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883A -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883A
KR20090084883A KR1020097010547A KR20097010547A KR20090084883A KR 20090084883 A KR20090084883 A KR 20090084883A KR 1020097010547 A KR1020097010547 A KR 1020097010547A KR 20097010547 A KR20097010547 A KR 20097010547A KR 20090084883 A KR20090084883 A KR 2009008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lves
control device
supply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048B1 (ko
Inventor
나오키 가니에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08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2Gaseous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연료탱크(31a~31d)로부터의 연료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30)를 제공한다. 당해 연료공급장치(30)는, 연료를 저장하는 복수의 연료탱크(31a~31d)와, 연료탱크(31a~31d) 마다에 설치된 개폐밸브(32a~32d)와, 당해 개폐밸브(32a~32d)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장치(40)를 구비하고, 당해 제어장치(40)는, 상황에 따라,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변경하는 것이다. 당해 제어장치(40)는, 이상 검출 후에 또는 연료공급장치(30)의 메인터넌스시에,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공급장치 {FUEL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연료탱크를 구비한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가스로서의 수소가스를 연료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장치로서, 수소가스를 고압으로 충전한 고압 수소탱크나, 수소가스를 가역적(可逆的)으로 흡장 및 방출 가능한 수소 흡장 합금을 충전한 수소 흡장 탱크를 사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5-226715호 공보는, 연료전지에 대하여 수소배관을 거쳐 복수의 수소탱크를 병렬로 접속하고, 각각의 수소탱크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연료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시에 모든 개폐밸브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확실하게, 일본국 특개2005-226715호 공보에 기재된 연료공급장치에 의하면, 운전시에 복수의 수소탱크로부터 수소가스가 방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수소탱크의 사용빈도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모든 개폐밸브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이 반드시 좋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수소배관의 누설 검사를 위하여 수소가스를 흘리는 경우에, 모든 개폐밸브가 동시에 개방되면, 대량의 수소가스가 방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복수의 연료탱크와, 연료탱크마다 또는 몇 개마다 설치되어, 연료탱크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복수의 개폐밸브와, 개폐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제어장치는, 상황에 따라,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의 수를 변경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의 수가 일률적이지 않고, 그 수를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황에 따라서는, 모든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방출하지 않아도 되고,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상황에 따라서는, 모든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방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빈도의 불균일의 저감에도 배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료탱크는, 연료공급지 장치(fuel receiver device)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는, 연료공급지 장치에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에, 모든 개폐밸브를 동시에 개방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개폐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연료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탱크의 사용빈도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연료의 공급시에 복수의 개폐밸브를 동시에 개폐하는 경우에는, 연료탱크 내의 압력의 대소에 의하여, 하나의 연료탱크로부터 다른 연료탱크로의 연료의 역류가 일어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역류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공급지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연료로서 연료가스의 공급을 받아 발전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로서 수소가스나 CNG(압축천연가스)의 공급을 받아 기계에너지나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내연기관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제어장치는, 이상 검출 후에 또는 연료공급장치의 메인터넌스시에,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상 검출의 경우나 메인터넌스의 경우에, 연료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제어장치는, 연료공급지 장치에 대한 연료의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에,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료공급지 장치에 대한 연료의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에, 연료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연료공급장치는, 연료공급지 장치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연료탱크마다 또는 몇 개마다 설치되어 연료탱크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개폐밸브와, 제 1 상황일 때에는 개폐밸브를 모두 동시에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제어장치는, 제 1 상황과는 다른 제 2 상황일 때에,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상황일 때에는, 연료탱크의 사용빈도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2 상황일 때에는,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황은, 예를 들면, 연료공급장치의 정상시 또는 통상 공급시이고, 제 2 상황은, 이상 검출시 또는 메인터넌스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연료공급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공급장치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가스 공급계통에,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를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연료공급장치(30)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10)의 구성도이고, 특히, 연료가스 공급계통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료전지 시스템(10)은, 연료전지 자동차(FCHV),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단, 연료전지 시스템(10)은, 차량 이외의 각종 이동체(예를 들면, 선박이나 비행기, 로봇 등)나 정치형(定置型) 전원에도 적용 가능하다.
