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080A - 논코어링 드릴 비트 - Google Patents

논코어링 드릴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080A
KR20090073080A KR1020097002669A KR20097002669A KR20090073080A KR 20090073080 A KR20090073080 A KR 20090073080A KR 1020097002669 A KR1020097002669 A KR 1020097002669A KR 20097002669 A KR20097002669 A KR 20097002669A KR 20090073080 A KR20090073080 A KR 2009007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ond
diamond grindstone
drill bit
grindstone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꾸마 노나까
나오히데 무라까미
가즈히사 모리따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4Zonally-graded wheels; Composite wheels comprising different abra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8Wheels of special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34Combined cutting means

Abstract

논코어링 드릴 비트는 천공 공구의 섕크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와셔(2)와 상기 와셔(2)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개방되는 오목 절결부(10)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와, 상기 오목 절결부(10) 내에 설치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를 갖는다.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선단부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선단부보다도 와셔(2)측에 위치한다.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선단부면의 내측은 대략 홈 형상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논코어링 드릴 비트, 와셔, 다이아몬드 지석체, 오목 절결부, 섕크

Description

논코어링 드릴 비트 {NONCORING DRILL B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모르타르, 블럭 등에 천공하기 위한 논코어링 드릴 비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옥외 장치를 콘크리트의 벽에 설치하는 경우, 우선 콘크리트벽에 천공하여, 이 파일럿 구멍(pilot hole)에 앵커를 설치하고, 앵커에 상기 옥외 장치를 나사 고정한다.
이와 같은 파일럿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 공구로서 해머 드릴이나 다이아몬드 드릴이 알려져 있다. 해머 드릴은 콘크리트벽에 타격을 가하여, 비트의 선단부의 초경 칩을 찔러서 깨뜨리면서 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공구는 타격음이 크다.
이에 대해, 다이아몬드 드릴은 받침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선단부에 다이아몬드 지석체를 고정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벽에 비트를 회전시키면서 문질러서 표면을 깎으면서 구멍을 뚫기 때문에, 작업음이 조용한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그런데, 다이아몬드 드릴은 선단부의 비트를 항상 계속해서 압박해야만 하므로 마찰열이 발생하여 고열이 된다. 이로 인해, 비트 내에 물을 통과시키는 습식(특허 문헌 1, 2 참조)이 일반적이지만, 중심에 물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트는 중공으로 해야만 한다. 따라서, 코어링 드릴 비트에서는 냉각용 물을 순환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해지는 것 외에, 중공 비트 내에 남은 콘크리트의 절삭 칩(연삭 가루)을 제거하는 수단이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건식의 다이아몬드 드릴은 적어도 일부분이 중실(中實)로 만들어져 선단부가 평탄하게 형성되고, 철을 베이스로 한 받침대 상에 다이아몬드 지석체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건식의 다이아몬드 드릴에 있어서는, 물순환 설비나 콘크리트의 칩 제거 수단도 불필요해, 일측으로 개방되는 홈 형상(slotted shape)의 오목 절결부를 구비하고, 연삭 가루는 오목 절결부로부터 외부로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3089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24582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이하, 단순히 비트라고 함)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1) 도 9a에 있어서 비트(20)의 베이스(23)는 중실이므로[부호 22는 다이아몬드 지석체(21)의 오목 절결부], 다이아몬드 지석체(21)의 외주측과 중심측에서 깎이게 되지만, 외주측(21a)의 회전 속도와 중심측(21b)의 회전 속도는 상이하다. 상기 비트(20)를 회전시켜 천공하면, 외주측(21a)의 속도는 빠르기 때문에 콘크리트에 대한 가공 능력은 높으나, 중심측(21b)의 속도는 느리기 때문에 가공 능력도 낮아진다. 천공 속도는 가공 능력이 낮은 중심측의 가공 능력으로 결정되므로, 비트(20)가 새것인 동안은 천공 속도가 느리다. 천공 작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 트(20)의 중심측이 마모되므로, 외주측에서 구멍을 깎을 수 있게 되어, 성능이 향상되지만, 소정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2) 비트의 중심측이 감소되면 성능도 향상되지만, 비트의 외주측과 내주측의 회전 속도의 차이에 의해 구멍(15)의 선단부의 중심에는 깎이고 남은 원추 형상의 돌기부가 생겨 버린다. 초기에는 좋지만, 외주측이 마모되어 높이가 낮아져, 도 9b와 같은 상태가 되면, 다이아몬드 지석체(21)의 선단부 중심측에 원추형으로 남은 돌기부(16)의 정상부(17)가 베이스(23)에 닿아 버린다. 베이스(23)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연마재는 없고, 중심의 회전 속도는 매우 느리기 때문에, 돌기부(16)의 깎기는 좀처럼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부가 아닌, 돌 등이 중심에 막혀 버린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중심 부분이 깎이지 않으면 천공도 진행되지 않으므로, 일단 비트(20)를 인출하고 돌기부(16)를 제거하여 다시 천공 작업을 한다는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해야만 하므로, 천공 속도는 급속히 떨어져 버린다.
