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400A - 회전댐퍼 - Google Patents

회전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400A
KR20080055400A KR1020060128707A KR20060128707A KR20080055400A KR 20080055400 A KR20080055400 A KR 20080055400A KR 1020060128707 A KR1020060128707 A KR 1020060128707A KR 20060128707 A KR20060128707 A KR 20060128707A KR 20080055400 A KR20080055400 A KR 2008005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rotor
rotary damper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타카 코이즈미
켄 하야시
šœ스케 오카바야시
요시히사 타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to KR102006012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400A/ko
Publication of KR2008005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45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rotary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로터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댐퍼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11, 51)과, 이 하우징(11, 51) 내에 수용된 실리콘 오일(21)과, 하우징(11, 51) 내에 수용되어, 하우징(11, 51)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32)로 하우징(11, 51) 내의 실리콘 오일(21) 중을 이동하는 저항부(36)가 형성된 로터(31)와, 축부(32)와 하우징(51)과의 사이로부터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O링(61)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댐퍼(D)에 있어서, 저항부(36)에, 동심원상에 복수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을 형성하고, 이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을 연결하는 요홈(38)을 형성한다.
회전댐퍼, 이음, 이음(異音), 실리콘오일, 공기, 압축, O링

Description

회전댐퍼{Rotary Damper}
도 1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한 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2에 도시한 로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인 회전댐퍼를 구성하는 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5에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5에 도시한 로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제3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9에 도시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제5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11에 도시한 케이스의 좌측 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11에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11에 도시한 로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11에 도시한 로터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12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11에 도시한 캡의 좌측 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회전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회전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이 발명의 제5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D : 회전댐퍼
11: 케이스(하우징)
12: 케이스 본체
13: 저부
13a:원주홈(공기이동용통로)
14:원통벽부
14a:박육돌출원통부분
14b:확개경사부분
15:수용부
16: 축지부
17:장착플랜지
18:장착구멍
21:실리콘오일(점성유체)
31:로터
32:축부
32A:축부
32a:사각기둥
32b:사각뿔대
33:요입부
34: I커트단부
34A:단부(段部)
35:끼움홈
36: 저항부
36A~36D:저항부
37:원호형상관통구멍(공기정류부)
38:요홈(공기이동용통로)
39:박육환상원판부
40:환상요홈(공기이동용통로)
41:원호형상돌조
42:환상요부(공기이동용통로)
43:저항부본체
44:공기이동용통로형성돌기
45:공기정류부
46:공기이동용통로
51:캡(하우징)
52:관통공
54:원주홈(공기이동용통로)
55:끼움요홈
61: O링
71:피구동치차
72:장착구멍
72A:장착구멍
72a:구멍
72b:확경단부
73:끼움돌조
A: 공기
일본 특허공개 평4-34015호 공보
이 발명은, 예를 들면, 치차나 래크와 맞물리는 피구동(被驅動)치차의 회전을 제동하는 회전댐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회전댐퍼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점성유체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로 하우징 내의 점성유체 중 을 이동하는 저항부가 형성된 로터와, 이 로터의 축부와 하우징과의 사이로부터 점성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씰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에는, 피구동치차가 장착된다.
종래의 회전댐퍼는,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를, 토크 발생 부분인 로터의 저항부와 하우징의 저면 혹은 천장면과의 사이에 위치시키지 않도록, 저항부의 형상을 대략 소판형(小判形)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로터는 쌍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가 저항부를 타고넘어 저항부의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에 이음(異音)이 발생한다.이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가 저항부를 타고 넘을 때에 발생하는 이음은,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가 저항부를 타고 올라감으로써 압축된 후, 저항부를 타고 넘을 때 급격하게 개방되는 것에 기인하는 파열음으로 생각된다.
한편, 이 이음은, 점성유체의 점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고, 또한, 로터와 하우징과의 간격이 좁을수록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발명은, 이하와 같은 발명이다.