연료전지 시스템(10)은, 연료전지(20)를 구비한다. 연료전지(20)는, 연료가스로서의 수소가스와 산화가스로서의 공기의 공급을 받아 발전한다. 연료가스 및 산화가스는, 반응가스로 총칭되는 것이다. 연료전지(20)는, 예를 들면 고체고분자 전해질형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단셀을 적층한 스택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셀(single cell)의 구조가 연료전지(20)에 모식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단셀은, 전해질막(21), 연료극(22) 및 공기극(23)으로 이루어지는 MEA(막전극 접합체)(24)를 가진다. 전해질막(21)은, 예를 들면 불소계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이온 교환막으로 이루어진다. 연료극(22) 및 공기극(23)은, 전해질막(21)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다. 단셀은, 연료극(22) 및 공기극(23)을 양쪽으로부터 끼워넣도록 한 쌍의 세퍼레이터(25, 26)를 가진다. 그리고, 세퍼레이터(25)의 연료가스유로(27)에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세퍼레이터(26)의 산화가스유로(28)에 산화가스가 공급된다. 공급된 연료가스 및 산화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연료전지(20)는 전력을 발생한다. 연료전지(20)에서 발전된 전력은, 트랙션 모터 등의 부하(50)에 공급된다.
연료공급장치(30)는, 4개의 연료탱크(31a∼31d)와, 4개의 개폐밸브(32a∼32d)를 가진다. 연료탱크(31a∼31d)는, 연료공급지 장치인 연료전지(20)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개폐밸브(32a∼32d)는, 연료탱크(31a∼31d)마다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연료탱크 및 개폐밸브의 수는 임의이다.
연료탱크(31a∼31d)로서는, 고압 수소가스를 저장하는 고압 수소탱크나, 수소를 가역적으로 흡장 및 방출 가능한 수소 흡장 합금을 저장하는 수소 흡장 탱크의 어느 쪽이어도 된다. 고압 수소탱크이면, 예를 들면 35MPa 또는 70MPa의 수소가스가 저장된다. 또한, 연료탱크(31a∼31d)는, 20MPa의 압축천연가스를 저장하는 것이어도 된다. 요컨대, 연료탱크(31a∼31d)는, 연료공급지 장치인 연료전지(20)에 대하여, 연료가스를 공급 가능하게 저장하는 것이면 된다.
연료탱크(31a∼31d)로부터 방출되는 연료가스는, 공급유로(34)를 경유하여 연료전지(20) 내의 연료가스유로(27)에 공급된다. 공급유로(34)는, 연료가스유로(27)에 접속되는 집합유로(35)와, 집합유로(35)로부터 네 갈래로 분기된 분기유로(36a∼36d)를 가진다. 집합유로(35)에는, 예를 들면 하나의 감압밸브(38)가 설치된다. 감압밸브(38)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연료가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P1, P2)가 설치된다. 분기유로(36a∼36d)는, 연료전지(20)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되고, 대응하는 연료탱크(31a∼31d)에 접속된다. 또, 분기유로(36a∼36d)에는, 대응하는 개폐밸브(32a∼32d)가 설치된다.
개폐밸브(32a∼32d)는, 대응하는 연료탱크(31a∼31d)로부터 방출되는 연료가스를 차단한다. 즉, 개폐밸브(32a∼32d)는, 각 연료탱크(31a∼31d)에 대하여 루트밸브(메인 스톱밸브)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개폐밸브(32a∼32d)는, 예를 들면 전자 차단밸브로 이루어지고, 제어장치(40)에 전기적에 접속된다. 또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으나, 개폐밸브(32a∼32d)는, 연료탱크(31a∼31d)의 각 꼭지쇠에 접속되는 밸브 어셈블리에 조립하는 형식이어도 되고, 밸브 어셈블리의 바깥쪽 배관에 조립하는 형식의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또, 연료가스를 감압하는 레귤레이터를 분기유로(36a∼36d)에 설치하여도 된다.
