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992A -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 - Google Patents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992A
KR20090103992A KR1020097005732A KR20097005732A KR20090103992A KR 20090103992 A KR20090103992 A KR 20090103992A KR 1020097005732 A KR1020097005732 A KR 1020097005732A KR 20097005732 A KR20097005732 A KR 20097005732A KR 20090103992 A KR20090103992 A KR 2009010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butyric acid
gamma aminobutyric
gamma
acid
es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르쥬 코헨 마르셀
Original Assignee
조르쥬 코헨 마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르쥬 코헨 마르셀 filed Critical 조르쥬 코헨 마르셀
Publication of KR2009010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 및 파네라(phanera) 케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감마-아미노부티르산, 또는 그의 무기 산 또는 유기 산과의 염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에스테르의 화장품 조성물 형태에서 0.4 내지 10% 단독 또는 폴리페놀 또는 탄닌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 및/또는 알파-히드록시화된 산과 수성 또는 오일성 담체와 조합된 형태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하루에 1 내지 4회 적용하여 피부 또는 표피에 대한 탈색제로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탈색제, 화장품, 감마-아미노부티르산, 무기산, 유기산, 유도체, 폴리페놀

Description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Use of gamma-amino butyric acid as a depigmenting agent}
본 발명은 삶의 필수적인 것, 더욱 자세하게는 바디 케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객체로서, 본 발명은 피부의 미백, 즉 미적 결함의 치료를 확실히 하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객체로서, 본 발명은 불규칙한 또는 과도한 착색에 기인한 심적 결함의 경우에서 피부의 미백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또는 어두운 표현형이 더욱 투명한 표현형으로 되도록 정상 피부의 미백을 확실히 하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미 또는 주근깨의 영향을 감소시켜 투명 피부를 갖도록 객체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의 객체로서 피부 또는 표피에 적용하기 위한 탈색 조성물의 달성의 측면에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BA), 그의 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용도를 갖는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은 피부학에서 조직의 수선제(repairing agent)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국제 특허 출원 PCT/FR96/01051호에서 출원인은 감마 아미노부 티르산 및 식물의 추출물의 용도를 개시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미백제로서 아주 제한되며 또 이 부분의 실제에서 어떠한 정확한 내용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면으로 이것은 어떠한 청구항의 객체가 아니다.
종래 기술은 경피성 통과를 확실히 하기 위한 표면 활성제(tension-active)와 조합되는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을 인용하는 다수의 참고문헌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카네보(Kanebo)에게 허여된 일본 특허 JP 09/659141호는 판테테인-S-설폰산 (또는 그의 염의 하나), 디스이소프로필아민 디클로르아세테이트 및 γ-아미노부티르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하나 및 16 정도의 HLB 계수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로 구성된 결합체임을 나타낸다. 상기 혼합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높고(1:10) 또 활성 성분 A의 경피적 흡수를 향상시켜 피부의 각질층에서 통과비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멜라닌류의 색소의 생성에 대한 억제제의 작용이 활성성분의 경피 흡수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게 한다. 실제로 γ-아미노부티르산, 그의 염의 하나 또는 그의 에스테르의 하나는 그 자체가 활성이면서 간단한 적용 후 세포에서 멜라닌의 세포내(intra cellular) 함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은 상이한 메카니즘을 통하여 작용하고 상이한 효과를 내는 분명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종래 기술은 또한 카네보에게 허여된 일본 특허 출원 10/194960호를 개시한다. 영어로된 요약에 따르면, 이 일본출원은 광 보호 특성을 개선시키는 피부용 화 장품 조성물(피부가 어두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어두운 피부를 신속하게 밝게 만들기 위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다음과 같은 뚜렷한 조성: γ-아미노부티르산과 같은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는 1종 이상의 물질 0.001 내지 5 중량% [...] 및 바람직하게는 벼 또는 벼 표피로부터 유도된 추출물을 액티나아제, 펩신 또는 트립신과 같은 효소로 처리한 후 추출물을 정제수와 같은 중성용매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에 의해 얻은 효소 성질의 분해제로부터 기인한 바람직하게는 1개 물질을 갖는 제제이다.
