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395A - 분말 분산 장치, 이 장치를 제작 및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타 기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분말 분산 장치, 이 장치를 제작 및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타 기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395A
KR20090083395A KR1020097010478A KR20097010478A KR20090083395A KR 20090083395 A KR20090083395 A KR 20090083395A KR 1020097010478 A KR1020097010478 A KR 1020097010478A KR 20097010478 A KR20097010478 A KR 20097010478A KR 20090083395 A KR20090083395 A KR 2009008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feed tube
outlet
pow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784B1 (ko
Inventor
마크 글러스커
윌리암 더블유. 알스톤
조지 에스. 악스포드
존 팔머-펠게이트
조나단 윌킨스
윌라드 알. 포스
나가라자 라오
마크 포스티치
니라프 알. 파칼라
데이비드 에스. 말츠
케이쓰 웅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8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 A61M15/001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located downstream of the dispenser, i.e. traversed by the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4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in a plane, e.g. on disk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1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3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without arming or cocking, e.g. acting directly on the deliver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51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on a tape, e.g.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6Hindering inhalation before activation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making noise when used correc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건조 분말 약제를 환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같은, 조성물의 폐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리셉터클 잠금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한, 장치의 요소 또는 태양들이 개시된다.
분말, 흡입기, 리셉터클, 리셉터클 천공 장치,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Description

분말 분산 장치, 이 장치를 제작 및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타 기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 {POWDER DISPERSION APPARATUS,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THAT CAN BE USED ON THE APPARATUS AND OTHER DEVIC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10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0/854,601호 및 2007년 3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0/906,977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서 참조로 명확하게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의 폐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 의해 흡입되는 건조 분말 약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술되는 바와 같은 장치들의 요소 또는 태양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태양은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리셉터클 잠금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한 요소 또는 태양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폐 전달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 장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환자에게로의 효과적인 전달은 임의의 성공적인 약물 요법의 중요한 태양이 다. 다양한 전달 루트가 존재하고, 각각은 그의 고유한 장점 및 단점을 갖는다. 정제, 캡슐, 엘릭시어 등의 경구 약물 전달은 아마도 가장 간편한 방법이지만, 많은 약물이 흡수될 수 있기 전에 소화관 내에서 분해된다. 그러한 분해는 소화관 내의 단백 분해 효소에 의해 신속하게 분해될 수 있는 단백질 약물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피하 주사가 자주 단백질의 전달을 포함한, 전신 약물 전달에 대해 효과적이지만, 대체로 낮은 환자 수용성을 겪는다. 인슐린과 같은 약물의 하루 수회의 주입이 불량한 환자 순응도의 원인일 수 있으므로, 경피, 비강내, 질내, 및 폐 전달을 포함한, 다양한 대안적인 투여 경로가 또한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 대한 특별한 관심 중에서, 폐 약물 전달은 활성 약물이 폐의 원위 (폐포) 영역에 도달할 수 있도록 환자에 의한 분산액 또는 에어로졸과 같은 약물의 흡입을 포함한다. 특정 약물은 폐포 영역을 통해 직접 혈액 순환 내로 쉽게 흡수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폐 전달은 다른 투여 경로에 의해 전달하기에 어려운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의 전달에 대해 특히 유망하다. 그러한 폐 전달은 전신 전달 및 폐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국소 전달에 모두에 대해 효과적이다.
(전신 및 국소를 포함한) 폐 약물 전달은 액체 분무기, 가압식 계량 투여 흡입기(pMDI), 및 건조 분말 분산 장치를 포함한, 여러 접근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건조 분말 분산 장치가 건조 분말로서 쉽게 조성될 수 있는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 약물을 전달하는데 특히 유망하다. 많은 다른 불안정한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가 단독으로 또는 적합한 분말 담체와 조합하여 동결 건조되거나 분사 건조된 분말로서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를 건조 분말로서 전달하는 능력은 특정 태양에서 어려울 수 있다. 몇몇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 약물의 투여량은 종종 중요하고, 따라서 건조 분말 전달 시스템은 의도된 양의 약물을 정확하고, 정밀하고, 반복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많은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는 매우 고가이며, 전형적으로 단위 투여에 기초한 종래의 약물보다 흔히 더 비용이 든다. 따라서, 최소한의 약물 손실로 건조 분말을 폐의 목표 부위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건조 분말 내에 존재하는 분말 응집물이 효과적인 전신 흡수 또는 다른 폐 전달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입 이전에 충분히 파쇄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건조 분말 약물의 폐 전달에 대해 특히 유망한 접근법은 펌프 또는 다른 가압 기체 공급원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다. 선택된 양의 가압 기체가 벤투리 튜브와 같은 분말 분산 장치를 통해 순간적으로 방출되고, 분산된 분말은 환자 흡입을 위해 이용될 수 있게 된다. 휴대형 및 다른 분말 전달 장치의 다른 전형적인 특성은 높은 투여 농도이다. 기체 볼루스(bolus) 내의 약물의 농도가 총 투여량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호흡 횟수 및 각 호흡의 체적을 감소시키도록 비교적 높은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분산 및 작은 분산 체적 모두를 달성하는 능력이 중요한 기술적 문제이다.
약품을 위한 건조 분말 분산 장치는 많은 특허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921,637호는 분말화된 약품의 하나의 캡슐을 천공하기 위한 바늘을 구비한 수동 펌프를 설명한다. 약품의 복수의 리셉터클 디스크 또는 스트립의 사용이 예를 들어 EP 467172호(왕복 가능한 천공 메커니즘이 블리스터 팩의 대향 표면들을 천공하도록 사용됨); WO 91/02558호; WO 93/09832호; WO 94/08522호; 미국 특허 제4,627,432호; 제4,811,731호; 제5,035,237호; 제5,048,514호; 제4,446,862호; 및 제3,425,600호에 설명되어 있다. 하나의 약품 캡슐을 천공하는 것을 설명하는 다른 특허는 미국 특허 제4,338,931호; 제3,991,761호; 제4,249,526호; 제4,069,819호; 제4,995,385호; 제4,889,114호; 및 제4,884,565호; 및 EP 469814호를 포함한다. WO 90/07351호는 헐거운 분말 저장소를 구비한 휴대형 펌프 장치를 설명한다. 다른 장치는 미국 특허 제6,109,261호 및 제6,606,99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000309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한다. 이들 문헌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서 명확하게 참조로 통합되었다.
미국 특허 제6,257,233호는 예를 들어,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는 가압 실린더 및 기체를 가압하기 위해 실린더 내에서 활주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손잡이가 피스톤에 결합되고, 연장 위치와 기체를 가압하기 위한 기본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 메커니즘이 포함되고, 리셉터클 내에 유지되는 분말화된 약제를 실린더로부터의 가압된 기체에 의해 에어로졸화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지 조립체가 리셉터클을 수납하여 리셉터클을 에어로졸화 메커니즘에 결합시키도록 포함된다. 제1 및 제2 인터로크가 리셉터클의 에어로졸화 메커니즘과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지 조립체와 작동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제1 인터로크는 손잡이의 연장 위치로의 이동 시에 캐리지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해제된다. 제2 인터로크는 리셉터클이 캐리지 조립체 내로 부분적으로만 삽입되면, 맞물 린 채로 유지된다. 미국 특허 제6,257,233호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장치를 이용하는 엑수베라(Exubera™) 흡입식 인슐린의 방출에서, 초회 주입에 대한 대안이 이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 메커니즘이 포일 내로 하강되고, 포일 내에 개방부를 절단하고, 그 다음 소기(evacuation) 중에 제 위치에 체류하는, 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장치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미국 특허 제6,668,827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서 명확하게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었다. 그러한 특허에 설명되어 있는 절단기는 블리스터 포일 내에 복수의 동심 원호형 절단 개방부를 생성하고, 동시에 절단기 치형부의 선단날을 따라 포일의 작은 스트립을 감아 올린다. 이는 블리스터 내로 하강하고, 회전하여, 블리스터 소기 중에 블리스터 내에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그 다음 회전 시에 역전되어, 블리스터로부터 후퇴된다.
포일로 밀봉되는 약물 포장을 사용하는 다른 장치는 디스크할러(Diskhaler™) 및 디스커스(Diskus™)를 포함한다. 디스크할러는 전체 약물 포장을 통해 긴 플라스틱 치형부를 구동하고, 이를 흡입 전에 후퇴시킨다. 이는 치형부를 후퇴시키는 추가의 단계를 생성하고, 결국 약물 포장을 통해 크고 일관되지 않은 구멍을 생성하게 되고, 큰 구멍을 통한 공기 유동 변동 및 분말 손실로 인해 가변적인 투여를 생성한다. 디스커스는 얇은 리드스톡(lidstock)을 벗겨내어, 약물 분말을 담고 있는 전체 용기를 드러낸다. 리드스톡을 벗겨내는 작용은 약물 포장 내에 변동을 생성하고 이는 약물 포장으로부터 분말을 진동시켜서 이용 가능한 투여량을 감소시키는 위험을 생성한다.
무딘 부재를 사용하여 블리스터 팩의 포일을 천공하고 그 다음 절개(plowing) 효과를 사용하여 원호형 개방부를 형성하는 원리가 미국 특허 제5,833,071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서 명확하게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었다.
구입 가능한 수동 건조 분말 흡입기(DPI)는 흔히 에어로졸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세 분말 약제와 혼합된, 큰 담체 입자, 전형적으로 락토오즈 입자를 이용한다. 그러한 락토오즈 블렌드는 사용자의 상기도(URT) 내에서 큰 락토오즈 입자의 충격을 생성하고, 전달 가능한 투여량의 실질적인 크기를 크게 제한한다. 구입 가능한 수동 DPI의 추가의 제한은 흡입 조작의 시작 시에 사용자의 흡입 유량(Q) 및 유동 증가 비율(FIR)에 크게 의존하는, 방출 투여량(ED) 및 미세 입자 투여량(FPD)의 가변성이다.
그러나, 개선된 흡입기에 대한 필요가 남아있다. 예를 들어, 건조 분말 약제의 일관된 폐 전달에 대한 필요가 있다. 또한, 건조 분말 약제의 효율적인 에어로졸화에 대한 필요가 있다. 또 다른 필요는 건조 분말 약제의 에어로졸화 및 일관된 폐 침착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흡입기를 통한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필요는 고도로 가변적인 사용자 집단에 걸쳐 높은 방출 투여량(ED) 및 미세 입자 투여량(FPD)을 일관되게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개선된 수동 건조 분말 흡입기(DPI)에 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건조 분말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및 다른 약물의 분산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한 방법 및 시스템은 흡입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 이외의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물과 같은 물질의 폐 전달 및 다른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고,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구체적으로 지시되는 메커니즘 및 방법에 의해 구현되고 획득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은 대체로 약물과 같은 물질의 폐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건조 분말 약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또한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 세척 요소, 리셉터클 충격 요소, 및 리셉터클 잠금 요소와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특징부 또는 요소들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특징부 및 요소들은 약물의 폐 전달을 위한 장치 내에서 또는 약물의 전달을 위해 의도되지 않은 것을 포함한 임의의 다른 장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공급 튜브 내에 영구적으로 배열된 세척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복수의 안정 위치를 갖는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제1 측면 쌍 및 제1 측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포함하는 외형을 갖는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제1 측면 쌍은 노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한다. 아울러, 장치는 리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하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장치를 사용하여 리셉터클을 개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으로, 벽 내에 천공부를 생성하고 그 다음 벽 내에 파열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파열은 벽의 파열된 모서리를 리셉터클 내로 내측으로 구부린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리셉터클을 천공하는 단계, 및 장치의 공급 튜브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를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리셉터클 충격 장치로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메커니즘은 지지부 및 지지부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한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튜브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적응된 세척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회전하여 튜브 내로 하강함으로써 튜브의 내측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은 튜브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지지 부분 및 지지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한다. 복수의 아암 각각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소정 구성의 리셉터클을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리셉터클의 위치에 기초하여 잠금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제1 측면 쌍 및 제1 측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포함하는 외형을 포함하고, 제1 측면 쌍은 노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리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1) 장치; 및 (2) 적어도 하나의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키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메커니즘;
공급 튜브 내에 영구적으로 배열된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복수의 안정 위치를 갖는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리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하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 리셉터클은 제1 측면 쌍 및 제1 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포함하는 외형을 갖고, 제1 측면 쌍은 노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1) 장치; 및 (2) 장치 내에 삽입된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조합체를 포함한다. 장치는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ⅰ)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함 -;
ⅱ) 공급 튜브 내에 영구적으로 배열된 세척 장치;
ⅲ)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복수의 안정 위치를 갖는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iv) 리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하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 리셉터클은 제1 측면 쌍 및 제1 측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갖고, 제1 측면 쌍은 노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장치를 사용하여 분말을 에어로졸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하우징의 일 부분을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 및 장치의 마우스피스 상에서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키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및 구성요소들을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로 조립하기 위한 서면 설명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내부로 확장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내부로 확장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흡입에 의해 약물 함유 분말을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 장치는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리셉터클과 출구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는 공급 튜브, 및
ⅰ)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함 -;
ⅱ)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세척 장치;
ⅲ)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ⅳ)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장치의 마우스피스 상에서 흡입하여,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 내의 분말을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리셉터클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이 밸브를 통과하도록 리셉터클과 출구 사이에 위치된 밸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절단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절단기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플라스틱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공급 튜브 내에 배치된 천공 장치를 포함하고, 천공 장치는 리셉터클을 천공하도록 공급 튜브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블리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포일 라미네이트 및 하부 포일 라미네이트를 덮는 상부 포일 라미네이트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제3 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2개의 측면을 갖는 후방 부분, 노치를 포함하는 중간 부분, 및 테이퍼형 전방 부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하고, 전체 높이 치수 및 전체 폭 치수를 포함한다.
도 2는 커버가 제거된 도 1의 실시예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어떻게 커버가 그를 장치로부터 수직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어떻게 리셉터클이 커버가 제거된 후에 장치의 전방 측면 내로 삽입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리셉터클의 삽입 중에, 잠금 시스템이 맞물리고, 리셉터클 충격 시스템이 활성화된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리셉터클이 적절하게 삽입된 후에 어떻게 장치의 마우스피스 또는 상부가 장치의 하부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180° 회전은 리셉터클 내의 입구 및 출구 개방부 모두의 천공 및 파열과, 공급 튜브의 세척을 자동으로 일으킨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어떻게 장치가 마우스피스가 180° 회전된 후에, 흡입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어떻게 리셉터클이 제거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어떻게 커버가 사용 후에 장치 상으로 다시 위치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어떻게 도 9에 도시된 세척 장치 및 절단기 메커니즘이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1은 어떻게 오리피스 부재 및 도 10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2는 어떻게 트리거 메커니즘 및 도 11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3은 어떻게 리테이너 부재 및 도 12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4는 어떻게 도 9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 및 하부 베어링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5는 어떻게 도 13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 및 도 14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6은 어떻게 코일 스프링 및 도 15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7은 어떻게 마우스피스 및 도 16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8은 어떻게 바닥 하우징 부재 및 도 19에 도시된 비틀림 스프링이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9는 어떻게 리셉터클 충격 메커니즘 및 도 18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0은 어떻게 잠금 부재 및 도 19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1은 어떻게 스커트 부재 및 도 20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2는 어떻게 본체 부재 및 도 21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3은 어떻게 도 17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 및 도 22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4는 어떻게 커버 부재 및 도 23에 도시된 하위 조립체가 함께 조립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5는 리셉터클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절결된 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를 목적으로, 트리거는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모두에 도시되어 있다.
도 26은 리셉터클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절결된 우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를 목적으로, 트리거는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모두에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리셉터클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적으로 절결된 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시를 목적으로, 트리거는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모두에 도시되어 있다.
도 28은 도 9에 도시된 캡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캡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캡의 상부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28에 도시된 캡의 후방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도 9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전방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도 3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도 3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우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도 3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상부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도 3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우측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9는 도 3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후방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0은 도 9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2는 도 40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우측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도 40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후방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4는 도 9에 도시된 트리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트리거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6은 도 44에 도시된 트리거의 상부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7은 도 44에 도시된 트리거의 후방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도 9에 도시된 오리피스 부재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오리피스 부재의 저면 후방 측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0은 도 48에 도시된 오리피스 부재의 상부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1은 도 9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세척 부재의 상부 좌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3은 도 9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4는 도 53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5는 도 53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전방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6은 도 53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7은 도 53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우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8은 도 53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상부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9는 도 53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저면 좌측 측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0은 도 9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1은 도 60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2는 도 60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의 전방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3은 도 60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64는 도 60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5는 도 60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의 저면 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 한다.
도 66은 도 9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7은 도 66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8은 도 66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의 전방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9는 도 66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70은 도 66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의 우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1은 도 66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2는 도 66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의 저면 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3은 도 9에 도시된 본체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4는 도 73에 도시된 본체 부재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5는 도 73에 도시된 본체 부재의 전방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6은 도 73에 도시된 본체 부재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77은 도 73에 도시된 본체 부재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8은 도 73에 도시된 본체 부재의 저면 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9는 도 9에 도시된 스커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0은 도 79에 도시된 스커트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1은 도 79에 도시된 스커트의 전방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2는 도 79에 도시된 스커트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3은 도 79에 도시된 스커트의 저면 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4는 도 9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5는 도 84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우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6은 도 84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7은 도 84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저면 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8은 도 9에 도시된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우측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9는 도 88에 도시된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우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0은 도 88에 도시된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1은 도 88에 도시된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우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2는 도 88에 도시된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3은 도 9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4는 도 155에 도시된 비틀림 스프링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5는 도 9에 도시된 바닥 또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6은 도 95에 도시된 바닥 또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7은 도 95에 도시된 바닥 또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상부 우측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8은 도 95에 도시된 바닥 또는 하부 하우징 부재의 좌측 저면 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9는 개방 위치의 도 9에 도시된 유형의 트리거의 후방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0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유형의 트리거를 이용하지 않는 장치를 통한 유량을 도시하는 유량 선도를 도시한다.
도 101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유형의 트리거를 이용하는 장치를 통한 유량을 도시하는 유량 선도를 도시한다.
도 102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유형의 흡입 장치 내에서 사용된 후의 리셉터클의 천공된 포일 뚜껑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2개의 만곡된 입구 개방부 및 중심 출구 개방부를 도시한다.
도 103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리셉터클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닥 부분의 절결도를 도시한다.
도 10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닥 부분의 절결도를 도시하고, 장치 내로의 리셉터클의 초기 삽입 위치를 도시한다. 리셉터클의 선단날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아암과 하부 베어링 부재의 바닥 표면 사이를 통과하였고, 리셉터클의 통 부분의 전방 만곡 표면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아암과 접촉하였다.
도 105는 도 104의 다른 절결도를 도시하고,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중간 삽입 위치를 도시한다. 리셉터클의 통 부분의 전방 만곡 표면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아암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부분적으로 회전하게 하여, 리셉터클 충격 부재가 비틀림 스프링의 편위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하였다.
도 106은 도 104의 다른 절결도를 도시하고,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다른 중간 삽입 위치를 도시한다. 리셉터클의 통 부분의 전방 만곡 표면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아암이 약 12시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부분적으로 회전하게 하여, 리셉터클 충격 부재가 비틀림 스프링의 편위력에 대항하여 그의 최대 하방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하였다.
도 107은 도 104의 다른 절결도를 도시하고,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최종 삽입 위치를 도시한다. 리셉터클의 통 부분의 전방 만곡 표면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아암이 약 2시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거나 부분적으로 회전하게 하여,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다른 아암이 리셉터클의 통 부분의 후방 만곡 면에 충격을 가한 다음 10시 위치를 취하게 하였다. 이러한 삽입 이동 중에, 리셉터클 충격 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의 편위력에 대항하여 그의 최대 상부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도 108은 도 9에 도시된 리셉터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9는 도 108에 도시된 리셉터클의 전방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0은 도 108에 도시된 리셉터클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11은 도 108에 도시된 리셉터클의 상부 우측 전방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2는 입구 개방부로부터 리셉터클 통의 중심을 향해, 그 다음 리셉터클의 중심 개방부를 통해 위로 그 다음 마지막으로 공급 튜브를 통해 위로 세척 부재를 지나 리셉터클 내로의 공기 유동을 도시하는 부분 유동 선도를 도시한다.
도 113은 흡입 장치를 통한 총 공기 유동을 도시하는 전방 및 측면 유동 선도를 도시한다.
도 114-123은 흡입 장치의 그가 사용되고 있을 때의 상이한 각도 및 위치로부터의 다양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4는 흡입 장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절단기 메커니즘의 확대된 좌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5는 도 124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6은 도 124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리셉터클 내에 입구 개방부를 형성할 치형부의 이동의 회전 방향을 도시한다.
도 127은 도 16의 치형부들 중 하나 및 그의 밀리미터 단위의 비제한적인 단면 높이 및 폭 치수를 도시한다.
도 1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29는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마우스피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0은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어댑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1은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척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2는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절단기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3은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베어링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4는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5는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트레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6은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리셉터클 충격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다.
도 137은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부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8은 도 128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커트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9-178은 본 발명의 장치의 공기 유동 특성에 관련된 다양한 선도 및 도면을 도시한다.
도 179는 원추형 세그먼트(PQ)의 rho 치수를 도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약물과 같은 물질의 폐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건조 분말 약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리셉터클 잠금 장치 또는 시스템과 같은, 그러한 장치 내에서 또는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특징부들은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달리 기술되지 않으면, 화합물 또는 성분에 대한 참조는 화합물 또는 성분 자체, 및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화합물 또는 성분과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a, an)" 및 "그(the)"는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참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반대로 표시되지 않으면, 다음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설명되는 수치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의해 얻고자 하는 원하는 특성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는 대략치이다. 최소한, 그리고 청구의 범위의 범주에 대한 등가물의 원칙의 적용을 제한할 의도로서 고려되지 않도록, 각각의 수치 파라미터는 유효 숫자의 개수 및 통상의 반올림 규칙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추가로, 본 명세서 내의 수치 범위의 언급은 그러한 범위 내의 모든 수치 값의 열거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범위가 약 1 내지 약 50이면, 이는 예를 들어 1, 7, 34, 46.1, 23.7, 또는 범위 내의 임의의 다른 값을 포함하게 된다.
추가의 설명 전에, 다음 용어들의 정의가 본 발명의 이해를 도울 것이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표준 용어들은 본원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으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그들의 일반적인 통상의 의미가 주어진다.
"폐 전달에 적합한" 조성물은 에어로졸화된 입자들 중 일부가 폐에 도달하여, 예컨대 폐포 및 혈액 내로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에어로졸화되어 대상에 의해 흡입될 수 있는 조성물을 말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호흡 가능한" 또는 "흡입 가능한"으로 고려될 수 있다.
"에어로졸화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흡입 장치의 구동 (또는 동작)의 결과로서, 기체 (전형적으로, 공기) 내에 현탁된 액체 또는 고체 입자를 함유한다. 수동 건조 분말 흡입기가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구동된다.
"건조 분말 흡입기"는 분말 형태의 약물의 단위 투여량으로 장입되는 장치이다. 대체로, 흡입기는 호흡에 의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캡슐 또는 블리스터가 천공되고, 분말은 예컨대, "스핀할러(Spinhaler)" 또는 "디스크할러" 내에서 흡 입될 수 있도록 분산된다. "터보할러"는 분말 형태의 약물의 계량된 투여량을 전달하는 캐니스터를 갖추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방출 투여량" 또는 "ED"라는 용어는 분말 유닛 또는 저장소로부터의 구동 또는 분산 작용 후의 흡입기 장치로부터의 건조 분말의 전달의 표시를 말한다. ED는 공칭 투여량에 대한 흡입기에 의해 전달되는 투여량의 비율 (즉, 동작 이전의 적합한 흡입기 장치 내로 위치된 단위 투여량당 분말의 질량)으로서 정의된다. ED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양이고, 환자 투여를 모방하는 체외 장치 구성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ED 값을 결정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건조 분말은 시험되는 장치 내로 위치된다. 장치는 (예컨대, 블리스터를 삽입하고, 장치의 마우스피스를 회전시키고, 마우스피스의 출구로 30 L/min 진공원을 인가함으로써) 구동되어, 분말을 분산시킨다. 결과적인 에어로졸 분무는 그 다음 구동 후에 장치로부터 진공(30 L/min)에 의해 2.5초 동안 흡인되어, 장치 마우스피스에 부착된 칭량된 유리 섬유 필터(겔만(Gelman), 47 mm 직경) 상에 포착된다. 필터에 도달하는 분말의 양은 전달되는 투여량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흡입 장치 내로 위치되는 5 mg의 건조 분말을 담은 캡슐에 대해, 분말의 분산이 전술한 바와 같이 칭량된 필터 상에서 4 mg의 분말을 회수하면, 건조 분말 조성물에 대한 ED는 80%이다 (= 4 mg(전달 투여량)/5 mg(공칭 투여량)).