여기서, 개폐밸브(32a∼32d)의 구경(口徑)(유로 단면적)은, 각각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밸브(32a∼32d)의 각 구경은, 집합유로(35)의 배관지름(유로 단면적)보다도 작게 구성된다. 한편으로, 개폐밸 브(32a∼32d)의 각 구경의 총합은, 집합유로(35)의 배관지름보다도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모든 개폐밸브(32a∼32d)를 개방한 경우에는, 집합유로(35)의 배관지름에 연료가스의 유량이 율속(律速)된다. 또, 개폐밸브(32a)만을 개방한 경우에는, 개폐밸브(32a)의 구경에 연료가스의 유량이 율속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31a∼31d)에 저장되는 연료가스는, 각 개폐밸브(32a∼32d)를 밸브 개방함으로써 분기유로(36a∼36d)로 방출되고, 집합유로(35)로 유입하여, 연료전지(20)로 공급된다. 이러한 연료가스의 흐름을 고려하면, 공급유로(34) 및 제어장치(40)를 포함하여 연료공급장치(30)로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장치(40)는, 내부에 CPU, ROM, RAM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된다. CPU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원하는 연산을 실행하여, 개폐밸브(32a∼32d)의 개폐 제어 및 연료공급장치(30)의 이상 검출 등, 여러가지 처리나 제어를 행한다. ROM은, CPU에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은, 주로 제어처리를 위한 각종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제어장치(40)는, 압력센서(P1, P2) 외에, 어느 것이나 도시 생략한 전압센서, 전류센서 및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개도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그 입력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장치(40)는, 연료전지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제어장치(40)는, 개폐밸브(32a∼32d)를 다음과 같이 개폐 제어한다.
연료전지 시스템(10)의 통상 운전시나, 연료공급장치(30)의 정상시에서는, 제어장치(40)는, 개폐밸브(32a∼32d)를 모두 동시에 밸브 개방한다. 예를 들면, 연료전지(20)의 요구 출력에 따른 연료가스를 연료전지(20)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모든 개폐밸브(32a∼32d)는 동시에 밸브 개방되고, 이 밸브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모든 연료탱크(31a∼31d)로부터 연료가스가 방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연료전지 시스템(10)의 운전 종료시에는, 제어장치(40)는, 개폐밸브(32a∼32d)를 모두 동시에 밸브 폐쇄한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10)의 통상 운전시에, 모든 개폐밸브(32a∼32d)를 개방하여 둠으로써, 연료탱크(31a∼31d)의 사용빈도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료탱크(31a∼31d) 사이에서의 연료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상 운전시에 예를 들면 개폐밸브(32a)만을 밸브 개방하고, 연료탱크(31a)만으로부터의 연료가스 방출을 어느 정도 행하면, 연료탱크(31a)의 압력이 다른 연료탱크(31b∼31d)의 압력에 비하여 저하한다. 여기서, 가령 연료탱크(31a) 내의 연료가스가 완전히 소비되는 것에 전후하여, 개폐밸브(32b)를 개방하면, 연료탱크(31b)의 연료가스는, 연료전지(20)뿐 아니라, 압력이 낮은 연료탱크(31a)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역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장치(40)는, 통상 운전시에는 개폐밸브(32a∼32d)를 모두 동시에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시에서는, 공급유로(34)를 구성하는 배관 균열 등에 의하여, 연료가스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연료가스의 누설은, 배관 내의 압력 강하를 동반하기 때문에, 압력센서(P1, P2)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 면, 감압밸브(38)의 하류측의 배관에서 연료가스의 누설이 발생하면, 압력센서(P2)가 검출하는 압력값이 감압밸브(38)의 설정 2차압보다도 강하하게 된다. 제어장치(40)는, 그 압력 강하의 레벨에 따라 연료가스의 누설의 유무를 판정한다. 그리고, 연료가스가 누설되고 있다고 판정될 때에는, 연료전지(20)의 발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연료가스를 연료전지(20)로 공급하고, 공급유로(34)로부터 실제로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재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재체크를 실행하는 경우에, 개폐밸브(32a∼32d)를 모두 동시에 밸브 개방하는 것은 아니고,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체크하는 경우에, 개폐밸브(32a∼32d)의 어느 하나만을 밸브 개방하면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재체크하는 경우에, 연료탱크(31a∼31d) 중, 연료가스의 저장량이 가장 많거나 또는 압력이 가장 높은 연료탱크에 대응하는 개폐밸브만을 밸브 개방하여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재체크하는 경우에,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감소시키고 있기 때문에, 연료탱크(31a∼31d)로부터의 연료가스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감소시킬수록, 연료탱크(31a∼31d)로부터의 연료가스의 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밸브(32a)만을 밸브 개방하는 것이면, 집합유로(35)를 흐르는 연료가스의 유량은, 집합유로(35)의 배관지름이 아니고, 그것보다도 작은 개폐밸브(32a)의 구경에 율속된다. 이 때문에, 연료탱크(31a)로부터의 연료가스의 방출 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료공급장치(30)의 상황에 따라,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장치(30)의 정상시 등의 상황(제 1 상황)에서는, 연료전지(20)에 연료가스를 적절하게 공급하면서, 연료탱크(31a∼31d)를 밸런스 좋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연료공급장치(30)의 이상시 등의 상황(제 2 상황)에서는, 연료가스의 방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가 감소하는 만큼, 소비전력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40)는, 이상 검출 후의 재체크의 경우 이외에도,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감소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연료가스 누설 때문에, 공급유로(34)의 배관 등을 교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교환에서의 메인터넌스시의 재체크의 경우에도,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감소시켜도 된다.
