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660A - 작업기의 상부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기의 상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660A
KR20090104660A KR1020090017809A KR20090017809A KR20090104660A KR 20090104660 A KR20090104660 A KR 20090104660A KR 1020090017809 A KR1020090017809 A KR 1020090017809A KR 20090017809 A KR20090017809 A KR 20090017809A KR 20090104660 A KR20090104660 A KR 20090104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oom
bonnet
engine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140B1 (ko
Inventor
유우지 후지따
신야 무까에
쥰이찌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9010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3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기계 본체(6) 상에 설치된 운전석(8)과, 엔진을 설치하기 위한 엔진 룸(ER)과, 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탱크 룸(TR)과, 보닛(28)과, 탱크 커버(30)와, 엔진 룸(ER)과 운전석(8)을 구획하는 제1 구획판(27)과, 탱크 룸(TR)과 운전석(8)을 구획하는 제2 구획판(26)과, 지지 프레임(Y)으로부터 탱크 룸(TR)측으로 돌출되는 아암부(38)를 갖고 엔진 룸(ER)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Y)을 구비하고, 엔진 룸(ER)과 탱크 룸(TR)이 평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엔진 룸(ER)이 제1 구획판(27)과 보닛(28)으로 덮이고, 탱크 룸(TR)이 제2 구획판(26)과 상기 탱크 커버체(30)로 덮이는 동시에, 아암부(38)가 탱크 룸(TR) 내에 배치된 탑재 기기를 지지하는 작업기의 상부 구조이다.
작업기의 상부 구조, 탱크 룸, 엔진 룸, 지지 프레임, 보닛

Description

작업기의 상부 구조{UPPER STRUCTURE OF WORK MACHINE}
본 발명은 건설 작업, 토목 작업 등에 사용되는 백호 등의 작업기의 상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주행 장치 상에 선회 기계 본체를 종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여, 선회 기계 본체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고, 우측에 작동유 탱크 및 연료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 및 탱크 등의 주위를 커버로 덮고, 엔진의 전방 상방이고 또한 탱크의 측방에 운전석을 배치하고 있고, 상기 엔진을 배치한 엔진 룸을 덮는 리어 커버와, 작동유 탱크를 배치한 탱크 룸을 덮는 커버를 갖고, 선회대의 후방부에 엔진을 가로질러 배치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커버류를 지지하는 동시에 운전석을 덮는 캐빈 또는 로프스(ROPS :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등의 보호 장치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JP 2003-64724A).
상기 지지 프레임은 엔진의 상방에 위치하는 척추부와, 이 척추부로부터 전후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전방 다리부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다리부를 갖고, 상기 리어 커버 및 보호 장치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지지 프레임은 선회대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리어 커버 및 보호 장치를 지지하고 있으나, 그들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재의 지지는 하고 있지 않고, 작동유 탱크는 하부가 선회대에 탑재 지지되어 있으나, 그 상부는 지지되어 있지 않아, 지지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작업기의 상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아암부를 연장 설치함으로써, 구획판 및 보닛뿐만 아니라, 탱크 룸 내의 탑재 기기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상호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작업기의 상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은 기계 본체 상에 설치된 운전석과, 엔진을 설치하기 위한 엔진 룸과, 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탱크 룸과, 보닛과, 탱크 커버와, 상기 엔진 룸과 상기 운전석을 구획하는 제1 구획판과, 상기 탱크 룸과 상기 운전석을 구획하는 제2 구획판과, 당해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탱크 룸측으로 돌출되는 아암부를 갖고 상기 엔진 룸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작업기의 상부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과 상기 탱크 룸이 평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엔진 룸이 상기 제1 구획판과 보닛으로 덮이고, 탱크 룸이 상기 제2 구획판과 상기 탱크 커버 체로 덮이는 동시에, 상기 아암부가 상기 탱크 룸 내에 배치된 탑재 기기를 지지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은 기계 본체 상에 설치된 운전석과, 엔진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기계 본체의 후방부에 설정된 엔진 룸과, 작동유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 기계 본체의 좌우 일측부에 설정된 탱크 룸과, 상기 엔진 룸의 전방측을 구획하는 제1 구획판과, 상기 엔진 룸의 후방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보닛과, 상기 탱크 룸의 운전석측을 덮는 가로 구획판과, 상기 탱크 룸의 외측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탱크 커버체와, 상기 탱크 룸과 상기 운전석을 구획하는 제2 구획판과, 상기 엔진 룸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작업기의 상부 구조이며, 상기 지지 프레임이 엔진의 상방에 위치하는 척추부와, 이 척추부로부터 전후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기계 본체에 고정되는 좌측 전방 다리부와, 우측 전방 다리부와, 후방 다리부와, 상기 척추부의 탱크 룸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아암부를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후 구획판과 상기 보닛과 상기 가로 구획판의 후방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는 상기 탱크 커버체와 상기 작동유 탱크를 지지하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를 기계 본체의 우측부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아암부를 상기 척추부의 우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설치하여, 이 아암부의 전후 중도부에 전방 다리부의 상부를 접속하면 좋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척추부의 좌측 단부에 보닛의 좌측 단부를 종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부재의 상부를 설치하고, 우측 후방 다리부에 폐쇄 시의 보닛의 우측 단부와 탱크 커버체의 후방측 모서리 사이를 막는 커버 받침 부재가 설치되면 좋다.
