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01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010A
KR20240044010A KR1020220123199A KR20220123199A KR20240044010A KR 20240044010 A KR20240044010 A KR 20240044010A KR 1020220123199 A KR1020220123199 A KR 1020220123199A KR 20220123199 A KR20220123199 A KR 20220123199A KR 20240044010 A KR20240044010 A KR 20240044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device
image
sub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이승일
김종호
배진완
안종윤
이윤경
조민영
이철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010A/ko
Publication of KR2024004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면을 향하는 메인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주변 환경 또는 메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TV가 단순 영상 시청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 발전과 함께 사용자들의 심미적 욕구가 높아지면서 인테리어의 일부로서 역할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최근 TV는 매우 얇게 제작되어 벽에 설치되면서 공간 차지를 최소화하고 있다. 더 나아가, 베젤(Bezel)이 최소화되면서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지 않을 때는 액자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측면에서 바라볼 때에는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프레임으로 인해 아직 사용자들이 추구하는 최상의 인테리어적 효과에 도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개시는 정면 방향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으로도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공간 확장 효과와 같이 인테리어적 효과가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메인 영상에서 표시 중인 영상을 시청 중인 사용자의 영상 시청 방해를 최소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면을 향하는 메인 영역 및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주변 환경 또는 메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주변 환경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 또는 조도 센서의 센싱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메인 영역 중 영상이 출력되는 않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메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가 교육, 예능 또는 뉴스인 경우 서브 영역에 기설정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메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가 영화, 스포츠, 다큐 또는 그림인 경우 서브 영역에 메인 영역과 유사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오프인 동안 서브 영역에 기설정된 제1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서브 영역에 기설정된 제2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색상과 제2 색상은 상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서브 영역에 재생되는 음악의 오디오 파형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무선 연결된 주변 기기에서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 영역을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주변 기기의 종류 및 알람 신호에 해당하는 알람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상을 상이하게 제어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음량 제어 신호를 수신 시, 서브 영역에 음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서브 영역에 현재 음량 크기를 길이로 표시하고, 메인 영역에 현재 음량 크기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로딩(loading) 상황인 경우, 서브 영역에 로딩 상황임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에 배치된 버튼 및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버튼 및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서 물체가 감지될 경우 버튼 및 단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물체와 가장 가까운 버튼이나 단자에 해당하는 가이드를 다른 가이드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서브 영역과 접하는 메인 영역의 영상과 연결되는 영상을 생성하여 서브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 방향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으로도 영상을 출력하여, 화면이 확장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가 정보를 측면 방향으로 출력함으로써 메인 영역에서 표시 중인 영상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 확장 효과 및 벽과의 이질감 최소화 등을 통해 인테리어적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에 형성된 버튼 또는 단자의 위치를 서브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버튼 또는 단자 사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1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2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3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4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5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6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7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8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9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10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마이크로폰(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는 정면을 향하는 메인 영역(M) 및 메인 영역(M)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영역(S)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에 설치되는 경우, 메인 영역(M)은 벽과 평행한 영역이고, 서브 영역(S)은 벽과 평행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벽과 수직 방향 또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메인 영역(M)의 좌측과 우측, 즉 양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메인 영역(M)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영역(S)은 소정 곡률을 갖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메인 영역(M)으로부터 둥근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영역(S)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메인 영역(M) 및 벽 각각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메인 영역(M)으로부터 각진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영역(M)은 정면 영역일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메인 영역(M)은 양 옆에 형성되는 사이드 영역일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서브 영역(S)은 엣지 영역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영역(M)과 서브 영역(S)이 형성된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주변 환경 또는 메인 영역(M)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거치대에 의해 세워져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6의 예시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에 걸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에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환경은 벽의 색상, 밝기 등 벽의 색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주변 환경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장치의 센싱 정보를 통해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는 카메라(미도시), 조도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카메라(미도시)가 촬영한 벽 이미지에서 벽의 색상, 밝기 등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조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벽의 밝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색상과 밝기 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70)는 여러 색상 또는 여러 밝기 등 예시들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면, 예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시 선택된 예시에 해당하는 색 정보를 벽의 색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벽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벽 이미지에서 색 정보를 추출하여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폰(미도시) 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벽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미도시) 등으로부터 벽 이미지를 수신하여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의 색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 장치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주변 환경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러한 벽의 색 정보는 카메라 또는 조도 센서의 센싱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환경 또는 메인 영역(M)에서 표시되는 영상 등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제어할 수 있고,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컨트롤러(170)는 주변 환경 또는 표시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0).
표시되는 영상은 메인 영역(M)에서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주변 환경 또는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S20).
