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231A -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231A
KR20090064231A KR1020070131812A KR20070131812A KR20090064231A KR 20090064231 A KR20090064231 A KR 20090064231A KR 1020070131812 A KR1020070131812 A KR 1020070131812A KR 20070131812 A KR20070131812 A KR 20070131812A KR 20090064231 A KR20090064231 A KR 2009006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teering
column
airbag modu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928B1 (ko
Inventor
최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928B1/ko
Priority to JP2008200914A priority patent/JP5661993B2/ja
Priority to US12/255,822 priority patent/US7931296B2/en
Priority to DE102008054316A priority patent/DE102008054316A1/de
Priority to CN2008101799514A priority patent/CN101456427B/zh
Publication of KR2009006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2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the inflator or inflatable member not being rotatable with the steering wheel; Arrangements using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rim for storing, supplying or evacuating the inflation gas or for storing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향 장치는 조향 휠(8)과 조향 컬럼(3)을 서로 편심(Offset)된 상태에서 조향 휠(8)의 회전력을 조향 컬럼(3)쪽으로 전달되도록 되도록 기어 결합함과 더불어, 조향 휠(8)의 조향 휠 허브(9)부위로 수용된 에어백 모듈(10)이 조향 휠(8)과 조향 컬럼(3)의 편심 회전 전달 구조를 이용해 조향 휠(8)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쿠션(12) 전개 시 승객의 가슴부위 압박이 없는 비대칭 최적 쿠션 형상을 갖춤은 물론, 에어백 모듈(10)의 비 회전에 따른 로고에 대한 디자인 시인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회전, 에어백, 조향컬럼

Description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Static airbag steering column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 모듈이 조향 휠의 회전에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된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장치에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능동적 안전장치(브레이크, ABS, TCS, Navigation)와 더불어, 사고 발생 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수동적 안전장치(safty belt, airbag, pretentioner)가 있게 된다.
이중,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 시에 탑승자가 2차 충돌을 일으키기 전에 에어백을 가스를 이용해 팽창시켜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되어 안면 상해를 예방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 중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통상적으로, 조향 휠의 허브부위를 이용해 장착되고, 이로 인해 조향 휠이 회전되면 동일하게 에어백 모듈도 회전되어진다.
이와 같이 조향 휠과 함께 에어백 모듈이 회전됨에 따라, 인플레이터로 연결 되는 전원이나 신호선이 회전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특수 연결 구조 부재(통상, SRC Clock Spring이라 하며, 회전되는 부위(조향 휠)로 와이어(Wireharness)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조향 휠 부위로 장착되어 조향에 따른 조향 휠의 회전과 함께 항상 회전되는 운전석 에어백은 여러 제약이 있게 되는데, 일례로 에어 백 작동 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은 조향 휠의 위치에 관계없이 운전자를 충분히 보호하도록 전개되어야 만 함에 따라, 에어백 쿠션은 항상 대칭 형상을 갖을 수밖에 없고 이는, 조수석 에어백처럼 비대칭으로 최적 형상을 갖는 쿠션 형상으로 만들 수 없는 제약과 더불어, 전개된 쿠션의 하부부위가 승객의 가슴부위에 강한 압박을 가해 원하지 않는 부상도 입힐 수 있는 취약성이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새겨져 있는 로고도 조향 휠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로고에 대한 디자인 시인성도 저하됨은 물론, 운전자의 졸음 운전등을 감지하도록 조향 컬럼 커버나 또는, 크래쉬 패드부위에 설치되는 센서부위가 조향 