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64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649A
KR20230128649A KR1020220025741A KR20220025741A KR20230128649A KR 20230128649 A KR20230128649 A KR 20230128649A KR 1020220025741 A KR1020220025741 A KR 1020220025741A KR 20220025741 A KR20220025741 A KR 20220025741A KR 20230128649 A KR20230128649 A KR 20230128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device
image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환
이은정
정효정
배경남
신병현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649A/ko
Priority to EP22165552.5A priority patent/EP4236330A1/en
Priority to US17/714,784 priority patent/US20230274684A1/en
Publication of KR2023012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teletext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가로 자세 모드 또는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의 TV는 단말기와 화면 공유와 같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TV는 PC와 같은 단말기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PC는 TV와 미라캐스트와 같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시, TV의 디스플레이가 세로 자세에 있고, PC의 전송 영상이 세로 표시 방향인 경우, TV는 PC의 전송 영상의 표시 방향을 알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세로 자세에 있는 TV의 디스플레이는 PC의 전송 영상을 가로 방향으로 인식하여 미러링 영상의 표시 방향이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미러링 영상의 시청 시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다가온다.
본 개시는 PC와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화면 공유 서비스 시,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러링 영상을 올바른 시청 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PC와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화면 공유 서비스 시, PC의 영상 표시 방향을 인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가로 자세 모드 또는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의 문자열의 배열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중 PC의 영상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에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가 세로 자세에 있다하더라도 미러링 영상이 올바른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미러링 영상의 시청을 불편함 없이 시청할 수 있어 향상된 사용자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다이어그램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열 방향을 인식하여 영상의 표시 방향을 파악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에 있고,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는 경우, 미러링 영상의 취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PC의 표시 방향 모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에 따라 UIBC 좌표를 변환하는 로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PC의 영상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인 경우, 미러링 영상을 회전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가 가로 자세 모드에 있고,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는 경우, 미러링 영상의 취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마이크로폰(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단말기(5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500)는 통신 회로(510), 입력부(520), 메모리(530), 디스플레이(540) 및 프로세서(5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5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서버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510)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5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메모리(530)는 단말기(5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단말기(5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메모리(5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9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5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이어줄 수 있다. 샤프트(103)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샤프트(103)는 스탠드 베이스(105)에 대해 수직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03)의 상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베이스(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의 상부와 디스플레이(180)의 후면이 맞닿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a는 디스플레이(18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가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내고, 도 6b는 디스플레이(18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세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된 기기와는 달리 이동성이 향상되어 사용자는 배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다.
이하에서, 세로는 포트레이트로, 가로는 랜드스케이프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는 세로 표시 모드 및 가로 표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500)의 세로 표시 모드는 영상의 표시 방향을 세로로 표시하는 모드이고, 가로 표시 모드는 영상의 표시 방향을 가로로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 모드는 디스플레이(180)의 자세를 나타내는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 모드는 디스플레이(180)가 세로 형태로 배치된 세로 자세 모드, 디스플레이(180)가 가로 형태로 배치된 가로 자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80)의 가로 자세 모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형태의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의 세로 자세 모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형태의 모드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단말기(500)는 PC이고, 단말기(500)의 영상 표시 모드는 세로 표시 모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7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로 자세 모드에 있고, 도 7b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로 자세 모드에 있다.
단말기(50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해 세로 표시 모드 하에서 단말기(500)가 디스플레이(540) 상에 표시 중인 세로 영상(710,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71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는 세로 표시 모드에 있으므로, 전송되는 영상 신호(711) 또한 세로 방향을 갖도록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는지, 가로 표시 모드에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세로 형태의 영상 신호(711)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730)을 회전 없이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
결국, 사용자 입장에서는 PC의 표시 방향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 자세 모드에 있을 때, 꽉찬 영상을 시청할 수 없고, 화면 방향도 맞지 않으므로, 시청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의 표시 방향 모드가 어떤 모드에 있는지 인지할 수 없어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단말기(50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해 세로 표시 모드 하에서 단말기(500)가 디스플레이(540) 상에 표시 중인 영상(540)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711)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는 세로 표시 모드에 있으므로, 전송되는 영상 신호(711) 또한 세로 방향을 갖도록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는지, 가로 표시 모드에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세로 형태의 영상 신호(711)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750)을 회전 없이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
도 7a의 예와 유사하게, 사용자 입장에서는 PC의 표시 방향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로 자세 모드에 있을 때, 미러링 영상(750)의 표시 방향이 맞지 않으므로, 시청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PC의 표시 방향 모드가 어떤 모드에 있는지 인지할 수 없어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PC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에 맞게 미러링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다이어그램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5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해 영상을 전송하는 소스 기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수신하는 싱크 기기로 명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500)의 기기 타입을 획득한다(S801).