이하,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1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메인 영역(M)에 표시되는 영상은, 화면비(가로세로비)가 메인 영역(M)의 가로세로비와 다른 영상일 수 있다. 특히, 도 8의 예시와 같이, 메인 영역(M)에 표시되는 영상은 메인 영역(M)의 가로세로비 보다 가로의 길이가 더 긴 화면비를 갖는 영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의 위와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영역(M)은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M1)과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1)(M2) 중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벽의 색상은 센싱 장치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된 색상을 의미하며, 동일한 색상은 계열이 동일한 색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동일 및 유사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이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 전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 중 메인 영역의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M1)에 대응하는 영역(S1)에서는 출력되는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표기하고, 메인 영역의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에서는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되는 영상과 유사한 영상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2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의 예시와 같이, 메인 영역(M)에 표시되는 영상은 메인 영역(M)의 가로세로비 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긴 화면비를 갖는 영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의 좌우에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영역(M)은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M1)과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1)(M2) 중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통해 설명한 방법들에 따르면,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M2)에 벽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이 표시되는 바, 출력되는 영상으로의 몰입감을 높여주고, 공간의 확장 효과가 도출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영역(M)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3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메타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현재 메인 영역(M)에서 표시 중인 영상의 종류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가 교육, 예능 또는 뉴스인 경우 서브 영역(S)에 기설정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색상은 화이트 톤의 색상, 옐로우 톤의 색상 또는 화이트 톤과 옐로우 톤 사이에 속하는 색상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영상의 종류가 교육, 예능 또는 뉴스인 경우 서브 영역(S)에 화이트 톤~옐로운 톤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영상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영상의 종류가 교육일 때 서브 영역(S)에 표시되는 영상, 영상의 종류가 예능일 때 서브 영역(S)에 표시되는 영상, 영상의 종류가 뉴스일 때 서브 영역(S)에 표시되는 영상 각각이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4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가 영화, 스포츠, 다큐 또는 그림인 경우 서브 영역(S)에 메인 영역과 유사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가 영화, 스포츠, 다큐 또는 그림인 경우 메인 영역(M)과 유사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에 표시되는 영상 전체 기초하여 메인 영역(M)과 유사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 중 서브 영역(S)과 인접한 주변 영역(Ma)에 기초하여 메인 영역(M)과 유사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를 참고하면,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의 오른쪽 끝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에 해당하는 주변 영역(Ma)에 기초하여, 메인 영역(M)의 오른쪽에 위치한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반대로,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의 왼쪽 끝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에 해당하는 주변 영역(미도시)에 기초하여, 메인 영역(M)의 왼쪽에 위치한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주변 영역(Ma)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픽셀 값 평균을 산출하여 메인 영역(M)과 유사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y 좌표 값이 동일한 픽셀들의 픽셀 값 평균으로 생성된 영상을 메인 영역(M)과 유사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브 영역(S)에는 주변 영역(Ma)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구성된 영상이 표시되는 바, 화면 확장 효과가 도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몰입감이 극대화되고, 인테리어 효과까지 갖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상태에 따라 서브 영역(S)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5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동안 서브 영역(S)에 기설정된 제1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서브 영역(S)에 기설정된 제2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색상과 제2 색상은 상이할 수 있다.
도 12의 (a)의 예시를 참고하면,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DC off, AC on)된 동안 메인 영역(M)에서 영상을 출력하지 않고, 서브 영역(S)에서만 기 설정된 제1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색상은 무드등(mood light) 효과를 갖는 색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상은 아이보리~옐로우에 해당하는 색상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서브 영역(S)에 기설정된 제1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의 밝기를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고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서브 영역(S)에서도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온, 오프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에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온, 오프하는 별도의 버튼(미도시)이 구비되고,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온, 오프하는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서브 영역(S)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벽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일종의 조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의 (b)의 예시를 참고하면,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메인 영역(M)에서 음악 재생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서브 영역(S)에서 기설정된 제2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 색상은 고정될 수도 있고,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의 (b)에는 메인 영역(M)에 음악 재생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 외에 동영상도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 시 메인 영역(M)에는 음악 재생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만 표시될 수도 있고, 음악 재생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 조차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된 후 스피커 역할을 하도록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브 영역(S)에서만 기설정된 제2 색상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서브 영역(S)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오디오 파형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2의 (c)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하면,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에 재생되는 음악의 오디오 파형을 