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915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915B1
KR102664915B1 KR1020210172729A KR20210172729A KR102664915B1 KR 102664915 B1 KR102664915 B1 KR 102664915B1 KR 1020210172729 A KR1020210172729 A KR 1020210172729A KR 20210172729 A KR20210172729 A KR 20210172729A KR 102664915 B1 KR102664915 B1 KR 10266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terminal
input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722A (ko
Inventor
권정환
배경남
박태진
이은정
정효정
이동희
신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915B1/ko
Priority to US17/647,078 priority patent/US11703991B2/en
Publication of KR2023008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에 기초한 제1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1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미러링 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요구하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의 TV는 단말기와 화면 공유와 같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TV는 PC와 같은 단말기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PC에서 마우스를 움직이면, 마우스의 좌표가 TV에 전달되고, TV는 해당 좌표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하는 패스트 커서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패스트 커서 기능은 단말기에 표시되는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커서와 서로 다른 형태의 패스트 커서를 TV가 표시하도록 패스트 커서 좌표를 빠르게 TV에 전달하는 기능이다.
하지만, 터치 UIBC(User Input Back channel, 사용자 입력 백 채널)를 지원하는 TV에서 터치 입력을 단말기에 전달하는 경우, 단말기는 터치 입력된 위치에 상응하는 패스트 커서 좌표를 TV에 전달하고, TV는 패스트 커서 좌표에 기초하여 패스트 커서를 표시한다.
이 경우, TV는 터치 입력과 마우스 입력을 수신한 경우, 모두 패스트 커서를 표시하게 되어, 터치 입력과 마우스 입력이 구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외부 기기와 미러링 중 터치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시, 외부 기기에서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보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외부 기기와 미러링 중 터치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패스트 커서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에 기초한 제1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1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미러링 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요구하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중 싱크 기기인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더라도, 패스트 커서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불필요한 패스트 커서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터치 입력에 따른 자연스러운 단말기의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패스트 커서의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 자원이 절감될 수 있고, 심플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입력 백 채널(User Input Back Channel, UIBC) 사용 동작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a 및 도 9b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UIBC 패킷에 따라 단말기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단말기(5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500)는 통신 회로(510), 입력부(520), 메모리(530), 디스플레이(540) 및 프로세서(5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5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서버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510)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5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메모리(530)는 단말기(5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단말기(5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메모리(5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5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화면 공유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단말기(50)를 포함한다.
단말기(50)는 자신이 표시 중인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S601).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표시한다(S603).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중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605).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 UIBC 패킷을 단말기(50)에 전송한다(S607).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패스트 커서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50)와 연결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터치 입력을 마우스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UIBC 패킷은 터치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을 구별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 입력을 마우스를 통해 수신된 마우스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UIBC 패킷은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좌표 및 마우스 입력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좌표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좌표일 수 있다.
단말기(50)는 UIBC 패킷에 기초하여 패스트 커서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전송한다(S609).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패스트 커서 좌표에 기초하여 패스트 커서를 표시한다(S611).
도 6의 실시 예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용자 입력 백 채널(User Input Back Channel, UIBC) 사용 동작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UIB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작용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BC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단말기(50)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중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사용자 입력을 가하여, 단말기(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채널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단말기(50)는 영상(710)을 디스플레이(54) 상에 표시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710)에 상응하는 미러링 영상(730)을 디스플레이부(18)를 통해 표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미러링 중 디스플레이부(18)의 제1 지점(701)에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제1 지점(701)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54)의 제2 지점(703)에 대응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BC 패킷을 단말기(50)에 전송한다.
단말기(50)는 UIBC 패킷에 포함된 터치 입력의 좌표에 기초하여, 패스트 커서 생성을 위한 패스트 커서 좌표를 획득하고, 획득된 패스트 커서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트 커서 좌표에 기반한 패스트 커서(705)를 제1 지점(701) 상에 표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 (10)의 터치 입력에 따른 단말기(50)의 동작 제어만을 의도하고자 하였는데, 불필요하게 패스트 커서(705)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을 가하는 경우, 모두 패스트 커서(705)가 표시될 수 있어 터치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을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패스트 커서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 터치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을 구분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의 화면 공유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설명을 차용하고, 단말기(500)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설명을 차용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스트 커서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500)와 연결되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우스(700)를 통해 마우스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우스(7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단말기(500)로부터 단말기(500)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S801).
무선 통신부(173)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단말기(5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제1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한다(S803).
