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340B1 -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340B1
KR100934340B1 KR1020080104097A KR20080104097A KR100934340B1 KR 100934340 B1 KR100934340 B1 KR 100934340B1 KR 1020080104097 A KR1020080104097 A KR 1020080104097A KR 20080104097 A KR20080104097 A KR 20080104097A KR 100934340 B1 KR100934340 B1 KR 10093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otation
negative pressure
rectify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172A (ko
Inventor
야스히코 세토
요시히사 다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4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점성유체 내에 기체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이상음이나 이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출력체의 토크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에 회전자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조립된 출력체(2)를 구비하고, 출력체(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본체(1) 내에 밀봉된 점성유체(10)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한 댐퍼장치이다. 출력체(2)의 회전자부(20)에는 점성유체(10)에 혼입된 기체의 정류부(3)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정류부(3)에 있어서의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이 이 회전자부(20)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가 되고, 또한 이 정류부(3)에 있어서의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이 이 회전자부(20)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가 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댐퍼장치{DAMPER DEVICE}
본 발명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출력체를 구비하고, 이 출력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본체 내에 밀봉된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댐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점성유체를 밀봉한 케이스와 제동판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축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회전자로 이루어지고, 이 회전자의 제동판을 케이스 내에 수납시킨 상태로 이 케이스에 회전자를 회전 가능하게 조립해서 이루어진 회전댐퍼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이러한 회전댐퍼에 있어서는, 케이스 내에 점성유체를 밀봉함에 있어서 이 점성유체에 기체가 혼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자의 회전의 방향이 바뀌면, 이러한 기체가 회전자의 제동판에 있어서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면과 이 면에 마주 향하는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혼입 이상음을 발생하게 하거나 회전자의 토크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회 전자의 제동판에 있어서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면과 이 면에 마주 향하는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단순히 넓혀 버리면 회전자의 회전축선 방향으로의 회전댐퍼의 치수를 과대하게 함과 아울러 그 제동력을 높이기 어려운 것이 되어 버린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보 평4-3401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댐퍼장치를 구성하는 점성유체 내에 기체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 댐퍼장치를 구성하는 출력체(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회전방향이 바뀌어도 이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이상음이나 이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출력체의 토크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 1 관점에서의 댐퍼장치를,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자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조립된 출력체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본체 내에 밀봉된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한 댐퍼장치로서, 출력체의 회전자부에는 상기 회전자부의 회전중심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있어서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점성유체에 혼입된 기 체의 정류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고, 또한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출력체와 본체를 조립함에 있어서 밀봉되는 점성유체에 기체가 혼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회전자부에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을 형성해 두면 이러한 기체의 밀려남 장소를 만들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출력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의 방향이 바뀌면, 이러한 기체가 회전자부에 있어서의 출력체의 회전중심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있는 면과 이 면에 마주 향하는 본체의 내면 사이에 혼입 이상음을 발생하게 하거나, 출력체의 토크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회전자부에 있어서의 출력체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면과 이 면에 마주 향하는 본체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단순히 넓혀 버리면 출력체의 회전축선방향으로의 댐퍼장치의 치수를 과대하게 함과 아울러 그 제동력을 높이기 어려운 것이 된다.
출력체의 회전자부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정류부를 형성해 두면, 이와 같이 혼입된 기체를 회전자부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이 정류부에 부압발생개소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정류부에 도입하고, 이후 이 정류부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도록 계속해서 정류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이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불편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부에 복수의 정류부를 상기 회전자부의 회전중심을 원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인접하는 정류부와의 사이에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켜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회전자부의 강성은 그 회전방향에 있어서 편파없이, 점성유체로부터 받는 저항에도 치우침이 없고, 회전자부의 소망의 회전에 정류부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하나의 정류부에 있어서의 정회전 시의 부압발생개소와 역회전 시의 부압발생개소와의 사이의 피치보다도 상기 하나의 정류부와 상기 하나의 정류부에 인접하는 다른 정류부 사이의 피치가 커지도록 해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 회전자부의 회전의 방향이 바뀌었을 때에 하나의 정류부 내의 일측의 부압발생개소에 정류하고 있던 기체는 이 하나의 정류부 내의 타측의 부압발생개소로 이동하고, 이 하나의 정류부 내에 계속 정류된다.