출력함으로써, 이퀄라이저 조명 효과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연결된 주변 기기(미도시)에서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 영역(S)을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6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미도시)와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주변 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 세탁기, 청소기 또는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 기기, 스마트 초인종 등과 같은 각종 스마트 기기나 IoT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기(미도시)는 알람 상황이 발생하면 무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미도시)에서 발생한 알람 상황을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알람 신호에 대응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170)는 무선 연결된 주변 기기에서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서브 영역(S)을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역(S)에 알람을 출력함에 따라 영상의 일부가 가려지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 시청 방해 문제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주변 기기의 종류 및 알람 신호에 해당하는 알람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S)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상을 상이하게 제어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알람이 발생한 주변 기기가 스마트폰인 경우 도 13의 (a)와 같이 제1 색상의 영상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하고, 알람이 발생한 주변 기기가 가전 기기인 경우 도 13의 (b)와 같이 제2 색상의 영상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하고, 알람이 발생한 주변 기기가 스마트 초인종인 경우 도 13의 (c)와 같이 제3 색상의 영상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170)는 알람 신호가 주변 기기에서의 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인 경우 도 13의 (a)와 같이 제1 색상의 영상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하고, 알람 신호가 주변 기기에서 메시지 수신 신호인 경우 도 13의 (b)와 같이 제2 색상의 영상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하고, 알람 신호가 경고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신호인 경우 도 13의 (c)와 같이 제3 색상의 영상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 기기의 종류 또는 알람 신호에 해당하는 알람의 종류에 따라 서브 영역(S) 표시되는 영상이 다르게 제어될 경우, 사용자는 색상 만으로 어떤 주변 기기에서 알람이 발생하였는지, 혹은 어떤 종류의 알람이 발생하였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영상의 색상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컨트롤러(170)는 주변 기기의 종류 및 알람 신호에 해당하는 알람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S)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영상 출력 영역 등을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알람을 상이하게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에서 알람 상황이 발생하면 좌측 서브 영역에서만 영상을 출력하고, 우측 서브 영역에서는 알람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른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에서 알람 상황이 발생하면 우측 서브 영역에서만 영상을 출력하고, 우측 서브 영역에서는 알람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주변 기기의 종류 및 알람 신호에 해당하는 알람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브 영역(S) 내에서 온되는 픽셀들을 달리함으로써, 서브 영역(S)에서 출력 모양을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7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 시, 제어 신호에 따른 정보를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음량 제어 신호를 수신 시, 서브 영역(S)에 음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음량 제어 신호를 수신 시, 현재 음량 크기를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에 현재 음량 크기를 길이로 표현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바닥에서부터 긴 바(bar) 형태로 음량 크기를 표시할 수 있고, 바의 길이는 음량 크기에 비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음량 크기가 50일 경우 도 14의 (a)와 같이 서브 영역(S)에 높이가 중간인 바 영상을 표시하고, 음량 크기가 80인 경우 도 14의 (b)와 같이 서브 영역(S)에 높이가 최대 높이의 3/4 정도인 바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음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량 조절 시 메인 영역(M)에 음량 정보가 표시됨에 따라 영상의 일부가 가려지는 영상 시청 방해 문제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에 음량 크기를 숫자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음량 정보를 제공 가능하며, 메인 화면(M)의 사이드측에 숫자만 표시되므로 영상 시청 방해 문제 또한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수신 여부와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음량 버튼(미도시)을 통해 음량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서브 영역(S)에 음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8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컨트롤러(170)는 로딩 상황인 경우, 서브 영역(S)에 로딩 상황임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로딩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불안정한 인터넷 환경, 외부 기기의 연결 등의 상황에서 바로 실행되지 않는 로딩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로딩 상황의 발생 시, 로딩 중임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의 예시를 참고하면, 컨트롤러(170)는 외부 기기(300)의 연결 시 로딩 상황이 발생하면, 로딩 상황임을 안내하도록 기설정된 영상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복수의 막대기 또는 점이 서브 영역(S)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로딩 상황임을 안내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영상의 종류는 예시에 불과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후면에 배치된 버튼 및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서브 영역(S)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영상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며 버튼 또는 단자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9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전원 버튼,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등 적어도 하나의 버튼과 외부 회로와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후면(B)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 및 단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B)에 구비될 경우 외관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으나, 이들의 위치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용 시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컨트롤러(170)는 버튼 또는 단자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할 경우, 서브 영역(S)에 버튼 또는 단자의 위치를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영상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며 이용 상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후면(B)에 배치된 버튼과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과 단자 모두에서 물체를 감지 가능하도록 하나의 근접 센서가 구비되거나, 버튼 주변에서의 물체를 감지 가능한 근접 센서와 단자 주변에서의 물체를 감지 가능한 근접 센서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근접 센서의 위치와 개수는 다양할 수 있는 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근접 센서(미도시)는 후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과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서 물체(O)를 감지할 수 있다. 