휠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가려져, 센서의 감지 성능을 방해하는 불편등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향 컬럼으로 조향 조작을 전달하는 조향 휠과, 조향 휠의 허브 부위로 장착된 에어백 모듈의 결합 상태가 SRC Clock Spring의 사용 없이 서로 독립되어져, 조향 휠에 장착된 에어 백 모듈이 조향 휠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지 상태로 있도록 함에 따라, 조향 휠의 위치에 관계없이 에어백 쿠션이 전개됨은 물론 비대칭으로 최적 형상을 갖도록 해, 승객의 가슴부위에 강한 쿠션 압박이 가해지지 않아 원하지 않는 부상을 입히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 조향 휠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지 상태로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새겨져 있는 로고에 대한 디자인 시인성을 크게 향상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 조향 휠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지 상태로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등을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 성능이 조향 휠의 위치에 관계없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 장치가 테두리를 연결하는 조향 휠 허브를 구비한 조향 휠과;
양쪽 차륜으로 이어진 타이 로드를 거동시키는 랙 바에 치합된 피니언을 끝단으로 구비하고, 반대쪽 끝단이 조향 휠쪽으로 위치되어 조향 휠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베어링 지지된 컬럼 하우징에 감싸인 조향 컬럼;
상기 조향 휠과 조향 컬럼이 서로 편심(Offset)된 축 배열을 갖도록 기어 결합시켜, 조향 휠의 회전력을 조향 컬럼으로 전달시키는 회전 전달 앗세이;
ACU(Airbag Control Unit)에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가 상기 컬럼 하우징을 감 싸 서로 편심된 조향 휠과 조향 컬럼사이 공간으로 위치되면서, 조향 휠을 이루는 조향 휠 허브의 중심 부위로 이어지도록 하는 회로 연결 앗세이 및 ;
상기 ACU(Airbag Control Unit)의 제어 신호를 받아 폭발해 고압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의 가스 주입으로 조향 휠로부터 전개되는 쿠션을 수용하면서, 조향 휠의 조향 휠 허브부위로 수용된 취부 브라켓과, 상기 조향 휠 허브에 삽입되어 쿠션전개 시 파단됨과 더불어, 취부 브라켓쪽에 조향 힐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걸쳐져 결합된 쿠션 커버로 이루어진 에어백 모듈;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전달 앗세이는 조향 컬럼의 끝단으로 결합된 컬럼 기어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해 상기 컬럼 기어를 내접시켜 토향 컬럼이 편심되도록 하는 조향 휠 기어 및 상기 조향 휠 기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져 조향 휠의 하부에 강하게 고정되어 조향 휠 기어를 회전시켜주는 조향 휠 결합 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로 연결 앗세이는 끝단 부위가 컬럼 하우징으로 빠져 나오면서 조향 휠 결합 보스에 일체로 형성된 조향 휠 기어의 내부 공간으로 위치되는 와이어 인입 관과, 상기 조향 휠 결합 보스를 관통해 인플레이터쪽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와이어 인입 관에 이어지는 와이어 인출 관 및 상기 와이어 인입 관에서 와이어 인출 관을 따라 인플레이터 쪽으로 연결되는 배선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모듈을 구성하면서 승객쪽으로 전개되는 쿠션은, 승객의 가슴부위에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함몰부를 형성하는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백 모듈부위에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등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대칭으로 최적화된 쿠션을 구비한 에어백 모듈이 SRC Clock Spring의 사용 없이 조향 휠의 회전과 독립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조향 휠에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으로 인한 승객의 가슴부위 압박이 없이 승객을 보호 할 수 있음은 물론, 에어백 모듈에 새겨져 있는 로고의 비 회전으로 인해 디자인 시인성도 크게 향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 조향 휠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지 상태로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등을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 성능이 항상 유지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대한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장치는 조향 휠(8)의 회전을 전달받도록 서로 기어 연결된 조향 컬럼(3)과, 양쪽 차륜으로 이어진 타이 로드를 거동시키는 