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653B1 - 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653B1
KR101664653B1 KR1020150014464A KR20150014464A KR101664653B1 KR 101664653 B1 KR101664653 B1 KR 101664653B1 KR 1020150014464 A KR1020150014464 A KR 1020150014464A KR 20150014464 A KR20150014464 A KR 20150014464A KR 101664653 B1 KR101664653 B1 KR 10166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annular
annular sealing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998A (ko
Inventor
마코토 무라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5009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Abstract

(과제) 점성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를, 댐퍼 장치의 구성 부재에 대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한다.
(해결수단)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이다. 로터(2)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로터(2)에, 그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댐퍼 장치{DAMPER DEVICE}
본 발명은 댐퍼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로터(rotor, 회전측 부재)와 스테이터(stator, 고정측 부재, 선행기술문헌의 하우징이나 케이싱)와 양자 사이에 충전되는 점성 유체로 이루어지며,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대한 상기 점성 유체의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도록 구성된, 이른바 로터 댐퍼 혹은 회전 댐퍼 등으로 불리는 댐퍼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의 사이로부터의 점성 유체의 누출을 별도 준비되는 환 형상의 밀봉 부재에 의해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것에서는, 상기 점성 유체의 누출을 스테이터의 개방 개소를 덮는 덮개 부재와 일체적으로 성형한 밀봉 부재에 의해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60262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 제306791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댐퍼 장치에 있어서, 점성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를, 상기 댐퍼 장치의 구성 부재에 대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관점에서, 댐퍼 장치를 스테이터와, 로터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로서,
상기 스테이터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터에, 상기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관점에서, 댐퍼 장치를 스테이터와, 로터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로서,
상기 로터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로터에, 상기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3 관점에서, 댐퍼 장치를 스테이터와, 로터와, 스테이터 내로부터의 로터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캡과,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의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로서,
상기 캡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캡에, 상기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4 관점에서, 댐퍼 장치를 스테이터와, 로터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로서,
상기 로터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로터에, 상기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점성 유체가 충전되는 환 형상 공간을 가지며, 상기 로터의 주체부(主體部)는 상기 환 형상 공간에 들어가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환 형상 밀봉부는, 상기 로터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외측 환 형상 부분과, 상기 로터의 내주부에 구비되는 내측 환 형상 부분과, 양자의 연결 부분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이 경우, 상기 스테이터의 환 형상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로터의 내주부에 마주보는 내측 주회(周回)벽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의 내측 환 형상 부분에 상기 연결 부분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 맞닿는 환 형상 돌출부를 형성시켜서 두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는 상기 캡, 로터 또는 스테이터와 일체로 그 일부가 되는 것으로부터, 댐퍼 장치의 부품 점수는 최소화된다. 또한, 댐퍼 장치를 조립할 때에, 환 형상 밀봉부의 세트가 필요없다. 또한, 상기 환 형상 밀봉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그 성형에 있어서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캡, 로터 또는 스테이터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의 성형시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에 상기 돌출 부분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는, 상기 오목부에 상기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끼워 넣은 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캡, 로터 또는 스테이터와 강고하게 일체화되고, 상기의 환 형상 밀봉부를 단순한 링 형상부로 한 경우와 같이 상기 조립시에 상기 링 형상부가 뒤틀리는 것 등으로 하여 상기 조립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어렵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런 종류의 댐퍼 장치에 있어서, 점성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를, 상기 댐퍼 장치의 구성 부재에 대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제 1 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제 2 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2 예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제 3 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 3 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 3 예의 도 5에 있어서의 B-B선 상당 위치에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상기 제 3 예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과 다른 위치에서 단면으로 하고 있다.
