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985A - 회전댐퍼 - Google Patents

회전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985A
KR20090076985A KR1020097010587A KR20097010587A KR20090076985A KR 20090076985 A KR20090076985 A KR 20090076985A KR 1020097010587 A KR1020097010587 A KR 1020097010587A KR 20097010587 A KR20097010587 A KR 20097010587A KR 20090076985 A KR20090076985 A KR 2009007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cap
rotary damp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667B1 (ko
Inventor
케이지 야마구치
나오토 진보
시게미츠 토미타
šœ스케 오카바야시
아야코 키타카와
분킨 토우
유키 히라노
카즈요시 코이즈미
요시히사 타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7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로터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공기를 일정 개소에 정류 포획해 둠으로써 발생 토크로의 영향을 적게 하여, 토크의 변화를 가급적 적게 할 수 있는 회전댐퍼를 제공한다. 하우징(11, 51)과, 이 하우징(11, 51) 내에 수용된 실리콘 오일(21)과, 하우징(11, 51) 내에 넣어져, 하우징(11, 51)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32)에 하우징(11, 51) 내의 실리콘 오일(21) 안을 이동하는 저항부(36)가 설치된 로터(31)와, 축부(32)와 하우징(51) 사이에서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링(61)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댐퍼(D)에 있어서, 저항부(36)와 대향하는 하우징(51)의 내면에 원주홈(54)을 설치한다.
회전댐퍼, 케이스, 실리콘 오일, 로터, 캡, ○링, 피구동 치차, 토크

Description

회전댐퍼{ROTATION DAMP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치차나 래크(rack)와 맞물리는 피구동(被驅動) 치차(齒車)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댐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회전댐퍼는, 하우징(housing)과, 이 하우징 내(內)에 수용된 점성유체와, 하우징 내에 넣어져,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軸部)에 하우징내의 점성유체 안을 이동하는 저항부가 설치된 로터와, 이 로터의 축부와 하우징 사이에서 점성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씰(seal)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에는, 피구동 치차가 설치된다(예를 들면, 일본 특공평4-34015호 공보).
[발명의 개시]
종래의 회전댐퍼는,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混入)된 공기를, 토크(torque) 발생부분인 로터의 저항부와 하우징 내의 저면(底面) 또는 천정면 사이에 위치시키지 않도록, 저항부의 형상을 대략 소판형(小判形)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로터는 쌍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가 저항부를 넘어 저항부의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에 이음(異音)이 발생한다.
이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가 저항부를 넘어갈 때에 발생하는 이음은,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가 저항부로 올라앉음으로써 압축된 후, 저항부를 넘어갈 때에, 급격히 개방되는 것에 기인하는 파열음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이음은, 점성유체의 점도가 높을 수록 발생하기 쉽고, 또한, 로터와 하우징의 간격이 좁을수록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하우징 내의 공기의 위치가 정해지지 않으면, 안정된 토크를 얻지 못하고, 발생 토크에 변화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로터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공기를 일정 개소(個所)에 정류(停留) 포획(捕獲)해 둠으로써 발생 토크로의 영향을 적게 하여, 토크의 변화를 가급적으로 적게 할 수 있는 회전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발명이다.