랙 바(21)에 치합되어져, 상기 조향 컬럼(3)의 회전을 통해 상기 랙 바(21)를 이동시키는 피니언(20)을 구비한 기어 박스 및 상기 조향 컬럼(3)의 조향 휠(8)에 대한 기어 결합 부위 쪽을 통해 조향 휠 쪽으로 이어지는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되고, 상기 조향 휠(8)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향 휠(8)을 이루는 허브(9)부위로 장착되어진 에어백 모듈(10)로 구성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조향 휠(8)과 조향 컬럼(3)사이를 연결하면서 회전을 전달하도록 기어 결합된 회전 전달 앗세이(4)는 조향 컬럼(3)의 끝단으로 결합된 컬럼 기어(5)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해 상기 컬럼 기어(5)를 내접시켜주는 조향 휠 기어(6) 및 상기 조향 휠 기어(6)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져 조향 휠(8)의 하부에 강하게 고정되어 조향 휠 기어(6)를 회전시켜주는 조향 휠 결합 보스(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 전달 앗세이(4)는 조향 컬럼(3)과 조향 힐(8)의 축 중심을 편심(Offset)시켜 주는데, 이는 조향 휠 기어(6)가 조향 컬럼(3)의 컬럼 기어(5)를 일측으로 내접하고, 타측 공간으로 에어백 모듈(10)로 이어지는 와이어 하네스를 위치시켜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컬럼 기어(5)는 피니언 타입으로 이루어져 조향 컬럼(3)의 끝단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조향 휠 기어(6)를 일체로 형성한 조향 휠 결합 보스(7) 는 조향 컬럼(3)을 감싸면서 조향 힐(8)쪽으로 이어진 컬럼 하우징(1)을 이용해 가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조향 컬럼(3)의 끝 부위와 조향 휠 결합 보스(7)부위는 컬럼 하우징(1)에 결합된 베어링(2)을 매개로 각각 지지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어 박스는 조향 휠(8)의 회전수와 조향 컬럼(3)의 회전수가 상이 즉, 약 1:1.3 기어비를 갖는 조향 컬럼(3)을 통해 회전되는 피니언(20)의 직경을 조절해 줌에 따라, 조향 휠(8)의 조작력이 조향 컬럼(3) 및 피니언(20)을 거쳐 랙바(21)로 전달될 때, 조향 휠(8)의 조작에 일치하는 차륜 거동을 구현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10)은 ACU(Airbag Control Unit)의 제어 신호를 받아 폭발해 고압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11)와, 상기 인플레이터(11)의 가스 주입으로 조향 휠(8)로부터 전개되는 쿠션(12), 상기 인플레이터(11)가 결합된 쿠션(12)부위를 수용하면서, 조향 휠(8)의 조향 휠 허브(9)부위로 수용된 취부 브라켓(13) 및 조향 휠 허브(9)에 삽입되어 쿠션(11)전개 시 파단됨과 더불어, 취부 브라켓(13)쪽에 조향 힐(8)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결합된 쿠션 커버(14)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취부 브라켓(13)에는 후크 타입 결합단이 형성되어져, 쿠션 커버(14)의 홈으로 끼워짐에 따라, 조향 휠(8)과 함께 조향 휠 허브(9)가 회전되더라도 쿠션 커버(14)만 조향 휠 허브(9)와 함께 회전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백 모듈(10)은 회로 연결 앗세이(15)를 이용해 ACU 제어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가 연결되며, 상기 회로 연결 앗세이(15)는 도 2(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 부위가 컬럼 하우징(1)으로 빠져 나오면서 조향 휠 결합 보스(7)에 일체로 형성된 조향 휠 기어(6)의 내부 공간으로 위치되는 와이어 인입 관(16)과, 상기 조향 휠 결합 보스(7)를 관통해 인플레이터(11)쪽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와이어 인입 관(16)에 이어지는 와이어 인출 관(17) 및 상기 와이어 인입 관(16)에서 와이어 인출 관(17)을 따라 인플레이터(11)쪽으로 연결되는 배선 와이어(1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 인출 관(17)은 조향 휠 결합 보스(7)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관통되어진다.
이에 더해, 상기 와이어 인입 관(16)에는 와이어 방향 전환 관(16a)이 형성되어 와이어 인출 관(17)과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관(16a)은 조향 휠(8)의 축 중심 선상으로 배선 와이어(18)를 인출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관(16a)은 조향 휠 결합 보스(7)에 일체로 형성된 조향 휠 기어(6)사이의 빈 공간인 한쪽 측면 공간으로 인입된 와이어 인입 관(16)이 갖는 편심을 보정하도록, 상기 와이어 인입 관(16)을 한쪽 측면으로 연장 형성하면서 그 중앙으로 와이어 인출 관(17)을 연장 형성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백 모듈(10)부위에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등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데, 이는 에어백 모듈(10)이 조향 휠(8)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음에 