상기 작업기의 상부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ㆍ효과를 발휘한다.
척추부와, 좌우 한 쌍의 전방 다리부 및 후방 다리부(7)를 갖는 지지 프레임은 탱크 룸측으로 아암부를 연장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아암부에서 탱크(작동유 탱크, 탑재 기기)를 설치할 수 있고, 탱크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Y)에 전후 구획판, 가로 구획판 및 보닛을 각각 지지시킬 수 있고, 또한 그들 상호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척추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아암부의 전후 중도부에 전방 다리부의 상부를 접속함으로써 아암부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따라서 그것에 설치되는 탱크와 탱크 커버체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에 보닛도, 탱크 커버체도 설치함으로써, 그들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좌측 단부를 피봇 지지하는 보닛의 우측 단부와 탱크 커버체의 후방측 모서리 사이의 시일도, 양자간을 막는 커버 받침 부재를 설치하여 이것에 폐쇄 시의 보닛의 우측 단부와 탱크 커버체의 후방측 모서리를 접촉시킴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판 및 보닛뿐만 아니라, 탱크 룸 내의 탑재 기기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상호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아암부를 연장 설치함으로써, 구획 판 및 보닛뿐만 아니라, 탱크 룸 내의 탑재 기기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상호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작업기의 상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 도 11에 있어서, 부호 1은 작업기(선회 작업기)로서 예시하는 백호(backhoe)이다. 이 백호(1)는 상부의 선회체(상부 구조체)(2)와, 이 선회체(2)의 하부의 주행 장치(3)와, 이 주행 장치(3)의 전방부에 장착된 작업구로서의 도저 장치(5)와, 선회체(2)의 전방부에 장착된 작업 장치로서의 굴착 장치(7)를 구비한다.
주행 장치(3)는 좌우 양측에 크롤러 주행체(4)를 구비한다. 크롤러 주행체(4)는 전후 일측에 배치된 아이들러와, 타측에 배치된 구동륜과, 이들 아이들러와 구동륜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회전 바퀴(rolling wheel)에 걸겨진 크롤러 벨트를 구비한다. 좌우의 크롤러 주행체(4)의 구동륜은 각각 유압식 주행 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저 장치(5)는 주행 장치(3)의 전방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도저 실린더에 의해 상하 요동된다.
도 1 내지 도 11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2)는 주행 장치(3) 상에 종축심(X)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선회체(2)는 유압식 선회 모터에 의해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된 선회대(기계 본체)(6)를 갖는다. 이 선회체(2) 상의 전 후 방향 대략 중앙에 운전석(8)이 배치되고, 선회대(6)의 후방부에 엔진 룸(ER)이 형성된다. 엔진 룸(ER)에 엔진(E), 유압 펌프(P), 라디에이터(L), 오일 쿨러(M), 에어 클리너(N) 등이 탑재된다. 이 엔진 룸(ER)과 상기 운전석(8) 사이에 전후 구획판(27)이 설치된다.
선회대(6)의 좌우 일측(우측부)에 탱크 룸(TR)이 형성되고, 이 탱크 룸(TR)에 작동유 탱크(탱크)(T) 및 컨트롤 밸브(Q), 배터리 등의 기기가 탑재된다. 이 탱크 룸(TR)과 상기 운전석(8) 사이에 가로 구획판(26)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밸브(Q)는 작동유 탱크(T)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 룸(ER)과 탱크 룸(TR)은 운전석(8)의 주위에서 서로 연통되어 있어 평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8)의 좌우 측방에는 좌우 조종 장치(22, 23)가 배치되어 있다.
