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254A - 표시 장치용 회동대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회동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254A
KR20090110254A KR1020090033070A KR20090033070A KR20090110254A KR 20090110254 A KR20090110254 A KR 20090110254A KR 1020090033070 A KR1020090033070 A KR 1020090033070A KR 20090033070 A KR20090033070 A KR 20090033070A KR 20090110254 A KR20090110254 A KR 2009011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display device
guide rail
shaped gui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288B1 (ko
Inventor
요시키 나가오카
가츠토시 오카다
나오키 아사쿠라
노리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10S248/923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 표시 장치의 방향을 안정되게 회동시킬 수 있는 전동식의 표시 장치용 회동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 표시 장치용 회동대(1)는 제 1 대부(5)와, 박형 표시 장치(2)가 탑재 고정되는 탑재 고정부(11)와, 그 원호(13d)의 중심점(13e)이,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의 중심을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C)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해서, 탑재 고정부(11)에 배설된 좌우 한쌍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과, 제 1 대부(5)에 입설된 입설부(7)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고,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을,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의 중심점(13e)이 수평선(C)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선(C)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롤러(9)와,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을 수평선(C) 주위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탑재 고정부(11)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전동 구동 기구(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회동대{DISPLAY DEVICE TURNING BAS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박형 표시 장치의 방향을 전동에서 조정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박형 표시 장치용의 표시 장치용 회동대는 대부(臺部)상에 입설부가 입설되고, 그 입설부의 상부에, 지지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고, 그 지지부의 선단이, 박형 표시 장치의 배면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수동으로, 박형 표시 장치의 방향을 전후 좌우로 회동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구성에서는, 전동으로 박형 표시 장치의 방향을 전후로 회동시킬 경우, 박형 표시 장치의 중심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회동의 때에 중심이 이동하고, 안정되게 회동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박형 표시 장치의 중심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 회동의 때에, 그 회전축 주위의 중심에 의한 회전 모멘트가 변화되어서 필요 구동력이 변화되기 때문에, 그 회동의 속도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이것에 의해서도 안정되게 회동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동으로 표시 장치의 방향을 전후 좌우로 회동시키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에 관한 선행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1992-61576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은 CRT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것이며, 표시 장치의 중심 위치를 고정하는 점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CRT 표시 장치의 경우는, 전후로 회동되어도 중심 위치는 그다지 변화되지 않으므로 문제가 안되지만, 박형 표시 장치의 경우는, 표시 장치의 중심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후로 회동되었을 때에 중심 위치가 크게 변화하고, 안정되게 전후로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표시 장치용 회동대를 박형 표시 장치에 적용해도, 안정되게 전후로 회동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박형 표시 장치의 방향을 안정되게 회동할 수 있는 전동식의 표시 장치용 회동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제 1 대부와, 표시 장치가 탑재 고정되는 탑재 고정부와, 그 원호의 중심점이, 상기 탑재 고정부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의 중심을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해서, 상기 탑재 고정부에 배설된 좌우 한쌍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대부에 입설된 입설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을,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의 상기 중심점이 상기 수평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롤러와,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을 상기 수평선 주위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탑재 고정부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전동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은, 지지용 롤러에 의해, 그 원호의 중심점이 탑재 고정부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의 중심을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탑재 고정부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의 중심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박형 표시 장치를 전후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박형 표시 장치를 안정되게 전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전동 구동 기구에 의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을 상기 수평선 주위로 회동시켜서 탑재 고정부를 전후로 회동시키므로, 탑재 고정부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를 전동으로 안정되게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는 전동으로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박형 표시 장치의 방향을 전후 좌우로 회동시키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로서,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예를 들면 원형의 기반대(3)와, 기반대(3)상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 예컨대 원형의 회전대(제 1 대부)(5)와, 회전대(5)상에 입설된 입설부(7)와, 입설부(7)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 지지용 롤러(9)와, 박형 표시 장치(2)가 탑재 고정되는 탑재 고정부(11)와, 탑재 고정부(11)에 배설되고, 지지용 롤러(9)에 의해 지지되는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과, 탑재 고정부(11)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전동 구동 기구(15)를 구비하고 있다.