일 실시 예에서 기기 타입은 PC(Personal Computer) 타입, 휴대폰 타입, PC 및 휴대폰을 제외한 외부 기기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기(5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단말기(500)와 와이파이 보호 설정(Wi-Fi Protected Setup, WPS) 과정에서 단말기(500)로부터 기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기(500)는 능력 협상 과정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기(500)는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eal Time Streaming Protocol)을 이용하여 능력 협상 과정에 필요한 요청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TSP 요청 메시지는 단말기(500)의 제조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가 특정 PC를 제조하는 회사로 식별된 경우, 컨트롤러(170)는 단말기(500)의 기기 타입을 PC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단말기(500)가 표시 중인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S803).
컨트롤러(17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 요청을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화면 공유 서비스 요청에 따라 단말기(500)가 표시 중인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805).
일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170)는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인지 가로 자세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단계 S805는 단말기(5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미리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의 회전 각도가 0도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를 가로 자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의 회전 각도가 +90도 또는 -90도 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를 세로 자세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가 가로 자세 모드로 판단된 경우, 가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을 표시한다(S806).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로 판단된 경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한다(S807).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지, 가로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고,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가 가로 표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170)는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에 포함된 문자열 방향, 아이콘의 표시 방향을 인식하여 영상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문자열 방향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아이콘의 표시 방향, 화면 배치 방향 등과 같이, GUI(Graphic User Interface) 요소들은 영상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열 방향을 인식하여 영상의 표시 방향을 파악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단말기(5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는 가로 방향의 가로 영상(910)을 도시하고 있고, 도 9b는 단말기(5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는 세로 방향의 세로 영상(930)을 도시하고 있다.
컨트롤러(17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가로 영상(910)에 포함된 제1 텍스트(911)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aracter Recognition, OCR) 기법을 통해 가로 영상(910)에 포함된 제1 텍스트(911)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인식된 제1 텍스트(911)의 표시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1 텍스트(911)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제1 텍스트(911)의 표시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1 텍스트(911)의 <Access>는 문자들의 배열이 좌측에서 우측 순서로 이루어지므로, 제1 텍스트(911)의 표시 방향은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1 텍스트(911)의 표시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 단말기(500)의 영상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b를 설명한다.
컨트롤러(170)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aracter Recognition, OCR) 기법을 통해 세로 영상(930)에 포함된 제2 텍스트(931)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인식된 제2 텍스트(931)의 표시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2 텍스트(931)를 구성하는 문자열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제2 텍스트(931)의 표시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제2 텍스트(931)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단말기(500)의 영상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5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의 표시 방향을 이용하여, 단말기(500)의 영상 표시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결정된 경우(S809),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을 세로 자세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811).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영상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단말기(500)의 영상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자신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에 있고,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에 있고,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는 경우, 미러링 영상의 취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기(500)는 PC이고, PC의 영상 표시 모드는 세로 표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540)를 통해 세로 영상(710, 소스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 모드는 세로 자세 모드에 있다.
단말기(500)는 미러링 요청(또는 미라캐스트 요청)에 따라 세로 영상(710)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711)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세로 자세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신호(711)로부터 텍스트를 인식하고,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자열의 배열 방향을 통해 영상 신호(711)의 표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신호(711)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에 있는 경우, 영상 신호(711)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101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a와 비교하여,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 자세 모드에 있는 경우라도,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이 꽉찬 상태로 미러링 영상(1010)을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미러링 영상(1010)의 시청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어,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다.
다시, 도 8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 가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을 세로 자세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813).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811 단계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S81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지점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 백 채널(User Input Back Channel, UIBC) 변환 좌표를 획득한다(S815).
컨트롤러(170)는 단말기(500)의 표시 방향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좌표를 변환하여, UIBC 변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지점의 좌표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회전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획득된 회전 좌표를 단말기(500)의 해상도(또는 화면 비율)에 맞게 변환하여 UIBC 변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단말기(500)와의 능력 협상 과정에서 단말기(500)의 해상도(또는 화면 비율)을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1은 PC의 표시 방향 모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에 따라 UIBC 좌표를 변환하는 로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PC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달하는 가로 영상(1110) 및 세로 영상(1130)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80)의 회전 각도가 0도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는 가로 자세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180)의 회전 각도가 90도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자세 모드는 세로 자세 모드에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PC가 전달하는 가로 영상(1110) 및 세로 영상(1130), 디스플레이(180)의 회전 각도 및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하는 제1 내지 제4 미러링 영상들(1111, 1113, 1131, 1133)이 도시되어 있다.
가로 영상(1110), 세로 영상(1130) 및 제1 내지 제4 미러링 영상들(1111, 1113, 1131, 1133)의 표시 방향은 각 영상의 꼭지점들에 위치한 도형 인디케이터들로 구별될 수 있다.
