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832A -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832A
KR20090078832A KR1020097010275A KR20097010275A KR20090078832A KR 20090078832 A KR20090078832 A KR 20090078832A KR 1020097010275 A KR1020097010275 A KR 1020097010275A KR 20097010275 A KR20097010275 A KR 20097010275A KR 20090078832 A KR20090078832 A KR 20090078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teel plate
layer
les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570B1 (ko
Inventor
도오루 이나구마
히로아끼 사까모또
요오지 미즈하라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12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5Grain ori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51Macroscopically anomalous interface between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강판면, αFe상, γFe상, 면집적도, Al 함유량

Description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STEEL PLATE HAVING HIGH GATHERING DEGREE OF {222}PLAN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딥드로잉 성형, 프레스 가공, 펀칭 가공 등의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 및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이나 가전용의 강판에는 고강도와 경량화의 요구 외에, 프레스 성형 등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 균열이나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가공할 수 있는, 우수한 가공성이 요구되고 있다.
강판의 가공성은, αFe상이나 γFe상의 집합 조직에 의존하여, 특히 강판면에 결정의 {222}면집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집합 조직을 제어하여 강의 가공성을 높이는 방법이 몇개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6-2069호 공보에는 고강도 냉연 강판 및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있어서, Si, Mn, 및 P의 각 양을 강판면에 평행한 {222}면과 {200}면에 의한 X선 회절 강도의 비의 일정한 관계식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딥드로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8-13081호 공보에는 법랑용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C량으로 Nb량을 규정하고, 또한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의 조 건을 규정함으로써 (111)집합 조직을 제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10-18011호 공보에는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X선 회절 강도 중 {200}면 강도와 {222}면 강도의 비, I(200)/I(222)가 0.17 미만이 되면 도금 표면에 줄 모양 결함의 발생이 없어지는 것, 및 열간 압연의 마무리 압연 온도를 Ar3+30℃ 이상으로 하면 X선 회절 강도비, I(200)/I(222)가 0.17 미만이 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11-350072호 공보에는 강중의 C 함유량이 0.01% 이하의 극저탄소 냉연 강판에 있어서,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전체 판 두께의 1/10을 차지하는 표층부의 페라이트 입도 No.를 a, 판 두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 판 두께의 1/2을 차지하는 내층부의 페라이트 입도 No.를 b로 하여, a-b≥0.5, a≥7.0, b≤7.5를 만족하고, 또한 {222}면과 {200}면으로부터의 X선 회절 강도의 비 I(222)/I(200)를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전체 판 두께의 1/15의 부분에서 5.0 이상으로, 또한 강판의 판 두께 중심부에서 12 이상으로 제어하면 프레스 성형 시의 강판의 피부 거칠기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종래부터 강판의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αFe상이나 γFe상의 {222}면집적도를 높이는 수법이 고안되어, 강판 성분, 압연 조건, 온도 조건 등을 최적화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44116호 공보에는 Al 함유량이 6.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고Al 함유 강판에 있어서, αFe 결정의 {222}면집적도를 60% 이상 95% 이하로, 또는 {200}면집적도를 0.01% 이상 15% 이하로 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는 고Al 함유 강판에 있어서, 상기 특정면의 면집적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Al 함유량이 3.5 질량% 이상 6.5 질량% 미만인 모재 강판의 표면에 용융 Al 도금법으로 Al 합금을 부착시켜, 냉간 압연하고, 그 후 확산 열처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강판에는 펀칭 가공 시, 절단면에 발생하는 버어가 작은 것이 가공성의 하나로서 요구되므로, 종래부터 버어의 발생을 억제하는 각종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3-277739호 공보에는 강판의 표층을 경화함으로써 전단 가공 시의 버어를 매우 작게 하고, 강판 내부에는 부드러운 경도 분포를 갖게 하여 프레스 가공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r값(랭크 포드값)이 1.7 내지 2이고, 펀칭 가공 시의 버어 높이가 12 내지 40㎛가 되는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88850호 공보에는 극저탄소강에 일정식을 만족하도록 S를 0.003 내지 0.03% 첨가하여 딥드로잉성과 펀칭 가공성을 높인 냉연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r값이 2.2 내지 2.6이고, 펀칭 가공 시의 버어 높이가 30 내지 80㎛로 되는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 강판 성분, 압연 조건, 온도 조건 등을 최적화하여, αFe상이나 γFe상의 {222}면집적도를 높이는 수법이 고안되어, 강판의 가공성 향상의 요구에 응해 왔다.
그러나, 보다 고도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종래 기술로는 어려워 새로운 시점이 필요하다.
즉, {222}면집적도가 종래 정도의 강판에서는, 가공 공정에 있어서 펀칭 가공성이 불량해지고, 또한 복잡한 프레스 가공에서 필요한 소성 유동성이 불충분하여, 고도의 가공이나 가공 공정의 고효율화에 대응할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강판은,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고, 발생한 버어를 제거하는 모따기 공정이 필요해진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은 복잡한 형태로 프레스 가공할 때, 형 표면과 강판의 미끄러짐이 충분하지 않아 종래 이상의 복잡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44116호 공보에 개시된 강판은 가공성을 높이는 {222}면집적도가, 지금까지 이상으로 높아, 벌집 구조체를 형성하는 박을 제조할 수 있을 정도의 가공성을 갖는 것이기는 하나, 애당초 Al 함유량이 많으므로 통상의 가공용 강판으로서 고도의 가공이나, 가공 공정의 고효율화에 대처할 수는 없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6-206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8-13081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10-18011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11-350072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은, {222}면을, 어떤 일정한 비율까지 집적시킬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성분 조건이나, 어닐링 등의 종래 공정에 있어서의 조건의 설정만으로는 면집적도의 향상에 한계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44116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는, 종래 공정에, 모재 표면에 용융 Al 도금법으로 Al 합금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222}면집적도를 높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Al 함유량이 3.5 질량% 이상 6.5 질량% 미만인 모재를 사용했을 때만, {222}면집적도가 향상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을 Al 함유량이 낮은 강판에 단순히 적용하여 특정면의 집적도를 높게 또는 낮게 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3-27773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평8-188850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은, 펀칭 가공에 수반하는 버어의 발생을 어느 정도까지 저감하는 것에 성공하고 있으나, 버어를 제거하는 모따기 가공을 생략할 수 있는 것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판 표면에 도금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집합 조직을 제어하는 기술을, 더욱 검토하여 종래에 없는 높은 레벨의 {222}면집적도를 갖고,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 가공성이 우수한 "6.5 질량% 미만의 Al 함유량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없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6.5 질량% 미만의 Al 함유량 강판"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에 있어서, (x1) Fe 결정의 {222}면집적도를 높은 특정 범위로 하고, 및 / 또는 (x2) Fe 결정의 {200}면집적도를 낮은 특정 범위로 하면,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 종래에 없는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에 있어서, 특정 결정면을 높은 비율로 효과적으로 집적시키는 수법으로서, (y1)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모재 강판의 표면에, 제2층(모재 강판을 제1층, 그 표면에 설치하는 층을 제2층이라고 한다)을 부착시키고, 그 후 열처리하여 특정 결정면을 고도로 집적시키기 위해서는 모재 강판 중의 Cr 함유량을 12 질량% 이하로 하는 것, 또한 (y2)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모재 강판의 표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고, 계속하여 냉간 압연하고, 그 후 제2층을 제거하여 열처리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의 요지를 기재한다.
(1)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2) 표면의 적어도 편측에 제2층이 부착되어 있는,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3) 표면의 적어도 편측에 제2층이 형성되고, 제2층과 강판이 일부에서 합금화되어 있는,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4) 표면의 적어도 편측에 부착된 제2층이 강판과 합금화되어 있는,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5) 상기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6) 상기 제2층이 Fe, Al,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7) 상기 강판의 두께가 5㎛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8) 상기 제2층의 두께가 0.01㎛ 이상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9)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으로부터 제2층을 제거하는 공정, 및
(d) 제2층을 제거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0)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고,
(d) 재결정 후의 강판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1)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의 일부를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고,
(d) 합금화, 재결정 후의 강판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2)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을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고,
(d) 강판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3) 상기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4) 상기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5%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5) 상기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층이 Fe, Al,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6)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으로부터 제2층을 제거하는 공정, 및
(d) 제2층을 제거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7)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8)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의 일부를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9)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을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0) 상기 모재로서의 강판의 두께가 10㎛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1) 상기 제2층의 두께가 0.05㎛ 이상 1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2) 상기 제2층을 부착시키기 전에, 강판에 예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3) 상기 예비 열처리의 온도가 700 내지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2)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4) 상기 예비 열처리의 분위기가 진공 중,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 및 수소 분위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2) 또는 (23)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5) 상기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이 도금법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6) 상기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이 압연 클래드법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7) 상기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압하율이 30%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8) 상기 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가 600℃ 이상 1000℃ 이하이며, 또한 열처리 시간이 30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9) 상기 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가 100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본 발명의 강판)은 6.5 질량% 미만의 Al 함유량이며, 또한 {222}면집적도가 높은 것이나, {200}면집적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종래에 없는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강판은 종래 형상으로부터 특수 형상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복잡 형상의 프레스 성형이 필요한 자동차용 부품이나 가전 제품 부품 등의 외판을 비롯한 각종 구조 재료, 기능 재료 등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에 있어서, {222}면집적도를 높게 하는 것이나, {200}면집적도를 낮게 하는 것을 용이하면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새 설비를 만들지 않아도 기존 설비의 공정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본 발명의 강판을, 용이하게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강판의 Al 함유량을 6.5 질량% 미만으로 하고, 또한 (X1) Fe 결정상의 {222}면집적도를 높여 60% 이상 99% 이하로 하는, 및 / 또는 (x2){200}면집적도를 낮추어 0.01% 이상 15% 이하로 함으로써,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 종래에 없는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5% 이하, 및 αFe상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Al 함유량 6.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고Al 함유 강판"을,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44116호 공보에서 개시했다.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은, Al을 3.5 질량% 이상 6.5 질량% 이하 함유하는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Al 합금을 부착시켜 냉간으로 가공 변형을 부여하고, 계속하여 Al을 확산시키는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그 후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에 있어서, {222}면집적도를 더 높이는 기술의 개발에 예의 대처, 각종 실험을 행해 왔다.