따라, 조향 컬럼 커버나 또는, 크래쉬 패드부위에 설치될 때에 비해 보다 향상된 센서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향 장치는 조향 휠(8)과 조향 컬럼(3)을 서로 편심(Offset)된 상태에서 조향 휠(8)의 회전력을 조향 컬럼(3)쪽으로 전달되도록 되도록 기어 결합함과 더불어, 조향 휠(8)의 조향 휠 허브(9)부위로 수용된 에어백 모듈(10)이 조향 휠(8)과 조향 컬럼(3)의 편심 회전 전달 구조를 이용해 조향 휠(8)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쿠션(12) 전개 시 승객의 가슴부위 압박이 없는 비대칭 최적 쿠션 형상을 갖춤은 물론, 에어백 모듈(10)의 비 회전에 따른 로고에 대한 디자인 시인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편심된 상태로 조향 휠(8)의 회전력을 조향 컬럼(3)으로 전달하도록 된 조향 장치에 기인하는 것으로 즉, 상기 조향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로드를 거동시키는 랙 바(21)에 치합된 피니언(20)을 구비한 조향 컬럼(3)이 편심된 상태로 조향 휠(8)과 배열되고, 상기 조향 휠(8)에 고정된 조향 휠 기어(6)를 매개로 편심된 조향 컬럼(3)의 끝단에서 컬럼 기어(5)가 치합되며, ACU의 제어 신호가 상기 조향 휠 기어(6)의 빈 공간 쪽을 이용해 설치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통해 조향 휠(8)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10)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조향 휠(8)을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휠(8)에 가하는 회전력이 조향 휠 결합 보스(7)를 통해 조향 휠 기어(6)쪽으로 전달되고, 상기 조향 휠 기어(6)의 회전은 내접된 컬럼 기어(5)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컬럼 기어(5)는 카울 크로스 멤버(CM)를 관통해 지지되는 컬럼 하우징(1)에 수용되어, 기어박스쪽으로 결합된 조향 컬럼(3)의 끝단에 구비됨에 따라, 조향 휠 기어(6)에 내접되면서 회전되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컬럼 기어(5)의 회전은 조향 컬럼(3)을 회전시키면서 끝단에 구비된 피니언(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피니언(20)의 회전으로 랙 바(21)가 이동되면서 양쪽 차륜으로 이어진 타이 로드를 거동시켜주고, 이러한 랙 바(21)의 이동으로 조향 휠(8)에 상응하는 조향 조작력으로 차륜이 조작되어진다.
이때, 상기 조향 컬럼(3)의 끝단에서 최종 출력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피니언(20)의 직경을 설계 시 조절함에 따라, 조향 휠(8)을 통해 회전되는 조향 휠 기어(6)의 회전수와 조향 컬럼(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컬럼 기어(5)의 회전수 차에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향 휠(8)의 회전에 따른 조향 조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조향 휠(8)의 조향 휠 허브(9)부위로 장착된 에어백 모듈(10)은 조향 휠(8)의 회전에 관계없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상기 조향 휠 허브(9)부위로 장착되어 인플레이터(11)가 결합된 쿠션(12)부위를 수용하면서, 쿠션(11)전개 시 파단되는 쿠션 커버(14)와 결합된 취부 브라켓(13)의 결합 구조에 기인하게 된다.
즉, 상기 취부 브라켓(13)과 쿠션 커버(14)가 각각 후크와 홈을 매개로 끼워진 상태에서 걸려짐에 따라, 조향 휠(8)의 회전력이 조향 휠(8)에 고정된 조향 휠 결합 보스(7)쪽을 통해서만 전달되어진다.
이로 인해, 컬럼 하우징(1)에서 조향 컬럼(3)의 컬럼 기어(5)가 내접된 조향 휠 기어(6)의 내부 빈 공간으로 위치되는 와이어 인입 관(16)과, 와이어 인입 관(16)이 조향 휠(8)에 대해 갖는 편심을 보정하는 와이어 방향 전환 관(16a)을 통해 이어지면서 인플레이터(11)로 이어지는 와이어 인출 관(17)이 조향 휠(8)의 회전과 무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ACU에 연결되어 와이어 인입 관(16)과 와이어 방향 전환 관(16a) 및 와이어 인출 관(17)의 홀을 따라 이어지면서, 인플레이터(11)에 연결되는 배선 와이어(18)도 조향 휠(8)의 회전과 무관하게 되고, 에어백 작동 시 ACU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플레이터(11)로 전달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조향 휠(8)의 회전에 관계없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에어백 모듈(10)은 작동 시 승객(P)의 가슴부위에 압박하지 않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P)쪽으로 전개되는 쿠션(12)이 조향 휠(8)에 대해 항상 최적 위치를 갖음에 따라, 상기 쿠션(12)의 전개 형상을 승객(P)의 가슴부위에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함몰 형성부(K)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함몰 형성부(K)는 승객(P)으로 전개되더라도 승객(P)의 가슴부위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UC)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의 구성도
