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851A - 구이,찜 겸용 조리기 - Google Patents

구이,찜 겸용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851A
KR20120034851A KR1020100096182A KR20100096182A KR20120034851A KR 20120034851 A KR20120034851 A KR 20120034851A KR 1020100096182 A KR1020100096182 A KR 1020100096182A KR 20100096182 A KR20100096182 A KR 20100096182A KR 20120034851 A KR20120034851 A KR 2012003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ting source
roasting
cook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주
Original Assignee
유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주 filed Critical 유병주
Priority to KR102010009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4851A/ko
Publication of KR2012003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찜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이,찜 겸용 조리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관통공을 가지는 바닥면을 구비하고, 조리될 음식물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판이 지지되는 본체; 상기 관통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가 가열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인 가열원 수용 용기;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에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찜용 열증기를 발생시키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여 구이 요리 뿐만 아니라 찜 요리를 하나의 조리기에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이,찜 겸용 조리기{COOKER FOR STEAMING AND ROASTING}
본 발명은 구이,찜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를 굽는 구이 요리와 음식를 찌는 찜 요리에 사용될 수 있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구이 요리의 조리기구는 석쇠, 프라이팬, 불판 등이 사용된다. 석쇠는 불이 직접 고기에 닿아 구워지며, 프라이팬이나 불판은 불에 달구어지는 바닥을 통해 전도되는 간접 열에 의해 구워진다.
이렇게 음식를 굽는 구이 요리는 조리기구에 따라 굽는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굽는 방법에 따라 맛도 달라진다.
한편, 찜 요리의 경우에는 물의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요리 대상을 가열한다. 따라서, 찜 요리를 위해서는 뜨거운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과 가열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구이 요리와 찜 요리가 요리 대상을 가열하는 방법 및 방식이 상호 다르기 때문에 구이용 조리기와 찜용 조리기를 각각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구이용 조리기와 찜용 조리기를 각각 구입할 경우, 경제적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사용시 짐이 많아져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음식물의 찜 요리를 하나의 조리기에서 서로 섞이지 않아야 되는 경우, 여러번 나누어서 조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리 과정이 번거로워지며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음식물의 찜 요리를 하나의 조리기에서 서로 섞이지 않아야 되는 조리시 한번에 같이 조리 할 수 있으며, 구이 요리와 찜 요리를 함께 조리할 수 있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찜 겸용 조리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관통공을 가지는 바닥면을 구비하고, 조리될 음식물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판이 지지되는 본체; 상기 관통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가 가열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인 가열원 수용 용기;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에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찜용 열증기를 발생시키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의 지지턱과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지지턱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된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본체의 내벽과 상기 돌출 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로의 열전달을 억제시키기 위한 냉각용 액체가 채워지는 냉각수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원으로는 숯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에는 상기 숯불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덮개가 지지될 수 있도록 덮개용 지지턱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조리기는 상기 본체를 지지면과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찜 겸용 조리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관통공을 가지는 바닥면을 구비하고, 조리될 음식물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판이 지지되는 본체; 상기 관통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가 가열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인 가열원 수용 용기;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에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찜용 열증기를 발생시키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의 지지턱과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지지턱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된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본체의 내벽과 상기 돌출 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로의 열전달을 억제시키기 위한 냉각용 액체가 채워지는 냉각수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원으로는 숯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에는 상기 숯불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덮개가 지지될 수 있도록 덮개용 지지턱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조리기는 상기 본체를 지지면과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찜 겸용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찜 겸용 조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이,찜 겸용 조리기를 구이용으로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찜 겸용 조리기를 찜용으로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찜 겸용 조리기를 이종의 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찜 겸용 조리기를 액체 수용 용기에 닭걸이를 사용해 조리하는 상태를 나태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이,찜 겸용 조리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찜 겸용 조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30)와, 구이용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원이 수용되는 가열원 수용 용기(40)와,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40)와 선택적으로 이용되며 찜용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50)와, 조리 대상의 음식이 놓여지며 상기 본체(1)에 지지되는 조리판(60)과, 상기 본체(1)를 지지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하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내부에 상기 조리판(60)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을 예시하였으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면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본체(10)는 상단부에 상기 상부 본체(20) 또는 상기 덮개(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용 지지턱(11)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용 지지턱(11)의 하측에는 상부 본체용 지지턱(19)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본체(10)에는 상기 상부 본체용 지지턱(19)에 상기 상부 본체(20)가 지지될 수 있으나, 조리기의 활용 상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가 상기 덮개용 지지턱(11)에 지지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조리판(60)이 이용되어야 할 경우, 상기 하부 본체(10)에는 상부 본체(20)를 지지시키고, 상기 상부 본체(20)와 상기 하부 본체(10) 각각에 조리판(60)이 설치된다. 