(1)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점성유체와, 상기 하우징 내에 넣어져,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출력부에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점성유체 안을 이동하는 저항부가 설치된 로터로 이루어지는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상기 저항부에 공기 정류부(停留部)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공기 정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류부는 원주(圓周)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할 공기 정류부로 구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분할 공기 정류부끼리를 공기 이동용 통로로 연통(連通)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1) 또는 (2)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를 상기 저항부와 대향(對向)하지 않는 곳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1) 또는 (2)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와 상기 저항부 사이를 칸막이하는 스페이서(space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1) 또는 (2)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를, 상기 저항부의 회전 최외주(最外周) 부분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3)에 기재된 회전댐퍼에서, 상기 저항부의 복수의 분할 공기 정류부는 관통공(貫通孔)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연통시키는 상기 공기 이동용 통로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오목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7)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동심원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관통공에 대응시켜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원주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면 또는 저항부에 공기 정류부를 설치했으므로, 이 공기 정류부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공기 정류부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공기 정류부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일정 개소(個所)에 포획해 둠으로써 발생 토크로의 영향을 적게 하여, 토크의 변화를 가급적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하우징의 내면에 공기 정류부를 설치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공기 정류부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류부를, 원주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할 공기 정류부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공기 정류부끼리를 공기 이동용 통로로 연통시켰으므로, 한쪽의 분할 공기 정류부로부터 다른쪽의 분할 공기 정류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이동용 통로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분할 공기 정류부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한쪽의 분할 공기 정류부로부터 다른쪽의 분할 공기 정류부로 공기 이동용 통로를 통해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를 저항부와 대향하지 않는 곳에 설치했으므로, 저항부에서 발생하는 토크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와 저항부 사이를 칸막이하는 스페이서를 설치했으므로, 공기 정류부의 공기와 저항부를 스페이서로 칸막이함으로써,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점성유체를 수용한 회전댐퍼에서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발생 토크도 커지게 됨으로, 저항부의 회전 최외주 부분 근방에서 주(主) 토크를 발생시키게 되기 때문에, 공기 정류부를, 저항부의 회전 최외주 부분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발생 토크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저항부의 복수의 분할 공기 정류부를 관통공으로 하여, 이 관통공을 연통시키는 공기 이동용 통로를 하우징에 설치한 오목홈으로 했으므로, 한쪽의 관통공으로부터 다른쪽의 관통공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목홈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관통공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한쪽의 관통공으로부터 다른쪽의 관통공으로 오목홈을 통해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공을 동심원형상으로 설치하고, 오목홈을 관통공에 대응시켜 하우징에 설치한 원주홈으로 했으므로, 한쪽의 관통공으로부터 다른쪽의 관통공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더 압축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케이스의 좌측 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로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로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로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캡의 좌측 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회전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회전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다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케이스의 좌측 반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로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로터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로터의 저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캡의 좌측 반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회전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D는 회전댐퍼를 나타내며, 합성수지제의 케이스(11)와, 이 케이스(11) 내에 수용된 점성유체로서의 실리콘 오일(21)(도 8 또는 도 9 참조)과, 케 이스(11) 내에 넣어져, 케이스(11)로부터 외부로 일부가 돌출하는 출력부로서의 축부(32)에 케이스(11) 내의 실리콘 오일(21) 안을 이동하는 저항부(36)가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로터(31)와, 이 로터(31)의 축부(32)가 관통하는 관통공(52)이 설치되어, 케이스(11)의 개구(開口)를 폐색(閉塞)하는 합성수지제의 캡(51)과, 이 캡(51)과 로터(31)의 축부(32) 사이에서 실리콘 오일(21)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씰 부재로서의 ○링(61)과, 캡(51)으로부터 돌출하는 로터(31)의 축부(32)에 장착된 합성수지제의 피구동 치차(71)(도 9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은, 케이스(11)와, 캡(5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스(11)는, 평면형상이 원형의 저부(低部, 13)의 외연(外緣)에 주회(周回)시켜 원통벽부(14)가 설치된 케이스 본체(12)와, 저부(13)의 내측 저면의 중심에 설치된 원주형상의 축지부(軸支部, 16)와, 케이스 본체(12)의 외주(外周)에, 예를 들면, 180도의 간격으로 방사(放射)방향으로 설치되어, 부착공(取付孔, 18)을 구비한 부착 플랜지(flange, 1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벽부(14)의 상측에는, 원통벽부(14)의 내주면(內周面)을 연장한 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주회한 박육(薄肉) 돌출 원통부분(14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외측 원통벽부(14)와의 경계부분에는, 도 2,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51)의 외주부분을 용착(溶着)하기 때문에, 저부(13)측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확개(擴開)하여 주회하는 확개 경사부분(14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15는 케이스 본체(12) 내에 형성된 수용부를 나타내는, 실리콘 오 일(21)(도 8 또는 도 9 참조)을 수용하는 부분이며,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하측 및 원통벽부(14), 또는, 원통벽부(14)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상기한 로터(31)는, 도 1, 도 3~도 6,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형상의 축부(32)와, 이 축부(32)에 연설(連設)된 평면시 원형으로 보아 한 평판상의 저항부(3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32)에는, 