A1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5487802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4249292A1 (en) Pneumatic tire
WO2023105831A1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684020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20230278368A1 (en) A mass asymmetr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