반면, 하부 본체(10)만을 이용하여 찜 요리를 하는 경우, 하부 본체(10)의 내부만을 밀폐시키면 되므로 상기 하부 본체(10)에는 덮개(30)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부 본체용 지지턱(19) 하측에는 조리판(60)이 지지되는 조리판용 지지턱(1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본체(10)에 하나의 조리판용 지지턱(12)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복수의 조리판용 지지턱(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리판용 지지턱(12)에는 조리판(60)이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측에 위치하는 다양한 가열원에 의해 조리판(60)에 놓여진 음식은 조리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10)는 바닥면(13)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면(13)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의 둘레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 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리브(16)는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40)와 상기 액체 수용 용기(5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 본체(10)의 내벽(15) 및 바닥면(13)과 협력하여 냉각수 수용부(17)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 리브(16)의 높이는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40)의 바닥면이 상기 본체(1)의 바닥면(13)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본체(1)가 지지대(70) 없이 지지면에 지지되는 경우, 가열원 수용 용기(40)가 지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40)의 열이 지지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40)의 통공(42)을 통해 연소를 위한 산소를 가열원(43)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냉각수 수용부(17)는 환형으로 함몰된 형상이며, 상기 냉각수 수용부(17)에는 하부 본체(10)로의 열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된다. 이러한 냉각수 수용부(17)는 상기 돌출 리브(16)와 상기 하부 본체(10)의 내벽(15) 및 바닥면(13)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부품 또는 부재로 냉각수 수용부(17)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리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본체(20)는 조리될 음식의 양이나 조리될 음식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량의 한 종류의 음식을 조리할 경우, 하부 본체(10)에 지지되는 조리판(60) 만으로도 충분히 음식이 조리될 수 있으므로, 상부 본체(20)는 활용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조리될 음식이 다종이고 다종의 음식이 서로 섞이는 것이 부적당한 경우 또는 조리될 음식의 양이 많은 경우, 상부 본체(20)를 하부 본체(10)에 지지하고 상부 본체(20)와 하부 본체(10) 각각에 조리판(6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본체(20)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본체(20)는 그 형상에 제한이 없으나, 상기 하부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단부는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부 본체용 지지턱(19)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본체(20)의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30)가 지지될 수 있는 덮개용 지지턱(21)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용 지지턱(21)의 하측에는 조리판용 지지턱(2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본체(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본체(10)의 덮개용 지지턱(11)과 면접촉되는 접촉부(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20)와 하부 본체(10)가 면접촉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본체(20)와 하부 본체(10)의 사이로 증기나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조리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상부 본체(20)와 상기 하부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조리판(60)을 외부와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덮개(3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1)가 마련되며, 증기나 열기의 빠져나가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구멍 조절부재(33)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구멍 조절부재(33)는 상기 덮개(30)에 형성된 배출공(32)의 구멍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요리의 종류에 따라 배출공(32)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40)는 구이용 음식을 조리시 숯불과 같은 가열원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에 위치하는 조리판(60)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가열원(43)이 수용된다.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40)에는 상기 돌출 리브(16)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41)이 상기 돌출 리브(1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턱(41)의 하측에는 상기 관통공(14)에 삽입되는 삽입부(44)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4)에는 가열원(43)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액체 수용 용기(50)는 그 내부에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되며, 액체로부터 발생한 뜨거운 증기가 상부에 위치한 조리판(60)에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다. 이러한 액체 수용 용기(50)에는 상기 돌출 리브(16)에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턱(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액체 수용 용기(50)는 열증기를 발생시켜 찜용 요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수용 용기(5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가열하여 열증기를 만들기 위한 별도의 가열원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액체 수용 용기(50)의 내부에 닭걸이(8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물외의 열에 반응성이 좋은 식용 기름류를 선택적으로 채워 조리판(60) 없이 닭걸이에 조리할 음식를 걸어 요리가 가능하다.
상기 조리판(6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음식물이 놓여진다. 상기 조리판(60)은 요리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볶음 요리를 하는 경우, 바닥면이 밀폐된 프라이팬과 유사한 조리판(60)이 이용될 수 있고, 삼겹살과 같은 구이를 위해서는 석쇠나 삽결살 전용 구이판이나 불판과 같은 조리판(60)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찜 요리를 위해서는 증기가 잘 통과될 수 있도록 찜 전용 조리판(60)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리판(60)은 상부 본체(20)의 조리판용 지지턱(22) 및 하부 본체(10)의 조리판용 지지턱(12)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70)는 하부 본체(10)를 지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상단이 하부 본체(10)에 형성된 지지대용 홈(18)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70)에 의해 상기 하부 본체(10)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가열원 수용 용기(40)에 수용된 숯불과 같은 가열원(43)은 통공(42)을 통해 연소를 위한 충분한 산소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70)는 하부 본체(10)의 바닥면(13)이 지지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생략이 가능한 구성이나, 지지대(70)를 구비할 경우, 보다 원활한 산소를 가열원(43)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리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용 요리를 할 경우, 가열원 수용 용기(40)를 돌출 리브(16)에 설치하고, 가열원 수용 용기(40)에 숯불과 같은 가열원(43)을 넣는다. 그리고 하부 본체(10)의 조리판용 지지턱(12)에 조리판(60)을 올려 놓고 요리될 음식을 조리판(60)에 올려놓는다. 또한, 구이용 음식을 예열시키기 위해서 다른 조리판(60)을 상부 본체(20)의 지지턱(22)에 올려놓고 예열될 음식을 조리판(60)에 올려놓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이용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각수 수용부(17)에 물과 같은 냉각수가 수용되어 본체(1)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체(1)로 인해 화상을 입을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찜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액체 수용 용기(50)를 돌출 리브(16)에 설치하고, 액체를 액체 수용 용기(50)에 채운다. 그리고, 조리판(60)을 하부 본체(10)의 지지턱(12)에 설치하고, 조리판(60)에 찜 요리할 음식을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하부 본체(10)의 덮개용 지지턱(11)에 덮개(30)를 지지시켜 덮는다.
