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94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41A
KR20230132941A KR1020220029822A KR20220029822A KR20230132941A KR 20230132941 A KR20230132941 A KR 20230132941A KR 1020220029822 A KR1020220029822 A KR 1020220029822A KR 20220029822 A KR20220029822 A KR 20220029822A KR 20230132941 A KR20230132941 A KR 2023013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air
wall
protrusion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석훈
최광호
한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41A/ko
Priority to PCT/KR2022/003438 priority patent/WO2023171841A1/ko
Publication of KR2023013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바디; 및 디스플레이 바디를 벽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기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기구는 디스플레이 바디에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1돌출부가 돌출된 제1체결부재; 벽에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2돌출부가 돌출된 제2체결부재; 및 한 쌍의 제1돌출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1리브를 갖는 제1연결부와 한 쌍의 제2돌출부 사이로 삽입되는 제2리브를 갖는 제2연결부가 형성된 픽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백 커버 등의 디스플레이 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월 마운터에 의해 벽에 장착될 수 있다.
월 마운터에 의해 벽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바디의 배면에 제공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월 마운터의 체결부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벽에 체결될 수 있다.
자석과 월 마운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41478 A(2016년12월09일 공개)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장착될 때 벽과 마주하는 바텀 새시를 포함하고, 바텀 새시는 벽에 고정된 월 마운트 플레이트에 자력에 의해 접촉 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41478 A(2016년12월09일 공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바디의 들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바디; 및 디스플레이 바디를 벽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기구는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재는 디스플레이 바디에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돌출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는 벽에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돌출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기구는 픽서를 포함할 수 있고, 픽서에는 한 쌍의 제1돌출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1리브를 갖는 제1연결부와, 한 쌍의 제2돌출부 사이로 삽입되는 제2리브를 갖는 제2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돌출부 중 제1나사부에 근접한 돌출부와, 한 쌍의 제2돌출부 중 제2나사부에 근접한 돌출부 각각에는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감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는 한 쌍의 제1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홈; 및 한 쌍의 제1돌출부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는 한 쌍의 제2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3수용홈; 및 한 쌍의 제2돌출부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4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픽서는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내측면에는 제1체결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체결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픽서는 평평한 면을 갖는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 및 제2리브는 외측면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도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픽서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잇는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의 크기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각각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중앙부에는 픽서의 이동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은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에 장착되는 월 마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월 마운터에는 디스플레이 바디가 지지될 수 있다.
월 마운터는 벽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 및 디스플레이 바디에 제공되는 가이드 부재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는 월 마운터를 기준으로 설정 각도 틸팅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 체결된 제1체결부재와. 벽에 체결된 제2체결부재와, 픽서가 맞물리게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바디의 들뜸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바디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설치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설치하였을 때의 단면도,
도 7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마운트를 장착할 때의 도,
도 9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터의 정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바디를 마운터를 기준으로 돌렸을 때의 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벽에 장착하는 과정이 도시된 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인터페이스”,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마이크로폰(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설치하였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설치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7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바디(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백 커버(B 또는 바텀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B)는 판체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1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둘레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바디(C)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C)는 사각 플레임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10)는 꼭지점(V)를 갖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10)는 디스플레이(180)를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체결기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체결기구(20)는 디스플레이 바디(10)를 벽(W)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기구(20)는 디스플레이 바디(10) 중 꼭지점(V)에 근접한 영역을 벽(W)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기구(2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기구(20)는 좌우 대칭될 수 있고, 상하 대칭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기구(20)는 동일 구조일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기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상부 체결기구(21), 우측 하부 체결기구(미도시), 좌측 상부 체결기구(23), 및 좌측 하부 체결기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상부 체결기구(21) 및 우측 하부 체결기구(미도시)는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상부 체결기구(23)와, 좌측 하부 체결기구(24)는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상부 체결기구(23)와, 우측 상부 체결기구(21)는 좌우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고, 좌측 하부 체결기구(24)와, 우측 하부 체결기구(미도시)는 좌우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체결기구(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부재(30)와, 제2체결부재(40) 및 픽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기구(20) 각각은 제1체결부재(30)와, 제2체결부재(40) 및 픽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재(30)에는 디스플레이 바디(10)에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30)에는 한 쌍의 제1돌출부(33)(34)가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각각의 전체적인 형상은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제1체결부재(30)는 제1나사부(31)와 일체로 형성된 제1머리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머리부(32)는 한 쌍의 제1돌출부(33)(34)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사이에는 픽서(50)의 제1리브(52)가 삽입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중 제1나사부(31)에 근접한 돌출부(33)에는 감소부(D)가 형성될 수 있다. 감소부(D)는 외측방향(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감소부(D)는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중 제1나사부(31)에 더 먼 돌출부(34)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감소부(D)는 제1리브(52)의 초기 삽입을 도울 수 있다.