도 9는 상기 제 3 예를 구성하는 로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의 D-D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 3 예를 구성하는 로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F-F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제 3 예를 구성하는 로터의 좌측면도이며, 환 형상 밀봉부의 기재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상기 제 3 예를 구성하는 로터의 단면도이며, 환 형상 밀봉부의 기재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상기 제 3 예를 구성하는 로터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환 형상 밀봉부의 기재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상기 제 3 예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있어서의 G-G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제 4 예)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1∼도 2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는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른바 로터 댐퍼 혹은 회전 댐퍼 등으로 불리는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1) 및 로터(2)는 전형적으로는, 합성수지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2)는 도시하지 않는 일방 대상물에 대한 장착부(2a)를, 스테이터 (1)는 도시하지 않는 타방 대상물에 대한 장착부(1a)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 장치는, 일방 대상물의 가동 또는 상대적인 가동에 의해 로터(2)가 회전 또는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일방 대상물의 가동 또는 상대적인 가동에 상기 점성 유체의 저항에 기인한 일정한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이용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는,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댐퍼 장치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의해서 상기 스테이터(1)와 로터(2)의 사이에 충전된 점성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3색 성형, 혹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예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3색 성형 또는 캡(4)을 인서트 물로 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캡(4)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제 2 예 및 도 5∼도 19에 나타내는 제 3 예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3색 성형 또는 로터(2)를 인서트 물로 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로터(2)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제 4 예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3색 성형 또는 스테이터(1)를 인서트 물로 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1)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상기 캡(4), 로터(2) 또는 스테이터(1)와 일체로 그 일부가 되는 것으로부터, 댐퍼 장치의 부품 점수는 최소화된다. 또한, 댐퍼 장치를 조립할 때에, 환 형상 밀봉부(3)의 세트가 필요없다.
또한,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도 7 참조)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그 성형에 있어서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4), 로터(2) 또는 스테이터(1)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의 성형시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상기 돌출되는 부분(3a)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5)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상기 오목부(5)에 상기 로터(2)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끼워 넣은 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캡(4), 로터(2) 또는 스테이터 (1)와 강고하게 일체화되고,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를 단순 링 형상부로 한 경우와 같이 상기 조립시에 상기 링 형상부가 뒤틀리는 등으로 하여 상기 조립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어렵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제 1 예)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예에 있어서는, 댐퍼 장치는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스테이터(1) 내로부터의 로터(2)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캡(4)과, 점성 유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제 1 예에 있어서는, 상기 캡(4)에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1 예에 있어서는, 상기 캡(4)에,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스테이터(1)는, 통(筒) 일단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통 타단을 폐색시킨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터(2)는 큰 직경의 주체부(20a)와, 상기 주체부(20a)의 일단부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작은 직경의 긴 축부(20b)와, 상기 주체부(20a)의 타단부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작은 직경의 짧은 축부(20c)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축 중심선을 가상의 동일한 직선 위에 위치시키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캡(4)은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캡(4)은 스테이터(1)의 개구를 덮는 크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중앙에 로터(2)의 긴 축부(20b)의 외형과 대략 동등한 구멍 직경의 관통구멍 (40a)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2)는 그 짧은 축부(20c)를 스테이터(1)의 폐색단의 중앙에 형성된 축받이 오목부(10a)에 넣고, 그 긴 축부(20b)를 스테이터(1)의 개방단을 덮는 캡(4)의 관통구멍(40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주체부(20a)를 스테이터(1) 내에 위치시킨다. 점성 유체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스테이터(1)와 로터(2)의 주체부와 캡(4)의 사이에 충전 봉입된다.
