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859A -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859A
KR20090080859A KR1020080006858A KR20080006858A KR20090080859A KR 20090080859 A KR20090080859 A KR 20090080859A KR 1020080006858 A KR1020080006858 A KR 1020080006858A KR 20080006858 A KR20080006858 A KR 20080006858A KR 20090080859 A KR20090080859 A KR 2009008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lower plate
cook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614B1 (ko
Inventor
임재선
Original Assignee
임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선 filed Critical 임재선
Priority to KR102008000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6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둘레로 하판과 상판이 서로 이격되어 내측에 수증기이동통로를 가진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판은 직경이 상판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하판 외주면과 상판 외주면의 사이로 망적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이판과; 망적재공간에 설치되는 그물 구조의 요리적재망과; 하판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저장용기와; 상판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구이판을 상판과 하판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되 구이판의 외주면 상부에 요리적재망을 설치하여 구이판에서 구운 고기를 요리적재망에 올려놓음으로써 익은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내부에 설치된 물저장용기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 수증기는 요리적재망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요리적재망에 올려놓여진 고기가 보온되는 것은 물론 수증기에 의하여 연하고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여 취식시 따듯하고 육질이 부드러운 고기를 취식할 수 있게 되며, 중앙 개구부의 덮개 대신 제2용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고기를 구우면서 국이나 찌게 등을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고, 특히 제2용기는 물저장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따듯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따뜻한 국이나 찌게를 함께 취식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기를 신속하게 익히고자 할 때, 보온하고 자 할 때 물저장용기를 선택적으로 개구부에서 설치, 분리함으로써 쉽게 조리할 수 있게 되며, 하판을 이동통로부와 망적재부로 나누어 구성하고 망적재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판에 모인 기름을 쉽게 버릴 수 있게 된다.
조리, 용기, 구이, 수증기, 망

Description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COOKING CONTAINER USING STEAM}
조리 용기는 다양한 음식 재료를 불이나 열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취식자에게 요리를 제공하는 용기를 말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조리 용기 중 삼겹살이나 갈비 등과 같이 재료를 구워 취식하기 위한 구이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수증기를 이용하여 익은 고기가 타거나 불판에 눌러 붙지 않게 하고, 익은 고기를 수증기를 직접 공급받는 망에 적재하여 따뜻하면서도 부드러운 육질의 고기를 취식하게 한,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판은 금속이나 석재 또는 자기질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불판은 한 번 가열된 후 온도가 쉽게 내려가지 않아 불판에 얹혀진 고기가 타거나 눌러붙는 일이 많았다.
또, 고기가 타면서 발생하는 냄새가 옷에 스며드는 문제도 있었다.
이처럼 고기가 타거나 눌러붙지 않게 하기 위해서 온도가 낮은 불판 구석에 고기를 올려놓거나 접시에 담아두게 되는데, 접시에 담아두는 경우 고기가 쉽게 식어 취식시 맛이 변질된 고기를 취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불판 구석에 올려놓을 경우에도 고기가 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불판 내부에 탄소성형체를 삽입한 '이중구조 불판 및 그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5310호)이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금속재 불판의 내부에 탄소성형체를 삽입하여 탄소성형체를 이용하여 고기가 골고루 익어 가열 중에 일부분의 고기가 타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완전히 익은 고기가 타지 않게 하지는 못했다.