(1)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점성유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로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점성유체 중을 이동하는 저항부가 형성된 로터와, 상기 축부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로부터 상기 점성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씰부재로 이루어지는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 기 저항부에 복수의 공기정류부를 원주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공기정류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용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류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이동용 통로는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정류부는 동심원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이동용 통로는 상기 공기정류부에 대응시켜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원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1)에 기재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정류부는 상기 저항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 도2은 도1에 도시한 로터의 단면도, 도3은 도2에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 도4은 도2에 도시한 로터의 저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D는 회전댐퍼를 나타내고, 합성수지제의 케이스(11)와, 이 케이스(11) 내에 수용된 점성유체로서의 실리콘 오일(21)과, 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케이스(11)로부터 외부로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32)에 케이스(11) 내의 실리콘 오일(21) 중을 이동하는 저항부(36)가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로터(31)와, 이 로터(31)의 축부(3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52)이 형성되고, 케이스(11)의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합성수지제의 캡(51)과, 이 캡(51)과 로터(31)의 축부(32)와의 사이 로부터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씰부재로서의 O링(61)과, 캡(51)으로부터 돌출하는 로터(31)의 축부(32)에 장착된 합성수지제의 피구동치차(7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은, 케이스(11)와, 캡(5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스(11)는, 평면형상이 원형의 저부(13)의 외연(外緣)으로 둘려져 원통벽부(14)가 형성된 케이스 본체(12)와, 저부(13)의 저면의 중심에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축지부(軸支部)(16)과, 케이스 본체(12)의 외주에, 예를 들면, 180도의 간격으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장착구멍(18)을 형성한 장착플랜지(1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부(13)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원호형상 관통구멍(37)에 대응시켜서, 축지부(16)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원주홈(13a)이 공기이동용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벽부(14)의 위쪽에는, 원통벽부(14)의 내주면을 연장한 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둘려진 박육(薄肉)돌출원통부분(14a)이 형성되고 있다.
한편, 15는 케이스 본체(12) 내에 형성된 수용부를 나타내고, 실리콘 오일(21)을 수용하는 부분이며, 박육돌출원통부분(14a)으로부터 아래쪽의 부분에 상당한다.
상기의 로터(31)는, 원기둥형상의 축부(32)와, 이 축부(32)에 연설(連設)된 평면에서 보아 원형을 한 평판상의 저항부(3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32)에는, 저면에 케이스(11)의 축지부(16)가 회전가능하게 끼 워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요입부(33)가 형성되고, 캡(51)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I커트된 I컷트단부(段部)(34)가 형성되고, I커트된 평면부분(수직면)에 각각 수평방향의 끼움홈(35)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저항부(36)에는, 도2∼도4에 도시한 것 같이, 축부(3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에 복수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이 공기정류부로서 마련되어지는 동시에, 이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을 연락하는 요홈(38)이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의 동심원상에 공기이동용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요홈(38)은, 저항부(36)의 상하(표리(表裏))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캡(51)에는, 중심에, 로터(31)의 축부(3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52)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52)의 아래쪽에, 하단까지 달하도록 원통형상으로 살빼기된, O링(61)을 수용하는 확경단부(擴徑段部)(53)가 형성되고, 또한, 아래쪽의 외연에, 케이스 본체(12)의 박육돌출원통부분(14a)이 끼워지는 둘려진 결합요홈(55)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피구동치차(71)에는, I컷트 형상의 장착구멍(72)이 중심에 형성되고, 이 장착구멍(72)의 평면부분에, 로터(31)의 축부(32)에 형성한 끼움홈(35)에 끼워져 결합하는 결합돌조(7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댐퍼(D)의 조립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로터(31)의 축부(32)를 O링(61)에 끼우고, 요입부(33) 및 저항부(36)의 부분에 실리콘 오일(21)을 도포한 후, 요입부(33) 내 케이스(11)의 축지부(16)을 끼워지도록, 수용부(15) 내로 축부(32)의 일부 및 저항부(36)을 수용한다.