캡(4)의 내면부에는, 원형 오목부(40b)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40a)은 상기 원형 오목부(40b) 내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 오목부(40b)의 외주부에는 상기 오목부(5)로서 기능하는 주회 오목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예에 있어서는, 캡(4)의 원형 오목부(40b) 내에 환 형상 밀봉부(3)를 성형할 때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를 구성하는 연질의 합성수지가 상기 주회 오목부(50a)로 비집고 들어가고, 이에 따라 환 형상 밀봉부(3)는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주회 형상으로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예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의 내주부에 의해서, 캡(4)의 관통구멍(40a)과 로터(2)의 긴 축부(20b)의 사이가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예)
도 2∼도 4에 나타내는 제 2 예에 있어서는, 댐퍼 장치는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점성 유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제 2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에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2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에,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로터(2)는 통 일단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통 타단을 폐색시킨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터(2)는 그 개방단측으로부터 스테이터(1)의 후술의 환 형상 공간 (11e)으로 수납된다. 로터(2)의 폐색단에는, 그 중심을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는, 아울러 원통 형상을 이루는 내통부(11a)와 외통부(11b)에 의해 내측 주회벽(11c)과 외측 주회벽(11d)을 가지며, 양자 사이를 환 형상 공간 (11e)으로 함과 아울러, 외측 주회벽(11d) 외면의 1개소에 통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11f)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로터(2)는 일방 대상물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돌출부를 상기 오목부(21a)에 끼워 넣고, 상기 일방 대상물에 장착되어 일방 대상물의 회동 또는 상대적인 회동에 수반하여 일방 대상물과 함께 회동 또는 상대적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테이터(1)는 타방 대상물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오목부에 상기 리브(11f)를 끼워 넣어 타방 대상물측과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의 예에서는, 로터(2)의 오목부(21a)가 일방 대상물로의 장착부(2a)로서 기능하고, 스테이터(1)의 리브(11f)가 타방 대상물로의 장착부(1a)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터(1)는 상기 내측 주회벽(11c)과 외측 주회벽(11d)과 바닥벽(11g)을 가지며, 이들의 벽(11c, 11d, 11g)에 의해서 상기 바닥벽(11g)측과 반대의 도입 개구(11h)보다 상기 로터(2)를 그 개방단측으로부터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 가능하게 수납 가능한 폐관의 환 형상 공간(11e)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벽(11g)은, 상기 내통부(11a)의 통 일단과 외통부(11b)의 통 일단의 사이에 걸치는 바닥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는 점성 유체는, 관련되는 상기 환 형상 공간(11e)에 충전되어 상기 일방 대상물의 가동 또는 상대적인 가동에 수반하는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한다. 상기 점성 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오일이나 그리스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외측 주회벽(11d)과 내측 주회벽(11c)의 사이에는, 로터(2)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2)의 폐색단측이며 로터(2)의 외주부(21f)에는, 상기 폐색단과의 사이에 약간 간격을 두도록 하여 주회 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2)의 폐색단과 상기 주회 홈(21b)의 사이에는, 로터(2)의 외주부(21f)에 있어서, 스테이터(1)의 환 형상 공간(11e)에 로터(2)를 밀어 넣은 위치에서 스테이터(1)의 외측 주회벽(11d)에 있어서의 도입 개구(11h)측에 형성된 피 걸어맞춤부(11i)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1c)는, 주회 볼록부 (21d)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 걸어맞춤부(11i)는, 스테이터(1)의 외통부(11b)의 도입 개구(11h)측의 내면에 형성된 주회 오목부(11j)로서 구성되어 있다. 로터(2)의 스테이터(1)로의 상기 수납시에는, 외통부(11b)의 통 타단이 주회 볼록부(21d)에 닿아서 주로 상기 외통부(11b)의 통 타단측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넓혀져서 상기 수납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수납의 종료 위치에서의 탄성 복귀에 의해 주회 볼록부(21d)는 주회 오목부(11j)로 비집고 들어가고, 이에 따라 로터(2)와 스테이터(1)의 상기 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2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의 폐색단이, 스테이터(1)의 도입 개구(11h)를 덮는 캡부(21e)로서 기능하고, 상기 캡부(21e) 이외의 개소가 로터(2)의 주체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회 홈(21b)의 내부 안쪽에는 상기 오목부(5)로서 기능하는 주회 오목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회 오목부(51a)는, 주회 홈(21b)에 있어서의 로터(2)의 캡부(21e)측에 위치되는 홈 벽과 주회 홈의 바닥벽의 사이가 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예에 있어서는, 로터(2)의 상기 주회 홈(21b) 내에 환 형상 밀봉부(3)을 성형할 때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를 구성하는 연질의 합성수지가 상기 주회 오목부(51a)로 비집고 들어가고, 이에 따라 환 형상 밀봉부(3)는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주회 형상으로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예에 있어서는,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의 외주부에 의해서, 스테이터 (1)의 외통부(11b)의 내면이 되는 상기 외측 주회벽(11d)과 로터(2)의 외주부(21f)의 사이가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제 3 예)
