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894Y1 - 코아드릴 - Google Patents

코아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894Y1
KR200455894Y1 KR2020090000203U KR20090000203U KR200455894Y1 KR 200455894 Y1 KR200455894 Y1 KR 200455894Y1 KR 2020090000203 U KR2020090000203 U KR 2020090000203U KR 20090000203 U KR20090000203 U KR 20090000203U KR 200455894 Y1 KR200455894 Y1 KR 200455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tip
head tip
cor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288U (ko
Inventor
오명환
Original Assignee
오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명환 filed Critical 오명환
Priority to KR2020090000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89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02Core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 및 콘크리트 등에 코아(core)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코아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틸 코아(steelcore)의 림(rim)부위 표면에 다이아몬드 싱글 레이어(diamond single layer)를 가진 세그먼트 타입의 헤드팁을 이용해 헤드팁이 벽면과의 마찰을 줄이고 단시간에 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헤드팁이 벽면에 회전이 시작되는 헤드팁의 회전시작부 선단면이 100°~150°의 경사각을 가짐으로서 드릴의 절단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다이아몬드 사용량을 적게 하면서도 효용성을 높여서 원가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코아드릴에 관한 것이다.
드릴코아, 헤드팁, 타공, 절삭

Description

코아드릴{Core drill}
본 고안은 석재 및 콘크리트 등에 코아(core)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코아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틸 코아(steelcore)의 림(rim)부위 표면에 다이아몬드 싱글 레이어(diamond single layer)를 가진 세그먼트 타입의 헤드팁을 이용해 헤드팁이 벽면과의 마찰을 줄이고 단시간에 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헤드팁이 벽면에 회전이 시작되는 헤드팁의 회전시작부 선단면이 100°~150°의 경사각을 가짐으로서 드릴의 절단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다이아몬드 사용량을 적게 하면서도 효용성을 높여서 원가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코아드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이아몬드 코아 드릴에 사용되는 다이아몬드 코아 드릴은 연속 타입(continuous type)과 세그먼트 타입(segment type)이 있다.
연속 타입은 드릴이 일체형인 팁으로 되어 있어 다이아몬드 분말(diamond material)과 메탈 파우더(metal powder)를 혼합 성형하여 베이킹(baking)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고, 세그먼트 타입은 원주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블랭킹을 두고 스틸 코아의 전면에 수개의 다이아몬드 세그먼트가 부착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세그먼트 타입의 드릴은 다이아몬드 분말이 메탈 파우더와 무작위로 혼합 분포되어 있어 석재 및 콘크리트 등과 같이 부서지기 쉬운 재료(crushable material)를 절단할 때 고강도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근 등에 접촉되게 되면 절삭의 어려움이 있으며 동시에 헤드팁의 온도가 상승하여 헤드팁의 변형을 일으켜 헤드팁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물론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한, 다이아몬드 드릴 헤드팁의 에지(edge)부분이 중앙 부위보다 마모가 심하여 전체 드릴의 모양이 라운드(round) 형태로 변하는 R 마모 현상을 일으키며, 또한 수평형의 형상을 가진 드릴의 헤드팁이 벽면과의 필요이상의 접촉면적을 가짐으로서 마찰이 심하고 타공할 면의 흠집을 깊게 내지 못하고 장시간의 드릴작업을 해야만 천공이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기존의 도 1에 도시된 코아드릴(10)에 있어 세그먼트 타입의 헤드팁(15)은 사면체 형상에 드릴비트 내부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형태로 상기 세그먼트 타입의 사면체 형상 헤드팁(15)은 벽면과의 닿는 부분이 수평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벽면과 100% 밀착시켜 타공을 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벽면과의 닿는 면적이 넓어 필요이상의 마찰면을 가짐으로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증가와 장시간 타공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면체형상의 헤드팁(15)이 벽면과 닿는 면이 수평형의 직사각형을 가지게 되면 라운드 형태로 마모가 생기게 되며, 드릴의 헤드팁(15)과 절단한 재료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됨으로서 절단성이 불량해지고, 이때 발생한 다량의 미세한 절삭칩의 마찰에 의해 다이아몬드 드릴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어 톱니형, 요철형 등 헤드팁의 선단부 형상을 개선하였으나, 콘크리트와 같은 고경도의 벽면을 파고 들 때 헤드팁의 회전측 앞머리가 직각의 경사각을 형성하고 있어 초기에는 벽면에 깊게 상처를 내주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회전측 앞머리가 라운드형상으로 변형되거나 빗살모양으로 변형되어 벽면의 절삭이 어렵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기존의 헤드팁의 톱니형, 요철형 등 개선된 코아드릴보다 더 절삭효율이 우수한 헤드팁의 회전측 선단부를 직각 이상의 경사각을 주어 타공의 초기 흠집뿐만 아니라 절삭 및 타공력이 우수한 개량된 코아드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코아드릴 헤드팁이 벽면과 면접하는 부위의 형상을 달리하고, 코아드릴 헤드팁의 회전시작부 선단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주어 벽면과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마찰의 최소화로 벽면의 흠집을 내는 정도를 최대로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며, 드릴의 절단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키고, 다이아몬드 사용량을 적게 하면서도 효용성을 높여서 