상기 부압발생개소를 본체 및 회전자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이 양자 간의 피치를 협소하게 하는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생성하도록 해 두면, 이러한 돌기부의 형성위치에서 점성유체를 압축시키고, 이 돌기부의 형성위치에 근접 또는 당면한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에 의해 구성되는 정류부에 부압발생개소를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를 격자형상체에 의해서 복수의 정류실로 분할하게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 정류부에 도입된 기체를 세세하게 나누고, 이 정류부에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에 정류시킬 수 있고, 정류부로부터의 기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 2 관점에서의 댐퍼장치를,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자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조립된 출력체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본체 내에 밀봉된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한 댐퍼장치로서, 본체의 내면부에 있어서 회전자부의 회전중심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마주 향하는 개소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점성유체에 혼입된 기체의 정류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고, 또한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에도, 점성유체에 혼입된 기체를 항상 본체에 형성시킨 정류부에 계속해서 정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댐퍼장치에 의하면, 댐퍼장치를 구성하는 점성유체 내에 기체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 이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이상음이나 이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출력체의 토크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도 1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 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도 7은 도 4∼도 7에 나타내는 출력체(2)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댐퍼장치를 단면으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제 1 예).
도 8 및 도 9는 출력체(2)의 제 2 예를, 도 10 및 도 11은 제 3 예를, 도 12 및 도 13은 제 4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4∼도 17은 댐퍼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 측에 정류부(3)를 형성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고(제 5 예, 제 6 예), 도 14 및 도 16은 이 본체(1)를 구성하는 캡 파트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2 예∼제 4 예의 본체(1) 측의 구성은 제 1 예의 본체(1) 측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또, 제5예 및 제 6 예의 출력체(2) 측의 구성은 제 1 예의 출력체(2) 측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장치는, 본체(1)와 회전자부(20)를 이 본체(1) 내에 수납하고 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출력체(2)를 구비하고, 이 출력체(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본체(1) 내에 밀봉된 점성유체(10)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장치는, 예를 들면, 가동체 및 고정체 중 어느 일측에 본체(1)를 부착함과 아울러, 이들 중 타측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서 출력체(2)가 회전 또는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이 타측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댐퍼장치를 개재해서 제동을 부여하게 하도록 사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댐퍼장치를, 이러한 출력체(2)에 피니언(21)을 구비하고, 가동체 및 고정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도시생략한 래크에 이 피니언(21)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이 가동체의 이동에 댐퍼장치를 개재해서 제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서 구성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본체(1)는 베이스 파트(11)와 캡 파트(12)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파트(11)는 판상을 이루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그 일면측에 환상을 이루는 주회 돌기부(11a)와, 이 주회 돌기부(11a)의 중심위치에서 돌출되는 축 돌기부(11c)와, 주회 돌기부(11a)의 외측에 구비되는 부착용 돌출부(11d)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캡 파트(12)는 원판상을 이루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그 중앙에 출력체(2)의 통과 구멍(12a)을 구비하고, 또, 그 외측 가장자리부에 베이스 파트(11)의 주회 돌기부(11a)를 수납하는 환상을 이루는 주회 홈(12b)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체(1)는 