도 5∼도 19에 나타내는 제 3 예에 있어서는, 댐퍼 장치는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점성 유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에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에,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이터(1)는 상기 점성 유체가 충전되는 환 형상 공간(12g)을 가지며, 상기 로터(2)의 주체부는 상기 환 형상 공간(12g)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와 함께,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상기 로터(2)의 외주부(22n)에 구비되는 외측 환 형상 부분(32)과, 상기 로터(2)의 내주부(22m)에 구비되는 내측 환 형상 부분(31)과, 양자의 연결 부분(33)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로터(2)는 통 양단을 아울러 개방시킨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터(2)의 통 일단에는, 로터(2)의 회전축(x, 도 7 참조)을 주회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노치부(22a)와의 사이에 대략 동등한 간격을 두고 4개소의 노치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2)의 통 타단측에는, 상기 통 타단측에 있어서 로터(2)의 내경을 작게 하도록 하는 내측 플랜지부(2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플랜지부 (22b)에 의해 로터(2)는 통 타단측에 주회 단차면(22c)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2)는 그 통 일단측으로부터 스테이터(1)의 후술의 환 형상 공간(12g)에 수납된다. 로터(2)의 통 타단에는, 그 통구(筒口, 22d)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볼록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는, 아울러 원통 형상를 이루는 내통부(12a)와 외통부(12b)에 의해 내측 주회벽(12c)과 외측 주회벽(12f)을 가지며, 양자 사이를 환 형상 공간 (12g)으로 함과 아울러, 외측 주회벽(12f) 외면의 1개소에 통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12h)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로터(2)는 일방 대상물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오목부에 상기 볼록부(22e)를 끼워 넣고, 상기 일방 대상물에 장착되어 일방 대상물의 회동 또는 상대적인 회동에 수반하여 일방 대상물과 함께 회동 또는 상대적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테이터(1)는 타방 대상물에 형성된 도시 하지 않는 오목부에 상기 리브(12h)를 끼워 넣어 타방 대상물측과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의 예에서는, 로터(2)의 볼록부(22e)가 일방 대상물로의 장착부(2a)로서 기능하고, 스테이터(1)의 리브(12h)가 타방 대상물로의 장착부(1a)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터(1)는 상기 내측 주회벽(12c)과 외측 주회벽(12f)과 바닥벽(12i)을 가지며, 이들 벽(12c, 12f, 12i)에 의해서 상기 바닥벽(12i)측과 반대의 도입 개구 (12j)보다 상기 로터(2)를 그 개방단측으로부터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 가능하게 수납 가능한 폐관의 환 형상 공간(12g)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벽(12i)은, 상기 내통부(12a)의 통 일단과 외통부(12b)의 통 일단의 사이에 걸치는 바닥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는 점성 유체는, 관련되는 상기 환 형상 공간(12g)에 충전되어 상기 일방 대상물의 가동 또는 상대적인 가동에 수반하는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한다. 상기 점성 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오일이나 그리스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외측 주회벽(12f)과 내측 주회벽(12c)의 사이에는, 로터(2)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2)의 통 타단측이며 로터(2)의 외주부(22n)에는, 상기 통 타단과의 사이에 약간 간격을 두도록 하여 주회 홈(2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2)의 통 타단과 주회 홈(22f)의 사이에는, 로터(2)의 외주부(22n)에 있어서, 스테이터(1)의 환 형상 공간(12g)에 로터(2)를 밀어 넣은 위치에서 스테이터(1)의 외측 주회벽 (12f)에 있어서의 도입 개구(12j)측에 형성된 피 걸어맞춤부(12k)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22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2g)는, 주회 볼록부(22h)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 걸어맞춤부(12k)는, 스테이터(1)의 외통부(12b)의 도입 개구(12j)측의 내면에 형성된 주회 오목부(12m)로서 구성되어 있다. 