또, 제어장치(40)는, 연료전지(20)에 대한 연료가스의 공급이 원래부터 불필요한 경우에는,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a∼32d)의 수를 감소시켜도 된다. 여기서, 「불필요한 경우」 란, 상기한 이상 검출 후의 재체크의 경우나, 메인터넌스시의 재체크의 경우 외에, 예를 들면, 연료전지(20)의 발전 요구가 없는 경우이다.
도 2는, 변형예에 관한 연료공급장치(300)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1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연료공급장치(30)와의 큰 상위점은, 연료탱 크(31a∼31d)의 2개마다, 개폐밸브(32e, 32f)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부호와 동일부호의 장치 등은 동일한 장치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것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개폐밸브(32e, 32f)는, 각각, 집합유로(35)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유로(36e, 36f)에 설치된다. 분기유로(36e)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유로가, 상기의 분기유로(36a, 36b)이고, 분기유로(36f)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유로가, 상기의 분기유로(36c, 36d)이다. 개폐밸브(32e)는, 연료탱크(31a, 31b)로 이루어지는 제 1 탱크군(群)에 대하여 루트밸브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연료탱크(31a, 31b)로부터 방출되는 연료가스를 차단한다. 개폐밸브(32f)는, 연료탱크(31c, 31d)로 이루어지는 제 2 탱크군에 대하여 루트밸브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연료탱크(31c, 31d)로부터 방출되는 연료가스를 차단한다.
따라서, 제어장치(40)는, 연료공급장치(30)의 정상시 등의 상황(제 1 상황)이면, 개폐밸브(32e, 32f)를 동시에 개폐한다. 한편, 제어장치(40)는, 상기와 동일한 연료공급장치(30)의 이상 검출시 또는 메인터넌스시 등의 상황(제 2 상황)이면, 재체크시에, 개폐밸브(32e, 32f)의 한쪽만을 밸브 개방한다. 이것에 의하여, 동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32e, 32f)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연료탱크(31a∼31d)로부터의 연료가스의 방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탱크군에 포함되는 연료탱크의 수나 개폐밸브의 수는 임의이다. 요컨대, 복수의 연료탱크의 몇 개마다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이면 된다.

Claims (17)

  1. 연료를 저장하는 복수의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마다 또는 몇 개마다 설치되어, 당해 연료탱크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복수의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황에 따라,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연료공급지 장치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연료공급지 장치에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에, 모든 상기 개폐밸브를 동시에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이상 검출 후에,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연료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연료전지로 연료가 흐르는 공급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급유로로부터의 연료 누설을 검출한 경우에,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 내의 연료의 압력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유로로부터의 연료 누설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당해 연료공급장치의 메인터넌스시에,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연료전지로 연료가 흐르는 공급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급유로를 구성하는 배관을 교환하는 경우에,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연료공급지 장치로의 연료의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에,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어느 하나의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연료의 저장량이 가장 많은 연료탱크에 대응하는 개폐밸브만 밸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압력이 가장 높은 연료탱크에 대응하는 개폐밸브만 밸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4. 연료공급지 장치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마다 또는 몇 개마다 설치되어, 당해 연료탱크로부터 방출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개폐밸브와,
    제 1 상황일 때에는, 상기 개폐밸브를 모두 동시에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상황과는 다른 제 2 상황일 때에, 동시에 개방되는 상기 개폐밸브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황은, 당해 연료공급장치의 정상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황은, 당해 연료공급장치의 이상 검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7.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황은, 당해 연료공급장치의 메인터넌스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KR1020097010547A 2006-11-24 2007-11-14 연료공급장치 KR101281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7601A JP4849332B2 (ja) 2006-11-24 2006-11-24 燃料供給装置
JPJP-P-2006-317601 2006-11-24
PCT/JP2007/072485 WO2008062805A1 (fr) 2006-11-24 2007-11-14 Système d'alimentation en carbur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883A true KR20090084883A (ko) 2009-08-05
KR101281048B1 KR101281048B1 (ko) 2013-07-09

Family

ID=3942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547A KR101281048B1 (ko) 2006-11-24 2007-11-14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7885B2 (ko)
JP (1) JP4849332B2 (ko)