즉, 불판의 어느 곳에라도 고기를 올려놓으면 가열되는 불판에 의해 결국 고기가 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름의 배출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된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758호)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상판은 구멍을 형성하고, 하판으로 상판의 구멍으로부터 흘러내려오는 기름을 받아 모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 역시 불판에 열을 공급하는 동안 상판의 온도가 고온을 유지하여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구이판을 상판과 하판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되 구이판의 외주면 상부에 요리적재망을 설치하여 구이판에서 구운 고기를 요리적재망에 올려놓음으로써 익은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특히, 내부에 설치된 물저장용기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 수증기는 요리적재망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요리적재망에 올려놓여진 고기가 보온되는 것은 물론 수증기에 의하여 연하고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여 취식시 따듯하고 육질이 부드러운 고기를 취식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중앙 개구부의 덮개 대신 제2용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고기를 구우면서 국이나 찌게 등을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제2용기는 물저장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따듯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따뜻한 국이나 찌게를 함께 취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고기를 신속하게 익히고자 할 때, 보온하고자 할 때 물저장용기를 선택적으로 개구부에서 설치, 분리함으로써 쉽게 조리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하판을 이동통로부와 망적재부로 나누어 구성하고 망적재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판에 모인 기름을 쉽게 버릴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는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둘레로 하판과 상판이 서로 이격되어 내측에 수증기이동통로를 가진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판은 직경이 상판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하판 외주면과 상판 외주면의 사이로 망적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이판과; 망적재공간에 설치되는 그물 구조의 요리적재망과; 하판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저장용기와; 상판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로 구성되며,
덮개는 상판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개구부를 개폐시키며, 내측으로 수용부를 갖는 제2용기로 대체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또, 상판 외주면 또는 하판 외주면의 상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리적재망에 돌기가 끼여 요리적재망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판을, 상판과 같은 직경을 갖는 이동통로부와; 이동통로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는 망적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망적재부는 이동통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판과 하판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구이판을 상판과 하판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되 구이판의 외주면 상부에 요리적재망을 설치하여 구이판에서 구운 고기를 요리적재망에 올려놓음으로써 익은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내부에 설치된 물저장용기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 수증기는 요리적재망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요리적재망에 올려놓여진 고기가 보온되는 것은 물론 수증기에 의하여 연하고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여 취식시 따듯하고 육질이 부드러운 고기를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또, 중앙 개구부의 덮개 대신 제2용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고기를 구우면서 국이나 찌게 등을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용기는 물저장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따듯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따뜻한 국이나 찌게를 함께 취식할 수 있다.
아울러, 고기를 신속하게 익히고자 할 때, 보온하고자 할 때 물저장용기를 선택적으로 개구부에서 설치, 분리함으로써 쉽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판을 이동통로부와 망적재부로 나누어 구성하고 망적재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판에 모인 기름을 쉽게 버릴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는, 크게 구이판(100), 요리적재망(200), 물저장용기(300), 덮개(400)로 구성되며, 덮개(400)는 제2용기(500)로 대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구이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30) 둘레로 하판(120)과 상판(110)이 서로 이격된 채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110)과 하판(120)은 개구부(13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판(120)과 상판(110) 사이의 공간은 수증기가 이동하는 수증기이동통로(140)가 된다.
이때, 하판(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에 비해 직경이 길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하판(120) 외주면과 상판(110) 외주면 사이는 후술하는 요리적재망(200)이 안착되는 망적재공간(121)이 된다.
한편, 하판(120)의 외주면 측 바닥에는 도 1과 같이 기름배출구멍(123)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항이라 할 것이다.
아울러, 하판(120)의 외주면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벽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벽면은 후술하는 요리적재망(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을 보면 이 하판(120) 외주면의 일측 상단에 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요리적재망(200)을 쉽게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구이판(100)은 도 7 내지 도 9에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지지봉(111)이 설치된 구조로 상판(110)과 하판(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또한, 도 8을 살펴보면 하판(120)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판(120)을, 상판(110)과 같은 직경을 갖는 이동통로부와, 이동통로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는 망적재부(122);로 구성하고, 망적재부(122)는 이동통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 예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판(110)에서 모인 기름을 배출할 때 망적재부(122)만 분리하여 쉽게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도 9는 상판(110)과 하판(120)을 쉽게 분리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판(120)의 상면에 홈(120a)을 형성하고, 상판(110) 하부의 지지봉(111)이 상기 홈(120a)에 삽입됨으로써 하판(120)이 상판(110)을 지지하면서, 상판(110)을 쉽게 분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도 7이나 도 8과 같은 구성에서 하판(120)과 상판(110) 사이 공간 즉, 수증기이동통로(140)의 세척이 어려운 점을 감안한 것으로 상판(110)과 하판(120)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개선된 실시예라 할 것이다.