제2체결부재(40)에는 벽(W)에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40)에는 한 쌍의 제2돌출부(43)(44)가 돌출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40)는 제2나사부(41)와 일체로 형성된 제2머리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머리부(42)는 한 쌍의 제2돌출부(43)(44)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제2돌출부(43)(44) 사이에는 픽서(50)의 제2리브(57)가 삽입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돌출부(43)(44) 중 제2나사부(41)에 근접한 돌출부(43) 각각에는 감소부(D)가 형성될 수 있다. 감소부(D)는 외측방향(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감소부(D)는 한 쌍의 제2돌출부(43)(44) 중 제2나사부(41)에 더 먼 돌출부(44)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감소부(D)는 제2리브(57)의 초기 삽입을 도울 수 있다.
제1체결부재(30)가 디스플레이 바디(10)에 체결 완료되고, 제2체결부재(40)가 벽(W)에 체결 완료되었을 때, 제1체결부재(30)와 제2체결부재(40)는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픽서(50)는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51)는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사이로 삽입되는 제1리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52)는 픽서(50)를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브(52)는 외측면(62)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도입부(E)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입부(E)에 의해 제1리브(52)는 제1돌출부(33)(34) 사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제1연결부(51)는 제1 수용홈(53)과, 제2수용홈(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홈(53)에는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중 어느 하나(33)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1 수용홈(53)은 제1연결부(51)의 전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홈(54)에는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중 다른 하나(34)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2 수용홈(54)은 제1연결부(51)의 후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56)는 한 쌍의 제2돌출부(43)(44) 사이로 삽입되는 제2리브(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리브(57)는 픽서(50)를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리브(57)는 외측면(62)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도입부(E)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입부(E)에 의해 제2리브(57)는 제2돌출부(43)(44) 사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제2연결부(56)는 제3수용홈(58)과, 제4수용홈(59)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수용홈(58)에는 한 쌍의 제2돌출부(43)(44) 중 어느 하나(43)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3 수용홈(57)은 제2연결부(56)의 후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수용홈(59)에는 한 쌍의 제2돌출부(43)(44) 중 다른 하나(44)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4 수용홈(58)은 제2연결부(56)의 전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56)는 제2리브(57)와, 제3수용홈(58)과, 제4수용홈(59)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6)는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픽서(50)는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6)를 잇는 중앙부(60)를 포함하다. 중앙부(60)는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6)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픽서(50)는 개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방향(Y)의 길이(픽서의 폭)와, 전후 방향(X)의 길이(픽서의 두께) 보다 상하 방향(Z)의 길이(픽서의 길이)가 클 수 있다.
제1연결부(51)와 중앙부(60)와 제2연결부(56)는 상하 방향(Z)으로 일렬로 위치될 수 있다. 중앙부(60)의 크기는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6) 각각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픽서(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61)과, 외측면(62)과, 상면(63)과, 하면(64)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61)은 픽서(50)를 설치 완료하였을 때, 디스플레이 바디(10)와 벽(W) 사이의 공간을 향할 수 있다.
내측면(61)에는 제1체결부재(3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65)이 형성되고 제2체결부재(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66)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면(62)는 픽서(50)를 설치 완료하였을 때, 디스플레이 바디(10)와 벽(W) 사이 외부를 향할 수 있다.
외측면(62)은 평평한 면을 갖을 수 있다.
상면(63)는 픽서(50)를 설치 완료하였을 때, 상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하면(64)는 픽서(50)를 설치 완료하였을 때, 하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픽서(50)를 설치 완료하였을 때, 외측면(62)과, 상면(63)과, 하면(64) 각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에서 잘 보일 수 있고, 외측면(62)과, 상면(63)과, 하면(64) 각각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픽서(5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알루미늄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픽서(50)는 알루미늄 보다 녹는점이 높은 다이(Die)에 용융 알루미늄을 밀어 놓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픽서(50)를 제조 완료된 후, 픽서(50)는 철사 등의 도구에 의해 다이(Die)에서 인출(이동)될 수 있다.