저면에 케이스(11)의 축지부(1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오목부(33)(도 5 또는 도 6 참조)가 설치되고, 캡(51)(도 9 참조)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단부(段部, 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부(34)로부터 상측의 축부(32)의 부분은, 하측의 축부(32)와 동심(同心)의 사각기둥(32a)의 상측에, 하측의 축부(32)와 동심으로, 사각기둥(32a)의 주면으로 이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사각뿔대(32b)를 연설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저항부(36)의 상측부분에는, 축부(3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주회홈(周回溝, 37)이 공기 이동용 통로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주회홈(3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51)에 주회하는 원주홈(54)(도 9 참조)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 정류부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캡(51)에는, 도 1,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에, 로터(31)의 축부(32)가 관통하는 관통공(52)이 설치되고, 이 관통공(52)의 하측에, 하단(下端)까지 이르도록 원통형상으로 파내어진, ○링(61)을 수용하는 확경단부(擴徑段部, 53)가 설치되며, 하측의 확경단부(53)의 외측에, 축부(3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주회홈(37)에 대응시켜 주회홈(37)보다도 폭이 넓은 원주 홈(54)이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고, 또한, 하측의 외연에, 케이스 본체(12)의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이 끼워맞춰지는 주회한 끼움오목홈(5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피구동 치차(71)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31)의 축부(32)의 상측이 관통하는 사각형의 구멍(72a)의 상측에, 이 구멍(72a)과 동심의 확경단부(72b)가 연설된 부착공(72)이 중심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댐퍼(D)의 조립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31)의 축부(32)의 상측을 ○링(61)에 끼우고, 수용부(15) 내에 적량의 실리콘 오일(21)을 주입하여, 오목부(33) 내로 케이스(11)의 축지부(16)를 끼워맞추도록, 수용부(15) 내로 축부(32)의 하측 및 저항부(36)을 수용한다.
또한, 오목부(33) 및 저항부(36)의 하측(하면)부분에 실리콘 오일(21)을 도포한 후, 수용부(15) 내로 적량의 실리콘 오일(21)을 주입하여, 오목부(33) 내로 케이스(11)의 축지부(16)를 끼워맞추도록, 수용부(15)내로 축부(32)의 하측 및 저항부(36)를 수용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로터(31)의 오목부(33) 내에 공기가 정류하지 않게 되므로,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공기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52)내로 축부(32)를 삽입하면서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을 캡(51)의 끼움오목홈(55) 내에 끼워맞춰, 케이스(11)의 개구를 캡(51)으로 폐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11)의 개구를 캡(51)으로 폐색하면, ○링(61)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실리콘 오일(21)이 캡(51)의 내면에서 압압(押壓)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서서히 이동하기 때문에, 수용부(15) 내의 공기가 실리콘 오일(21)에 의해 캡(51)과 케이스(11)의 개구 사이에서 밀려나와,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공기가 적어진 상태에서, 캡(51)의 끼움오목홈(55)을 형성하는 외주연(外周緣)의 원통부분이 확개 경사부분(14b)에 맞닿아,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과 끼움오목홈(55)의 바닥은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캡(51)을 케이스 본체(12)측으로 소정의 압압력으로 눌러 끼움오목홈(55)을 형성하는 외주연의 원통부분과 확개 경사부분(14b)을, 예를 들면, 고주파 용착으로 주회하도록 용착시키면서 밀폐하여, 끼움오목홈(55)의 바닥을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에 맞닿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하면,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 내의 공기는 거의 케이스(11) 밖으로 배출되어,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과 캡(51)은 밀착하는 동시에, 확경단부(53) 내에 ○링(61)이 수용되어, ○링(61)이 축부(32)와 캡(51) 사이에서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캡(51)으로부터 돌출한 축부(32)를 피구동 치차(71)의 부착공(72) 내로 끼워맞춘 후, 사각뿔대(32b)의 상측부분을 가열, 변형시켜 확경단부(72b) 내로 퍼지게 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댐퍼(D)의 조립이 종료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원주홈(54)을 설치했으므로, 이 원주홈(54)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원주홈(54)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원주홈(54)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원주홈(5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원주홈(54)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주홈(54)에 대향하는 주회홈(37)을 저항부(36)에 설치했으므로, 이 주회홈(37)에도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소기(所期)의 공기량보다도 많은 공기가 혼입한 경우에도,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원주홈(54) 및 주회홈(37)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도 9와 동일 또는 상당(相當)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저부(13)의 내측 저면에는, 축지부(16)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원주홈(13a)이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저부(13)의 내면에 원주홈(13a)을 설치하고,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원주홈(54)을 설치했으므로, 이 원주홈(13a, 54)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원주홈(13a, 54)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원주홈(13a, 54)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원주홈(5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원주홈(54)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저부(13)의 내면에 원주홈(13a)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원주홈(13a)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원주홈(13a, 54)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 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도 10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캡(51)에는, 하측의 확경단부(53)의 외측으로, 끼움오목홈(55)의 내측에, 관통공(5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이 공기 정류부를 구성하는 분할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을 설치했으므로, 이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분할 원호형상 홈(54A)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회홈(37)을 저항부(36)에 설치했으므로, 이 주회홈(37)에도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소기의 공기량보다도 많은 공기가 혼입한 경우에도,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대향하는 주회홈(37)을 저항부(36)에 설치했으므로, 한쪽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으로부터 다른쪽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주회홈(37)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정류되지 않은 상태로 한쪽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으로부터 다른쪽의 분할 원통형상 홈(54A)으로 주회홈(37)을 통해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도 11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서, 캡(51)에는, 하측의 확경단부(53)의 외측으로, 끼움오목홈(55)의 내측에, 관통공(52)의 중심을 중심으로한 동심원 상에,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과, 이 분할 원호형상 홈(54A)과 동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끼리를 연통하는 공기 이동용 통로(5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 이동용 통로(54B)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과 같은 깊이로 분할 원호형상 홈(54A)보다도 폭을 좁게하고 있지만, 분할 원호형상 홈(54A)과 같은 폭으로 분할 원호형상 홈(54A)보다도 얕게 해도 좋다.
