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641A -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641A
KR20230147641A KR1020237029686A KR20237029686A KR20230147641A KR 20230147641 A KR20230147641 A KR 20230147641A KR 1020237029686 A KR1020237029686 A KR 1020237029686A KR 20237029686 A KR20237029686 A KR 20237029686A KR 20230147641 A KR20230147641 A KR 2023014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application
external device
external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현
안오봉
조은영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oftwar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4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n input/output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1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the presence of processing resources, peripherals, I/O links, software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0Details of the management of multiple sources of image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1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본 개시의 블루투스 연결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 기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요구되는 외부 기기들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블루투스 연결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대중화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블루투스 장치들의 종류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의 한계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기기의 개수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따라서 필요한 외부 블루투스 기기들의 종류가 각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대 연결 허용 개수만큼 외부 블루투스 기기들이 연결되는 경우 기존에 연결된 외부 블루투스 기기를 관리하여 다른 외부 블루투스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외부 기기 연결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요구되는 외부 기기들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이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들 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하지 않는 외부 기기들과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연결 가능 개수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필요한 외부 기기들과 블루투스 연결을 위해 이전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하지 않은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들을 연결 해제하여,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외부 기기들과 블루투스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연결 가능 개수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된 외부 기기의 개수가 블루투스 연결 가능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함으로써, 사용 빈도가 높은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1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1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외부 기기 연결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요구되는 외부 기기들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이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들 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하지 않는 외부 기기들과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연결 가능 개수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필요한 외부 기기들과 블루투스 연결을 위해 이전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하지 않은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들을 연결 해제하여,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외부 기기들과 블루투스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연결 가능 개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변경에 따른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변경에 따른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외부 기기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프로세서(170)로도 명명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로도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메모리(140)로 명명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300)들과 블루투스 페어링될 수 있다.
블루투스 페어링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300)가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고 인증과정에서 사용할 소정의 키를 공유하고 있어 상호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300)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블루투스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연결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가 소정의 채널을 공유하고 있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소정의 애플리케이션(400)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신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400)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400)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제1 게임 컨트롤러(301) 및 제2 게임 컨트롤러(302)와 연결되어 애플리케이션(400)에 관한 조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키보드(303) 또는 마우스(304)와 연결되어 애플리케이션(400)에 관한 조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된 스피커(305)는 애플리케이션(400)에 실행에 의해 발생하는 사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170)는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S601).
연결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에 외부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정보는 외부 기기의 식별정보, 기기명, 기기 기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기능에 관한 정보는 외부 기기의 기능에 따른 분류로서, 게임 컨트롤러,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등으로 외부 기기의 기능에 따른 분류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실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02).
실행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이름, 애플리케이션이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지 여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작 시간,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요구되는 필요 기기 조건, 입력 요구 정보, 출력 요구 정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요구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필요 기기 조건 정보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 요구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필요 기기 조건 정보는 사운드 출력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03).
필요 기기 조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기기들의 조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등과 같은 각종 외부 기기들이 요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외부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 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606)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현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401)이 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애플리케이션(401)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는 이전에 실행되었던 제2 애플리케이션(402)을 위한 외부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애플리케이셔(402)의 실행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제1 외부 기기(301) 및 제2 외부 기기(302)는 모두 게임 컨트롤러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401)의 실행 정보를 기초로 제1 애플리케이션(401)에서 요구되는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애플리케이션(401)에서 요구되는 필요 기기가 키보드 및 마우스인 것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블루투스 연결되어 있는 1 외부 기기(301) 및 제2 외부 기기(302)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외부기기임을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프트에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제1 외부 기기(301) 및 제2 외부 기기(302)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제1 애플리케이션(401)에서 요구되는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제3 외부 기기(303) 및 제4 외부 기기(304)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 연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페어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607). 따라서, 추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되어 필요 기기 조건이 변경되어 연결해제된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도 페어링 상태가 유지되는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 중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외부 기기(300)가 모두 존재하는 지 연부를 판별할 수 있다(S604).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외부 기기(300)가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S608). 따라서, 불필요한 연결 해제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의 개수가 최대 연결 허용 개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605).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리소스 용량에 따라서 블루투스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기의 개수는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블루투스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최대 개수는 소정의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300)의 개수가 최대 연결 허용 개수에 도달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필요 기기 조건 정보의 변경으로 인하여 새롭게 블루투스 연결되어야 하는 외부 기기를 위한 블루투스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미리 필요하지 않은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해둘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의 개수가 최대 연결 허용 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변경에 따른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170)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S80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포어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변경된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2 실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02).
