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497A -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497A
KR20200089497A KR1020190006306A KR20190006306A KR20200089497A KR 20200089497 A KR20200089497 A KR 20200089497A KR 1020190006306 A KR1020190006306 A KR 1020190006306A KR 20190006306 A KR20190006306 A KR 20190006306A KR 20200089497 A KR20200089497 A KR 20200089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ower hinge
hinge portion
stan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077B1 (ko
Inventor
권오관
김경복
안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0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Abstract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한 하측 힌지부; 일단이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각도가 가변하는 링크바디; 및 상기 링크바디가 상기 하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측 힌지부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스탠드는 표시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종래에 비해 확대되어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와 각도로 조정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력부의 각도, 높이, 회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 가능한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 가능한 핸드 헬드(Hand-Held) 방식과 주로 특정 위치에 두고 사용하는 거치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부를 벽면에 거는 벽걸이 형태 또는 출력부가 스탠드와 결합하여 바닥 등에 놓여지는 스탠드 형이 있다.
스탠드 형의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부의 위치 또는 바라보는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출력부가 스탠드의 상하 방향으로 틸트 거동하는 틸트 거동, 바닥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블 거동 및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거동이 가능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틸트 거동, 스위블 거동 및 높낮이 조절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는 불가피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며 무게를 증가시키고 부품의 추가로 인한 비용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거동들을 구현하면서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하고 생산 비용 또한 최소화 하는 간단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하 높이 조절시 표시부의 전후 위치나 표시부의 각도가 변화하지 않는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한 하측 힌지부; 일단이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각도가 가변하는 링크바디; 및 상기 링크바디가 상기 하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측 힌지부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크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피니언기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피니언기어;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힌지부가 관통하며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하측 힌지부의 제2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가 결합하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바디의 타단에 위치하며 표시부가 결합되는 상측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바디는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된 제1 링크; 및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1 위치에 핀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2 위치에 핀결합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바디 회전시 상기 표시부가 향하는 각도는 유지될 수 있다.
일단은 상기 제1 링크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링크에 결합하는 링크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힌지부는, 상기 제1 링크를 관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상기 제2 링크와 핀결합하는 제1 힌지바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표시부가 체결된 제2 힌지바디; 및 상기 회전축에 감기며 단부는 상기 제2 힌지바디를 향해 연장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기어부가 안착된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꺾어진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 을 포함하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대면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하면부에 삽입되며 회전시 상기 하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핑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한 하측 힌지부; 일단이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각도가 가변하는 링크바디; 상기 링크바디의 타단에 위치하는 표시부; 및 상기 링크바디가 상기 하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측 힌지부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크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피니언기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힌지부가 관통하며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하측 힌지부의 상기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링크바디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가 결합되는 상측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바디는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된 제1 링크; 및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1 위치에 핀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2 위치에 핀결합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바디 회전시 상기 표시부가 향하는 각도는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 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시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종래에 비해 확대되어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와 각도로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스탠드를 안정적으로 상판에 고정할 수 있어, 표시부의 위치 각도 조정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기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기어부에서 링크바디의 각도에 따른 하부 힌지의 위치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상부 힌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확장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클램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방송 수신 모듈(330),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 메모리(3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50), 컨트롤러(370), 무선 통신 모듈(373), 표시부(200), 오디오 출력 모듈(385), 전원 공급 모듈(3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30)은 튜너(331), 복조부(3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331)는 채널 선국 명렬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3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3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370) 떠는 메모리(3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엔터페이스(335)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3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를 통해 입력된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신호는 표시부(20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를 통해 입력된 외부 디바이스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 모듈(3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보리(340)는 컨트롤러(3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메모리(3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3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3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50)는 블루투수(Bluetooth), 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3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3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키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3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표시부(20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 모듈(3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37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3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표시부(200)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385)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3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표시부(200)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3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3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3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부(20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7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의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무선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73)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모듈(373)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37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3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외부 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73)은 디스플레이 장치(3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3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모듈(3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표시부(200)은 컨트롤러(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사용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용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331)와 복조부(3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3)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3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3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표시부(200) 및 오디오 출력 모듈(3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 가능한 핸드 헬드(Hand-Held) 방식과 주로 특정 위치에 두고 사용하는 거치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출력부를 벽면에 거는 벽걸이 형태 또는 출력부가 스탠드(100)와 결합하여 바닥 등에 놓여지는 스탠드 형이 있다.