선회대(6)의 전방부에 굴착 장치(7)가 장착된다. 또한, 선회대(6)의 후방부에는 이 굴착 장치(7) 등과의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기 위해 엔진(E)에 추가하여 카운터 웨이트(W)가 장착되어 있다.
굴착 장치(7)는 지지 브래킷(12)과 요동 브래킷(13)을 구비한다. 지지 브래킷(12)이 선회대(6)의 전방부에 고착되고, 이 지지 브래킷(12)에 요동 브래킷(13)이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요동 브래킷(13)이 유압식 스윙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요동된다.
상기 굴착 장치(7)는 요동 브래킷(13)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14)과, 기초부측이 붐(14)의 선단부측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15) 과, 아암(15)의 선단부측에 퍼올리기ㆍ덤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16)을 구비한다. 각각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붐 실린더(17), 아암 실린더(18), 버킷 실린더(19)로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6) 상의 조종부(S)는 구획판, 즉 전후 구획판(27) 및 가로 구획판(26) 등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운전석(8)은 전후 구획판(27)의 전방측이고 또한 가로 구획판(26)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운전석(8)의 전방에는 좌우 크롤러 주행체(4)를 각각 따로따로 또는 동시에 조작하는 좌우 한 쌍의 주행 조작 레버(SL, SR)가 배치되고, 좌우의 발 밑에는 페달류가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종부(S)를 둘러싸는 캐빈(20)이 선회대(6) 상에 탑재되어 있다.
이 캐빈(20)은 후방 하부가 상기 전후 구획판(2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캐빈(20)의 우측벽은 존재하지만, 상기 가로 구획판(26)으로 겸용해도 좋다. 캐빈(20)의 승강구(20a)에는 개폐 도어(20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빈(20) 대신에, 2기둥식 로프스 또는 4기둥식 캐노피(차양이 부착된 운전석 보호 장치)가 장착되어도 좋다.
상기 선회대(6)는 바닥판이 되는 베이스(6A)의 상면에, 지지 브래킷(12)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 측벽(6B)과, 전후를 구획하는 중간벽(6C)을 세워 설치하고 있고, 이 중간벽(6C)의 후방측에 마운트구를 통해 엔진(E)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엔진(E), 유압 펌프(P), 에어 클리너(N) 등을 배치한 선회대(6)의 후방 부측의 엔진 룸(ER)은 전방측이 운전석(8)과의 사이에서 중간벽(6C)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는 전후 구획판(27)에 의해 구획되고, 후방측 및 좌측이 보닛(28) 및 좌측 커버체(29) 등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도 2, 도 5의 부호 U는 연료 탱크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탱크 룸(TR) 내에 배치해도 좋지만, 여기서는 운전석(8)의 좌측 하방의 스텝면보다 하방이고 베이스(6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연료 탱크(U)의 주입구부(Ua)는 상기 전후 구획판(27)을 관통하여 좌측 커버체(29)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선회대(6)의 우측의 작동유 탱크(T), 컨트롤 밸브(Q), 라디에이터(L) 등을 배치한 탱크 룸(TR)은, 좌측이 운전석(8)과의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는 가로 구획판(26)에 의해 구획되어, 상측, 전방측 및 우측이 탱크 커버체(30)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상기 엔진 룸(ER)과 탱크 룸(TR)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부가 연결되어 있어, 보닛(28)과 탱크 커버체(30)를 개방함으로써, 선회대(6)에 탑재한 기기는 대부분이 측방으로 노출되어 메인터넌스가 가능해진다.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상기 엔진 룸(ER) 내에는 엔진(E)을 가로질러 4기둥식 지지 프레임(Y)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Y)은 엔진(E)의 상방에 위치하는 척추부(33)와, 이 척추부(33)로부터 전후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선회대(6)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다리부(34, 35)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다리부(36, 37)와, 상기 척추부(33)의 탱크(T)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아암부(38)를 갖는다.
상기 척추부(33)는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전후 구획판(27)의 후방 상부가 덮여 있고, 캐빈(20)의 후방부(또는 2기둥식 로프스 또는 4기둥식 캐노피의 후방 지주)가 설치되는 설치부(33A)를 형성하고 있다.