기반대(3)는 그 상면 중앙에 평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내에 회전대(5)가 수평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기반대(3)에는, 회전대(5)를 수평 회전시키는 전동식 구동 기구로서, 도시하지는 않지만, 예컨대 기반대(3)의 상기 오목부의 저면상에 회전대(5)의 하면의 주연에 대향해서 배설된 원호형상 래크와, 회전대(5)의 하면에 배설된 제 1 전동 모 터와, 상기 제 1 전동 모터의 구동축에 배설되고, 상기 원호형상 래크에 치합하는 치차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제 1 전동 모터의 구동 회전에 의해 상기 치차가 회전하고, 그 치차가 상기 원호형상 래크상을 회동하는 것에 의해, 회전대(5)가 기반대(3)에 대해서 수평 회전한다.
입설부(7)는, 도 8과 같이, 회전대(5)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좌우 한쌍 배설되어 있다. 각 설립부(7)는 예를 들면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입설부(7)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부(7a)를 갖고, 그 바닥판부(7a)상에, 그 바닥판부(7a)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2장의 수직 평판부(7b, 7c)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되는 형태로 수직하게 연장 설치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입설부(7)의 수직 평판부(7b, 7c) 사이에, 2개 이상(여기서는 2개)의 지지용 롤러(9)가 각각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탑재 고정부(11)는 도 6 및 도 9와 같이, 박형 표시 장치(2)가 탑재되는 탑재부(11a)를 갖는다. 그리고, 탑재부(11a)의 좌우의 각 변 위에는 각각 박형 표시 장치(2)의 좌우의 위치 결정용의 수직 판부(11b)가 수직하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탑재부(11a)의 뒤 변상에는, 박형 표시 장치(2)의 전후의 위치 결정용의 볼록 돌기부(11c)가 볼록 돌기 형성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수직판부(11b)의 뒤 변에는, 박형 표시 장치(2)와 고정되는 고정판(11d)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11d)에는 박형 표시 장치(2)와의 나사 멈춤용의 구멍부(11e)가 형성되어 있다.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은, 도 6, 도 9 및 도 10과 같이, 탑재 고정부(11)의 하면에, 그 원호가 하측으로 향할 수 있는 형태로 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좌 우 한쌍 배설되어 있다. 각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은 원호형상 상변부(13a)와, 원호형상 하변부(13b)와, 이들 각 변부(13a, 13b)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평행 배치되는 형태로 이들 각 변부(13a, 13b)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13c)와, 원호형상 상변부(13a)에 형성된 탑재 고정부(11)와의 고정용의 고정부(13f)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13c)는 지지용 롤러(9)의 탈락 방지용의 스토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은 한장의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은 도 3과 같이 그 원호(13d)의 중심점(13e)이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의 중심을 통해서 좌우 방향(지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C)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그 고정부(13f)에서 탑재 고정부(11)의 하면에 배설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한쪽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의 각 변부(13a, 13b) 사이에, 한쪽의 입설부(7)의 각 지지용 롤러(9)가 이들 각 변부(13a, 13b)에 따라 이동 가능으로 배치되고, 다른쪽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의 각 변부(13a, 13b) 사이에, 다른쪽의 입설부(7)의 각 지지용 롤러(9)가 이들 각 변부(13a, 13b)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각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은, 각 입설부(7)에 배설된 지지용 롤러(9)에 의해, 그 원호(13d)의 중심점(13e)이 수평선(C)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수평선(C)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동 구동 기구(15)는 회전대(5)상에 배설된 원호형상 내치차(15a)와, 탑재 고정부(11)의 하면에 배설된 기어 박스(15b)를 구비하고 있다. 원호형상 내치차(15a)는 예를 들면 각 입설부(7)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기어 박스(15b)는 도 11과 같이 제 2 전동 모터(15c)와, 워엄 기어(15d)와, 워엄 휠(15e)과, 제 1 내지 제 4 중계 치차(15f 내지 15i)와, 구동 치차(15j)를 구비하고 있다.