스탠드 형의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부의 위치 또는 바라보는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출력부가 스탠드(100)의 상하 방향으로 틸트 거동하는 틸트 거동, 바닥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블 거동 및 바닥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거동이 가능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틸트 거동, 스위블 거동 및 높낮이 조절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는 불가피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며 무게를 증가시키고 부품의 추가로 인한 비용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거동들을 구현하면서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하고 생산 비용 또한 최소화 하는 간단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요구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탠드(100)는 바닥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링크바디(120)를 포함하고, 링크바디(120)의 상측 단부에 표시부(200)가 결합된다. 링크바디(120)와 베이스부(110) 사이에 위치하는 하측 힌지부(140)를 통해 링크바디(12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부(200)의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표시부(200)를 잡고 이동시키면 하측 힌지부(140)의 각도가 변화하며 표시부(200)가 수직방향으로 위치가 달라지는 것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도 변화된다. 표시부(200)를 위로 이동 시키면 동시에 표시부(200)가 배면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다시 표시부(200)가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부(110)의 위치를 변화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부(110)와 하측 힌지부(140) 사이에 기어부(130)를 두어 하측 힌지부(140)가 회전하면 기어부(130)를 통해 하측 힌지부(140)는 전후 방향(제1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하측 힌지부(140)는 기어부(130)와 연결되어 하측 힌지부(140)의 각도가 변화하면 기어부(130)는 하측 힌지부(140)가 직선운동 하도록 하측 힌지부(1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한다.
하측 힌지부(140)가 γ만큼 바닥면과 각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 시 기어부(130)는 하측 힌지부(140)를 b 만큼 전면방향으로 이동하여 링크바디(120)가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표시부(200)의 전후방향 위치가 바뀌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기어부(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어부(130)는 하측 힌지부(140)의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를 포함한다. 제1 기어는 링크바디(120)의 각도변화와 함께 회전하며 제1 피니언기어(13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피니언기어(132)는 제1 피니언기어(13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피니언기어(132)의 톱니와 맞물린 랙기어(133)를 더 포함한다. 랙기어(133)는 베이스부(110)에 위치하며 렉기어 상의 제2 피니언기어(132)의 위치가 가변하면 하측 힌지부(140) 및 링크바디(120)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기어부(130)에서 링크바디(120)의 각도에 따른 하부 힌지부(140)의 위치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의 상태에서 도2b의 상태로 링크바디(120)의 각도가 변화할 때 제1 피니언기어(1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피니언기어(13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피니언기어(1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랙기어(133) 상에서 제2 피니언기어(132)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베이스부(110)를 도시한 도면으로, 베이스부(110) 상에서 하측 힌지부(140)의 위치가 변화하는데 이를 외측으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하측 힌지부(140)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135)는 베이스부(110)의 상측을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114)에 형성된 개구부를 커버하고, 하측 힌지부(140)가 관통한다. 하측 힌지부(140)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부(110) 상에서 움직이나, 베이스 커버(114)상의 개구부 보다 큰 사이즈의 슬라이딩 커버(135)를 이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힌지부(140)의 위치와 관계 없이 기어부(130)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기어부(130)의 랙기어(133)는 슬라이딩부(17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70)는 사용자가 표시부(200)의 상하 위치와 관계 없이 표시부(200)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에 고정된 슬라이드 가이드(171)와 슬라이드 가이드(17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랙기어(133)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7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하측 힌지부(140)가 베이스부(110)에 고정되어 넘어지지 않도록 하측 힌지부(14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172)는 고정된다. 도 6은 도 5의 A-A단면도로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72)를 관통하여 하측 힌지부(140)를 고정하는 체결구(175)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랙기어(133)를 따라 하측 힌지부(140)가 이동 시 슬라이드 플레이트(172)는 같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체결구(17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72)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상에 체결되고 하측 힌지부(140)가 랙기어(133)를 따라 이동 시 체결구(175)는 가이드 슬롯상(172a)의 위치가 가변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17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베이스부(110) 상에 돌출된 스토퍼(173)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그리고 베이스부(110)의 상면을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114)를 포함하며, 베이스부(110) 상에서 하측 힌지부(140)를 바닥면에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플레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12)는 고정부의 상면에 위치하고 전술한 슬라이딩부(170)와 기어부(130)는 회전부 상에 위치한다.