물체(O)는 사용자의 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버튼 및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서 물체(O)가 감지될 경우, 버튼 및 단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찾고 있는 버튼 또는 단자의 위치를 서브 영역(S)을 보고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컨트롤러(170)는 물체(O)와 가장 가까운 버튼이나 단자에 해당하는 가이드를 다른 가이드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버튼과 여러 단자 중에서도 현재 누르고자 하는 버튼 혹은 현재 케이블을 꽂으려고 하는 단자가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하고, 이에 따라 후면(B)을 볼 필요조차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6에서는 근접 센서(미도시)가 후면(B)에 배치된 단자 주변에서 물체(O)를 감지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와 같이, 컨트롤러(170)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통해 제1 내지 제6 단자(T1)(T2)(T3)(T4)(T5)(T6) 주변에서 물체(O)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의 (b)와 같이, 서브 영역(S)에 제1 내지 제6 단자(T1)(T2)(T3)(T4)(T5)(T6) 각각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1 내지 제6 가이드(G1)(G2)(G3)(G4)(G5)(G6)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가이드(G1)(G2)(G3)(G4)(G5)(G6)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는 제1 내지 제6 단자(T1)(T2)(T3)(T4)(T5)(T6) 각각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6 가이드(G1)(G2)(G3)(G4)(G5)(G6) 각각은 제1 내지 제6 단자(T1)(T2)(T3)(T4)(T5)(T6) 각각과 동일 높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면(B)을 직접 보지 않고, 서브 영역(S)만 보고도 각 단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0)는 근접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O), 즉 사용자의 손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단자(T4)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손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단자(T4)에 해당하는 가이드(G4)를 다른 가이드들(G1)(G2)(G3)(G5)(G6)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의 손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단자(T4)에 해당하는 가이드(G4)가 다른 가이드들(G1)(G2)(G3)(G5)(G6) 보다 강조되도록, 사용자의 손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단자(T4)에 해당하는 가이드(G4)에 박스 표시를 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방법에 불과하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환경 및 표시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의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제10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컨트롤러(170)는 서브 영역(S)과 접하는 메인 영역(M)의 영상과 연결되는 영상을 생성하여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의 영상과 연결되도록 서브 영역(S)의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서브 영역(S)에 표시될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메인 영역(M) 중 서브 영역(S)에 접하는 영역의 오브젝트를 획득하고, 해당 오브젝트를 실제 촬영한 앵글을 추정하고, 추정된 앵글에 기초하여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가상 앵글을 생성하여, 가상 앵글에 따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영역(M)에 도 17의 (a)와 같은 영상이 표시될 경우, 서브 영역(S)과 인접한 사람(가장 우측에 위치한 사람)을 실제 촬영한 앵글을 추정하고, 추정되는 앵글에 따라 우측 가상 앵글을 생성하고, 우측 가상 앵글에 따른 가상의 영상을 생성하여 서브 영역(S)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확장 효과 및 3D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면을 향하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서브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주변 환경 또는 상기 메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영역의 영상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변 환경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 또는 조도 센서의 센싱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벽의 색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영역 중 영상이 출력되는 않는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벽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가 교육, 예능 또는 뉴스인 경우 상기 서브 영역에 기설정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가 영화, 스포츠, 다큐 또는 그림인 경우 상기 서브 영역에 상기 메인 영역과 유사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오프인 동안 상기 서브 영역에 기설정된 제1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서브 영역에 기설정된 제2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색상과 제2 색상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음악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서브 영역에 재생되는 음악의 오디오 파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무선 연결된 주변 기기에서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영역을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변 기기의 종류 및 상기 알람 신호에 해당하는 알람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상을 상이하게 제어하여 상기 알람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음량 제어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서브 영역에 음량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브 영역에 현재 음량 크기를 길이로 표시하고,
    상기 메인 영역에 현재 음량 크기를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로딩(loading) 상황인 경우, 상기 서브 영역에 로딩 상황임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면에 배치된 버튼 및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버튼 및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서 물체가 감지될 경우 상기 버튼 및 상기 단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를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와 가장 가까운 버튼이나 단자에 해당하는 가이드를 다른 가이드와 상이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브 영역과 접하는 메인 영역의 영상과 연결되는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서브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123199A 2022-09-28 2022-09-28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4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199A KR20240044010A (ko) 2022-09-28 2022-09-2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199A KR20240044010A (ko) 2022-09-28 2022-09-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010A true KR20240044010A (ko) 2024-04-04

Family

ID=9063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199A KR20240044010A (ko) 2022-09-28 2022-09-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0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16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26197A1 (en) Display device
KR202200997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1274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24342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72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화면 제공 방법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312429A1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US11962832B2 (en)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29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4943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