(3) (2)의 상태로부터 더욱 천공을 계속하면, 천공 속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다이아몬드 지석체(21)의 외주 부분의 높이가 낮아지지만, 동시에 베이스(23)(철제이고 다이아몬드의 입자가 없음)의 외주면은 비트 선단부보다도 마모되기 쉬우므로, 도 9c와 같이, 이 부분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버린다. 비트(20)의 외주면(24)은 천공이 직진적으로 진행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이기도 하므로, 천공 작업이 반복되어 가이드 부분(24)이 짧아져 버리면, 직진성이 나빠진다. 직진의 가이드를 잃게 되면, 비트(20)는 도 9b의 화살표와 같이 저항이 작은 쪽으로 가고 싶어 한다. 콘크리트의 성분은 균일하지 않으므로, 저항도 불규칙해서, 구멍은 구부러져 버리기 쉽다. 예를 들어, 전술한 앵커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부러진 구멍으로는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또한 앵커를 구멍 내에 유지하는 유지력도 떨어져 버린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주로 사용 개시로부터 사용 종료까지 거의 일정한 천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논코어링의 드릴 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논코어링 드릴 비트는 천공 공구의 섕크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개방되는 오목 절결부를 갖는 대략 환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와, 상기 오목 절결부 내에 설치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를 갖고,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제1 관점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선단부면의 내측은 대략 홈 형상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관점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높이를,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외주면이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와 대략 동등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관점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에 있어서, 천공 작업에 의해 구멍의 중앙에 원추 형상으로 깎이고 남은 돌기부의 정상부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했을 때에 남은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외주면의 높이가,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로 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는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일체화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관점에 따르면, 논코어링 드릴 비트는 천공 공구의 섕크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개방되는 오목 절결부를 갖는 대략 환 형상 또는 기둥 형상의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와, 상기 오목 절결부 내에 설치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를 갖고, 상기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천공 작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가 마모되어, 결국 구멍의 선단부 중앙에 깎이고 남겨진 원추형의 돌기부 정상부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에 접촉하게 된다.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는 오목 절결부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 속도는 느리지만, 돌기부의 정상부도 작기 때문에, 단시간에 깎인다. 이와 같이,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로 돌기부를 적극적으로 깎을 수 있으므로, 천공 속도는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돌기부를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로 깎고 있으므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로 깎은 연삭 가루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로 깎은 연삭 가루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특별한 수순을 필요로 하지 않고 양 연삭분의 배출을 더불어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개시부터 사용 종료까지 거의 일정한 천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점에 따르면,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선단부면의 내측은 대략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선단부면의 외주연은 콘크리트 등의 피천공재에 대한 침투력이 좋고, 또한 비트의 외주측의 회전 속도는 빠르고, 회전 속도가 느린 내측에 비해 가공 능력은 높다. 