그 결과, 특정 결정면을 집적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은 Al 함유 량이 3.5 질량% 미만인 모재 강판을 사용하고, 모재 강판의 Cr 함유량을 12 질량% 이하로 하고, Al 뿐만 아니라,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강판에 부착시키고, 그 후 열 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킴으로써 {222}면집적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44116호 공보로 개시한 내용, 「냉간 압연 시, 강판 중에 형성되는 특별한 전위 조직이 효과적으로 형성되어, 열처리에 의해 전위 조직으로부터 {222}면집합 조직을 발달시키는 재결정핵이 효율적으로 발생한다」 는 것에 근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의 성분계가 재결정 후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이 되는 성분계라도, 상기 재결정핵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결과적으로 보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모재 강판 중의 Cr 함유량은 10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이 Cr 함유량 하에서 {222}면집적도를 더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모재 강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강판 표면에 제2층을 부착시켜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계속하여 제2층을 제거하고, 그 후의 열처리로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을 수 있다.
이 현상도,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재결정핵 발생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발현된다고 생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판은, 상온에서는,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l 함유량은 6.5 질량% 미만이다.
Al 함유량이 6.5 질량% 이상이 되면 높은 {222}면집합 조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장 파단 신장이 저하되어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고 있어도 충분한 가공성을 얻을 수 없다.
즉, Al 함유량이 6.5 질량% 이상인 강판에서는 {222}면집적도를 어떻게 높여도, 또한 {200}면집적도를, 어떻게 낮추어도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판에서는, Al 함유량을 6.5 질량% 미만으로 했다.
본 발명의 강판의 Al 함유량은 0.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Al이 0.001 질량% 이상이면 제조 시의 수율이 향상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0.11 질량% 이상이다. Al이 0.11 질량% 이상이면 {222}면집적도가 보다 높아져, 그 결과 보다 높은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모재 강판의 적어도 편측에 제2층을 부착시키고, 그 후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킴으로써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를 극히 높게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본 발명의 강판)은 딥드로잉 성형, 펀칭 가공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다.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이므로, 제2층에 Al이 포함되어 있어도 제조 과정에 있어서 강판에 수축 등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은 0.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Al이 0.001 질량% 이상이면 모재 강판의 제조 수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강판은,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αFe상은 구조가 체심방위의 Fe 결정상이며, γFe상은 구조가 면심입방의 Fe 결정상이다. Fe 결정상은 다른 원자가 Fe를 일부 치환하거나 Fe 원자간에 침입하거나 한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강판은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으로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집적도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면 드로잉 가공성의 평가값인 평균r값(랭크 포드값)이 2.5 이상이 되고, 또한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면집적도의 측정은 MoKα선에 의한 X선 회절로 행하였다. αFe상의 {222}면집적도 및 αFe상의 {200}면집적도는 이하와 같이 구했다.
시료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Fe의 α 결정11면:{110}, {200}, {211}, {310}, {222}, {321}, {411}, {420}, {332}, {521}, 및 {442}의 적분 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의 각각을 랜덤 방위인 시료의 이론 적분 강도로 나눈 후, {200} 강도 또는 {222} 강도의 비율을 백분률로 구했다.
예를 들어, {222} 강도와의 비율은 이하의 식(1)로 나타낸다.
{222}면집적도
=[{i(222)/I(222)}/{Σi(hkl)/I(hkl)}]×100 ···(1)
단, 기호는 이하와 같다.
i(hkl) : 측정한 시료에 있어서의 {hkl}면의 실측 적분 강도
I(hkl) : 랜덤 방위를 갖는 시료에 있어서의 {hkl}면의 이론 적분 강도
Σ :α-Fe 결정11면에 관한 합
마찬가지로, γFe상의 {222}면집적도, 및 γFe상의 {200}면집적도는 이하와 같이 구했다.
시료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Fe의 γ 결정6면:{111}, {200}, {220}, {311}, {331}, 및 {420}의 적분 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의 각각을 랜덤 방위인 시료의 이론 적분 강도로 나눈 후, {200} 강도 또는 {222} 강도와의 비율을 백분률로 구했다.
예를 들어, {222} 강도와의 비율은 이하의 식(2)로 나타낸다.
{222}면집적도
=[{i(111)/I(111)}/{Σi(hkl)/I(hkl)}]×100…(2)
단, 기호는 이하와 같다.
i(hkl) : 측정한 시료에 있어서의 {hkl}면의 실측 적분 강도
I(hkl) : 랜덤 방위를 갖는 시료에 있어서의 {hkl}면의 이론 적분 강도
Σ : γ-Fe 결정6면에 관한 합
αFe 결정립에 관해서는, 별도로 EBSP(후방 산란 전자 회절상[Electron Backscattering Diffraction Pattern, EBSP]법에 의해서도 그 {222}면집적도를 구할 수 있다.
EBPS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결정면의 총 면적에 대한 {222}의 면적률이 {222}집적도가 된다. 따라서, EBSP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강판에 있어서는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든 분석 수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만족할 필요는 없으며, 1개의 분석 수법으로 얻어지는 값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EBPS법에 있어서는 강판면에 대하여 {222}면의 어긋남이 발생하나, 어긋남은 3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222}면의 어긋남을 L 단면에서 관찰하여 {222}면의 어긋남이 30° 이하인 결정립의 면적 비율이 80 내지 99.9%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 단면에 있어서의 {222}면의 어긋남이 0 내지 10°의 결정립의 면적 비율이 40 내지 9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r값은 JIS Z 2254로 구하는 평균 소성 변형비를 의미하고,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는 값이다.
평균r값=(r0+2r45+r90)/4…(3)
여기서, r0, r45, 및 r90은 시험편을 판면의 압연 방향에 대하여, 각각 0°, 45°, 및 90°의 방향에서 채취하여 측정한 소성 변형비이다.
또한 랜덤 방위를 갖는 시료의 적분 강도는 시료를 준비하여 실측하여 구해도 좋다.
본 발명의 강판에 있어서는 (i)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 또는 (ⅱ)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이다.
{222}면집적도가 60% 미만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15% 초과이면 드로잉, 굽힘, 압연 가공 시에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되기 쉬워지고, 또한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한다.
{222}면집적도가 99% 초과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0.01%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포화되고, 또한 제조도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판의 집합 조직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규정했다.
또한,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는 60% 이상 95% 이하가 바람직하다. {222}면집적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제조가 보다 용이해져 수율이 향상된다.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는 0.01%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200}면집적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강판을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은 Al 함유량이 6.5% 미만인 모재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 을 실시하는 공정, 냉간 압연 후의 강판으로부터 제2층을 제거하는 공정, 및 제2상을 제거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기 위해서는, 모재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때, 제2층이 적어도 모재 강판의 편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을 수는 없다. 제2층을 강판의 양면에 부착시켜 냉간 압연을 실시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킬 때, 제2층은 반드시 부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강판에 부착되어 있는 제2층을 열처리 전에 제거해도 좋다.
예를 들어, 열처리 시에 제2층을 구성하는 원소가 강판 중으로 확산되어 기계 특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 열처리 전에 제2층을 제거하면 {222}면집적도의 향상 효과만을 얻을 수 있다.
표면의 적어도 편측에 제2층이 부착되어 있는 강판으로서,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강판은 본 발명의 강판에 포함된다.
{222}면집적도가 60% 미만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15% 초과이면 드로잉, 굽힘, 압연 가공 시에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되기 쉬워지고, 또한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한다.
{222}면집적도가 99% 초과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0.01%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는 포화되고, 또한 제조도 어려워진다.
여기서, 강판에 상기 제2층이 부착되어 있으면 강판의 내부 산화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강판을 보다 고기능화할 수 있다.
이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모재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제2층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보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기 위해서는 모재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의 공정에 있어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킬 때 표면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이 부착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층이 모재 강판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는 더 높아진다.
제2층과 강판이 일부에서 합금화되고, 또한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강판도 본 발명의 강판에 포함된다.
{222}면집적도가 60% 미만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15% 초과이면 드로잉, 굽힘, 압연 가공 시에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되기 쉬워지고, 또한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한다.
{222}면집적도가 99% 초과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0.01%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포화되고, 또한 제조도 어려워진다.
강판 표면에 제2층이 부착되어, 제2층의 일부가 강판과 합금화되어 있으면 강판의 내부 산화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2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어, 강판을 보다 고기능화할 수 있다.
보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기 위하여, 모재 강판에 제2층을 적어도 편면에 부착시킨 상태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이 모재 강판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는 더 높아진다.
그 후의 공정에 있어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 편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층의 일부가 모재 강판과 합금화되어 보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2층과 강판이 일부에서 합금화된다는 의미는, 예를 들어 제2층과 강판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상호 확산에 의해 부분적으로 합금화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층과 강판이 합금화되어 있으며,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강판도, 본 발명의 강판에 포함된다.
{222}면집적도가 60% 미만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15% 초과이면 드로잉, 굽힘, 압연 가공 시에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되기 쉬워지고, 또한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한다.
{222}면집적도가 99% 초과이고, 또한 {200}면집적도가 0.01%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포화되고 또한 제조도 어려워진다.