KR (1) KR101281048B1 (ko)
CN (1) CN101568761B (ko)
DE (1) DE112007002802T5 (ko)
WO (1) WO2008062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5689B3 (de) * 2012-03-21 2013-08-22 Audi Ag Verfahren zum Versorgen eines Antriebsaggregats
CN104269571B (zh) * 2014-10-20 2017-05-10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燃料电池动力系统
KR101789388B1 (ko) 2015-12-22 2017-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개질기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의 연료 블랭킷 가스 운용 설비 및 이를 갖는 공기불요추진체계
DE102016220259A1 (de) * 2016-10-17 2018-04-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Tankanlage
JP7163591B2 (ja) * 2018-02-27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7272217B2 (ja) * 2019-09-26 2023-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供給システム、ガス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140734B2 (ja) * 2019-10-03 2022-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供給システムおよびガスタンクの内部圧力を推定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8533C2 (de) 1983-07-29 1996-10-17 Panametric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Molekulargewichts eines strömenden Gases
US6082182A (en) 1997-10-20 2000-07-04 Vista Research, Inc. Apparatus for measuring the flow rate due to a leak in a pressurized pipe system
US5913335A (en) * 1997-10-31 1999-06-22 Gas Research Institute Fluid for discharging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s of plastic pip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1295996A (ja) 2000-04-14 2001-10-26 Toyota Motor Corp 水素貯蔵供給装置
JP4622038B2 (ja) * 2000-05-12 2011-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供給装置
JP3960524B2 (ja) * 2002-03-13 2007-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ガス燃料供給装置
CN1234186C (zh) * 2002-08-19 2005-12-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燃料电池系统的燃料供给装置
KR100672273B1 (ko) * 2003-07-25 2007-01-2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 공급 장치
JP4412939B2 (ja) * 2003-08-05 2010-02-10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552399B2 (ja) * 2003-08-07 2010-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数タンクからなるタン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226715A (ja) * 2004-02-12 2005-08-25 Toyota Motor Corp 水素供給装置
WO2005088756A1 (ja) 2004-03-17 2005-09-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ガス漏れ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821608B2 (ja) * 2004-03-17 201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632119B2 (ja) * 2004-10-13 2011-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28459A (ja) 2008-06-05
WO2008062805A1 (fr) 2008-05-29
KR101281048B1 (ko) 2013-07-09
US20100006596A1 (en) 2010-01-14
US9017885B2 (en) 2015-04-28
JP4849332B2 (ja) 2012-01-11
CN101568761A (zh) 2009-10-28
CN101568761B (zh) 2013-01-02
DE112007002802T5 (de)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7937B1 (en) Method for leak detection in gas feeding systems with redundant valves
KR101281048B1 (ko) 연료공급장치
US20070012362A1 (en) Method for opening tank shut-off valves in gas feeding systems with connected tanks
US9279542B2 (en) Compressed hydrogen fueling control valve
KR10181487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차량 및 개폐 밸브의 구동 불량 판정 방법
JP4941730B2 (ja) 燃料供給装置及び車両
JP4716046B2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JP5534192B2 (ja) ガスタンクシステム及び車両
JP6465308B2 (ja) 圧力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70084599A (ko) 연료전지시스템과 그 운전방법 및 연료전지 차량
JP2009168165A (ja) 高圧タンク用のバルブ装置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280671A (ja) ガス燃料システム及びその異常検出方法
JP4603427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298103A (ja) 制御装置、燃料ガス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ガス容器
JP2022088950A (ja) 燃料電池船
JP201115953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804045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191943A (ja) バルブアセンブリ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532829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停止方法
JP200613467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3169359B (zh) 用于降低在燃料电池堆中的碳腐蚀的方法以及机动车
JP2014092185A (ja) 流体供給システム
JP2006196415A (ja) 燃料電池検査システム
JP2022046215A (ja) 燃料供給装置
JP2010255746A (ja) ガス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