이 척추부(33)의 좌측 단부에는 좌측 커버체(29)의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테이(33B)와, 보닛(28)을 피봇 지지하는 피봇 부재(40)의 상부를 설치하는 스테이(33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봇 부재(40)는 고정편(40A)과 요동편(40B)이 종축(40C)을 통해 종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40A)의 상부가 척추부(33)의 스테이(33C)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카운터 웨이트(W)[또는 베이스(6A)]에 스테이(Wa)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요동편(40B)은 자유단부측에 보닛(28)의 좌측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요동편(40B)은 보닛(28)을 좌측 커버체(29)의 외측까지 개방하도록 평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하 방향 중도부에는 개구(40Ba)가 형성되어 있고, 척추부(33)의 좌측 단부 또는 좌측의 전방 다리부(34)에 지지된 에어 클리너(N)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즉 보닛(28)을 폐쇄했을 때에, 에어 클리너(N)와 오버랩하는 위치까지 요동편(40B)을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Y)에 있어서의 좌측의 전방 다리부(34) 및 후방 다리부(36)와 우측의 후방 다리부(37)는 각각 띠판을 굴곡하여 형성되고, 아암부(38)는 직선 형상의 띠판(band plate)으로 형성되고, 우측의 전방 다리부(35)는 각진 막대(또는 띠판)로 형성되어 있어, 각각이 개별적으로 척추부(33)에 용착되어 있다. 각 부재를 개별적으로 척추부(33)에 용착함으로써, 용접 변형이 다른 부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지지 프레임(Y)의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전방 다리부(34)는 상부가 척추부(33)의 좌측 단부에 고착되고, 하부가 중간벽(6C)에 고착된 좌측 전방 스테이(6a)에 고정되어 있다. 이 좌측 전방 다리부(34)에는 구멍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 커버(31)는 상기 연료 탱크(U)의 주입구부(Ua)가 관통하기 위해 상기 전후 구획판(27)에 형성한 구멍을 막아, 엔진 룸(ER)으로부터 운전석(8)측으로 열풍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 구획판(27)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후방 다리부(36)는 상부가 척추부(33)의 좌우 방향 중도부에 고착되고, 하부가 베이스(6A)로부터 세워 설치한 좌측 후방 스테이(6b)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의 전방 다리부(35)는 상부가 아암부(38)의 전후 방향 중도부에 고착되고, 하부가 중간벽(6C)에 고착된 우측 전방 스테이(6c)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의 후방 다리부(37)는 상부가 척추부(33)의 우측 단부에 고착되고, 하부가 베이스(6A)로부터 세워 설치한 우측 후방 스테이(6d)에 고정되어 있다.
아암부(38)는 후단부가 척추부(33)의 우측 단부에 고착되고, 전단부가 우측 전방 다리부(35)를 넘어 작동유 탱크(T)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고, 자유단부로 되어 있다. 이 아암부(38)의 자유단부측에는 설치부(38a)가 설치되고, 이 설치부(38a)에 L자 형상의 탱크 브래킷(42)을 통해 작동유 탱크(T)의 상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유 탱크(T)는 하부가 선회대(6)의 베이스(6A)에 고정된 탱크대(43)에 적재 고정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T)는 하부가 탱크대(43)에, 상부가 탱크 브 래킷(42)을 통해 지지 프레임(Y)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설치 강도가 높아, 선회대(6)에 충격이 가해져도 요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탱크대(43)에 대한 설치 볼트의 개수를 줄이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아암부(38)의 상면에는 가로 구획판(26)의 플랜지(26a)에 가려진 부위에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는 힌지(44)가 설치되고, 이 힌지(44)에 상기 탱크 커버체(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탱크 커버체(30)는 일체물이라도 좋지만, 상부 부재(30A)와 측부 부재(30B)의 2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부재(30A)는 수지로 형성되어 힌지(44)에 고정되어 있고, 측부 부재(30B)는 판금으로 형성되어, 상부 부재(30A)에 전후부 및 중도부 복수의 연결구(45A, 45B)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가로 구획판(26)은 하부가 선회대(6)에 스테이를 통해 연결되고, 후방 상부가 지지 프레임(Y)의 우측부, 즉 척추부(33)의 우측 단부, 아암부(38) 등에 스테이(46)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우측 후방 다리부(37)의 배면측에는 스테이(47)를 통해, 가로 구획판(26)의 후방 연장 상에 커버 받침 부재(41)를 설치하고 있다. 이 커버 받침 부재(41)는 판금으로 단면 계단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보닛(28)을 폐쇄했을 때에 그 자유단부(우측 단부)측이 접촉하는 받침 배면(41A)과, 탱크 커버체(30)를 폐쇄했을 때에 그 피봇측의 후방측 모서리가 접촉하는 받침 측면(41B)이 형성되어 있고, 보닛(28)과 탱크 커버체(30)의 이음매를 밀폐하여, 엔진 룸(ER)으로부터 외측으로 열풍 및 소음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척추부(33) 및 아암부(38)의 하측에서 우측의 전후 다리부(35, 37) 사이에는 폐쇄판(48)이 고정되고, 이 폐쇄판(48)에 전후 한 쌍의 고정구(49)가 고정되고, 이 전후 고정구(49)를 통해 라디에이터(L) 및 오일 쿨러(M)의 상부가 고정되어 있다.