"건조 분말 형태"의 조성물은 약 20 중량% 미만의 수분을 전형적으로 함유하는 분말 조성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질량 중앙 직경" 또는 "MMD"는 전형적으로 다분산성 입자 집단 내의, 즉 일정 범위의 입자 크기로 구성되는 복수의 입자들의 중간 직경을 말한다. 본원에서 보고되는 바와 같은 MMD 값은 문맥이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레이저 회절(심파텍 헬로스(Sympatec Helos), 독일 클라우스탈-첼러펠트)에 의해 결정된다. 전형적으로, 분말 샘플을 심파텍 로도스(RODOS) 건조 분말 분산 유닛의 공급 깔때기로 직접 첨가한다. 이는 수동으로 또는 비브리(VIBRI) 진동식 공급기 요소의 단부로부터 기계적으로 교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샘플은 가압 공기(2 내지 4 바(bar))의 인가를 거쳐 1차 입자로 분산되고, 진공 분산(흡인)은 주어진 분산 압력에 대해 최대화된다. 분산된 입자들은 분산된 입자들의 궤적을 직각으로 분할하는 632.8 nm 레이저 빔으로 탐색된다. 입자군으로부터 산란된 레이저 광이 역 푸리에 렌즈 조립체를 사용하여 광증배관 검출기 소자의 동심 어레이 상으로 촬상된다. 산란된 광은 5 ms의 분할 시간에서 획득된다. 입자 크기 분포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산란 광/강도 분포로부터 역계산된다.
"질량 중앙 공기역학적 직경" 또는 "MMAD"는 분산된 입자의 공기역학적 크기의 척도이다. 공기역학적 직경은 에어로졸화된 분말을 그의 침전 거동의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공기 중에서 입자와 동일한 침전 속도를 갖는 단위 밀도 구의 직경이다. 공기역학적 직경은 입자 형상, 밀도, 및 입자의 물리적 크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MMAD는 시험되는 장치를 사용하여 표준 조건(20℃; 40% RH)에서 케스케이드 충격에 의해 결정되는 에어로졸화된 분말의 공기역학적 입자 크기 분포의 중간점 또는 중앙값을 말한다.
"미세 입자 분획"은 5 미크론(㎛) 미만인 공기역학적 직경을 구비한 입자의 분획을 말한다. 규정되는 경우에, 미세 입자 분획은 또한 3.3 미크론 미만인 공기역학적 직경을 구비한 입자의 분획을 말할 수 있다.
"미세 입자 투여량"은 5 미크론(㎛) 미만인 공기역학적 직경을 구비한 입자의 양이다. 규정되는 경우에, 미세 입자 투여량은 또한 3.3 미크론 미만인 공기역학적 직경을 구비한 입자의 양을 말할 수 있다.
"리셉터클"은 용기이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은 단위 투여량 리셉터클일 수 있거나, 복수의 투여량을 갖는 저장소일 수 있다. 단위 투여량 리셉터클의 예는 블리스터 팩 및 캡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은 흡입기 장치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 있거나, 리셉터클은 흡입기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리셉터클은 전형적으로 포일-플라스틱 라미네이트와 같은, 파열, 예컨대 제어된 파열을 허용하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한다.
"파열"은 당겨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료가 블레이드의 선단날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당겨져 분리되는 한, 블레이드가 그 재료를 파열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절단"은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블레이드의 선단날이 절단되는 재료와 접촉하도록,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재료를 절단할 수 있다.
원추형 세그먼트(PQ)의 "rho" 치수는 원추의 형상을 정의한다 (도 179 참조). rho 치수는 현(PQ)으로부터 지점(C)을 통해 정점(R)까지의 벡터를 따른 비율을 규정한다. 지점(C)은 현(PQ)으로부터 원추형 세그먼트(PQ)까지의 법선에 의해 측정된, 최대 거리(CD)에 있다. rho는 a/(a+b)이다.
절단기 메커니즘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재료를 절단 또는 파열시키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은 절단 또는 파열이 필요한 임의의 용도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음식물 포장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메커니즘은 벽 내에서 천공을 일으키고 벽의 제어된 파열을 일으킴으로써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때 파열은 벽의 파열된 모서리를 내측으로 구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2 참조). 본 발명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메커니즘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 24-27, 및 114-123 참조). 리셉터클은 분말을 담은 통에 걸쳐있는 포일을 사용하여 수분에 대해 밀봉되는 1차 약물 포장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8-111 참조). 분말을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효과적인 방식으로 방출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제어된 방식으로의 포일의 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어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인 치형부 형상인 부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6-127 참조).
제어된 천공을 수행하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은 대체로 먼저 (예컨대, 치형부를 포장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포장을 치형부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포장과 맞물리도록 이동한다. 양호하게는, 리셉터클은 장치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지 않고) 정지되어 유지되고, 대신에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이 리셉터클이 천공되는 하부 위치로, 그리고 또한 상부 또는 후퇴 위치로 수직으로 이동한다. 이 러한 이동 정도는 포장의 포일이 천공되게 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이는 대체로 포일이 국소적으로, 즉 치형부의 주변에서, 소성 변형에 저항하는 그의 능력을 넘어 신장될 때 발생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치형부는 포일을 천공 또는 파열시키고, 파열된 모서리가 내측으로, 즉 리셉터클의 통 속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파열된 모서리 또는 플랩은 외측으로 구부러지거나, 하나의 모서리 또는 플랩은 내측으로 가고 다른 것은 외측으로 간다. 치형부의 관통 깊이가 유지되면, 치형부는 그 다음 임의의 기하학적 패턴으로 포일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치형부의 측면 선단날은 본질적으로 포일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치형부는 원호형 움직임으로 원하는 원호각만큼 이동된다. 원호각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또는 180°와 같은, 적어도 약 90° 이상이고, 50° 내지 300°, 60° 내지 250°, 70° 내지 200°, 또는 80° 내지 150°와 같은, 예컨대 40° 내지 350°의 범위일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이상적인 것은 포일의 중심 부분이 헐거워지는 것을 제외한, 완전한 360° 절단/파열이다. 전형적으로, 목표는 리드스톡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에만 충분하게, 절단/파열부를 가능한 한 길게 만드는 것이다. 몇몇 경우에, 공급 튜브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스포크형 부재 위로 블레이드를 상승시킬 필요도 있다. 원호형 절단부 또는 회전형 파열부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상이한 형상의 절단/파열부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는 선형 절단/파열부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126-127은 그러한 치형부 움직임을 도시하고, 도 102 는 도 126-127에 도시된 유형의 2개의 치형부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원호형 입구 개방부를 도시한다.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은 선형 또는 곡선 방식으로 후퇴되거나 포장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포장 또는 리셉터클 내에 하나 이상의 원호형 입구 개방부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개방부(들)의 파열된 모서리는 내측으로, 즉 리셉터클 내로 구부러져서, 리셉터클이 이후에 장치를 사용하여 소기될 때 모서리가 리셉터클 내로의 공기의 유동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천공 시스템은, 예를 들어 포일 내로 하강하고, 포일 내에 개방부를 절단하고, 그 다음 소기 중에 제 위치에 체류하는 절단기 메커니즘에 비해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천공 시스템의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회전을 인지하지만, 내부에서 발생하는 절단기 메커니즘의 텔레스코핑은 인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덜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유형의 장치 내에서, 특히 본원에서 개시되는 장치의 다른 특징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디스크할러 및 디스커스에서 사용되는 유형의 절단기/개방 시스템(예컨대,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된, 미국 특허 제4,811,7310호; 제5,035,237호; 및 제5,590,645호 참조)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절개 효과를 사용하여 포일 내에 하나 이상의 원호형 입구 개방부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포일의 제어된 파열을 생성하고, 절단 또는 파열된 모서리를 포장 내로 구부린다. 원호형 및 다른 절단/파열부에 대해, 치형부는 매우 매끄러운 모서리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포일을 관통하여 분리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모서리는 1.2 미만과 같은, 1.5 이하의 하우스도르프(Hausdorff)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절단/파열의 다른 장점은 헐거운 포일 또는 포일 입자가 잠재적으로 떨어져 나가서 장치의 약물 경로로 진입하고 가능하게는 사용자의 폐로 진입할 기회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치형부는 본질적으로 포일 내에 (실질적으로 재현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의 개방부를 생성하는) 일관되고 정밀한 파열을 생성하고, 이는 또한 장치의 에어로졸 성능에 있어서 전체적인 가변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이는 또한 포일 내의 개방부(들)이 공기 유동을 약물 포장 내로 더 효율적으로 허용 및/또는 유도함으로써 블리스터 또는 리셉터클의 효과적인 소기에 있어서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 치형부 형상의 천공 부재를 형성하는 다른 장점은 그러한 형상이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은 큰 일관성을 가지고,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고체적 제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치형부 형상은 사출 성형 공구의 인발 라인 내에 있도록 될 수 있고, 이는 더 간단하고 더 일관된 구성요소 제조를 생성한다. 치형부 형상의 비제한적인 예가 2개의 치형부를 갖는 절단기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 124-127에 도시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천공이 먼저 발생하고, 파열이 뒤따르지만, 이러한 작용들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원하는 개방부가 원하는 형상을 생성하는 단일 천공 이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공 및 파열은 선단날을 절단 또는 파열되는 재료 내로 하강시키며, 동시에 절단 또는 파열 원호를 통해 이동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본질적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형부가 절단 또는 파열되는 재료, 예컨대 포일을 통해 절단 또는 파열시키는 평면에서의 치형부의 형상은 (그가 파열시키지 않고 절단하지만, 시간에 걸쳐 마멸을 받는) 너무 예리하지 않은 것과 (그가 절단 또는 파열되는 재료 내에 제어되지 않는 파열부를 생성하는) 너무 무디지 않는 것의 균형이다. 예를 들어, 치형부의 타원형 선단날은 0.2 내지 0.9, 0.3 내지 0.8, 또는 0.4 내지 0.7과 같은, 0.1 내지 1.0의 rho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형상은 제조가 간단하고, 절단 또는 파열되는 재료, 예컨대 포일 리드스톡 내에 일관되고 정밀한 개방부를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형상은 또한 표준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때에도, 장치에 대해 긴 사용 수명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강건하다. 다시, 파열을 일으키기 위한 라운딩된 선단날을 갖는 치형부 형상을 도시하는 도 126-127을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치형부는 양방향 절단 또는 파열을 허용하도록 2개의 선단날을 갖는다.
회전식 절단 또는 파열을 위해, 치형부의 배향이 최적화되었다. 예를 들어, 치형부의 요잉각(yaw)은 전형적으로 중심으로부터 0-12°, 4-10°, 6-8°의 범위이다. 치형부의 요잉각이 중요하지 않지만, 요잉각이 이상적으로 중심으로부터 6-8°라는 발견은 놀라운 결과이다. 요잉각이 이러한 이상적인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파열부는 일 측면 상에서 더 주름지는 경향이 있다.
치형부는 대략 반구형 형상인 통을 덮는 포일-플라스틱 라미네이트 뚜껑을 갖는 약물 포장 리셉터클에서 특히 유용하다. 그러한 리셉터클의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6,668,827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명확하게 참조되었다. 리셉터클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가 도 108-111에 도시되어 있다. 약물 포장의 상부는 대체로 평탄하고, 그의 상부 표면 위에서 포일 리드스톡으로 밀봉된다. 약물 포장 리셉터클은 장치 내로 삽입되고 (예컨대, 도 4 및 104-107 참조), 장치는 회전 운동이 장치의 2개의 반부 또는 하우징 부분에 인가될 때 약물 포장을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조작된다 (예컨대, 도 5 참조). 장치의 구동은 포일 리드스톡 내에 여러 구멍을 생성한다 (예컨대, 도 102 참조). 공기 입구 개방부가 형성되어 주위 공기가 약물 포장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예컨대, 도 102의 2개의 원호형 개방부). 출구 개방부가 또한 형성되어 약물 혼입 공기가 약물 포장을 진출하도록 허용한다 (예컨대, 도 102의 중심 개방부).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은 약물 포장 내로 예컨대, 신속하게 하강한 다음 원호를 통해 이동하고, 그 다음 약물 포장으로부터 완전히 후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원호형 공기 입구 개방부를 절단 또는 파열시키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사용자가 장치의 하나의 하우징 부분을 다른 하우징 부분에 대해 회전시킬 때 장치 내에서 발생한다. 도 5는 이것이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의 형상은 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특정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치형부(들)의 팁은 그가 약물 포장 내로 하강할 때, 치형부가 포일을 충분히 관통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첨단이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24 참조). 치형부의 본체는 포일과의 상호 작용의 예상 범위에 걸쳐 일정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26-127 참조). 치형부의 본체의 선단날은 바람직하게는 날이 예상치 못하게 마모되어 찌꺼기를 생성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너무 예리하지 않아야 한다. 치형부의 선단날은 또한 치형부가 포일을 통해 이동할 때 치형부가 포일을 뭉치게 하지 않으면서 절결하도록 보장하는 소정의 무딘 부분(예컨대, 도 126-1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운딩된 구성)을 가져야 한다. 치형부의 본체의 폭은 포일 내에 원호형 개방부의 원하는 폭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에 대한 밀리미터 단위의 비제한적인 크기 치수 및 형상이 도 124-127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형부 형상은 또한 사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으로부터 성형되도록 설계된다.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을 예컨대, 플라스틱 내에서 지지 부재 (즉, 치형부를 지지하는 부재)와 함께 성형하는 능력은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을 다른 부재 내에서 별도로 고정시키고 정렬할 필요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고체적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플라스틱의 사용 및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을 다른 부품 내로 통합하는 능력은 또한 장치에 대해 더 일관된 성능 및 더 낮은 비용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치형부 형상은 또한 임의의 측면 당김 및 사출 성형 설계에 대한 다른 복잡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공구는 그의 사용 수명에 걸쳐 유지, 보수를 덜 요구할 것이다. 그러한 치형부를 갖는 지지 부재 또는 절단기 메커니즘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53-59 및 124-125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또는 절단기 메커니즘은 포일과 같은, 박층, 시트, 또는 필름을 절단 또는 파열시키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WO 2004/110539호, WO 03/086515호, WO 03/086516호, WO 03/086517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79356호 및 제2007/0068524호에 개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 상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명확하게 참조되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설명되는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 예컨대 플라스틱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과 같은 그의 일부)는 WO 2004/110539호에 설명되어 있는 흡입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과 같은 그의 일부는) 또한 WO 03/086515호에 설명되어 있는 흡입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예컨대 포일을 파열시킴으로써 분말을 담고 포일 뚜껑을 갖는 리셉터클을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을 사용하는, 포일 절단기(WO 03/086515의 참조 번호 11)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 예컨대 플라스틱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과 같은 그의 일부)는 또한 WO 03/086516호에 설명되어 있는 흡입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예컨대 포일을 파열시킴으로써 분말을 담고 포일 뚜껑을 갖는 리셉터클을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을 사용하는, 포일 절단기(WO 03/086516호의 참조 번호 11)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 예컨대 플라스틱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과 같은 그의 일부)는 아울러 WO 03/086517호에 설명되어 있는 흡입기 내에서도 사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예컨대 포일을 파열시킴으로써 분말을 담고 포일 뚜껑을 갖는 리셉터클을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을 사용하는, 포일 절단기(WO 03/086517 호의 참조 번호 11)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원에서 개시되는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과 같은 그의 일부)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79356호에 설명되어 있는 흡입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예컨대 포일을 파열시킴으로써 분말을 담고 포일 뚜껑을 갖는 리셉터클을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을 사용하는, 미국 특허 출원 제2005/0279356호에 개시되어 있는 포일 절단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원에서 설명되는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과 같은 그의 일부)는 미국 특허 출원 제2007/0068524호에 설명되어 있는 흡입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예컨대 포일을 파열시킴으로써 분말을 담고 포일 뚜껑을 갖는 리셉터클을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을 사용하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68524호에 개시되어 있는 포일 절단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치형부 또는 치형부들과 같은 그의 일부)는 다음의 문헌들 중 임의의 하나에 설명되어 있는 유형의 흡입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360,744호; 제6,422,236호; 제6,436,227호; 제6,526,969호; 제6,881,398호; 제6,868,853호; 제6,840,239호; 제6,622,723호; 및 제6,651,341호.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명확하게 참조로 통합되었다.
상기에 비추어,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기판 부재 상으로 장입된 미세 분할 건조 약품 분말의 입자를 분리하여 공기 분산시키기 위한 장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분말은 노즐 출구, 노즐 입구, 및 이용 가능한 분말에 인접하게 위치된 노 즐 입구 개구를 구비한 노즐을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한 흡입에 대해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공기의 흡입은 노즐 출구에 적용될 때, 노즐 입구 개구를 내로 그리고 노즐 출구를 통한 외부로의 국소적인 고속 공기 스트립을 생성한다. 상대 이동은 노즐과 분말 사이에서 기판 부재 상으로 도입될 때, 노즐 입구 및 노즐 입구 개구 내로 들어가는 국소적인 고속 공기 스트림이 이용 가능한 약품 분말을 횡단하도록 배열되고, 분말은 방출 및 분산된다. 미세 분할 약품 분말 내의 입자 응집물은 노즐 입구 개구 내로 들어가는 국소적인 고속 공기 스트림 내의 전단 응력, 관성, 및 난류를 받음으로써 분리되고, 미세 분할 약품 분말의 입자들은 노즐 및 분말이 서로에 대해 이동될 때, 이용 가능한 분말이 국소적인 고속 공기 스트림에 의해 점진적으로 접근됨에 따라 공기 내로 점진적으로 분산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절단기 메커니즘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절단기 메커니즘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부, 예컨대 세척 장치, 트리거, 오리피스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단기 메커니즘의 흡입 이전의 천공, 충돌, 및 제거에 반하여, 다른 유용한 절단기 메커니즘 작동은 (1) 천공 및 후퇴; (2) 천공 및 흡입 중의 제 위치에서의 유지; 및 (3) 천공, 회전, 및 흡입 중의 제 위치에서의 유지를 포함한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보다는, 절단기 메커니즘은 와이어 재질로, 또는 금속 사출 성형, 판금속 스탬핑, 또는 판금속 스탬핑 및 연삭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세척 장치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튜브를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한 임의의 용도에서 사 용될 수 있는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는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되고 그리고/또는 그를 세정하도록 구성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공급 튜브는 공기 유동을 리셉터클의 출구 개방부로부터 흡입 장치의 출구 또는 마우스피스 개방부를 향해 유도하는 튜브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그러한 장치는 특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예컨대, 도 108-111에 도시된 유형의) 분말을 담는 통에 걸치는 포일을 사용하여 수분에 대해 밀봉될 수 있는 1차 약물 포장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분말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방출시키기 위해, 이러한 포일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개방부에서 천공된다. 이러한 제어는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천공 및 세척 장치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에서, 유동 경로 (및 특히 내부의 임의의 제한부)가 특히 습한 상태에서, 분말로 막히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제한부는 약물이 1차 약물 포장, 즉 리셉터클을 진출하여 장치 내로 도입되는 지점에 존재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막는 것은 장치의 에어로졸 성능에 대해 해로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세척 장치는 따라서 약물 경로, 즉 에어로졸화된 분말 약품을 위한 경로가 막히지 않게 유지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장치의 각각의 구동 시에 공급 튜브를 능동적으로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는 공급 튜브와 접촉함으로써 세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는 예컨대, 0.15 mm 이내 또는 0.1 mm 이내와 같은, 0.2 mm 이내의 거리로, 표면과의 접촉을 회피하거나 표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막힘을 방지하거나 제한하기에 충분한 거리와 같이, 공급 튜브의 표면 바로 위에서 활주함으로써 세척한다. 접촉을 회피함으로써, 마찰이 덜 발생하고, 장치는 전형적으로 더 원활하게 작동한다. 세척 장치는 또한 리셉터클 내에 출구 구멍 또는 개방부(예컨대, 도 102의 중심 출구 개방부 참조)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예컨대 블리스터 팩 내의 출구 구멍의 장치 내의 약물 진출 튜브와의 잠재적인 오정렬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장치는 장치의 각각의 구동 시에 (예컨대, 장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될 때마다) 약물 경로의 능동적인 세척을 제공한다. 약물 경로를 항상 막히지 않게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장치는 장치의 유효 수명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분말의 유형에 의존하여, 유효 수명은 70 내지 200회, 80 내지 150회, 또는 90 내지 110회와 같은, 50 내지 400회의 범위일 수 있다. 사용 빈도에 의존하여, 이는 적어도 2개월, 적어도 6개월, 또는 적어도 1년과 같은, 적어도 1개월의 유효 수명을 생성한다. 이는 사용자, 예컨대 환자에 대해 더 큰 편의성을 생성하고, 연간 치료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약물 경로 (및 특히 그의 가장 제한된 부분 또는 경로의 가장 막히기 쉬운 부분)이 각각의 구동 시에 세척되기 때문에, 장치를 통한 압력 강하 (및 그의 전반적인 성능)은 장치의 수명에 걸쳐 거의 변하지 않고, 즉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예를 들어, 장치의 수명, 예컨대 200회에 걸쳐, 압력 강하는 보통 1% 미만 또는 0.5% 미만과 같은, 2% 미만으로 변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112는 세척 장치가 공급 튜브의 내부를 세척하고 후퇴 위치를 취한 후의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를 통 한 공기/분말 유동을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흡입 장치에 비해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특정 흡입 장치가 막히기 쉽고, 시간에 따라 성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된다.