효소로 처리되고 또 물로 추출된 벼 추출물의 성질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활성 성분은 세포 활성제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는 물질 및 벼로부터 기인한 효소 분해제(효소 분해자)의 혼합물로 제시될 수 있다. 이것은 혈액순환 작용을 하고 또 조절하는 아주 뚜렷한 조성의 제제인 것으로 보인다.
종래 문헌은 또한 참고자료로서 Goudzenko Janna Prokovievna (USP 5,817,621호)를 인용한다. 이 참고문헌은 칼럼 3에서 gaba-작용성(gaba-ergic) 물질의 사용, 즉 L.DOPA 및 GABA의 동시 사용을 개시하고 있음이 확실하다. 그러나, 상세한 내용이 기재된 조성물은 γ-아미노부티르산과 같은 gaba-작용성 물질의 사용에 대해서는 전혀 관련되지 않지만, 비타민 A, 살리실산, D-캄포르, gaba-작용성 물질, 도파민성 물질, 콜린 분해성 물질(아트로핀), 판크레아틴, 아스코르브산, 칼슘염 형태의 판토텐산 및 비타민 B12의 복합 혼합물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러한 제제는 영양 특성, 즉 gaba-작용성 뉴런 상에 작용하면서 피부의 생리학적 기능을 회복시킨다. 이 특허는 (칼럼 3, 53행에서) 피부 착색은 정상으로 되며, 피부는 장미빛으로 되어 살색으로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탈색 또는 색소재침착(re-pigmentation)의 문제가 아니다.
참고문헌 YU (USP 6,767,924 B2)는 수성 또는 오일성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 한(칼럼 3, 37-39행 및 청구항 4) 종래기술의 참고문헌을 구성한다. 이것은 본 발명과는 아주 관련이 없는데 이는 인용된 페이지 3의 절구가 반점, 사마귀, 기미, 상처입은 피부 및 고도로 착색된 피부와 같은 피부의 다양한 병리학적 상태에서 이러한 조성물의 사용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YU에게 허여된 인용 특허에 개시된 조성물이 소정 유형의 착색 장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상처 (상처입은 피부)에 적합하거나 피부의 고도착색 치료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YU에 기재된 조성물은 양쪽성이온 또는 슈도-양쪽성이온(pseudo-amphoteric) 성질을 갖는 계면활성제 및 폴리히드록시화된 알파 히드록시산의 혼합물로 제조된 것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히드록시 산의 용액은 산성이 강하므로 양쪽성이온제는 상기 강한 산성의 중화를 중개해서 피부와 어울리게 한다.
이것은 상기 참고문헌에 개시된 γ-아미노부티르산은 중화력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므로 활성성분으로 간주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상기 산은 히드로퀴논 유도체(아르부틴) 또는 코직산과 같은 세포독성이 덜한 통상의 물질과 비교하여 탈색제로서 아주 유용성을 가짐이 밝혀졌다.
이러한 조성물에 사용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뿐만 아니라 그의 염 및 유도체는 분리된 세포, 즉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의 배양물에서 연구되었다. 사용된 실험 모델에서, 이것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대하여 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또 배양된 세포의 멜라닌에서 세포내 함량의 분명한 감소를 유도한다. 얻어진 결과는 상기 유형의 변수에 대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특정 효과를 선호하는 투여의 함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그자체 또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 형태 또는 저급 알킬 또는 폴리올 에스테르 형태를 함유한다.
사용될 수 있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염 중에서, 히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타레이트, 벤조에이트, 피돌레이트, 글루코오스-포스페이트, 메탄 설포네이트, 또는 p-톨루엔 설포네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에스테르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 부틸렌 글리콜의 에스테르, 또는 만니톨, 소르비톨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의 또는 당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이들 에스테르는 수용성이거나 또는 오일과 같은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이들이 활성성분으로 혼입되는 화장품 조성물의 성질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흰오디와 같이 폴리페놀 또는 탄닌 또는 α-히드록시산(락트산과 같은)이 풍부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레몬 또는 그레이프프루트와 같은 과일의 추출물과 같은 다른 활성성분을 또함 함유할 수 있다.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을 기본으로 한 조성물은 증점제, 겔화제, 유화제, 향미제, 안정화제, 방부제 및 감촉 또는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유화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또는 수크로오스 에스테르와 같은 당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β-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ACDISOL® 과 같은 교차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겔화제로서는 예컨대 상품명 CARBOPOL® (GOODRICH)로 시판되는 카르보머와 같이 아크릴산의 중합체 또는 아크릴아미드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0.4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도 1은 활성성분 대 단층으로 배양된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의 세포독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락트산 대 단층으로 배양된 정상인간 멜라닌 세포의 세포독성을 도시한다.