라디에이터(L)는 하부가 선회대(6)에 고정되어 있고, 엔진(E)측에 팬 슈라우드를 갖고, 이 팬 슈라우드와 상기 척추부(33), 아암부(38), 우측의 전후 다리부(35, 37) 등의 사이가, 상기 폐쇄판(48)을 비롯한 그 밖의 폐쇄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라디에이터(L)로부터 엔진(E)측으로 흐르는 공기가, 엔진(E)측으로부터 열풍이 되어 라디에이터(L)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구획하고 있다. 상기 커버 받침 부재(41)도 이 구획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Y)에는 가로 구획판(26), 전후 구획판(27), 보닛(28), 좌측 커버체(29), 탱크 커버체(30), 구멍 커버(31) 및 커버 받침 부재(41), 폐쇄판(48), 캐빈(20)(또는 로프스 혹은 캐노피) 등의 외장 부품, 에어 클리너(N), 작동유 탱크(T), 또한 라디에이터(L) 및 오일 쿨러(M) 등의 탑재 기기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특히 지지 프레임(Y)이 탱크 룸(TR)측으로 돌출된 아암부(38)를 가짐으로써, 작동유 탱크(T) 및 탱크 커버체(30)의 지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들 부재의 지지를 지지 프레임(Y)에 집중시킴으로써, 선회대(6)에 대한, 또한 상호간에 설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간극, 겹침량 등의 치수 관리도 하기 쉬워, 조립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형상 및 각각의 전후 ㆍ좌우ㆍ상하의 위치 관계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재,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조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백호(1)는 작동유 탱크(T) 등의 탱크 룸을 선회대(6)의 우측에 배치하고 있으나, 탱크 룸을 선회대(6)의 좌측에 배치하여, 작동유 탱크(T)와 운전석(8)의 배치, 좌우 조종 장치(22, 23)의 배치 등을 좌우 반대로 해도 좋다.
지지 프레임(Y)은 좌측 후방 다리부(36)와 좌측 전방 다리부(34)를 1개의 띠판으로 굴곡 형성하여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거나, 우측 후방 다리부(37)와 아암부(38)를 1개의 띠판으로 굴곡 형성하거나, 4기둥 구조로부터 좌측 후방 다리부(36)를 생략하여 3기둥 구조로 해도 좋다.
좌측 후방 다리부(36)를 척추부(33)의 좌측 단부에 연결하고, 보닛(28)을 피봇 지지하는 피봇 부재(40)를 척추부(33)와 좌측 후방 다리부(36)에 고정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 설명도.
도 2는 선회대의 상부 구조의 평면도.
도 3은 상부 구조의 우측면도.
도 4는 상부 구조의 배면도.
도 5는 상부 구조의 좌측면도.
도 6은 상부 구조의 우측 후방부의 확대 평면도.
도 7은 상부 구조의 우측 후방부의 확대 단면 배면도.
도 8은 상부 구조의 좌측 후방부의 확대 평면도.
도 9는 캐빈을 구비한 상부 구조의 사시도.
도 10은 백호의 전체 평면도.
