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451B1 -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451B1
KR101072451B1 KR1020090014095A KR20090014095A KR101072451B1 KR 101072451 B1 KR101072451 B1 KR 101072451B1 KR 1020090014095 A KR1020090014095 A KR 1020090014095A KR 20090014095 A KR20090014095 A KR 20090014095A KR 101072451 B1 KR101072451 B1 KR 10107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streaming
information
termi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800A (ko
Inventor
최성곤
최윤진
서창호
유영훈
윤동근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9012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홈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없이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다른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종 단말기간에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의해 해당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인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MULTIMEDIA STREAM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홈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없이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다른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초고속 네트워크 기술의 성장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이 제작되어 유통되고 있고, 가정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서도 다양한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여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많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보급으로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실외에서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상에는 PC(110), TV(120), 노트북(130), PDA(140)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성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set-top box),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녹화/재생을 위한 PVR 등의 장치 역시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이 가능하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C(110)나 PDA(140)와 같이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은 인터넷 등의 외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셋탑박스 또는 PVR 등과 같은 장치들은 위성이나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홈 서버(150)는 이러한 외부의 BcN, HFC, FTTH, ATC 규격, 무선 LAN 등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규격을 통하여 전송되는 다양한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데이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홈 네트워크 상에서 IP 스트리밍은 실시간 응용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인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와,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RTCP(RTP Control Protocol)를 사용하여 가정 내의 홈 서버(150)에서 다양한 포맷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터넷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서비스한다. 이 경우 홈 서버(150)는 홈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홈 네트워크 상 태를 알려주고, 알맞은 대역폭에 따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여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아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재생시키는 것과 같이 검색과 관리를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PC, 노트북, PDA, 스마트폰 등 광범위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보급에 따라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전송과 실시간 재생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즉시 다운로드할 만큼 빠른 접속회선을 가지고 있지 못하고, 특히 이종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이동하는 경우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서비스받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국내 출원번호 제10-2005-0133009호(발명의 명칭: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상에서의 IP스트리밍 관리 시스템)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링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에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가정이나 회사에 진입하면,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가정, 회사의 이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멀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와 이종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연계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우선 홈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그 구축된 홈네트워크의 홈서버에 개인 휴대 단말기가 로그인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홈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없이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이종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종 단말기간에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의해 해당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크래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 시하는 표시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스트리밍 정보가 저장 및 관리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USB 통신방식으로 상호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인터럽트 신호와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무선과 유선통신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 통신하는 유무선부;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 수신시, 수행중이던 작업을 중지하고 우선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의 사용자 인 증을 위한 사용자 ID,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소(URL)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까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종 단말기간에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하여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크래들은 멀티미디어 단말기와의 연결여부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상기 크래들과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의해 해당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소(URL)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까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크래들을 통해 연결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분리되면,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에 재접속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정보와 함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수행중이던 작업을 중지하고, 우선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서비스 받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종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전달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사용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기능상 뛰어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고도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용이하게 다른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전환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기술과 같이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특정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국한되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할 필요없이, 불특정 멀티미디어 단말기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말기의 전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은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이 뛰어난 이종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연계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안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품사양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의 접속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가정 혹은 사무실에 구비된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101)에서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계속해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일예로,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가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크래들(102)을 통해 연결되어, 개인 휴대 단말기(101)에서 재생되고 있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100)은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크래들(102)과,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와, 홈게이트웨이(105)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가 가정이나 사무실이 아닌 외부에서 사용하는 휴대용 기기로 일반적으로 Windows Ce나 Windows Mobile이 포팅되어 있는 Pocket PC들을 포함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무선 인터넷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서비스를 요청하여 그 서비스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크래들(102)을 통해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와 연결되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와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트리밍 정보를 크래들(102)을 통해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로 전송한다.