다음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 또는 숯불과 같은 가열원으로 상기 액체 수용 용기(50)를 가열한다. 그러면, 가열된 액체는 열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증기는 위로 상승하면서 음식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원 수용 용기(40)와 액체 수용 용기(50)만을 상호 교환함으로써 조리할 수 있는 요리의 종류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20)를 하부 본체(10)의 상부 본체용 지지턱(19)에 설치하고, 또 다른 조리판(60)을 상부 본체(20)의 조리판용 지지턱(22)에 설치함으로써, 한 번에 두 개의 조리판(60)에 올려진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수용 용기(50)를 돌출 리브(16)에 설치하고, 액체 수용 용기(50)에 내부에 닭걸이(80)를 설치하고 열에 반응성이 좋은 식용 기름류(81)를 채운다. 조리판(60)의 사용없이 닭걸이(80)에 조리할 음식을 걸어 조리할 수도 있다.
1: 본체 11, 21; 덮개용 지지턱
12, 22: 조리판용 지지턱 16: 돌출 리브
17: 냉각수 수용부 20: 상부 본체
30: 덮개 40: 가열원 수용 용기
50: 액체 수용 용기 60: 조리판
70: 지지대 80: 닭걸이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관통공을 가지는 바닥면을 구비하고, 조리될 음식물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판이 지지되는 본체;
    상기 관통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가 가열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인 가열원 수용 용기;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턱을 구비하며, 내부에 가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찜용 열증기를 발생시키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덮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의 지지턱과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지지턱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된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벽과 상기 돌출 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로의 열전달을 억제시키기 위한 냉각용 액체가 채워지는 냉각수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숯불이며,
    상기 가열원 수용 용기에는 상기 숯불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덮개가 지지될 수 있도록 덮개용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지지면과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닭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찜 겸용 조리기.
KR1020100096182A 2010-10-04 2010-10-04 구이,찜 겸용 조리기 KR20120034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82A KR20120034851A (ko) 2010-10-04 2010-10-04 구이,찜 겸용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82A KR20120034851A (ko) 2010-10-04 2010-10-04 구이,찜 겸용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51A true KR20120034851A (ko) 2012-04-13

Family

ID=4613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182A KR20120034851A (ko) 2010-10-04 2010-10-04 구이,찜 겸용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8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003A (zh) * 2014-03-29 2014-06-18 于春义 食品蒸烤箱
CN107713735A (zh) * 2017-11-24 2018-02-23 盘锦雨源新创意开发推广有限公司 一种自主烹制食物的食用器具
KR102007604B1 (ko) * 2018-03-02 2019-08-05 김화옥 숯불 및 장작용 훈제 구이기
KR102050908B1 (ko) * 2019-01-25 2019-12-02 장문영 구이팬
KR2022016869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앤크위즈 다용도 조리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003A (zh) * 2014-03-29 2014-06-18 于春义 食品蒸烤箱
CN107713735A (zh) * 2017-11-24 2018-02-23 盘锦雨源新创意开发推广有限公司 一种自主烹制食物的食用器具
CN107713735B (zh) * 2017-11-24 2021-12-03 莆田市城厢区宸意美贸易有限公司 一种自主烹制食物的食用器具
KR102007604B1 (ko) * 2018-03-02 2019-08-05 김화옥 숯불 및 장작용 훈제 구이기
KR102050908B1 (ko) * 2019-01-25 2019-12-02 장문영 구이팬
KR2022016869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앤크위즈 다용도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2893C2 (ru) Комплект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в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US20100147159A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KR20120034851A (ko) 구이,찜 겸용 조리기
KR200471229Y1 (ko)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US20080060529A1 (en) Portabl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KR20110120546A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2154970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10083255A (ko) 다기능 구이기
JP3148165U (ja) バーベキューコンロ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20190113168A (ko) 구이팬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CN213524877U (zh) 一种用于煤气卡式炉的烧烤器具
CN220588113U (zh) 烹饪装置及热源保护部件
KR101363448B1 (ko) 그을음 방지가 가능한 구이장치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200214938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