세척 장치는 또한 1차 약물 포장 내에 출구 구멍(예컨대, 도 102의 중심 개방부 참조)을 개방하는 추가의 기능을 제공하여, 그의 약물 진출 튜브와의 동심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장치는 천공 및 세척 장치로서 기술될 수 있다. 튜브에 대한 구멍의 동심성이 약물 포장과 장치 사이의 결합 효율을 증가시키므로, 세척 장치는 이러한 동심성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세척 장치는 와이어폼,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와이어 와이어폼과 같은 금속 와이어폼일 수 있다. 하나의 단순한 와이어폼, 예컨대 구부러진 와이어(예컨대, 도 51 및 52 참조)를 이용함으로써, 장치는 장치의 총 부품 수가 최소화되도록 보장하면서, 복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비용에 있어서 대응하는 감소를 생성한다. 당연히, 세척 장치는 또한 성형 플라스틱과 같은 성형 부재일 수 있고, 예컨대 (예컨대, 도 53-59 및 124-125에 도시된 유형의) 공급 튜브 또는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예컨대, 도 66-72에 도시된 유형의) 하부 베어링 부재와 같은 장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특징부) 중 하나와의 단일편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세척 장치는 설계가 단순하고, 하나의 대체로 U-형상 또는 대체로 V-형상의 (또는 이들의 조합의) 와이어폼 부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천공 및 세척 장치가 도 51-52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장치의 구동 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 (또는 그의 부 품)의 이러한 적어도 부분적인 회전은 사용자가 임의의 다른 단계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장치를 구동하거나 (그의 이동을 일으키도록) 역할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내부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한 구동 속도 또는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다. 메커니즘 자체가 얇은 와이어로서 단순할 수 있고, 따라서 이는 장치를 통한 유동에 대해 임의의 상당한 저해를 제공하지 않는다. 장치는 와이어 (또는 원형 와이어)로 제한되지 않고, 장치가 본원에 기재되어 있는 장점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으면,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은 복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적어도 장치의 각각의 구동 시에 약물 경로의 적어도 일부의 능동적인 세척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포일-플라스틱 라미네이트 뚜껑 및 형상이 대체로 반구형인 통을 이용하는 약물 포장일 수 있다. 다시, 도 108-111은 그러한 리셉터클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약물 포장의 상부는 평탄할 수 있고, 통은 그의 전체 상부 표면 위에서 포일 리드스톡에 의해 밀봉된다. 그러한 약물 포장은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예컨대, 도 4 참조)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장치는 예컨대 회전 운동이 장치의 2개의 부분에 인가될 때 약물 포장의 개방을 자동으로 일으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구동은 치형부가 포일 리드스톡 내에 여러 구멍을 생성하도록 허용하고, 이에 의해 공기 입구 개방부를 형성하여 주위 공기가 약물 포장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세척 장치는 리드스톡 내에 출구 개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그 다음 공기가 약물 포장을 진출하는 약물과 혼입되도록 허용한다. 출구 개방부는 전형적으로 혼입된 유동을 장치 내로 유도하는 공급 튜브 바로 아래에 배열된다. 따라서, 출구 구멍을 형성하는 동일한 장치가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을 세척하도록 역할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102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형의 천공 및 세척 장치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원호형 입구 개방부 및 중심 출구 개방부를 갖는 리드스톡을 도시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세척 장치는 장치의 각각의 구동에 의해, 예컨대, 약 180° 회전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구동 운동이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세척 장치는 또한 그가 회전 운동을 처음으로 경험하는 도중에 또는 그 후에, 예컨대 약 2 mm만큼, 하강 (예컨대, 공급 튜브 내에서 리드스톡을 향해 선형 및/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후퇴 (예컨대, 리드스톡으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루프의 수직 측면들은 구부러진 단부, 예컨대 만곡된 단부가 리셉터클, 예컨대 블리스터 팩 또는 약물 포장의 중심을 관통하는 동안 공급 튜브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루프가 회전함에 따라, 리셉터클, 예컨대 약물 포장 또는 블리스터 팩의 초기 관통부는 대체로 원형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원형 구멍이 초기 관통 및 뒤따르는 충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 튜브는 블리스터 팩에 대해 이동하지 않아서, 와이어 루프의 운동에 대한 안내부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이는 공급 튜브에 대한 리드스톡 내의 구멍의 동심성 (즉, 축방향 정렬)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루프 및 블리스터/공급 튜브의 제어된 상대 이동은 세척 및 블리스터 개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세척 장치는 도 66-72에 도시되고 상부 및 하부 단부(100n, 100s)를 각각 갖는 하부 베어링 부재의 공급 튜브의 내부를 세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 직경은 리셉터클 내에 구멍 또는 개방부를 적절하게 형성하고, 또한 후퇴될 때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을 상당히 차단하지 않으면서 세척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는 리드스톡 내에서 제어되지 않은 파열을 전파시키지 않도록 직경이 너무 작게 만들어지지 않아야 하며, 공급 튜브를 통한 공기 유동을 차단하도록 너무 크게 만들어지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는 0.022 인치 내지 0.044 인치 또는 0.024 인치 내지 0.034 인치와 같은, 0.020 인치 내지 0.054 인치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의 직경은 가능한 굽힘 반경에 영향을 준다. 전형적으로, 와이어의 반경에 대한 굽힘부의 반경의 비율은 1.5 이하이다. 도 112는 세척 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의 공급 튜브를 통한 유동을 도시한다.
충격 또는 리셉터클 충격 장치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충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격 장치는 충격이 필요한 대부분의 임의의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장치는 분말을 파쇄하기 위해 충전 공정 중에 직렬의 리셉터클들에 충격을 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장치는 특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흡입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1-9, 24- 27, 및 128-138에 도시되어 있다. 리셉터클은 (예컨대, 도 108-111에 도시된 유형의) 분말을 담는 통에 걸쳐 있는 포일을 사용하여 수분에 대해 밀봉되는 1차 약물 포장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 내에 배열된 분말을 더 분산 가능한 분말로 파쇄시킬 때 특정 용도를 갖는다. 블리스터 팩 리셉터클 내의 분말은 블리스터 팩이 개방되기 전에 블리스터 팩에 예리한 충격이 가해지면, 더 쉽게 분쇄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오프라인 충격 메커니즘에서의 연구에 기초하여, 충격 에너지는 전형적으로 0.007 내지 0.085 J 또는 약 0.005 J 초과와 같은, 0.017 내지 0.025 J의 범위이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장치는 블리스터 팩에 그러한 충격을 제공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그러한 충격 장치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장치 상에서 사용될 때, 충격은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장치와 같은 흡입 장치 상에서 사용될 때, 충격 장치는 소형일 수 있고, 장치 부품 수에 대한 단지 2개의 추가 구성요소, 즉 비틀림 스프링 및 충격 부재를 구비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이들 장치들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수행하는 단일 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블리스터 팩 상에서의 충격의 수준은 최대 효과를 제공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은 너무 가볍지 않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없다. 이는 또한 다른 위치보다도, 충격 위치로부터의 블리스터 팩의 대향 표면 상에서 분말이 압축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무겁지 않아야 한다.
충격 장치는 고체적 제조와 양립 가능한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장치 내로 쉽게 조립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예컨대 이는 수직 축으로 조립될 수 있고 - 즉 (고체적 자동화 조립과 양립 가능한) 일축 조립 -, 특수한 조정을 요구하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복원을 요구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장치는 명확히 동일한 상태에서 그의 운동을 시작 및 종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복원을 요구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복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는 잘못된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종료 (즉, 복원되지 않는) 경향이 덜할 것이다.
충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단순하고 조립이 쉽게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장치 내로의 그의 삽입 시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동시에 올바른 블리스터 삽입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충격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에 기초하여 완전하고 적절하게 삽입된 리셉터클의 음향을 인식하게 될 수 있다). 블리스터 팩을 삽입하는 작용은 또한 장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동력을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를 편위시키는 스프링이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약간 응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한 스프링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94에 도시되어 있다. 충격 장치는 전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장치 내로의 블리스터 팩의 이동(예컨대, 도 4 및 104-107 참조)은 그 다음 장치를 구동하고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기계적인 장점을 가능케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금속 스프링과 같은 추가의 장치에 대한 필요를 제거할 수 있고, 이는 특히 고체적 제작 시에, 재료 비용 및 조립 비용의 절감을 제공한다. 스프링에 대한 요 건은 조립 시에 다른 부품 내로 통합되는 성형 플라스틱 빔과 양립 가능하고, 따라서 부품 수의 전체적인 증가는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금속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장치를 복원시킬 필요의 결여는 장치의 작동 시에 잠재적인 고장 모드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충격 장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서 돌출하는 중심 축을 구비한 3-로브형 휠일 수 있다. 그러한 3-로브형 휠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88-92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 내에 설치될 때, 휠은 장치의 바닥 표면 또는 그의 일부로부터 돌출하는 리브(예컨대, 도 95-98의 리브(160e))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 내의 슬롯이 휠의 축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구속 또는 제한할 수 있고, 또한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휠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슬롯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스프링이 3-로브형 휠의 편위를 상방으로 일으키도록 축의 각각의 측면을 편위시키도록 위치된다. 도 19는 휠이 리브의 슬롯에 장착되어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편위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휠의 2개의 로브는 또한 장치 내의 블리스터 팩 삽입 슬롯의 상부와 동일한 평면 내에 있는 수평 표면에 대해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보면, 휠은 대체로 "Y"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04 참조). 블리스터 팩이 장치 내로 삽입됨에 따라, 블리스터 팩의 선단날은 휠의 로브들 중 하나와 접촉하여, 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05-107 참조).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휠의 각각의 로브는 단부에서 노치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장치 내로 삽입될 때 블리스터 팩의 선단날을 포착한다 (예컨대, 도 115 참조).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휠의 각각의 로브는 장치 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의 통의 만곡된 전방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4 참조). 그럼에도, 블리스터 팩의 장치 내로의 추가의 활주가 휠을 회전시킨다 (도 105-107 및 116-119 참조). 횔이 회전함에 따라, 접촉된 로브의 단부는 블리스터 팩 또는 리셉터클과 함께, 블리스터 삽입 슬롯 위에서 수평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휠은 스프링(예컨대, 도 94에 도시된 유형의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편위된다. 결과적으로, 휠은 하방으로 또는 수평 표면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운동은 축이 보유 슬롯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안내된다. 축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은 압축된다. 스프링의 최대 압축은 3-로브형 휠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뒤집힌 "Y"를 닮을 때 발생한다 (예컨대, 도 106 및 116 참조).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위치는 40% 내지 60%와 같은, 대략 50% 블리스터 삽입에 대응할 수 있고, 즉 휠은 블리스터 팩이 장치 내로 절반이 삽입될 때 뒤집힌 "Y"를 닮을 것이다. 리셉터클의 추가의 삽입 이동은 충격 장치가 신속하게 중심을 넘어가게 한다 (예컨대, 도 117 및 118 참조). 즉, 블리스터 팩이 절반 삽입될 때 대략의 수직 위치로 이동한 로브는 스프링의 편위 작용으로 인해 그가 수직 위치를 지나 회전할 때, 자동으로 신속하게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할 것이다. 이는 스프링 에너지의 갑작스런 해제를 생성하고, 이는 결국 휠의 인접한 로브가 블리스터 통의 바닥에 신속하게 충격을 가하 게 한다 (예컨대, 도 118 참조). 블리스터 통에 부여되는 에너지의 수준은 대체로 스프링력에 의존한다. 따라서, 에너지는 원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설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장치가 휴지 상태이거나 흡입 중에 있을 때, 스프링은 11.35 mm 압축된다. 장치가 절단 또는 파열시키고 있을 때, 스프링은 13.85 mm 압축된다. 스프링의 자유 길이는 공칭 19.05 mm이고, 스프링 계수는 1.89 N/mm이다. 이는 공칭 스프링력이 휴지 시에 14.5 N, 절단 또는 파열 중에 16 N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휴지 시의 스프링력은 전형적으로 11 N 내지 15 N 또는 12 N 내지 14 N과 같은, 10 N 내지 16 N의 범위이다. 절단 또는 파열 중의 스프링력은 전형적으로 8 N 내지 10 N과 같은, 7 N 내지 11 N의 범위이다.
충격 장치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장치로부터의 리셉터클의 제거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7 참조). 3-로브형 휠을 이용함으로써, 블리스터 팩의 제거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는 3-로브형 휠이 통이 활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너무 많이 회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휠 상의 3개의 로브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만듦으로써, 장치는 리셉터클이 삽입될 때마다 휠이 120° 회전하더라도, 초기 시작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서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충격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복원이 필요치 않고, 충격 장치가 항상 다른 또는 새로운 리셉터클의 삽입을 위해 준비되도록 보장한다.
충격 메커니즘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는 쌍안정 스프링 형태, 스프링 부하식 마우스 트랩형 메커니즘, 및 진동을 유도하기 위한 블리스터 상의 엠보싱된 리지를 포함한다.
잠금 시스템 또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잠금 장치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잠금이 필요한 대부분의 임의의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시스템은 흡입기 장치가 리셉터클의 삽입 중에 잠기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한 가지 장점은 치형부가 (관통 및 파열시키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의 포일 리드스톡 대신에 더 강성 및/또는 더 두꺼운 리셉터클의 부분 내로 하강하면 발생할 수 있는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의 치형부에 대한 가능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추가로, 그러한 장치는 리셉터클의 단지 하나의 소정 형상, 예컨대 블리스터 팩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부적절한 약품이 장치 내로 삽입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장치는 특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흡입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1-9, 24-27, 114-123 및 128-138에 도시되어 있다.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도 108-111에 도시된 유형의) 분말을 담는 통에 걸치는 포일을 사용하여 수분에 대해 밀봉되는 1차 약물 포장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장치는 1회 사용 리셉터클, 예컨대 블리스터 팩을 이용하여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방법에서 사용될 때 특정 용도를 갖는다.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소정 구성의 리셉터클이 장치 내로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으면, 장치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는 환자가 성공적으로 투약받을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리셉터클 잠 금 시스템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이 장치 내로 삽입되지 않을 때, 장치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리셉터클을 낭비하지 않으면서 장치의 작동과 친숙해지도록 허용할 수 있다. 소정 구성의 리셉터클이 장치 내로 적절하게 그리고/또는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으면,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이 장치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도 고려된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는 다음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 블리스터 팩이 장치 내로 삽입되는 동안 (예컨대, 도 4 참조), 리셉터클 잠금 장치의 인터로크 핀을 구비한 스프링 부하식 아암들이 블리스터 팩의 각진 모서리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아암들이 벌어지고,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잠금 장치는 장치의 사용 및/또는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고, 즉 이는 도 5에 도시된 유형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잠금 장치는 마우스피스의 다른 하우징 부품에 대한 회전과 같은 장치의 부품들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블리스터 팩이 기본 또는 완전 삽입 위치에 도달하면, 인터로크 핀은 리셉터클의 측면들 상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 예컨대 도 108-111의 절결부(170g)와 맞물린다. 이러한 시점에서, 아암들은 풀림 위치로 이동하고, 이는 사용자가 장치를 활성화 또는 사용하도록 허용할 것이고, 예컨대 마우스피스가 그 다음 장치의 하반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예컨대, 도 5 참조). 비제한적인 예로서, 잠금 장치는 도 84-87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
상기에 비추어,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리셉터클 자체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의 버전에서, 리셉터클은 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블리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포일 라미네이트 및 하부 포일 라미네이트를 덮는 상부 포일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3개의 직교하는 측면들을 갖는 후방 부분, 노치를 포함하는 중간 부분, 및 테이퍼형 전방 부분을 포함한다. 노치는 전술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된 미국 특허 제5,589,275호 및 제6,270,86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포일은 예컨대 알칸 인크.(Alcan Inc.: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얼)로부터 구입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리셉터클이 복수의 리셉터클을 유체화 위치를 지나 운반하는, 연속 웨브(예컨대, 스트립 또는 디스크)를 전진시키기 위한 메커니즘 내에 지지되는 배열을 고려한다. 그러한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가 미국 특허 제6,606,992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내용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명확하게 참조로 통합되었다.
트리거 밸브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트리거 또는 트리거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트리거는 리셉터클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이 밸브를 통과하도록 리셉터클과 마우스피스의 출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트리거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44-47에 도시되어 있다.
트리거의 한 가지 기능은 일관되고 균일한 투여를 보장하는 것이다. 트리거를 개방하기 위해, 임계 진공 압력이 인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임계 진공 압 력은 보통 적어도 약 15 cm H2O 또는 적어도 25 cm H2O이고, 전형적으로 15 cm H2O 내지 40 cm H2O, 18 cm H2O 내지 30 cm H2O, 또는 24 내지 30 cm H2O와 같은, 10 cm H2O 내지 50 cm H2O의 범위이다. 따라서, 장치를 통한 초기 유량은 환자내 및 환자간 변동성에 대해 일관된다. 따라서, 트리거는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트리거는 또한 올바른 흡입을 표시하는 청각적 및 촉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트리거의 다른 기능은 분말을 분쇄하는 것이다. 분말의 분쇄는 미세 입자 분획을 증가시키고, 폐 내에 침착되는 양을 증가시킨다.
트리거의 또 다른 기능은 환자 역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환자 역류를 감소시키는 것은 장치의 청결도를 증가시킨다.
트리거는 전형적으로 자동으로 폐쇄 또는 자가 폐쇄되고, 이는 트리거를 복원시킬 필요를 제거한다. 진공이 제거되면, 즉 환자가 흡입을 멈추면, 트리거는 그의 원래의 위치로 다시 편위된다. 밸브는 보통 4 cm H2O 미만 또는 3 cm H2O 미만과 같은, 5 cm H2O 아래의 밸브 압력 강하에서 복원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트리거는 또한 자가 세척식이다. 트리거의 개방 및 폐쇄는 분말이 그 위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트리거의 쇼어 A 경도는 보통 30 내지 50 또는 35 내지 45와 같은, 20 내지 60의 범위이다.
밸브의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5,213,236호; 제5,377,877호; 제 5,409,144호; 제5,531,363호; 제5,839,614호; 제6,065,642호; 제6,079,594호; 제6,273,296호; 제6,405,901호; 제6,951,295호; 및 제7,086,57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00030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이들은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되었다. 적합한 밸브는 예컨대 리퀴드 몰딩 시스템즈(Liquid Molding Systems: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로부터 구입 가능하고, 많은 이들 밸브가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된, www.siliconelms.com의 웹사이트 상에서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장치
본 발명이 전술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 예컨대 절단기 메커니즘,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리셉터클 잠금 장치 또는 시스템, 리셉터클, 및 트리거를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와 같은 장치 내에서 또는 상에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만, 그러한 특징부들은 또한 다양한 장치 내에서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형의 장치 내에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절단기 메커니즘은 상이한 재료들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당업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접근법들 중 많은 것이 복수의 투여 유닛을 포함하는 리셉터클로부터의 분말화된 약제의 미리 선택되고 계량된 양(볼루스), 즉 단일 리셉터클 내에 담긴 "다량" 분말의 분산 및 전달에서의 용도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트리거, 충격 메커니즘, 및 세척 장치는 저장소 장치와 함께 작동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효율적이고 반복 가능한 분말 유체화 및 분쇄를 위한 배열이 공기 유동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흡입 노력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 내에서의 폐 침 착의 향상된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한 배열과 조합되는, 건조 분말 약제의 폐 전달에 관한 것이다.
수동 DPI(건조 분말 흡입기)는 폐 경로, 전달 장치(즉,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형의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전달되는 분말을 포함하는 사람-기계 시스템이다. 흡입 노력을 통해 장치에 동력을 공급하는 사용자는 최고 변동성의 공급원이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분말 에어로졸화를 위해 제공되는 에너지 및 에어로졸화된 분말의 폐로의 유량이 좁은 범위 내에서 제어되도록 사용자의 흡입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 장치의 한 가지 목적은 전달되는 투여 크기 및 에어로졸 품질에 있어서 분말 약제를 일관되게 에어로졸화하는 것이다. 분말 품질은 주어진 임계치 아래의 입자 크기를 갖는 에어로졸화된 분말의 분율을 표시하는 미세 입자 분율, 또는 FPF로서 측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1차 입자 크기는 FPF에 대해 사용되는 임계치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그러므로, FPF는 가장 흔히 응집 상태의 함수, 또는 단일 1차 입자 또는 복수의 1차 입자의 응집물인 입자들의 백분율 분포이다. 우수한 에어로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FPF 또는 더 정밀하게 응집 상태에 의해 측정될 때, 에어로졸화 기능을 2개의 구분되고 연속적인 스테이지로 분할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1 에어로졸화 스테이지는 공기 스트림 내에서 분말 약제의 입자들의 현탁물을 생성하도록 의도된 분말 유체화이다. 흔히, 분말 약제의 FPF 및 응집 상태는 분말 유체화 후에 이상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제2 스테이지가 이용될 수 있고, 분말 분쇄로서 지정된다. 분말 분쇄 스테이지는 높은 분율의 응집물을 더 작은 응집물로 또는 가능하게는 1차 입자로 파쇄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분말 분쇄는 전단 공기 유동, 난류 공기 유동, 충격, 또는 가속 유동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속된 에어로졸화 스테이지들이 분말 유체화 및 뒤이은 분말 분쇄를 사용함으로써 유익한 입자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한다.
2-스테이지 분말 에어로졸화의 효율은 부분적으로 흡입 유동 패턴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높은 유동 증가율, 또는 FIR 값이 분말 유체화 단계를 달성하는데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피크 FIR은 흔히 10 liter/sec2 이상과 같이, 5 liter/sec2을 초과한다. 피크 FIR은 예컨대 15 liter/sec2 내지 40 liter/sec2 또는 20 liter/sec2 내지 30 liter/sec2과 같은, 10 liter/sec2 내지 50 liter/sec2의 범위일 수 있다.
공기 유동이 개시되면, 제어된 유량이 폐 침착을 제어하기 위한 더 일관된 분말 분쇄 및 더 일관된 유동을 제공한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흡입 제어 기능은 단일 스테이지일 수 있거나, 2개의 스테이지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흡입 제어 스테이지는 사용자가 유동이 시작하기 전에 흡입 노력의 진공을 통해 이러한 임계 압력 차이를 충족시키거나 초과하도록, 임계 압력 차이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임계 진공은 (예컨대, 도 44-47에 도시된 유형의) 트리거 밸브, 즉 트리거 밸브를 가로지른 압력 강하가 임계 압력 차이를 초과할 때까지 본질적으로 공기 유동이 발생할 수 없도록 임계 압력 차이를 실시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선택적인 제2 흡입 제어 스테이지는 임계 진공이 달성되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조절 배열은 유동 조절기 밸브를 가로지른 압력 강하의 소정의 함수로서 유량을 제어하도록 오리피스 형상을 변화시키는 유동 조절기 밸브일 수 있다.
분말 에어로졸화를 분말 유체화 및 분말 분쇄의 연속된 스테이지 - 분말 분쇄는 높은 가속을 갖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장치의 요소들을 구성하고 배열함으로써 달성되고, 흡입 제어는 높은 FIR 값을 달성하도록 실시됨 - 로 분리하는 것은 놀랍고 예상치 못한 높은 FPD 및 높은 백분율의 작은 응집물 또는 가능하게는 1차 입자를 갖는 응집 상태의 에어로졸을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건조 분말 흡입기인 분말화된 약제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한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가 도 1-9, 24-27, 및 128-138에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동이라는 용어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장치 내에서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능동 흡입기와 대조적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환자의 흡기 노력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약물 제품은 장치에 의해 개방되고, 사용자, 예컨대 환자의 호흡을 사용하여 소기되는 리셉터클, 예컨대 블리스터 팩 내에 포장된다. 도 108-111은 포일 블리스터 팩인, 그러한 리셉터클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장치는 2개의 메인 모듈 또는 구성요소 조립체, 즉 리셉터클 준비 모듈 및 에어로졸화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 준비 모듈은 무엇보다도, 전술한 유형의 리셉터클 충격 장치, 전술한 유형의 리셉터클 잠금 장치, 전술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전술한 바와 같은 트리거, 블리스터 중심 설정 배열, 전술한 유형의 세척 장치, 및 전술한 유형의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 준비는 리셉터클 또는 블리스터 팩(Q)을 (예컨대, 도 4, 104-107, 및 115-1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충격 장치(N)가 구동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딸깍 소리가 들릴 때까지, 장치 내로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블리스터 팩(Q)이 삽입되는 동안, 리셉터클 잠금 장치(M)의 스프링 부하식 인터로크 핀들은 벌어지게 되어, 장치의 마우스피스(B)가 조기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블리스터 팩(Q)이 완전 삽입 또는 기본 위치(예컨대, 도 107 및 108 참조)에 도달하면, 인터로크 핀(130a: 도 84-87 참조)은 블리스터 팩(Q)의 측면 상의 절결부(170g: 도 108-111 참조)와 맞물린다. 이는 마우스피스(B)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도록 허용한다 (예컨대, 도 5 참조). 마우스피스(B)는 그 다음 장치의 하부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세척 장치(G)의 천공부(70g: 도 51-51 참조) 및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의 천공 치형부(80t: 도 53-59 참조)가 블리스터 팩(Q)의 통 속으로 하강하게 하여, 포일 뚜껑 내에 중심에 배치된 출구 개방부, 및 입구 개방부를 생성한다 (예컨대, 도 102 참조).
