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125A -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 Google Patents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125A
KR20090101125A KR1020090024038A KR20090024038A KR20090101125A KR 20090101125 A KR20090101125 A KR 20090101125A KR 1020090024038 A KR1020090024038 A KR 1020090024038A KR 20090024038 A KR20090024038 A KR 20090024038A KR 20090101125 A KR20090101125 A KR 2009010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caffold
railway vehicle
moving platform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535B1 (ko
Inventor
조엘 아셰
미셸 셰르도
Original Assignee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9010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a lowering device for a part of the floo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61D23/025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or fluid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2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의 이동 플랫폼(22)과 기준 플랫폼(16)을 포함하는 플로어(4)를 구비하는 형태의 철도차량 객차(1)에 관한 것이다. 이동 플랫폼(22)은 철도차량 내부의 도어(10)와 대향하게 위치하고, 역 플랫폼(24)의 높이와 일치하게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및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직 및 직선적, 및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1발판(26)은 전개위치에 있을 때 이동 플랫폼(22)과 역 플랫폼(24) 사이의 갭을 메우도록 제공된다. 이동 플랫폼(22)과 발판(2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및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철도차량, 플랫폼, 발판, 독립, 이동,

Description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Railway vehicle with movable platforms and running boards}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의 이동 플랫폼(Movable platform)과 기준 플랫폼(Standard platform)을 포함하는 플로어(Floor)를 구비하는 형태의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동 플랫폼은 철도차량의 도어와 대향하게 위치하고, 역 플랫폼의 높이와 일치하게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및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발판(Running boards)은 수직 및 직선적, 및 가로로 이동할 수 있고, 전개위치에 있을 때 이동 플랫폼과 역 플랫폼 사이의 갭을 메우도록 제공된다.
일부 철도차량은, 예를들면, 휠 체어로 이동하는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들의 출입을 허용하여 탑승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차량에는 통상 역 플랫폼의 높이와 비슷하게 되어 철도차량에 대한 출입, 특히, 휠체어의 철도차량에 대한 출입을 어렵게 하는 높은 단턱(Steps)이 존재하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도어와 대향한 영역의 플로어의 높이를 낮추는 설비가 마련된다.
하강된 플랫폼과 역 플랫폼 사이의 갭을 메우기 위해, 플램폼과 함께 수직으로 이동하고 역 플랫폼에 대항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발판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은 단턱과 같은 장애물을 뛰어 넘어야 할 필요없이 쉽게 차량을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하지만, 플랫폼과 발판은 통상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 유모차 또는 상품 트롤리(Trolley)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만 작동된다. 다른 승객들에 대해서는 플랫폼은 고정된 채 유지되고, 승객들은 플랫폼과 역 플랫폼 사이의 높이차를 도움없이 넘어다닌다. 이러한 높이차는 일부 승객에게는 너무 커서 차량을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일부 경우, 차량의 플로어와 역 플랫폼 사이의 높이차가 너무 크면, 발판은 플랫폼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발판이 플랫폼과 함께 이동되므로, 전체 플랫폼은 차량내부에서 승객들의 이동을 방해하는 단턱이 하강된 플랫폼과 철도차량의 플로어의 나머지부분 사이에 만들어지지 않게 하는 필요 높이에 발판을 위치시키도록 하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플랫폼의 전체 또는 큰 이동없이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과 다른 일반 승객들 모두가 차량에 대한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형태의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단점들을 극복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이동 플랫폼과 발판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철도차량의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객차는 철도차량내의 승객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이동 플랫폼과 발판의 직선이동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철도차량의 객차는 이동 플랫폼 아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압 쿠션(Pneumatic cushion)과 발판 아래에 위치하는 하나의 기압 쿠션을 포함하고, 이 쿠션들은 철도차량의 바디의 샤시 상에 배치되고, 이동 플랫폼 및/또는 발판을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전개 및 수축되며,
철도차량의 객차는,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 플랫폼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제2 발판을 포함하며,
제1발판의 이동, 제2발판의 이동 및 이동 플랫폼의 이동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이동 플랫폼은 철도차량이 이동 중일 때는 기준 플랫폼과 정렬되고, 철도차 량이 역에 있을 때는 기준 플랫폼 보다 낮은 플로어 높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플랫폼의 플로어 높이는 철도차량이 주행하도록 된 레일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500mm와 1200mm 사이로 변화하고,
발판의 플로어 높이는 철도차량이 주행하도록 된 레일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500mm와 800mm 사이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에 관하여 예로써 제공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에서, 용어 "높이"는 철도차량이 레일상에 정차할 때 철도차량이 주행하도록 된 레일에 관하여 실질적인 수직 방향으로 정의된다. 또, 용어 "세로(Longitudinal)" 및 "가로(Transverse)"는 각각 철도차량의 길이와 폭에 준하여 정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면들은 플로어(4), 측벽들, 및 지붕(8)로 형성된 바디(2)를 포함하는 철도차량(1)을 도시한다. 바디(2)는 철도차량 객차(1)의 내부에 대한 출입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도어(1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어(10)는 실질적으로 바디(2)의 각 측벽의 중앙에 위치된다. 하지만, 측벽에 관한 도어의 세로위치는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요하지 않다.
