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798A -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798A
KR20230120798A KR1020220017458A KR20220017458A KR20230120798A KR 20230120798 A KR20230120798 A KR 20230120798A KR 1020220017458 A KR1020220017458 A KR 1020220017458A KR 20220017458 A KR20220017458 A KR 20220017458A KR 20230120798 A KR20230120798 A KR 2023012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content
image
displ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이정빈
조민영
이승일
배진완
차지연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798A/ko
Priority to PCT/KR2022/021739 priority patent/WO2023153639A1/ko
Publication of KR2023012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 중인 제1 컨텐트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트 영상과 관련된 제2 컨텐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본 개시는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탈부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TV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와 연동하여 미러링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2개의 기기는 일반적으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에 제한이 있다.
본 개시는 탈부착 가능한 2개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2개의 디스플레이 기기 간의 연동을 통해 컨텐트 시청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 중인 제1 컨텐트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트 영상과 관련된 제2 컨텐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디스플레이 기기 간의 탈부착을 통해 향상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인 스크린을 통해 컨텐트 영상의 시청 중 컨텐트 영상으로부터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메인 스크린과 부착된 서브 스크린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간단한 제스쳐 만으로 듀얼 스크린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부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도 6의 실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앱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될 앱이 결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의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3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스쳐에 따라 화면을 스위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마이크로폰(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부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각각은 도 1에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화면 크기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화면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화면은 메인 화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화면은 서브 화면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무선 통신 규격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둘러싸는 일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둘러싸는 일면이 부착되어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일면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일면 각각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각각은 자석을 통해 서로 탈부착 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후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 지지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거치 지지대(500)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거치 지지대(500)의 하단에는 슬라이딩부(510)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5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이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거치 지지대(50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거치 지지대(500)의 일부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거치 지지대(500)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무선 전력 수신 회로가 구비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거치 지지대(500)에 거치된 것만으로, 무선 충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 제1,2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편의상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구성 요소들은 (xxx-1)와 같은 형식으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구성 요소들은 (xxx-2)와 같은 형식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는 170-1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는 170-2로 표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디스플레이(180-2) 상에 제1 컨텐트 영상을 표시하는 중(S6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03).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자신의 일면에 부착된 자석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일면에 부착된 자석 간의 자력을 감지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거치 지지대(500)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놓여 지고, 자력이 감지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부착된 경우, 서로 무선 연결이 자동으로 수립될 수 있다. 무선 연결에 사용되는 통신 규격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이 경우, 서로 간의 부착은 무선 연결을 위한 트리거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서로 네트워크 연결이 된 상태에서 부착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경우, 제1 컨텐트 영상에 기초한 제2 컨텐트 영상을 디스플레이(180-1) 상에 표시한다(S605).
일 실시 예에서, 제2 컨텐트 영상은 제1 컨텐트 영상과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컨텐트 영상은 제1 컨텐트 영상의 일부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트 영상이 상대방 영상 및 채팅 창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컨텐트 영상은 카메라 영상만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1 컨텐트 영상으로부터 상대방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대방 영상을 디스플레이(180-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대방 영상을 큰 화면으로 보면서, 채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화면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화면보다 클 수 있다. 제2 컨텐트 영상은 제1 컨텐트 영상을 확대한 영상일 수 있다.
그 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탈착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07).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자신의 일면에 부착된 자석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일면에 부착된 자석 간의 자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탈착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거치 지지대(500)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이격되고, 자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탈착된 경우, 제2 컨텐트 영상 표시 요청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1)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한다(S609).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170-2)는 제2 컨텐트 영상 표시 요청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80-2) 상에 제2 컨텐트 영상을 표시한다(S611).