리셉터클 충격 장치(N)는 스프링(O: 도 94 참조)에 의해 스프링 부하를 받는 3-로브형 캠 휠(도 88-92 참조)일 수 있다. 블리스터 팩(Q)이 장치 내로 밀리면 (도 4 참조), 이러한 메커니즘(N)은 스프링(O)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는 그 다음 방출되어 블리스터 통 상에 갑작스런 충격을 생성한다. 이는 리셉터클(Q) 내의 분말을 헐겁게 하여, 블리스터 팩 소기 효율을 개선하고 방출 투여량의 가변성 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방출 투여량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70%,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또는 적어도 90%와 같은, 적어도 60%이다. 방출 투여량의 표준 편차는 전형적으로 7% 미만, 5% 미만, 또는 3% 미만과 같은, 10% 미만이다. 예를 들어, 방출 투여량은 3% 내지 10%의 RSD에서 6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도 73-78에 도시된 본체 부재(K)의 만곡된 지지 표면(110h)을 이용할 수 있는 블리스터 중심 설정 배열은 블리스터 통의 중심을 장치 내의 중심 공급 튜브와 정렬시키도록 역할할 수 있다. 세척 장치(G)의 천공 부분(70g: 도 51-52 참조)은 블리스터 팩(Q)의 상부 상의 포일 리드스톡 내로 들어가서 출구 개방부를 생성한다.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의 천공 치형부(80t: 도 53-59 참조)는 세척 장치(G)의 천공 부분(70g) 직후에 포일 뚜껑 내로 하강하도록 위치된다. 이는 세척 장치(G)의 천공 단부(70g)가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의 치형부(80t) 아래에 위치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세척 장치(G)의 천공 단부(70g)는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의 치형부(80t) 직전에 리셉터클(Q)의 뚜껑과 접촉하여 천공한다. 마우스피스(B)가 회전됨에 따라 (도 5 참조), 세척 장치(G)의 천공 부분(70g)은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의 치형부(80t)가 2개의 대략 120° 원호형 입구 개방부를 형성하는 동안 중심 출구 구멍을 생성하도록 포일을 변위시킨다. 도 102는 2개의 입구 개방부 및 중심 출구 개방부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의 상부를 도시한다. 입구 개방부는 공기가 블리스터 팩(Q)을 통과하게 하기 위한 입구를 형성하고, 출구 개방부는 공기 및 분말이 리셉터클(Q)로부터 진출하도록 허용한다. 도 112는 이러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형부(80t)는 바람직하게는 포일 뚜껑 내의 개방부를 실제로 절단하지 않고, 대신에 바람직하게는 제어된 파열부(들)을 발생시키거나 전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치형부(80t)는 예리한 측면 선단날을 갖지 않고, 대신에 입구 개방부의 제어되고 일관된 전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라운딩된 (또는 더 무딘) 선단날을 갖는다. 도 126-127은 치형부(80t)의 선단날에 대한 하나의 비제한적인 라운딩된 구성을 도시한다.
마우스피스(B)가 대략 180° 회전되어 제 위치로 클릭되면, 장치는 블리스터 팩 내의 분말의 에어로졸화를 위해 준비된다.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해, 사용자는 마우스피스(B), 더 구체적으로 그의 상부를 그의 입술 사이에 위치시키고, 밀봉을 생성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마우스피스(B)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광범위한 입 크기 및 사용자 선호도에 대해 최적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B)의 내부에서 (도 6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진공을 생성함에 따라, 장치 내에 위치된 트리거 메커니즘(E)이 개방된다. 도 99는 개방 위치의 트리거(E)를 도시하고, 도 25-27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의 트리거(E)를 도시한다. 트리거 메커니즘(E)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트리거의 가동 부분이 뒤집힐 때 개방되는 4개의 엽(petal)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엽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3 내지 6개의 엽이 적당하다. 엽은 또한 교차 V형 형태로 단부에서 분지하는 슬릿과 같은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E)가 개방되면, 외부 공기가 장치를 통해, 특히 2개의 1차 경로를 통 해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제1 경로는 블리스터 자체를 통한 것이고, 공기는 2개의, 예컨대 120° 원호형 개방부를 통해 들어와서 중심 구멍을 통해 나와 공급 튜브 내로 들어간다 (도 112 참조). 이러한 공기는 블리스터 팩(Q)으로부터 유체화된 분말을 흡인한다. 유동은 그 다음 공급 튜브를 통해 위로, 오리피스 (예컨대, 부재(F)의 중심 개방부) 및 트리거(E)를 통해 사용자의 폐 속으로 들어간다. 분말 충진 공기가 오리피스 및 트리거를 통해 진출함에 따라, 더 큰 입자가 추가로 분쇄되어 폐 심부에 침착되기에 적합한 미세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E)를 리셉터클과 사용자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은 트리거(E)가 리셉터클의 상류에 위치되었다면 발생하지 않을 분말의 분쇄를 일으킨다. 트리거(E)가 리셉터클의 상류에 위치된다면, 트리거(E)의 저항은 분말을 분쇄하지 않을 것이다.
제2 경로는 장치의 전체 저항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우회 공기를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의 전체 저항은 보통 40 Lpm의 유량에서, 0.15 (cm H2O)½/liter/min 미만 또는 0.10 (cm H2O)½/liter/min 미만과 같은, 0.20 (cm H2O)½/liter/min 미만이고, 전형적으로 40 Lpm의 유량에서, 0.16 내지 0.20 (cm H2O)½/liter/min 또는 0.17 내지 0.19 (cm H2O)½/liter/min과 같은, 0.15 내지 0.21 (cm H2O)½/liter/min의 범위이다. 우회 공기가 장치로 진입하여,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 내의 복수의 구멍(80e: 도 53-59 참조)을 통과하고, 또한 에어로졸의 중심 유동을 집중시키도록 역할한다. 구멍의 개수는 3 내지 9개, 4 내지 8개, 또는 5 내지 7개와 같은, 2 내지 10의 범위일 수 있다. 구멍 직경은 전형적으로 1.0 mm 내지 1.3 mm와 같은, 0.9 mm 내지 1.4 mm의 범위이다. 그러나, 구멍은 원형일 필요는 없지만, 원형 구멍이 제조 및 미세 조정하기에 비교적 쉽다.
도 113은 2개의 유동 경로가 장치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장치는 대략 분당 30 리터의 유량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리셉터클(Q)을 통한 공기 유동은 대략 40%일 수 있고, 우회 공기 유동은 대략 60%이다. 이는 장치 내에서, 특히 절단기 메커니즘(H)과 마우스피스(B)의 출구 사이에서, 분말 침착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총 유동에 비해, 리셉터클을 통한 유동은 장치의 전체 저항, 리셉터클 크기, 및 리셉터클 개방부 크기에 의존하여, 35% 내지 45%와 같은, 30% 내지 50%의 범위이다. 따라서, 우회 공기 유동은 전형적으로 총 유동의 55% 내지 75%와 같은, 50% 내지 7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누출 경로가 장치의 허용 가능하거나 최적인 성능을 제공하도록 최소화 및/또는 최적화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성능에 대한 주요 인자는 (예컨대,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 내의 우회 구멍(80e)의 크기에 의해 제어되는) 총 유동에 대한 블리스터 유동의 비율, 오리피스(60j: 도 48-50 참조)의 크기, 및 트리거(E)의 슬릿(50c, 50d: 도 58-67 참조)의 길이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블리스터/총 유동 비율은 25% 내지 65%, 30% 내지 60%, 또는 35% 내지 55%와 같은, 20% 내지 70% 사이일 수 있고, 오리피스(60j) 크기는 4 mm 내지 12 mm, 또는 5 mm 내지 11 mm와 같은, 3 mm 내지 13 mm 사이일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대체로 X-형상의 슬릿(50c, 50d)을 완전히 봉입하거나 에워싸는 최소 직경 원에 의해 결정되는) 트리거 슬릿 길이는 0.3 인치 내지 0.5 인치와 같은, 0.2 인치 내지 0.6 인치의 범위일 수 있고, 대략 0.34 인치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트리거 슬릿 길이는 전형적으로 트리거의 능동 (비고정) 부분의 직경의 60% 내지 70%와 같은, 50% 내지 80%의 범위이다.
트리거(E)의 한 가지 기능은 일관되고 균일한 투여를 보장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트리거(E)가 개방된다고 가정하면, 트리거(E)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노력과 관계없이 대체로 동일한 임계 진공 압력에서 개방된다. 트리거(E)가 개방되면, 장치를 통한 유량은 전형적으로 20 ms 이내, 예컨대 15 ms 이내 또는 10 ms 이내에 그의 피크에 도달한다.
트리거(E)는 전형적으로 자가 폐쇄식이고, 이는 트리거(E)를 복원할 필요를 제거한다. 진공이 제거되면, 즉 환자가 흡입을 멈추면, 트리거(E)는 그의 원래 위치로 다시 편위된다.
전형적으로, 트리거(E)는 또한 자가 세척식이다. 트리거(E)의 개방 및 폐쇄는 분말이 그 위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리스터 팩 내에 중심 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세척 장치(G)는 또한 각각의 사용 시에 공급 튜브(FT: 도 66-72 참조)를 세정하도록 역할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마우스피스(B)의 각각의 회전(예컨대, 180° 회전)에서, 세척 장치(G)는 공급 튜브(FT)의 내부를 세척하고, 이에 의해 내 측 표면 상에 남는 분말의 양을 최소화한다. 이는 공급 튜브(FT) 상에서의 장기간 축적을 방지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급 튜브(FT)는 리셉터클(Q)로 진입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접근 표면은 삽입 또는 공급 튜브(FT)와의 맞물림과 동시에 관통될 수 있다. 공급 튜브(FT)는 유동 경로 내에서 제트 또는 분출기 튜브를 갖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확실하고 단속되지 않는 유동 경로가 공급 튜브(FT)의 막히거나 분산 효율을 손실할 임의의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건조 분말, 예컨대 건조 분말 인슐린에 대해 대체로 사용될 수 있는 호흡 구동식 건조 분말 흡입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된,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정리 번호 0304.PRO)에 설명되어 있는 건조 분말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는 예컨대,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인슐린 및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완충제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약제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이 증류수 내에서 1 mg/mL의 농도로 용해되어 용액을 형성할 때, 용액은 7.5 이상의 pH를 갖는다.
몇몇 경우에, 분말이 리셉터클 내로 충전된 후에, 이는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된,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정리 번호 0312.PRO)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된다. 본 발명은 대체로 20 ㎛ 미만 또는 10 ㎛ 미만과 같은, 30 ㎛ 미만의 MMD 및/또는 MMAD를 갖는 건조 분말과 함께 사용되고, MMD 및/또는 MMAD는 전형적으로 1 ㎛ 내지 5 ㎛와 같은, 1 ㎛ 내지 10 ㎛의 범위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장치는 비교할 만한 성능을 가지면서 공지된 장치보다 상당히 더 작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장치는 1개월 유효 수명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부품의 임의의 세척 또는 교체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장치는 일회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이 더 쉽고, 인간 환경 공학적이고, 공지된 장치보다 더 바람직한 외양 및 느낌을 갖는다. 아울러, 장치는 용이한 보관을 위해 작고 경량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셔츠 또는 바지 주머니 내에 쉽게 끼워질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손 안에 쥐어지고, 1회 투여에 대해 수회 분출, 예컨대 1 내지 3회 분출 또는 1 내지 2회 분출과 같은, 1 내지 4회 분출을 요구한다.
이제 도 1 및 2를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는 대략 60 mm와 같은 전형적으로 50 mm 내지 80 mm의 높이("h") 및 대략 40 mm와 같은 전형적으로 30 mm 내지 60 mm인 폭("w")을 가질 수 있고, 깊이는 대략 30 mm와 같은, 전형적으로 20 mm 내지 50 mm이다. 전체 높이 대해서는 많은 유연성이 있다. 깊이는 사용자에게 가장 민감한 치수이고, 더 작은 치수가 선호된다. 폭에 있어서 약간의 유연성이 있다. 도 1은 캡 또는 보호 커버(A)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캡(A)이 제거된 장치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A)이 제거되면, 리셉터클, 예컨대 블리스터 팩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개방부가 이제 사용자에게 접근될 수 있다.
도 3-8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유형, 특히 도 1-2에 도시된 유형의 장치가 사 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캡(A)이 제거되기 이전의 장치를 도시한다. 화살표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캡(A)은 단순히 캡(A)을 수직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캡(A)은 또한 장치의 바닥 부분과 정합되거나 그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그러할 수 있어서, 그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장치를 파지하는데 이용 가능한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캡이 제거되면, 도 4는 어떻게 리셉터클(Q)이 장치 내의 개방부 내로 삽입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화살표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Q)은 장치의 개방부 내로 수평으로 활주될 수 있다. 리셉터클(Q)이 기본 또는 최대 삽입 위치로 삽입되면 (리셉터클의 탭 부분은 장치의 외부에 잔류하여, 그가 제거되도록 요구될 때 사용자가 리셉터클을 파지하도록 허용한다는 것을 알아야 함), 도 5는 어떻게 장치의 상부 하우징 부분 (즉, 마우스피스(B)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이 회전되어 장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삽입 이동 중에, 장치는 다음의 기능들을 자동으로 수행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잠금 시스템(M)은 풀림 위치로 이동되고, 리셉터클 충격 부재(N)는 리셉터클(Q)의 통 부분에 충격을 가하도록 활성화된다. 화살표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B)의 상부 하우징 부분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회전 각도는 약 180°이다. 그러나, 그러한 회전은 리셉터클(Q)이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N)이 리셉터클(Q)의 적절한 삽입에 의해 풀림 위치로 이동했기 때문에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회전 중에, 장치는 다음의 기능들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공기 입구 개방부 및 중심 출구 개방부가 리셉터클(Q)의 포일 리드스톡 내에 (예컨대, 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고, 공급 튜브(FT)의 내부는 세척 장치(G)에 의해 세척된다. 도 6은 어떻게 공기 유동이 마우스피스(B)를 통해 나올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당연히, 이는 사용자가 그의 입술을 마우스피스(B) 상에 위치시키고 트리거(E)를 개방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흡입할 때 발생할 것이다. 도 7은 어떻게 소모되거나 사용된 리셉터클(Q)이 장치 내의 개방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화살표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Q)은 장치의 개방부로부터 수평으로 활주될 수 있다. 리셉터클(Q)이 제거되면 (장치 외부의 리셉터클의 탭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리셉터클(Q)이 당겨져 나온다는 것을 알아야 함), 사용자는 다른 흡입 치료를 위해 다른 리셉터클을 삽입할 수 있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A)을 다시 장치 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6개의 단계만을 요구하여, 직관적이며 사용이 쉽다.
도 9-24는 도 1-2에 도시된 장치가 조립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구성요소(A)는 캡을 나타내고; 구성요소(B)는 마우스피스를 나타내고; 구성요소(C)는 코일 압축 스프링을 나타내고; 구성요소(D)는 리테이너 또는 리테이너 부재를 나타내고; 구성요소(E)는 트리거를 나타내고; 구성요소(F)는 오리피스 부재를 나타내고; 구성요소(G)는 세척 및 천공 장치를 나타내고; 구성요소(H)는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을 나타내고; 구성요소(I)는 상부 베어링 부재를 나타내고; 구성요소(J)는 하부 베어링 부재를 나타내고; 구성요소(K)는 지지 본체 부재를 나타내고; 구성요소(L)는 스커트를 나타내고; 구성요소(M)는 잠금 부재를 나타내고; 구성요소(N)는 리셉터클 충격 부재를 나타내 고; 구성요소(O)는 비틀림 스프링을 나타내고; 구성요소(P)는 하부 하우징 부품을 나타낸다. 또한, 구성요소(Q)는 장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셉터클을 나타낸다.
상기에 비추어, 상기 구성요소의 부품 수는 16개의 부품이다. 부품들을 조합 및/또는 제거함으로써, 부품 수는 15개 이하, 14개 이하, 13개 이하, 또는 12개와 같은, 16개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성요소(F)가 생략될 수 있다. 구성요소(J) 및 구성요소(K, P)의 외측 부분이 조합될 수 있다. 구성요소(O, M) 및 구성요소(K)의 내측 부분이 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성요소(E)가 생략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적어도 구성요소(A, B, D, F, H-N, P)는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고, 예컨대 구입 가능한 인슐린 흡입 장치 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재료는 PVT, ABS, 폴리카보네이트, 및 액정 중합체와 같은 광범위한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구입 가능한 플라스틱은 티코나 셀라넥스(Ticona Celanex) MT2401 또는 MT2402(PBT), 지이 사이콜로이(GE Cycoloy) C1950 또는 C1204HF(PC/ABS), 바젤 프로팩스(Basell ProFax) PF-511(PP)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캡 또는 구성요소(A)는 바젤에 의해 공급되는 PP 또는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프로팩스 PF-511의 등급 또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 또는 구성요소(B)는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트리거 리테이너 또는 구성요 소(D)는 바젤에 의해 공급되는 PP, 티코나 셀라넥스 MT2401 또는 MT2402(PBT), 또는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프로팩스 PF-115의 등급 또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D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트리거(E)는 탄성중합체, 예컨대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오리피스 부재 또는 구성요소(F)는 예컨대 바젤에 의해 공급되는 PP 또는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프로팩스 PF-511의 등급 또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오리피스 부재(F)는 굽힘 및 자가 세척을 허용하도록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절단기 메커니즘 또는 구성요소(H)는 예컨대 티코나에 의해 공급되는 PBT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셀라넥스 MT2401 또는 MT2402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베어링 부재 또는 구성요소(I)는 예컨대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하부 베어링 부재 또는 구성요소(J)는 예컨대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 또는 티코나에 의해 공급되는 PP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 또는 셀라넥스 MT2401 또는 MT2402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본체 부재 또는 구성요소(K)는 예컨대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스커트 또는 구성요소(L)는 예컨대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잠금 부재 또는 구성요소(M)는 예컨대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 충격 부재 또는 구성요소(N)는 예컨대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또는 구성요소(P)는 예컨대 지이에 의해 공급되는 PC/ABS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재료는 사이콜로이 C1950 또는 C1204HF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도 10-24를 참조하면, 장치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도 10은 어떻게 세척 및 천공 장치(G)가 예컨대 리셉터클 천공 메커니즘(H)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 부재(F)가 예컨대 절단기 메커니즘(H)에 장착될 수 있다. 오리피스 부재(F)는 선택적이고, 예컨대 장치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E)가 그 다음 오리피스 부재(F)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부재(D)가 트리거(E)에 장착된다. 도 14는 어떻게 상부 베어링 부재(I)가 하부 베어링 부재(J)에 장착되는지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D-H)들의 하위 조립체가 상부 베어링 부재(I) 내에 장착된다. 도 16은 상부 베어링 부재(I) 내에 장착된 스프링(C)을 도시한다. 마우스피스(B)가 그 다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C-J)들의 하위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8은 어떻게 비틀림 스프링(O)이 예컨대 하부 하우징 부재(P)에 장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9는 어떻게 리셉터클 충격 부재(N)가 예컨대 하부 하우징 부재(P) 및 비틀림 스프링(O)에 장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20은 어떻게 잠금 부재(M)가 그 다음 하부 하우징 부재(P)에 장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21은 어떻게 스커트(L)가 하부 하우징 부재(P)에 장착되는지를 도시 한다. 도 22는 어떻게 하우징 부재(K)가 스커트(L) 및 하부 하우징 부재(P)에 장착되는지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B-J)들의 하위 조립체가 구성요소(K-P)들의 하위 조립체에 장착된다. 도 24는 조립 후의 캡(A)이 설치되어 있는 완전히 조립된 장치를 도시한다.
도 25-27은 도 1-2에 도시된 장치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에 대해 90° 회전된 도 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도 1-2에 도시된 장치의 절결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27 각각에서, 트리거(E)는 (예시를 목적으로)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리셉터클(Q)은 기본 위치 또는 완전 삽입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당연히, 트리거(E)는 평시에 개방되지 않을 것이고, 리셉터클은 평시에 삽입되지 않을 것이지만, 캡은 여전히 설치되어 있다.
도 28-31은 도 9에 도시된 캡(A)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캡(A)은 마우스피스(B) 및 리셉터클 삽입 슬롯(S)을 덮어서, 이들을 사용 간에 먼지 및 찌꺼기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28-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캡(A)은 대체로 타원형인 구성을 갖고, 전방 섹션(10g) 및 후방 섹션(10h)을 포함한다. 캡(A)은 또한 폐쇄된 상단부(10a) 및 마우스피스(B) 위에서 활주하는 크기 및 형상의 개방된 하단부(10d)를 갖는다. 캡(A)이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캡(A)은 부재(J) 내에 형성된 만입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부(10e)를 이용한다. 캡(A)은 또한 캡(A)이 장치 상에 설치될 때 측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우스피스(B)의 외측 표면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부의 신장된 돌출부(10f)를 이용한다. 캡(A)은 추가의 파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투약 중에 장치의 바닥 상으로 뒤집힐 수 있다. 당연히, 캡(A)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캡(A)은 예컨대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캡(A)은 또한 적절하게 기능하는 장치에 대해 요구되지 않으므로, 처분되거나 (마우스피스(B)의 출구 개방부 내에 끼워지는 제거 가능한 플러그형 캡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32-39는 도 9에 도시된 상부 하우징 부분 또는 마우스피스(B)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대체로, 마우스피스(B)는 대체로 흡입 중에 사용자의 입술에 대해 밀봉되는 매끄러운 타원형 표면을 제공한다.
도 32-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마우스피스(B)는 대체로 타원형인 구성을 갖고, 전방 섹션(20a) 및 후방 섹션(20b)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B)는 또한 사용자의 입술이 마우스피스(B)와 밀봉식으로 맞물리도록 허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입술과 상단부(20c) 사이에서 임의의 상당한 누출이 없이 흡입하도록 허용하는 크기 및 구성의 폐쇄된 상단부(20c)를 갖는다. 마우스피스(B)는 사용자의 혀가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이는 방출 투여 및 결과의 재현성을 증가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마우스피스(B)는 사용자의 치아를 지나 돌 출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마우스피스(B)는 또한 상부 베어링 부재(I)를 넘어 활주하는 크기 및 형상의 개방된 하단부(20n)를 갖는다. 마우스피스(B)가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마우스피스(B)는 자유 단부들이 개방부(90d)로 진입하여 예컨대 초음파 용접, 스웨이징 등에 의해 상부 베어링 부재(I) 상에 형성된 부분(90c)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부(20h)를 이용한다. 따라서, 돌출부(20h)는 마우스피스(B)의 주축 상에서 내부 리브로서 기능하고, 상부 하위 조립체(B-J)의 초음파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20h)는 각각 대체로 T-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B)는 또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B)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로 마우스피스(B)를 파지하게 허용하도록 인간 환경 공학적으로 형성된 손가락 맞물림 만입부 또는 파지부(20d, 20e)를 이용한다.
마우스피스(B)는 추가로 상부 모서리(20l/20k)로부터 대체로 원형인 개방부(20f)로 연장되는 대체로 타원형으로 발산하는 출구 개방부(20g)도 이용한다. 대체로 타원형인 형상으로 발산하는 출구 개방부(20g)는 에어로졸화된 분말이 개방부(20f)로부터 출구 개방부 모서리(20l/20k)로 이동할 때 확장하도록 허용한다. 전방 및 후방 출구 개방부 모서리(20l)들은 각각 대체로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고, 좌측 및 우측 출구 개방부 모서리(20k)들은 각각 대체로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보강 리브(20i)가 대체로 타원형인 형상으로 발산하는 출구 개방부(20g)를 형성하는 벽(20j) 상에 배열된다. 복수의, 예컨대 8개의 보강 리 브(20i)가 압축 스프링(C)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대체로 원형인 개방부(20f)는 외측 원주방향 표면(20o)을 포함하는 대체로 원형인 벽에 의해 형성된다. 외측 원주방향 표면(20o)은 부재(D)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40d) 내에서 활주하고 그리고/또는 그와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크기 및 형상이다.
한 쌍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이격된 리브(20p)가 전방 및 후방 섹션(20a, 20b)을 형성하는 각각의 벽 상에 배열된다. 각각의 대향하여 배열된 리브(20p) 쌍은 상부 베어링 부재(I)의 대향하여 배열된 슬롯(90f, 90g) 내에서 활주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각각의 대향하여 배열된 리브(20p) 쌍은 또한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만곡된 만입부(20q)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만입부(20q)는 상부 베어링 부재(I)의 외측으로 만곡된 돌출 부분(90m)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마우스피스(B)는 또한 상부 베어링 부재(I)의 돌출 부분(90b, 90c)의 외측으로 만곡된 자유 단부를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의, 대향하여 배열된 만입부(20r)를 이용한다. 돌출부(20h), 만입부(20q, 20r), 및 돌출부(20p)는 모두 상부 베어링 부재(I)를 마우스피스(B)에 결합시키도록 기능하고, 마우스피스(B)가 회전될 때 마우스피스(B)가 상부 베어링 부재(I)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보장한다. 당연히, 마우스피스(B)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마우스피스(B)는 예컨대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40-43은 도 9에 도시된 리테이너 부재(D)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리테이너 부재(D)는 오리피스 부재(F)에 대해 끼워진다. 리테이너 부재(D)의 상부가 마우스피스(B)에 대해 활주식으로 밀봉된다.