철도차량은 바디(2)의 양 단부에 제공된 두 개의 보기(Bogies)(12)상에 통상의 방식으로 지지된다. 플로어(4)는 실질적으로 평편한 적어도 한 개의 기준 플랫폼(16)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플랫폼은 철도차량에 대해 플로어 높이가 정해진 일반 플랫폼을 의미한다. 기준 플랫폼의 플로어 높이는 철도차량(1)이 주행하도록 된 레일들에 관하여, 예를들면, 실질적으로 1000mm와 1200mm 사이로 구성된다.
한 가능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플랫폼(16)은 한 측벽을 따라 승객들을 수용하는 좌석들을 포함하는 영역과, 이 영역에 대향한 타 측벽을 따라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들을 위한 휠체어(18)를 수용하는 좌석들이 없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 플로어(4)는 차량(1)의 도어들(10)과 대향하게 위치한 적어도 한 개의 이동 플랫폼(22)를 포함한다. 플랫폼(22)은, 기차가 정차하는 역들에 따라 달라지는 역 플랫폼(24)의 높이로 조절될 수 있도록 기준 플랫폼(16)에 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다음의 두 개의 다른 역 플랫폼 높이가 예시를 위해 도시된다:
-. 예를들면, 760mm의 높이를 갖는 높은 플랫폼(24a)(도 2 및 도 3),
-. 예를들면, 550mm의 높이를 갖는 낮은 플랫폼(24b)(도 4 및 도 5).
철도차량이 이동중일 때, 차량의 이동 플랫폼(22)은 인접한 기준 플랫폼과 동일한 플로어 높이, 즉, 실질적으로 1000mm와 1200mm 사이로 구성된 높이에 위치된다. 그 결과, 승객들은 단턱 형태의 장애물 없이 실질적으로 평편한, 특히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들의 이동을 쉽게 하는 객차내의 플로어 상에서 이리저리로 이동할 수 있다. 만일 보기들 위로 연장되기 위해 플포어의 높이차가 필요하다면, 다른 높이의 플로어들이 경사면들(Slopes)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경사면들의 길이와 경사도와 같은 특성들은 승객들에게 너무 가파르지 않게 기준에 따라 규정된다. 이들 경사면은 예를들면 6%와 8% 사이로 구성된다.
철도차량이 역 플랫폼에 정차할 때, 이동 플랫폼(22)은 실질적으로 역 플랫폼(2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하여 기준 플랫폼(16)의 플로어의 레벨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역 플랫폼은 기차가 정차하는 역에 따라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실질적으로 760mm와 동일한 높이의 높은 플랫폼(24a)을 도시하고, 도 4 및 도 5는 실질적으로 550mm와 동일한 높이의 낮은 플랫폼(24b)을 도시한다. 그러므로, 이동 플랫폼(22)은 다른 높이의 역 플랫폼들(24)과 일치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대략 550mm와 동일한 높이까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플랫폼(22)의 높이는 기차가 정차하는 역의 역 플랫폼(24)의 높이로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들은 외부 경사로를 사용할 필요없이 철도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이동 플랫폼(22)과 역 플랫폼(24) 사이의 가로 갭을 메우기 위해, 철도차량은 수직 및 가로로 이동할 있는 발판(26)을 포함한다. 발판(26)은 수축위치(Retracted position)와 아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른 상황들에 적당한 다수의 전개위치(Deployed positions)들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차량은 이동 플랫폼(22)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발판(26)을 포함한다.