워엄 기어(15d)는 제 2 전동 모터(15c)의 회전축에 배설되어 있다. 워엄 휠(15e) 및 제 1 중계 치차(15f)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축(C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제 2 중계 치차(15g) 및 제 3 중계 치차(15h)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축(C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제 4 중계 치차(15i) 및 구동 치차(15j)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축(C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도 12와 같이, 워엄 기어(15d)는 워엄 휠(15e)과 치합되고, 제 1 중계 치차(15f)는 제 2 중계 치차(15g)와 치합되고, 제 3 중계 치차(15h)는 제 4 중계 치차(15i)와 치합되고, 도 12와 같이 구동 치차(15j)는 원호형상 내치차(15a)와 치합되어 있다.
여기서는, 워엄 기어(15d)는 워엄 휠(15e)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워엄 기어(15d)의 진행각은 워엄 기어(15d)가 워엄 휠(15e)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각도(13° 내지 20°의 범위, 여기에서는 15.4°)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 내치차(15a)의 피치원의 반경은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의 원호의 곡률반경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 내치차(15a)의 피치원의 중심점은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의 원호의 중심점(13e)을 통과하는 수평선(C)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호형상 내치차(15a)를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의 원호에 따라 배치할 수 있고, 원호형상 내치차(15a)의 구동 치차(15j)에 대한 기어비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치차(15j)에 부여하는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원호형상 내치차(15a)와 구동 치차(15i)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고, 효율이 양호하게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이러한 전동 구동 기구(15)에서는, 제 2 전동 모터(15c)의 구동에 의해, 순차로 워엄 기어(15d), 제 1 내지 제 4 중계 치차(15f, 15g, 15h, 15i) 및 구동 치차(15j)가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해 구동 치차(15j)가 원호형상 내치차(15a)상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동하고, 이 전동에 의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 및 탑재 고정부(11)가 수평선(C) 주위로 회동된다.
다음에, 이 표시 장치용 회동대(1)의 동작을 설명한다. 박형 표시 장치(2)를 전방(후방)으로 회동시킬 경우는, 제 2 전동 모터(15c)를 한쪽(반대) 방향으로 구동 회전시켜서,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을 수평선(C) 주위로 후방(전방)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탑재 고정대(11)가 수평선(C) 주위로 후방(전방)으로 회동되어, 탑재 고정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가 수평선(C) 주위로 전방(후방)으로 회동된다.
또한, 박형 표시 장치(2)를 좌방향(우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는, 상기 제 1 전동 모터를 한쪽(반대) 방향으로 구동 회전시켜서, 상기 제 1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배설된 상기 치차를, 기반대(3)에 배설된 상기 원호형상 래크상을 한쪽(반대) 방향으로 전동시켜서, 회전대(5)를 기반대(3)에 대하여 좌회전(우회전)으로 수평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박형 표시 장치(2)가 좌방향(우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동대(1)에 의하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은 지지용 롤러(9)에 의해 그 원호(13d)의 중심점(13e)이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의 중심을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C)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수평선(C)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의 중심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박형 표시 장치(2)를 전후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박형 표시 장치(2)를 안정시켜서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구동 기구(15)에 의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을 수평선(C) 주위로 회동시켜서 탑재 고정부(11)를 전후로 회동시키므로,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를 전동시켜서, 안정되게 전후로 회동시킨다.