따라서, 논코어링 드릴 비트를 콘크리트에 압박하기 시작했을 때, 상기 외주연으로부터 깎기가 개시되고, 가공 능력이 낮은 내주측 부분은 콘크리트면에는 닿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용 개시로부터 빠른 속도로 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관점에 따르면, 상기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높이를,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외주면이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와 대략 동등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천공 작업에 있어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마모 상태에 의해 사용 종료를 알 수 있는 동시에, 사용 종료 시라도 천공 직진성을 양호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4 관점에 따르면, 천공 작업에 의해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가 마모되어 구멍의 중앙에 원추 형상으로 깎이고 남겨진 돌기부의 정상부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했을 때에 남은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외주면의 높이가,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돌기부가 베이스에 접촉되면, 베이스에는 천공 성능은 없으므로, 천공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진다. 또한, 베이스의 노출면은 확실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 종료의 시기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라도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외주면에 의해 직진성의 가이드가 확보되어,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뚫린 구멍은 구부러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앵커 등의 부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양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5 관점에 따르면,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가 별도의 부재이다. 피천공재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나 경량 블럭과 같이 돌이 혼입되어 있는 것인지, 혼입되어 있지 않은 것인지 등에 의해 깎이고 남은 돌기부의 형상이 바뀌고, 비트의 사용 편의성이 바뀐다는 문제에 대해, 피천공재에 대응하여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조성을 바꾸는 것에 의해, 최적인 논코어링 드릴 비트로 할 수 있다.
또한, 피천공재에 따라서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양쪽의 조성을 바꿈으로써, 천공에 최적인 논코어링 드릴 비트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및 효과는 실시예의 기재 및 첨부한 클레임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시도.
도 2a는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평면도.
도 2b는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정면도.
도 2c는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저면도.
도 3은 상기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 개시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 중의 정면도.
도 5는 돌기부의 깎기 형태를 평면으로부터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상기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 종료 근처의 정면도.
도 7은 상기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 종료 시의 정면도.
도 8a는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b는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c는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a는 종래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에 의한 마모 상태의 설명도.
도 9b는 종래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에 의한 마모 상태의 설명도.
도 9c는 종래의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사용에 의한 마모 상태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논코어링 드릴 비트
2 : 와셔
3 :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
3a : 다이아몬드 없음부
3b : 다이아몬드 있음부
4 :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
10 : 오목 절결부
11 : 외주면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비트의 사시도, 도 2a는 그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그 저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비트를 나타낸다. 이 비트(1)는 와셔(2)와, 상기 와셔(2)에 설치된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와,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내측에 설치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로 구성되어 있다.
와셔(2)는 철제이고, 1변에 결원부(缺圓部)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받침대부(2a)의 일측에 볼트부(5)를, 타측에 볼록부(6)를 형성한 것으로, 볼트부(5)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 공구의 섕크(7)의 선단부의 너트부(8)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6)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저부에 형성된 오목부(9)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는 외주면으로 개방되는 오목 절결부(10)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메탈 본드(일례로서 구리 주석을 베이스로 한 합금)의 입자와 다이아몬드 입자를 혼합하여 소결한 소결체이다.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기부의 층(3a)은 다이아몬드 입자가 없는 다이아몬드 없음부로 되어 있고, 다이아몬드 없음부의 선단부측에 다이아몬드 있음부(3b)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9)는 이 다이아몬드 없음부(3a)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이 오목부(9)에 와셔(2)의 볼록부(6)를 끼워 맞추어 납땜 고정되어 있다. 다이아몬드 없음부(3a)에 천공 능력은 없고, 다이아몬드 없음부(3a)와 와셔(2)로 베이스(100)를 구성한다.