도 40-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D)는 대체로 원형인 슬리브 구성을 갖고, 개방된 상단부(40a) 및 개방된 하단부(40b)를 포함한다. 리테이너(D)는 대체로 원통형인 외측 표면(40c) 및 마우스피스(B)의 원통형 표면(20o)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의 내측의 대체로 원통형인 표면(40d)을 갖는다. 리테이너(D)는 또한 내측으로 돌출하는 원주방향 돌출부(40i) 내에 형성된 상부 견부 표면(40h) 및 하부 견부 표면(40g)을 갖는다. 하부 견부 표면(40g) 및 내측 원주방향 표면(40f)은 트리거(E)의 표면(50h, 50e)과 대응하여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이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원주방향 돌출부(40j)는 오리피스 부재(F)의 원주방향 돌출부(60c)와 대응하여 밀봉식 및 잠금식으로 (그리고/또는 제거 불가능하게)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이다. (트리거(E)가 리테이너(D)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 리테이너(D)와 오리피스 부재(F)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테이너(D)는 모따기된 부분(40e)을 이용한다. 당연히, 리테이너(D)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리테이너(D)는 예컨대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44-47은 도 9에 도시된 트리거 부재(E)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트리거(E)는 최소 임계 진공이 달성될 때까지, 장치 및 리셉터클(Q)을 통한 유동을 최소화한다. 트리 거(E)는 갑작스럽게 개방되어, 리셉터클(Q) 및 장치를 통한 신속한 공기 펄스를 제공하여, 리셉터클(Q) 소기 및 분말 분쇄를 보조한다. 흡입 중의 트리거(E)의 별 형상 개방부는 분말을 분쇄하도록 역할한다. 트리거(E)의 운동은 트리거 표면 상에서의 분말의 과도한 축적을 방지한다. 트리거(E)의 개방은 장치의 적절한 작동에 대한 환자 피드백을 제공한다. 트리거(E)의 쐐기형 플랜지가 부품이 흡입 중에 그의 장착부로부터 당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44-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E)는 대체로 원형인 구성을 갖고, 원주방향 돌출 견부(50j)를 포함하는 개방된 상단부 및 평시 폐쇄형 하단부(50a)를 포함한다. 트리거(E)는 대체로 원통형인 외측 표면(50e) 및 리테이너(D)의 표면(40g, 40f)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의 테이퍼형 표면(50h)을 갖는다. 트리거(E)는 오리피스 부재(F)의 테이퍼형 표면(60b)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의 상부 테이퍼 표면(50i)을 추가로 갖는다. 가요성 재료 벽 섹션(50g)이 섹션(50a/50b)을 트리거(E)의 테이퍼형 표면(50i, 50h)을 구비한 섹션에 연결한다. 도 25-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50g)은 트리거(E)가 장치의 사용 중에 개방 위치를 취하고 사용되지 않을 때 폐쇄 위치를 취하도록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2개의 슬릿(50c, 50d)들이 섹션(50a, 50b)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슬릿(50c, 50d)은 벽(50g)이 평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될 때 트리거(E)의 개방부를 형성한다. 당연히, 트리거(E)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트리거(E)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48-50은 도 9에 도시된 오리피스 부재(F)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도 48-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 부재(F)는 대체로 원형인 구성을 갖고, 개방된 상단부(60a) 및 개방된 하단부를 포함한다. 오리피스 부재(F)는 또한 장치를 통한 소정의 에어로졸화된 유동을 허용하는 크기인 대체로 원형인 개방부(60j)를 갖는다. 오리피스 부재(F)는 또한 리테이너(D) 및 오리피스 부재(F)가 서로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때, 리테이너(D)의 단부(40b)와 맞닿도록 구성된 견부(60d)를 갖는다. 대체로 평탄한 표면(60k) 및 대체로 만곡된 표면(60i)은 리테이너(D)와 오리피스 부재(F)가 트리거(E)가 사이에 배열된 채로 서로 제거 불가능하게 연결될 때, 트리거(E)의 대체로 평탄한 표면(50a) 및 만곡된 표면(50b)에 대체로 대응하여 그와 맞닿는 크기 및 구성이다. 오리피스 부재(F)는 또한 외측 원주방향 표면(60g)이 절단기 메커니즘(H)의 견부(80g)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과 마찰식 및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의 환형 돌출 견부(60f)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원주방향 표면(60g)은 부품(D, E, F)들의 하위 조립체가 절단기 메커니즘(H)에 고정되어 이들 부품들이 장치의 활성화 중에 함께 이동하게 허용하도록, 절단기 메커니즘(H)의 견부(80g)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에 접착식으로 그리고/또는 제거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오리피스 부재(F)를 절단기 메커니즘(H)에 고정시킴으로써, 세척 장치(G)는 오리피스 부재(F)와 절단기 메커니즘(H)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그러므로 절단기 메커니즘(H)과 함께 회전하고 절단기 메커니즘(H)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품(D, E, F, G, H)들이 함께 조립될 때, 이들은 회전방향으로 그리고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하나의 유닛으로서 이동하는 하위 조립체를 형성한다. 개방부(60j)는 더 원활한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모따기된 입구 부분을 이용한다. 당연히, 오리피스 부재(F)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오리피스 부재(F)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51-52는 도 9에 도시된 세척 부재(G)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세척 부재(G)는 병진 이동 및 회전하여 리셉터클(Q) 내에 중심 구멍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모듈(D-H)의 일체형 부품이다. 장치의 각각의 구동 시에, 세척 부재(G)는 공급 튜브(FT)에 대해 180° 회전되어, 약물 경로의 막힘을 방지한다. 세척 부재(G)의 날개는 절단기 메커니즘(H) 내의 특징부와 맞물려서, 세척 부재(G)가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1-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부재(G)는 구부러진 와이어 구성의 형태를 갖고, 상부 자유 단부(70a, 70b) 및 하부 라운딩된 천공 단부(70g)를 포함한다. 상부 자유 단부(70a, 70b) 및 연결 부분(70c, 70d)은 절단기 메커니즘(H)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부(80f) 쌍 내에 안착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도 10 참조). 하부 라운딩된 천공 단부(70g)는 리셉터클(Q)의 출구 개방부를 천공하여 파열 개방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도 102 참조). 세척 부재(G)는 또한 공급 튜브(FT)의 내측 표면 바로 위에서 활주하거나 그에 대해 문지르는 크기 및 구성의 2개의 대체로 수직 인 세척 부분(70e, 70f)을 갖는다 (도 68 참조). 2개의 대체로 수직인 세척 부분(70e, 70f)은 바람직하게는 공급 튜브(FT)의 테이퍼형 표면에 대응하도록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세척 부재(G)가 180° 회전될 때마다, 세척 부재(G)가 공급 튜브(FT)를 세정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당연히, 세척 부재(G)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세척 부재(G)는 또한 예컨대 절단기 메커니즘(H) 또는 오리피스 부재(F)와 같은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세척 부재(G)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53-59는 도 9에 도시된 절단기 메커니즘(H)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의 치형부(80t)는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 내에 입구 구멍을 생성한다. 구멍(80e)은 우회 공기가 에어로졸 모듈(D-H)로 진입하도록 허용하여, 장치의 전체 저항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한다. 4개의 방사상 리브(80f)가 세척 장치(G)를 위치시키고 구속한다. 오리피스 부재(F) 및 절단기 메커니즘(H)은 함께 플랜지를 형성하여 압축 스프링(C)의 힘을 에어로졸 모듈(D-H)로 전달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의 저면 상의 캠(80m, 80n)이 본체 부재(J) 상의 캠(100c, 100d, 100f)과 맞물려서, 에어로졸 모듈(D-H)을 하강 및 후퇴시킨다. 외측 캠(80o, 80p) 상의 쐐기형 리세스가 마우스피스(B) 회전의 기본 위치를 위한 멈춤쇠를 제공하고, 기본 위치로부터의 역회전을 억제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의 중심 보어(80k)가 공급 튜브(FT)에 대한 병진 및 회전 밀봉을 생성한다.
도 53-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 메커니즘(H)은 대체로 원형인 구성을 갖고,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부(80b, 80c)를 갖는 개방된 상단부(80a)를 포함한다. 돌출부(80b)는 상부 베어링 부재(I)의 슬롯(90h) 또는 슬롯(90f) 내에 끼워져서 그 안에서 활주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돌출부(80c)는 상부 베어링 부재(I)의 슬롯(90h) 또는 슬롯(90f) 내에 끼워져서 그 안에서 활주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절단기 메커니즘(H)은 또한 공급 튜브(FT)의 상단부를 밀봉식으로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의 대체로 원형인 개방부(80k)를 갖는다. 대체로 원형인 개방부(80k)와 공급 튜브(FT)의 상단부 사이의 맞물림은 매우 작거나 본질적으로 0인 간극을 이용하고, 절단기 메커니즘(H)을 장치 내에서 중심 설정하도록 작용하여, 리셉터클(Q) 내에 2개의 원호형 입구 개방부를 정밀하게 형성하도록 치형부(80t)의 적절한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절단기 메커니즘(H)이 공급 튜브(FT)에 대해 회전하고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장착부 (또는 부싱 및/또는 베어링)으로서 역할한다. 당연히, 회전 운동은 마우스피스(B)의 회전에 의해 일어나고, 절단기 메커니즘(H)의 축방향 운동은 부재(J)의 표면(100a)에 대한 표면(80l)의 상대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표면(80l)과 표면(100a) 사이의 회전 접촉은 리셉터클(Q) 내의 입구 개방부의 파열 중에 발생하고, 표면(80l)과 부재(100b)의 표면, 즉 표면(100c, 100d)들 사이 및 표면(100e, 100f)들 사이의 대체로 수평인 표면 사이의 접촉은 마우스피스(B)가 2개의 180° 활성화 준비 위치들 중 하나에 있을 때 발생한다. 따라서, 표면(80l)과 표면(100a) 사이의 접촉은 치형부(80t)가 완전 연장 위치 (즉,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 내로 관통함)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표면(80l)과 부 재(100b)의 대체로 수평인 표면 사이의 접촉은 치형부(80t)가 후퇴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링(C)은 절단기 메커니즘(H)을 부재(J)를 향해 편위시키고, 따라서 절단기 메커니즘(H)의 부재(J)를 향한 축방향 이동을 일으키도록 기능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은 또한 대체로 수직인 표면(80o)에 의해 각각 형성된 대향하여 배열된 노치와, 시계 방향으로의 절단기 메커니즘(H)의 회전만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각도를 이룬 표면(80p)을 갖는다. 이들 표면은 절단기 메커니즘(H)의 회전이 시계 방향으로만 허용되도록 함께 보장하는 부재(J)의 표면(100c, 100d)에 대응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 장치(G)의 자유 단부를 수납하는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부(80f) 쌍을 이용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은 아울러 부재(J)의 표면(100c, 100d)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맞물렸을 때, 리셉터클(Q)로부터 멀리 절단기 메커니즘(H)의 축방향 이동을 일으키는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각도를 이룬 캠 표면(80m)도 이용한다. 2개의 다른 대향하여 배열된 각도를 이룬 캠 표면(80n)은 부재(J)의 표면(100f)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맞물렸을 때, 스프링(C)의 편위력 하에서 리셉터클(Q)로부터 멀리 절단기 메커니즘(H)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각도를 이룬 표면(80u)은 절단기 메커니즘(H)이 회전할 때, 절단기 메커니즘(H)이 부재(J)의 부분(100t)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게 한다. 표면(80r)은 절단기 메커니즘(H)이 2개의 180° 예비 활성화 위치에 있을 때 부재(J)의 부분(100t)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동일한 크기의, 예컨대 6개의 관통 개방부(80e)가 각도를 이룬 벽(80d) 상에 배열되고, 우회 공기 유동이 절단기 메커니즘(H)을 통해 그 다음 오리피스 개방부(60j)를 통해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2개의 치형부(80t) 각각은 절단 또는 파열 중에 치형부(80t)의 변형을 방지하는 크기 및 구성의 치형부 지지부(80s) 상에 배열된다. 당연히, 절단기 메커니즘(H)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절단기 메커니즘(H)은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절단기 메커니즘(H) 및 부재(J), 및 이들의 특정 태양의 설계 및 구성에 대한 고려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튜브(FT)가 테이퍼형 구성, 즉 출구 상단부보다 더 작은 입구 바닥 단부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테이퍼형 개방부를 갖지만, 테이퍼 각도는 전형적으로 5°미만이다.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즉 0°의 테이퍼 각도를 갖는 개방부를 포함한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공급 튜브(FT)의 설계에 대한 고려는 공급 튜브(FT)를 통해 가속 공기 유동을 유지하고, 개방부 형상 또는 구성이 경계층 분리를 최소화하거나 회피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몇몇 감속 유동이 공급 튜브(FT)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절단기 메커니즘(H)은 리드스톡 내의 중심 출구 개방부가 2개의 원호형 입구 개방부 이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형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2 참조). 이와 관련하여, 부재(G)가 절단기 메커니즘(H)에 조립되면, 단부(70g)는 치형부(80t)의 단부와 동일한 축방향 거리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재(G)가 절단기 메커니즘(H)에 조립될 때, 단부(70g)는 대신에 절단기 메커니즘(H)이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을 향해 이동될 때 치형부(80t)가 단부(70g) 이전에 리드스톡을 천공하도록 치형부(80t)의 단부보다 더 작은 축방향 거리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공급 튜브(FT)의 하단부 (또는 입구 단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개방부의 천 공 중에 그리고/또는 사용자가 흡입에 의해 트리거(E)를 활성화할 때, 리드스톡과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은 일시적인 밀봉을 제공하고, 리셉터클(Q)로부터의 거의 모든 공기/분말 유동이 공급 튜브(FT)를 통해 유도되도록 보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역 내의 완벽한 밀봉은 불필요하다. 허용 가능한 밀봉 접촉은 무엇보다도,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을 장력 하에 두기에 충분한 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0-65는 도 9에 도시된 상부 베어링 부재(I)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마우스피스(B)에 대한 초음파 용접을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상부 베어링 부재(I) 상의 수직 채널은 절단기 메커니즘(H) 상의 탭과 맞물려서, 에어로졸 모듈(D-H)의 회전을 마우스피스(B)의 회전과 동기시킨다.
도 60-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대체로 정사각형인 구성을 갖고, 개방된 상부 및 하부 단부와,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 부분(90b, 90c)을 포함한다. 돌출부(90b, 90c)는 마우스피스(B)의 리세스(20r) 내에 끼워지는 크기 및 구성이다. 돌출부(90b, 90c)는 각각 대향하여 배열된 벽(90a) 상에 배열된 2개의 지지 플랜지(90e), 및 마우스피스(B)의 돌출부(20h)를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인 개방부(90d)를 이용한다.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또한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 벽 부분(90m)을 갖는다. 이러한 돌출 벽 부분(90m)들 중 하나는 슬롯(90f)을 포함하고, 돌출 벽 부분(90m)들 중 다른 하나는 상부 슬롯(90g) 및 하부 슬롯(90h)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롯(90f)의 상부는 마우스피스(B)의 한 쌍의 리브(20p)를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이고, 상부 슬롯(90g)은 마우스 피스(B)의 대향하여 배열된 한 쌍의 리브(20p)를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추가로, 슬롯(90f)의 하부는 절단기 메커니즘(H)의 돌출부(80c)를 내부에 활주식으로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이고, 하부 슬롯(90h)은 절단기 메커니즘(H)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부(80b)를 내부에 활주식으로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또한 부재(J)의 원주방향 표면(100a1)과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의 대체로 원형인 개방부(90l)를 갖는다. 상부 베어링 부재(I)가 부재(J) 상에 설치될 때, 상부 베어링 부재(I)의 바닥 표면(90k)은 부재(J)의 상부 표면(100j)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부 베어링 부재(I)의 상부 표면(90j)은 부재(J)의 하부 표면(100a2)과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그러한 접촉은 2개의 베어링을 생성하도록 기능하고, 상부 베어링 부재(I)가 부재(J)에 대해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보장하면서 상부 베어링 부재(I)가 부재(J)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또한, 상부 베어링 부재(I)가 마우스피스(B)에 고정되고, 부재(J)가 하부 하우징(P)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들 맞물림 표면은 부품(B-I)에 의해 형성된 장치의 상부와 부품(J-P)에 의해 형성된 장치의 하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지만 분리되지 않는 연결을 제공한다.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또한 전술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단부(130a)가 잠금 위치로 이동될 때, 잠금 부재(M)의 단부(130a)를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의 4개의 리세스(90n)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M)가 잠금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자유 단부(130a)는 리세스(90n) 내로 연장되지 않고, 대신에 표면(90o) 아래에 유지된다. 당연히, 상부 베어링 부재(I)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상부 베어링 부재(I)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66-72는 도 9에 도시된 하부 베어링 부재(J)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하부 베어링 부재(J)의 상부의 원형 플랜지(100a1)가 상부 베어링 부재(I)의 플랜지(90l)를 구속하여, 장치의 상반부 및 하반부를 함께 유지한다. 공급 튜브(FT)는 에어로졸이 리셉터클(Q)을 진출하여 에어로졸 모듈(D-H)로 진입하기 위한 도관을 제공한다. 공급 튜브(FT)는 에어로졸 모듈(D-H)에 대한 회전 및 병진 이동 밀봉을 제공한다. 하부 베어링 부재(J)의 원형 플랜지(100a1) 상의 캠(100c, 100d, 100f)은 절단기 메커니즘(H)의 저면 상의 캠(80m, 80n)과 맞물려서, 에어로졸 모듈(D-H)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외측 캠 상의 쐐기형 치형부(100d)는 마우스피스(B) 회전의 기본 위치에 대한 멈춤쇠를 제공하고, 기본 위치로부터의 역회전을 억제한다. 하부 베어링 부재(J)의 상부 상의 원호형 구멍(100m)은 잠금 부재(M)의 돌출부(130a)에 대한 간극을 제공한다.
도 66-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J)는 대체로 타원형인 구성을 갖고,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부(100b)를 갖는 상단부(100a)를 포함한다. 돌출부(100b)는 절단기 메커니즘(H)이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절단기 메커니즘(H)이 회전할 때 절단기 메커니즘(H)의 축방향 위치를 제어하도록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100a2)은 표면(90j)과 함께 상부 베어링을 형성하고, 표면(100g)은 표면(90k)과 함께 하부 베어링을 형성한다. 또한, 표면(100a1)은 표면(90l)과 함께 베어링을 형성한다. 전자의 상부 및 하부 베어링은 상부 베어링 부재(I)가 축방향으로 보유되도록 보장하고, 후자의 베어링은 상부 베어링 부재(I)가 공급 튜브(FT)와 동축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부재(J)는 또한 부재(K)의 대향하여 배열된 지지 견부(110k) 내에 안착하는 크기 및 구성의 대향하여 배열된 하부 플랜지 부분(100o)들을 이용한다. 하부 플랜지 부분(100o)들은 각각 부재(P)의 돌출부(160c)의 자유 단부들 중 하나를 내부에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의 관통 개방부(100i)를 포함한다. 부재(J)는 또한 부재(K)의 표면(110m, 110l, 110n)에 의해 형성된 부재(K)의 주 전방 리세스 내에 안착하는 크기 및 구성의 측면(100k, 100l)을 포함하는 전방을 향한 주 돌출부(100j)를 이용한다. 부재(J)는 또한 잠금 부재(M)의 자유 단부(130a)가 통과하도록 허용하고 잠금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의 단부(130a)의 이동을 제한하는 2개의 안내 슬롯(100m)을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튜브(FT)가 부재(J) 상에 배열되어, 에어로졸화된 공기 유동을 리셉터클(Q) 내에 형성된 출구 개방부로부터 오리피스 부재(F)의 중심 개방부를 통과하기 전에 장치를 통해 유도 및/또는 이송하도록 기능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급 튜브(FT)는 리셉터클(Q)이 장치 내에 설치될 때,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고 그리고/또는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부 테이퍼 표면(100s)을 포함한다. 공급 튜브(FT)는 큰 상단부(100q) 및 작은 하단부(100r)를 갖는 관통 개방부를 이용하고, 대체로 테이퍼지고, 확대된 부분(100t) 및 작은 부분(100u)을 각각 갖는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스포크형 부재를 거쳐 부재(J)에 연결된다. 벽(100a1)의 내측 원통형 표면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개 방 영역 및 확대된 부분(100t) 및 작은 부분(100u)을 각각 갖는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스포크형 부재는 우회 공기가 부재(J)를 통해 유동하도록 허용하고, 또한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 내에 형성된 입구 개방부 내로 유동할 유입 공기를 위한 저장 영역으로 역할한다. 부재(J)는 또한 주 돌출부(100j)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중심에 배치된 테이퍼형 입구 안내 표면(100x)을 갖는다. 이는 리셉터클(Q)이 더 쉽고 적절하게 삽입되도록 허용한다. 리셉터클(Q)의 선단부가 테이퍼형 표면(100x)을 통과하면, 리셉터클(Q)의 선단부의 상부 표면은 리셉터클(Q)이 완전히 위치될 때까지, 표면(100w)에 의해, 그 다음 표면(100z)에 의해 안내된다. 2개의 얕은 리세스(100v)가 안내 표면(100w, 100y, 100z)들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열되고, 무엇보다도 리셉터클(Q)과의 마찰 접촉을 감소시키도록 기능한다. 당연히, 부재(J)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부재(J)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73-78은 도 9에 도시된 지지 본체 부재(K)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중심 직사각형 개방부(110j)가 리셉터클 충격 부재(N)에 대한 간극을 제공한다.