또한,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이 지지용 롤러(9)에 의해 지지되므로, 작은 힘으로 스무스하게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을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은 원호형상 상변부(13a)와, 원호형상 하변부(13b)와, 이들 각 변부(13a, 13b)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13c)를 구비하고, 이들 각 변부(13a, 13b) 사이에 지지용 롤러(9)가 배치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지지용 롤러(9)를 탈락 방지해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워엄 기어(15d)는 워엄 휠(15e)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므로,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를 제 2 전동 모터(15c)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도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 내치차(15a)를 이용하므로, 기어 박스(15b)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대(제 1 대부)(5)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반대(제 2 대부)(3)를 구비하므로, 박형 표시 장치(2)를 전후의 회동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과 입설부(7)와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은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 본체(13g)와,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 본체(13g)를 탑재 고정부(11)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13h)로 구성되어 있다.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 본체(13g)는 그 원호의 곡률반경에 따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 본체(13g)는 긴 변이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직사각형 형상의 측면부(13i)를 구비하고, 그 측면부(13i)의 상변에 평판형상의 상면부(13j)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그 측면부(13i)의 하변에 평판형상의 하면부(13k)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13h)는, 예컨대 그 내측의 면에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 본체(13g)의 측면부(13i)가 고정되는 제 1 고정부(13m)를 구비하고, 그 제 1 고정부(13m)의 상변에는 탑재 고정부(11)와의 고정용의 제 2 고정부(13n)가 연장 설치되어 있고, 그 제 1 고정부(13m)의 양단에는 지지용 롤러(9)의 탈락 방지용의 스토퍼(13p)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은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편의상 1개밖에 도시하고 있지 있지만, 실시형태 1과 같이 탑재 고정부(11)의 하면에 좌우 한쌍 대칭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입설부(7B)는 도 15와 같이 바닥판부(7d)와 바닥판부(7d)에 수직한 수직 평판부(7e)로 이루어지는 단면 L자 형상의 입설부 본체(7f)와, 수직 평판부(7e)의 외측면에 배설되어서 수직 평판부(7e)와의 사이에서 지지용 롤러(9)를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부재(7g)를 구비하고 있다. 입설부(7B)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편의상 1개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시형태 1과 같이 회전대(5)상에 좌우 한쌍 대칭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도 13과 같이, 한쪽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의 각 면부(13j, 13k) 사이에, 한쪽의 입설부(7B)의 각 지지용 롤러(9)가 이들 각 면부(13j, 13k)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다른쪽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의 각 면부(13j, 13k) 사이에, 다른쪽의 입설부(7B)의 각 지지용 롤러(9)가 그들 각 면부(13j, 13k)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실시형태 1의 경우와 같이, 각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 은 각 입설부(7B)에 배설된 지지용 롤러(9)에 의해, 그 원호의 중심점이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의 중심을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C)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수평선(C)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동대(1B)에 의하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은 그 원호의 곡률반경에 따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의 높이 폭을 작게 할 수 있고, 탑재 고정부(11)와 회전대(제 1 대부)(5)와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의 U자 형상의 내부에 지지용 롤러(9)가 배치되므로,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과 지지용 롤러(9)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실시형태 3
이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 탑재 고정부(11)의 전후 회동의 중립 위치를 검출하는 중립 위치 검출 수단(17)을 더 구비한 것이다.
중립 위치 검출 수단(17)은 예를 들면 도 16과 같이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 13B)의 측면 또는 하면에 배설된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와, 회전대(5)상에 배설되고,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의 상단면(17c)에 의한 가압에 의해 온오프 전환되는 자립 복귀형의 가압 버튼 스위치(17b)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는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 13B)의 원호 방향에 따라서 일정의 높이에서 하나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은 그 높 이가 점차 낮게 되는 사면(17d)으로 되어 있다.
이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는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 13B)의 전후의 회동에 따라서 전후로 회동한다. 그리고, 이 회동에 의해 가압 버튼 스위치(17b)는, 그 가압 버튼부(17e)가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의 사면(17d)을 위에서 상단면(17c)에 의해 압압되어 온으로 되고, 또한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의 사면(17d)을 아래에서 상단면(17c)으로부터의 압압이 해제되어서 오프로 된다.
여기서는,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 13B)이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즉, 탑재 고정부(11)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가압 버튼 스위치(17b)는 예를 들면 온되고,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 13B)이 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가압 버튼 스위치(17b)는 예를 들면 오프된다.
즉, 가압 버튼 스위치(17b)의 온오프의 전환에 의해 탑재 고정부(11)의 전후 회동의 중립 위치가 검출되고, 가압 버튼 스위치(17b)의 온 상태에 의해 탑재 고정부(11)의 전방으로의 회동 상태가 검출되고, 가압 버튼 스위치(17b)의 오프 상태에 의해 탑재 고정부(11)의 후방으로의 회동 상태가 검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동대(1C)에 의하면, 탑재 고정부(11)의 전후 회동의 중립 위치를 검출하는 중립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므로, 탑재 고정부(11)의 전후 회동의 중립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제 2 전동 모터(15c)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전원의 오프시, 온시 또는 임의의 시에 탑재 고정부(11)의 회동 위치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립 위치 검출 수단(17)은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 13B)에 원호형 상 가이드 레일(13, 13B)의 원호 방향을 따라서 배설된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와, 가압용 볼록 돌기부(17a)의 상단면(17c)에 의한 가압에 의해 온오프 전환되는 자립 복귀형의 가압 버튼 스위치(17b)를 구비하므로, 탑재 고정부(11)의 전후 회동의 중립 위치 뿐만 아니라, 탑재 고정부(11)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방으로의 회동 상태 또는 후방으로의 회동 상태도 검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이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3에 있어서 또한 기반대(제 2 대부)(3)를 승강하는 전동 승강 기구(19)를 더 구비한 것이다.