회전 플레이트(112)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회전 플레이트(112)의 둘레부분을 고정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113)가 고정부에 결합한다. 회전 플레이트(112)의 둘레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가이드 플레이트(113)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구조는 회전 플레이트(112)의 회전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상부 힌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수직방향의 단면이고 도 8은 수평방향의 단면이다. 링크바디(120)의 각도가 변화할 때 링크바디(120)와 표시부(200)가 이루는 각도가 일정한 경우 표시부(200)가 향하는 상하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링크바디(120)가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링크바디(120)와 표시부(200)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경우 표시부(200)는 상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링크바디(120)의 회전에 따른 표시부(200)의 각도를 보상하기 위해 링크바디(120)와 표시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상측 힌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바디(120)의 각도를 조정한 후에 상측 힌지부(150)의 각도를 조정하여 표시부(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표시부(200)를 상측방향으로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2번의 조정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이에 링크바디(120)의 각도가 변화하더라도 표시부(200)가 향하는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상측 힌지부(150)의 각도를 링크바디(120)의 각도 변화와 연동시킬 수 있다.
링크바디(120)는 링크커버(124)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링크(121)와 제2 링크(122)를 포함한다. 제1 링크(121)는 일단이 상측 힌지부(150)의 회전축(155)에 결합하고 되고 타단이 하측 힌지부(140)의 중심에 결합한다. 제2 링크(122)는 일단이 상측 힌지부(150)의 회전축(155)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핀결합(154)하고 타단이 하측 힌지부(140)의 회전축(142)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핀결합(143) 한다.
상측 힌지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측 힌지바디(151), 제2 상측 힌지바디(152) 및 제1 상측 힌지바디(151), 제2 상측 힌지바디(152) 및 제1 링크(121)를 관통하는 힌지축(155)을 포함한다. 제2 상측 힌지바디(152)는 표시부(200)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토션 스프링(15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56)은 코일 스프링의 양단(156a)이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토션 스프링(156)의 감김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탄성을 가진다. 토션 스프링9156)의 탄성은 제1 상측 힌지바디(151)와 제2 상측 힌지바디(152) 사이의 각도를 유지하고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측 힌지바디(151)와 제2 상측 힌지바디(152) 사이에 링 형상의 마찰와셔(157)를 개재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두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도 7의 (a)는 도 2a와 같이 링크바디(120)와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가 α에서 도 2b와 같이 링크바디(120)와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가 β로 변화하는 경우(링크바디(120)가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γ만큼 변화하는 경우) 표시부(200)와 링크바디(120)가 이루는 각도도 α' 에서 β'로 변화된다. 즉, 하측 힌지부(140)의 각도변화를 상측 힌지부(150)에 전달하여 하측힌지부가 회전한 각도만큼 반대 방향으로 상측 힌지부(150)는 회전하여 표시부(200)가 항상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연동시킬 수 있다.