도 73-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K)는 대체로 타원형인 구성을 갖고, 대체로 직사각형인 주 개방부(110j) 및 2개의 외측 개방부(110e)를 갖는 상부 지지 표면(110d)을 포함한다. 개방부(110j)는 무엇보다도 리셉터클(Q)의 삽입 시에, 리셉터클 충격 부재(N)의 단부(140a-140c)가 그를 통과하도록 허용하고, 부재(N)가 회전하게 허용하도록 기능한다. 개방부(110e)는 무엇보다도 리셉터클(Q)의 삽입 시에, 잠금 부재(M)의 단부(130a)가 그를 통과하여 이동하게 허용하도록 기능한다. 2개의 램프(ramp)형 지지 돌출부(110k)가 표면(110d) 상에 배열되어, 리셉터클(Q)을 그의 삽입 시에 약간 들어올리도록 기능한다. 대체로 구형인 주 리세스(110h)가 부재(K)의 중심 영역 내에 위치되어, 리셉터클(Q)의 통 부분을 바르게 위치시키고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대체로 만곡된 리세스(110i)가 리세스(110h)로부터 부재(K)의 진입 영역으로 연장되어, 리셉터클(Q)의 통 부분이 장치 내로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진입 영역은 대향하여 배열된 측면 모서리(110l, 110n) 및 바닥 모서리(110m)를 포함하는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측면 모서리(110l, 110n)들은 부재(J)의 돌출 부분(100j)을 내부에 수납하도록 이격되고, 모서리(100k, 100l)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2개의 원호형 지지 표면(110f)이 구형 리세스(110h) 위에 배열되어, 리세스(110h)가 리셉터클(Q)의 통 부분을 지지하는 동안 리셉터클(Q)의 바닥 측표면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추가로, 2개의 대향한 원호형 지지 견부(110k)가 배열되어, 부재(J)의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 부분(100o)을 지지한다. 전방 및 후방 원호형 지지 견부(110c)가 배열되어 부재(J)의 외측 표면(100p)의 주연 부분을 지지한다. 부재(K)는 또한 부재(L)의 돌출부(120h)의 상부를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인 슬롯(110s)을 이용한다. 부재(K)는 또한 공기가 장치 내로 진입하게 허용하도록 기능하는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만입부(110t)를 이용한다. 부재(K, L)들이 함께 조립될 때, 작은 공간이 바닥 모서리(110u)와 견부(120g) 사이에 유지되고, 큰 공간이 만입부(110t)와 만입부(120i) 사이에 유지된다. 부재(K)는 또한 잠금 부재(M)의 2개의 단부(130h)를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원형 리세스(110r, 110p)를 갖는 2개의 바닥을 향한 돌출부(110q, 110o)를 이용한다. 당연히, 부재(K)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부재(K)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79-83은 도 9에 도시된 스커트 부재(L)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스커트 부재(L)는 하반부 하위 조립체를 함께 스냅 결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본체(J) 내의 구멍을 덮음으로써 훼손 방지부를 제공한다. 스커트 부재(L)는 상품 외장을 제공할 수 있다. 스커트 부재(L)는 환자가 장치 상에, 예컨대 최초 사용 날짜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9-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L)는 대체로 타원형인 구성을 갖고, 대체로 내측으로 만곡된 전방 및 후방 모서리 및 대체로 외측으로 만곡된 좌측 및 우측 측면 모서리를 갖는 상부 모서리(120a)를 포함한다. 부재(L)는 또한 대체로 내측으로 만곡된 전방 및 후방 모서리 및 대체로 외측으로 만곡된 좌측 및 우측 측면 모서리를 갖는 하부 모서리(120b)를 포함한다.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만입부(120i)가 부재(L)의 좌측 및 우측 측면의 내측 부분 상에 있고, 공기가 장치 내로 진입하게 허용하도록 기능한다. 부재(L)는 또한 상단부가 부재(K)의 슬롯(110s)과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이고, 하단부가 부재(P)의 슬롯(160d)과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인, 돌출부(120h)를 이용한다. 부재(L)는 추가로 내측으로 향한 주연 견부(120g)도 이용한다. 부재(L, P)들이 함께 조립될 때, 상부 모서리(160b)와 견부(120g) 사이에 작은 공간이 유지되고, 만입부(120i)와 만입부(160g) 사이에 큰 공간이 유지된다. 부재(L)는 또한 2개의 전방 및 후방의 대향하여 배열된 만입부(120e, 120f)를 이용한다. 당연히, 부재(L)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부재(L)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84-87은 도 9에 도시된 잠금 부재(M)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단부(130a)는 삽입 중에 리셉터클(Q)의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내측으로 편위된다. 리셉터클(Q)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단부(130a)는 상부 베어링 부재(I)의 저면 상의 세부와 맞물리고, 이는 마우스피스(B)의 회전을 방지한다. 단부(130a)는 내측으로 편위되고, 리셉터클(Q) 외부의 측면 노치(170g)와 맞물려서, 리셉터클(Q)을 장치 내로 당긴다. 마우스피스(B)가 회전되면, 단부(130a)는 마우스피스(B)가 기본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리셉터클(Q) 삽입 또는 제거를 방지한다. 단부(130a)는 리셉터클(Q)이 후방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부(130a)는 장치 내에 정합되지 않는 리셉터클의 사용을 억제한다.
도 84-8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M)는 보강 견부(130f)를 가지며, 2개의 가요성 연결 웨브 부분(130d)을 거쳐 2개의 플레이트형 부재(130b)들을 함께 연결하는 주 연결 부분(130e)을 갖는다. 각각의 웨브 부분(130d)은 플레이트 부재(130b)들이 (리셉터클(Q)의 장치 내로의 삽입 시에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바와 같이) 부재(130c)의 축에 대해 회전될 때, 웨브 부분(130d)이 응력을 받아서 부재(130b)를 도 135-142에 도시된 원래의 비응력 상태를 향해 편위시키도록 기능하 도록,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잠금 부재(M)는 또한 부재(K)의 리세스(110r, 110p)와 맞물리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이격된 상부 베어링 샤프트 부분(130h)들과, 부재(P)의 리세스(160l, 160j)와 맞물리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이격된 하부 베어링 샤프트 부분(130g)들을 포함한다. 부재(M)의 바닥 표면(130j) 및 2개의 선택적인 바닥 돌출부(130i)는 부재(M)를 부재(P) 내에서 수직으로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부재(M)는 또한 상단부들이 리셉터클(Q)의 선단부를 수납하도록 이격되고, 리셉터클(Q)의 삽입 중에 멀리 이동될 수 있는, 돌출부(130a)들을 이용한다. 이러한 단부(130a)들은 또한 리셉터클(Q)의 대향하여 배열된 리세스(170g) 내에 안착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부재(M)는 또한 단일 단부 부분(130a) 및/또는 단일 플레이트형 부재(130b)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이들 중 하나만이 장치의 잠금을 일으키기 위해 요구되기 때문이다. 당연히, 부재(M)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부재(M)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88-92는 도 9에 도시된 리셉터클 충격 부재(N)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리셉터클(Q)의 장치 내로의 삽입 시에, 리셉터클 충격 부재(N)는 리셉터클 통(170h)에 충격을 제공하여, 분말을 파쇄하는 것을 돕는다. 리셉터클(Q)의 삽입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N)의 각각의 아암(140a, 140b, 140c)의 단부 상의 리세스(140e)에 의해 메커니즘을 구동한다.
도 88-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N)는 대체로 삼각형인 구성을 갖고, 3개 의 대체로 동일한 아암(140a-140c)이 연장되는 본체 부분을 포함한다. 부분(140h, 140g)의 축방향 단부 표면은 부재(P)의 플레이트형 돌출부(160e)의 내측을 향한 표면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이다. 부재(P)의 플레이트형 돌출부(160e)는 또한 부재(N)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기능하고, 아암(140a-140c)이 리세스(110j)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보장한다. 부재(N)는 부재(P)에 장착될 때 회전하고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부재(N)는 돌출부(160f, 160e)들 사이에 형성된 슬롯들 사이에서 회전하며 수직으로 이동하는 크기 및 구성의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축방향 돌출부(140i, 140j)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140a-140c)은 상부 립 부분(140d) 및 리셉터클(Q)의 선단부를 수납하도록 설계된 리세스(140e)를 포함한다. 리셉터클(Q)의 장치 내로의 삽입 시에, 리셉터클(Q)의 선단부는 상부 립(140d) 아래에서 활주하며 리세스(140e)의 견부(140f)와 맞물리고, 리셉터클(Q)의 추가의 삽입 이동은 부재(N)가 돌출부(140i, 140j)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할 것이다. 그러한 회전은 또한 부재(N)가 돌출부(160f, 160e)들 사이에 형성된 슬롯들 사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하방 이동은 리셉터클(Q)이 장치 내의 최종 삽입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부재(N)가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비틀림 스프링(O)의 자유 단부(150a, 150b)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당연히, 부재(N)에 대한 다른 구성이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부재(N)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93은 도 9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C)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도면 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코일 스프링(C)은 에어로졸 모듈(D-H)에 대한 하방 편위를 제공하여, 마우스피스(B) 회전의 함수로서 절단기 부재(H)의 캠(80m, 80n) 및 본체 부재(J)의 표면(100c, 100d, 100f)이 에어로졸 모듈(D-H)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게 한다.
도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C)은 대체로 원형인 구성을 갖고, 부재(B)의 돌출부(20i) 및 부재(H)의 표면(80a)과 맞물리는 크기 및 구성이다. 스프링(C)은 따라서 절단기 메커니즘(H)을 부재(J)를 향해 편위시키도록 기능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스프링(C)은 구동 토크(마우스피스(B)를 회전시키고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토크)를 약 0.3 Nm 내지 약 0.5 Nm 사이 범위 내로 설정하는 구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33 Nm로 설정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스프링(C)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302/304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당연히, 스프링(C)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도 94는 도 9에 도시된 비틀림 스프링(O)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도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O)은 2개의 직선이며 대체로 평행한 측면 섹션(150d) 및 연결 부분(150e)에 의해 형성된 대체로 직사각형인 기부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기부 부분은 부재(P)의 바닥 내측 표면 상에 놓이도록 설계된다. 스프링(O)은 또한 부재(P)의 플레이트형 돌출부(160e, 160f)들 사이에서 활주하는 크기 및 구성의 2개의 자유 단부(150a, 150b)를 이용한다 (예컨대, 도 18 참조). 이러한 자유 단부(150a, 150b)들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N)의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축방향 돌출부(140i, 140j)에 의해 맞물리 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9 참조). 각각의 자유 단부(150a, 150b)는 연결 코일 부분(150c)을 거쳐 기부 부분에 연결된다. 코일 부분(150c)은 비틀림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자유 단부(150a, 150b)의 하방 이동에 저항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스프링(O)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302/304의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당연히, 스프링(O)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또한, 합성 수지 스프링(O)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O)은 또한 와이어 비틀림 스프링 대신에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5-98은 도 9에 도시된 본체 부재(P)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본체 부재(P)는 라벨링을 위해 장치의 바닥 상에 편평 표면을 제공한다.
도 95-9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P)는 대체로 타원형인 구성을 갖고, 상부 모서리(160b) 및 부재(L)의 돌출부(120h)의 하부를 수납하는 크기 및 구성의 복수의 슬롯(160d)을 포함한다. 4개의 플레이트형 돌출부(160f, 160e)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O) 및 리셉터클 충격 부재(N)를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2개의 십자형 돌출부(160c)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이들 돌출부(160c)의 자유 단부는 부재(J)의 부분(100o)에 고정되거나 제거 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부재(P)는 추가로 공기가 장치 내로 진입하게 허용하도록 기능하는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만입부(160g)도 이용한다. 부재(P, L)들이 함께 조립될 때, 상부 모서리(160b)와 견부(120g) 사이에 작은 공간이 유지되고, 만입부(160g)와 만입부(120j) 사이에 큰 공간이 유지된다. 부재(P)는 또한 잠금 부재(M)의 2개 의 단부(130g)에 대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원형 리세스(160l, 160j)를 갖는 2개의 상방을 향한 돌출부(160k, 160i)를 이용한다. 당연히, 부재(P)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추가로, 부재(P)는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99는 완전 개방 위치를 취한 후의 트리거(E)의 일 실시예의 3차원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트리거(E)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환자가 마우스피스(B)의 내부에 진공을 생성할 때, 트리거(E)는 뒤집히고, 트리거의 4개의 "엽"이 개방된다 (도 25-26 참조). 트리거의 1차 기능은 일관되고 균일한 투여를 보장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0-101은 트리거(E)를 구비하고 구비하지 않은 장치들에서 수행된 유량 시험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다. 트리거(E)는 사용자가 장치 내로 충분한 공기 유동을 흡인하지 못하여, 리셉터클(Q) 내에 담긴 분말의 불완전하거나 일관되지 않은 에어로졸화를 생성할 때, 자체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형적으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올바른 흡입 조작에 대한 충분한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도 102는 리셉터클(Q)이 장치 내에서 사용된 후의 리셉터클(Q)의 리드스톡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중심의 출구 개방부는 천공 및 세척 장치(G)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단부(70g)에 의해) 형성되었고, 2개의 원호형 입구 개방부는 절단기 메커니즘(H)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치형부(80t)에 의해) 형성되었다. 부재(G)는 리셉터클 블리스터 팩(Q)의 상부의 포일 리드스톡 내로 들어가서, 중심 출구 개방부를 생성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의 2개의 치형부(80t)는 부재(G) 직후에 또는 본 질적으로 그와 동시에 포일 내로 하강하도록 시간이 맞춰진다. 그러한 이동은 부재(H, J)들의 대응하는 캠 표면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어된다. 마우스피스(B)가 회전됨에 따라, 부재(G)는 회전하여 포일을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치형부(80t)가 공기가 블리스터 팩(Q)을 통과하기 위한 입구를 제공하는 2개의 대략 120°의 원호형 개방부를 형성하는 동안 중심 출구 구멍을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형부(80t)는 입구 개방부를 형성할 때 포일을 실제로 절단하지 않고, 도 1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된 파열을 전파한다.
도 103은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하부의 절결도를 도시하고, 기본 위치의 리셉터클(Q)을 도시하고, 도 9의 구성요소(J-Q)의 위치 설정을 도시한다.
도 104-107은 다른 선택적인 장치의 하부의 절결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리셉터클 충격 부재(N)가 상이하게 구성된 리셉터클 충격 부재로 대체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2의 것과 유사하다. 이전의 부재와 달리, 이러한 부재는 로브의 자유 단부에서 견부를 이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로브 또는 아암은 리셉터클의 선단부와의 접촉 대신에 리셉터클의 통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하게 된다. 도 104는 리셉터클의 초기 삽입 위치를 도시한다. 도 105는 어떻게 리셉터클이 로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시작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것이 통과 좌측 로브 사이의 접촉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06은 어떻게 리셉터클이 좌측 로브를 중심 또는 수직 위치 (즉, 비틀림 스프링(O)의 최대 압축을 일으키는 위치)로 계속 이동시키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것이 통과 로브 사이의 접촉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07은 기본 위치의 리셉터클을 도 시한다. 리셉터클이 좌측 로브를 중심 또는 수직 위치를 지나 이동시킨 후에, 비틀림 스프링(O)은 그의 에너지를 자동으로 방출하여, 도 106의 좌측 로브가 신속하게 회전하여 로브에 의해 리셉터클(Q)의 통에 충격을 가하며 그와 부딪히게 한다. 이는 리셉터클이 도 106 및 107에 도시된 위치들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발생하였다.
도 108-111은 도 9에 도시된 리셉터클(Q)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그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도 108-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Q)은 대체로 직사각형인 구성을 갖고, 잠금 부재(M)의 단부(130a)들과 맞물려서 이들을 벌리는 크기 및 구성의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테이퍼지거나 모따기된 모서리(170f)를 갖는 선단부(170c)를 포함한다. 2개의 대체로 대향하여 배열된 리세스(170g)가 단부(130a)들이 측면 모서리(170b)와 활주식으로 맞물린 후에 잠금 부재(M)의 단부(130a)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배열된다. 잠금 부재(M)의 단부(130a)들이 모서리(170f, 170b)에 의해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된 후에 그리고 단부(130a)들이 리세스(170g) 내에 위치된 후에, 장치는 풀리고, 마우스피스(B)는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단부(130a)들이 모서리(170f, 170b)에 의해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단부(130a)들이 리세스(170g) 내에 위치되기 전에는, 장치는 잠기고, 마우스피스(B)는 회전될 수 없다. 리셉터클(Q)은 추가로 대체로 편평한 바닥 부분(170i)을 갖는 대체로 구형인 통 부분(170h)도 이용한다. 통 부분은 장치에 의해 에어로졸화될 분말의 원하는 양을 내부에 담는 크기 및 구성이다. 리셉터클(Q)은 또한 후방 모서리(170d) 및 대향하여 배열된 측면 모서리(170a)들을 포함하는 탭 또는 파지 부분을 이용한다. 선택적인 리세스(170e)가 후방 모서리(170d) 상에서 이용될 수 있다. 선단부에 대향한 리셉터클(Q)의 단부는 리셉터클(Q)의 장치 내로의 부적절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선단부와 같은) 모따기된 코너를 이용하지 않는다 (모따기된 코너가 없으면, 리셉터클(Q)의 이러한 단부는 잠금 부재(M)의 아암들을 벌리도록 작용하지 않을 것이다). 리셉터클의 상부 표면은 포일 리드스톡으로 열 밀봉된다. 리셉터클(Q)은 또한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종래의 엑수베라(Exubera™) 리셉터클 또는 1회 사용 블리스터 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당연히, 리셉터클(Q)에 대한 다른 구성 및 형상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Q)은 리셉터클(Q)의 일 측면 상에서만 선단 테이퍼 부분(170f) 및 하나의 노치(170g)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리셉터클(Q)은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장치는 또한 전술한 PDS 장치들 중 하나 이상에서 사용되는 유형의 로크아웃 또는 리셉터클 잠금 특징부 또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Q)의 설계 및 구성에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다음을 포함한다: 통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영역 및 직선으로 구성된 단순한 형상이어야 하고; 통 내에서의 재순환 유동의 영역은 최소화되어야 하고; 설계는 통 내에서 일정한 가속 유동이 있으며, 이러한 유동은 공급 튜브(FT)를 통해 연속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경계층 분리 영역 또한 통 내에서의 그리고 공급 튜브(FT) 내로 그리고 그를 통한 공기 유동에 관해 최소화 및/또는 회피되어야 하고; 느린 와류를 생성하는 통 내에서의 공기 유동의 갑작스런 확장은 확장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 므로 허용 가능하다. 리셉터클(Q)은 가압 될 수도 있다. 추가로, 포일 리드스톡은 예컨대, 초음파 용접 또는 초음파 융착을 사용하여 합성 수지 본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2는 블리스터 자체 및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다. 공기는 2개의 120° 원호형 입구 개방부(도 102 참조)로 진입하고 중심 개방부로부터 공급 튜브(FT) (즉, 부재(J)의 중심에 배치된 튜브) 내로 진입하여, 그와 함께 유체화된 분말을 리셉터클 또는 블리스터 팩(Q)으로부터 흡인한다. 유동은 그 다음 공급 튜브(FT)를 통해 그리고 오리피스 부재(F)의 중심 개방부를 통해, 트리거(E)를 통해, 마우스피스(B)를 통해 외부로,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폐 속으로 이동한다. 분말 충진 공기가 오리피스 부재(F) 및 트리거(E)를 통과할 때, 분말의 더 큰 응집된 입자들이 분쇄되어, 폐 심부에 침착되기에 적합한 미세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113은 블리스터 자체를 통한 공기 유동 경로 및 도 1 및 2에 도시된 유형의 장치를 통한 우회 공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다. 우회 공기 유동 경로는 환자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장치의 전체 공기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우회 공기는 (스커트(L) 아래의) 구성요소들 내의 갭을 통해 장치로 진입하고, 그 다음 절단기 메커니즘(H) 내의 6개의 개방부(80e)를 통과한다. 우회 공기 유동은 또한 에어로졸의 중심 유동을 집중시키도록 역할한다. 도 113에 도시된 누출 경로는 최소화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에어로졸 성능에 대한 주요 인자는 (절단기 메커니즘(H) 내의 우회 구멍(80e)의 크기에 의해 제어되는) 총 유동에 대한 블리스터 유동의 비율, 오리피스 부재(F) 내의 중심 개방부의 크기, 및 트리 거(E) 상의 슬릿(50c, 50d)의 길이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약 40%의 블리스터 유동, 약 0.34 인치의 트리거 슬릿 길이, 및 오리피스 부재(F)의 중심 개방부에 대한 약 3.8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약 20% 내지 약 70% 사이의 블리스터/전체 비율 및 약 3 mm 내지 약 13 mm 사이의 오리피스 부재(F) 개방부 직경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도 114-123은 상이한 작동 위치의 도 1 및 2에 도시된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다양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8-138은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치의 부품 수는 선택적인 캡을 포함하여, 14개이다. 도 9 및 도 128의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29를 참조하면, 도 9의 실시예의 초음파 융착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대체되었다. 도 9의 실시예의 돌출부(20h)의 십자형 형상은 4개의 리브(20h')에 의해 대체된다. 작은 리브(상기 도면에서 3개의 리브 중 중심 리브)가 연장되어 조립 중에 압축 스프링(C')의 추가의 인입을 제공하였다.
도 130을 참조하면, 어댑터(F')가 리테이너 부재(D')에 스냅 결합되어 트리거(E')를 구속한다. 어댑터(F')는 절단기 부재(H')에 스냅 결합되어 세척 장치(G')를 구속한다. 어댑터(F') 및 절단기 부재(H')는 함께 압축 스프링(C')의 힘을 에어로졸 모듈(D'-H')로 전달하기 위한 플랜지를 형성한다. 스냅은 누출을 최소화하면서 에어로졸 모듈(D'-H')을 함께 유지한다.
어댑터(F')는 부품의 외경부에 추가된 단속된 플랜지(60k')를 가져서 그가 절단기 부재(H')에 스냅 결합되게 하여, 접착제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접착제는 흡입 장치 내에서 사용하기에 대체로 바람직하지 않다. 어댑터(F')는 세척 장치(G')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절단기 부재(H') 내의 특징부와 맞물리는 2개의 방사상 리브(60l')를 가져서, 열 융착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열 융착의 제거는 조립 중의 입자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9의 실시예의 외측 원주방향 리브(60g)가 제거되었다. 외측 원주방향 리브(60g)를 제거하는 것은 장치 적층의 감소와 관련된, 에어로졸 모듈(D'-H')의 내부의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도 131을 참조하면, 도 9의 실시예에 비해, 세척 부재(G')의 중심 부품(70e' 내지 70g')의 기하학적 형상은 동일하지만, 자유 단부(70a', 70b')의 전체 폭 및 형상은 상이하다. 더 긴 자유 단부(70a', 70b')는 세척 부재(G')가 어댑터(F') 및 절단기 메커니즘(H')에 의해 유지되도록 허용하여, 열 융착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연장된 자유 단부(70a', 70b')는 또한 에어로졸 모듈(D'-H') 스냅 결합이 실패하더라도, 세척 부재가 장치 내에 보유되도록 허용한다.
도 132를 참조하면, 스냅 결합이 누출을 최소화하면서 에어로졸 모듈(D'-H')을 함께 유지한다. 절단기 메커니즘(H')의 주연부 둘레의 수직 벽(80w')은 에어로졸 모듈(D'-H') 스냅 결합이 실패하더라도 세척 장치(G')를 장치 내에 구속하는 것을 돕는다. 절단기 메커니즘(H')의 모서리 상의 탭(80x')은 베어링 부재(I') 상의 수직 채널과 맞물려서, 에어로졸 모듈(D'-H')의 회전을 마우스피스(B')의 회전과 동기시킨다.
도 133을 참조하면, 상부 베어링 부재(I')는 조립 중에 벌어져서, 본체(J') 상의 플랜지를 둘러싼다. 마우스피스(B')에 용접되면,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다시 벌어질 수 없어서, 장치의 상반부를 하반부에 확실하게 보유한다. 상부 베어링 부재(I')는 본체(J')의 플랜지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상부 베어링 부재(I')의 저면 상의 세부는 트레이(K/M') 상의 인터로크 탭과 맞물려서, 리셉터클(Q')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 마우스피스(B')의 회전을 잠근다. 상부 베어링 부재(I')의 저면 상의 세부는 마우스피스(B')의 회전 중에 트레이(K/M') 상의 인터로크 탭을 구속하여, 마우스피스(B')가 기본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리셉터클(Q') 삽입 또는 제거를 방지한다.
도 134를 참조하면, 본체(J')는 뒤집힌 리셉터클 삽입을 억제하도록 형성된 리셉터클 개방부(S')를 갖는다. 형상은 또한 삽입 시에 측방향 리셉터클 위치를 제공한다. 본체(J')의 수직 벽 내의 구멍(100hk', 100hp')은 트레이(K/M') 및 기부판(P')에 대한 스냅 특징부를 제공한다. 본체(J')의 수직 벽 내의 H-형상 리세스(10Ohl')는 슬리브(L')에 대한 스냅 특징부를 제공한다. 본체(J')의 수직 벽 내의 라운딩된 홈(100ha')은 캡(A')에 대한 스냅 특징부를 제공한다. 역회전 치형부 세부(100d')는 확장되어 장치를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도 135를 참조하면, 트레이(K/M')는 일체형 돌출부(130a')를 포함한다. 트레이(K/M')는 리셉터클 충격 부재(N')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그의 저면 상에 수직 슬롯(110v')을 포함한다. 중심 직사각형 개방부(110j')에 인접한 트레이(K/M')의 저면 상의 캠 표면(100w')은 리셉터클 충격 부재(N') 상의 2차 캠(140g', 140h')과 맞물린다. 이는 공급 튜브(FT')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본체(J') 상의 스포크형 부재(100t', 100u')에 응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리셉터클 충격 부재(N')를 공급 튜브(FT')를 지나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트레이(K/M')의 상부 측면 상의 2개의 작은 쐐기형 돌출부(130a')는 리셉터클(Q')의 선단날이 리셉터클 충격 부재(N')의 아암(140a', 140b', 또는 140c') 내의 리세스(140e')와 맞물리도록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트레이(K/M')의 전방(110x') 및 (도시되지 않은) 후방 상의 스냅 세부는 트레이(K/M')를 본체(J') 내에 제공된 구멍(100hk') 내에 보유한다.