상기 제2층이 강판면에 부착되어, 제2층이 강판과 합금화되어 있으면, 제2층을 구성하는 원소에 따라 강판의 기계적 성질 또는 기능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제2층을 구성하는 원소가 Al인 경우, 강판의 고온 내산화성이나 내부식성이 향상된다.
보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기 위하여, 모재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킨 상태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재결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간 압연 시에는 제2층이 적어도 모재 강판의 편면에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필수적이다. 그 후,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제2층이 강판과 완전하게 합금화되어 보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을 수 있다.
제2층을 갖는 본 발명의 강판에 있어서, 제2층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2층을 구성하는 원소는, Fe, Al,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이다.
이상의 원소는, Fe와의 합금화 원소라는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αFe에 고용되어 α상을 안정화시키는 경향이 있는 Al, Cr, Ga, Mo, Nb, P, Sb, Si, Sn, Ti, V, W, 및 Z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이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αFe에 고용되어 보다 α상을 안정화시키는 경향이 있는 Al, Cr, Mo, Si, Sn, Ti, V, W, 및 Z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이다.
예를 들어, 제2층으로서 Al 합금, Zn 합금, 및 Sn 합금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재 강판의 표면에 실시하는 제2층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2층을 구성하는 원소는 Fe, Al,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이다.
이상의 원소는 Fe와의 합금화 원소라는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αFe에 고용되어 α상을 안정화시키는 경향이 있는 Al, Cr, Ga, Mo, Nb, P, Sb, Si, Sn, Ti, V, W, 및 Z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이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αFe에 고용되어, 보다 α상을 안정화시키는 경향이 있는 Al, Cr, Mo, Si, Sn, Ti, V, W, 및 Z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이다.
예를 들어, 제2층으로서 Al 합금, Zn 합금, 및 Sn 합금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층에 Al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모재 강판의 바람직한 Al 함유량은 3.5 질량% 미만이다. 모재 강판의 Al 농도가 3.5 질량% 이상이고, 제2층으로서 Al 합금을 부착시킨 상태로 열처리를 실시하면 열처리 중에 수축을 일으켜 치수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판에 있어서, 제2층이 Al을 함유할 경우에는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은 3.5 질량% 미만으로 한다.
제2층이 Al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은 6.5 질량% 미만으로 한다.
제조 공정이,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경우,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이상이면 얻어지는 강판의 인장 파단 신장이 저하되어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고 있어도 충분한 가공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펀칭 가공 시에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2층이 Al을 함유하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의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은 6.5 질량% 미만으로 한다.
또한, 제2층이 Al을 함유하고 있어도 열처리 전에 제2층을 제거하면, 수축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열처리 전에 제2층을 제거할 경우,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은 6.5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 중 제2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합금화하여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판과 제2층의 합금화 영역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제2층에 있어서 가장 함유량이 많은 원소를 A로 하여, Fe 함유량이 합금화 전의 제2층의 Fe 함유량보다 0.5 질량% 높고, 또한 A 함유량이, 합금화 전의 모재 강판의 A 함유량보다도 0.1 질량% 높은 영역을 합금화 영역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합금화의 비율은 합금화 영역이 전체의 영역에 차지하는 비율이다. 본 발명의 강판에 있어서는 상기 정의에 따르는 합금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Fe 함유량 및 / 또는 A 함유량이 많아져 금속간 화합물 등이 형성되면, 보다 높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합금화 비율은, 예를 들어 EPMA 등을 사용하여 L 단면에서, Fe와 원소 A의 함유량 분포를 분석하여 합금화 영역을 특정하여 그 면적을 구하고, 특정 영역 면적의 전체 면적에 대한 비율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판의 두께는 5㎛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2층을 포함시킨 두께이다. 강판의 두께가 5㎛ 미만이면 제조 수율이 저하되어 실용에 적합하지 않다.
강판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222}면집적도가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강판의 두께는 5㎛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다.
강판의 두께는 100㎛ 이상 3㎜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강판의 두께가 3㎜ 이하가 되면 펀칭 가공 시 절단면에 있어서의 버어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강판의 두께가 100㎛ 이상이면 {222}면집적도를 보다 높게 제어하기 쉬워져, 마찬가지로 상기 버어의 발생 억제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강판의 두께에 있어서 제2층의 두께는 0.01 ㎛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다. 강판과 제2층이 일부 합금화되어 있는 경우, 합금화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는 제2층의 두께에 포함시킨다. 양면에 제2층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면의 두께의 합계이다.
제2층은, 제조 시에는 {222}면집적도를 높이는 기능을 갖는 한편, 제조 후에 제거하지 않고, 강판의 방청 보호 피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2층의 두께가 500㎛ 초과이면 박리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5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층의 두께가 0.01㎛ 미만이면 피막이 파손되기 쉬워져, 방청 보호 효과가 저감된다.
따라서, 제2층의 두께는 0.01㎛ 이상이 바람직하다. 강판의 두께 전체가 합금화되어 있는 경우도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제2층이 소멸했다고 생각한다.
본 발명의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재 강판의 두께는 10㎛ 이상 10㎜ 이하이다. 모재 강판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냉간 압연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제조 수율이 저하되어 실용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모재 강판의 두께가 10㎜ 초과이면, {222}면집적도가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모재 강판의 두께는 10㎛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모재 강판의 두께는 130㎛ 초과, 7㎜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이 두께 범위에 있어서, {222}면집적도의 효율적이면서 충분한 증가를 예상할 수 있어 펀칭 가공 시에 버어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냉간 압연 전에, 모재 강판에 부착시키는 제2층의 두께는 0.05㎛ 이상 10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강판과 제2층이 합금화되어 있는 경우 합금화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는 제2층의 두께에 포함시킨다. 양면에 제2층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면의 두께의 합계이다.
제2층의 두께가 0.05㎛ 미만이면, {222}면집적도가 낮아져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0.05㎛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2층의 두께가 1000㎛ 초과인 경우도 {222}면집적도가 낮아져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1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제2층을 부착시키기 전의 모재 강판에 예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비 열처리는 모재 강판의 제조 과정에서 축적된 전위를 재배열시키는 것으로, 그것을 위해서는 재결정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재결정을 일으키게 할 필요는 없다.
예비 열처리 온도는 700℃ 이상 1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예비 열처리 온도가 700℃ 미만이면, 보다 우수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한 전위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예비 열처리 온도는 700℃ 이상으로 한다.
예비 열처리 온도가 1100℃ 초과이면, 강판 표면에 바람직하지 못한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그 후의 제2층의 부착, 및 냉간 압연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예비 열처리 온도는 1100℃ 이하로 한다.
예비 열처리의 분위기는, 진공, 불활성 가스 분위기, 수소 분위기, 약산화성 분위기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어느 분위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예비 열처리 후의 제2층의 부착, 및 냉간 압연에 악영향을 미치는 산화막을 강판 표면에 형성하지 않는 조건의 분위기가 요구된다.
예비 열처리 시간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강판의 제조성 등을 고려하면 수 초부터 수 시간 이내가 적절하다.
제2층의 강판으로의 부착은 용해 도금법, 전기 도금법, 드라이 프로세스법, 클래드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어느 한 방법을 사용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착시키는 제2층에 원하는 합금 원소를 첨가하고, 동시에 합금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간 압연은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킨 상태로 실시하고 압하율은 30% 이상 95% 이하이다.
압하율이 30% 미만이면 열처리 후에 얻어지는 강판의 {222}면집적도가 낮아, 본 발명의 범위에 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압하율이 95% 초과이면 면집적도의 증가가 포화되어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압하율은 30% 이상 95% 이하로 한다.
열처리 전에 제2층을 제거할 경우, 제거법으로서 연마 등에 의한 기계적인 제거법이나, 강산이나 강알카리 수용액 용해에 의한 화학적인 제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l 도금 강판의 경우, 강판을 가성 소다수에 침지시켜 도금 성분만을 제거한다. 그 결과,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Al 성분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열처리는 진공 분위기, Ar 분위기, H2 분위기 등의 비 산화성 분위기에서 행할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600℃ 이상 1000℃ 이하이고, 또한 열처리 시간은 30초 이상이 바람직하다.
열 처리 온도가 600℃ 이상이면 {222}면집적도는 보다 높아져, 용이하게 본 발명의 범위에 도달한다. 열처리 온도가 1000℃ 이하이고, 열처리 시간이 30초 미만이면, 마찬가지로 {222}면집적도는 보다 높아져, 용이하게 본 발명의 범위에 도달한다.
따라서, 열처리 온도는, 600℃ 이상 1000℃ 이하이며, 또한 열처리 시간은 30초 이상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1000℃ 초과이면, 열처리 시간의 제한은 없어,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을 수 있다. 특히, 1000℃ 초과이면 30초 미만의 열처리 시간이라도 {222}면집적도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열처리 온도는 13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1300℃ 이하이면 강판의 평탄성 등의 판 형상이 더 우수한 것으로 된다.
열처리 시의 승온 속도는 1℃/분 이상 1000℃/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승온 속도가 1000℃/분 이하이면 보다 높은 {222}면집적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승온 속도가 1℃/분 이상이면 생산성이 각별히 향상된다.
따라서, 승온 속도는 1℃/분 이상 1000℃/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층을 부착한 상태에서 행하는 열처리는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것 외에 제2 층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를 강중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층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가, 강중으로 확산되면 {222}면집적도가 더 향상되고, 또한 고온 내산화성이나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므로 본 발명의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2층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의 확산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모재 강판은 전술한 Al 함유량 하에서 Cr 함유량을 12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함유량은 10 질량% 미만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모재 강판은 C 함유량이 2.0 질량% 이하인 강판이며, 불순물로서 미량의 Mn, P, 및 S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탄소강은 본 발명의 모재 강판에 포함된다. 또한, C 외에 Ni나 Cr 등의 합금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강도, 본 발명의 모재 강판에 포함된다.