그리고,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원주 상에 위치하는 3개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을 설치했으므로, 이 3개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공기 이동용 통로(54B)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분할 원호형상 홈(54A)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 및 공기 이동용 통로(54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복수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확실하게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끼리를 공기 이동용 통로(54B)로 연통시켰으므로, 한쪽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으로부터 다른쪽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공기 이동용 통로(54B)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분할 원호형상 홈(54A)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한쪽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으로부터 다른쪽의 분할 원호형상 홈(54A)으로 공기 이동용 통로(54B)를 통해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 및 공기 이동용 통로(54B)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도 12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서, 원통벽부(14)의 내면에, 원주홈(14c)이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원통벽부(14)의 내면에 원주홈(14c)을 설치했으므로, 이 원주홈(14c)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원주홈(14c)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원주홈(14c)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와 캡(51)을 좌우로 하여 회전댐퍼(D)를 종(縱)방향으로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벽부(14)의 내면에 원주홈(14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원주홈(14c)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원주홈(14c)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도 13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서, 저부(13)의 내측 저면에는, 축지부(16)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동심원 상에 원주홈(13a)이 공기 정류부로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캡(51)에는, 하측의 확경단부(53)의 외측으로, 끼움오목홈(55)의 내측에, 관통공(5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동심원 상에 원주홈(54)이 공기 정류부로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저부(13)의 내면에 원주홈(13a)을 설치하고,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원주홈(54)을 설치했으므로, 이 원주홈(13a, 54)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원주홈(13a, 54)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원주홈(13a, 54)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원주홈(13a, 54)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원주홈(13a, 54)을 복수로 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소기의 공기량보다도 많은 공기가 혼입한 경우에도,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원주홈(5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원주홈(54)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저부(13)의 내면에 원주홈(13a)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원주홈(13a)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도 14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서, 저부(13), 원통벽부(14) 및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 연질재(軟質材, 19)가 공기 정류부로서 이색(二色)성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저부(13) 및 원통벽부(14)의 내면에 발포 연질재(19)를 설치하고,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발포 연질재(19)를 설치했으므로, 이 발포 연질재(19)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발포 연질재(19) 내의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으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발포 연질재(19)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발포 연질재(1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발포 연질재(19)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저부(13)의 내면에 발포 연질재(1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발포 연질재(19)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와 캡(51)을 좌우로 하여 회전댐퍼(D)를 종방향으로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벽부(14)의 내면에 발포 연질재(1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발포 연질재(19)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5에서, 발포 연질재(19)는, 저부(13), 원통벽부(14) 및 캡(51)의 내면 모두에 장착되어 있지만, 저부(13), 원통벽부(14), 캡(51) 중 어느 1개소 또는 2개소에 장착해도 좋고, 또한, 발포 연질재(19)의 부착방법은 이색성형에 한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한 부착이나, 저부(13), 원통벽부(14), 캡(51)에 대하여 끼워맞춤에 의한 부착이어도 좋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도 15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에서, 원통벽부(14) 및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내면의, 예를 들면, 중심각을 4등분으로 나눈 위치에, 원통벽부(14) 및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축방향으로 뻗는 홈(14d)이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원통벽부(14)의 내면, 및, 원통벽부(14)로 이어지는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내면에 홈(14d)을 설치했으므로, 이 홈(14d)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홈(14d)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홈(14d)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와 캡(51)을 좌우로 하여 회전댐퍼(D)를 종방향으로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벽부(14) 및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내면에 홈(14d)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홈(14d)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홈(14d)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도 16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서, 캡(51)에는, 하측의 확경단부(53)의 외측으로, 끼움오목홈(55)의 내측에, 관통공(5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원주홈(54)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원주홈(54)을, 예를 들면, 원주방향으로 같은 길이로 분할하여, 원주홈(54)에 연통하는 4개의 방사홈(放射溝, 54C)이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주홈(54)은, 공기 이동용 통로로서도 기능한다.