PC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달하는 영상이 세로 영상(1130)이고, 디스플레이(180)의 회전 각도가 90도인 경우, 세로 영상(1130)에 대응하는 제4 미러링 영상(1133)이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미러링 영상(1133)의 직사각형 인디케이터가 위치한 일 지점(1133a)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일 지점(1133a)의 좌표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회전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양 기기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회전 좌표를 UIBC 변환 좌표로 획득하고, 획득된 UIBC 변환 좌표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PC에 전송할 수 있다.
PC는 제어 명령에 포함된 UIBC 변환 좌표에 해당되는 지점(1130a)에 대해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뉴 선택, 앱 선택과 같은 동작일 수 있다.
다시, 도 8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UIBC 변환 좌표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단말기(500)에 전송한다(S817).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통해 제어 명령을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UIBC 변환 좌표 및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타입은 터치 입력, 마우스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터치 입력은 터치 업 입력, 터치 다운 입력, 스크롤 입력, 스와이프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500)는 UIBC 변환 좌표에 해당되는 지점에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819).
도 12는 PC의 영상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가 세로 자세 모드인 경우, 미러링 영상을 회전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기(500)는 PC일 수 있다.
세로 표시 모드 하에서 세로 방향의 소스 영상(710)을 디스플레이(540) 상에 표시하고 있다. 단말기(500)는 미러링 요청에 따라 소스 영상(710)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로 자세 모드 하에서 세로 방향의 소스 영상(710)에 상응하는 미러링 영상(730)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영상(710)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PC의 영상 표시 모드를 인지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의 영상 표시 모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표시 방향 버튼(120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730)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 상에 표시 방향 버튼(120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 방향 버튼(1200)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730)을 회전시킨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10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표시 방향 버튼(1200)은 미러링 영상(730)의 표시 방향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 미러링 영상(730)의 표시 방향을 고정하거나, 회전시킬 니즈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 모드가 가로 자세 모드에 있고,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에 있는 경우, 미러링 영상의 취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기(500)는 PC이고, PC의 영상 표시 모드는 가로 표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540)를 통해 세로 영상(710, 소스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 모드는 세로 자세 모드에 있다.
단말기(500)는 미러링 요청(또는 미라캐스트 요청)에 따라 세로 영상(710)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711)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세로 자세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신호(711)로부터 텍스트를 인식하고,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자열의 배열 방향을 통해 영상 신호(711)의 표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신호(711)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에 있는 경우, 영상 신호(711)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103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b와 비교하여, 도 13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로 자세 모드에 있는 경우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미러링 영상(1310)을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미러링 영상(1310)의 시청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어,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가로 자세 모드 또는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의 문자열의 배열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상기 가로 방향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를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미러링 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좌표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시킨 회전 좌표를 획득하고, 회전 좌표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비율에 맞게 변환한 변환 좌표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입력 백 채널(User Input Back Channel, UIBC)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PC(Personal Computer)인
    디스플레이 장치.
  9. 가로 자세 모드 또는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세로 자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의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텍스트의 문자열의 배열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문자열의 배열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표시 방향이 상기 가로 방향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영상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를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링 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지점의 좌표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시킨 회전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회전 좌표를 상기 단말기의 화면 비율에 맞게 변환한 변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입력 백 채널(User Input Back Channel, UIBC)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025741A 2022-02-28 2022-02-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8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741A KR20230128649A (ko) 2022-02-28 2022-02-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2165552.5A EP4236330A1 (en) 2022-02-28 2022-03-30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7/714,784 US20230274684A1 (en) 2022-02-28 2022-04-06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741A KR20230128649A (ko) 2022-02-28 2022-02-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649A true KR20230128649A (ko) 2023-09-05

Family

ID=8107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741A KR20230128649A (ko) 2022-02-28 2022-02-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74684A1 (ko)
EP (1) EP4236330A1 (ko)
KR (1) KR20230128649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044B1 (ko) * 2016-09-01 2023-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미라캐스트 제공 장치 및 방법
JP6765956B2 (ja) * 2016-12-27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833506B2 (ja) * 2016-12-27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679731A (zh) * 2019-03-11 2020-09-18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0190940A (ja) * 2019-05-22 2020-11-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36753A (ko) * 2019-05-28 2020-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16248936A (zh) * 2020-03-13 2023-06-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画面旋转适配方法
WO2021213097A1 (zh) * 2020-04-24 2021-10-2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投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6330A1 (en) 2023-08-30
US20230274684A1 (en)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661809B (zh) 显示设备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044610A1 (en)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EP3902269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30128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230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34557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03680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733429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40137604A1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EP424342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41760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102412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11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0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