수축위치에서, 발판들(26)은 역 플랫폼의 반대쪽, 즉 도 2 내지 도 5 의 우측에서 작동하지 않은 발판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플랫폼(22)의 측면에서 객차 내부에 위치한다. 철도차량이 이동중에 있을 때, 이동 플랫폼(22)은 객차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승객들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기준 플랫폼(16)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고, 발판들(26)은 이동 플랫폼(22)과 도어(10) 사이에서 더 낮은 높이로 위치하여 출입 인체공학에 관한 규정(Rule governing ergonomics of access)에 일치하는 단턱 높이를 만든다. 도 2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26)은, 그 자유단에서 수축위치시 도어(10)의 연장선 상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하향 돌출부(28)를 포함한다. 돌출부(28)는 도어(10)의 바닥과 바디(14)의 샤시 사이에 미관 및 기술적인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기술적인 연속성과 관련하여, 돌출부(28)는 실제 철도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압력파들로부터 탑승공간을 보호하는 주변 기밀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은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26)은 실질적으로 평편하고, 수축위치에서 완전히 차량내부에 위치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판들(26)은 이동 플랫폼(22)과 역 플랫폼(24) 사이의 가로 갭을 메워 승객들이 보다 쉽게 철도차량(1)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전개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발판들(26)은 수직 및 가로로 이동한다. 두 개의 발판(26)과 이동 플랫폼(22)의 이동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발판(26)의 가로이동은, 발판의 말단부가 실질적으로 역 플랫폼(24)의 가장자리에 대항하여 역 플랫폼(24)의 가장자리와 나란히 위치하여, 도 2 내지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플랫폼(24)과 발판(26)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오픈된 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발판들(26)의 수직이동은 발판들(26)이, 철도차량이 정차한 역 플랫폼의 높 이에 관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러가지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수축위치에서, 발판은 높은 역 플랫폼(24a)에서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들면, 실질적으로 760mm의 높이로 위치된다.
예를들면, 실질적으로 760mm의 높이의 높은 역 플랫폼(24a)의 경우, 발판(26)은 역 플랫폼(24a)에 대항하여 가로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만일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트롤리와 같은 다른 바퀴 달린 아이템을 사용하는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이 기차를 탑승하거나 하차하지 않는다면, 이동 플랫폼(22)은 이동되지 않고,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준 플랫폼(16)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된다.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들은 발판(26)과 이동 플랫폼(22) 사이의 단턱을 그냥 밟고 지나간다. 만일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이 기차를 탑승하거나 하차해야 한다면, 이동 플랫폼(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6)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하강되고,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은 어떤 높이의 장애물도 뛰어넘을 필요없이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실질적으로 550mm의 높이의 낮은 역 플랫폼(24b)의 경우, 발판(26)은 예시된 상황들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역 플랫폼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하강되거나 가로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휠체어, 또는, 유모차 및 트롤리와 같은 다른 바퀴 달린 아이템을 사용하는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이 기차를 탑승하거나 하차하지 않는다면, 발판(26)은 실질적으로 역 플랫폼의 가장자리와 나란히 위치하여 역 플랫폼(24b)와 발판(26) 사이에 단턱을 형성하도록 가로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이동 플랫폼(22)은 이동되지않고, 기준 플랫폼(16)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된다. 그러면, 승객들은 발판(26)과 이동 플랫폼(22) 사이에 형성된 단턱과 역 플랫폼(24b)와 발판(26) 사이에 단턱을 간단히 밟고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단턱들의 높이는 차량에 대한 출입 인체공학을 명시하는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예를들면, 200mm이하일 수 있다. 만일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이 기차를 탑승하거나 하차해야 한다면, 발판(26)과 이동 플랫폼(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플랫폼(24b)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하강되고,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은 어떤 높이의 장애물도 뛰어넘을 필요없이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950mm의 일반적인 플랫폼 높이가 출입 인체공학을 명시하는 규정과 일치하는 200mm의 단턱 높이들과 함께 두 개의 기준 역 플랫폼 높이, 즉 550mm와 760mm를 충족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해해야할 것은 차량이 차량의 일측에서 한 개의 역 플랫폼으로 정차된다면, 한 개의 발판(26)만 이동되고, 차량의 양측에서 두 개의 역 플랫폼으로 정차된다면, 두 개의 발판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발판들(26)과 이동 플랫폼(22)의 수직이동은, 예를들면, 각 발판(26)과 이동 플랫폼(22) 아래에 각각 위치된 기압 쿠션들(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들(30)은 바디(14)의 샤시에 얹혀있다. 쿠션들(30)은 이동 플랫폼(22) 및/또는 발판(26)의 상향 이동을 위해서는 전개되고, 하향이동을 위해서는 수축된다.