로터(2)의 스테이터(1)로의 상기 수납시에는, 외통부(12b)의 통 타단이 주회 볼록부(22h)에 닿아서 주로 상기 외통부(12b)의 통 타단측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넓혀져서 상기 수납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수납의 종료 위치에서의 탄성 복귀에 의해 주회 볼록부(22h)는 주회 오목부(12m)로 비집고 들어가고, 이에 따라 로터(2)와 스테이터(1)의 상기 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의 통 타단이, 스테이터(1)의 도입 개구(12j)를 덮는 캡부(22i)로서 기능하고, 상기 캡부(22i) 이외의 개소가 로터(2)의 주체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회 단차면(22c)에는 상기 오목부(5)로서 기능하는 주회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2)의 캡부(22i)에는, 통구(22d)의 측방에 제 1 관통구멍 (22j)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관통구멍(22j)은 로터(2)의 외측과, 상기 주회 단차면(22c)에 있어서의 주회 오목부(52a)와 로터(2)의 내주부(22m)의 사이가 되는 개소를 연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터(2)의 캡부(22i)측의 측부에는, 로터(2)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 2 관통구멍(22k)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관통구멍(22k)은, 로터(2)의 직경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회 홈(22f)의 홈 바닥에 통하고 있다.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1번째로, 상기 제 1 관통구멍(22j)을 통해서 환 형상 밀봉부(3)를 구성하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유도하여 로터(2)의 내주부(22m)에 상기 내측 환 형상 부분(31)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2번째로, 상기 제 2 관통구멍(22k)을 통해서 상기 합성수지를 로터(2)의 외주부(22n)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외주부(22n)에 상기 외측 환 형상 부분(32)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분(33)은 상기 제 2 관통구멍(22k)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되고, 외측 환 형상 부분(32)과 내측 환 형상 부분(31)은 환 형상 밀봉부(3)의 직경 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연결 부분(33)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환 형상 부분(31)은, 상기 캡부 (22i)측에 위치되는 일단(31a)을 상기 주회 단차면(22c)에 접착시키고, 그 외주면 (31b)을 로터(2)의 내주부(22m)에 밀착시킨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내측 환 형상 부분(31)의 일단(31a)에는, 상기 주회 오목부(52a)에 의해서,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이 주회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내측 환 형상 부분(31)의 타단(31c)측에 있어서는, 내측 환 형상 부분(31)의 내주면(31d)은 상기 타단(31c)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측 환 형상 부분(31)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얇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환 형상 부분(31)의 그 나머지의 내주면(31d)은 상기 주회 형상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의 내주면과 동일면을 이루어 로터(2)의 회전축(x, 도 7 참조)과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상기 외측 환 형상 부분(32)은, 상기 주회 홈(22f)을 매립하는 주회 띠 형상의 기부(基部, 32a)와, 상기 기부(32a)와 일체를 이루는 단면 반원호 형상의 주회 융기부(32b)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분(33)은, 상기 제 2 관통구멍(22k)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내측 환 형상 부분(31)과 외측 환 형상 부분(32)은, 환 형상 밀봉부(3)의 직경 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상기 연결 부분(3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스테이터(1)의 내통부(12a)에 있어서의 상기 도입 개구(12j)측에 위치되는 단부(12d)가 로터(2)의 상기 주회 단차면(22c)에 부딪치는 위치까지 스테이터(1) 내에 로터(2)의 주체부가 밀어 넣어지면, 상기 걸어맞춤부 (22g)와 피 걸어맞춤부(12k)가 걸어 맞추짐과 아울러, 상기 내측 환 형상 부분(31)의 내주면(31d)에 의해서 스테이터(1)의 내통부(12a)의 내면이 되는 상기 내측 주회벽(12c)과 로터(2)의 내주부(22m)의 사이가 밀봉되고, 또한, 상기 외측 환 형상 부분(32)의 주회 융기부(32b)에 의해서 스테이터(1)의 외통부(12b)의 외면이 되는 상기 외측 주회벽(12f)과 로터(2)의 외주부(22n)의 사이가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스테이터(1)의 내통부(12a)와 로터(2)의 내측 플랜지부 (22b)의 내방(內方)이, 이들 사이에 샤프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내측 환 형상 부분(31)과 외측 환 형상 부분(32)은, 상기 로터 (2)를 관통하는 연결 부분(33)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7), 스테이터(1)와 로터(2)의 조립시에 내측 환 형상 부분(31)과 외측 환 형상 부분(32)은 뒤틀리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일없이, 상기 조립은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이 제 3 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이터(1)의 환 형상 공간(12g)을 구성하는 상기 내측 주회벽(12c)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의 내측 환 형상 부분(31)에 상기 연결 부분(33)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 맞닿는 환 형상 돌출부(12n)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내통부(12a)는, 상기 주회 단차면(22c)에 부딪치는 단부(12d)를 개방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단부(12d)측을, 상기 단부측의 외경을 그 나머지의 개소보다도 작게 하도록 하는 얇은 두께부(12e)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얇은 두께부(12e)에 상기 환 형상 돌출부(12n)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분(33)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 환 형상 밀봉부(3)의 직경 방향의 두께(y, 도 7 참조)는 그 나머지의 개소의 직경 방향의 두께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상기 연결 부분(33)의 형성 개소에는 성형 후의 수축에 의한 「쉬링키지 (Shrinkage)」가 적잖이 생기지만, 상기 환 형상 돌출부(12n)에 의해 상기 「쉬링키지」가 생겨도 상기 형성 개소에 있어서의 내측 환 형상 부분(31) 및 외측 환 형상 부분(32)의 밀봉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4 예)