전동 승강 기구(19)는 예를 들면 도 17과 같이 기반대(제 3 대부)(19a)와, 기반대(3)가 배설되는 승강대(19b)와, 기반대(19a)상에 그 중심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입설되는 동시에 승강대(19b)의 나사 구멍(19c)에 나사 삽입된 스크류 샤프트(19d)와, 기반대(19a)상에 입설되는 동시에 승강대(19b)의 삽통 구멍(19e)에 삽통된 가이드 샤프트(19f)와, 기반대(19a)상에 배설된 스크류 샤프트 회전용의 전동 구동 유닛(19g)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대(19b)는, 그 상면에 기반대(3)가 장착되는 장착면(19h)을 갖는 동시에, 그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 구멍(19c)과, 그 상하면을 관통하는 삽통 구멍(19e)을 갖고 있다. 나사 구멍(19c)은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나사 새김되어 있고, 스크류 샤프트(19d)의 외주면에 나사 새김된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승강대(19b)는 스크류 샤프트(19d) 및 가이드 샤프트(19f)에 의해 수평방향 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스크류 샤프트(19d)의 그 중심축 주위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19d) 및 가이드 샤프트(19f)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전동 구동 유닛(19g)을 구동시켜서 스크류 샤프트(19d)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 샤프트(19d)의 회전에 따라서 승강대(19b)가 상승되고, 이것에 의해 승강대(19b)에 장착된 기반대(3)가 승강되어서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가 상승된다. 또한, 전동 구동 유닛(19g)을 구동시켜서 스크류 샤프트(19d)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 샤프트(19d)의 회전에 따라서 승강대(19b)가 하강되고, 이것에 의해 승강대(19b)에 장착된 기반대(3)가 강하되어서 탑재 고정부(11)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2)가 강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동대(1D)에 의하면, 기반대(제 2 대부)(3)를 승강하는 전동 승강 기구(19)를 구비하므로, 박형 표시 장치(2)를 전후의 회동으로 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승강 기구(19)는 기반대(19a)와, 승강대(19b)와, 스크류 사프트(19d)와, 가이드 샤프트(19f)로 구성되므로, 간단한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에 표시 장치(2)를 배설한 경우의 전방 경사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에 표시 장치(2)를 배설한 경우의 후방 경사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에 표시 장치(2)를 배설한 경우의 표시 장치(2)의 전후 회동의 중립 위치 상태에서의 측면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에 표시 장치(2)를 배설한 경우의 표시 장치(2)가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에 표시 장치(2)를 배설한 경우의 표시 장치(2)가 후방으로 회동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의 전방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의 후방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기반대(3)측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6의 탑재 고정부(11)측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화살표(P)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기어 박스(15b)의 투시도,
도 12는 기어 박스(15b)의 구동 치차(15j)와 원호형상 내치차(15a)와의 치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B)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13B)과 입설부(7B)와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도 13의 탑재 고정부(11)측의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기반대(3)측의 부분 사시도,
도 16은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C)의 중립 위치 검출 수단(17)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동대(1D)의 전동 승강 기구(19)의 구성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 장치용 회동대 2 : 표시 장치
3 : 기반대(제 2 대부) 5 : 회전대(제 1 대부)
7, 7B : 입설부 7a : 바닥판부
7b, 7c : 수직 평판부 7d : 바닥판부
7e : 수직 평판부 7f : 입설부 본체
7g : 보지 부재 9 : 지지용 롤러
11 : 탑재 고정부 11a : 탑재부
11b : 좌우의 위치 결정용의 수직판부
11c : 전후의 위치 결정용의 볼록 돌기부
11d : 고정판 11e : 구멍부
13, 13B :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 13a : 원호형상 상변부
13b : 원호형상 하변부 13c : 연결부
13d : 원호 13e : 중심점
13f : 고정부
13g :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 본체 13h : 고정부
13i : 측면부 13j : 상면부