59는 저항부(36)와 캡(51)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축부(32)가 삽통(揷通)되는 관통공(59a)이 중심에 설치되는 동시에, 이 관통공(59a)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홈(54)과 동심원 상에, 예를 들면, 등간격(等間隔)으로 원주홈(54)의 폭을 직경으로 한 4개의 공기 유도공(誘導孔, 59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조립방법이 제1 실시예의 조립방법과 다른 점은, 예를 들면, 캡(51)을 케이스(11)에 장착하여 케이스(11)의 개구를 폐색하기 전에, 예를 들면, 양면에 실리콘 오일(21)을 도포한 스페이서(59)의 관통공(59a)에 축부(32)를 삽통하여, 저항부(36)의 상측에 스페이서(59)를 위치시키는 점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조립방법의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외측에 원주홈(54) 및 방사홈(54C)을 설치했으므로, 이 원주홈(54) 및 방사홈(54C)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스페이서(59)의 공기 유도공(59b)을 통해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원주홈(54) 및 방사홈(54C) 내의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원주홈(54)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원주홈(54) 및 방사홈(54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원주홈(54) 및 방사홈(54C)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공기 유도홈(59b)을 통해 원주홈(54), 방사홈(54C)에 정류시킬 수 있고, 공기는 스페이서(59)에 의해 저항부(36)와의 사이가 칸막이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도 18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서, 캡(51)의 끼움오목홈(55)의 상부에, 공기 정류부로서의 주회오목부(周回凹部, 55A)가 수용부(15)에 연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은, 반경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해, 즉, 주회오목부(55A)로 향해 원추형상 경사면에서 상승하고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외측에 주회오목부(55A)를 설치했으므로, 이 주회오목부(55A)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주회오목부(55A) 내의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으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의 내면을 주회오목부(55A)를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주회오목부(55A)로 안내하여 확실히 주회오목부(55A)에 정류시킬 수 있다.
또한,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주회오목부(55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주회오목부(55A)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 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저항부(36)의 상, 하면 또는 측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떨어진 주회오목부(55A)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회오목부(55A)를 저항부(36)와 대향하지 않는 곳에 설치했으므로, 저항부(36)에서 발생하는 토크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며, 도 1~도 19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서, 부착 플랜지(17)에는, 수용부(15)에 연통하는 오목부(17a)가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어, 이 오목부(17a) 내에 중공(中空)의 부착 보스(boss, 18A)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부착공(18)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캡(51)에는, 오목부(17a)에 끼워맞춰지는 돌출단부(突出段部, 56a)를 갖는 부착 플랜지(56)를 부착 플랜지(17)에 대응시켜 설치하고, 이 부착 플랜지(56)에 부착 보스(18A)(부착공 (18))에 연통하는 부착공(57)이 설치되는 동시에, 하면(下面)의 부착공(57)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부착 보스(18A)가 끼워맞춰지는 끼움오목부(57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조립방법이 제1 실시예의 조립방법과 다른 점은, 캡(51)을 케이스(11)에 부착하여 케이스(11)의 개구를 폐색한 후, 부착 플랜지(17, 56)의 외주를 포함하는 케이스(11)의 전(全) 외주와 캡(51)의 전 외주를 고주파 용착으로 용착하는 점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조립방법의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부착 플랜지(17)에 오목부(17a)를 설치했으므로, 이 오목부(17a)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오목부(17a) 내의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으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오목부(17a)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와 캡(51)을 좌우로 하는 동시에, 부착 플랜지(17, 56)를 상하로 하여 회전댐퍼(D)를 종방향으로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부착 플랜지(17)에 오목부(17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오목부(17a)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도 20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1에서, 저부(13)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I컷트형상의 돌출부(13A)를, 축지부(16)를 통하는 직경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이 돌출부(13A)의 양측에 공기 정류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13B)가 설치되며, 돌출부(13A)에 오목부(13B)끼리를 연통시키는, 축지부(16)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위치하는 원호형상의 공기 이동용 통로(1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1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저부(13)에 오목부(13B)를 설치했으므로, 이 