사용자는 제2 컨텐트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통해 감상하다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떼어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제2 컨텐트 영상을 연속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실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서로 탈착된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하거나,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컨텐트 영상(content 1)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됨을 감지한 경우, 제1 컨텐트 영상(content 1)에 기초하여 제2 컨텐트 영상(content 2)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컨텐트 영상(content 2)은 제1 컨텐트 영상(content 1)의 일부를 확대한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통해 확대된 제1 컨텐트 영상(content 1)을 시청 중, 이동을 위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탈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2 컨텐트 영상(100-2)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1 컨텐트 영상(content 1)을 제2 컨텐트 영상(content 2)으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중이더라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통해 제2 컨텐트 영상(content 2)의 시청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 앱은 어플리케이션의 약자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170-2)는 앱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80-2) 상에 표시한다(S801).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170-2)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화면 오프 상태이거나, AOD(Always On Display) 상태에 있을 수 있다. AOD 상태는 최소한의 전력만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가 온 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디스플레이(180-2) 상에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중(S801),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03).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실행 중인 앱에 기초하여, 자신이 실행할 앱을 결정한다(S805).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부터 실행 중인 앱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앱에 대한 정보는 앱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앱의 운영 체제, 앱의 명칭, 앱의 버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수신된 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실행할 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70-1)는 수신된 앱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앱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트롤러(170-1)는 수신된 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앱의 하위 앱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실행 중인 앱이 복수의 하위 앱들을 포함하는 메뉴 앱의 실행 화면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복수의 하위 앱들 중 어느 하나의 앱을 실행할 앱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앱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결정된 앱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80-1) 상에 표시한다(S807).
그 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탈착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09).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탈착된 경우,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고(S811), 탈착 알림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한다(S813).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탈착 알림의 수신에 따라 이전 화면으로 복귀한다(S815).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앱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될 앱이 결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화면 오프 상태 또는 AOD 상태에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동영상 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부터 동영상 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실행 중인 앱과 동일한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동영상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기존의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만 재생한 동영상을 확대된 화면으로 재생할 수 있다.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탈착된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 화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b를 설명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화면 오프 상태 또는 AOD 상태에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복수의 하위 앱들을 포함하는 메뉴 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로부터 메뉴 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메뉴 앱의 하위 요소들인 하위 앱들 중 어느 하나의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부착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복수의 하위 앱들 중 어느 하나의 앱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앱을 실행할 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b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 부착된 경우, 메뉴 앱의 하위 앱들 중 선택된 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탈착된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 화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홈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재생 중인 컨텐트와 관련된 앱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컨텐트와 관련된 앱을 실행하고, 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재생 중인 컨텐트와 관련된 앱은 컨텐트의 장르 또는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의 장르가 영화인 경우, 관련된 앱은 영화들을 서비스하는 컨텐트 제공자 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컨텐트의 타입이 게임 동영상인 경우, 관련된 앱은 게임 동영상에 상응하는 게임 앱일 수 있다.
만약,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탈착된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 화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 도 10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실시 예임을 가정한다.
도 6 내지 도 9c의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부착된 상태 이후에서는 도 10의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3 컨텐트 영상을 디스플레이(180-1) 상에 표시한다(S1001).
제3 컨텐트 영상은 도 6의 실시 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와의 부착에 따라 표시되는 제2 컨텐트 영상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도 6의 제1 컨텐트 영상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제3 컨텐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식별한다(S1005).
오브젝트는 인물, 사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오브젝트는 인물의 얼굴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1)는 공지된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제3 컨텐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1)는 각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는 오브젝트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제3 컨텐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기 설정된 버튼 또는 제3 컨텐트 영상에 포함된 아이콘의 선택 등을 통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17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오브젝트 추출을 위한 명령을 수신한 시점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컨트롤러(170-1)는 식별된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한다(S1007).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170-2)는 수신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 항목들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2) 상에 표시한다(S1009).
각 오브젝트 항목은 오브젝트의 명칭 등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170-2)는 오브젝트 리스트로부터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한다(S1011).
컨트롤러(17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오브젝트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170-2)는 선택된 오브젝트 항목과 연관된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한다(S1013).
컨트롤러(170-2)는 오브젝트 항목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오브젝트 항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2)는 기 설정된 검색 엔진을 통해 오브젝트 항목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2)는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컨트롤러(170-2)는 컨텐트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컨텐트를 재생한다(S1015).
컨트롤러(170-2)는 컨텐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의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_2)는 부착된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3 컨텐트 영상(1110)을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4 컨텐트 영상(1130)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오브젝트의 추출을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제3 컨텐트 영상(1110)으로부터 복수의 오브젝트들(1111, 1113, 1115)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인물일 수 있다.
추출될 오브젝트가 인물인지 사물인지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추출된 복수의 오브젝트들(1111, 1113, 1115) 각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복수의 오브젝트들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 항목들(1151, 1153, 1155)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리스트(11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3 컨텐트 영상(1110)을 재생 중일 수 있다.