그리고, 수용부(15) 내로 적량의 실리콘 오일(21)을 주입한 후, 관통구멍(52) 내에 축부(32)를 삽입하면서 박육돌출원통부분(14a)를 캡(51)의 결합요홈(55) 내에 끼워지게 하고, 케이스(11)의 개구를 캡(51)으로 폐색한다.
이렇게 하여 케이스(11)의 개구를 캡(51)으로 폐색하면, 박육돌출원통부분(14a) 내의 공기(A)는 대부분 케이스(11)밖에 배출되고, 박육돌출원통부분(14a)와 캡(51)과는 밀착하는 동시에, 확경단부(53) 내에 O링(61)이 수용되어, O링(61)이 축부(32)와 캡(51)과의 사이로부터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그 다음으로, 박육돌출원통부분(14a)와 캡(51)과의 문을, 예를 들면, 고주파용착으로 한 바퀴 두르도록 용착(溶着)해서 밀폐한다.
그리고, 캡(51)으로부터 돌출한 축부(32)를 피구동치차(71)의 장착구멍(72) 내에 압입시키면, 결합돌조(73)가 끼움홈(35)에 끼워져 결합함으로써, 회전댐퍼(D)의 조립이 종료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로터(31)가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도3에 실선화살표로 도시한 것 같이, 시계방향에 회전하면, 실리콘 오일(21)가운데에서 저항부(36)가 시계방향에 회전하고, 저항부(36)에 실리콘 오일(21)의 점성저항 및 전단저항이 작용하므로, 로터(31)의 회전을 제동한다.
따라서, 로터(31)에 장착된 피구동치차(71)가 맞물리는 치차, 래크 등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동하여 그 회전 또는 이동을 천천히 하게 한다.
이렇게 로터(31)가 시계방향에 회전할 때, 요홈(38)의 하류에 부압부(負壓 部)가 발생하므로, 이 부압부에, 조립시에 케이스(11) 내에 혼입한 공기(A)가 실선으로 도시한 것 같이 추종(追從)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로터(31)가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도3에 점선화살표로 도시한 것 같이, 반시계방향에 회전하면, 실리콘 오일(21) 중에서 저항부(36)가 반시계방향에 회전하고, 저항부(36)에 실리콘 오일(21)의 점성저항 및 전단저항이 작용하므로, 로터(31)의 회전을 제동한다.
따라서, 로터(31)에 장착된 피구동치차(71)가 맞물리는 치차, 래크 등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동하여 그 회전 또는 이동을 천천히 하게 한다.
이렇게 로터(31)가 반시계방향에 회전하면, 도3에 실선으로 도시한 공기(A)는, 요홈(38)의 하류에 발생하는 부압부로 향하기 때문에, 원주홈(13a) 및 요홈(38) 내를 시계방향으로 통하여 도3에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하고, 부압부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한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 이동하는 공기(A)는, 원주홈(13a) 및 요홈(38) 내를 통하여 대부분 압축되지 않는 상태로 한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것 같이,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저항부(36)에, 동심원상에 복수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을 형성하고, 이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을 연결하는 요홈(38)을 형성하였으므로, 한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를 과도하게 압축 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따라서, 로터(31)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다.
