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336B1 -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336B1
KR101014336B1 KR1020080069188A KR20080069188A KR101014336B1 KR 101014336 B1 KR101014336 B1 KR 101014336B1 KR 1020080069188 A KR1020080069188 A KR 1020080069188A KR 20080069188 A KR20080069188 A KR 20080069188A KR 101014336 B1 KR101014336 B1 KR 10101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top box
wireless lan
unit
wla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622A (ko
Inventor
송오영
김지호
박순형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3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단말 장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는 케이블을 통해 방송을 수신하여 수신된 방송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케이블 방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에 있어서, 무선랜 카드를 구비하여, 무선랜 단말 장치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부; 웹 서버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인터넷을 통해 원격 제어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케이블 방송 관리부, 상기 무선랜부,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인증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SET TOP BOX OF CABLE TELEVISION CONTROLED BY WIRELESS LAN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랜 단말 장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텔레비전(Cable Television)이란 동축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 등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케이블 텔레비전은 특정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지상파 텔레비전에 비해 보다 전문적인 방송이라 할 수 있다.
근래에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양방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홈뱅킹, 원격 교육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텔레비전의 사용자는 케이블을 통해 공급자가 제공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셋톱박스(Set top box)로 수신하여 시청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 텔레비전의 사용자는 리모콘과 같은 적외선 단말 장치나, 블루투스 단말 장치 등을 통해 셋톱박스를 제어함으로써 채널 검색이나 설정 제어 등을 시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와 단말 장치가 셋톱박스로부터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하여, 셋톱박스와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셋톱박스를 제어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제어 반경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 단말 장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웹 서버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랜 단말 장치들 간에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도록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무선랜 단말 장치들을 연결시키는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는 케이블을 통해 방송을 수신하여 수신된 방송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케이블 방송 관리부; 무선랜 단말 장치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부;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서버부; 및 상기 서버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방송의 수신 및 상기 수신된 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이다.
상기 무선랜 통신은 에드-혹 방식 또는 인프라스트럭처 방식이다.
상기 서버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와 파일을 송수신한다.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부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 제어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하다.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부로부터 전달된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은 상기 방송의 수신 및 상기 수신된 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이다.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와 파일을 송수신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인증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상기 무선랜부는 무선랜 카드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의 표시 화면에 제어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서버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의 표시 화면 또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의 표시 화면에 제어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은 다수의 무선랜 단말 장치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케이블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각각의 공 유 콘텐츠 목록이 상기 셋톱박스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셋톱박스로 콘텐츠 검색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공유 콘텐츠 목록 중 상기 콘텐츠 검색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결과 중 소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저장된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전송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전송 요청된 콘텐츠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은 다수의 무선랜 단말 장치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케이블 텔레비전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각각의 공유 콘텐츠 목록이 상기 셋톱박스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셋톱박스로 상기 등록된 공유 콘텐츠 목록에 대한 정보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등록된 공유 콘텐츠 목록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가 상기 전달된 공유 콘텐츠 목록에 대한 정보 중 소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저장된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전송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 기 전송 요청된 콘텐츠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는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셋톱박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 제어 단말 장치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과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는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는 무선랜 통신 기능 및 웹 서버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애드 혹 모드를 이용하여 무선랜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접속되는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랜 단말 장치와 셋톱박스 간에 파일 송수신 및 공유가 가능하고, 셋톱박스를 매개로 하여 무선랜 단말 장치들이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무선랜 단말 장치 간에 효과적인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 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은 셋톱박스(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셋톱박스(100)는 케이블 방송 관리부(160)를 이용함으로써 방송 공급자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함과 아울러,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무선랜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서버부(140), 및 인증부(150)를 포함한다.
무선랜부(110)는 무선랜 카드를 포함하여, 셋톱박스(100)가 무선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랜 통신으로는 중계기를 사용한 인프라스트럭 처(Infrastructure) 방식과 에드-혹(AD-HOC) 방식이 모두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무선랜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끼리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드-혹 방식으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단말 장치(300)와 HTTP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나 PDA 등과 같이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를 리모콘 대신 사용하여 셋톱박스(100)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콘을 사용하는 종래에 비해 셋톱박스(100)의 제어 반경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서버부(140)는 웹 서버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셋톱박스(100)가 웹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셋톱박스(100)의 모든 기능은 웹 브라우저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사용자는 무선랜 단말 장치(300)를 통해 셋톱박스(100)의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여, 셋톱박스(10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부(140)는 에드-혹 방식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도 셋톱박스(100)의 웹브라우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를 비롯하여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원격 제어 단말 장치(400)를 통해 인터넷 접속만 가능하다면 외부의 어느 곳에서라도 댁내에 있는 셋톱박스(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서버부(140)를 통해 이루어지는 인터넷 통신은 케이블, 랜 등을 이용한 일반적인 인터넷 통신 방법을 통해 실시되기 때문에, 인터넷 통신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서버부(140)는 무선랜 통신 또는 인터넷을 통해 무선랜 단말 장치(300)와 셋톱박스(100), 또는 원격 제어 단말 장치(400)와 셋톱박스(100) 간에 파일을 송수신하거나,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셋톱박스(100)에 수신된 파일은 저장부(130)에 저장되며, 멀티미디어 파일인 경우, 셋톱박스(100)에서 자체적으로 재생 가능하다.