원가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코아드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드릴몸체의 드릴척에 장착하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코아드릴의 원통형 몸체 선단에 부착되는 헤드팁이 형성된 코아드릴에 있어서, 상기 헤드팁 상단면의 형상이 수평형, 톱니형, 단차형, 요철형 중 택일하여 형성되는 코아드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헤드팁의 회전시작부 선단면이 헤드팁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100°~150°의 경사각(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코아드릴의 헤드팁이 경사각을 가짐으로서 절삭깊이를 깊게 하여 빠른 시간내에 타공되는 효과를 가져오며, 더구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헤드팁의 마모에 있어서도 경사각이 항상 유지되어 타공의 효율을 처음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즉, 헤드팁의 회전시작부 선단면의 경사각이 장시간 사용에 따라 헤드팁의 상단부는 마모가 발생하지만 상기 경사각은 항상 복원되는 형상화로 본질적인 경사각을 그대로 가지고 있게 된다.
또한, 헤드팁 선단면의 경사각으로 인해 코아 절단 시간의 단축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및 성능이 향상되며, 다이아몬드가 적게 함유되어 효용성이 높고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드릴몸체(200)의 드릴척(210)에 장착하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코아드릴(100)의 원통형 몸체 선단에 부착되는 헤드팁(150)이 형성된 코아드릴(100)에 있어서, 상기 헤드팁(150) 상단면의 형상이 수평형(110a), 톱니형(110b), 단차형(110c), 요철형(110d) 중 택일하여 형성되는 코아드릴(100)을 제공하며, 한편, 상기 헤드팁(150)의 회전시작부(151) 선단면(152)이 헤드팁(150)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100°~150°의 경사각(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100)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헤드팁(150)의 상단면 형상이 수평형(110a)의 드릴코아(100)는 벽면이 두께가 두껍거나 고강도의 구조를 가지는 벽면 또는 장시간의 타공을 요하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드릴코아(100)이며, 도 4와 도 5에 나타낸 헤드팁(150)의 상단면 형상이 톱니형(110b)의 드릴코아(100)는 벽면의 두께가 얇거나 빠른 시간내 순간적인 타공을 요구할 때 사용되는 드릴코아(100)이며, 도 6과 7은 헤드팁(150)의 상단면 형상이 단차형(110c)의 드릴코아(100)는 많은 분진이 배출되는 벽면(300)에 사용되는 것으로 단차진 공간을 통해 미세먼지가 모집되어 먼지 덩어리로 배출되는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분진이 날려서는 안되는 공간에서 사용되는 드릴코아(100)이고, 도 8과 도 9는 헤드팁(150)의 상단면 형상이 요철형(110d)의 드릴코아(100)는 상기 톱니형(110d)이 사용되는 벽면(300)을 포함하여 금속재질의 벽면을 타공시 사용되는 드릴코아(100)로 본 고안에서는 헤드팁(150)의 상단면 형상이 단순한 설계변경이 아닌 사용되고자 하는 벽면(300)의 성질에 따라 형상화된 헤드팁(150)을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9에 나타낸 드릴몸체(200)에 헤드팁(150) 형상도와 도 9에 나타낸 본 고안의 코아드릴(100)을 장착하여 드릴링하는 예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아드릴(100)의 원통형 몸체의 헤드팁 상단면의 형상이 수평형(110a), 톱니형(110b), 단차형(110c), 요철형(110d) 중 택일하여 이루어짐에 상기 상단면의 형상이 톱니형(110b), 단차형(110c), 요철형(110d)일 경우 타공되는 부위의 절삭이 쉽게 이루어져 즉, 타공하려는 부위의 흠집이 쉽게 형성되어 타공을 빠르고 유용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톱니형(110b), 단차형(110c), 요철형(110d)을 가진 상기 헤드팁(150)의 상단면이 벽면(300)과 닿는 면적이 적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속도에 의해 벽면(300)과의 마찰력이 최소화됨에 따라 헤드팁(150)이 더 깊게 벽면(300)을 파고들어 단시간에 벽면을 타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팁(150)의 상단면의 형상에 따른 타공효율뿐만 아니라 더욱 더 우수한 타공효율을 내기 위해 상기 헤드팁(150)의 회전시작부(151) 선단면(152)을 상기 헤드팁(150)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100°~150°의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서, 벽면(300)과의 마찰에 따른 절삭 깊이를 더욱 깊이 파게 하게 되며 동시에 코아드릴(10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속도에 의해 벽면(300)을 파고드는 깊이가 더 깊고 단시간에 타공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코아드릴(100)의 회전방향이 시작되는 헤드팁(150) 선단면(152)에 100°~150°의 경사각(θ)을 가지는 것으로 타공되는 벽면(300)을 더 깊게 파고 들어 단시간에 벽면(300)을 타공할 수 있으며, 게다가 초기 벽면(300)의 흠집을 깊게 낼 수 있어 벽면(300)에 타공하고자 하는 정확한 부위를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초기 진동에 의한 정확한 부위의 흠집을 낼 수 없는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릴몸체(200)에 본 고안의 코아드릴(100)을 장착하여 벽면(300)을 드릴링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으로 본 고안의 코아드릴(100)은 절삭회전에 의해 벽면(300)과 닿는 면을 회전과 동시에 흠집을 내어 빠른 시간내에 타공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아드릴은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고안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종래의 드릴코아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단면 형상이 수평형의 코아드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단면 형상이 톱니형의 코아드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단면 형상이 단차형의 코아드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단면 형상이 요철형의 코아드릴 구조도.
도 9는 도 8의 본 고안에 따른 헤드팁의 상세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코아드릴을 드릴몸체에 장착하여 벽면을 타공하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코아드릴 100, 수평형 110a, 톱니형 110b, 단차형 110c, 요철형 110d, 헤드팁 150, 회전시작부 151, 선단면 152, 드릴몸체 200, 드릴척 210, 벽면 300