베이스 파트(11)의 주회 돌기부(11a)를 캡 파트(12)의 주회 홈(12b)에 수납하여 용착시킴으로써 점성유체(10)를 이 개소로부터 누출되지 않도록 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점성유체(10)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이나 그리스 등이 사용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출력체(2)는 축상 주체(22)를 가짐과 아울러, 이 축상 주체(22)의 외측 단부(22a)를 피니언(21)의 부착부로 하고, 또한, 이 축상 주체(22)의 내측 단부(22b)에 회전자부(2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출력체(2)는 캡 파트(12)의 통과 구멍(12a)에, 이 캡 파트(12)에 있어서의 베이스 파트(11)에의 조립측이 되는 측으로부터, 축상 주체(22)의 외측 단부(22a)를 앞으로 해서 이 축상 주체(22)를 통과시킨 후, 이 캡 파트(12)를 상기 베이스 파트(11)에 상기한 바 와 같이 조립함으로써 본체(1)의 내부에 회전자부(20)를 수납하고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축상 주체(22)의 내측 단부(22b)의 중앙에는 이 축상 주체(22)의 축선을 따른 막힌 구멍 형상을 이루는 축 구멍(22c)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파트(11)의 축 돌기부(11c)를 이 축 구멍(22c)에 넣게 함으로써 출력체(2)는 이 축 돌기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게 본체(1)에 조립되어 있다. 회전자부(20)는 이 축상 주체(22)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 축상 주체(22)의 내측 단부(22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회전자부(20)는 원판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축상 주체(22)의 내측 단부(22b)는 이 회전자부(20)의 일면측에 있어서 그 중심에 일체로 연이어 접해 있다. 상기 점성유체(10)는 회전자부(20)의 일면(20a)과 베이스 파트(11)의 내면(11e), 회전자부(20)의 다른 면(20b)과 캡 파트(12)의 내면(12c) 및 회전자부(20)의 외측 가장자리부(20c)와 베이스 파트(11)의 주회 돌기부(11a)의 기부(11b)와의 사이의 틈에 충전되고, 회전자부(20)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게 한다. 캡 파트(12)는 그 내면(12c) 측에, 통과 구멍(12a)의 구멍 가장자리 사이에 틈을 두고, 이 통과 구멍(12a)을 둘러싼 축상 주체(22)의 축선에 평행한 주회 단차면(12d)을 가지고 있고, 이 주회 단차면(12d)과 축상 주체(22)의 사이에 끼워진 실링(sealing,13)에 의해서 이 통과 구멍(12a)으로부터의 점성유체(10)의 누출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피니언(21)의 부착부인 외측 단부(22a)에 있어서 축상 주체(22)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은 비원형이 되어 있고, 피니언(21)의 중심에 형성된 그 회전축선(x)방향으로 관통한 부착구멍(21a)에 이 부착부를 끼워 넣은 뒤에 이 부착부의 부착구멍(21a)으로부터의 돌출개소를 용융 경화시킴으로써, 축상 주체(22)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하도록 출력체(2)에 피니언(21)이 부착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출력체(2)의 회전자부(20)에는 이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20c)의 사이에 있어서,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점성유체에 혼입된 기체의 정류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정류부(3)에 있어서의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이 이 회전자부(20)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가 되고, 또한, 이 정류부(3)에 있어서의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이 이 회전자부(20)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이러한 정류부(3)는 회전자부(20)에 복수 개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인접하는 정류부(3)와의 사이에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하나의 정류부(3)에 있어서의 정회전 시의 부압발생개소(3a)와 역회전 시의 부압발생개소(3a) 사이의 피치(z1)보다, 이 하나의 정류부(3)와 이 하나의 정류부(3)에 인접하는 다른 정류부(3) 사이의 피치(z2)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도 4).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압발생개소(3a)는, 본체(1) 및 회전자부(20)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이 양자 간의 피치를 협소하게 하는 돌기부(4)를 형성함으로써,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원판상을 이루는 회전자부(20)의 외측 가장자리부(20c)의 내측으로서,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의 외측에 있어서, 이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하는 제 1의 가상원(r1)과 이 제 1의 가상원(r1)보다 직경을 크게 하고 이 제 1의 가상원(r1)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하는 제 2의 가상원(r2) 사이의 환상영역(R)에, 이 회전중심(x')을 주회하는 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 돌기부(4)가 되는 4개소의 호상 융기부(40)를 회전자부(20)의 양면(20a, 20b) 측에 각각 형성하고 있다(도 4). 또, 인접하는 호상 융기부(40, 40) 사이에 각각 상기 환상영역(R)을 따른 상기 정류부(3)가 되는 관통구멍으로서의 호상 구멍(30)을 형성하고 있다.