13k : 하면부 13m : 제 1 고정부
13n : 제 2 고정부 13p : 스토퍼
15 : 전동 구동 기구 15a : 원호형상 내치차
15b : 기어 박스 15c : 제 2 전동 모터
15d : 워엄 기어 15e : 워엄 휠
15f : 제 1 중계 치차 15g : 제 2 중계 치차
15h : 제 3 중계 치차 15i : 제 4 중계 치차
15j : 구동 치차 17 : 중립 위치 검출 수단
17a : 가압용 볼록 돌기부 17b : 가압 버튼 스위치
17c : 상단면 17d : 사면
17e : 가압 버튼부 19 : 전동 승강 기구
19a : 기반대(제 3 대부) 19b : 승강대
19c : 나사 구멍 19d : 스크류 샤프트
19e : 삽통 구멍 19f : 가이드 샤프트
19g : 전동 구동 유닛 19h : 장착면
C : 수평선 C2, C3, C4 : 회전축

Claims (10)

  1. 제 1 대부(臺部)와,
    표시 장치가 탑재 고정되는 탑재 고정부와,
    그 원호의 중심점이, 상기 탑재 고정부에 탑재 고정된 박형 표시 장치의 중심을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해서, 상기 탑재 고정부에 배설된 좌우 한쌍의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대부에 입설된 입설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을,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의 상기 중심점이 상기 수평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롤러와,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을 상기 수평선 주위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탑재 고정부를 전후로 회동시키는 전동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은 원호형상 상변부와, 원호형상 하변부와, 이들 각 변부가 서로에 간격을 두고서 평행 배치되는 형태로 이들 각 변부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를 갖고, 이들 각 변부 사이에, 상기 지지용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은 그 원호의 곡률반경에 따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U자 형상의 내부에 상기 지지용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 기구는,
    상기 제 1 대부상에 배설된 원호형상 내치차와,
    상기 탑재 고정부에 배설된 기어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박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배설된 워엄 기어와,
    상기 워엄 기어와 치합된 워엄 휠과,
    상기 원호형상 내치차와 치합하고, 상기 워엄 휠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치차를 구비하고,
    상기 워엄 기어는, 상기 워엄 휠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상 내치차의 피치원의 반경은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의 원호의 곡률반경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원호형상 내치차의 피치원의 중심점은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의 원호의 중심점을 통하는 상기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부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부를 승강하는 전동 승강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승강 기구는,
    제 3 대부와,
    상기 제 2 대부가 배설되는 승강대와,
    상기 제 3 대부상에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입설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대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 구멍에 나사 삽입된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제 3 대부상에 입설되는 동시에 상기 승강대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삽통 구멍에 삽통된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상기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전동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고정부의 전후 회동의 중립 위치를 검출하는 중립 위치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에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 레일의 원호 방향에 따라서 배설되고, 그 일단측이 사면으로 된 가압용 볼록 돌기부와,
    상기 제 1 대부상에 배설되고, 상기 가압용 볼록 돌기부의 상단면에 의한 가압에 의해 온오프 전환되는 자립 복귀형의 가압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버튼 스위치의 온오프의 전환에 의해 상기 탑재 고정부의 상기 중립 위치가 검출되고, 상기 가압 버튼 스위치의 온 상태에 의해 상기 탑재 고정부의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방 또는 후방중 한쪽으로의 회동 상태가 검출되고, 상기 가압 버튼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 의해 상기 탑재 고정부의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방 또는 후방중 다른쪽으로의 회동 상태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동대.