도 3은 GABA 대 단층으로 배양된 정상인간 멜라닌세포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다.
도 4는 단층화된 배양의 인간 멜라닌세포으 패턴으로 시험 복합물의 존재하에서 멜라닌의 합성을 도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제한없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I:
히드로클로라이드인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을 기본으로 하는 크림: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히드로클로라이드 7.5 g
흰오디(white mulberry) 추출물 0.5 g
레몬 추출물 BG 2.0 g
사이어 라네트(Cire Lanette) ® 3.75 g
유화제 0.5 g
100g을 이루기에 충분한 물
실시예 II: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을 기본으로 한 겔: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2g
프로필렌글리콜 5g
스위트 아몬드 오일 0.1 g
실리콘 오일 0.1 g
게르마벤 II 0.02 g
카르보폴(Carbopol)® 936 0.4 g
트리에탄올아민 0.1 g
충분량의 꽃 향수
정제수 80 g
실시예 III: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을 기본으로 한 조성물의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락트산(화합물 E)과 같은 공지된 α-히드록시산의 세포독성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세포독성, 흰오디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레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측정은 어린 환자(4세)로부터 얻은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세포는 콘플루언트(confluent) 단층을 획득하기까지 배양하였다.
세포의 배양:
점점 증가하는 농도의 화합물 E 또는 각 시험 화합물의 부재하(대조용) 또는 존재하에서 72 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화합물 E의 경우 다음 농도 0.003; 0.03; 0.075; 0.15; 0.5; 0.75; 1.5 및 3% (v/v)가 시험되었고 또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의 경우 다음 농도 0.01; 0.1; 0.25; 0.5; 1; 2.5; 5; 10 % (v/v)가 시험되었다.
시험된 화합물은 100% (V/V)를 이루기에 충분한 양의 초순수에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을 직접 희석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코직산 10% 용액 및 락트산(조성물 E) 30% 용액을 제조하였다.
시험된 제제는 멜라닌 세포에 대한 배양 매체에 직접 희석시켰다.
효과의 평가:
배양 기간의 말기에, 세포의 생존력은 세포내 포스파타아제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Yan T et al (Anal. Biochem. 24 (1996) 103-108)의 방법에 따르면, 배양의 벽에 존재하는 생존성 세포의 세포내 포스파타아제에 의해 p-니트로페놀의 포스페이트의 전환으로부터 기인한 p-니트로페놀을 투여한다.
결과:
72시간 배양한 후 락트산(조성물 E)은 배양의 벽에 존재하는 생존성 멜라닌세포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0.03% 투여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배양의 벽에 존재하는 생존성 세포의 80% 미만). 락트산은 분명히 세포독성이다.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은 0.5% 투여만으로 동일 조건하에서 검출가능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그 결과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을 10%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탈색 조성물은 더 높은 실험 투여량에서만 세포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도 1, 2 및 3 그리고 표 I).
표 I
락트산(E)의 세포독성 및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을 기본으로 한 조성물의 세포 독성에 대한 연구.
활성성분 (E)
Figure 112009016880163-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Figure 112009016880163-PCT00002
흰오디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기본으로한 조성물은 세포독성에 대하여 중간정도의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IV: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 성분의 "멜라닌세포조절(melanomodulating)" 효과
"멜라닌세포조절"효과의 연구는 2단계로 실시하였다:
- 세포독성 시험에서 소정 농도로 별도로 실시된 활성 성분의 멜라닌세포조절 효과.
- 복합물(complex), 즉 다른 성분, 흰오디, 레몬 및 락트산과의 혼합물 중의 GABA의 멜라닌세포조절 효과.
단계 1
이들 시험은 단층 배양액으로 배양된 정상 인간 멜라닌 세포 모델로 실시하였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레몬 추출물 및 흰오디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또 배양 배지에서 직접 희석시켰다.