또한, 서버부(140)는 셋톱박스(100)과 통신 가능한 무선랜 단말 장치(300)가 다수 개인 경우, 무선랜 단말 장치(300)들이 서로 피어투피어(Peer-to-peer, P2P)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랜 단말 장치(300)들 간에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한편, 콘텐츠 공유는 무선랜 단말 장치(300)들뿐만 아니라, 무선랜 단말 장치(300)와 원격 제어 단말 장치(400) 간에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서버부(140)를 통해 제어 명령이 전달되면, 이를 수신하여 셋톱박스(100)를 실질적으로 제어하고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셋톱박스(100)의 제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부(14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무선랜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셋톱박스(1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인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50)는 무선랜 통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셋톱박스(100)의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 즉, 인증부(150)는 사용자가 무선랜 단말 장치(300) 또는 원격 제어 단말 장치(400)를 통해 셋톱박스(100)의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여, 인증이 되는 경우에만 제어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인증 작업은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작업일 수도 있고, 무선랜 단말 장치(300) 또는 원격 제어 단말 장치(400) 자체를 인증하는 작업일 수도 있다.
상술한 셋톱박스(100)의 웹 브라우저 등의 제어 화면은 셋톱박스(100)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랜 단말 장치(300) 또는 원격 제어 단말 장치(400)의 표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 화면에도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 화면을 보지 않고서도, 셋톱박스(100)의 제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도 2는 무선랜 단말 장치(300) 또는 원격 제어 단말 장치(400)의 표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화면(50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화면(500)상에는 채널 설정(510), 볼륨 설정(520), 데이터 설정(530) 및 화면 설정(540) 등의 제어 창이 표시된다. 채널 설정(510) 창에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 정보와, 채널 업(UP) 및 다운(DOWN) 버튼, 채널 검색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고, 볼륨 설정(520) 창에는 현재의 볼륨(Volume) 정보와, 볼륨 업 및 다운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데이터 설정(530) 창을 통해, 저장, 불러오기, 이동, 복사, 삭제 등의 파일 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며, 화면 설정(540) 창을 통해 해상도 설정, 화면 이동 설정, 색상 조절 설정 등의 화면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화면(500)에는 도 2에 도시된 설정 외에도, 셋톱박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랜 단말 장치(300)들이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랜 단말 장치(300)들 간에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무선랜 단말 장치(300)가 셋톱박스(100)에 접속되어야 하며, 도 3에서는 셋톱박스(100)에 제1 및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a, 300b)가 접속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1 및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a, 300b) 각각에는 공유 폴더가 설정되어 있고, 공유 폴더에 저장된 콘텐츠 목록들은 셋톱박스(100)에 등록된다(S610). 콘텐츠 목록들은 콘텐츠가 위치하고 있는 주소 정보, 크기, 이름, 코덱(Codec)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셋톱박스(100)로 전송된 정보들은 저장부(130)에 등록되거나, 별도의 등록부에 등록될 수 있다.
각 무선랜 단말 장치(300a, 300b)는 셋톱박스(100)에 요청하여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목록을 모두 전송받거나, 필요한 콘텐츠 목록만을 전송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무선랜 단말 장치(300a)가 필요한 콘텐츠 목록만을 전송받고자 하는 경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300a)는 필요한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셋톱박스(100)로 요청한다(S620). 셋톱박스(100)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콘텐츠 목록에서 검색된 결과를 제1 무선랜 단말 장치(300a)로 송신한다(S630). 이때, 셋톱박스(100)는 서버부(140)를 통해 콘텐츠 목록을 검색하거나, 별도의 검색부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제1 무선랜 단말 장치(300a)는 셋톱박스(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결과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선택한 콘텐츠가 저장된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b)로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다(S660).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b)는 콘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제1 무선랜 단말 장치(300a)로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한다(S670).