각 오브젝트 항목은 인물의 이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복수의 오브젝트 항목들(1151, 1153, 1155) 중 제1 오브젝트 항목(1151)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오브젝트 항목(1151)과 관련된 컨텐트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컨텐트 리스트(117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3 컨텐트 영상(1110)을 재생 중일 수 있다.
컨텐트 리스트(1170)는 제1 오브젝트 항목(1151)이 나타내는 인물이 출연한 동영상, 영화 등을 나타내는 복수의 컨텐트 항목들(1171, 1173, 1175)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컨텐트 항목은 영상 또는 웹 사이트를 위한 접속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복수의 컨텐츠(1171, 1173, 1175) 중 제1 컨텐트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제1 컨텐트 항목에 상응하는 컨텐트(1190)를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3 컨텐트 영상(1110)을 재생 중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인 스크린을 통해 컨텐트 영상의 시청 중 컨텐트 영상으로부터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메인 스크린과 부착된 서브 스크린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3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스쳐에 따라 화면을 스위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무선 연결되어 있는 상태임을 가정한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3의 실시 예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분리된 경우에 있어 도 6 내지 도 11의 실시 예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컨텐트 영상(1210)을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2 컨텐트 영상(1230)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제스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1 컨텐트 영상(1210)의 미러링 요청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미러링 요청에 따라 제1 컨텐트 영상(1210)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1 미러링 영상(1211)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미러링 영상(1211)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화면 일부 또는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제스쳐 입력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측으로 터치 입력을 이동시키는 스와이프 입력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컨텐트 영상(1210)을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2 컨텐트 영상(1230)을 표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제스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2 컨텐트 영상(1230)의 미러링 요청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미러링 요청에 따라 제2 컨텐트 영상(1230)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제2 미러링 영상(1231)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미러링 영상(1231)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화면 일부 또는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제스쳐 입력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2) 측으로 터치 입력을 이동시키는 스와이프 입력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컨텐트 영상(1300)을 표시하고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화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 회의 앱의 실행 화면(1310)을 표시하고 있다.
화상 회의 앱의 실행 화면(1310)은 사용자 영상, 상대방 영상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 및 화상 회의의 조작을 위한 메뉴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3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제스쳐 입력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위치한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제3 제스쳐 입력에 따라 화상 회의 앱의 메뉴 화면(1311)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는 메인 화면의 표시 요청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전송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메인 화면(1313)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메인 화면(1313)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메인 화면(1313)에 중첩하여 이전에 표시중인 컨텐트 영상(1300)의 축소 영상(130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단한 제스쳐 만으로 듀얼 스크린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 중인 제1 컨텐트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트 영상과 관련된 제2 컨텐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보다 크고,
    상기 제2 컨텐트 영상은 상기 제1 컨텐트 영상의 확대 영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트 영상은 상기 제1 컨텐트 영상의 일부 영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구비된 자석 간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부착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부착됨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탈착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컨텐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컨텐트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식별하고, 각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오브젝트 리스트로부터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 항목과 연관된 컨텐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리스트는 상기 오브젝트 항목에 대한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선택된 컨텐트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각 오브젝트는 인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오브젝트의 추출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을 수신한 시점의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오브젝트 항목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220017458A 2022-02-10 2022-02-10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30120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458A KR20230120798A (ko) 2022-02-10 2022-02-10 디스플레이 시스템
PCT/KR2022/021739 WO2023153639A1 (ko) 2022-02-10 2022-12-30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458A KR20230120798A (ko) 2022-02-10 2022-02-10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798A true KR20230120798A (ko) 2023-08-17

Family

ID=8756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458A KR20230120798A (ko) 2022-02-10 2022-02-10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0798A (ko)
WO (1) WO20231536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3769A1 (en) * 2009-12-16 2011-06-16 Microsoft Corporation Dual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284472B1 (ko) * 2011-03-15 2013-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971624B1 (ko) * 2012-07-25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20150136312A (ko) * 2014-05-27 201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417002B1 (ko) * 2017-06-28 2022-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639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60654B2 (en) Display device
KR1017904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5927B1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10130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230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24342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216026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34557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02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99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201600968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8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