회전자부(20)가 정회전되면, 호상 융기부(40)와 본체(1)의 내면{도시된 예에서는 캡 파트(12)의 내면(12c) 및 베이스 파트(11)의 내면(11e)} 사이에서 점성유체(10)는 압축되기 때문에, 이 호상 융기부(40)의 정회전 후방 측에 위치되는 호상 구멍(30)의 이 호상 융기부(40)에 근접한 측에 부압발생개소(3a)가 발생한다. 또, 회전자부(20)가 역회전되면, 호상 융기부(40)의 역회전 후방 측에 위치되는 호상 구멍(30)의 이 호상 융기부(40)에 근접한 측에 부압발생개소(3a)가 발생한다. 즉, 하나의 정류부(3)가 되는 호상 구멍(30)은,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을 이 회전자부(20)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로 하고, 또한, 이 정류부(3)에 있어서의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을 이 회전자부(20)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체(2)와 본체(1)를 조립함에 있어서 밀봉되는 점성유체(10)에 기체(통상은 공기)가 혼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회전자부(20)에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을 형성해 두면 이러한 기체의 밀려남 장소를 만들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출력체(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의 방향이 바뀌면, 이러한 기체가 회전자부(20)에 있어서의 출력체(2)의 회전중심(x')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20c) 사이에 있는 면(20a, 20b)과 이 면에 마주 향하는 본체(1)의 내면(11e, 12c) 사이에 혼입 이상음을 발생하게 하거나, 출력체(2)의 토크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가동체로서의 덮개체에 형성한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21)을 출력체(2)에 구비하게 함과 아울러 이 덮개체에 의해서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시키는 고정체로서의 수납체에 본체(1)를 고정하게 하도록 해서 댐퍼장치를 사용한 경우에, 이 덮개체의 개폐 시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렇다고 해서 회전자부(20)에 있어서의 출력체(2)의 회전축선(x)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면(20a, 20b)과 이 면에 마주 향하는 본체(1)의 내면(11e, 12c) 사이의 간격을 단순히 넓혀 버리면 출력체(2)의 회전축선(x)방향에 있어서의 댐퍼장치의 치수를 과대하게 함과 아울러 그 제동력을 높이기 어려운 것이 된다. 출력체(2)의 회전자부(2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정류부(3)를 형성해 두면, 이와 같이 혼입된 기체를 회전자부(20)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이 정류부(3)에 부압발생개소(3a)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정류부(3)에 도입하고, 이후 이 정류부(3)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도록 계속해서 정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이 혼입된 기체에 기인하는 불편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예, 제 2 예, 제 3 예, 제 5 예 및 제 6 예에 있어서는, 정류부(3)를,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인접하는 정류부(3) 사이에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부(20)의 강성은 그 회전방향에 있어서 편파없이, 점성유체(10)로부터 받는 저항에도 치우침이 없고, 회전자부(20)의 소망의 회전에 정류부(3)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예에 있어서는, 상기 호상 융기부(40)의 길이를, 호상 구멍(30)의 길이보다 크게 함으로써, 하나의 정류부(3)의 2개소의 부압발생개소(3a, 3a) 간의 피치보다, 이 하나의 정류부(3)와 이 하나의 정류부(3)에 인접하는 다른 정류부(3) 사이의 피치가 커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부(20)의 회전의 방향이 바뀌었을 때에 하나의 정류부(3) 내의 일측의 부압발생개소(3a)에 정류하고 있던 기체는 이 하나의 정류부(3) 내의 타측의 부압발생개소(3a)로 이동하고, 이 하나의 정류부(3) 내에 계속해서 머문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제 2 예)
도 8 및 도 9는, 정류부(3)를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이 회전중심(x')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관통구멍(31) 사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정류부(3)가 되는 둥근 구멍 형상을 이루는 관통구멍(31)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관통구멍(31)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회전자부(20)의 양면(20a, 20b) 측에 있어서 각각 상기 돌기부(4)가 되는 주회 리브(41) 에 의해서 트리밍하고, 이 주회 리브(41)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 본체(1)와 회전자부(20) 사이의 피치를 협소하게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도 인접하는 관통구멍(31, 31) 간의 피치는, 하나의 관통구멍(31)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하나의 정류부(3)의 2개소의 부압발생개소(3a, 3a) 간의 피치보다, 이 하나의 정류부(3)와 이 하나의 정류부(3)에 인접하는 다른 정류부(3) 사이의 피치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도 8).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 3 예)