도 11은 백호의 전체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호(작업기)
2 : 선회체(상부 구조체)
6 : 선회대(기계 본체)
7 : 굴착 장치
8 : 운전석
26 : 가로 구획판
27 : 전후 구획판
28 : 보닛
30 : 탱크 커버체
33 : 척추부
34 : 좌측 전방 다리부
35 : 우측 전방 다리부
36 : 좌측 후방 다리부
37 : 우측 후방 다리부
38 : 아암부
E : 엔진
ER : 엔진 룸
T : 작동유 탱크
TR : 탱크 룸
Y : 지지 프레임

Claims (5)

  1. 기계 본체(6) 상에 설치된 운전석(8)과,
    엔진을 설치하기 위한 엔진 룸(ER)과,
    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탱크 룸(TR)과,
    보닛(28)과,
    탱크 커버(30)와,
    상기 엔진 룸(ER)과 상기 운전석(8)을 구획하는 제1 구획판(27)과,
    상기 탱크 룸(TR)과 상기 운전석(8)을 구획하는 제2 구획판(26)과,
    당해 지지 프레임(Y)으로부터 탱크 룸(TR)측으로 돌출되는 아암부(38)를 갖고 상기 엔진 룸(ER)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Y)을 구비한 작업기의 상부 구조이며,
    상기 엔진 룸(ER)과 상기 탱크 룸(TR)이 평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엔진 룸(ER)이 상기 제1 구획판(27)과 보닛(28)으로 덮이고, 탱크 룸(TR)이 상기 제2 구획판(26)과 상기 탱크 커버체(30)로 덮이는 동시에, 상기 아암부(38)가 상기 탱크 룸(TR) 내에 배치된 탑재 기기를 지지하는, 작업기의 상부 구조.
  2. 기계 본체(6) 상에 설치된 운전석(8)과,
    엔진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기계 본체의 후방부에 설정된 엔진 룸(ER)과,
    작동유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 기계 본체의 좌우 일측부에 설정된 탱크 룸(TR)과,
    상기 엔진 룸(ER)의 전방측을 구획하는 제1 구획판(27)과,
    상기 엔진 룸(ER)의 후방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보닛(28)과,
    상기 탱크 룸(TR)의 외측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탱크 커버체(30)와,
    상기 탱크 룸(TR)과 상기 운전석(8)을 구획하는 제2 구획판(26)과,
    상기 엔진 룸(ER)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Y)을 구비한 작업기의 상부 구조이며,
    상기 지지 프레임(Y)이 엔진(E)의 상방에 위치하는 척추부(33)와, 이 척추부(33)로부터 전후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기계 본체(6)에 고정되는 좌측 전방 다리부와, 우측 전방 다리부(35)와, 후방 다리부(37)와, 상기 척추부(33)의 탱크 룸(TR)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아암부(38)를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Y)은 상기 제1 구획판(27)과 상기 보닛(28)과 상기 제2 구획판(26)의 후방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38)는 상기 탱크 커버체(30)와 상기 작동유 탱크(T)를 지지하는, 작업기의 상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T)를 기계 본체(6)의 우측부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Y)의 아암부(38)를 상기 척추부(33)의 우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설치하고, 이 아암부(38)의 전후 중도부에 전방 다리부(35)의 상부를 접속하는, 작업기의 상부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부(33)의 좌측 단부에 보닛(28)의 좌측 단부를 종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부재(40)의 상부를 설치하고, 우측 후방 다리부(37)에 폐쇄 시의 보닛(28)의 우측 단부와 탱크 커버체(30)의 후방측 모서리 사이를 막는 커버 받침 부재(41)가 설치되는, 작업기의 상부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부(33)의 좌측 단부에 보닛(28)의 좌측 단부를 종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부재(40)의 상부를 설치하고, 우측 후방 다리부(37)에 폐쇄 시의 보닛(28)의 우측 단부와 탱크 커버체(30)의 후방측 모서리 사이를 막는 커버 받침 부재(41)가 설치되는, 작업기의 상부 구조.