또한,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다이아몬드 없음부(3a)는 그 중심부에 와셔(2)의 볼록부(6)에 끼워 맞추어지기 위한 오목부(9)를 형성하여 와셔(2)와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와셔(2)로부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가 박리되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다이아몬드 없음부가 없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를 직접적으로 와셔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외주면(11)은 천공이 직진 진행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지만, 다이아몬드 없음부(3a)와 와셔는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하지 않으므 로, 그 외주면(11)은 서서히 마모되어 버리기 때문에, 직진의 가이드는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오목 절결부(10)는 평면에서 볼 때 부채형으로 형성되고, 그 기초부(10a)는 비트(1)의 중심(O)을 초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선단부면의 링 형상 외주연(12)의 내측의 내주면(13)은 대략 홈 형상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대략 홈 형상의 내주면(13)의 경사 각도는 종래의 비트(20)를 사용했을 때에 생기는 원추형의 잔재에 의한 돌기부[도 9b에 부호 16으로 나타냄]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와 거의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오목 절결부(10)는 주로 천공 시에 깎인 콘크리트의 연삭 가루를 외부에 배제하기 위한 부분이기 때문에, 반드시 평면에서 볼 때 부채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다음에,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도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와 동일한 구성의 소결체이고,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오목 절결부(10)의, 내측 형상과 동일한 외측 형상을 갖는 동시에, 오목 절결부(10)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오목 절결부(10)에 노출된 다이아몬드 없음부(3a)의 선단부면에 납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오목 절결부(10)의 외측의 단부보다도 내측으로 세트백(setback)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축방향의 선단부 위치는 제1 다이 아몬드 지석체(3)의 선단부보다도 와셔(2)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높이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외주면(11)[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제외함]이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h)와 거의 동등해지도록 설정된다. 즉,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축방향의 길이는 다이아몬드 있음부(3b)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비트(1)의 축방향이라 함은, 비트(1)의 회전축의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직경이 16 ㎜ 정도이면, 직진을 가이드할 수 있는 높이(축방향의 길이)는 최저 6 ㎜ 전후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비트(1)의 사용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다이아몬드 없음부(3a)와 와셔(2)를 모두 베이스(100)로 표현한다. 또한, 이하 기재에 있어서,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가 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갖지 않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100)는 와셔(2)에 대응한다.
도 3과 같이 천공 공구의 섕크(7)의 선단부에 상기 구성의 비트(1)를 설치하고, 이것을 회전시켜 도 4와 같이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선단부를 콘크리트(14)에 압박하면, 콘크리트(14)는 비트(1)와의 접촉 부분으로부터 깎여 천공 가공이 이루어져 간다. 부호 15는 그 구멍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 비트(1)는, 외주연(12)의 내주면(13)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선 비트(1)의 외주연(12)이 콘크리트(14)에 접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1)의 외주측의 회전 속도(v1)는 빠르고, 내주측의 회전 속도(v2)는 느리기 때문에, 외주측의 쪽이 내측에 비해 가공 능력은 높다. 따라서, 비트(1)를 콘크리트(14)에 압박하기 시작했을 때, 침투력이 좋은 외주연(12)으로부 터 깎기가 개시되고, 가공 능력이 낮은 내측 부분은 콘크리트(14)면에는 닿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용 개시부터 빠른 속도로 천공할 수 있다.
이윽고, 비트(1)의 내주면(13)도 콘크리트(14)에 접촉하여, 비트(1)의 선단부 전체면에서 깎기가 진행되게 된다. 비트(1)의 중심측에서는 원추형의 깎이고 남은 돌기부(16)가 생기고, 이것이 성장해 가지만, 콘크리트(14)에는 돌가루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성장하면 회전에 의한 진동 등으로 깨지거나 부서져서 자연스럽게 오목 절결부(10)로부터 배출되므로, 중심측의 능력은 작아도 좋고, 천공 속도로의 영향은 작다. 깎인 연삭 가루는 오목 절결부(10)로부터 베이스(100)의 측부를 경유하여 섕크(7)측으로 배출된다. 오목 절결부(10)는 비트(1)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와 같이 회전했을 때에 비트(1)의 전체 둘레면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깎인 연삭 가루는 모두 오목 절결부(10)로부터 배출된다.