발판들(26)과 이동 플랫폼(22)의 이동은, 예를들면, 역 플랫폼의 높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 즉,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들을 위한 출입 설비를 만들지 않고 차량내에 장착된 자동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하지만,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이 철도차량을 탑승하거나 하차할 경우, 그가 기차에 탑승하기전에 원격제어 형태의 원격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는 차량내부에 장착된 자동 시스템을 제어하여 발판들(26)과 이동 플랫폼(22)의 안정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은 스스로 이동 플랫폼(22)과 발판들(26)을 능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기차 또는 역 직원의 도움 없이 기차를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들이 기차 또는 역 직원에 의한 도움 없이 철도차량에 쉽게 출입할 수 있게 한다. 또, 이동 플랫폼(22)의 이동이 발판들(26)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낮은 이동성을 갖는 승객이 철도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경우 전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이동 플랫폼(22)의 이동이 최소 한도로 감소된다. 마찬가지로, 발판들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발판들의 이동이 최소 한도로 감소된다. 이동 플랫폼(22)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을 때는 이동 플랫폼과 기준 플랫폼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철도차량 내에서의 승객들의 이동이 쉽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승객들에 관해 예시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유모차, 트롤리 등과 같은 다른 바퀴 달린 아이템들에 대해서도 특별히 장점이 있음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차의 개략 종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다른 작동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차에 대한 출입 존(Zone)의 개략 횡단면도로써,
도 2는 도어가 역 플랫폼 쪽으로 오픈되고 높은 역 플랫폼에 대해 낮은 이동성을 갖는 사람들을 위한 출입설비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도어가 역 플랫폼 쪽으로 오픈되고 높은 역 플랫폼에 대해 낮은 이동성을 갖는 사람들을 위한 출입설비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도어가 역 플랫폼 쪽으로 오픈되고 낮는 역 플랫폼에 대해 낮은 이동성을 갖는 사람들을 위한 출입설비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5는 도어가 역 플랫폼 쪽으로 오픈되고 낮은 역 플랫폼에 대해 낮은 이동성을 갖는 사람들을 위한 출입설비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도차량 4: 플로어
10: 도어 16: 기준 플랫폼
22: 이동 플랫폼 24: 역 플랫폼
26: 발판 28: 돌출부
30: 쿠션

Claims (8)

  1. 철도차량 내부에서 도어(10)와 대향하게 위치하고 역 플랫폼(24)의 높이와 일치하게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및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이동 플랫폼(22)과 기준 플랫폼(16)을 포함하는 플로어(4)를 구비하고, 수직 및 직선적, 및 가로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발판(26)이 전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동 플랫폼(22)과 상기 역 플랫폼(24) 사이의 갭을 메우도록 제공된 형태의 철도차량 객차(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랫폼(22)과 상기 발판(2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및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내의 승객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플랫폼(22)과 상기 발판(26)의 직선이동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3. 제1항과 제2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플랫폼(22) 아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압 쿠션(30)과 상기 발판(26) 아래에 위치하는 기압 쿠션(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들은 상기 철도차량의 바디의 샤시(14)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플랫폼(22)과 상기 발판(26)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전개 및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 발판(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발판(26)은 상기 이동 플랫폼(22)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26)의 이동, 상기 제2발판(26)의 이동 및 상기 이동 플랫폼(22)의 이동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랫폼(22)은 상기 철도차량이 이동 중일 때는 상기 기준 플랫폼(16)과 정렬되고, 상기 철도차량이 역에 있을 때는 상기 기준 플랫폼(16) 보다 낮은 플로어 높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랫폼(22)의 플로어 높이는 상기 철도차량이 주행하도록 된 레일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500mm와 1200mm 사이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6)의 플로어 높이는 상기 철도차량이 주행하도록 된 레일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500mm와 800mm 사이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객차.