그러면 크래들(102)은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와 개인 휴대 단말기(101)를 상호 연결하여 USB 통신방식에 의해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크래들(102)은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가 연결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제1 멀티미 디어 단말기(103a)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는 개인 휴대 단말기(101)가 연결된 크래들(102)과 연결되면, 크래들(102)로부터 인터럽트 신호와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101)에서 생성된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재요청한다. 이때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홈게이트 웨이(104)를 통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로 사용자를 ID로 인증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는 사용자들의 DB 및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 등을 보유하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탐색 및 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한다.
도 3은 도 2에 있어, 개인 휴대 단말기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무선부(11)와, 제어부(20)와, 표시부(13)와, 메모리(15)와, 통신부(17), 키입력부(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부(11)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사용자가 서비스 받고자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표시부(13)는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개인 휴대 단말기(101)의 상태를 표시하며, 본 발명에 따라 크래들(102)을 통해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와 연결시,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화면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20)는 개인 휴대 단말기(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무선부(11)를 통해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정보 생성부(21)와 전송 제어부(23) 등으로 구비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스트리밍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한 후 크래들(102)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동기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크래들(102)에 의해 연결되는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와 동기화되도록 한다.
메모리(15)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101)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며,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5)에는 스트리밍 정보가 저장되며 제어부(20)의 제어하에 관리된다.
통신부(17)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연결되는 크래들(102)과 특정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며 스트리밍 정보를 크래들(102)로 전송한다.
키입력부(1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9)는 각종 기능 들을 설정 및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9)는 본 발명에 따라 개인 휴대 단말기(101)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종 멀티미디어 단말기 즉,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측으로 이동요청하는 단축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어,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는 통신부(31)와, 유무선부(33)와, 제어부(40)와, 표시부(35)와, 키입력부(3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는 크래들(102)과 특정 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101)가 전송한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한다.
유무선부(33)는 무선과 유선통신중 적어도 하나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 통신한다.
제어부(40)는 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접속한 후, 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0)는 크래들(102)로부터 스트리밍 정보 수신 이전에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여 수행중이던 작업을 중지한 후, 우선적으로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35)는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5)는 본 발명에 따라 크래들(102)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연결시,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화면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키입력부(3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키입력부(37)는 각종 기능 들을 설정 및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 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과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 해당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에 대해 상세 설명을 하기 위해 크래들(102)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100)은 개인 휴대 단말기(101), 크래들(202) 및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 사이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가 가정이나 사무실이 아닌 외부에서 사용하는 휴대용 기기로서, 무선 인터넷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서비스를 요청하여 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이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을 파일로 생성하고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와의 동기화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인 휴대 단말기(101)에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20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204)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서 컨텐츠를 다운받아 재생시켜 주며, 스트리밍 정보를 파일로 저장한다. 이때 스트리밍 정보는 텍스트로 이루어지며,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사용자 ID, 멀티미디어 스 트리밍 주소, 컨텐츠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한다.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는 크래들(102)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연결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홈 미디어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101)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정보가 담긴 파일 혹은 텍스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서비스를 재요청한다.
따라서,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에는 인터럽트 감지 프로그램(206), 동기화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 프로그램(20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인터럽트 감지 프로그램(206)은 개인 휴대 단말기(101)가 크래들(102)에 연결될 때 USB 포트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205)을 실행시킨다.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205)은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동기화되어 전송된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에 서비스를 재요청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실행은 개인 휴대 단말기(101)가 크래들(102)에서 분리되거나,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가 크래들(102)에서 분리되면 종료된다.
한편, 스트리밍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 이동을 요청한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트리밍 정보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40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URL 정보(402)와,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까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403)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예컨대, 컨텐츠 명)(4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는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는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가 개인 휴대 단말기(103)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101)가 크래들(102)을 통해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103n) 중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와 연결되고자 희망함을 가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크래들(102)을 통해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와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S801).
판단결과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와 연결되지 않으면,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계속해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받아 재생한다.
그러나, 판단결과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와 연결되면,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현재 다운되어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생 성/갱신한다(S803).