모재 강판이 함유할 수 있는 합금 원소는 Si, Al, Mo, W, V, Ti, Nb, B, Cu, Co, Zr, Y, Hf, La, Ce, N, 및 0 등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을 변경하여 제조성과, {222}면집적도에 대하여 조사했다.
모재 강판은 5 종류의 서로 다른 Al 함유량의 성분계로 제조했다. Al 함유량은 질량%이고, 3.0%(성분A), 3.4%(성분E), 4.0%(성분B), 6.0%(성분C), 7.5%(성분D)이며, 기타는 C:0.008%, Si:0.2%, Mn:0.4%, Cr:20.0%, Zr:0.08%, La:0.08%,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로 했다.
이들 성분계에 있어서, 진공 용해로 잉곳을 용제하고, 잉곳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3.0㎜ 두께로의 박육화를 시도했다.
성분 A, B, C, 및 E의 경우에는, 용이하게 3.0㎜ 두께의 강판으로 열간 압연할 수 있었으나, 성분D의 경우에는 강판이 열간 압연 중 빈번히 파단되어 열간 압연을 계속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6.5% 이상이면 제조가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성분D의 강판을 제조하는 것은 단념하고, 계속하여 성분A, B, C, 및 E의 강판을 0.4㎜ 두께까지 냉간 압연했다.
성분 A, B, C, 및 E의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면집적도를 산출했다.
{222}면집적도는 성분A에서 32%, 성분B에서 31%, 성분C에서 31%, 성분E에서 30%이며, {200}면집적도는 성분A에서 16%, 성분B에서 15%, 성분C에서 16%, 성분E에서 16%인 것을 확인했다.
각 강판에는, 제2층을 형성하기 전에 800℃×10sec의 열처리를, 수소 분위기중에서 실시했다. 그 후, 용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모재 강판의 표면에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도금욕의 조성은 질량%로, 90%Al-10%Si이며, Al 합금의 부착은 강판의 양면에 행했다.
부착량은, 강판 전체에서 Al 함유량이 질량%로, 3.5%(성분A), 4.5%(성분B), 6.4%(성분C), 6.4%(성분E)가 되도록 제어했다.
제2층에 Al 합금을 부착시킨 채, 각각의 강판에 7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계속하여, 진공 중에서 1000℃×120min의 조건으로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때, 성분B 및 C의 강판은, 열처리 중에 수축을 일으켜 치수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제2층에 Al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인 3.5% 이상이면 열처리 중에 수축이 일어나 실용에 제공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인 3.5% 미만이면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실용에 제공할 수 있다.
Al 함유량이 3.5% 이상인 모재 강판에 Al을 함유하지 않는 제2층을 부착시켜 마찬가지의 열처리를 실시했다. 이 경우, 열처리 중에 수축은 일어나지 않았다.
성분A 및 E의 강판을 모재 강판으로 한 경우, 얻어진 강판의 {222}면집적도는, 각각 82% 및 83%이며, {200}면집적도는 각각 0.5% 및 0.8%로, 양 집적도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었다.
또한, 이들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하여 평균r값이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들 강판은,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2 실시예)
제2층으로서 Al 합금을 사용하여,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재 강판의 성분은 질량%로, Al:1.5%, C:0.008%, Si:0.1%, Mn:0.2%, Cr:18%, Ti:0.1%,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이다.
모재 강판은 진공 용해법으로 잉곳을 용제하고, 잉곳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3.8㎜ 두께의 강판으로 하고, 계속하여 냉간 압연으로 0.8㎜ 두께로 한 강판이다.
모재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여 {222}면집적도가 36%, {200}면집적도가 20%인 것을 확인했다.
일부의 모재 강판에는, 도금 전에 800℃×10sec의 열처리를, 수소 분위기 중에서 실시했다. 모재 강판의 표면에 용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도금욕의 조성은, 질량%로, 90%Al-10%Si이며, Al 합금의 부착은 강판의 양면에 행했다. 부착시킨 Al 합금의 두께는 강판면 내에서 균일해지도록 제어했다.
Al 합금을 부착시킨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그 후, 비산화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를 실시했다. 열처리 전에, 필요에 따라 표면에 부착된 Al 합금을 제거했다.
Al 합금의 제거는, 강판을 가열한 가성 소다 10% 수용액에 침지시켜 Al 합금을 용액 중에 용해시켜 행했다.
비교예로서, Al 합금을 부착시킨 후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Figure 112009030067414-PCT00001
표1에, 각종 조건으로 제조한 강판의 합금화 비율, αFe상의 {222}면집적도, αFe상의 {200}면집적도, 및 Al 함유량을 나타냈다. 면집적도는 X선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전술한 계산 처리법으로 산출했다.
강판의 합금화 비율은, 다음과 같이 구했다. L 단면에 있어서, L 방향 1㎜×전체 두께의 시야에서 EPMA(Electron Probe Micro-Analysis)법을 사용하여 Fe 함유량의 면 분포와, Al 함유량의 면 분포를 측정했다.
그리고, Fe≥0.5 질량%이고, 또한 Al≥1.6 질량%로 되는 영역을 합금화 영역으로서, 그 면적을 구하여 합금화 면적으로 했다. 합금화 비율은 합금화 면적을 L 방향 1㎜×전체 두께의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No.1의 제1 비교예에서는 Al 합금의 부착량을 강판 전체의 Al 함유량이 3.2%로 되도록 도금 두께를 조정하여 제어했다. 도금 후의 냉간 압연을 거치는 일 없이 Al 합금을 제거하고, 또한 950℃×1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얻어진 강판 중의 Al 함유량은 Al 합금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모재 강판과 동일하게 1.5%이었다.
No.2 의 제2 비교예에서는 제2층으로서 Al 합금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생략했다. 50%의 압하율로 모재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950℃×1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 경우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No.3의 발명예에서는, Al 합금의 부착량을 강판 전체의 3.2%로 되도록 도금 두께를 조정하여 제어했다. 도금 후에, 강판에 5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l 합금을 제거하고, 또한 950℃×0.1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222}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어긋나 있었으나, {200}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었다. 얻어진 강판 중의 Al 함유량은 Al 합금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모재와 동일한 1.5%이었다.
No.4 및 5의 발명예1 및 2에서는 강판에 80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Al 함유량이 강판 전체에서 3.2%가 되도록 강판 표면에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그 후, 강판에 5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Al 합금을 제거한 후, No.4에서는 950℃×1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No.5에서는 950℃×1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각각의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No.4 및 5의 제1 발명예 및 제2 발명예 모두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얻어진 강판 중의 Al 함유량은 Al 합금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모재 강판과 동일한 1.5%이었다.
No.6의 제3 발명예는, No.5의 발명예로부터 Al 합금을 부착시키기 전의 열처리를 생략한 것이나,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얻어진 강판 중의 Al 함유량은 Al 합금을 제거하고 있으므로, 모재 강판과 동일한 1.5%이었다.
No.7 및 8의 제4 발명예 및 제5 발명예에서는 Al 합금을 부착시키기 전에 강판에 80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계속하여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No.7의 Al 합금 부착량은 강판 전체에서 Al 함유량이 3.2%가 되도록 제어했다. No.8의 Al 합금 부착량은 마찬가지로 강판 전체에서 Al 함유량이 6.0%가 되도록 제어했다. 그 후, 양 강판에 5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Al 합금의 제거를 생략하고, 강판 표면의 압연유를 제거한 후에 1000℃×12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 열처리에 의해, 강판 표면에 부착시킨 Al 합금은 완전히 강판과 합금화되었다.
얻어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No.9의 제4 비교예에서는, No.7 및 8의 발명예에 비교하여, 제2층의 부착량을 많게 했다. Al 합금 부착량은, 강판 전체에서 Al 함유량이 7.5%가 되도록 제어했다.
그 밖의 공정은 No.7 및 8의 발명예와 동일하며 열처리에 의해 강판 표면에 부착시킨 Al 합금은 완전하게 강판과 합금화되었다.
그 결과, 강판의 Al 함유량은 7.5%로 되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해 버렸다. 이 강판의 {222}면집적도는 상당히 향상됐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인장 시험을 행한 결과, 파단 신장은 10% 이하로, 인성이 낮은 것을 알았다. 이것으로부터, No.9의 강판은 실용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알았다.
No.10의 제5 비교예에서는 Al 함유량이 강판 전체에서 3.2%로 되도록 강판 표면에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Al 합금을 부착시킨 후의 냉간 압연을 생략했다. Al 합금을 부착시킨 후, 강판에 1050℃×0.17min의 조건으로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났다.
No.11 및 12의 제6 발명예 및 제7 발명예에서는 Al 합금을 부착시키기 전에 강판에 80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Al 함유량이 강판 전체에서 3.2%로 되도록 강판 표면에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그 후, No.11 의 제6 발명예에서는 50%의 압하율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No.12의 제7 발명예에서는 75%의 압하율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Al 합금의 제거를 생략하여 1050℃×0.17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어느 강판에 있어서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상기 강판에 대하여, 내버어성의 시험을 행했다. 10.0㎜φ의 펀치와, 10.3㎜φ의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고, 펀칭 구멍 주변의 버어 높이를 포인트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했다.
그 결과, 버어의 높이가 비교예에서는 23 내지 65㎛의 높은 레벨에 있었으나, 발명예에서는 4 내지 9㎛의 극히 낮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의 실시예의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한 바, 발명예의 강판에서는 평균r값이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으나, 비교예의 강판에서는 평균r값이 2.5 미만 또는 측정 불가의 결과가 되었다.