천공 작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가 마모되어, 곧 도 6과 같이 콘크리트(14)의 돌기부(16)의 정상부(17)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에 접촉하게 된다.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속도는 느리지만, 돌기부(16)의 정상부(17)도 작기 때문에 단시간에 깎인다. 이와 같이,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로 돌기부(16)를 적극적으로 깎을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14)의 비트(1)에 닿는 외측 부분은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에 의해 깎이고, 내측 부분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에 의해 보조적으로 깎여 간다.
더욱, 천공이 진행되어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가 마모되어 도 7과 같이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표면에 평평한 부분이 없어져, 여기도 홈 형상이 되면,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제외함]의 외주면의 높이는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각 외주면(11)의 높이에 점차 근접해 간다[즉, 다이아몬드 있음부(3b)의 축방향의 선단부 위치는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각 외주면(11)의 축방향의 선단부 위치에 근접해 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높이(h)[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축방향의 길이(h)]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외주면(11)이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길이와 거의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그 이상 계속해서 사용하면,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 자체가 천공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라도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외주면(11)에 의해 직진성의 가이드가 확보되어,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뚫린 구멍은 구부러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앵커 등의 부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포함함]는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그 외주면은 서서히 마모되어 직진의 가이드는 할 수 없다.
상술한 구성의 비트(1)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선단부면의 내측에는 대략 홈 형상의 내주면(13)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주면(13)의 경사는 종래의 비트(1)를 사용했을 때에 생기는 원추형의 돌기부(16)의 경사면의 각도와 거의 등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트(1)의 선단부는 처음부터 이상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개시부터 소정의 성능을 발휘하여 빠른 속도로 천공할 수 있다.
또한, 천공 작업에 수반하여 뚫린 구멍(15)의 선단부의 중심에는 원추형 돌기부(16)가 생기지만, 그 정상부(17)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에 닿으면, 콘크리트(14)의 비트(1)에 닿는 외측 부분은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에 의해 깎이고, 내측 부분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에 의해 보조적으로 깎이므로, 천공 속도는 떨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표면이 마모되어 홈 형상으로 되어 버리면, 그 높이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의 외주면(11)이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와 거의 동등해지므로, 그 이상의 천공은 직진의 가이드를 담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감소 상태를 보고, 그 비트(1)의 사용 한도와 비트(1) 교환의 시기를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뚫린 구멍(15)은 구부러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앵커 등의 부재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천공 시에 구멍(15)의 중앙에 발생한 돌기부(16)의 정상부(17)가 베이스(100)에 접촉되었을 때에,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제외함]의 외주면(11)의 높이가,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h)가 되도록 조정해도 좋다[다이아몬드 있음부(3b)의 외주면(11)의 축방향의 길이가,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축방향의 길이(h)가 되도록 조정해도 좋음].