한편,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b)가 셋톱박스(100)에 등록된 콘텐츠 목록을 모두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b)는 콘텐츠 목록을 셋톱박스(100)로 요청한다(S640). 셋톱박스(100)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콘텐츠 목록 전부를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a)로 송신한다(S650).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b)는 셋톱박스(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목록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선택한 콘텐츠가 저장된 제1 무선랜 단말 장치(300b)로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다(S660). 제1 무선랜 단말 장치(300b)는 콘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제2 무선랜 단말 장치(300b)로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한다(S6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랜 단말 장치(300)와 셋톱박스(100) 간의 파일 공유뿐만 아니라, 셋톱박스(100)를 매개체로 한 P2P 연결을 통해 무선랜 단말 장치(300) 간의 파일 공유도 가능하기 때문에, 셋톱박스(100)를 통해, 에드-혹 또는 인프라스트럭처 통신 중인 모든 무선랜 단말 장치(300)들에서 공유되고 있는 파일들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어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셋톱박스 110 : 무선랜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서버부 150 : 인증부
160 : 케이블 방송 관리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무선랜 단말 장치 400 : 원격 제어 단말 장치
500 : 제어 화면

Claims (20)

  1. 케이블을 통해 방송을 수신하여 수신된 방송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케이블 방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에 있어서,
    무선랜 카드를 구비하여, 무선랜 단말 장치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부;
    웹 서버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무선랜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인터넷을 통해 원격 제어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케이블 방송 관리부, 상기 무선랜부,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인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방송의 수신 및 상기 수신된 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통신은 에드-혹 방식 또는 인프라스트럭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와 파일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부로부터 전달된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은 상기 방송의 수신 및 상기 수신된 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와 파일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부는 무선랜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의 표시 화면에 제어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의 표시 화면 또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의 표시 화면에 제어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
  16. 다수의 무선랜 단말 장치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각각의 공유 콘텐츠 목록이 상기 셋톱박스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셋톱박스로 콘텐츠 검색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공유 콘텐츠 목록 중 상기 콘텐츠 검색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결과 중 소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저장된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전송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전송 요청된 콘텐츠가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17. 다수의 무선랜 단말 장치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각각의 공유 콘텐츠 목록이 상기 셋톱박스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셋톱박스로 상기 등록된 공유 콘텐츠 목록에 대한 정보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등록된 공유 콘텐츠 목록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가 상기 전달된 공유 콘텐츠 목록에 대한 정보 중 소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 중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저장된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전송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로 상기 전송 요청된 콘텐츠가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통신은 에드-혹 방식 또는 인프라스트럭처 방식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랜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무선랜 단말 장치는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 제어 단말 장치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 장치들과 상기 원격 제어 단말 장치는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0080069188A 2008-07-16 2008-07-16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KR10101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88A KR101014336B1 (ko) 2008-07-16 2008-07-16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88A KR101014336B1 (ko) 2008-07-16 2008-07-16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22A KR20100008622A (ko) 2010-01-26
KR101014336B1 true KR101014336B1 (ko) 2011-02-14

Family

ID=4181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188A KR101014336B1 (ko) 2008-07-16 2008-07-16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329B1 (ko) 2011-03-09 2013-05-06 주식회사 원캐스트 Iptv서비스용 (ip-stb)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76B1 (ko) * 2010-03-19 2012-02-22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셋톱박스, 무선 단말 및 셋톱박스 인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102A (ko) * 1999-08-25 2001-03-15 윤종용 무선연결 가능한 셋탑장치
KR20030004525A (ko) * 2001-07-05 2003-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한 로컬 데이터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102A (ko) * 1999-08-25 2001-03-15 윤종용 무선연결 가능한 셋탑장치
KR20030004525A (ko) * 2001-07-05 2003-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한 로컬 데이터통신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329B1 (ko) 2011-03-09 2013-05-06 주식회사 원캐스트 Iptv서비스용 (ip-stb)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22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58920A1 (en) Synchronization of favorites and/or recently viewed lists between registered content playback devices
US201202974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 and stream control of video to target device
US20120117586A1 (en) Employment of multiple second displays to control iptv content
US20120112986A1 (en) Web browser as second display control device
US9544620B2 (en) System and method to easily return to a recently-accessed service on a second display
US20130246905A1 (en) Information generator,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86209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s searching method thereof
JP5524246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アドレス送信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0851275B1 (ko) 소규모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 자동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13141181A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US20110321093A1 (en) Selecting attached content throug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20110101717A (ko) 셋톱박스, 모바일 단말 및 셋톱박스 제어방법
JP5296229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101014336B1 (ko)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블 텔레비전용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US20110317079A1 (en) Selecting remote services throug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180343504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ternet assets or content urls via a second display device
KR100952748B1 (ko)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인터넷 프로토콜텔레비전의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US109794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1375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host device and user device through an intermediate device using syntax translation
KR20100008630A (ko)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위성 방송용 셋톱박스
KR101072451B1 (ko)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JP5624643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電子機器の通信システム
US20090013355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9006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object which provides additional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broadcast service in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KR101992223B1 (ko)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