KR1020090024038A 2008-03-20 2009-03-20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KR101582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1802A FR2928893B1 (fr) 2008-03-20 2008-03-20 Vehicule ferroviaire a plate-forme et marchepied mobiles
FR0851802 2008-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125A true KR20090101125A (ko) 2009-09-24
KR101582535B1 KR101582535B1 (ko) 2016-01-19

Family

ID=3987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038A KR101582535B1 (ko) 2008-03-20 2009-03-20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01953B2 (ko)
EP (1) EP2103498B1 (ko)
JP (1) JP5595670B2 (ko)
KR (1) KR101582535B1 (ko)
CN (1) CN101537843B (ko)
CA (1) CA2659495C (ko)
ES (1) ES2478014T3 (ko)
FR (1) FR2928893B1 (ko)
PL (1) PL2103498T3 (ko)
RU (1) RU2529938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75B1 (ko) * 2012-07-17 2013-03-15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용 발판프레임 밀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8893B1 (fr) 2008-03-20 2010-10-08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a plate-forme et marchepied mobiles
DE102012220274A1 (de) * 2012-11-07 2014-05-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enenfahrzeug mit einer Hubliftplattform im Einstiegsbereich
DE102013200071A1 (de) * 2013-01-04 2014-07-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enenfahrzeugtür
FR3003223B1 (fr) * 2013-03-12 2015-04-10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pourvu d'un dispositif d'acces
WO2015040653A1 (ja) 2013-09-19 2015-03-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側出入口及びこれを備えた鉄道車両
DE102014207349B4 (de) * 2014-04-16 2022-01-13 Stadler Pankow GmbH Verstellvorrichtung zur Höheneinstellung eines an einem Fahrzeug ausfahrbaren Trittelements
DE102015213650A1 (de) * 2015-07-20 2017-01-26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Brückenelement zur Spaltüberbrückung zwischen einer Tür und einem Bahnsteig
CN105216702A (zh) * 2015-10-10 2016-01-06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公交登乘系统
DE102015015387A1 (de) * 2015-11-28 2017-06-01 Man Truck & Bus Ag Bus, insbesondere Reisebus
CN106564511B (zh) * 2016-10-21 2018-07-31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列车的踏板装置
FR3071801B1 (fr) * 2017-10-03 2019-10-25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Voiture de vehicule ferroviaire comportant un dispositif d'acces a hauteur variable
US10336260B1 (en) 2018-02-13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running board
CN108423021A (zh) * 2018-04-04 2018-08-2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及其多高度站台出入口系统
FR3084854B1 (fr) * 2018-08-09 2020-11-27 Alstom Transp Tech Procede de commande de la hauteur d'un vehicule et vehicule associe
CN109050578B (zh) * 2018-08-29 2020-01-1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控制轨道车辆升降的方法及系统
US11787447B2 (en) * 2019-03-31 2023-10-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Gap blo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s
CN110203224B (zh) * 2019-06-17 2020-11-17 际华三五一七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高铁物流的货运车厢
CN110281965B (zh) * 2019-07-22 2024-01-0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可侧门疏散的轨道交通车辆及可翻转伸缩的侧门疏散结构
FR3101314B1 (fr) 2019-09-30 2022-05-13 Faiveley Transp Tours Ensemble de marchepied pour véhicule de transport, véhicule ainsi équipé et procédé de mise en œuvre de ce véhicule
CN111086536A (zh) * 2020-01-02 2020-05-0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无障碍通行系统和具有该系统的轨道车辆
WO2021218294A1 (zh) * 2020-04-27 2021-11-0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门间隙补偿器、门间隙补偿器控制系统、方法及轨道车辆
CN111497878B (zh) * 2020-04-27 2021-05-1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门间隙补偿器踏板型材结构、门间隙补偿器及轨道车辆
JP7296928B2 (ja) * 2020-09-29 2023-06-23 近畿車輌株式会社 乗降補助装置
CN112726436B (zh) * 2021-01-06 2022-09-06 江苏鑫环球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升降式路面交通站台乘客用脚踏装置