프로세서(170)는 제2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2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03).
프로세서(170)는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제2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804).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되는 경우, 필요하지 않은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변경 후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외부 기기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연결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 각각의 사용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901).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소정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인 게임 컨트롤러의 사용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에 대해 측정된 사용 시간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과 연관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S902).
프로세서(170)는 애플리케이션이 재실행되는 경우,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 각각의 사용 시간 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만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 각각의 사용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S904).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만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간 보다 적은 사용 시간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905).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재실행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키보드의 사용 시간이 10분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페어링만되어 있는 게임 컨트롤러의 사용시간이 2시간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키보드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17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연결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작 시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S1001). 사용 시작 시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300)가 연결이 시작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 각각에 대해 측정된 사용 시작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과 연관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S1002).
프로세서(17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연결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300) 각각의 사용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연결 해제 기준 기간 동안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은 외부 기기(3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도중 블루투스 키보드로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요구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행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다는 입력 요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 기기 조건 정보는 입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도중 블루투스 스피커로 소정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작이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실행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다는 출력 요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 기기 조건 정보는 사운드 출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실행 정보에 포함된 입력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입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필요한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다른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하여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출력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운드 출력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기와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다른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하여 블루투스 연결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1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 연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외부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개수가 최대 연결 허용 개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최대 연결 허용 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됨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2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2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제2 필요 기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 시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과 연관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재실행되는 경우,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간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만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만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간보다 적은 사용 시간을 갖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작 시간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 시작 시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과 연관하여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각각의 사용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연결 해제 기준 시간동안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은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정보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입력 요구 정보 및 상기 입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는지 판별하고,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입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정보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출력 요구 정보 및 상기 사운드 출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지 판별하고,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사운드 출력을 위한 기기 종류에 관한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어 그라운드 (foreground)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1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연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외부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의 개수가 최대 연결 허용 개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연결 허용 개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제1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2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제2 필요 기기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기기 리스트에서 상기 제2 필요 기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KR1020237029686A 2021-02-22 2021-06-22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KR20230147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3514 2021-02-22
KR1020210023514 2021-02-22
PCT/KR2021/007786 WO2022177073A1 (en) 2021-02-22 2021-06-22 Display device for managing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bluetooth-connected extern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641A true KR20230147641A (ko) 2023-10-23

Family

ID=8290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686A KR20230147641A (ko) 2021-02-22 2021-06-22 디스플레이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917714B2 (ko)
EP (1) EP4295579A1 (ko)
KR (1) KR20230147641A (ko)
WO (1) WO2022177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073A1 (en) * 2021-02-22 2022-08-2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managing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bluetooth-connected exter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1177B2 (en) * 2007-06-28 2012-05-01 Apple Inc. Enhancements to data-driven media management within an electronic device
US8346985B2 (en) * 2009-07-27 2013-01-01 Logitech Europe S.A. Receiver configured to pair to multiple wireless devices
US20120322376A1 (en) * 2011-06-14 2012-12-20 Mitel Networks Corporation Centralized Bluetooth device pairing
KR101554599B1 (ko) * 2011-06-30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919796B1 (ko) * 2013-01-1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7036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WO2019172671A1 (en) 2018-03-09 2019-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2915B1 (ko) * 2018-03-09 202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77073A1 (en) * 2021-02-22 2022-08-2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managing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bluetooth-connected exter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5579A1 (en) 2023-12-27
WO2022177073A1 (en) 2022-08-25
US20220272791A1 (en) 2022-08-25
US11917714B2 (en) 2024-02-27
US20240163967A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8374B (zh) 图像显示装置
CN113938735B (zh) 显示器装置
US20240163967A1 (en) Display device for managing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bluetooth-connected external device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89033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958578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902269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97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274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34557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58092B1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EP4178209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900280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3680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320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313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27003A (ko)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무선 셋톱박스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30166293A (ko) 단말기 및 시스템
KR102412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92816A1 (en) Display device
KR20220165566A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