도 20에 나타내는 제 4 예에 있어서는, 댐퍼 장치는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점성 유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제 4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 (2) 및 스테이터(1)에 각각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4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 및 스테이터(1)에 각각, 상기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 4 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이터(1)는 상기 점성 유체가 충전되는 환 형상 공간(12g)을 가지며, 상기 로터(2)의 주체부는 상기 환 형상 공간(12g)에 들어가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스테이터(1)는, 아울러 원통 형상을 이루는 내통부(12a)와 외통부(12b)에 의해 내측 주회벽(12c)과 외측 주회벽(12f)을 가지며, 양자 사이를 상기 환 형상 공간(12g)으로 하고 있다. 그와 아울러, 상기 로터(2)는 그 내주부(22m)에 환 형상 밀봉부(3)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스테이터(1)는 상기 외측 주회벽(12f)의 내측에 환 형상 밀봉부(3)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2)에 구비되는 환 형상 밀봉부(3)는, 제 3 예의 내측 환 형상 부분(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로터(2)에 형성된 제 3 예의 주회 오목부(52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회 오목부(53a)에 의해서 로터(2)의 회전축(x)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1)는, 스테이터(1)의 외통부(12b)의 도입 개구(12j)측의 내주면에 주회 홈(13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회 홈(13a)의 내부 안쪽에 상기 오목부(5)로서 기능하는 주회 오목부(5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예에 있어서는, 스테이터(1)의 상기 주회 홈(13a) 내에 환 형상 밀봉부(3)를 성형할 때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를 구성하는 연질의 합성수지가 상기 주회 오목부(53b)로 비집고 들어가고, 이에 따라 스테이터(1)의 환 형상 밀봉부(3)도 상기 로터(2)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주회 형상으로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제 4 예에 있어서는, 상기 로터(2)의 환 형상 밀봉부(3)에 의해서 스테이터 (1)의 내통부(12a)의 외면이 되는 상기 내측 주회벽(12c)과 로터(2)의 내주부(22m)의 사이가 밀봉되고, 또한, 상기 스테이터(1)의 환 형상 밀봉부(3)에 의해서 스테이터(1)의 외통부(12b)의 내면이 되는 상기 외측 주회벽(12f)과 로터(2)의 외주부 (22n)의 사이가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4 예의 그 나머지의 구성은, 상기 제 3 예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제 3 예를 나타내는 각 도면에 있어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1: 스테이터
2: 로터
3: 환 형상 밀봉부
3a: 돌출되는 부분
5: 오목부

Claims (5)

  1.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로서,
    상기 스테이터(1)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터(1)에, 상기 로터(2)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53b)}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2.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로서,
    상기 로터(2)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로터(2)에, 상기 로터(2)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51a)}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3. 삭제
  4.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로서,
    상기 로터(2)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로터(2)에, 상기 로터(2)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52a)}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테이터(1)는 상기 점성 유체가 충전되는 환 형상 공간(12g)을 가지며, 상기 로터(2)의 주체부는 상기 환 형상 공간(12g)에 들어가도록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환 형상 밀봉부(3)는, 상기 로터(2)의 외주부(22n)에 구비되는 외측 환 형상 부분(32)과, 상기 로터(2)의 내주부(22m)에 구비되는 내측 환 형상 부분(31)과, 양자의 연결 부분(33)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1)의 환 형상 공간(12g)을 구성하는 상기 로터(2)의 내주부(22m)에 마주보는 내측 주회벽(12c)에, 상기 환 형상 밀봉부(3)의 내측 환 형상 부분(31)에 상기 연결 부분(33)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 맞닿는 환 형상 돌출부(12n)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장치.