제어부(170)는 수신된 제1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지원하는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의 일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805).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UIBC 패킷을 단말기(500)에 전송한다(S807).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는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요구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UIBC 패킷은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패스트 커서의 좌표가 단말기(500)에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UIBC 패킷은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좌표, UP 또는 DOWN과 같은 입력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IBC 패킷은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이 단말기(500)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패킷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마우스 입력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마우스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이를 마우스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를 터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제1 UIBC 패킷을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마우스 입력인 경우,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UIBC 패킷을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UIBC 패킷을 통해 단말기(500)로부터 패스트 커서 좌표를 수신하여, 패스트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500)의 프로세서(590)는 수신된 UIBC 패킷에 기초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809).
단말기(500)의 프로세서(590)는 수신된 UIBC 패킷에 기초하여, 패스트 커서 좌표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기(500)의 프로세서(590)는 UIBC 패킷이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패스트 커서 좌표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터치 입력의 좌표를 자신의 해상도에 맞는 좌표로 변환하고, 변환된 좌표에 상응하는 지점에 대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해당 지점에 위치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해당 지점에 위치한 메뉴의 선택에 따라 메뉴에 상응하는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제1 영상을 표시 중, UIBC 패킷에 따른 제어 동작에 따라 제1 영상을 제2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단말기(500)의 프로세서(590)는 동작 수행 결과에 따른 제2 영상을 표시하고, 통신 회로(510)를 통해 제2 영상에 상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S81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제2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한다(S813).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중 싱크 기기인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더라도, 패스트 커서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불필요한 패스트 커서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터치 입력에 따른 자연스러운 단말기(500)의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를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UIBC 패킷에 따라 단말기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기(50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단말기(500)는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마우스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여 패스트 커서를 그리도록 하는 패스트 커서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500)는 자신이 표시 중인 제1 영상(910)에 기초한 제1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는 소스 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미러링 영상(930)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하는 싱크 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영상(910) 및 제1 미러링 영상(930) 각각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앱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미러링 영상(930)에 포함된 미러링 앱 아이콘(931) 상의 일 지점(901)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UIBC 패킷을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UIBC 패킷은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901)의 좌표, UP 또는 DOWN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IBC 패킷은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는 패스트 커서를 그리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500)로 하여금 패스트 커서 기능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기(500)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UIBC 패킷에 기초하여 패스트 커서를 그리기 위한 패스트 커서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기(500)의 프로세서(590)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UIBC 패킷이 수신된 경우,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패스트 커서 좌표를 생서하지 않는다.
단말기(500)는 터치 입력의 좌표, 입력의 형태(UP/DOWN)에 따라 미러링 앱 아이콘(931)에 상응하는 앱 아이콘(911)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단말기(500)의 제어 동작은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작일 수 있다.
단말기(500)는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앱 아이콘(911)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영상(910)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인 제2 영상(95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제2 영상(950)에 상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UIBC 패킷에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패스트 커서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상 신호를 자신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제2 미러링 영상(970)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500)로부터 패스트 커서 좌표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패스트 커서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미러링 중 싱크 기기인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패스트 커서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스트 커서의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 자원이 절감될 수 있고, 심플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4)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에 기초한 제1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1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미러링 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요구하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제1 사용자 백 채널 (User Input Back Channel, UIBC) 패킷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이 마우스 입력인 경우, 상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요구하는 상기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UIBC 패킷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트 커서는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커서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상기 터치 입력의 타입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2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패스트 커서의 좌표에 기반하여, 패스트 커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미러링 영상에 포함된 메뉴 또는 앱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인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에 기초한 제1 영상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1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러링 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요구하는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제1 사용자 백 채널 (User Input Back Channel, UIBC)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이 마우스 입력인 경우, 상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요구하는 상기 패스트 커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UIBC 패킷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트 커서는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커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상기 터치 입력의 타입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2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2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패스트 커서의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패스트 커서의 좌표에 기반하여, 패스트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미러링 영상에 포함된 메뉴 또는 앱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172729A 2021-12-06 2021-12-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29A KR102664915B1 (ko) 2021-12-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7/647,078 US11703991B2 (en) 2021-12-06 2022-01-05 Display device with mouse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29A KR102664915B1 (ko) 2021-12-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22A KR20230084722A (ko) 2023-06-13
KR102664915B1 true KR102664915B1 (ko) 2024-05-1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6045A (ja) * 2013-10-11 2015-04-20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6045A (ja) * 2013-10-11 2015-04-20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48175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956495B2 (en)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KR202001028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02269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47641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34557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07347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system
EP424342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12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92816A1 (en) Display device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8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11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845284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