시험 생성물을 사용한 세포의 배양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를 참고 물질 (코직산 250 μM) 또는 증가하는 농도의 시험 활성 성분의 부재하(대조군) 또는 존재하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조성물 A) 0.001; 0.01; 0.1%
흰오디 추출물 (조성물 C) 0.01; 0.1; 0.5%
레몬 추출물 (조성물 D) 0.01; 0.1; 1%.
이 방법에서 멜라닌/단백질 비율은 대조군의 %로서 측정하였다. 용매 단독 및 용매(DMSO) 중의 코직산 250 μM 용액을 사용하여 얻은 값을 또한 측정하였다.
표 II는 활성성분 A(감마 아미노부티르산), C, D 및 락트산(조성물 E) 별개로 얻은 결과를 제공한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은 0.1%의 농도에 기인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제공한다. 화합물 C 및 D는 중간정도의 "멜라닌세포 조절" 효과를 갖는다.
단계 2
활성성분 A(감마 아미노부티르산), C, D 및 락트산(조성물 E)을 함유하는 복합물의 효과는 단층 배양으로 배양된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 모델로 멜라민 합성에 대해 대조 요소로서 평가하였다.
II
부형제( DMSO ) 및 표준 생성물
Figure 112009016880163-PCT00003
시험한 활성 성분
Figure 112009016880163-PCT00004
시험한 생성물:
감마 아미노부티르산(A), 활성성분 C 및 D 그리고 락트산(화합물 E)을 다음 농도로 초순수에 직접 희석시킴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흰오디 추출물 10%
레몬 추출물 1%
락트산 1.5%
초순수
시험한 조성물은 0.1, 0.5 및 1% (v/v)의 농도로 멜라닌세포에 대한 배양 배 지에 직접 희석시켰다.
시험 계:
4살된 어린 환자로부터 얻은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를 사용하였다. 이들을 콘플루언스 80%으로까지 단층 배양으로 배양하였다.
참조 생성물:
참조용으로 티로시나아제 억제제인 코직산 250 μM를 사용하였다.
세포의 배양:
멜라닌세포를 습윤 분위기하 및 5% CO2 하 37℃에서 코직산 또는 증가하는 농도의 시험 활성 성분 (0.1, 0.5, 1%)의 부재하 (대조군) 또는 존재하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항멜라닌 효과의 평가:
1- 멜라닌의 투여:
배양 기간의 말기에, 세포 용균 후에 멜라닌의 세포내 함량은 405 nm에서 분광광도적 수단으로 측정하였다.
2- 단백질의 투여:
배양 기간의 말기에 세포 용균물에 함유된 단백질은 브라포드 엠.(Anal. Biochem. 72 (1976) 248-254)의 방법에 따른 코마씨 블루를 기본으로 한 분광비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결과:
결과는 세포내 멜라닌(㎍)/세포층의 총 단백질량(mg) 값으로부터 멜라닌 대 대조군(평균 +/- 표준 편차 SD)의 %로서 나타내었다.
"대조군" 및 "시험 생성물"의 조건 사이의 관찰된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Holm-Sidak 시험법(* = p < 0.05)에 의해 1개 요소(ANOVA) 만을 사용하여 분산 분석에 따라 측정하였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을 기본으로 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배양 세포에서 멜라닌의 세포내 함량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낸다.
0.1%의 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얻은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0.5% 농도(-19.7%) 및 1% 농도(-25.4%)를 이용하여 얻은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p < 0.05). 이들 결과를 도 3 및 표 III에 나타낸다.
참조 멜라닌생성 억제제로서 대조 물질로 사용된 코직산(250 μM)은 배양 세포에서 멜라닌의 세포내 함량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낸다(15.5%의 감소) (p < 0.05).
표 III에 나타낸 상기 결과는 조사 방법의 타당성의 증거를 나타낸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을 기본으로 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연구된 변수에 대한 상기 복합물의 특정 효과를 선호하는 투여량 의존적이다.