KR1020150014464A 2014-02-03 2015-01-29 댐퍼 장치 KR101664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8923A JP6210893B2 (ja) 2014-02-03 2014-02-03 ダンパー装置
JPJP-P-2014-018923 2014-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998A KR20150091998A (ko) 2015-08-12
KR101664653B1 true KR101664653B1 (ko) 2016-10-10

Family

ID=5389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464A KR101664653B1 (ko) 2014-02-03 2015-01-29 댐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10893B2 (ko)
KR (1) KR1016646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911B2 (ja) * 1992-10-29 2000-07-24 豊田合成株式会社 逆止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1069A (ja) * 1988-05-19 1989-11-22 Toshiba Corp 弁装置
JPH0367911A (ja) * 1989-08-04 1991-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燃焼装置
ES2292155T3 (es) 1999-08-05 2008-03-01 Nifco Inc. Amortiguador rotacional cilindrico de aceite.
TW528129U (en) * 1999-08-09 2003-04-11 Nifco Inc Oil type cylindrical rotary damper
JP3067911U (ja) * 1999-10-04 2000-04-21 不二精器株式会社 ロ―タリ―ダンパ
JP4652923B2 (ja) * 2005-08-03 2011-03-16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2009085294A (ja) * 2007-09-28 2009-04-23 Aisin Chem Co Ltd 流体制御部品用樹脂製ホルダ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8861A (ko) * 2009-11-03 2011-05-12 김학건 부싱과 확관부 일체형 상하수도관 및 연결구
JP5743557B2 (ja) * 2011-01-11 2015-07-0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911B2 (ja) * 1992-10-29 2000-07-24 豊田合成株式会社 逆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45704A (ja) 2015-08-13
JP6210893B2 (ja) 2017-10-11
KR20150091998A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0381A1 (ja) 流体ダンパ装置およびダンパ付き機器
EP2664818B1 (en) Damper device
CN107896014B (zh) 马达
TWI743186B (zh) 轉子驅動部防水構造及紡車式捲線器
JP6400932B2 (ja) 流体ダンパ装置およびダンパ付き機器
KR20050018613A (ko) 댐퍼
KR101664653B1 (ko) 댐퍼 장치
JP6150737B2 (ja) ダンパー装置
TWI451027B (zh) 流體阻尼鉸鏈
KR100927965B1 (ko) 조립식 회전 제한수단을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JP3930685B2 (ja) スナップフィットヒンジ
JP7346038B2 (ja) 電気モータのためのクロージャーシステム及び対応する密閉方法
JP5738656B2 (ja) ダンパ
JP6105527B2 (ja) 軸受装置及びモータ
JP2018071558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付きダンパー、及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
KR10072125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CN109477538B (zh) 流体缓冲装置以及带缓冲的设备
CN216279332U (zh) 内开手柄总成及车辆
KR20030035857A (ko) 회전댐퍼
JP3067911U (ja) ロ―タリ―ダンパ
JP4898629B2 (ja) ダンパー装置
JP4335624B2 (ja) 回転ダンパー
JP2022047368A (ja) 積層バネ式ワンウェイトルクヒンジおよび積層バネ式ワンウェイトルクヒンジの製造方法
JP2022047367A (ja) 積層バネ式トルクヒンジおよび積層バネ式トルクヒンジの製造方法
JP2020070915A (ja) 多段抵抗トルク式トルク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