더욱, 케이스(11)에 원주홈(13a)를 마련했으므로, 한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를 더욱 압축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인 회전댐퍼를 구성하는 로터의 단면도, 도6은 도5에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 도7은 도5에 도시한 로터의 저면도이며, 도1∼도4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시하는 것을 생략한 부분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도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로터(31)는, 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케이스(11)로부터 외부로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32)와, 이 축부(32)에 형성되고, 케이스(11) 내의 실리콘 오일(21) 중을 이동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을 한 평판상의 저항부(36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부(36A)는, 외주연에, 예를 들면, 90도 분할로 4 개의 원형형상의 절흠(切欠)(40)이 공기정류부로서 형성된 박육환상원판부(薄肉環狀圓板部)(39)와, 이 박육환상원판부(39)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호형상 돌조(4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원호형상 돌조(41)는 도5∼도7에 도시한 것 같이, 박육환상원판부(39) 의 상하(표리)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형상 돌조(41)로 둘러 싸여진 내측의 환상요부(42)가, 절흠(40)을 연결하는 공기이동용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원호형상 돌조(41)의 원주방향의 간격은 절흠(40)의 원주방향의 최대폭(직경)보다도 좁고, 절흠(40)의 원주방향의 좌측단부는, 원호형상 돌조(41)와 원주방향에서 겹치는 위치 관계로 되고 있다.
다음으로, 회전댐퍼(D)의 조립은 제1실시예로 마찬가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로터(31)가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도6에 실선화살표로 도시한 것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실리콘 오일(21) 내에서 저항부(36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저항부(36A)에 실리콘 오일(21)의 점성저항 및 전단저항이 작용하므로, 로터(31)의 회전을 제동한다.
따라서, 로터(31)에 장착된 피구동치차(71)가 맞물리는 치차, 래크 등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동하여 그 회전 또는 이동을 천천히 하게 한다.
이렇게 로터(31)가 시계방향에 회전할 때, 절흠(40)의 상류단(上流端)에 부압부가 발생하므로, 이 부압부에, 조립시에 케이스(11) 내에 혼입한 공기(A)가 실선으로 도시한 것 같이 추종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로터(31)가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도6에 점선화살표로 도시한 것 같이, 반시계방향에 회전하면, 실리콘 오일(21) 내에서 저항부(36A)가 시계방향에 회전하고, 저항부(36A)에 실리콘 오일(21)의 점성저항 및 전단저항이 작용하므로, 로 터(31)의 회전을 제동한다.
따라서, 로터(31)에 장착된 피구동치차(71)가 맞물리는 치차, 래크 등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동하여 그 회전 또는 이동을 천천히 하게 한다.
이렇게 로터(31)가 반시계방향에 회전하면, 도6에 실선으로 도시한 공기(A)는, 절흠(40)의 상류단에 발생하는 부압부로 향하기 때문에, 환상요부(42) 내를 시계방향으로 통하여 도6에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하고, 부압부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한 쪽의 절흠(40)으로부터 다른 쪽의 절흠(40)으로 이동하는 공기(A)는, 대부분 압축되지 않는 상태로 환상요부(42) 내를 통하여 한 쪽의 절흠(40)으로부터 다른 쪽의 절흠(40)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한 쪽의 절흠(40)으로부터 나와서 다른 쪽의 절흠(40)으로 향하는 공기(A)에 원심력이 작용해도, 원호형상 돌조(41)가 공기(A)를 안내함으로서, 공기(A)는 한 쪽의 절흠(40)으로부터 다른 쪽의 절흠(40)으로 환상요부(42) 내를 통하여 확실하게 이동한다.
상술한 것 같이,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은 이 발명의 제3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도7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8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로터(31)는, 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케이스(11)로부터 외부로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32)와, 이 축부(32)에 형성되고, 케이 스(11) 내의 실리콘 오일(21) 중을 이동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을 한 평판상의 저항부(36)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부(36B)에는, 축부(3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에 복수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이 공기정류부로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캡(51)에는, 아래쪽면에, 원호형상 관통구멍(37)에 대응시켜서, 관통구멍(5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에 원주홈(54)이 공기이동용 통로로서 형성되고 있다.