결과:
도 4 및 표 III에 나타낸 결과는 개시된 실험 조건에서 시험 복합물(complex)이 배양 세포에서 멜라닌의 세포내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상기 특 징을 나타낸다:
0.1% (v/v)에서 복합물 → -14.1% (ns)
0.5% (v/v)에서 복합물 → -19.7% (p < 0.05)
1% (v/v)에서 복합물 → -25.4% (p < 0.05)
III
시험한 복합물
Figure 112009016880163-PCT00005
참조 생성물: 250 μM에서의 코직산
Figure 112009016880163-PCT00006
* 대조군 "배지 단독"의 평균과는 현저하게 상이한 평균 (p < 0.05).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및 그의 무기 또는 유기 산과의 염 및 그의 유도체는 밀크, 로션, o/w 에멀젼, 또는 w/o 에멀젼, 크림, 겔 및 토왈렛 수로부터 선택되는 수성 또는 오일성 화장품 조성물 형태로 이용된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중의 농도는 전체 조성물의 0.4 내지 10 중량% 범위로 광범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농도는 0.5 내지 5 중량% 범위이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이 염 또는 유도체 형태로 사용되면, 사용된 양은 염 또는 유도체 중의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함량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폴리페놀의 에스테르의 경우,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에 대한 농도를 산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서 0.4 내지 10 중량% 범위의 활성 성분의 함량을 달성하였다.

Claims (12)

  1.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그의 염 또는 그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또는 폴리올 에스테르의 탈색제 또는 멜라닌세포 조절제로서 용도.
  2. 제 1항에 있어서, 유리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이 탈색제 또는 멜라닌세포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용도.
  3. 제 1항에 있어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염이 탈색제 또는 멜라닌세포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용도.
  4. 제 1항에 있어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염이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산과의 염인 용도.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염이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히드로클로라이드인 용도.
  6. 제 1항에 있어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가 탈색제 또는 멜라닌 세포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용도.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물에 용해성이거나 또는 유기 용매 용해성인저급 알킬 에스테르로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가 사용되는 용도.
  8. 제 1항에 있어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은 탈색제 또는 멜라닌 세포 조절제로서 폴리페놀 또는 탄닌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에 부가되는 용도.
  9. 국소 화장품 조성물에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그의 염 또는 그의 저급 알킬 또는 폴리올 에스테르의 용도.
  10. 제 9항에 있어서, 밀크, 로션, o/w 에멀젼, w/o 에멀젼, 크림, 겔 및 토왈렛 수로부터 선택되는 수성 또는 오일성 조성물에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용도.
  11. 제 1항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에서 0.4 내지 10% 범위의 농도의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그의 염 또는 그의 에스테르의 용도.
  12. 제 11항에 있어서, 0.5 내지 5% 범위의 농도에서 탈색제로서 감마 아미노부티르산의 용도.
KR1020097005732A 2006-11-30 2007-11-29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 KR200901039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10470 2006-11-30
FR0610470A FR2909280B1 (fr) 2006-11-30 2006-11-30 Utilisation de l'acide gamma-aminobutyrique en tant qu'agent depigmentant
PCT/FR2007/001956 WO2008081095A2 (fr) 2006-11-30 2007-11-29 Utilisation de l'acide gamma-aminobutyrique en tant qu'agent depigment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992A true KR20090103992A (ko) 2009-10-05

Family

ID=3819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732A KR20090103992A (ko) 2006-11-30 2007-11-29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232757A1 (ko)
EP (1) EP2139445A2 (ko)
JP (1) JP2010511021A (ko)
KR (1) KR20090103992A (ko)
CN (1) CN101568324A (ko)
AP (1) AP2495A (ko)
FR (1) FR2909280B1 (ko)
WO (1) WO20080810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8050A1 (fr) * 2009-03-09 2010-09-15 Marcel Cohen Utilisation de l'acide gamma-aminobutyrique en tant qu'agent dépigmentant
DE102011110996A1 (de) * 2011-08-18 2013-02-21 Evonik Goldschmid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Aminobuttersäure aus Algen
JP2020029400A (ja) * 2016-11-28 2020-02-2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美白剤