따라서, 발명예의 강판은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발명예의 강판에 대해서는 에릭슨 시험을 행하여 압출 표면을 관찰하여 프레스 가공성에도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에 있어서는, 우수한 내버어성과, 드로잉 가공성이 양립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3 실시예)
부착물(제2층)로서 Zn 합금을 사용하여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재 강판은, 진공 용해법에 의해 질량%로, Al 함유량을 0.01%, 그 외 C:0.005%, Si:0.2%, Mn:0.5%, Ti:0.05%,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의 잉곳을 용제하여 열간 압연으로 3.2㎜ 두께로 하고, 계속해서 냉간 압연에 의해 1.8㎜ 두께까지 압연한 강판이다.
모재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여 {222}의 면집적도가 28%, {200}의 면집적도가 19%인 것을 확인했다.
일부의 모재 강판에는, 도금 전에 770℃×5sec의 열처리를 수소 분위기 중에서 실시했다.
모재 강판의 표면에 전기 도금법을 사용하여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도금욕은 황산계 산성 용액을 사용하고, 부착시킨 도금은 질량%로, 94%Zn-6%Ni의 합금이다. 부착시킨 Zn 합금의 두께는 강판면 내에서 균일해지도록 제어했다.
Zn 합금을 부착시킨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비산화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를 실시했다. 열처리 전에, 필요에 따라 강판 표면에 부착된 Zn 합금을 제거했다. Zn 합금의 제거는, 강판을 가열한 염산 10% 수용액에 침지시켜 Zn 합금을 용액 중에 용해시켜 행했다.
비교예로서 Al 합금을 부착시킨 후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Figure 112009030067414-PCT00002
표2에, 각종 조건으로 제조한 강판의 합금화 비율, αFe상의 {222}면집적도, αFe상의 {200}면집적도, 및 Al 함유량을 나타냈다. 또한, 면집적도는 X선 회절로 측정하여 전술한 계산 처리법으로 산출했다.
강판의 합금화 비율은, 다음과 같이 구했다. L단면에 있어서, L 방향 1㎜×전체 두께의 시야에서 EPMA법을 사용하여 Fe 함유량의 면 분포와, Zn 함유량의 면 분포를 측정했다.
그리고, Fe≥0.5 질량%이고, 또한 Zn≥0.1 질량%가 되는 영역을 합금화 영역으로서, 그 면적을 구하고 합금화 면적으로 했다. 합금화 비율은 합금화 면적을 L 방향 1㎜×전체 두께의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또한, EBSP법에 의해, 별도로 강판면에 대한 {222}면의 어긋남이 0 내지 30°의 결정립, 및 강판면에 대한 {222}면의 어긋남이 0 내지 10°의 결정립에 대하여, L 단면에서 관찰하여 얻은 면적 비율을 기재했다.
또한, 상기 강판에 대하여, 내버어성의 시험을 행했다. 30.0㎜φ의 펀치와, 30.6㎜φ의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고 펀칭 구멍 주변의 버어 높이를 포인트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했다.
No.13의 제6 비교예에서는 강판 표면에 두께 0.8㎛의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냉간 압연을 생략하고, Zn 합금을 제거하고, 그 후 1050℃×0.1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이 강판의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No.14의 제7 비교예에서는 Zn 합금의 부착을 생략하고, 강판에 7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그 후, 1050℃×0.1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 경우에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No.15의 제8 발명예에서는 770℃에서 열처리를 실시한 후에, 강판 표면에 두께 0.8㎛의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그 후, 강판에 7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또한, Zn 합금을 제거한 후에 1050℃×0.1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No.16의 제9 발명예에서는 No.15의 발명예로부터, Zn 합금을 부착시키기 전의 열처리를 생략했으나,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No.17 및 18의 제10 발명예 및 제11 발명예에서는 Zn 합금을 부착시키기 전에 77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계속해서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No.17에서는 강판 표면에 두께 0.8㎛의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No.18에서는 강판 표면에, 두께 0.4㎛의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그 후, 양 강판에 7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Zn 합금의 제거를 생략하고, 강판 표면의 압연유를 제거한 후, 1050℃×0.1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 열처리에 의해, 강판 표면에 부착시킨 Zn 합금은 일부가 강판과 합금화되었다.
합금화의 비율은 No.17에서 30%, No.18에서 60%이었다. 얻어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No.19의 제8 비교예에서는 강판 표면에 두께 0.8㎛의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Zn 합금을 부착시킨 후의 냉간 압연을 생략했다. Zn 합금을 부착시킨 후, 750℃×1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No.20 및 21의 제12 발명예 및 제13 발명예에서는 Zn 합금을 부착시키기 전에 강판에 77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계속하여 강판 표면에 두께 0.8㎛의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그 후, No.20에서는 30%의 압하율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No.21에서는 87%의 압하율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Al 합금의 제거를 생략하고, 750℃×1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어느 강판에 있어서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의 강판에서는 버어 높이가 82 내지 92㎛의 높은 레벨에 있었으나, 발명예의 강판에서는 7 내지 9㎛의 극히 낮은 레벨인 것을 확인했다.
이상의 실시예의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한 바, 발명예의 강판에서는 평균r값이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으나, 비교예의 강판에서는 2.5미만이라는 결과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에 있어서는 우수한 내버어성과, 드로잉 가공성이 양립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에 대하여, 에릭슨 시험으로 압출 표면을 관찰하여 프레스 가공성에도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4 실시예)
부착물(제2층)로서 Cu를 사용하여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재 강판의 성분은 질량%로, Al:0.015%, C:0.15%, Si:0.1%, Mn:1.5%, Mo:0.5%,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이다.
모재 강판으로서, 진공 용해법에 의해 잉곳을 용제하고 잉곳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15㎜, 10㎜, 및 3.8㎜로 한 강판을 사용했다.
또한, 3.8㎜의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두께 2.0㎜, 1.0㎜, 0.1㎜, 0.01㎜, 및 0.005㎜로 한 냉연판도 모재 강판으로서 사용했다.
모재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고, {222}의 면집적도가 36 내지 40%, {200}의 면집적도가 17 내지 22%인 것을 확인했다.
모재 강판에는 Cu를 부착시키기 전에 850℃×10sec의 열처리를 수소 분위기 중에서 실시했다. 그 후, 모재 강판의 양면에 서로 다른 두께의 Cu를 부착시켰다. Cu의 부착은 클래드법, 전기 도금법 또는 스퍼터법을 사용하여 행했다.
Cu의 두께의 변경은 클래드법에서는 맞댄 Cu판의 두께를 바꿈으로써 행하고, 도금법에서는 통전 전류와 침지 시간을 바꿈으로써 행하고, 또한 스퍼터법에서는 스퍼터 시간을 바꿈으로써 행했다. 도금욕에는, 황산계 용액을 사용했다.
Cu를 부착시킨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비산화 분위기 중에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했다.
Figure 112009030067414-PCT00003
표3에 각종 조건으로 제조한 강판의 αFe상의 {222}면집적도, 및 αFe상의 {200}면집적도를 나타냈다. 또한, 면집적도는 X선 회절로 측정하여 전술한 계산 처리법으로 산출했다.
No.22 내지 27의 제14 발명예 내지 제19 발명예에서는 두께 2.0㎜의 모재 강판에 클래드법, 전기 도금법, 또는 스퍼터법을 사용하여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두께로 Cu를 부착시켰다.
Cu를 부착시킨 채, 강판에 압하율 60%로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다음에, 제2층의 제거를 생략하고, 1020℃×0.3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어떤 강판에 있어서도 {222}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었으나, 제2층을 부착시켰을 때의 제2층의 두께가 1000㎛ 초과인 No.22와, 제2층의 두께가 0.05㎛ 미만인 No.27에서는 {222}면집적도가 약간 저하되고, {222}면집적도는 15%를 초과하였다.
No.22의 제14 발명예에서는 제조 후의 제2층의 두께가 500㎛ 초과하여, 약간 박리되기 쉬운 상태였다. No.27의 제19 발명예에서는 제조 후의 제2층의 두께가 0.01㎛ 미만으로, 피막이 파손되기 쉬워 방청면에서 약간 문제가 있는 상태였다.
No.28 내지 33의 제20 발명예 내지 제25 발명예에서는 두께 0.005 내지 15㎜의 모재 강판에 전기 도금법으로 2㎛의 Cu를 부착시켰다. 다음에, Cu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강판에 압하율 50%로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제2층의 제거를 생략하고, 900℃×6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어느 강판에 있어서도, {222}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었으나, 부착시켰을 때의 모재 강판의 두께가 10㎜ 초과인 No.28과, 모재 강판의 두께가 10㎛ 미만인 No.33에서는 {222}면집적도가 약간 저하되고, 또한 {222}면집적도는 15%를 초과하고 있었다.
이상의 발명예의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한 바, 발명예의 강판은 평균r값이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발명예의 강판은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5 실시예)
부착물(제2층)로서 Cr을 사용하여,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재 강판의 성분은 질량%로, Al:0.02%, C:0.06%, Si:0.2%, Mn:0.4%, Cr:13.1%, Ni:11.2%,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이다.
모재 강판은 진공 용해법으로 잉곳을 용제하고, 그 후 잉곳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3.0㎜두께로 하고, 또한 냉간 압연으로 0.8㎜ 두께까지 압연한 강판이다.
모재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γ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γ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면집적도를 산출했다. {222}의 면집적도가 24%, {200}의 면집적도가 21%인 것을 확인했다.
일부의 모재 강판에는 Cr 도금 전에 950℃×10sec의 열처리를 수소 분위기 중에서 실시했다.
모재 강판의 표면에 전기 도금법을 사용하여 Cr을 부착시켰다. 도금욕은 황산 크롬 용액을 사용했다. 부착시킨 Cr의 두께는 0.6㎛이며, 강판면 내에서 균일해지도록 제어했다.