한편, 회전댐퍼(D)의 조립 및 동작은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한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 이동하는 공기(A)는, 대부분 압축되지 않는 상태로 원주홈(13a, 54) 내를 통하여 한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그리고, 케이스(11)에 원주홈(13a)를 형성하고, 캡(51)에 원주홈(54)을 마련했으므로, 한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를 더욱 압축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9은 이 발명의 제4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한 로터의 사시도이며, 도1∼도8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의 도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로터(31)는, 케이스(11) 내에 수용되어, 케이스(11)로부터 외부로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32)와, 이 축부(32)에 형성되고, 케이스(11) 내의 실리콘 오일(21) 중을 이동하는 저항부(36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부(36C)은, 평면에서 보아 원형이고, 케이스(11)를 구성하는 원통벽부(14)의 내경보다도 조금 좁은 소직경의 평판상의 저항부 본체(43)과, 이 저항부 본체(43)의 외주면에, 예를 들면, 180도 간격으로 공기이동용 통로(46)을 형성할 목적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박육 평판상의 공기이동용 통로형성돌기(4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공기정류부(45)는 공기이동용 통로형성 돌기(44)로 끼워진 저항부 본체(43)의 외측(외주)에 형성되어, 공기이동용 통로(46)는, 공기이동용 통로형성 돌기(44)의 상하(표리)의 부분으로 된다.
다음으로, 회전댐퍼(D)의 조립은 제1실시예로 같아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로터(31)가, 도10에 실선화살표로 도시한 것 같이, 시계방향에 회전하면, 실리콘 오일(21) 내에서 저항부(36C)가 시계방향에 회전하여, 저항부 본체(43)에 실리콘 오일(21)의 점성저항 및 전단저항이 작용하므로, 로터(31)의 회전을 제동한다.
따라서, 로터(31)에 장착된 피구동치차(71)가 맞물리는 치차, 래크 등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동하여 그 회전 또는 이동을 천천히 하게 한다.이렇게 로터(31) 가 시계방향에 회전할 때, 공기이동용 통로형성 돌기(44)의 하류에 부압부가 발생하므로, 이 부압부에,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가 추종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로터(31)가, 도10에 점선화살표로 도시한 것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실리콘 오일(21) 내에서 저항부(36C)가 반시계방향에 회전하여, 저항부 본체(43)에 실리콘 오일(21)의 점성저항 및 전단저항이 작용하므로, 로터(31)의 회전을 제동한다.
따라서, 로터(31)에 장착된 피구동치차(71)가 맞물리는 치차, 래크 등의 회전 또는 이동을 제동하여 그 회전 또는 이동을 천천히 하게 한다.
이렇게 로터(31)가 반시계방향에 회전하면, 로터(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 공기이동용 통로형성돌기(44)의 하류에 발생하는 부압부에 추종하여 이동하고 있었던 공기(A)는, 공기이동용 통로형성 돌기(44)의 원주방향의 반대측으로 되는 부압부에서 발생하는 하류로 향하기 때문에, 공기이동용 통로(46)의 상하를 통하여 이동하고, 부압부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한 쪽의 공기정류부(45)로부터 다른 쪽의 공기정류부(45)로 이동하는 공기(A)는, 공기이동용 통로(46)의 상하를 통하여 대부분 압축되지 않는 상태로 한 쪽의 공기정류부(45)로부터 다른 쪽의 공기정류부(45)로 이동한다.
상술한 것 같이,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공기정류부(45)을 저항부(36C)의 외주면과 케이스(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A)를 확실하게 공기정류부(45)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11은 이 발명의 제5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12은 도11에 도시한 케이스의 좌측 반(半)의 확대 단면도, 도13은 도11에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 도14은 도11에 도시한 로터의 정면도, 도15은 도11에 도시한 로터의 저면도, 도16은 도12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17은 도11에 도시한 캡의 좌측 반의 확대 단면도, 도18 및 도19은 회전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의 설명도, 도20은 이 발명의 제5실시예인 회전댐퍼의 단면도이며, 도1∼도10과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의 도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케이스(11)는, 평면형상이 원형의 저부(13)의 외연에 둘려져서 원통벽부(14)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12)와, 저부(13)의 저면의 중심에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축지부(16)과, 케이스 본체(12)의 외주에 180도의 간격으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장착구멍(18)을 대비한 장착플랜지(1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부(13)의 저면에는, 로터(31)의 원호형상 관통구멍(37)에 대응시켜서, 축지부(16)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에 원주홈(13a)이 공기이동용 통로로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원통벽부(14)의 위쪽에는, 원통벽부(14)의 내주면을 연장한 면을 내주면으로 하는, 둘려진(주회(周回)하는) 박육돌출원통부분(14a)이 형성되고, 이 박육돌출원통부분(14a)의 원통벽부(14)과의 경계부분에는, 캡(51)의 외주부분을 용착하기 위해서, 케이스 본체(13측)으로 확개해서 둘려진 확개(擴開)경사부분(14b)이 형성되고 있다.