중앙부(60)에는 픽서(60)의 이동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삽입공(66,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66)은 중앙부(60)에 전후 방향(X)으로 관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W)에 장착되는 월 마운터(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바디(10)는 월 마운터(8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마운트를 장착할 때의 도이고, 도 9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터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바디를 마운터를 기준으로 틸팅했을 때의 도이다.
월 마운터(80)에는 체결공(81)(82) 및 가이드홈(84)(86)이 형성될 수 있다.
월 마운터(80)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벽(W)에 고정될 수 있다.
윌 마운터(80)를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 바디(10) 등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체결기구(20)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조립을 도울 수 있다.
체결공(81)(82)은 벽(W)에 체결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다.
체결공(81)(82)은 벽(W)에 체결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8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81)은 월 마운터(8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81)은 좌우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체결공(81)(82)는 벽(W)에 체결되는 스크류 등의 가이드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공(8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공(82)은 월 마운터(8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월 마운터(80)는 벽(W)에 체결될 수 있고, 벽(W)에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바디(10)를 지지할 수 있다. 월 마운터(80)는 복수개의 체결기부(20)와 전후 방향(X)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월 마운터(80)는 복수개의 체결기구(20)를 잇는 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고, 복수개의 체결기구(20)를 잇는 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10)에는 스크류 등의 가이드 부재(16)(18)가 체결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16)(18)는 디스플레이 바디(10)에 체결된 상태에서 가이드홈(84)(86)을 따라 대략 하측 경사방향(ZY)으로 안내될 수 있고, 가이드홈(84)(86)에 안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6)(18)는 디스플레이 바디(10)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6)(18)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체결된 좌측 가이드 부재(16)와, 우측 가이드 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84)(86)은 디스플레이 바디(10)에 제공되는 가이드 부재(16)(18)를 틸팅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홈(84)(86)는 월 마운터(80)의 상단에서부터 우측 하부의 경사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어퍼 가이드홈(87)과, 어퍼 가이드홈(87)와 통하고, 좌측 하부의 경사방향이나 우측 하부의 경사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어 가이드홈(88)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가이드홈(87)는 월 마운터(80)에 전후 방향(Z)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어퍼 가이드홈(87)의 상단은 상하 방향(Z)으로 개방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홈(88)은 월 마운터(80)에 전후 방향(Z)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로어 가이드홈(88) 중 상부 일측은 어퍼 가이드홈(87)과 상하 방향(Z)으로 연통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홈(87)의 길이는 로어 가이드홈(88)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가이드홈(84)(86)는 월 마운터(8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가이드홈(84)(86)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좌측 가이드홈(84)과, 우측 가이드홈(8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가이드홈(84)과, 우측 가이드홈(86)의 각각은 어퍼 가이드홈(87)과 로어 가이드홈(88)를 포함할 수 있고, 좌측 가이드홈(84)의 로어 가이드홈(88)의 경사 방향과, 우측 가이드홈(86)의 로어 가이드홈(88)의 경사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가이드홈(84)의 로어 가이드홈(88)은 우측 하부의 경사 방향으로 길 수 있고, 우측 가이드홈(86)의 로어 가이드홈(88)은 좌측 하부의 경사 방향으로 길 수 있다.
좌측 가이드부재(16)은 좌측 가이드홈(84)에 안내될 수 있고, 우측 가이드부재(18)는 우측 가이드홈(86)에 안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바디(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마운터(80)를 기준으로 설정 각도 틸팅(T) 가능할 수 있다.