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6)의 정상부(17)가 베이스(100)에 접촉 했을 때의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제외함]의 외주면(11)의 높이가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h)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다이아몬드 있음부(3b)의 외주면(11)의 축방향의 길이가, 가이드 가능한 최저의 축방향의 길이(h)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 이때에,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제외함]의 외주면(11)의 높이가 상기 높이(h)보다도 낮아져 버릴 때[다이아몬드 있음부(3b)의 외주면(11)의 축방향의 길이가 상기 축방향의 길이(h)보다도 짧아져 버릴 때]에는, 도 8b와 같이, 베이스(100)에 부족분의 단차부(18)를 덧붙여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를 고정하면 좋다. 또한, 이때에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제외함]의 외주면(11)의 높이가 상기 높이(h)보다도 높아져 버릴 때[다이아몬드 있음부(3b)의 외주면(11)의 축방향의 길이가 상기 축방향의 길이(h)보다도 길어져 버릴 때]에는, 도 8c와 같이, 베이스(100)에 오목부(19)를 형성하여 거기에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를 고정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천공 작업에 의해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가 마모되어 구멍의 중앙에 원추 형상으로 깎이고 남겨진 돌기부(16)의 정상부(17)가 상기 베이스(100)에 접촉했을 때에 남은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다이아몬드 없음부(3a)를 제외함]의 외주면(11)의 높이[다이아몬드 있음부(3b)의 외주면(11)의 축방향의 길이]는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높이(h)[축방향의 길이(h)]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이 종료되었을 때에도 직진성의 가이드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6)가 베이스(100)에 접촉하면, 베이스(100)에는 천공 성 능은 없기 때문에, 천공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진다. 또한, 베이스(100)의 노출면은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1)의 사용 한도와 사용 종료의 시기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양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3)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는 일체로 성형해도 좋지만,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일체화된 구성이라도 좋다. 별도의 부재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에는 피천공재가 콘트리트(14)나 모르타르나 경량 블럭과 같이 돌이 혼입되어 있는 것인지, 혼합되어 있지 않은 것인지에 의해 깎이고 남겨진 돌기부의 형상이 바뀌고, 비트(1)의 사용 편의성도 바뀌기 때문에, 피천공재에 대응하여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4)의 조성을 바꿈으로써, 최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고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6년 8월 10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6-217767)을 기초로 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취입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모르타르, 블럭 등에 천공하기 위한 논코어링 드릴 비트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천공 공구의 섕크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에 고정되어, 외주면으로 개방되는 오목 절결부를 갖는 대략 환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와,
    상기 오목 절결부 내에 설치된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를 구비하고,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축방향의 선단부는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축방향의 선단부보다도 와셔측에 위치하는 논코어링 드릴 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는 축방향의 와셔측에 위치하여 다이아몬드 입자를 갖지 않는 다이아몬드 없음부와, 축방향의 선단부측에 위치하여 다이아몬드 입자를 갖는 다이아몬드 있음부를 갖고,
    상기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다이아몬드 있음부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은 논코어링 드릴 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선단부면의 내측은 홈 형상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논코어링 드릴 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의 외주면이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축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등한 논코어링 드릴 비트.
  5. 제2항에 있어서, 천공 작업에 의해 논코어링 드릴 비트의 구멍의 중앙에 원추 형상으로 깎이고 남겨진 피천공재의 돌기부의 정상부가 상기 다이아몬드 없음부에 접촉했을 때에, 남은 다이아몬드 있음부의 외주면의 축방향의 길이는 천공의 직진성을 가이드할 수 있는 최저의 길이로 설정되는 논코어링 드릴 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아몬드 지석체와 제2 다이아몬드 지석체는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일체화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코어링 드릴 비트.