Cr을 부착시킨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비산화 분위기 중에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했다. 열처리 전에, 필요에 따라 강판 표면에 부착된 Cr을 제거했다. Cr의 제거는 기계적 연마에 의해 행했다.
Figure 112009030067414-PCT00004
표4에, 각종 조건으로 제조한 강판의 합금화 비율, γFe상의 {222}면집적도, γFe상의 {200}면집적도, 및 Al 함유량을 나타냈다. 또한, 면집적도는 X선 회절로 측정하여 상기 계산 처리로 산출했다.
강판의 합금화 비율은, 다음과 같이 구했다. L단면에 있어서, L 방향 1㎜×전체 두께의 시야에서 EPMA법을 사용하여 Fe 함유량의 면 분포와, Cr 함유량의 면 분포를 측정했다.
그리고, Fe≥0.5 질량%이고, 또한 Cr≥13.2 질량%의 영역을 합금화 영역으로서, 그 면적을 구하여 합금화 면적으로 했다. 합금화 비율은 합금화 면적을 L 방향 1㎜×전체 두께의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No.34의 제9 비교예에서는 강판 표면에 두께 0.6㎛의 Cr을 부착시켰다. 냉간 압연을 생략하여 Cr을 제거하고, 그 후 1050℃×0.2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이 강판의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No.35의 제10 비교예에서는 Cr의 부착을 생략하고, 부착물없이 강판에 75%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그 후, 1050℃×0.2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 경우에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No.36의 제26 발명예에서는 950℃에서 열처리를 실시한 후에, 강판 표면에 두께 0.6㎛의 Cr을 부착시켰다. 그 후, 강판에 75%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또한, Cr을 제거한 후에, 1050℃×0.2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그 결과,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인장 시험에 의해 제26 발명예의 강판에 대해서는 높은 인성을 갖는 것을 확인했다.
No.37의 제27 발명예에서는 No.36의 발명예로부터 Cr을 부착시키기 전의 열처리를 생략했으나,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No.38의 제11 비교예에서는 Cr을 부착시키기 전에 강판에 95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계속하여 Cr을 부착시켜 그대로 75%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Cr의 제거를 생략하고, 강판 표면의 압연유를 제거한 후 400℃×0.2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했다. 이때, 강판을 재결정시키지 않았다.
그 결과, 얻어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지 않았다.
No.39 내지 41의 제28 발명예 내지 제30 발명예에서는 Cr을 부착시키기 전에, 강판에 95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계속하여 Cr을 부착시켰다. 모두 75%의 압하율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박육화했다.
Cr의 제거를 생략하고, 강판 표면의 압연유를 제거한 후, No.39에서는 1050℃×0.2min의 조건으로 No.40에서는 1100℃×0.2min의 조건으로, 또한 No.41에서는 1150℃×0.2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부착시킨 Cr은 일부가 강판과 합금화되었다. 합금화의 비율은 No.39에서 10%, No.40에서 30%, No.41에서 60%이었다.
얻어진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제어되고 있으며 Al 함유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의 실시예의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한 바 발명예의 강판에서는 평균r값이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으나, 비교예의 강판에서는 2.5미만의 결과였다.
그 결과, 발명예의 강판은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γ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γFe상의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6 실시예)
제2층으로서 Al 합금을 사용하여 제2층째의 두께를 바꾸어,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재 강판의 성분은 질량%로, Al:0.039%, C:0.0019%, Si:0.011%, Mn:0.13%, N:0.002%, Ti:0.061%, Cr:0.002% 이하,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이다.
모재 강판은 진공 용해법으로 잉곳을 용제한 후, 잉곳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제조한 두께 3.0㎜의 강판이다. 또한, 산세에 의해 강판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했다.
모재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면집적도를 산출했다. 그 결과, {222}의 면집적도가 19%, {200}의 면집적도가 17%인 것을 확인했다.
이 모재 강판에 도금 전에 780℃×10sec의 열처리를 수소 분위기 중에서 실시했다. 모재 강판의 표면에 용해 도금법으로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도금욕의 조성은 질량%로, 90%Al-10%Si이며, 강판의 양면에 부착시켰다.
도금 부착량의 제어는 도금이 응고되기 전에, 와이핑 노즐로 질소를 강판 표면에 분사시켜 불필요한 도금을 제거하고 행했다.
Al 합금을 부착시킨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0.8㎜까지 박육화했다. 그 후, 이 강판에 비산화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동시에 Al 확산을 진행시켰다.
Figure 112009030067414-PCT00005
표5에, 각종 제조 조건과, 제조한 강판의 합금화 비율, αFe상의 {222}면집적도 αFe상의 {200}면집적도 및 Al 함유량을 나타냈다. 각 면집적도는 X선 회절로 측정하여 상기 계산 처리로 산출했다.
강판의 합금화 비율은, 다음과 같이 구했다. L단면에 있어서, L 방향 1㎜×전체 두께의 시야에서, EPMA법을 사용하여 Fe 함유량의 면 분포와, Al 함유량의 면 분포를 측정했다.
그리고, Fe≥0.5 질량%이고, 또한 Al≥0.139 질량%의 영역을 합금화 영역으로서, 그 면적을 구하여 합금화 면적으로 했다. 합금화 비율은 합금화 면적을 L 방향 1㎜×전체 두께의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또한, EBSP법에 의해 별도로 강판면에 대한 {222}면의 어긋남이 0 내지 30°의 결정립, 및 강판면에 대한 {222}면의 어긋남이 0 내지 10°의 결정립에 대하여 L 단면에서 관찰하여 구한 면적 비율을 기재했다.
내버어성의 시험은 10.0㎜φ의 펀치와, 10.3㎜φ의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여 펀칭 구멍 주변의 버어 높이를 포인트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해 행했다.
No.42 내지 44의 제12 비교예 내지 제14 비교예에서는 Al 합금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생략하고, 부착물 없이 강판에 73%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그 후, 700 내지 1010℃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 경우,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 버어 높이는 51 내지 57㎛로 큰 값을 나타냈다.
No.45 내지 47의 제31 발명예 내지 제33 발명예에서는 표리 합계 5㎛ 두께의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그리고, 두께 0.8㎜까지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700 내지 1010℃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 경우,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었다. 버어의 높이는 12 내지 14㎛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
No.48 내지 57의 제34 발명예 내지 제40 발명예에서는 표리 합계 10 내지 40㎛의 Al 합금을 부착시켰다. 그리고, 0.8㎜까지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700 내지 l010℃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때, 승온 속도를 변화시켰다.
어떤 경우든,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 있었다. 버어의 높이는 5 내지 8㎛로, 현저하게 작은 값을 나타냈다.
이상의 실시예의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한 바, 발명예의 강판에서는 평균r값이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으나, 비교예의 강판에서는 2.5 미만이라는 결과였다.
그 결과, 발명예의 강판은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을 알았다.
또한, 에릭슨 시험을 행하여 압출 표면을 관찰하여 발명예의 강판은 프레스 가공성에도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 있어, 우수한 내버어성과 드로잉 가공성이 양립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7 실시예)
모재 강판의 Cr 함유량을 변경하여 제조성과 {222}면집적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재 강판은 4종류의 서로 다른 Cr 함유량의 성분계로 제조했다. Cr 함유량은 질량%로, 13.0%(성분F), 11.9%(성분G), 6.0%(성분H), 및 0.002% 이하(검출 한계 이하)(성분I)이며, 기타는 C:0.083%, Si:0.11%, Mn:0.23%, Al:0.002%, N:0.003,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로 했다.
이들 성분계로, 진공 용해에 의해 잉곳을 용제하고 잉곳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3.5㎜ 두께로 박육화했다. 계속하여, 4종류의 강판을 1.3㎜ 두께까지 냉간 압연했다.
성분F, G, H, 및 I의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면집적도를 산출했다.
{222}의 면집적도는 성분F에서 8%, 성분G에서 9%, 성분H에서 9%, 성분I에서 8%이며, {200}의 면집적도는 성분F에서 28%, 성분G에서 30%, 성분H에서 31%, 성분I에서 29%인 것을 확인했다.
전기 도금법을 사용하여, 모재 강판의 표면에 제2층으로서 Sn을 부착시켰다. 도금욕은 황산산성 용액이며, 편면당 평량이 1g/㎡이 되도록 제어하고 양면에 도금했다. 전기 도금 전에 예비 열처리는 실시하지 않았다.
제2층에 Sn을 부착시킨 채로, 각각의 강판에 4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0.78㎜의 강판으로 했다. 비교를 위해 성분 F, G, H, 및 I의 Sn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에도 4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계속하여, 진공 중에서 승온 속도 100℃/분, 1100℃×6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때, 어느 강판에 있어서도 강판 표면의 Sn은 강중으로 확산되어 모두 합금화되었다.
비교를 위해, Sn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에도 동일한 열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8종류의 강판의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를 측정했다. Sn을 부착시킨 강판의 {222}면집적도는 성분F에서 65%, 성분G에서 75%, 성분H에서 79%, 성분I에서 85%이며, {200}면집적도는 성분F에서 12%, 성분G에서 4%, 성분H에서 2.5%, 성분I에서 1.4이었다.
모두 면집적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함유하는 Cr이 질량%로, 12.0%를 하회하면 특히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Sn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의 {222}면집적도는 성분F에서 21%, 성분G에서 12%, 성분H에서 11%, 성분I에서 12이며, {200}면집적도는 성분F에서 16%, 성분G에서 17%, 성분H에서 16%, 성분I에서 16%이었다.
내버어성의 평가는 10.0㎜φ의 펀치와, 10.3㎜φ의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여 펀칭 구멍 주변의 버어 높이를 포인트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해 행했다.