도 136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충격 부재(N')의 축(140i', 140j')은 기부판(P') 내의 스프링 변형부(150a', 150b')와 맞물린다. 2차 캠(140g', 140h': 더 큰 로브의 각 측면 상의 더 작은 로브)은 메인 아암(140a', 140b', 또는 140c')이 공급 튜브(FT')를 쓸어낼 때 리셉터클 충격 부재(N') 스프링력의 응력을 경감시킨다. 리셉터클 충격 부재(N')는 좌우 대칭이고, 이는 조립 중에 잠재적인 배향 오류를 제거한다.
도 137을 참조하면, 기부판(P')의 원호형 날개(150a', 150b')가 리셉터클 충격 부재(N')에 대한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도 138을 참조하면, 스커트 부재(L')는 그가 조립체의 다른 부품들 사이에 삽입되기보다는, 본체(J') 상으로 스냅 결합되는 사실을 반영하는 내부 표면 둘레의 상이한 특징부들을 갖는다. 스커트 부재(L')는 중심 리세스(스커트 부재(L)의 요소(120f) 참조)를 갖지 않는다.
도 124-127은 바람직한 절단기 메커니즘(H) 구성 및 바람직한 치형부 구성의 세부를 도시한다. 도 126의 치형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치형부의 선단부는 무디고, 예컨대 라운딩되어, 포일을 절단하지 않고 대신에 제어된 파열을 생성한다. 도 127은 "mm" 단위의 비제한적인 치수를 갖는 치형부들 중 하나를 도시한다.
공기 유동 특성
도 139-178을 참조하면, 다음의 설명은 장치의 공기 유동 고찰 및 특성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유동 선도 도면 내에서 사용되는 정의이다:
● 입구: 장치 내에서의 환경으로부터 내부 공기 유동으로의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개방부.
● TV: 트리거 밸브, 트리거 밸브를 가로지른 압력 강하가 임계 압력 차이를 초과할 때까지 공기 유동이 발생할 수 없도록 임계 압력 차이를 실시하기 위한 메커니즘. 전형적으로, 압력 차이는 사용자 부여 흡입 진공에 의해 제공된다. 개방되면, 이상적인 트리거 밸브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트리거 밸브를 가로지른 압력 강하가 5 cm H2O 아래, 바람직하게는 1 cm H2O 아래로 강하할 때까지, 0.4 sqrt(cm H2O)/(liter/min) 아래, 바람직하게는 0.1 sqrt(cm H2O)/(liter/min) 아래의 공기 유동 저항을 제공한다.
● MP: 장치 마우스피스.
● 출구: 장치로부터의 유동 출구, 이하에서 항상 마우스피스의 하류 오리피 스에 있는 것으로 가정됨.
● PF: 분말 약제 응집 상태에 관계없이, 분말 약제 유체화를 제공하거나, 공기 스트림 내에 분말 약제를 혼입시키기 위한 분말 유체화 장치.
● PD: 공기 스트림 내에 현탁된 유체화된 분말 약제를 1차 입자 상태로 또는 1차 입자 상태에 가까이 감소시키기 위한 분말 분쇄 장치.
● FR: 압력 차이의 분율로서 가변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유동 조절기 장치, 압력 차이는 사용자 부여 흡입 진공에 의해 제공되어, 유동 조절기 장치를 통한 유동 또는 마우스피스를 통한 사용자에게로의 유동은 일정하게 또는 유량 대 압력 차이의 소정의 관계 내에서 유지된다.
● AB: 전형적으로 국소 평행 유동 회로 요소 내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일정한 유동 저항 또는 유동 저항 대 압력 차이 관계를 갖는 도관일 수 있는 공기 유동 바이패스.
도 139 내지 161은 수동 DPI 유동 구조를 블록 선도 형태로 도시하고, 화살표는 공기 입구로부터 마우스피스 및 출구로의 공기 유동의 방향을 도시한다. 각각의 박스는 오리피스를 통한 유동 저항과 유사한 일정 공기 유동 저항을 제공하는 요소를 나타내고, 유량(Q) 및 압력 강하(ΔP)에서의 유동 저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 = (SQRT(ΔP))/Q
n은 직렬 유동 저항이고, Ri는 수학적 관계에 의한 합계이다.
Figure 112009030730837-PCT00001
병렬 유동 저항들은 수학적 관계에 의해 조합된다.
Figure 112009030730837-PCT00002
도 139는 단순 공기 입구, 분말 유체화(PF) 장치, 마우스피스(MP), 및 사용자의 구강으로의 출구를 도시하는, 전형적인 수동 DPI의 유동 구조의 블록 선도이다.
도 140은 미국 특허 제6,606,992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는 직렬-병렬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이러한 직렬-병렬 유동 구조의 장점은 장치 출구로부터의 공기의 총 유동이 사용자 인가 흡입 진공의 공지된 함수로 미리 결정되는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정의 함수는 단순 상수일 수 있어서, 장치 출구로부터의 에어로졸 충진 공기의 유동은 항상 일정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의 함수는 약간의 양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어서, 장치 출구로부터의 공기의 총 유동은 사용자 인가 흡입 진공의 증가와 함께 약간 증가하고, 약간의 양의 기울기는 인지되는 사용자 편의성에 있어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40의 블록 선도에 도시된 직렬-병렬 유동 구조의 단점은 유동 조절기(FR)를 통한 가변 공기 유동 때문에, 분말 유체화(PR) 및 분말 분쇄(PD)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이 가변적이고 사용자 인가 흡입 진공에 의존하는 것이다.
도 141은 구동 중의 임의의 시점에서, 장치의 모든 요소를 통한 공기 유동이 동일한, 순수 직렬 유동 구조의 블록 선도이다. 순수 직렬 유동 구조의 고유한 단점은 유동 저항들이 전체 장치 유동 저항이 높아서 사용자 편의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식으로 조합되는 것이다.
도 142 내지 145는 순수 직렬 수동 DPI 유동 구조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146은 분말 유체화(PR) 장치에 대해 병렬로 배열된 추가의 공기 바이패스(AB)를 구비한 도 14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직렬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고, 공기 바이패스는 분말 유체화(PR) 장치에 대한 유동 저항을 낮춰서, DPI 전체 유동 저항을 낮추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147 내지 150은 도 146에서 설명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와 같은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도 151은 분말 유체화(PR) 장치 및 분말 분쇄(PD) 장치에 대해 병렬인 추가의 공기 바이패스(AB)를 구비한 도 14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직렬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고, 공기 바이패스는 조합된 PR 및 PD 장치에 대한 유동 저항을 낮춰서, DPI 전체 유동 저항을 낮추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152 내지 155는 도 151에서 설명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로서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도 156 및 157은 유동 조절기(FR)가 분말 분쇄(PD) 장치와만 직렬로 배열된 점을 제외하고, 도 140에서 제시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로서 직렬-병렬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도 158은 트리거 밸브(TV)가 분말 분쇄기(PD)의 하류에 그리고 마우스피스(MP)의 바로 상류에 배열된 점을 제외하고, 도 140에서 제시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로서 직렬-병렬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도 159 및 160은 동일한 장치가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동 조절기(FR)가 분말 분쇄기(PD)와 조합된 점을 제외하고, 도 231에서 제시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로서 직렬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도 161 및 162는 분말 유체화(PR) 장치에 대해 병렬로 배열된 추가의 공기 바이패스(AB)를 구비한, 도 159 및 160에서 제시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로서 직렬-병렬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고, 여기서 공기 바이패스는 분말 유체화(PR) 장치에 대한 유동 저항을 낮춰서, DPI 전체 유동 저항을 낮추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159 내지 162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반영하는 배열이다.
도 163 내지 168은 유동 조절기(FR)를 포함하지 않는 도 140 내지 162에 제시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로서 유동 구조를 갖는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도 169 내지 171은 도 140 내지 162에서 제시된 원리의 추가의 실시예로서 유동 구조를 갖지만, PD 및 TV 기능을 단일 장치로 조합함으로써 변형된 수동 DPI의 블록 선도이다.
도 139-171에 도시된 일련의 요소들은 가능한 배열의 예로서만 제시되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원에서 제시된 특정 예는 단지 예시적이고; 명확함을 위해 모든 가능한 배열이 도시되지는 않았다. 요소들은 원하는 유동 특성에 의존하여,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화의 2개의 기능 스테이지, 분말 유체화(PF) 및 분말 분쇄(PD)로의 분할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통합된다. PD 스테이지는 전단 공기 유동, 난류 공기 유동, 충격물과의 분말 입자 충돌, 또는 가속 유동을 채용할 수 있다. 대체로 폐 전달에 대해 관심있는 범위, 100 nm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500 nm 내지 3 ㎛ 사이의 1차 입자 크기에 대해, 가속 유동이 분쇄에 대해 가장 효과적이라고 발견되었다. 그러한 가속 유동은 에어로졸이 유체화된 분말로서 도입되는 단순 오리피스를 가로질러 압력 강하를 인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72 참조.
다른 구성에서, 분말 분쇄(PD)는 유동 조절기(FR)와 조합되어, 동일한 장치가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합된 FR/PD 실시예의 일례의 도면이 화살표가 유동 방향을 표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7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4는 수동 DPI의 구동 중의 오리피스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입구 측으로부터 본 이러한 조합된 FR/PD 실시예의 동일한 예의 도면이다. 이러한 조합된 FR/PD 스테이지의 하나의 장점은, 특히 사용되는 재료가 실리콘 고무와 같이 가요성이며 불활성일 때, 오리피스가 수동 DPI의 구동 후에 도 173에 도시된 대략적인 형상으로 복원하여, FR/PD의 오리피스가 자가 세척식인 경향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조합된 PD/TV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 175에서 폐쇄 위치의 뒤집힌 실리콘 고무 밸브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76은 개방 위치의 상기 실리콘 고무 밸브를 도시하고, 화살표는 분말 분쇄(PD) 장치로서 작용하는 오리피스를 통한 공기의 유동 방 향을 표시한다. 분말 약제의 전달 시에 실리콘 고무 밸브로의 PD/TV 장치의 도 175에 도시된 형상으로의 복원은 PD/TV 장치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공기 유동 바이패스(AB)를 통한 공기의 유동은 오리피스를 깨끗하고, 오리피스와의 가능한 충돌 때문에 오리피스에 부딪히기 쉬운 분말이 없이 유지하는 것을 추가로 돕기 위해, 단순 오리피스 또는 가변 면적 오리피스이든지 간에, PD 또는 FR/PD 장치에 접근하는 에어로졸 유동 둘레에 깨끗한 공기의 외피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공기 바이패스(AB)로부터의 깨끗한 공기를 이용하는 일 실시예가 도 177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 165 및 166에 도시된 실시예의 PF, AB, 및 PD 섹션의 하나의 가능한 배열을 도시한다. 도 177은 절단된 입구 구멍(30) 및 흡입 튜브(45)를 갖는 블리스터 팩 뚜껑(40)을 구비한 분말(10)을 담는 블리스터 팩 웰(20)로 구성된 PF 장치, 챔버(60) 내로의 입구 구멍(50)으로 구성된 AB 장치, 및 오리피스(70) 및 확산기(80)로 구성된 PD 장치를 도시한다.
공기 바이패스(AB)로부터의 깨끗한 공기를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 178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 165 및 166에 도시된 실시예의 PF, AB, 및 PD 섹션의 하나의 가능한 배열을 도시한다. 도 178은 절단된 입구 구멍(30) 및 흡입 튜브(45)를 갖는 블리스터 팩 뚜껑(40)을 구비한 분말(10)을 담는 블리스터 팩 웰(20)로 구성된 PF 장치, 및 분쇄 오리피스(75) 및 확산기(80)를 구비한 유동 조절기로 구성된 FR/PD 장치를 도시한다. FR/PD 장치가 도 171의 유동 구조에 도시된 바와 같은 PD/TV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특징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흡입기와 같은 임의의 장치를 제공한다: 천공 및 파열에 의해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 파열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 개방부의 파열된 모서리를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구부림 -;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세척 장치;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 mg 미만, 2 mg 미만, 또는 1 mg 미만과 같은, 낮은 분말 투여량을 수동으로 투여할 수 있다.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도면에 도시된 특징부들은 상대적인 크기이다.
본 발명이 그의 특정 버전에 대해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른 버전이 가능하고, 도시된 버전의 대안, 변형 및 등가물이 명세서를 읽고 도면을 참조하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본원의 버전의 다양한 특징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추가의 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용어가 설명의 명확함을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임의의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원에 포함된 바람직한 버전의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드는 모든 대안,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을 완전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 또는 그의 임의의 실시예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광범위한 등가의 범위의 조건, 조성, 및 다른 파라미터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 될 것이다.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특허 및 간행물은 본원에서 완전히 참조로 통합되었다. 임의의 간행물의 참조는 출원일 이전의 그의 개시 내용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간행물이 종래 기술이다거나 본 발명이 선행 발명에 의해 그러한 간행물에 선행할 자격이 없다는 승인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0)

  1.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을 포함하고,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할 때, 리셉터클 내로 하강하고 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공기 입구 개방부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분말을 담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공급 튜브는 리셉터클로부터 출구로 분말을 전달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메커니즘은 벽 내에 천공부를 생성하고 벽의 파열을 일으킴으로써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형 개방부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2개의 원호형 개방부를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2개의 이격된 원호형 개방부; 및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원호형 개방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구부러진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 내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는 무딘 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대체로 V-형상인 와이어; 및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 내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는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의 부분 및 천공 부분을 갖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여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회전하여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복수의 방사상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리셉터클에 의해 이동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이동하게 되고,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편위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게 하기 위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게 하는 편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담는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6.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공급 튜브 내에 영구적으로 배열된 세척 장치
    를 포함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분말을 담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공급 튜브는 리셉터클로부터 출구로 분말을 전달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구부러진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 내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는 무딘 단부를 이용하는 천공 및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 내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대체로 V-형인 와이어; 및
    천공 부분 및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의 부분을 갖는 와이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1. 제26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천공 부분 및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의 부분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고, 부재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를 통한 실질적으로 단속되지 않는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천공 부분 및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에서 이동하는 부분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33. 제26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여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부재는 천공 부분 및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에서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35. 제2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형 개방부를 포함하는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2개의 원호형 개방부를 포함하는 장치.
  38. 제2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부재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소정량만큼 회전하여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복수의 방사상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의해 이동되는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이동하게 되고,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45.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3개의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방사상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46.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편위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7.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게 하기 위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8. 제3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게 하는 편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9. 제26항에 있어서,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50. 제26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담는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51.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복수의 안정 위치를 갖는 리셉터클 충격 장치
    를 포함하는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분말을 담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공급 튜브는 리셉터클로부터 장치의 출구로 분말을 전달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54.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하고,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소정량만큼 회전하여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55.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복수의 방사상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리셉터클에 의해 이동되고,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 로의 삽입 중에 이동되고,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58.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3개의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방사상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59.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편위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0.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게 하기 위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1. 제5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게 하는 편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2. 제51항에 있어서,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3. 제51항에 있어서, 소정의 음압에서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4. 제51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구부러진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66. 제64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무딘 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67. 제64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 내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대체로 V-형상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68. 제64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의 부분 및 천공 부분을 갖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69. 제64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천공 부분 및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의 부분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고, 부재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를 통한 실질적으로 단속되지 않은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장치.
  70. 제64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천공 부분 및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에서 이동하는 부분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71. 제64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여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72. 제64항에 있어서, 부재는 천공 부분 및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에서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73. 제6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형 개방부를 포함하는 장치.
  75. 제51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담는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76. 노치를 포함하는 제1 측면 쌍 및 제1 측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포 함하는 외형을 갖는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리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하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을 포함하는 장치.
  77. 제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분말을 담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공급 튜브는 리셉터클로부터 장치의 출구로 분말을 전달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장치.
  78. 제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리셉터클이 부분적으로 장치 내에 있을 때 장치의 우발적인 사용을 방지하고,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리셉터클이 부분적으로 장치 내에 있을 때 장치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장치.
  79. 제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제1 잠금 위치 및 제2 풀림 위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이 부분적으로 장치 내에 있을 때 잠금 위치가 유지되는 장치.
  80. 제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잠금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아암을 갖는 대체로 U-형상인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81. 제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서로를 향해 편위되는, 스프링 아암들을 갖는 대체로 U-형상인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82. 제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83. 제76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84. 제83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구부러진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85. 제83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 내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무딘 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86. 제83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리셉터클로부터 공급 튜브 내로 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대체로 V-형상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87. 제83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천공 부분 및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의 부분을 갖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88. 제83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천공 부분 및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에서 이동하는 부분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89. 제83항에 있어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여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90. 제89항에 있어서, 부재는 천공 부분 및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공급 튜브의 내측 표면 부근에서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91. 제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92. 제9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93. 제9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94. 제9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또는 그 후에 소정량만큼 회전하여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장치.
  95. 제9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복수의 방사상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96. 제95항에 있어서, 방사상 연장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의 장치 내로의 삽입 중에 리셉터클에 의해 이동되는 장치.
  97. 제9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3개의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연장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98. 제9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편위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99. 제76항에 있어서,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 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00. 제76항에 있어서, 인슐린을 담는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01. 제1항의 장치를 사용하여 리셉터클을 개방하는 방법이며,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으로, 벽 내에 천공부를 생성하고 그 다음 벽 내에 파열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파열은 벽의 파열된 모서리를 리셉터클 내로 내측으로 구부리는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 부분을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회전은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이 벽을 천공하고 그 다음 벽을 파열시키게 하고, 파열은 벽의 파열된 모서리를 리셉터클 내로 내측으로 구부리는 방법.
  103. 제102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 부분을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 및
    장치의 출구에 결합된 마우스피스 상에서 음압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회전은 자동으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이 벽을 천공하고 그 다음 벽을 파열시키게 하고, 파열은 벽의 파열된 모서리를 리셉터클 내로 내측으로 구부리는 방법.
  104. 제103항에 있어서, 발생된 음압은 장치 내에 배열된 트리거 메커니즘의 개방을 일으키는 방법.
  105. 제104항에 있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법.
  106. 제104항에 있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소정의 음압에서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법.
  107. 제1항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며,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리셉터클을 천공하는 단계; 및
    공급 튜브를 세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8. 제107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 부분을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회전은 리셉터클의 천공 및 공급 튜브의 세척을 일으키는,
    방법.
  109. 제108항에 있어서,
    장치의 출구에 결합된 마우스피스 상에서 음압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0. 제109항에 있어서, 발생된 음압은 장치 내에 배열된 트리거 메커니즘의 개방을 일으키는 방법.
  111. 제110항에 있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법.
  112. 제109항에 있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소정의 음압에서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법.
  113. 제1항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며,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리셉터클 충격 장치로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4. 제113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 부분을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5. 제114항에 있어서, 삽입은 충격을 일으키는 방법.
  116. 제115항에 있어서,
    장치의 출구에 결합된 마우스피스 상에서 음압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7. 제116항에 있어서, 발생된 음압은 장치 내에 배열된 트리거 메커니즘의 개방을 일으키는 방법.
  118. 제116항에 있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법.
  119.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이며,
    지지부; 및
    지지부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리셉터클의 벽을 초기에 천공하고 그 다음 그 안에서 파열을 전파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20. 제119항에 있어서, 메커니즘은 분말의 에어로졸화를 위한 장치 내에서 사용하도록 적응된 메커니즘.
  121. 제1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원호형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22. 제1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23. 제1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복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메커니즘.
  124. 제123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 부재는 리셉터클의 벽 내에 원호형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25. 제123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 부재는 리셉터클의 벽 내에 2개의 이격된 원호형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26. 제123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 부재는 리셉터클의 벽 내에 2개의 대향하여 배열된 이격된 원호형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27. 제119항에 있어서, 지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단일편 부재를 포함하는 메커니즘.
  128. 제1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실질적으로 원호형인 치형부를 포함하는 메커니즘.
  129. 제128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원호형인 치형부는 뾰족한 자유 단부 및 실질 적으로 무딘 측면 선단날을 포함하는 메커니즘.
  130. 제129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무딘 측면 선단날은 벽의 파열을 일으키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파열은 벽의 파열된 모서리를 리셉터클 내로 내측으로 구부리는, 메커니즘.
  131. 제1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를 리셉터클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 및 파열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32. 제1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리셉터클을 고정된 돌출 부재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 및 파열시키도록 구성 및 배열된 메커니즘.
  133. 제1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메커니즘.
  134. 튜브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분말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적응된 세척 장치이며,
    회전하며 튜브 내로 하강함으로써 튜브의 내측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은 튜브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장치.
  135. 제13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을 천공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36. 제134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내에서 사용하도록 적응된 장치.
  137. 제134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구부러진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138. 제13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로부터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벽을 천공하도록 적응된 무딘 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39. 제134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대체로 V-형상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
  140. 제134항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와이어 섹션을 포함하고, 구부러진 와이어 섹션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41. 제134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단일편 부재인 장치.
  142. 제134항에 있어서, 세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 및 배열 된 장치.
  143. 제134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지지부에 장착되도록 적응된 대향하여 배열된 돌출 부분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44. 리셉터클 충격 장치이며,
    지지 부분; 및
    지지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아암
    을 포함하고,
    복수의 아암 각각은 리셉터클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장치.
  145. 제14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분말을 담는 장치.
  146. 제14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내에서 사용하도록 적응된 장치.
  147. 제14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는 지지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치.
  148. 제144항에 있어서,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사상으로 배향된 장치.
  149. 제144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암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장치.
  150. 제144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암들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장치.
  151. 제144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에 의해 맞물리도록 적응된 견부를 포함하는 장치.
  152. 제144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는 테이퍼형 표면을 포함하는 장치.
  153. 제144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암은 3개의 방사상으로 배향된 아암을 포함하는 장치.
  154. 소정의 구성의 리셉터클을 수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이며,
    리셉터클의 위치에 기초하여 잠금 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이동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제1 측면 쌍 및 제1 측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포함하는 외형을 포함하고, 제1 측면 쌍은 노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리 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
  155.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내에서 사용하도록 적응된 시스템.
  156.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리셉터클이 부분적으로 장치 내에 있을 때, 장치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시스템.
  157.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제1 잠금 위치 및 제2 풀림 위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이 소정량 삽입될 때 잠금 위치가 유지되는, 시스템.
  158.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제1 잠금 위치 및 제2 풀림 위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이 부분적으로 개방부 내에 삽입될 때 잠금 위치가 유지되는, 시스템.
  159.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제1 잠금 위치 및 제2 풀림 위치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이 리셉터클의 노치와 맞물릴 때 풀림 위치가 얻어지는, 시스템.
  160.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잠금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아암들을 갖는 대체로 U-형상인 부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161.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서로를 향해 편위되는 스프링 아암들을 갖는 대체로 U-형상인 부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162. 제154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은 스프링 아암들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이 제거될 때 서로를 향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스프링 아암들을 갖는 대체로 U-형상인 부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163. 키트이며,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메커니즘;
    공급 튜브 내에 영구적으로 배열된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복수의 안정 위치를 갖는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리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하며, 제1 측면 쌍 및 제1 측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갖고, 제1 측면 쌍은 노치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
  164. 제16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과 함께 장치의 사용에 대한 서면 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165. 제164항에 있어서, 서면 설명서는,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삽입하는 것;
    장치의 일 부분을 장치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
    장치의 마우스피스를 사용자의 구강 내로 위치시키는 것; 및
    흡입하는 것
    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키트.
  166. a)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ⅰ)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메커니즘;
    ⅱ) 공급 튜브 내에 영구적으로 배열된 세척 장치;
    ⅲ) 리셉터클 충격 장치가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복수의 안정 위치를 갖는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ⅳ) 리셉터클의 노치와 상호 작용하며, 제1 측면 쌍 및 제1 측면 쌍보다 더 짧은 제2 측면 쌍을 포함하는 외형을 갖고, 제1 측면 쌍은 노치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및
    b) 장치 내에 삽입된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
    을 포함하는 조합체.
  167.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리셉터클 잠금 장치
    를 포함하는 장치.