다음으로, 합성수지제의 로터(31)는, 원기둥형상의 축부(32A)와, 이 축부(32A)에 연설된 평면에서 보아 원형을 한 평판상의 저항부(36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32A)에는, 저면에 케이스(11)의 축지부(1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요입부(33)가 형성되고, 캡(51)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단부(段部)(34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부(34A)로부터 위쪽의 축부(32A)의 부분은, 축부(32A)와 동심의 사각기둥(32a)의 위쪽에, 축부(32A)와 동심의 사각뿔대(32b)을 연설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제의 피구동치차(71)에는, 사각형의 구멍(72a)의 위쪽에, 이 구멍(72a)와 동심의 확경단부(72b)가 연설된 장착구멍(72a)이 중심에 형성되고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도12에 도시한 것 같이,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의 폭보다도 원주홈(13a, 54a)의 폭이 넓고, 또한, 원주홈(13a, 54a)의 안쪽에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댐퍼(D)의 조립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18에 도시한 것 같이, 로터(31)의 축부(32A)를 O링(61)에 끼우고, 수용부(15) 내에 적량의 실리콘 오일(21)을 주입하고, 도19에 도시한 것 같이, 요입부(33) 내로 케이스(11)의 축지부(16)가 끼워지도록, 수용부(15) 내로 축부(32A)의 일부 및 저항부(36D)를 수용한다.
한편, 요입부(33) 및 저항부(36D)의 아래쪽(하면)부분에 실리콘 오일(21)을 도포한 후, 수용부(15) 내에 적량의 실리콘 오일(21)을 주입하고, 요입부(33) 내로 케이스(11)의 축지부(16)가 끼워지도록, 수용부(15) 내로 축부(32A)의 일부 및 저항부(36D)를 수용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로터(31)의 요입부(33)에 공기가 정류하지 않게 되므로,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공기를 더 적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용부(15) 내로 축부(32A)의 일부 및 저항부(36D)를 수용하면, 저항부(36D)에서 눌려져 원호형상 관통구멍(37)으로부터 부상하는 실리콘 오일(21)은,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의 내주와 O링(61)과의 거리(a)가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의 외주와 박육돌출원통부분(14a)와의 거리(b)보다도 가까우므로, O링(61)과 저항부(36D) 및 축부(32A)와의 사이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밀려들어가므로, O링(61)이 저항부(36D) 및 축부(32A)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고, 박육돌출원통부분(14a)으로부터 외측으로 넘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관통구멍(52) 내로 축부(32A)를 삽입하면서 박육돌출원통부분(14a)을 캡(51)의 결합요홈(55) 내에 끼워, 케이스(11)의 개구를 캡(51)으로 폐색한다.