링크바디(120)는 하측 힌지부(140)의 중심과 상측 힌지부(150)의 중심과 결합하는 제1 링크(121)를 포함하고, 제1 링크(121) 이외에 일단이 하측 힌지부(140)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핀결합하고 타단이 상측 힌지부(150)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핀결합하는 제2 링크(122)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121)의 길이(L1)와 제2 링크(122)의 길이(L2)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하측 힌지부(140)가 회전하면 상측 힌지부(150)도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바디(120)와 이루는 각도가 가변한다. 하측 힌지부(140)는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므로 제2 링크(122)의 일단과 결합된 하측 힌지부(140)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하측 힌지부(140)의 중심에서 제2 링크(122)와 결합된 핀(143)까지 연장선과 바닥면에 대한 각도(θ)는 변화하지 않는다. 상측 힌지부(150)의 중심에서 제2 링크(122)와 결합된 핀(154)까지 연장선과 바닥면에 대한 각도가 같고 결국, 상측 힌지부(150)의 표시부(200)와 연결된 제2 상측 힌지바디(152)의 바닥면과의 각도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링크(121)와 제2 링크(122) 사이의 상하 동작력을 조절하기 위한 링크 스프링(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스프링(123)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측 힌지부(150)의 각도를 조정할 때 하측 힌지부(140)의 토크 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측 힌지부는 수평한 방향의 회전축(15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상측 힌지바디(151)와 제2 상측 힌지바디(152) 이외에 좌우 방향으로 표시부(200)를 회전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15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상측 힌지바디(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상측 힌지바디(153)는 표시부(200)와 직접 연결되며, 좌우방향의 움직임은 중력과 관계없으므로 와셔(157)나, 토션 스프링(156)을 생략한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확장 베이스부(16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베이스부(110)의 크기만으로는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어려우므로, 베이스부(110)의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확장 베이스부(16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확장 베이스부(161)는 상측에 개방부(161a)를 포함하여 링크바디(120)가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면은 마찰력이 큰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베이스부(161)는 표시부(200)의 무게를 고려하여 고중량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클램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같은 확장 베이스부(161)를 확장한 확장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클램핑부(180)를 이용하여 스탠드(100)를 지지할 수 있다. 클램핑부(180)는 확장 베이스(161))보다 더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책상 등의 상판을 집는 구조이므로 수비게 넘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표시부(200)의 위치, 각도를 조절할 때 바닥에 고정이 안된 상태에서는 넘어질 수 있으나, 클램핑부(180)를 이용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표시부(200)의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클램핑부(180)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81)와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82) 및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82)를 관통하는 클램핑 조절나사(183)를 포함한다.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81)는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회전부(130)와 결합하고 책상, 테이블 등의 상판의 상면와 접하는 상면부와 상면부에서 꺾어져 상판의 측면을 감싸는 제1 측면부(181b)를 포함한다. 상면부(181a)에는 개구부(181c)가 형성되어 스탠드(100)의 베이스부(1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82)는 상면부(181a)와 대면하는 하면부(182a)를 포함하고, 하면부(182a)는 상판의 하면에 접한다. 하면부(182a)에서 꺾어진 제2 측면부(182b)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81)의 제1 측면부(181b)와 체결되며, 제1 측면부(181b)에는 걸림홈(182d)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측면부(182b)에는 걸림홈(182d)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81d)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82d)과 걸림돌기(181d)가 도 8b와 같이 체결되어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81)와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82) 사이에 상판이 위치하여 상판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홈(182d)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하여 상판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걸림홈(182d)만으로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기 부족한 바, 클램핑 조절나사(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조절나사(183)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82)의 하면부(182a)를 관통하며 회전하면 하면부(182a)를 관통하여 클램핑 조절나사(183)가 이동하고 클램핑 조절나사(183)가 상판 하면에 밀착하여 클램핑부(180)를 고정한다. 클램핑 조절나사(183)의 단부는 상판의 하면과 넓은 면적이 접촉되도록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 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시부(200)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종래에 비해 확대되어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와 각도로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스탠드(100)를 안정적으로 상판에 고정할 수 있어, 표시부(200)의 위치 각도 조정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스탠드 110: 베이스부
111: 베이스 플레이트 112: 회전 플레이트
113: 가이드 플레이트 114: 베이스 커버
120: 링크바디 121: 제1 링크
122: 제2 링크 123: 링크 스프링
125: 링크커버 130: 기어부
131: 제1 피니언기어 132: 제2 피니언기어
133: 랙기어 135: 슬라이딩 커버
140: 하측 힌지부 150: 상측 힌지부
151: 제1 상측 힌지바디 152: 제2 상측 힌지바디
153: 제3 상측 힌지바디 156: 토션 스프링
157: 마찰와셔 161: 확장베이스
170: 슬라이딩부 171: 슬라이드 가이드
172: 슬라이드 플레이트 173: 스토퍼
175: 체결구 180: 클램핑부
181: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182: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183: 클램핑 조절나사 200: 표시부
3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4)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한 하측 힌지부;
    일단이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각도가 가변하는 링크바디; 및