KR1020090033070A 2008-04-17 2009-04-16 표시 장치용 회동대 KR101057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7496 2008-04-17
JP2008107496A JP5213502B2 (ja) 2008-04-17 2008-04-17 表示装置用回動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54A true KR20090110254A (ko) 2009-10-21
KR101057288B1 KR101057288B1 (ko) 2011-08-16

Family

ID=4120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070A KR101057288B1 (ko) 2008-04-17 2009-04-16 표시 장치용 회동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7227B2 (ko)
JP (1) JP5213502B2 (ko)
KR (1) KR101057288B1 (ko)
CN (1) CN101561075B (ko)
TW (1) TWI3990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497A (ko) * 2019-01-17 2020-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4721B2 (en) 2010-06-09 2015-07-07 Alex Lau Support system
US9316346B2 (en) 2010-06-09 2016-04-19 Colebrook Bosson Saunders (Products) Limited Support system
USD684982S1 (en) 2010-08-11 2013-06-25 Colebrook Bosson Saunders (Products) Limited Display support with indicator window
CN103460689A (zh) * 2010-11-30 2013-12-18 麦尔斯顿Av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最大倾斜特征的电子显示器安装
US8922618B2 (en) 2011-06-30 2014-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nitor mount
WO2013101087A1 (en) * 2011-12-29 2013-07-04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tion detector
CN103915040B (zh) 2013-01-07 2018-09-1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JP2014236390A (ja) * 2013-06-03 2014-12-15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スウィングヒンジ
KR20150041482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21652A (ko) * 2015-04-09 2016-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6980437A (zh) * 2017-03-20 2017-07-25 上海爱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多媒体互动设备
CN107477323A (zh) * 2017-09-25 2017-12-15 南京宝丽晶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度和角度的平板显示屏支架
US11414288B2 (en) * 2017-11-16 2022-08-16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meandering in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for strip material
CN107757372A (zh) * 2017-11-27 2018-03-06 苏州骏创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中控显示屏调节机构
CN108161926A (zh) * 2017-12-22 2018-06-15 中山市得高行知识产权中心(有限合伙) 一种多角度调节机器人手臂
CN108131536A (zh) * 2017-12-25 2018-06-08 胡张艳 一种拆分式高精度稳定型医用升降平台
CN108413193B (zh) * 2018-03-07 2020-07-17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促进颈椎运动的显示屏移动装置
TWI647400B (zh) 2018-03-19 2019-01-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支撐裝置
TWI676096B (zh) * 2018-07-10 2019-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支撐裝置
CN110345343B (zh) * 2019-06-13 2021-12-1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器支架及应用其的显示器
CN111059424A (zh) * 2019-12-30 2020-04-24 扬州驿丰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高度且可以自由旋转的监控杆
CN111473216B (zh) * 2020-03-18 2022-02-01 山东省职业卫生与职业病防治研究院 一种食品生产用职业卫生检测设备
AU2022204088A1 (en) * 2022-06-10 2024-01-04 Oxti Pte Ltd Multiple-angle display adjus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0692A (en) * 1980-11-03 1986-02-18 Wilson William G Methods of pouring metal
US4564166A (en) * 1983-01-21 1986-01-14 Delta Data Systems Corporation Rotary tilt base for video terminal
JPS59126279U (ja) * 1983-02-14 1984-08-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プレイ用機器のスタンド装置
DE3472152D1 (en) * 1984-06-26 1988-07-21 Tandberg Data Stand for a video display unit adjustable in height
US4570892A (en) * 1984-12-11 1986-02-1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iltable rotating display monitor mount
US4858864A (en) * 1987-01-30 1989-08-22 Hewlett-Packard Company Tilt and swivel mechanism
US5037050A (en) * 1990-03-28 1991-08-06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assembly for adjustable mounting of a display unit
JPH0461576A (ja) 1990-06-29 1992-02-27 Nec Home Electron Ltd ディスプレイ回転台
US5353142A (en) * 1993-04-29 1994-10-04 Honeywell Inc. Electro 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processing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s