  168. 제167항의 장치를 사용하여 분말을 에어로졸화하는 방법이며,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하우징의 일 부분을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 및
    장치의 마우스피스 상에서 음압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9. 제168항에 있어서, 회전은 자동으로 리셉터클을 천공하고 공급 튜브를 세척하는 방법.
  170. 제168항에 있어서, 발생된 음압은 자동으로 장치 내에 배열된 트리거 메커니즘의 개방을 일으키는 방법.
  171. 제170항에 있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충분한 진공이 마우스피스에서 발생될 때,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법.
  172. 제170항에 있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소정의 음압에서 공급 튜브를 통한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법.
  173. 제168항에 있어서, 삽입은 자동으로 리셉터클의 충격을 일으키는 방법.
  174. 제168항에 있어서, 삽입은 장치를 잠그고 그 다음 푸는 방법.
  175.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키트이며, 적어도 다음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키트.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세척 장치;
    리셉터클 충격 장치;
    리셉터클 잠금 장치; 및
    구성요소들을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로 조립하기 위한 서면 설명서.
  176.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내부로 확장되는 공급 튜브; 및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
    을 포함하고,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장치.
  177. 제176항에 있어서,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할 때, 리셉터클 내로 하강하고 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장치.
  178. 제176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79. 제17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80. 제176항에 있어서,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81.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내부로 확장되는 공급 튜브; 및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메커니즘은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장치.
  182. 제181항에 있어서,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할 때 리셉터클 내로 하강하고 그로부터 후퇴하도록 구성된 장치.
  183. 제181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84. 제18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85. 제181항에 있어서,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86. 흡입에 의해 약물 함유 분말을 투여하는 방법이며,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을 분말을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 ;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장치의 마우스피스 상에서 흡입하여, 분말을 담은 리셉터클 내의 분말을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및 리셉터클과 출구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는 공급 튜브, 및
    ⅰ)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선단날을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메커니즘;
    ⅱ)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세척 장치;
    ⅲ) 리셉터클 충격 장치; 및
    ⅳ) 리셉터클 잠금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7. 제186항에 있어서, 약물은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도체인 방법.
  188. 제187항에 있어서, 약물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인슐린인 방법.
  189.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리셉터클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이 밸브를 통과하도록 리셉터클과 출구 사이에 위치된 밸브
    를 포함하는 장치.
  190. 제189항에 있어서, 리셉터클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이 오리피스를 통과하도록 리셉터클과 출구 사이에 위치된 오리피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91. 제189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92. 제189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 내에 배열된 천공 및/또는 세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93. 제189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94. 절단기 메커니즘이며,
    선단날을 갖는 플라스틱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선단날은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타원형 선단날을 포함하는,
    절단기 메커니즘.
  195. 제19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블레이드는 0.1 내지 0.5의 rho 값을 갖는 2개의 타원형 선단날을 갖는 절단기 메커니즘.
  196.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출구;
    출구와 연통하는 공급 튜브; 및
    공급 튜브 내에 배치된 천공 장치
    를 포함하고,
    천공 장치는 리셉터클을 천공하도록 공급 튜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장치.
  197. 천공 및 파열에 의해 리셉터클의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를 생성하도 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고, 파열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의 파열된 모서리를 리셉터클 내로 내측으로 구부리는, 장치.
  198. 제196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충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99. 제196항에 있어서, 충분한 진공이 장치의 출구에서 발생될 때, 공급 튜브로부터 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00. 분말을 유지하기 위한 블리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포일 라미네이트; 및
    하부 포일 라미네이트를 덮는 상부 포일 라미네이트
    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제3 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2개의 측면을 갖는 후방 부분, 노치를 포함하는 중간 부분, 및 테이퍼형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KR1020097010478A 2006-10-25 2007-10-25 분말 분산 장치, 이 장치를 제작 및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타 기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 KR101501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460106P 2006-10-25 2006-10-25
US60/854,601 2006-10-25
US90697707P 2007-03-13 2007-03-13
US60/906,977 2007-03-13
PCT/US2007/022830 WO2008051621A2 (en) 2006-10-25 2007-10-25 Powder dispersion apparatus,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that can be used on the apparatus and other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395A true KR20090083395A (ko) 2009-08-03
KR101501784B1 KR101501784B1 (ko) 2015-03-11

Family

ID=3930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478A KR101501784B1 (ko) 2006-10-25 2007-10-25 분말 분산 장치, 이 장치를 제작 및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타 기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8573197B2 (ko)
EP (2) EP2077882A2 (ko)
JP (2) JP2010508069A (ko)
KR (1) KR101501784B1 (ko)
AU (1) AU2007309412B2 (ko)
BR (1) BRPI0718315A2 (ko)
CA (1) CA2667225C (ko)
CO (1) CO6190542A2 (ko)
EC (1) ECSP099356A (ko)
ES (1) ES2596263T3 (ko)
GT (1) GT200900098A (ko)
IL (1) IL198159A (ko)
MA (1) MA30905B1 (ko)
MX (1) MX2009004349A (ko)
MY (1) MY151609A (ko)
NZ (1) NZ576637A (ko)
RU (1) RU2463085C2 (ko)
TN (1) TN2009000162A1 (ko)
WO (1) WO200805162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139A (ko) * 2013-08-08 2016-05-17 엠이디 2000 에스.알.엘. 에어로졸 요법용 분무기 약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7711D0 (en) 2005-04-15 2005-05-25 Vectura Group Plc Improved blister piercing
US10244793B2 (en) 2005-07-19 2019-04-02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WO2009004465A1 (en) * 2007-07-02 2009-01-08 Pfizer Limited Dry powder inhaler and inhaling system comprising such dry powder inhaler
EP2020249A1 (de) 2007-08-01 2009-02-04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Inhalator
AU2008317307A1 (en) * 2007-10-25 2009-04-30 Novartis Ag Powder conditioning of unit dose drug packages
PT2230934E (pt) 2007-12-14 2012-11-20 Aerodesigns Inc Distribuir produtos alimentares aerossolizáveis
ES2546025T3 (es) 2008-01-24 2015-09-17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Inhalador
EP2257326A2 (en) * 2008-03-21 2010-12-08 Novartis AG Powder dispersion apparatus
CN103908712A (zh) * 2008-03-27 2014-07-09 曼金德公司 干燥粉末吸入系统
ES2655921T3 (es) * 2008-06-13 2018-02-22 Mannkind Corporation Un inhalador de polvo seco y sistema para administración de fármacos
GB0901520D0 (en) * 2009-01-30 2009-03-11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Inhaler
PL2413902T3 (pl) 2009-03-18 2020-01-31 Incarda Therapeutics, Inc. Dawki jednostkowe, aerozole, zestawy oraz sposoby leczenia chorób serca przez podawanie dopłucne
US8221388B2 (en) * 2009-04-22 2012-07-17 Tyco Healthcare Group Lp Biased clamping assemblies
GB0919465D0 (en) * 2009-11-06 2009-12-23 Norton Healthcare Ltd Airflow adaptor for a breath-actuated dry powder inhaler
PT105065B (pt) * 2010-04-26 2012-07-31 Hovione Farmaciencia S A Um inalador simples de cápsulas
US8372845B2 (en) 2010-09-17 2013-02-12 Novartis Ag Pyrazine derivatives as enac blockers
JOP20120023B1 (ar) 2011-02-04 2022-03-14 Novartis Ag صياغات مساحيق جافة من جسيمات تحتوي على واحد أو اثنين من المواد الفعالة لعلاج امراض ممرات الهواء الانسدادية او الالتهابية
US9795773B2 (en) 2011-12-16 2017-10-24 Indosys Limited Medicament unit dose cartridge and delivery device
KR20140103939A (ko) * 2011-12-16 2014-08-27 노파르티스 아게 흡입 프로파일-비의존적 약물 전달을 위한 에어로졸화 장치
US8809340B2 (en) 2012-03-19 2014-08-19 Novartis Ag Crystalline form
CN104470569B (zh) * 2012-06-28 2018-04-27 美国政府(由卫生和人类服务部的部长所代表) 用于疫苗和其它治疗试剂的鼻干粉递送系统
AU2013365742B2 (en) 2012-12-19 2016-11-24 Novartis Ag Autotaxin inhibitors
US9757529B2 (en) * 2012-12-20 2017-09-12 Otitopic Inc. Dry powder inhaler and methods of use
GB201301192D0 (en) 2013-01-23 2013-03-06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A blister piercing element for a dry powder inhaler
USD782654S1 (en) 2013-01-31 2017-03-28 Intersurgical Ag Respiratory equipment
US9452139B2 (en) 2013-03-14 2016-09-27 Novartis Ag Respirable agglomerates of porous carrier particles and micronized drug
MX2015012529A (es) 2013-03-14 2016-07-05 Novartis Ag Deamorfizacion de formulaciones secadas por pulverizacion a traves de pulverizacion de la mezcla.
US20160168119A1 (en) 2013-07-18 2016-06-16 Novartis Ag Autotaxin inhibitors
US9763957B2 (en) 2013-07-18 2017-09-19 Novartis Ag Autotaxin inhibitors
USD739523S1 (en) * 2013-07-31 2015-09-22 Intersurgical Ag Respiratory equipment
JP5990866B2 (ja) * 2013-10-11 2016-09-14 株式会社リーチハイアー 経口粉末の吸入補助器具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CN115281387A (zh) 2013-12-23 2022-11-04 尤尔实验室有限公司 蒸发装置系统和方法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CA2940599A1 (en) 2014-03-27 2015-10-01 Novartis Ag Spray-dried solid-in-oil-in-water dispersions for inhalation of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EP3134398A1 (en) 2014-04-24 2017-03-01 Novartis Ag Autotaxin inhibitors
CA160775S (en) 2014-08-11 2015-09-29 Ploom Inc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with cartridge
EP3283150B1 (en) * 2015-04-15 2021-09-29 Philip Morris Products S.A. Dual resistance dry powder inhaler
CA2996635A1 (en) 2015-09-09 2017-03-16 Novartis Ag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binding molecules and methods of using the molecules
AU2016320748B2 (en) 2015-09-09 2019-05-02 Novartis Ag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binding antibodies and methods of using the antibodies
KR20180050320A (ko) 2015-09-09 2018-05-14 노파르티스 아게 분무-건조된 제제의 폐로의 표적화된 전달
WO2017112748A1 (en) * 2015-12-21 2017-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ow govenors for use in medicinal inhalers
CN114847965A (zh) 2016-02-01 2022-08-05 英凯达治疗公司 电子监测联合吸入药理学疗法管理心律失常
BR112018016402B1 (pt) 2016-02-11 2023-12-19 Juul Labs, Inc Cartuchos de fixação segura para dispositivos vaporizadores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DE102016111214B3 (de) * 2016-06-20 2017-06-29 Ancosys Gmbh Vorrichtung zur Pulverdosierung für chemische Produktionsprozesse unter Reinraumbedingungen, Verwendung derselben und Zudosierungsverfahren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WO2018071434A1 (en) * 2016-10-11 2018-04-19 Microdose Therapeutx, Inc. Inhal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0446515B (zh) * 2017-03-20 2022-02-18 维克多瑞传送设备有限公司 用于清洁雾化器膜的方法和容器
AU2018266199A1 (en) 2017-05-10 2019-11-07 Incarda Therapeutics, Inc. Unit doses, aerosols, kits, and methods for treating heart conditions by pulmonary administration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EP3768378A4 (en) 2018-03-22 2021-11-17 InCarda Therapeutics, Inc. INNOVATIVE METHOD OF SLOWING THE VENTRICULAR RATE
CA3142758A1 (en) 2019-06-10 2020-12-17 Respira Therapeutics,Inc. Carrier-based formulations and related methods
US11020384B2 (en) 2019-08-01 2021-06-01 Incarda Therapeutics, Inc. Antiarrhythmic formulation
EP4304582A1 (en) 2021-03-12 2024-01-17 Alvarius Pharmaceuticals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ddictions comprising 5-meo-dmt
CN116920217B (zh) * 2023-08-10 2024-03-01 苏州新劢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刺破密封结构及雾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600A (en) * 1966-08-11 1969-02-04 Abplanalp Robert H Pressurized powder dispensing device
US3888253A (en) * 1972-08-04 1975-06-10 Beecham Group Ltd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medicines
US4069819A (en) * 1973-04-13 1978-01-24 Societa Farmaceutici S.P.A. Inhalation device
GB1479283A (en) * 1973-07-23 1977-07-13 Bespak Industries Ltd Inhaler for powdered medicament
IT1016489B (it) * 1974-03-18 1977-05-30 Isf Spa Inalatore
DE2960616D1 (en) * 1978-05-03 1981-11-12 Fisons Plc Inhalation device
IT1116047B (it) 1979-04-27 1986-02-10 Sigma Tau Ind Farmaceuti Dispositivo per la rapida inalazione di farmaci in polvere da parte di persone sofferenti di asma
US4446862A (en) * 1979-10-30 1984-05-08 Baum Eric A Breath actuated devices for administering powdered medicaments
FR2516387A1 (fr) * 1981-11-16 1983-05-20 Fabre Sa Pierre Inhalateur liberant des quantites pre-dosees de principe actif volatil ou entrainable par un excipient volatil contenu dans des microcapsules reparties periodiquement sur un support, ainsi que ledit suppor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H658514A5 (de) 1982-02-09 1986-11-14 Wild Heerbrug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r messgroesse.
AU570013B2 (en) * 1982-10-08 1988-03-03 Glaxo Group Limited Medicament inhaler
DE3345722A1 (de) * 1983-12-17 1985-06-27 Boehringer Ingelheim KG, 6507 Ingelheim Inhalator
CA1272917A (en) 1985-07-30 1990-08-21 Paul Kenneth Rand 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aments to patients
GB8620839D0 (en) * 1986-08-28 1986-10-08 Stott L E Powder dispensing apparatus
IT1222509B (it) * 1987-08-17 1990-09-05 Miat Spa Insufflatore per la somministrazione di farmaci sotto forma di polvere predosata in opercoli
DK479189D0 (da) 1989-01-06 1989-09-28 Hans Gernot Schenk Inhalator
IT1228459B (it) * 1989-02-23 1991-06-19 Phidea S R L Inalatore con svuotamento regolare e completo della capsula.
IT1230313B (it) 1989-07-07 1991-10-18 Somova Spa Inalatore per medicamenti in capsule.
DE3927170A1 (de) 1989-08-17 1991-02-21 Boehringer Ingelheim Kg Inhalator
IT1237118B (it) 1989-10-27 1993-05-18 Miat Spa Inalatore multidose per farmaci in polvere.
GB9004781D0 (en) 1990-03-02 1990-04-25 Glaxo Group Ltd Device
IT1243344B (it) 1990-07-16 1994-06-10 Promo Pack Sa Inalatore plurimonodose per medicamenti in polvere
GB9016789D0 (en) 1990-07-31 1990-09-12 Lilly Industries Ltd Medicament administering devices
GB9123953D0 (en) 1991-11-12 1992-01-02 Minnesota Mining & Mfg Inhalation device
US5839614A (en) 1991-12-06 1998-11-24 Aptar Group, Inc. Dispensing package
US5409144A (en) * 1991-12-06 1995-04-25 Liquid Molding Systems Inc. Dispensing valve for packaging
US5213236A (en) 1991-12-06 1993-05-25 Liquid Molding Systems, Inc. Dispensing valve for packaging
US5785049A (en) * 1994-09-21 1998-07-28 Inhale Therapeutic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on of dry powder medicaments
US6582728B1 (en) 1992-07-08 2003-06-24 Inhale Therapeutic Systems, Inc. Spray drying of macromolecules to produce inhaleable dry powders
US5290278A (en) 1992-10-20 1994-03-01 Proclosu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thermal energy to luminal tissue
CH684746A5 (de) * 1993-02-25 1994-12-15 Alusuisse Lonza Services Ag Laminat.
GB9314614D0 (en) * 1993-07-14 1993-08-25 Minnesota Mining & Mfg Dry powder inhalers
DK0714314T3 (da) 1993-08-18 1999-06-23 Fisons Plc Inhalator med åndedrætsregulering
ATE299892T1 (de) 1994-05-18 2005-08-15 Nektar Therapeutics Methoden und zusammensetzungen für die trockenpuderarznei aus interferonen
US5531363A (en) * 1994-06-10 1996-07-02 Aptargroup, Inc. Dispensing closure cartridge valve system
ES2302332T3 (es) * 1994-09-21 2008-07-01 Nektar Therapeutics Aparato y metodos para dispersar medicamentos en polvo seco.
US5693609A (en) * 1994-11-17 1997-12-02 Eli Lilly And Company Acylated insulin analogs
US5833074A (en) * 1995-04-06 1998-11-10 Phillips; Cal M. Fast-loading, protective bicycle rack
JP3708553B2 (ja) 1995-04-14 2005-10-19 ネクター セラピューティクス 向上した分散性を有する粉末型薬理組成物
DE19525607A1 (de) * 1995-07-14 1997-01-16 Boehringer Ingelheim Kg Transcorneales Arzneimittelfreigabesystem
US6470884B2 (en) 1996-01-29 2002-10-29 Aventis Pharma Limited Capsule opening arrangement for use in a powder inhaler
SE9600306D0 (sv) * 1996-01-29 1996-01-29 Ernst Hoerlin Capsule opening arrangement for use in a powder inhaler
SE9700937D0 (sv) 1997-03-14 1997-03-14 Astra Ab Powder inhaler I
US5833071A (en) 1997-07-02 1998-11-10 Fuisz Technologies Ltd. Puncturable entry-resistant package for low density tablets
US6436227B1 (en) 1997-08-13 2002-08-20 Mauricio Adler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moving adhesive bandages
US6079594A (en) * 1997-08-21 2000-06-27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Dispensing package with a self-sealing closure constructed from a thermoplastic material
JP3488620B2 (ja) * 1998-02-05 2004-01-19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US6257233B1 (en) * 1998-06-04 2001-07-10 Inhale Therapeutic Systems Dry powder dispers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ir use
EP1685866A3 (en) * 1998-06-04 2013-07-10 Nektar Therapeutics Dry powder dispers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6270869B1 (en) 1998-12-02 2001-08-07 Alusuisse Technology & Management Ltd. Cold formable laminate films
US6065642A (en) 1998-12-09 2000-05-23 Aptargroup, Inc. Non-venting valve and dispensing package for fluid products and the like
US6606992B1 (en) * 1999-06-30 2003-08-19 Nektar Therapeutics Systems and methods for aerosolizing pharmaceutical formulations
SE517806C2 (sv) * 1999-11-11 2002-07-16 Microdrug Ag Doseringsanordning för inhalator
US20010029947A1 (en) * 1999-12-17 2001-10-18 Steve Paboojian Receptacles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powders
US20010035184A1 (en) 1999-12-17 2001-11-01 Carlos Schuler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packaged powders
TWI290473B (en) 2000-05-10 2007-12-01 Alliance Pharma Phospholipid-based powders for drug delivery
US7871598B1 (en) 2000-05-10 2011-01-18 Novartis Ag Stable metal ion-lipid powder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drug delivery and methods of use
US6668827B2 (en) 2000-05-16 2003-12-30 Nektar Therapeutic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opening receptacles having a powder to be fluidized
SE0003082L (sv) 2000-08-31 2002-01-29 Microdrug Ag Uppmätt elektrodos
SE517513C2 (sv) * 2000-09-25 2002-06-11 Microdrug Ag Gränssnittsarragemang för att säkerställa korrekt dosering samt säker funktion och hantering vid en inhalator för torrt pulver.
SE517227C2 (sv) * 2000-09-25 2002-05-14 Microdrug Ag Inhalator för torrt pulver med folieskärare
SE517229C2 (sv) 2000-09-25 2002-05-14 Microdrug Ag Kontinuerlig inhalator för torrt pulver
US6405901B1 (en) 2000-12-22 2002-06-18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Valve with rolling sleeve
SE0101233L (sv) 2001-04-05 2002-10-01 Microdrug Ag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rigörande av pulver och inhalatoranordning för administrering av medicinskt pulver
SE524957C2 (sv) 2002-04-12 2004-11-02 Microdrug Ag Förfarande för uppdelning och fördelning i luft av torrt pulvermedikament
SE525027C2 (sv) 2002-04-12 2004-11-16 Microdrug Ag Anordning utgörande en pulverlufthyvel
SE524990C2 (sv) 2002-04-12 2004-11-09 Microdrug Ag Preparation av terapeutiskt torrt pulver samt förfarande för uppdelning och spridning i luft av medicinskt pulver
US7185651B2 (en) 2002-06-18 2007-03-06 Nektar Therapeutics Flow regulator for aerosol drug delivery and methods
US6668823B1 (en) * 2002-12-27 2003-12-30 Wen-Ho Liu Diving mask allowing breath of a user with the nose
ES2310722T3 (es) * 2003-03-20 2009-01-16 Galephar M/F Sistema inhalador de polvo seco mejorado.
SE527069C2 (sv) 2003-06-19 2005-12-13 Mederio Ag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dministrering av läkemedelspulver
US7024810B2 (en) * 2003-07-18 2006-04-11 Peacock Apparel Group, Inc. Retail display accessory for an article of clothing to assist a consumer in selecting clothing
GB2405798A (en) 2003-09-15 2005-03-16 Vectura Ltd Dry powder inhaler with primary and secondary piercing elements and a medicament pack for use with an inhalation device.
US7086572B2 (en) * 2004-03-26 2006-08-08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Valve for dispensing product
SE530006C2 (sv) 2004-06-18 2008-02-05 Mederio Ag Inhalator som använder balja
FR2877925B1 (fr) * 2004-11-16 2008-09-19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6951295B1 (en) 2005-01-18 2005-10-04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Flow control element and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US20070068524A1 (en) 2005-09-28 2007-03-29 Microdrug Ag Inhaler for moisture sensitive drugs
US8560059B2 (en) * 2007-03-09 2013-10-15 Covidien Lp System and methods for optical sensing and drug delivery using microneed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139A (ko) * 2013-08-08 2016-05-17 엠이디 2000 에스.알.엘. 에어로졸 요법용 분무기 약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T200900098A (es) 2011-09-02
RU2009119351A (ru) 2010-12-20
KR101501784B1 (ko) 2015-03-11
EP2668970A1 (en) 2013-12-04
JP5923143B2 (ja) 2016-05-24
MA30905B1 (fr) 2009-11-02
WO2008051621A2 (en) 2008-05-02
NZ576637A (en) 2012-05-25
US20140034052A1 (en) 2014-02-06
JP2014221424A (ja) 2014-11-27
US8573197B2 (en) 2013-11-05
JP2010508069A (ja) 2010-03-18
ES2596263T3 (es) 2017-01-05
MY151609A (en) 2014-06-30
CO6190542A2 (es) 2010-08-19
CA2667225C (en) 2015-06-09
TN2009000162A1 (en) 2010-10-18
WO2008051621A9 (en) 2008-06-26
AU2007309412A1 (en) 2008-05-02
BRPI0718315A2 (pt) 2013-11-12
RU2463085C2 (ru) 2012-10-10
EP2668970B1 (en) 2016-07-06
IL198159A (en) 2014-05-28
MX2009004349A (es) 2009-07-22
AU2007309412B2 (en) 2011-10-20
US10245394B2 (en) 2019-04-02
IL198159A0 (en) 2009-12-24
US20100108058A1 (en) 2010-05-06
ECSP099356A (es) 2009-06-30
CA2667225A1 (en) 2008-05-02
EP2077882A2 (en) 2009-07-15
WO2008051621A3 (en)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784B1 (ko) 분말 분산 장치, 이 장치를 제작 및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타 기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
EP1283731B1 (en) Medicament dispensing system with a medicament container with same side airflow inlet and outlet
AU731677B2 (en)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flow diverting means for triggering delivery of medicament
EP2257326A2 (en) Powder dispersion apparatus
AU2001249773A1 (en) Medicament container with same side airflow inlet and outlet and method of use
US9283336B2 (en)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AU3188399A (en)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flow diverting means for triggering delivery of medicament
US5988163A (en)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flow diverting means for triggering delivery of delivery of medicament
CN101588831B (zh) 粉末喷散器具以及可用在该器具上的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