    상기 링크바디가 상기 하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측 힌지부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크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피니언기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피니언기어;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힌지부가 관통하며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하측 힌지부의 제2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가 결합하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디의 타단에 위치하며 표시부가 결합되는 상측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디는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된 제1 링크; 및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1 위치에 핀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2 위치에 핀결합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바디 회전 시 상기 표시부가 향하는 각도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7.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 링크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링크에 결합하는 링크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힌지부는,
    상기 제1 링크를 관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상기 제2 링크와 핀결합하는 제1 힌지바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표시부가 체결된 제2 힌지바디; 및
    상기 회전축에 감기며 단부는 상기 제2 힌지바디를 향해 연장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기어부가 안착된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꺾어진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 을 포함하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대면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하면부에 삽입되며 회전시 상기 하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핑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한 하측 힌지부;
    일단이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각도가 가변하는 링크바디;
    상기 링크바디의 타단에 위치하는 표시부; 및
    상기 링크바디가 상기 하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측 힌지부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하측 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크바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피니언기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힌지부가 관통하며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하측 힌지부의 상기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디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가 결합되는 상측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바디는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회전축에 체결된 제1 링크; 및
    일측은 상기 상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1 위치에 핀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하측 힌지부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제2 위치에 핀결합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바디 회전 시 상기 표시부가 향하는 각도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06306A 2019-01-17 2019-01-17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06A KR102634077B1 (ko) 2019-01-17 2019-01-17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06A KR102634077B1 (ko) 2019-01-17 2019-01-17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97A true KR20200089497A (ko) 2020-07-27
KR102634077B1 KR102634077B1 (ko) 2024-02-07

Family

ID=7189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06A KR102634077B1 (ko) 2019-01-17 2019-01-17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1178A (zh) * 2021-10-27 2022-02-15 杭州中芯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uwb定位基站墙面定位安装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735A (ja) * 1996-02-22 1997-09-05 Nec Home Electron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20040006992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60099671A (ko) * 2005-03-14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0710313B1 (ko) * 2006-05-26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090110254A (ko) * 2008-04-17 2009-10-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용 회동대
KR20100041282A (ko) * 2008-10-13 2010-04-22 주식회사 퍼맥스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735A (ja) * 1996-02-22 1997-09-05 Nec Home Electron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20040006992A (ko)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60099671A (ko) * 2005-03-14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0710313B1 (ko) * 2006-05-26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090110254A (ko) * 2008-04-17 2009-10-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용 회동대
KR20100041282A (ko) * 2008-10-13 2010-04-22 주식회사 퍼맥스 평판형 모니터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1178A (zh) * 2021-10-27 2022-02-15 杭州中芯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uwb定位基站墙面定位安装设备
CN114051178B (zh) * 2021-10-27 2023-12-29 杭州中芯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uwb定位基站墙面定位安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077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72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4083765A1 (en) Display apparatus
US11501742B2 (en) Display device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17023546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075258A1 (en) Display apparatus
KR20120078068A (ko) 제어 디바이스, 방송수신장치,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79287B1 (ko) 무선 영상 전송 기능을 구비한 전자 교탁 시스템
KR20200089497A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82722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KR102273196B1 (ko) 텔레비전의 이동통신망 기반 콘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EP3525453A1 (en) Display device
KR102130538B1 (ko) 영상표시장치
US8214866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video processing apparatus
KR101014336B1 (ko)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JP5947932B2 (ja) 電子機器
KR102534480B1 (ko)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23633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35115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4003680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161084A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29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