KR1020097002669A 2006-08-10 2007-08-09 논코어링 드릴 비트 KR20090073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7767A JP5318338B2 (ja) 2006-08-10 2006-08-10 ノンコアドリルビット
JPJP-P-2006-217767 2006-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80A true KR20090073080A (ko) 2009-07-02

Family

ID=3903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669A KR20090073080A (ko) 2006-08-10 2007-08-09 논코어링 드릴 비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47193B2 (ko)
EP (1) EP2050550B1 (ko)
JP (1) JP5318338B2 (ko)
KR (1) KR20090073080A (ko)
CN (1) CN101500769B (ko)
AU (1) AU2007282390A1 (ko)
WO (1) WO2008018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8058B2 (ja) * 2005-12-28 2012-09-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砥石車のツルーイング装置及びツルーイング方法
US20130022421A1 (en) * 2011-07-21 2013-01-24 Robert Bosch Gmbh Abrasive coring bit
CN108971590A (zh) * 2018-08-02 2018-12-11 南京中车浦镇城轨车辆有限责任公司 一种高强度开孔铣刀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4664A (en) * 1981-04-30 1982-11-13 Sanwa Kenma Kogyo Kk Selector mechanism of grinding stone in polisher
JPS644605A (en) 1987-06-27 1989-01-09 Daiso Co Ltd Thermosetting molding material
JPH0530891Y2 (ko) * 1987-06-30 1993-08-09
EP0350526B1 (en) * 1988-07-14 1994-10-26 Asahi Diamond Industrial Co. Ltd. Non-core drill
JPH0625307Y2 (ja) * 1988-10-24 1994-07-06 ノリタケダイヤ株式会社 ダイヤモンドドリル
JPH0634082Y2 (ja) * 1989-04-05 1994-09-07 有限会社吉野精機 穿孔工具のドリルビット
JPH0530891A (ja) 1991-07-26 1993-02-09 Hisashi Masumoto 抹茶・山高食パンの製造方法
JP3257602B2 (ja) 1992-03-04 2002-02-18 ラサ工業株式会社 ノンコアドリル
CN2150031Y (zh) * 1993-04-16 1993-12-22 张仕明 空心钻头
DE4436915A1 (de) * 1994-10-15 1996-04-18 Hilti Ag Hohlbohrkrone mit einem hohlzylindrischen Trägerkörper
CN2282974Y (zh) * 1996-07-04 1998-06-03 刘人 螺旋空心钻头
JP3657165B2 (ja) * 2000-02-23 2005-06-08 株式会社ノリタケスーパーアブレーシブ 穿孔機の先端部構造
JP3854587B2 (ja) * 2003-05-06 2006-12-06 株式会社呉英製作所 研削穿孔工具
JP2006217767A (ja) 2005-02-07 2006-08-17 Honda Motor Co Ltd コ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JP2009299383A (ja) * 2008-06-16 2009-12-24 Consult:Kk 丸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82390A1 (en) 2008-02-14
JP2008037058A (ja) 2008-02-21
JP5318338B2 (ja) 2013-10-16
US20100260562A1 (en) 2010-10-14
WO2008018559A1 (fr) 2008-02-14
EP2050550B1 (en) 2017-08-02
EP2050550A4 (en) 2015-04-01
CN101500769B (zh) 2012-12-26
EP2050550A1 (en) 2009-04-22
CN101500769A (zh) 2009-08-05
US8047193B2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00994A (ja) ドリルビット
JP2015027707A (ja) フライス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フライス
EP1407865B1 (en) Tool, device and method for drilling
JPH11915A (ja) コアビット
KR20090073080A (ko) 논코어링 드릴 비트
JP2008155310A (ja) ノンコアドリル及びノンコアドリルを用いた研削方法
JP4117493B2 (ja) コアドリル
KR200455894Y1 (ko) 코아드릴
JP2013067023A (ja) 穿孔工具
JP2007038330A (ja) 切削カートリッジおよび切削工具
WO1998005458A1 (en) Masonry drill bit
CN211464934U (zh) 一种多功能钻铣铰刀
WO1989001086A1 (en) Masonry two-prong rotary drill bit
JP3382748B2 (ja) 乾式穿孔用ダイヤモンドドリルビット
JP2003251512A (ja) ダイヤモンド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穿孔方法
JP3854587B2 (ja) 研削穿孔工具
JP3835902B2 (ja) ドリル
KR200284720Y1 (ko) 코어드릴 비트용 다이아몬드팁
JP2000052119A (ja) 深穴加工用ドリル
KR200408205Y1 (ko) 드릴코아
CN210616834U (zh) 木料加工用钻具
JP2011201095A (ja) ドリルビット
JPH0241809A (ja) 回転式孔あけ工具の面取り刃
JPH0217812Y2 (ko)
JP3129188U (ja) 硬質材切断用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