이후,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크래들(102)을 통해 스트리밍 정보를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로 전송된다(S805).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는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S807), 판단결과 스트리밍 정보가 수신되면,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한다(S809).
그러면,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한다(S811).
이후, 개인 휴대 단말기(101)와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가 크래들(102)로부터 분리되는지를 판단하고(S813), 판단결과 크래들(102)로부터 분리되면, 개인 휴대 단말기(101)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측으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서비스를 요청한다(S815).
그러나, 판단결과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가 크래들(102)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는 계속해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여기서 813단계(S813) 내지 815단계(S815)는 크래들(102)에 의해 개인 휴대 단말기와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의 연결이 분리되면, 다시 개인 휴대 단말기(101)를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예의 기술인 것이다.
이에, 제1 멀티미디어 단말기(103a)는 크래들(102)로부터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크래들(102)에서 분리되어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105)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서비스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있어, 개인 휴대 단말기의 내부구성도.
도 4는 도 2에 있어, 제1~제n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내부구성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트리밍 정보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Claims (14)

  1.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종 단말기간에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하여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트리밍 정보가 저장 및 관리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의해 해당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계속해서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USB 통신방식으로 상호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인터럽트 신호와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전송하는 크래들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무선과 유선통신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와 통신하는 유무선부,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크래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 수신시, 수행중이던 작업을 중지하고 우선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소(URL)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까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종 단말기간에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생성하여 연결된 크래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크래들은 멀티미디어 단말기와의 연결여부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상기 크래들과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의해 해당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계속해서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크래들을 통해 연결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분리되면, 상기 스트리밍 정보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재접속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계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정보와 함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수행중이던 작업을 중지하고, 우선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소(URL)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서비스 이동요청시까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14095A 2008-06-09 2009-02-19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072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884 2008-06-09
KR20080053884 2008-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800A KR20090127800A (ko) 2009-12-14
KR101072451B1 true KR101072451B1 (ko) 2011-10-11

Family

ID=4168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095A KR101072451B1 (ko) 2008-06-09 2009-02-19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20A1 (ko) * 2014-01-13 2015-07-16 주식회사 노매드커넥션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730A (ko) * 2011-02-20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심리스 콘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476281B1 (ko) * 2013-04-24 2014-12-24 주식회사 바른기술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68B1 (ko) *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68B1 (ko) *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20A1 (ko) * 2014-01-13 2015-07-16 주식회사 노매드커넥션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800A (ko) 2009-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7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media renderers during streaming playback of content
CN101529867B (zh) 在对等配置中共享多媒体内容
KR101143691B1 (ko) 정보 제어 방법, 정보 재생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US83808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222466A1 (en) Dynamically adjustab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ommunications links
US20100229099A1 (en) Remote Audio
US8260933B2 (en) Multimedia content redirection method
US20120303705A1 (en) Contents simultaneous playback terminal, the sam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42314A (ko)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스트리밍 제어
KR20030094163A (ko) 사용자 단말 특성 기반의 멀티미디어 소비 방법과 시스템및 그 기록매체
JP2009273105A (ja) 音声/映像ストリーム信号提供方法及び共有システム
WO2017096851A1 (zh) 一种推送视频文件的方法、系统和服务器
KR101539975B1 (ko) 이어보기 정보 공유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콘텐츠 재생 장치및 시스템
KR101072451B1 (ko)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739794B1 (ko) UPnP 네트워크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CN102469099B (zh) 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及系统
KR100727173B1 (ko) 스트리밍 중 임의 위치 북마크/점프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123236A (ko) 녹화파일 리스트를 외부로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녹화파일 제공방법 및 녹화파일 제공 시스템
KR20230049221A (ko)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434762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문/예약형 무선방송시스템 및그 방법
US20070180118A1 (en) Media playing apparatus
JP5244982B2 (ja) 関連音響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方法、サービスサーバーおよび終端端末
KR20130026879A (ko) 컨텐츠 재생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4604A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변환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52748B1 (ko) 무선랜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인터넷 프로토콜텔레비전의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