CN109908018B (zh) * 2019-03-27 2020-05-19 广东萱嘉医品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γ-氨基丁酸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675060B (zh) * 2021-01-06 2022-08-26 山东华熙海御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抵抗皮肤衰老的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4748631B (zh) * 2022-04-18 2023-12-22 山东汇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损伤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药物
CN115137662B (zh) * 2022-07-22 2023-08-11 广东中科中研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乌发育发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726B2 (ja) * 1975-06-13 1983-06-04 カネボウ株式会社 ケシヨウリヨウ
JPH0832621B2 (ja) * 1985-02-28 1996-03-2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S60184005A (ja) * 1984-03-02 1985-09-19 Kanebo Ltd 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
DE3514348A1 (de) * 1985-04-20 1986-10-23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gewinnung von waessrigen loesungen organischer saeuren oder basen aus waessrigen loesungen ihrer salze
JPS63150209A (ja) * 1986-12-15 1988-06-22 Kanebo Ltd 皮膚化粧料
US5385938B1 (en) * 1986-12-23 1997-07-15 Tristrata Inc Method of using glycolic acid for treating wrinkles
JPH0363207A (ja) * 1989-08-01 1991-03-19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0363211A (ja) * 1989-08-02 1991-03-19 Kanebo Ltd 美白化粧料
JPH05194178A (ja) * 1992-01-21 1993-08-03 Kanebo Ltd 美白化粧料
JP2731329B2 (ja) * 1992-11-05 1998-03-25 鐘紡株式会社 皮膚化粧料
UA10208A (uk) * 1994-08-03 1996-12-25 Жанна Прокопівна Гудзенко Дерматологічний косметичний засіб
FR2736263B1 (fr) * 1995-07-07 1997-09-26 C3D Sarl Composition dermocosmetique depigmentante et son utilisation
JP3378127B2 (ja) * 1995-08-25 2003-02-17 カネボウ株式会社 美白化粧料
JP3635423B2 (ja) * 1997-01-14 2005-04-06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皮膚化粧料
JP2002068952A (ja) * 2000-08-22 2002-03-08 Toyo Shinyaku:Kk 化粧料
JP2003095969A (ja) * 2001-09-27 2003-04-03 Kanebo Ltd ヒスタミンh2受容体拮抗剤
JP2003246709A (ja) * 2002-02-25 2003-09-02 Kanebo Ltd 美白化粧料
DE102004017076A1 (de) * 2004-04-07 2005-10-27 Symrise Gmbh & Co. Kg Verwendung von gamma-Aminobuttersäure zur Maskierung oder Verminderung eines unangenehmen Geschmackseindrucks sowie Zubereitungen enthaltend gamma-Aminobuttersä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2757A1 (en) 2009-09-17
FR2909280A1 (fr) 2008-06-06
AP2495A (en) 2012-10-12
JP2010511021A (ja) 2010-04-08
CN101568324A (zh) 2009-10-28
FR2909280B1 (fr) 2015-04-17
EP2139445A2 (fr) 2010-01-06
WO2008081095A3 (fr) 2008-10-02
WO2008081095A2 (fr) 2008-07-10
AP2009004796A0 (en)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Natural products in cosmetics
US20130195925A1 (en) Anti ag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ging
US6641845B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bearberry and tetrahydrocurcumin
DE202012012801U1 (de) Kosmetikzusammensetzungen
US20210338634A1 (en) Putrescine slow-release topical formulations
JP2007519722A (ja) 皮膚の色素沈着を軽減するための全体論的組成物及び方法
KR20090103992A (ko) 감마-아미노 부티르산의 탈색제로서 용도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00227826A1 (en) Stable Flavonoid Solutions
WO2018142033A1 (fr) Compositions dermatologiques et cosmétiques dépigmentantes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2172199A1 (fr)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KR101900065B1 (ko) 프로텍틴 dx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70021585A (ko)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ES2322198T3 (es) Composicion cosmetica despigmentante o aclarante que comprende por lo menos una oxazolina a titulo de principio activo.
Khan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ascorbyl palmitate and sodium ascorbyl phosphate loaded in multiple emulsions on facial skin melanin and erythema content
WO2008044636A1 (fr) Agent anti-rides et préparation pour la peau pour un usage externe
JPH11222412A (ja) 皮膚外用剤
CN113693966A (zh) 一种创新型美白亮采祛斑霜及其制备方法
KR20180096158A (ko) 마레신 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272476B1 (ko) 이소핌피넬린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460900B1 (ko) 에피프리델라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재생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H08217659A (ja) メラニンの脱色方法
JPH11139931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10203948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