이렇게 하여 케이스(11)의 개구를 캡(51)으로 폐색하면, O링(61)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실리콘 오일(21)이 캡(51)의 내벽면에 압축되고, 원주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서서히 이동하기 때문에, 수용부(15) 내의 공기가 실리콘 오일(21)에 의해 캡(51)과 케이스(11)의 개구와의 사이로부터 압출되고,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공기가 더욱 적어진 상태에서, 캡(51)의 결합요홈(55)을 형성하는 외주연의 원통부분이 확개경사부분(14a)에 맞닿고, 박육돌출원통부분(14a)의 상단과 끼워결합하는 요 부(55)의 바닥과는 미소한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캡(51)을 케이스 본체(12)측으로 소정의 압압력으로 눌러서 결합요홈(55)을 형성하는 외주연의 원통부분과 확개경사부분(14a)을, 예를 들면, 고주파 용착으로 둘려지게 용착시키면서 밀폐하고, 끼워넣어 결합하는 요홈(55)의 바닥을 박육돌출원통부분(14a)의 상단에 맞닿게 한다.
이렇게 하여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하면, 박육돌출원통부분(14a) 내의 공기(A)는 대부분 케이스(11) 밖으로 배출되고, 박육돌출원통부분(14a)과 캡(51)과는 밀착하는 동시에, 확경단부(53) 내에 O링(61)이 수용되어, O링(61)이 축부(32A)와 캡(51)과의 사이로부터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캡(51)으로부터 돌출한 축부(32A)를 피구동치차(71)의 장착구멍(72a) 내에 끼워지게 한 후, 사각뿔대(32b)의 위쪽 부분을 가열, 변형시켜서 확경단부(72b) 내로 넓힘으로써, 도20에 도시한 것 같이, 회전댐퍼(D)의 조립이 종료한다.
상술한 것 같이, 이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 제3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의 내주와 O링(61)과의 거리(a)를, 원호형상 관통구멍(37)의 외주와 박육돌출원통부분(14a)와의 거리(b)보다도 가깝게 했으므로, 조립시에 O링(61)과 저항부(36D) 및 축부(32A)와의 사이에 모세관현상에 의해 실리콘 오일(21)이 밀려들어감으로써, O링(61)이 저항부(36D) 및 축부(32A)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고, 박육돌출원통부분(14a)으로부터 외측으로 실리콘오일(21)이 넘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리콘 오일(21)이 O링(61)과 저항부(36D) 및 축부(32A)와의 사이에 들어가고, O링(61)이 저항부(36D) 및 축부(32A)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회전댐퍼(D)의 초기 토크의 증가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박육돌출원통부분(14a)으로부터 외측으로 실리콘오일(21)이 넘치지 않게 되어, 캡(51)을 케이스(11)에 확실하게 용착해서 하우징의 외주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캡(51)을 케이스(11)에 용착할 때, 박육돌출원통부분(14a)의 상단을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하였으므로, 저부(13)로부터 캡(51)까지의 높이를 균일에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부(36D)로부터 저부(13) 및 캡(51)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토크의 편차(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서는, 원주홈(13a)를 형성한 예를 제시했지만, 이 원주홈(13a)를 구비하지 않아도,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원주홈(13a)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 공기정류부(원호형상 관통구멍(37)) 및 공기이동용 통로(요홈(38))은, 동심원상에 형성하지 않아도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그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3실시예 및 제5실시예와 같이, 원주홈(13a)와 원주홈(54)과의 적어도 한 쪽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3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서는, 원주홈(13a) 및 원주홈(54)을 형성한 예를 제시했지만, 원주홈(13a)와 원주홈(5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형성하 면,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을 케이스(11) 및 캡(51)으로 구성하고, 케이스(11)에 실리콘 오일(21)의 수용부(15)를 형성하고, 로터(31)의 축부(3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52)을 캡(51)에 형성하고, 캡(51)과 축부(32)와의 사이로부터 실리콘 오일(21)이 새는 것을 O링(61)으로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한 예를 제시했지만, 캡에 실리콘 오일의 수용부를 형성하고, 로터축부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케이스에 형성하여, 케이스와 축부와의 사이로부터 실리콘 오일이 새는 것을 O링으로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 케이스(11)에 축지부(16)을 형성하고, 축부(32, 32A)에 요입부(33)를 형성하여 로터(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예를 제시했지만, 케이스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축부에 축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축부(32, 32A)에 저항부(36, 36A∼36D)를 일체로 형성한 예를 제시했지만, 축부와 저항부를 따로 따로 형성하여, 예를 들면, 각축(角軸)과 각공(角孔)과의 관계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점성유체로서 실리콘 오일(21)을 이용한 예를 제시했지만,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다른 