오목부(13B)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오목부(13B) 내의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으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 는 저부(13)의 내면에 오목부(13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오목부(13B)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오목부(13B)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3B)끼리를 공기 이동용 통로(13b)로 연통시켰으므로, 한쪽의 오목부(13B)로부터 다른쪽의 오목부(13B)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공기 이동용 통로(13b)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오목부(13B)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한쪽의 오목부(13B)로부터 다른쪽의 오목부(13B)로 공기 이동용 통로(13b)를 통해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 도 21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에서, 캡(51)에는, 하측의 확경단부(53)의 외측으로, 끼움오목홈(55)의 내측에, 관통공(5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동심원 상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의 오목부(54D)가 공기 정류부로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內周)의 오목부(54D)는, 외주의 오목부(54D)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내면에 복수의 오목부(54D)를 설치했으므로, 이 복수의 오목부(54D)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오목부(54D)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오목부(54D)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오목부(54D)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복수의 오목부(54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복수의 오목부(54D)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오목부(54D)는, 캡(51)을 합성수지의 사출성형(射出成形) 으로 성형할 경우에,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밀어낼 때 원통형상의 돌출핀의 형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인 회전댐퍼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도 22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3에서, 캡(51)에는, 하측의 확경단부(53)의 외측으로부터 끼움오목홈(55)의 내측에, 관통공(5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는, 예를 들면, 원주를 4분할하는 위치에 4개의 방사홈(54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D)의 조립방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외측에 방사홈(54C)을 설치했으므로, 이 방사홈(54C)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정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방사홈(54C) 내의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방사홈(54C) 내를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공기는 방사홈(54C)의 밖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토크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캡(51)측을 위로 하여 회전댐퍼(D)를 장착하면, 상측에 위치하는 캡(51)의 내면에 방사홈(54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방사홈(54C)에 확실히 정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분해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회전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이며, 도 1~도 23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에서, 로터(31)의 저항부(36)에는, 축부(3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원호형상 관통공(37A)이 공기 정류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관통공(37A)의 폭보다도 원주홈(13a, 54)의 폭이 넓고, 또한, 원주홈(13a, 54)의 내측에 원호형상 관통공(37A)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원주홈(13a, 54)(오목홈)은, 공기 이동용 통로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예의 조립방법이 제1 실시예의 조립방법과 다른 점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3) 내에 케이스(11)의 축지부(16)를 끼워맞추도록, 수용부(15) 내로 축부(32)의 일부 및 저항부(36)를 수용하면, 저항부(36)에서 밀려나와 원호형상 관통공(37A)으로부터 부상(浮上)하는 실리콘 오일(21)은, 원호형상 관통공(37A)의 내주와 ○링(61)의 거리(a)가 원호형상 관통공(37A)의 외주와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거리(b)보다도 가까우므로, ○링(61)과 저항부(36) 및 축부(32) 사이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들어가기 때문에, ○링(61)이 저항부(36) 및 축부(32)에 붙는 것을 방지하고,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으로부터 외측으로 넘치지 않게 되는 점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의 조립방법의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저항부(36)에 복수의 원호형상 관통공(37A)을 설치하여, 이 원호형상 관통공(37A)을 연통시키는 원주홈(13a, 54)을 하우징에 설치했으므로, 한쪽의 원호형상 관통공(37A)으로부터 다른쪽의 원호형상 관통공(37A)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원주홈(13a, 54)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원호형상 관통공(37A)에 정류한 공기는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한쪽의 원호형상 관통공(37A)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공(37A)으로 원주홈(13a, 54)을 통해 이동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원호형상 