EP4360981A1 (en) * 2022-10-31 2024-05-01 ALSTOM Holdings Mid-floor height railway vehicle with level-access at middle platform heigh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65U (ko) * 1989-07-07 1991-02-26
DE9401755U1 (de) * 1994-02-03 1994-03-24 Aeg Schienenfahrzeuge Nahverke Trittbrett für Fahrzeuge des Personennah- und -fernverkehrs
DE19914965B4 (de) * 1999-04-01 2007-07-12 Alstom Lhb Gmbh Personeneinstieg für Schienen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288A (en) * 1990-11-29 1993-07-27 Renfe Entering and exiting step system for vehicles with swingable platform for wheelchair bound passengers
US5316432A (en) 1992-12-07 1994-05-31 Reb Manufacturing Co., Inc. Wheelchair lifts with automatic barrier
SE511405C2 (sv) * 1998-03-26 1999-09-27 Abb Daimler Benz Transp Lyftanordning för spårgående fordon
RU2148508C1 (ru) * 1998-08-05 2000-05-10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морской техники "Рубин" Подъемник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DE10113074A1 (de) * 2001-03-15 2002-09-19 Mbb Liftsystem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brücken von Niveauunterschieden
GB0107709D0 (en) * 2001-03-28 2001-05-16 Jones Garrard Ltd Bridge
JP4742363B2 (ja) * 2005-06-28 2011-08-10 有限会社メイプル交通 バス昇降床装置
GB0601557D0 (en) * 2006-01-26 2006-03-08 W H Aspect Ltd Vehicle and method of modification thereof
FR2928893B1 (fr) 2008-03-20 2010-10-08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ferroviaire a plate-forme et marchepied mobi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65U (ko) * 1989-07-07 1991-02-26
DE9401755U1 (de) * 1994-02-03 1994-03-24 Aeg Schienenfahrzeuge Nahverke Trittbrett für Fahrzeuge des Personennah- und -fernverkehrs
DE19914965B4 (de) * 1999-04-01 2007-07-12 Alstom Lhb Gmbh Personeneinstieg für Schienenfahrze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75B1 (ko) * 2012-07-17 2013-03-15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용 발판프레임 밀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9495C (fr) 2016-06-07
EP2103498B1 (fr) 2014-05-07
CN101537843A (zh) 2009-09-23
US8601953B2 (en) 2013-12-10
JP5595670B2 (ja) 2014-09-24
ES2478014T3 (es) 2014-07-18
FR2928893B1 (fr) 2010-10-08
RU2529938C2 (ru) 2014-10-10
KR101582535B1 (ko) 2016-01-19
PL2103498T3 (pl) 2014-10-31
FR2928893A1 (fr) 2009-09-25
RU2009110048A (ru) 2010-09-27
CN101537843B (zh) 2014-07-30
EP2103498A1 (fr) 2009-09-23
JP2009227274A (ja) 2009-10-08
US20100043669A1 (en) 2010-02-25
CA2659495A1 (fr) 200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1125A (ko)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JP5489495B2 (ja) 移動能力の制約された乗客が出入りし易い鉄道車両客車
US6837167B2 (en) Elevated open-center transit guideway with open-mesh screen emergency walkway
US7908976B2 (en) Railway vehicle and device for accessing said vehicle
AU2005200691B2 (en) An end vehicle for transporting passengers and/or freight
SI25659A (sl) Dvigalo za teleskopsko potniško stopnišče za letala, ki omogoča vkrcanje potnikov na invalidskem vozičku
JP5237930B2 (ja)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及びその避難装置の軌条車両への固定方法
RU2467900C2 (ru)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267418C1 (ru) Способ перевозки пассажиров и грузов с помощью монорельсовой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US11459706B1 (en) Rapid transit system with wheel in track design
JP2928052B2 (ja) 鉄道車両の車輪間隔を変更するための固定式設備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CN211809604U (zh) 轨道车辆
CN214267600U (zh) 车辆桥接轿厢和多节的轨道车辆
CN219406435U (zh) 简易的载人链车系统
EP4360981A1 (en) Mid-floor height railway vehicle with level-access at middle platform heights
US20230294743A1 (en) Rapid transit system with wheel in track design
RU20894U1 (ru) Двухэтажны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JP3216922U (ja) 車両
KR20090037408A (ko) 통합형 승강장구조
KR20220013146A (ko) 철도차량용 발판장치
US905820A (en) Railway-car.
RU34472U1 (ru)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WO1994023979A1 (en) A device in vehicles, preferably in driverless elevated railway systems
KR20120094193A (ko) 철도차량용 가변형 승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