US5683068A (en) * 1995-04-03 1997-11-04 Apple Computer, Inc. Tilt/swivel support for personal computer monitor
JPH08289229A (ja) * 1995-04-11 1996-11-01 Seiichi Yashima テレビ受像機の収納ラック
JPH1065999A (ja) 1996-08-14 1998-03-06 Sony Corp チルトスタンド
KR100224302B1 (ko) * 1997-01-10 1999-10-15 윤종용 화면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원활한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스탠드
US5881985A (en) * 1997-02-04 1999-03-16 Apple Computer, Inc. Tilting, swiveling, locking base for monitors
KR100242840B1 (ko) * 1997-05-27 2000-02-01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00283670B1 (ko) * 1997-12-27 2001-03-02 전주범 모니터의 틸트 및 스위블 장치
US6102355A (en) * 1998-03-27 2000-08-15 Rood; Richard K. Motion imparting support for CRT monitors and similar devices
GB2338407B (en) * 1998-06-15 2000-05-24 Acer Peripherals Inc Monitor base
JP2000250418A (ja) 1999-02-25 2000-09-14 Nec Home Electronics Ltd 薄型表示装置のチルト機構
US6227518B1 (en) * 1999-09-08 2001-05-08 Compal Electronics, Inc. Pivot base for a computer monitor
JP2001169210A (ja) * 1999-12-14 2001-06-22 Fujitsu Ltd チルトスタンド
US7032870B2 (en) * 2000-11-28 2006-04-25 Ergotr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orce and torque
JP2002265189A (ja) * 2001-03-06 2002-09-18 Mitsubishi Materials Corp テレビ分解作業台とテレビの分解方法
US6766994B2 (en) * 2002-04-05 2004-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abilized flat panel touch monitor
US7331551B2 (en) * 2002-04-24 2008-02-19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Multiple electronic device reorienting support
US7152836B2 (en) * 2003-01-09 2006-12-26 Csav, Inc. Adjustable tilt mount
JP2004304679A (ja) * 2003-04-01 2004-10-28 Matoba Denki Seisakusho:Kk ディスプレイ用電動回転機構
KR100534119B1 (ko) * 2003-08-06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JP4806980B2 (ja) * 2005-06-27 2011-11-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用台座
US8028964B2 (en) * 2006-01-13 2011-10-04 Peerless Industries, Inc. Incremental angular position and locking system for mounting devices
JP2008040288A (ja) * 2006-08-09 2008-02-21 Shimonishi Giken Kogyo Kk 平面ディスプレイの駆動装置
JP4876833B2 (ja) * 2006-10-10 2012-02-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トルクリミッタ装置を含む表示装置の台座およびトルクリミッタ装置
JP4222409B2 (ja) * 2006-11-07 2009-02-1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画面旋回装置
JP3128970U (ja) * 2006-11-14 2007-02-01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画面旋回装置
JP3132678U (ja) * 2006-12-18 2007-06-21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モニタ用スイーベル装置
JP4254870B2 (ja) * 2007-02-08 2009-04-15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画面旋回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497A (ko) * 2019-01-17 2020-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9089B (zh) 2013-06-11
US8827227B2 (en) 2014-09-09
JP5213502B2 (ja) 2013-06-19
CN101561075A (zh) 2009-10-21
CN101561075B (zh) 2011-05-18
TW200945892A (en) 2009-11-01
KR101057288B1 (ko) 2011-08-16
US20090261223A1 (en) 2009-10-22
JP2009260678A (ja)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288B1 (ko) 표시 장치용 회동대
US7733634B2 (en) Monitor system
CN101136257B (zh) 平面显示器的驱动装置
US20090284668A1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and Television Set
EP1767844A2 (en)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US8302262B2 (en) Hinge device of plane display
JP4577784B2 (ja) 資料提示装置
US20090154083A1 (en) Hinge device of plane display
CN113075224A (zh) 一种多相机多投影仪多光源钢板表面检测平台
JP2019203528A (ja) 案内駆動装置および案内駆動装置を使用した表示装置
CN110936079A (zh) 一种用于钢结构焊接的操作台
CN214749833U (zh) 一种多用途钢板表面缺陷检测平台
CN213274145U (zh) 一种ccd光学测量机用自动装夹装置
JP4744367B2 (ja) 資料提示装置
KR970014267A (ko) 디스플레이의 각도조절장치
KR200367764Y1 (ko)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KR19980010211U (ko) 토오치 이동형 자동 용접주행대차
CN111098023A (zh) 一种具有多方位调节机构的激光切割设备
KR200367765Y1 (ko)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JPH1165474A (ja) 表示部材を備えた電子機器装置
CN214326493U (zh) 一种玻片转移拨动装置
CN215824014U (zh) 一种可调节倾斜角度的冲床
CN219474920U (zh)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平板显示器跌落试验台
JPH1086763A (ja) 表示装置
JPH0351689A (ja) 冷蔵庫の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