도 10 및 도 11은, 정류부(3)를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이 회전중심(x')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관통구멍(32) 사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정류부(3)가 되는 긴 구멍형상을 이루는 관통구멍(32)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러한 가상의 원의 원주를 따른 상기 돌기부(4)가 되는 환상 리브(42)를 본체(1)의 내면(11e, 12c)에 형성하고, 이 환상 리브(42)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 본체(1)와 회전자부(20) 사이의 피치를 협소하게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도 인접하는 관통구멍(32) 간의 피치는, 하나의 관통구멍(32)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하나의 정류부(3)의 2개소의 부압발생개소(3a) 간의 피치보다, 이 하나의 정류부(3)와 이 하나의 정류부(3)에 인접하는 다른 정류부(3) 간의 피치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제 4 예)
도 12 및 도 13은, 정류부(3)를 격자형상체(33)에 의해서 복수의 정류실(33a, 33a…)로 분할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정류부(3)는 회전자 부(20)의 회전중심(x')을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정류부(3)는 회전자부(20)의 외측 가장자리부(20c)를 따른 호상 개구 가장자리(34a)와 이 호상 개구 가장자리(34a)의 양단부 사이에 걸친 직선상 개구 가장자리(34b)에 의해 구획 형성된 개구를 구비한 관통구멍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정류부(3)의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 돌기부(4)가 되는 리브(43)로 트리밍되어 있다. 격자형상체(33)는 직선상 개구 가장자리(34b)에 평행으로 회전자부(20)의 회전축선방향으로 면을 배치한 엘리먼트(33b)와, 이 엘리먼트(33b)에 교차함과 아울러 회전자부(20)의 회전축선방향으로 면을 배치한 엘리먼트(33c)로 이루어지고, 양 엘리먼트(33b, 33c)에 의해서 구성되는 정류실(33a)로 되어 있다.
정류부(3)를 복수의 정류실(33a, 33a…)로 분할시킨 경우, 정류부(3)에 도입된 기체를 세세하게 나누고, 이 정류부(3)에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에 정류하게 할 수 있고, 정류부(3)로부터의 기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4∼도 17에 나타내는 제 5 예 및 제 6 예)
도 14∼도 17은, 본체(1)의 내면부에 있어서,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20c)의 사이에 마주 향하는 개소에,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점성유체(10)에 혼입된 기체의 정류부(3)를 형성하고, 이 정류부(3)에 있어서의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이 이 회전자부(20)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가 되고, 또한, 이 정류부(3)에 있어서의 회전자부(20)의 회전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이 이 회전자 부(20)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3a)가 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하는 제 1의 가상원(r1)과 이 제 1의 가상원(r1)보다 직경을 크게 하고 이 제 1의 가상원(r1)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하는 제 2의 가상원(r2) 사이의 환상영역(R)에, 이 회전중심(x')을 주회하는 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4개소의 호상 융기부(40')를 캡 파트(12)의 내면(12c)에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인접하는 호상 융기부(40', 40') 사이에 각각 상기 환상영역(R)을 따른 상기 정류부(3)가 되는 호상 오목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호상 융기부(40')에 의해서 그 형성 개소에 있어서 본체(1)와 회전자부(20) 사이의 피치를 협소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파트(11)의 내면(11e)에도 마찬가지의 호상 융기부(40')와 호상 오목부(30')를 형성한다.
또, 도 16 및 도 17에서는, 정류부(3)를 회전자부(20)의 회전중심(x')을 원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이 회전중심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31') 사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정류부(3)가 되는 둥근 구멍형상을 이루는 오목부(31')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31')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주회 리브(41')에 의해서 트리밍하고, 이 주회 리브(41')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 본체(1)와 회전자부(20) 사이의 피치를 협소하게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베이스 파트(11)의 내면(11e)에도 마찬가지의 오목부(31')와 주회 리브(4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점성유체(10)에 혼입된 기체를 항상 본체(1)에 형성한 정류부(3)에 계속해서 정류시킬 수 있다.