점성유체, 예를 들면, 그리스 등을 쓸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저항부에 복수의 공기정류부(空氣停留部)(관통구멍)을 원주방향에 형성하고, 이 공기정류부(관통구멍)을 연결하는 공기이동용 통로(요홈)을 마련했으므로, 한 쪽의 공기정류부(관통구멍)로부터 공기정류부(관통구멍)으로, 조 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를 과도하게 압축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터가 쌍방향으로 회전해도,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복수의 공기정류부를 동심원상에 형성하고, 공기이동용 통로에, 공기정류부에 대응시켜서 하우징에 형성한 원주홈을 포함시켰기 때문에, 한 쪽의 공기정류부로부터 다른 쪽의 공기정류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를 더 압축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정류부를 저항부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한 쪽의 공기정류부로부터 다른 쪽의 공기정류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를 더 압축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정류부를 저항부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했으므로, 조립시에, 하우징 내에 혼입한 공기를 확실하게 공기정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점성유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축부로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점성유체 중을 이동하는 저항부가 형성된 로터와,
    상기 축부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로부터 상기 점성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씰부재로 이루어지는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에 복수의 공기정류부를 원주방향에 형성하고,
    이 공기정류부를 연결하는 공기이동용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2. 청구항1 기재의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류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이동용 통로는 요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기재의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정류부는 동심원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이동용 통로는 상기 공기정류부에 대응시켜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원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4. 청구항1 기재의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정류부는 상기 저항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KR1020060128707A 2006-12-15 2006-12-15 회전댐퍼 KR20080055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707A KR20080055400A (ko) 2006-12-15 2006-12-15 회전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707A KR20080055400A (ko) 2006-12-15 2006-12-15 회전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400A true KR20080055400A (ko) 2008-06-19

Family

ID=3980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707A KR20080055400A (ko) 2006-12-15 2006-12-15 회전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4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940A (zh) * 2022-06-13 2022-09-13 大连海事大学 一种钢壳橡胶芯圆柱套合式宽频组合隔振器及其组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940A (zh) * 2022-06-13 2022-09-13 大连海事大学 一种钢壳橡胶芯圆柱套合式宽频组合隔振器及其组装方法
CN115045940B (zh) * 2022-06-13 2024-02-06 大连海事大学 一种钢壳橡胶芯圆柱套合式宽频组合隔振器及其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667B1 (ko) 회전댐퍼
JP4434755B2 (ja) 回転ダンパー
JPS6243155Y2 (ko)
US4691811A (en) Rotary damper
JPS6243153Y2 (ko)
JP2013036527A (ja) 回転体連結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100584461B1 (ko) 회전댐퍼
KR20080055400A (ko) 회전댐퍼
KR100584462B1 (ko) 회전댐퍼
CN109312804B (zh) 阻尼器
KR100584463B1 (ko) 회전댐퍼
KR100584464B1 (ko) 회전댐퍼
JP3485338B2 (ja) 回転ダンパー
JP2005140287A (ja) ダンパー装置
KR100934340B1 (ko) 댐퍼장치
JP4335635B2 (ja) 回転ダンパー
JP2003056556A (ja) 動圧軸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4238A (ja) 液体封入式防振装置用オリフィス部材とそのオリフィス部材の組付けに使用する治工具
US20220235843A1 (en) Damper device
JP2607354Y2 (ja) フライホイール組立体
JP2002165408A (ja) モータ
JP4488711B2 (ja) 回転ダンパー
JP2008223928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KR930002571B1 (ko) 회전댐퍼
JP2008057586A (ja) ビスカスラバ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