Sn을 부착시킨 강판의 버어 높이는 성분F에서 9㎛, 성분G에서 7㎛, 성분H에서 6㎛, 성분I에서 5㎛이며, 어떤 강판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했다.
Sn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의 버어 높이는 성분F에서 46㎛, 성분G에서 52㎛, 성분H에서 63㎛, 성분I에서 68㎛이며, 어떤 강판에 있어서도 큰 버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들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한 바, Sn을 부착시킨 강판의 평균r값은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Sn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의 평균r값은 1.1정도였다.
이것으로부터, Sn을 부착시킨 강판이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을 알았다. 또한, 에릭슨 시험을 행하여 압출 표면을 관찰한 결과, Sn을 부착시킨 강판은 프레스 가공성도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8 실시예)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을 변경하여 제조성과 {222}면집적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모재 강판은 4종류의 서로 다른 Al 함유량의 성분계로 제조했다. Al 함유량은 질량%로, 7.5%(성분J), 6.4%(성분K), 3.4%(성분L), 및 0.002% 이하(ICP 검출 한계 이하)(성분M)이며, 기타는 C:0.083%, Si:0.11%, Mn:0.23%, Cr:0.002% 이하(ICP 분석 검출 한계 이하), N:0.003, 잔량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성분계로 했다.
이들 성분계로, 진공 용해에 의해 잉곳을 용제하고, 잉곳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2.8㎜ 두께로 박육화하는 것을 시도했다.
성분 K, L, 및 M의 잉곳은 용이하게, 강판까지 열간 압연할 수 있었으나, 성분J의 잉곳은 열간 압연 중 빈번히 파단되어 열간 압연을 계속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모재 강판의 Al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6.5% 이상이면 제조가 곤란하여, 성분J의 강판을 제조하는 것은 단념했다. 계속하여, 성분 K, L, 및 M의 강판을 1.6㎜ 두께까지 냉간 압연했다.
성분 K, L, 및 M의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면집적도를 산출했다. {222}의 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11%, 성분L에서 12%, 성분M에서 12%이며, {200}의 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8%, 성분L에서 7%, 성분M에서 8%인 것을 확인했다.
이 모재 강판에는 제2층을 형성하기 전에 750℃×10sec의 열처리를 수소 분위기 중에서 실시했다. 그 후, 용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모재 강판의 표면에 Zn 합금을 부착시켰다.
도금욕의 조성은 95%Zn-5%Fe이며, Zn 합금의 부착은 강판의 양면에 행했다. 부착량은 표리 합계 80g/㎡이 되도록 하여 표리의 부착량이 가능한 한 균등해지도록 했다.
제2층에 Zn 합금을 부착시킨 상태로 각각의 강판에 5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0.80㎜의 강판을 얻었다.
비교를 위해 성분K, L, 및 M의, Zn 합금을 부착하지 않은 강판에도 5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를 0.80㎜로 했다.
계속하여, 진공 중에서 승온 속도 10℃/분, 1100℃×60min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때, 어느 강판에 있어서도 강판 표면의 Zn 합금은 강중으로 확산되어 모두 합금화되었다.
비교를 위해 Zn 합금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에도 마찬가지의 열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8종류의 강판의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를 측정했다. Zn 합금을 부착시킨 강판의 {222}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78%, 성분L에서 85%, 성분M에서 90%, 성분I에서 85이며, {200}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1.4%, 성분L에서 0.6%, 성분M에서 0.4%이었다.
어느 면집적도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함유하는 Al이 질량%로, 3.5%를 하회하면 특히 높은 {222}면집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Zn 합금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의 {222}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36%, 성분L에서 32%, 성분M에서 25%이며, {200}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17%, 성분L에서 19%, 성분M에서 16%이었다.
내버어성의 평가는, 10.0㎜φ의 펀치와, 10.3㎜φ의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고 펀칭 구멍 주변의 버어 높이를 포인트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해 행했다.
Zn을 부착시킨 강판의 버어 높이는 성분K에서 7㎛, 성분L에서 5㎛, 성분M에서 5㎛이며, 모두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Zn 합금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의 버어 높이는 성분K에서 52㎛, 성분L에서 57㎛, 성분M에서 65㎛이며, 모두 큰 버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들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했다. Zn 합금을 부착시킨 강판의 평균r값은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Zn 합금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의 평균r값은 1.1정도이었다.
이것으로부터, Zn 합금을 부착시킨 강판은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을 알았다.
또한, 상기 강판에 대하여, 에릭슨 시험을 행하고, 압출 표면을 관찰하여 Zn 합금을 부착시킨 강판은 프레스 가공성에도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9 실시예)
제2층의 부착물로서, Mo, Cr, Ge, Si, Ti, W, 및 V 금속을 사용하여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을 제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제8 실시예에서 사용한 성분K, L, 및 M의 두께 2.8㎜의 열연판을 모재 강판으로서 사용했다. 성분 K, L, 및 M의 강판은 0.4㎜두께까지 냉간 압연했다.
성분 K, L, 및 M의 강판의 상온에서의 주상은 αFe상이었다. X선 회절로 모재 강판의 αFe상의 집합 조직을 측정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면집적도를 산출했다.
{222} 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15%, 성분L에서 17%, 성분M에서 16%이며, {200}면집적도는 성분K에서 7%, 성분L에서 6%, 성분M에서 8%인 것을 확인했다.
제2층을 부착시키기 위한 스퍼터를 행하기 전에 모재 강판에 620℃×60sec의 열처리를 Ar 분위기 중에서 실시했다. 스퍼터법을 사용하여 모재 강판의 표면에 제2층으로서, Mo, Cr, Ge, Si, Ti, W, 및 V 금속을 부착시켰다.
각각 순도 99.9% 이상의 금속 타깃재를 준비하여 편면당 두께가 1㎛로 되도록 제어하여 양면에 피막을 형성했다.
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강판에 62.5%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0.15㎜의 강판을 얻었다.
비교를 위해 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부착시키지 않은, 성분 K, L, 및 M의 강판에도 62.5%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를 0.15㎜로 했다.
계속하여, 진공 중에서 승온 속도 500℃/분, 1150℃×15sec의 조건으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켰다.
이때, 어떤 강판에 있어서도 강판 표면의 제2층 금속은 강중으로 확산되어 모두 합금화되었다. 비교를 위해 제2층 금속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에도 마찬가지의 열처리를 실시했다.
Figure 112009030067414-PCT00006
표6에 각종 제조 조건과, 제조한 강판의 합금화 비율, αFe상의 {222}면집적도, αFe상의 {200}면집적도, 및 Al 함유량을 나타냈다. 면집적도는 X선 회절로 측정하여 상기한 계산 처리로 산출했다.
강판의 합금화 비율은, 다음과 같이 구했다. L단면에 있어서, L 방향 0.5㎜×전체 두께의 시야에서 EPMA법을 사용하여 Fe 함유량의 면 분포와 Mo, Cr, Ge, Si, Ti, W, 및 V 중 부착시킨 금속 원소의 함유량의 면 분포를 측정했다.
그리고, Fe≥0.5 질량%로, 또한 Mo, Cr, Ge, Si, Ti, W, 및 V 중 부착시킨 금속 원소의 함유량≥0.1 질량%의 영역을 합금화 영역으로서, 그 면적을 구하여 합금화 면적으로 했다. 합금화 비율은 합금화 면적을 L 방향 0.5㎜×전체 두께의 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또한, EBSP법에 의해 별도로 강판면에 대한 {222}면의 어긋남이 0 내지 30°인 결정립, 및 강판면에 대한 {222}면의 어긋남이 0 내지 10°인 결정립에 대하여 L 단면의 관찰에 기초하여 산출한 면적 비율을 기재했다.
또한, 상기 강판에 대하여, 내버어성의 시험을 행했다. 10.00㎜φ의 펀치와, 10.15㎜φ의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여 펀칭 구멍 주변의 버어 높이를 포인트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했다.
No.60 내지 62의 제15 비교예 내지 제17 비교예는 제2층의 금속의 부착을 생략한 것이다. 이 경우,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버어 높이는 42 내지 63㎛로 큰 값을 나타냈다.
No.63 내지 65의 제43 발명예 내지 제45 발명예는 제2층으로서 Mo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다.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 있고, 버어 높이는 8 내지 9㎛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No.66 내지 68의 제46 발명예 내지 제48 발명예는, 제2층으로서 Cr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다.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 있으며, 버어 높이는 7 내지 8㎛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No.69 ∼ 71의 제49 발명예 내지 제51 발명예는 제2층으로서 Si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다.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 있고, 버어 높이는 7 내지 8㎛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No.72 내지 74의 제52 발명예 내지 제54 발명예는 제2층으로서 Ge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다.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 있고, 버어 높이는 8 내지 9㎛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No.75 내지 77의 제55 발명예 내지 제57 발명예는 제2층으로서 T1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다.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 있고, 버어 높이는 7 내지 8㎛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No.78 내지 80의 제58 발명예 내지 제60 발명예는 제2층으로서 W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다.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 있고, 버어 높이는 7 내지 9㎛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No.81 내지 83의 제60 발명예 내지 제63 발명예는 제2층으로서 V 금속을 부착시킨 것이다. {222}면집적도, 및 {200}면집적도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 있고, 버어 높이는 6 내지 8㎛로,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이상의 실시예의 강판에 대하여 평균r값을 측정한 바, 발명예의 강판에서는 평균r값이 2.5 이상의 높은 레벨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의 강판에서는 2.5 미만이라는 결과였다.