Claims (2)

  1. 삭제
  2. 드릴몸체의 드릴척에 장착하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몸체 선단에 부착되는 헤드팁이 형성된 코아드릴에 있어서,
    상기 헤드팁 상단면의 후측에 단차진 공간이 형상되는 단차형으로 구비하되,
    상기 헤드팁의 회전시작부 선단면이 헤드팁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100°~150°의 경사각(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
KR2020090000203U 2009-01-08 2009-01-08 코아드릴 KR200455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03U KR200455894Y1 (ko) 2009-01-08 2009-01-08 코아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03U KR200455894Y1 (ko) 2009-01-08 2009-01-08 코아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88U KR20100007288U (ko) 2010-07-16
KR200455894Y1 true KR200455894Y1 (ko) 2011-09-30

Family

ID=4445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203U KR200455894Y1 (ko) 2009-01-08 2009-01-08 코아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8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888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에지텍 다이아몬드 코어 드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224B1 (ko) * 2016-09-13 2017-01-03 황광모 수동 굴착기기
KR200487462Y1 (ko) * 2016-12-20 2018-09-19 코디아산업 주식회사 코어 드릴용 코어비트
CN109267752B (zh) * 2018-11-12 2020-12-18 马鞍山建腾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混凝土打眼钻孔刀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4610A (ja) * 1983-01-19 1984-08-02 Miyanaga:Kk 金属板の重ね穿孔用コアドリル
JPS6124111U (ja) * 1984-07-16 1986-02-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穴あけ工具
JPH0558221U (ja) * 1992-01-13 1993-08-03 株式会社コンセック コアドリル
JPH07214411A (ja) * 1994-01-29 1995-08-15 Td Williamson Sa 取り外し自在の歯を持つカッター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4610A (ja) * 1983-01-19 1984-08-02 Miyanaga:Kk 金属板の重ね穿孔用コアドリル
JPS6124111U (ja) * 1984-07-16 1986-02-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穴あけ工具
JPH0558221U (ja) * 1992-01-13 1993-08-03 株式会社コンセック コアドリル
JPH07214411A (ja) * 1994-01-29 1995-08-15 Td Williamson Sa 取り外し自在の歯を持つカッター工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888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에지텍 다이아몬드 코어 드릴
KR102268416B1 (ko) * 2019-03-15 2021-06-23 주식회사 에지텍 다이아몬드 코어 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88U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492B2 (en) Cutters for fixed cutter bits
RU2615560C2 (ru) Буровое долото с модульными резцами и контролируемым буровым удельным давлением
US20220017798A1 (en) Complex polycrystalline diamond compact
JP4809711B2 (ja) ドリル
KR200455894Y1 (ko) 코아드릴
EP1117514B1 (en) Diamond blade having rim type cutting tip for use in grinding or cutting apparatus
JP2007501133A5 (ko)
CA2514637A1 (en) Cutting elements and bits incorporating the same
JP5365602B2 (ja)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A2931286A1 (en) Drill bits having blind-hole flushing and systems for using same
JP4319395B2 (ja) 削岩ドリル
ITRM990322A1 (it) Utensile rotativo ad azione combinata abrasiva e a frammentazione perla esecuzione di profili o di tagli su lastre di materiale fragile qua
US20120263548A1 (en) Drill bit
JP5318338B2 (ja) ノンコアドリルビット
JP4117493B2 (ja) コアドリル
JP3111998U (ja) ダイヤモンドカッター
JP2004268434A (ja) コンクリートコアドリル
KR200408205Y1 (ko) 드릴코아
JP3092359U (ja) ダイヤモンドブレード
CN213478233U (zh) 顶部多齿的金刚石复合片及钻头
CN112324345A (zh) 一种具有辅助切削刃的金刚石复合片及钻头
CN203184756U (zh) 携带式电气圆锯片
JP3137527U (ja) ダイヤモンドブレード
KR101963584B1 (ko) 극경암 전용 코어 비트
CN213478227U (zh) 金刚石复合片及钻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