관통공(37A)의 내주와 ○링(61)의 거리(a)를, 원호형상 관통공(37A)의 외주와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거리(b)보다도 가깝게 했으므로, 조립시에 ○링(61)과 저항부(36) 및 축부(32) 사이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실리콘 오일(21)이 들어감으로써, ○링(61)이 저항부(36) 및 축부(32)에 붙는 것을 방지하고,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으로부터 외측으로 실리콘 오일(21)이 넘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리콘 오일(21)이 ○링(61)과 저항부(36) 및 축부(32) 사이에 들어가, ○링(61)이 저항부(36) 및 축부(32)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회전댐퍼(D)의 초기 토크의 증가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으로부터 외측으로 실리콘 오일(21)이 넘치지 않게 됨으로써, 캡(51)을 케이스(11)에 확실히 용착하여 하우징의 외주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 돌출 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톱퍼로서 기능시켰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주회홈(37)을 설치하지 않아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주회홈(37)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거나, 또 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과 같이 분할 원호형상 홈을 저부(13)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과 같은 분할 원호형상 홈을 저부(13)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 공기 이동용 통로(54B)와 같은 분할 원호형상 홈, 공기 이동용 통로를 저부(13)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분할 원호형상 홈(54A), 공기 이동용 통로(54B)와 같이 분할 원호형상 홈, 공기 이동용 통로를 저부(13)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는, 원주홈(14c)을 복수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정류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원주홈(14c)을 복수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정류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분할 정류부끼리를 연통시키는 공기 이동용 통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예에서는, 저부(13), 원통벽부(14) 및 캡(51)의, 저항부(36)와 대향하는 것 중 적어도 1개에 발포 연질재(1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8 실시예에서는, 홈(14d)을 연통시키는 공기 이동용 통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의 공기 정류부를 조합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5 실시예에서는, 원호형상 관통공(37A)을 대신하여 오목부, 오목 홈, 주회홈, 원주홈을 저항부(36)에 설치하거나, 원주홈(13a) 및/또는 원주홈(54)을 설치하지 않아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에 축지부(16)를 설치하고, 축부(32)에 오목부(33)를 설치하여 로터(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케이스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축부에 축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축부(32)에 저항부(36)를 일체성형(一體成形)한 예를 나타냈지만, 축부와 저항부를 따로따로 성형하여, 예를 들면, 각축(角軸)과 각공(角孔)의 관계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점성유체로서 실리콘 오일(21)을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점성유체, 예를 들면, 그리스(greas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는 하우징으로부터 축부(32)가 돌출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축부(32A)(출력부)의 노출부분에, 피구동 치차가 설치되어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한 결합부(32c)를 설치한 구성의 회전댐퍼(D)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는 축부(32)와 하우징 사이에서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링(61)을 설치한 예로 설명했지만,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벽부(14)의 내주에 주회하는 회전 가이드홈(14e)을 설치하고, 이 회전 가이드홈(14e)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결합돌조(58)를 캡(51)의 외주에 주회시켜 설치함으로써, ○링(씰 부재)을 사용하지 않아도 케이스(11)와 캡(51) 사이에서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의 회전댐퍼(D)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댐퍼는, 회전체(回轉體)의 회동을 제동하는 것으로서, 또는, 직선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을 제동하는 것으로서 각종의 기구에 사용하며,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점성유체와,
    상기 하우징 내에 넣어져,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는 출력부에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점성유체 안을 이동하는 저항부가 설치된 로터로 이루어지는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상기 저항부에 공기 정류부(停留部)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공기 정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류부는 원주(圓周)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할 공기 정류부로 구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분할 공기 정류부끼리를 공기 이동용 통로로 연통(連通)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를 상기 저항부와 대향(對向)하지 않는 곳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와 상기 저항부 사이를 칸막이하는 스페이서(space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기 정류부를, 상기 저항부의 회전 최외주(最外周) 부분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의 복수의 분할 공기 정류부는 관통공(貫通孔)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연통시키는 상기 공기 이동용 통로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오목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동심원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관통공에 대응시켜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원주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KR1020097010587A 2006-10-31 2006-12-27 회전댐퍼 KR101305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6/322217 2006-10-31