도 1은 댐퍼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댐퍼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댐퍼장치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4는 출력체(2)의 평면도
도 5는 출력체(2)의 저면도
도 6은 출력체(2)의 측면도
도 7은 출력체(2)의 단면도
도 8은 출력체(2)의 제 2 예의 사시 구성도
도 9는 제 2 예에 관한 댐퍼장치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10은 출력체(2)의 제 3 예의 사시 구성도
도 11은 제 3 예에 관한 댐퍼장치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12는 출력체(2)의 제 4 예의 사시 구성도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제 5 예에 관한 캡 파트(12)의 사시 구성도
도 15는 제 5 예에 관한 댐퍼장치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16은 제 6 예에 관한 캡 파트(12)의 사시 구성도
도 17은 제 6 예에 관한 댐퍼장치의 요부 단면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0 - 점성유체
2 - 출력체 20 - 회전자부
3 - 정류부 3a - 부압발생개소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자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조립된 출력체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본체 내에 밀봉된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한 댐퍼장치로서,
    출력체의 회전자부에는, 상기 회전자부의 회전중심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있어서,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점성유체에 혼입된 기체의 정류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고, 또한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자부에 복수의 정류부를, 상기 회전자부의 회전중심을 원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인접하는 정류부와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나의 정류부에 있어서의 정회전 시의 부압발생개소와 역회전 시의 부압발생개소와의 사이의 피치보다도, 상기 하나의 정류부와 상기 하나의 정류부에 인접하는 다른 정류부와의 사이의 피치가 커지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압발생개소를, 본체 및 회전자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이 양자 간의 피치를 협소하게 하는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생성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류부를, 격자형상체에 의해서 복수의 정류실로 분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정류부를, 격자형상체에 의해서 복수의 정류실로 분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7.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자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조립된 출력체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본체 내에 밀봉된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한 댐퍼장치로서,
    본체의 내면부에 있어서, 회전자부의 회전중심과 그 외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마주 향하는 개소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점성유체에 혼입된 기체의 정류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일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정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고, 또한 상기 정류부에 있어서의 회전자부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개소의 타측이 상기 회전자부의 역회전 시에 부압이 발생하는 부압발생개소가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KR1020080104097A 2007-10-24 2008-10-23 댐퍼장치 KR100934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6084A JP4898629B2 (ja) 2007-10-24 2007-10-24 ダンパー装置
JPJP-P-2007-276084 200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72A KR20090042172A (ko) 2009-04-29
KR100934340B1 true KR100934340B1 (ko) 2009-12-29

Family

ID=4070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097A KR100934340B1 (ko) 2007-10-24 2008-10-23 댐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98629B2 (ko)
KR (1) KR100934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7741B2 (ja) * 2010-01-25 2013-10-02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807U (ja) * 1995-03-17 1995-11-28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2005090534A (ja) 2003-09-12 2005-04-07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JP2005114154A (ja) 2003-09-17 2005-04-28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WO2005045276A1 (ja) 2003-11-05 2005-05-19 Fuji Latex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及びそれを具備する自動車の付属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816B2 (ja) * 1990-07-25 1999-06-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H07317820A (ja) * 1994-05-24 1995-12-08 Nifco Inc ロータリーダンパー
JP4272958B2 (ja) * 2003-09-12 2009-06-03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807U (ja) * 1995-03-17 1995-11-28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2005090534A (ja) 2003-09-12 2005-04-07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JP2005114154A (ja) 2003-09-17 2005-04-28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WO2005045276A1 (ja) 2003-11-05 2005-05-19 Fuji Latex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及びそれを具備する自動車の付属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72A (ko) 2009-04-29
JP2009103235A (ja) 2009-05-14
JP4898629B2 (ja)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1811A (en) Rotary damper
JPS6243155Y2 (ko)
KR101305667B1 (ko) 회전댐퍼
WO2012117654A1 (ja) 回転ダンパ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02250A1 (en) Rotary damper
US7938238B2 (en) Rotary damper
KR100934340B1 (ko) 댐퍼장치
EP2664818B1 (en) Damper device
CN112294169B (zh) 流体阻尼装置
KR100646956B1 (ko) 댐퍼장치
EP3106707B1 (en) Damper device
KR100584463B1 (ko) 회전댐퍼
CN208669924U (zh) 一种阻尼器
JP4018200B2 (ja) ダンパ
JP4335624B2 (ja) 回転ダンパー
KR100584462B1 (ko) 회전댐퍼
KR20030035857A (ko) 회전댐퍼
CN208669926U (zh) 一种阻尼器
JP7256537B2 (ja) 回転式電子部品
KR101664653B1 (ko) 댐퍼 장치
KR20080055400A (ko) 회전댐퍼
KR20080071082A (ko) 댐퍼장치
WO2020110697A1 (ja) 電子機器筐体
KR20110087219A (ko)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