더욱이, 상판(110)을 분리한 채 하판(120)만 설치한 채 고기를 조리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요리적재망(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100)의 망적재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도록 튜브 모양을 가지며, 그물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에 익은 고기가 적재된다.
요리적재망(20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와 같이 내식성이 강하고, 열에 강한 재료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바는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저장용기(300)는 하판(120)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내부에 물(320)이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물(320)과 함께 커피나 허브와 같은 재료가 함께 투입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하판(120)의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물저장용기(300)의 상부 외주면은 걸림턱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울러, 하판(120)으로부터 물저장용기(300)를 쉽게 들어올리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손잡이(310)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물저장용기(30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물저장용기(3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덮개(400)를 덮은 채 하판(120)의 하부에 열을 가하게 되면 물저장용기(300)에 저장된 물(320)이 가열되어 수증기가 되고, 이 수증기는 요리적재망(200)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상판(110)에서 익은 고기를 취식자가 요리적재망(200) 위에 올려놓게 되면 수증기이동통로(140)를 통해 요리적재망(200) 하부로 공급되는 수증기에 의해 고기는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증기에 의해 부드러운 상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덮개(4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이 상판(1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개구부(130)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400)는 하부에 설치된 물저장용기(300)를 꺼낼 때 사용되거나 물저장용기(3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요리적재망(200)으로 보내지 않고 배출하기 위할 때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취식시 다양한 환경에 따라 개폐시키면서 구이판(100)의 상태 및 요리적재망(200)의 수증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가 상판(110) 내주면에 걸쳐 개구부(130)를 개폐시키며 설치되고, 내측으로 수용부를 갖는 제2용기(500)를 도 6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덮개(400) 대신 제2용기(500)를 개구부(130)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형태는 제2용기(500)에 찌게나 국과 같은 요리를 얹어 고기 외에 국물요리와 같은 다른 요리재료(510)를 조리할 수 있다.
특히, 제2용기(500) 하부의 물저장용기(300)를 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제2용기(500)는 단순히 보온의 효과를 갖는 것 외에도 직접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물저장용기(300)를 분리하고, 제2용기(500)를 설치한 후 구이판(100)의 하부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이 직접 제2용기(500) 하부를 가열하여 제2용기(500)에 담겨진 요리가 익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를 이용한 다양한 조리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장 기본적인 조리법은 도 5와 같은 상태로써, 구이판(100) 하부에 열을 가하게 되면 구이판(100)이 가열되어 상판(110) 위의 고기(600)가 익게 되고, 동시에 물저장용기(300)에 담겨진 물(320)이 수증기가 되어 요리적재망(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판(110) 위에서 완전히 익은 고기(610)를 요리적재망(200)에 올려놓게 되면 타지 않으면서 부드럽고 따뜻한 고기를 취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고기를 익히는 방법은 물저장용기(300)의 수증기 및 하판(120) 하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한 뜨거운 공기에 의해 상판(110)이 가열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는 빠른 속도로 고기를 굽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물저장용기(300)를 분리한 후 덮개(400)를 덮은 상태에서 하부에서 열을 가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되면 열이 직접 상판(110)과 하판(120)에 공급되어 빠른 속도로 상판(110)을 가열시켜 고기를 금방 구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조리 시작시에는 물저장용기(300)를 설치하지 않 은 상태에서 열을 가해 상판(110)의 고기를 빠르게 익히고, 시간을 두고 천천히 고기를 먹고자 할 때 물저장용기(300)에 물(320)을 채운 다음 하판(120)의 내주면에 걸쳐 설치하고, 익은 고기를 요리적재망(200) 위에 올려놓게 되면 지속적으로 따뜻한 수증기가 수증기이동통로(140)를 따라 요리적재망(200) 하부에 공급되어 천천히 요리를 취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용기(500)의 사용에 있어서도 하부에 물저장용기(300)의 설치 유무에 따라 데우는 용도, 직접 열을 가해 조리하는 용도로 구분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상판(110)과 하판(120)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적용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판(120)에서 먼저 고기를 구워 취식한 후 그 위에 상판(110)을 설치하여 취식함으로써 불판을 두 번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는 삼겹살과 같은 구이 요리에 적용할 때 가장 효율이 높다 할 것이나, 물저장용기, 제2용기의 사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요리의 조리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저장용기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의 또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구이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구이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구이판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구이판 110 : 상판