따라서, 발명예의 강판은 우수한 드로잉 가공성을 갖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또는 강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αFe상의 {200}면집적도가 15% 이하인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가 있으며, 우수한 내버어성과 드로잉 가공성이 양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은 펀칭 가공 시, 절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종래에 없는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 것이므로 종래의 형상으로부터 특수 형상도 포함하는 여러 형상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강판은, 예를 들어 복잡 형상의 프레스 성형이 필요한 자동차용 부품이나 가전 제품 부품 등의 외판을 비롯한 각종 구조 재료, 기능 재료 등에 유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에 있어서도, {222}면집적도를 높게, 및 / 또는 {200}면집적도를 낮게 하는 것을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새 설비를 만들지 않아도 기존 설비의 공정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본 발명의 강판)을, 용이하게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구조 재료 및 기능 재료를 이용하는 제조 산업에 있어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Claims (29)

  1.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2. 표면의 적어도 편측에 제2층이 부착되어 있는,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3. 표면의 적어도 편측에 제2층이 형성되고, 제2층과 강판이 일부에서 합금화되어 있는,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 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4. 표면의 적어도 편측에 부착된 제2층이 강판과 합금화되어 있는,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이며,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Fe, Al,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두께가 5㎛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두께가 0.01㎛ 이상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9.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으로부터 제2층을 제거하는 공정, 및
    (d) 제2층을 제거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0.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고,
    (d) 재결정 후의 강판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1.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의 일부를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고,
    (d) 합금화, 재결정 후의 강판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2.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을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고,
    (d) 강판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 가 60% 이상 99%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22}면집적도가 60% 이상 95% 이하, 및
    (2) 강판면에 대한 αFe상 및 γFe상 중 한 쪽 또는 양 쪽의 {200}면집적도가 0.01% 이상 15% 이하 중 한 쪽 또는 양 쪽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층이 Fe, Al,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6.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으로부터 제2층을 제거하는 공정, 및
    (d) 제2층을 제거한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7.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8.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의 일부를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19. (a) 모재로서의 Al 함유량이 6.5 질량% 미만인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제2층으로서 Fe, Co, Cu, Cr, Ga, Hf, Hg, In, Mn, Mo, Nb, Ni, Pb, Pd, Pt, Sb, Si, Sn, Ta, Ti, V, W, Zn, 및 Zr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부착시키는 공정,
    (b) 제2층이 부착된 강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및
    (c) 냉간 압연 후의 강판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2층을 합금화하는 동시에, 강판을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0.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로서의 강판의 두께가, 10㎛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1.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두께가 0.05㎛ 이상 1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2.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을 부착시키기 전에 강판에 예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열처리의 온도가 700 내지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열처리의 분위기가 진공 중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 및 수소 분위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5.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이 도금법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6.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 제2층을 부착시키는 공정이 압연 클래드법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7.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압하율이 30%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8.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가 600℃ 이상 1000℃ 이하이며, 또한 열처리 시간이 30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29.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가 100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97010275A 2006-11-21 2007-11-21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2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4240 2006-11-21
JPJP-P-2006-314240 2006-11-21
PCT/JP2007/072997 WO2008062901A1 (fr) 2006-11-21 2007-11-21 Tôle d'acier ayant un degré de compaction du plan {222} élevé et procédé pour la production de celle-c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832A true KR20090078832A (ko) 2009-07-20
KR101142570B1 KR101142570B1 (ko) 2012-05-03

Family

ID=3942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275A KR101142570B1 (ko) 2006-11-21 2007-11-21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280350A1 (ko)
EP (1) EP2123785A4 (ko)
JP (1) JP5365194B2 (ko)
KR (1) KR101142570B1 (ko)
CN (1) CN101541993B (ko)
BR (1) BRPI0719104A2 (ko)
RU (1) RU2428489C2 (ko)
WO (1) WO2008062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2985B2 (ja) * 2004-10-21 2012-10-31 新日鉄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Al含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7412B2 (ja) * 2008-04-16 2012-09-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板
JP5186989B2 (ja) * 2008-04-21 2013-04-2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コア用軟磁性鋼板及びコア用部材
JP5136196B2 (ja) * 2008-05-14 2013-02-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制振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228187B (zh) * 2009-10-28 2016-10-26 新日铁住金株式会社 Fe 系金属板及其制造方法
JP5648335B2 (ja) * 2010-06-17 2015-01-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部分的に結晶方位が制御されたFe系金属板
PL2703514T3 (pl) * 2011-04-27 2017-09-2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Oparta na Fe blacha metalowa i sposób jej wytwarzania
WO2013047819A1 (ja) * 2011-09-30 2013-04-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引張最大強度980MPa以上を有する材質異方性の少ない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004905A1 (de) * 2012-03-23 2013-09-26 Salzgitter Flachstahl Gmbh Zunderarmer Vergütungsstah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underarmen Bauteils aus diesem Stahl
JP6176040B2 (ja) * 2012-10-05 2017-08-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Cr添加高耐食性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03301B2 (ja) * 2013-06-26 2018-04-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Fe系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52610B (zh) * 2013-12-25 2016-03-23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改善汽车外板用钢表面质量的2250热连轧生产方法
EP3130688B1 (en) * 2014-04-08 2021-02-17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steel foil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2925A (ko) * 1960-12-29
JPH0674460B2 (ja) * 1985-06-26 1994-09-21 日新製鋼株式会社 電磁鋼板の製造法
JPH068486B2 (ja) * 1989-03-27 1994-02-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製造性に優れた耐熱、耐酸化性Fe―Cr―A▲l▼系合金
JP2796732B2 (ja) * 1989-06-13 1998-09-10 日新製鋼株式会社 高A▲l▼含有フエ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またはその成形品の製造法
JPH03277739A (ja) 1990-03-28 1991-12-09 Nippon Steel Corp プレス成形時の耐バリ性の優れた高r値複合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94692B2 (ja) * 1990-07-12 1995-10-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造形性冷延鋼板の製造方法
WO1992014854A1 (en) * 1991-02-20 1992-09-03 Nippon Steel Corporation Cold-rolled steel sheet and galvanized cold-rolled steel sheet which are excellent in formability and baking hardenability, and production thereof
JP2948416B2 (ja) 1992-06-22 1999-09-13 川崎製鉄株式会社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3336079B2 (ja) * 1993-07-14 2002-10-21 川崎製鉄株式会社 深絞り性及び化成処理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83415B2 (ja) 1994-06-30 2003-03-04 川崎製鉄株式会社 超深絞り性を有するほうろう用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98582B2 (ja) 1995-01-10 2000-01-1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深絞り性、打ち抜き加工性に優れた冷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3339615B2 (ja) 1996-07-02 2002-10-28 川崎製鉄株式会社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1150211A (ja) * 1997-08-05 1999-02-23 Kawasaki Steel Corp 深絞り加工性に優れる厚物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46286B2 (ja) * 1997-09-03 2004-07-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良成形性冷延鋼板用の熱延母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良成形性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11350072A (ja) 1998-06-04 1999-12-21 Kobe Steel Ltd 加工性および耐肌荒れ性に優れた極低炭素冷延鋼板
DE60105955T2 (de) * 2000-12-25 2005-10-06 Nisshin Steel Co., Ltd. Ferritisches rostfreies Stahlblech mit einer guten Verarbeitbarkei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1294977A (ja) * 2001-03-16 2001-10-26 Kawasaki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2003277886A (ja) * 2002-03-22 2003-10-02 Toyo Kohan Co Ltd 絞りしごき缶用樹脂被覆鋼板、絞りしごき缶用樹脂被覆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作製した絞りしごき缶
EP2048258A1 (en) * 2002-11-20 2009-04-15 Nippon Steel Corporation Honeycomb bodies employing high Al stainless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5062985B2 (ja) * 2004-10-21 2012-10-31 新日鉄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Al含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5194B2 (ja) 2013-12-11
BRPI0719104A2 (pt) 2014-07-08
JPWO2008062901A1 (ja) 2010-03-04
KR101142570B1 (ko) 2012-05-03
EP2123785A1 (en) 2009-11-25
CN101541993A (zh) 2009-09-23
EP2123785A4 (en) 2013-07-24
RU2428489C2 (ru) 2011-09-10
RU2009123511A (ru) 2010-12-27
US20090280350A1 (en) 2009-11-12
CN101541993B (zh) 2012-12-26
WO2008062901A1 (fr)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570B1 (ko) 높은 {222}면집적도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TWI597370B (zh) Hot-stamping steel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hot-stamping formed body
TWI481729B (zh) A hot-pressed steel shee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hot-pressed steel sheet member
EP2730666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ld-rolled steel sheet
CN107849652B (zh) 加工诱发相变型复合组织钢板及其制造方法
KR102428588B1 (ko) 알루미늄계 도금 강판, 알루미늄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용 부품의 제조 방법
KR20190034600A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728580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KR102026228B1 (ko)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용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냉연 강판
CN110268088B (zh) 高强度热镀锌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JP2021508771A (ja) 加工後耐食性に優れた亜鉛合金めっき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42534A1 (ja) ホットスタンプ用合金化Alめっき鋼板およびホットスタンプ部材
JP2810245B2 (ja) プレス成形性および燐酸塩処理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55299B (zh) High-strength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20618B2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457673B2 (ja) 耐二次加工脆性および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高成形性燃料タンク用めっき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8583B2 (ja) 化成処理性に優れた高加工性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981467A (zh) 热冲压成型体
JP7302756B1 (ja) 熱間プレス用鋼板、その製造方法、熱間プレス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46499B2 (ja)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13142B1 (ja) Al系めっき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4457674B2 (ja) 耐二次加工脆性および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高成形性燃料タンク用めっき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32350A1 (ja) ホットスタンプ用鋼板、ホットスタンプ用鋼板の製造方法、及び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
KR20230104213A (ko) 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