KR1020090017809A 2008-03-31 2009-03-03 작업기의 상부 구조 KR101098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90094A JP4686565B2 (ja) 2008-03-31 2008-03-31 作業機の上部構造
JPJP-P-2008-090094 200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60A true KR20090104660A (ko) 2009-10-06
KR101098140B1 KR101098140B1 (ko) 2011-12-26

Family

ID=4066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09A KR101098140B1 (ko) 2008-03-31 2009-03-03 작업기의 상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3019B2 (ko)
EP (1) EP2107168B1 (ko)
JP (1) JP4686565B2 (ko)
KR (1) KR101098140B1 (ko)
CN (1) CN1015507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2149B1 (en) * 2008-08-26 2012-09-11 William Russ Fan and canopy assembly for riding vehicle
JP5061085B2 (ja) * 2008-11-17 2012-10-3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シール構造
JP5599758B2 (ja) * 2011-05-19 2014-10-01 日立建機株式会社 開口閉塞カバーおよび該開口閉塞カバーを備えた建設機械
JP5501534B1 (ja) * 2013-02-15 2014-05-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DE102013004347A1 (de) * 2013-03-14 2014-09-18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mit einem Fahrerschutzdach
JP5819891B2 (ja) * 2013-08-21 2015-11-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040187B2 (ja) * 2014-02-24 2016-12-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938432B2 (ja) * 2017-07-18 2021-09-2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US11007842B2 (en) * 2018-02-02 2021-05-18 William Russ Fan and canopy assembly for riding vehicle
EP3992372A4 (en) * 2019-06-26 2023-11-15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719B2 (ja) * 1995-05-16 2004-10-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3155463B2 (ja) * 1996-05-28 2001-04-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支持フレーム構造
EP1162318A1 (en) * 2000-06-06 2001-12-12 Deere & Company Utility box for a work vehicle
JP2003064724A (ja) * 2001-08-28 2003-03-05 Kubota Corp 旋回作業機
EP1489234B1 (en) * 2002-03-26 2012-02-29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mall swing type shovel
JP4211919B2 (ja) *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5014642A (ja) * 2003-06-23 2005-01-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3956907B2 (ja) * 2003-06-24 2007-08-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小型ショベル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133899B2 (ja) * 2004-03-29 2008-08-13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515232B2 (ja) * 2004-11-22 2010-07-2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134013B2 (ja) 2004-12-03 2008-08-13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後上部支持フレーム構造
JP4619169B2 (ja) 2005-03-28 2011-01-26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619170B2 (ja) 2005-03-28 2011-01-26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619168B2 (ja) * 2005-03-28 2011-01-26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2007138406A (ja) * 2005-11-15 2007-06-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開閉式カバーの断熱構造
CN2911021Y (zh) * 2005-12-09 2007-06-13 柳州市华力实业有限责任公司 建筑机械驾驶室外壳框架
CN2892983Y (zh) * 2005-12-09 2007-04-25 柳州市华力实业有限责任公司 驾驶室翻转装置及带该装置的挖掘机翻转式驾驶室
CN101542045B (zh) * 2006-11-28 2011-12-07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5061085B2 (ja) * 2008-11-17 2012-10-31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シ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140B1 (ko) 2011-12-26
EP2107168A2 (en) 2009-10-07
US8083019B2 (en) 2011-12-27
CN101550711A (zh) 2009-10-07
EP2107168B1 (en) 2016-10-19
US20090242311A1 (en) 2009-10-01
JP4686565B2 (ja) 2011-05-25
JP2009243119A (ja) 2009-10-22
EP2107168A3 (en) 2013-10-02
CN101550711B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140B1 (ko) 작업기의 상부 구조
US7320380B2 (en) Swiveling utility machine having swivel deck
US20050210717A1 (en) Swiveling work machine
US7744148B2 (en) Rotatable cab with toe guard
KR102178694B1 (ko) 시트 스탠드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기계
US20140017053A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131506B1 (ko) 선회 작업차
JP4134013B2 (ja) 旋回作業機の後上部支持フレーム構造
JP2005048380A (ja) 建設機械
JP4133899B2 (ja) 旋回作業機
JP4226507B2 (ja) 旋回作業機のカバー装置
JP3393987B2 (ja) 旋回作業機
JP3471600B2 (ja) 旋回作業機
JP2000204592A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取付構造
JP3461440B2 (ja) 旋回作業機
JP4266868B2 (ja) 旋回作業機の旋回台構造
JP2005282111A (ja) 旋回作業機の作業操作部構造
KR100383146B1 (ko) 작업차
JP2005282110A (ja) 旋回作業機
JP3403630B2 (ja) 旋回作業機
JP2000096612A (ja) 旋回作業機並びにこれに用いるキャビン
JP2000096613A (ja) 旋回作業機の旋回フレーム
JP3648418B2 (ja) バックホー
JP2000291063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3056007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