PCT/JP2006/322217 WO2008053570A1 (fr) 2006-10-31 2006-10-31 Amortisseur de rotation
PCT/JP2006/326370 WO2008053574A1 (fr) 2006-10-31 2006-12-27 Amortisseur de ro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985A true KR20090076985A (ko) 2009-07-13
KR101305667B1 KR101305667B1 (ko) 2013-09-09

Family

ID=3934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587A KR101305667B1 (ko) 2006-10-31 2006-12-27 회전댐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77735A1 (ko)
EP (1) EP2088348A4 (ko)
JP (1) JPWO2008053574A1 (ko)
KR (1) KR101305667B1 (ko)
CN (1) CN101529119A (ko)
TW (1) TWI350349B (ko)
WO (2) WO2008053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27583B1 (en) * 2008-02-22 2011-08-29 B B I P Szellemi Tulajdonjog Hasznosito Es Vagyonkezeloe Korlatolt Feleloessegue Tarsasag Rotary stand for supporting weight
JP2010039027A (ja) * 2008-08-01 2010-02-18 Nifco Inc 開閉機構、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459137B1 (en) 2010-04-07 2013-06-11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Control assembly for drive system
JP5759207B2 (ja) * 2011-03-02 2015-08-05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6376B2 (ja) * 2011-05-16 2015-02-12 株式会社ニフコ 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回転ダンパ装置
US20130255654A1 (en) * 2012-03-28 2013-10-03 Dan Nystrom Arrow rest
CN104033523B (zh) * 2014-06-18 2015-11-04 无锡圣丰减震器有限公司 车辆驾驶室用硅油一体型减震器
JP6258188B2 (ja) * 2014-11-27 2018-01-10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及びダンパーの製造方法
JP6359441B2 (ja) * 2014-12-16 2018-07-18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の製造方法
JP7094650B2 (ja) * 2019-05-28 2022-07-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WO2020241290A1 (ja) * 2019-05-28 2020-12-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551Y2 (ko) * 1980-09-30 1986-04-11
US4527675A (en) * 1984-04-19 1985-07-09 Nifco Inc. Oil type damper
US4565266A (en) * 1984-04-30 1986-01-21 Nifco Inc. Oil type damper
JPS6165907A (ja) * 1984-09-05 1986-04-04 Toshiba Corp 回転体用制振装置
JPH0137236Y2 (ko) * 1985-02-08 1989-11-10
JPS61192937A (ja) 1985-02-21 1986-08-27 Nifco Inc 回転ダンパ−
JP2884267B2 (ja) * 1991-03-11 1999-04-19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H07317820A (ja) * 1994-05-24 1995-12-08 Nifco Inc ロータリーダンパー
JP2603377Y2 (ja) * 1995-03-17 2000-03-06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2005030550A (ja) * 2003-06-19 2005-02-03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JP4272958B2 (ja) * 2003-09-12 2009-06-03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4434755B2 (ja) * 2003-09-17 2010-03-17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WO2005045276A1 (ja) 2003-11-05 2005-05-19 Fuji Latex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及びそれを具備する自動車の付属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7735A1 (en) 2009-11-12
TWI350349B (en) 2011-10-11
WO2008053574A1 (fr) 2008-05-08
TW200902875A (en) 2009-01-16
WO2008053570A1 (fr) 2008-05-08
KR101305667B1 (ko) 2013-09-09
CN101529119A (zh) 2009-09-09
EP2088348A1 (en) 2009-08-12
JPWO2008053574A1 (ja) 2010-02-25
EP2088348A4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667B1 (ko) 회전댐퍼
US4691811A (en) Rotary damper
JP4434755B2 (ja) 回転ダンパー
JPS6236987Y2 (ko)
KR100584461B1 (ko) 회전댐퍼
JPH10311359A (ja) 回転ダンパ
KR100584462B1 (ko) 회전댐퍼
JP7346132B2 (ja) 流体ダンパ装置
KR20080055400A (ko) 회전댐퍼
KR100584463B1 (ko) 회전댐퍼
KR100584464B1 (ko) 회전댐퍼
JP4335635B2 (ja) 回転ダンパー
KR100934340B1 (ko) 댐퍼장치
US20220235843A1 (en) Damper device
JPS6236988Y2 (ko)
JPH0210350Y2 (ko)
JP4488711B2 (ja) 回転ダンパー
JPH01224543A (ja) 回転ダンパ
KR20140099058A (ko) 회전댐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