도 1O의 (a)는 디스플레이 바디(10)가 도 9에 도시된 월 마운터(9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설정각도 틸팅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고, 도 1O의 (b)는 디스플레이 바디(10)가 도 9에 도시된 월 마운터(90)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각도 틸팅(T)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설정각도는 1°내지 5°중 하나의 각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일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바디(10)를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2° 틸팅시킨 상태에서 일부 체결기구의 제2체결부재(40)를 벽(W)에 체결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바디(10)를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2° 틸팅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체결기구의 제2체결부재(40)를 벽(W)에 체결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바디(10)를 시계방향으로 2° 틸팅시킨 상태에서 좌측 상부 체결기구(21)의 제2체결부재(40)와, 우측 하부 체결기구(24)의 제2체결부재(40)를 벽(W)에 체결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바디(10)를 반시계방향으로 2° 틸팅시킨 상태에서 우측 하부 체결기구(미도시)의 제2체결부재(40)와, 좌측 상부 체결기구(23)의 제2체결부재(40)를 벽(W)에 체결할 수 있다.
도 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벽에 장착하는 과정이 도시된 도이다.
도 11의 (a)는 디스플레이 바디(10)에 제1체결부재(30)를 체결하고, 마운터(80)를 벽(W)에 체결하고, 디스플레이 바디(1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설정각도 틸팅(T)하면서 벽(W)에 제2체결부재(40)를 체결했을 때의 도이다.
작업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부재(40)의 선단을 디스플레이 바디(10)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바디(10)는 벽(W)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바디(10)의 배면은 벽(W)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바디(10)와 벽(W)의 사이에는 픽서(5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서(50)를 디스플레이 바디(10)와 벽(W) 사이의 틈으로 삽입시킬 수 있고, 제1리브(52)가 한 쌍의 제1돌출부(33)(34) 사이로 삽입되고, 제2리브(57)가 한 쌍의 제2돌출부(43)(44) 사이로 삽입되도록 픽서(50)를 밀어 넣을 수 있다. 픽서(50)를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하면, 픽서(50)는 제1체결부재(30) 및 제2체결부재(40)의 각각과 맞물릴 수 있다.
픽서(50)를 삽입하는 도중에, 제1리브(52)가 제1체결부재(30)에 걸릴 수 있고, 제2리브(57)가 제2체결부재(40)에 걸릴 수 있다. 픽서(50)는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기구(20)에 의한 디스플레이 바디(10)의 체결은 완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 바디 20: 체결기구
30: 제1체결부재 31: 제1나사부
33,34: 한 쌍의 제1돌출부 40: 제2체결부재
41: 제2나사부 43,44: 한 쌍의 제2돌출부
50: 픽서 51: 제1연결부
52: 제1리브 56: 제2연결부
57: 제2리브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바디;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를 벽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1돌출부가 돌출된 제1체결부재;
    벽에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2돌출부가 돌출된 제2체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1리브를 갖는 제1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제2돌출부 사이로 삽입되는 제2리브를 갖는 제2연결부가 형성된 픽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 중 제1나사부에 근접한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돌출부 중 제2나사부에 근접한 돌출부 각각에는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감소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홈;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2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3수용홈 및
    상기 한 쌍의 제2돌출부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4수용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서는
    상기 제1체결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된 내측면과,
    평평한 면을 갖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는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도입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서는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잇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의 크기는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각각의 크기 보다 크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픽서의 이동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가 지지되고, 벽에 장착되는 월 마운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월 마운터는
    벽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제공되는 가이드 부재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는 상기 월 마운터를 기준으로 설정 각도 틸팅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29822A 2022-03-10 2022-03-10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2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22A KR20230132941A (ko) 2022-03-10 2022-03-10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2/003438 WO2023171841A1 (ko) 2022-03-10 2022-03-1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22A KR20230132941A (ko) 2022-03-10 2022-03-1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41A true KR20230132941A (ko) 2023-09-19

Family

ID=8793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822A KR20230132941A (ko) 2022-03-10 2022-03-1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41A (ko)
WO (1) WO202317184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78A (ko) 2015-06-01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월 마운트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463Y1 (ko) * 2007-08-06 2008-02-15 기민전자주식회사 미세위치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KR102043345B1 (ko) * 2013-02-21 2019-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면 고정 구조
KR102214298B1 (ko) * 2016-10-06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5670B1 (ko) * 2017-07-04 202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58818B1 (ko) * 2019-03-29 2020-09-25 동오정밀 주식회사 슬림형 월 마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78A (ko) 2015-06-01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월 마운트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841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575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48175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203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29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97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230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274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4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24342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465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34557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6164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40027003A (ko)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무선 셋톱박스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30111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8291A (ko)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70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8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