111 : 지지봉 120 : 하판
120a : 홈 121 : 망적재공간
122 : 망적재부 123 : 기름배출구멍
124 : 돌기 130 : 개구부
140 : 수증기이동통로 200 : 요리적재망
300 : 물저장용기 310 : 손잡이
320 : 물 400 : 덮개
500 : 제2용기 510 : 요리재료
600 : 고기 610 : 익은 고기

Claims (5)

  1. 조리 용기에 있어서,
    중앙에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30) 둘레로 하판(120)과 상판(110)이 서로 이격되어 내측에 수증기이동통로(140)를 가진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판(120)은 직경이 상판(1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하판(120) 외주면과 상판(110) 외주면의 사이로 망적재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는 구이판(100)과;
    상기 망적재공간(121)에 설치되는 그물 구조의 요리적재망(200)과;
    상기 하판(120)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내부에 물(320)이 수용되는 물저장용기(300)와;
    상기 상판(110)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개구부(130)를 개폐시키는 덮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2. 조리 용기에 있어서,
    중앙에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30) 둘레로 하판(120)과 상판(110)이 서로 이격되어 내측에 수증기이동통로(140)를 가진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판(120)은 직경이 상판(1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하판(120) 외주면과 상판(110) 외주면의 사이로 망적재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는 구이판(100)과;
    상기 망적재공간(121)에 설치되는 그물 구조의 요리적재망(200)과;
    상기 하판(120)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내부에 물(320)이 수용되는 물저장용기(300)와;
    상기 상판(110) 내주면에 걸쳐 설치되며, 개구부(130)를 개폐시키며, 내측으로 수용부를 갖는 제2용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 외주면 또는 하판(120) 외주면의 상단에 돌기(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리적재망(200)에 돌기(124)가 끼여 요리적재망(200)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20)은 상판(110)과 같은 직경을 갖는 이동통로부와;
    상기 이동통로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는 망적재부(122);로 구성되어 있으며,
    망적재부(122)는 이동통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KR1020080006858A 2008-01-22 2008-01-22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KR10100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858A KR101001614B1 (ko) 2008-01-22 2008-01-22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858A KR101001614B1 (ko) 2008-01-22 2008-01-22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859A true KR20090080859A (ko) 2009-07-27
KR101001614B1 KR101001614B1 (ko) 2010-12-17

Family

ID=4129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858A KR101001614B1 (ko) 2008-01-22 2008-01-22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599B1 (ko) * 2009-12-24 2010-07-28 표재숙 저수부에 의한 스팀 토출형 구이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858A (en) 1998-04-10 1999-10-26 Tsann Kuen Usa, Inc. Table top grill
KR200196696Y1 (ko) 2000-03-23 2000-09-15 정경원 고기 구이팬
KR200278443Y1 (ko) 2002-03-08 2002-06-20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조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599B1 (ko) * 2009-12-24 2010-07-28 표재숙 저수부에 의한 스팀 토출형 구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614B1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3511A (en) Cooking vessel
US9433322B2 (en) Portable, smokeless, indoor/outdoor grill
TW201114392A (en) Combination multiple vessel cookware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200445346Y1 (ko) 신선로
KR101001613B1 (ko) 다공성 보조용기를 구비한 조리 용기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KR101001614B1 (ko)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KR20120034851A (ko) 구이,찜 겸용 조리기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CN107041676B (zh) 加热皿及烹饪器具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US8492691B1 (en) Portable container for steaming food in the microwave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JP6896295B2 (ja) コンロ装置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200398268Y1 (ko) 바베큐 구이 장치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JP3224257U (ja) 加熱調理器具の蓋体
JP3212684U (ja) 卵焼き器用蓋及び卵焼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