도 2(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조향 컬럼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 회전 에어백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럼 하우징 2 : 베어링
3 : 조향 컬럼 4 : 회전 전달 앗세이
5 : 컬럼 기어 6 : 조향 휠 기어
7 : 조향 휠 결합 보스 8 : 조향 휠
9 : 조향 휠 허브 10 : 에어백 모듈
11 : 인플레이터 12 : 쿠션
13 : 취부 브라켓 14 : 쿠션 커버
15 : 회로 연결 앗세이 16 : 와이어 인입 관
16a : 와이어 방향 전환 관
17 : 와이어 인출 관 18 : 배선 와이어
20 : 피니언 21 : 랙 바
CM : 카울 크로스 멤버 K : 함몰 형성부
P : 승객 UC : 비 접촉 영역

Claims (7)

  1. 테두리를 연결하는 조향 휠 허브(9)를 구비한 조향 휠(8)과;
    양쪽 차륜으로 이어진 타이 로드를 거동시키는 랙 바(21)에 치합된 피니언(20)을 끝단으로 구비하고, 반대쪽 끝단이 조향 휠(8)쪽으로 위치되어 조향 휠(8)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베어링(2)지지된 컬럼 하우징(1)에 감싸인 조향 컬럼(3);
    상기 조향 휠(8)과 조향 컬럼(3)이 서로 편심(Offset)된 축 배열을 갖도록 기어 결합시켜, 조향 휠(8)의 회전력을 조향 컬럼(3)으로 전달시키는 회전 전달 앗세이(4);
    ACU(Airbag Control Unit)에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가 상기 컬럼 하우징(1)을 감싸 서로 편심된 조향 휠(8)과 조향 컬럼(3)사이 공간으로 위치되면서, 조향 휠(8)을 이루는 조향 휠 허브(9)의 중심 부위로 이어지도록 하는 회로 연결 앗세이(15) 및 ;
    상기 ACU(Airbag Control Unit)의 제어 신호를 받아 폭발해 고압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11)의 가스 주입으로 조향 휠(8)로부터 전개되는 쿠션(12)을 수용하면서, 조향 휠(8)의 조향 휠 허브(9)부위로 수용된 취부 브라켓(13)과, 상기 조향 휠 허브(9)에 삽입되어 쿠션(11)전개 시 파단됨과 더불어, 취부 브라켓(13)쪽에 조향 힐(8)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걸쳐져 결합된 쿠션 커버(14)로 이루어진 에어백 모듈(10);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앗세이(4)는 조향 컬럼(3)의 끝단으로 결합된 컬럼 기어(5)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해 상기 컬럼 기어(5)를 내접시켜 토향 컬럼(3)이 편심되도록 하는 조향 휠 기어(6) 및 상기 조향 휠 기어(6)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져 조향 휠(8)의 하부에 강하게 고정되어 조향 휠 기어(6)를 회전시켜주는 조향 휠 결합 보스(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부 브라켓(13)에는 후크 타입 결합단이 형성되어져, 쿠션 커버(14)의 홈으로 끼워져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연결 앗세이(15)는 끝단 부위가 컬럼 하우징(1)으로 빠져 나오면서 조향 휠 결합 보스(7)에 일체로 형성된 조향 휠 기어(6)의 내부 공간으로 위치되는 와이어 인입 관(16)과, 상기 조향 휠 결합 보스(7)를 관통해 인플레이터(11)쪽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와이어 인입 관(16)에 이어지는 와이어 인출 관(17) 및 상기 와이어 인입 관(16)에서 와이어 인출 관(17)을 따라 인플레이터(11)쪽으로 연결되는 배선 와이어(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인입 관(16)에는 조향 휠(8)의 축 중심 선상으로 배선 와이어(18)를 인출시켜주도록 와이어 방향 전환 관(1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10)을 구성하면서 승객(P)쪽으로 전개되는 쿠션(12)은, 승객(P)의 가슴부위에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함몰 형성부(K)를 갖는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10)부위에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등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KR1020070131812A 2007-12-15 2007-12-15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KR10098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12A KR100980928B1 (ko) 2007-12-15 2007-12-15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JP2008200914A JP5661993B2 (ja) 2007-12-15 2008-08-04 非回転エアバックモジュールを備えた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12/255,822 US7931296B2 (en) 2007-12-15 2008-10-22 Vehicle steering system including irrotational airbag module
DE102008054316A DE102008054316A1 (de) 2007-12-15 2008-11-03 Fahrzeug-Lenksystem mit einem sich nicht drehenden Airbag-Modul
CN2008101799514A CN101456427B (zh) 2007-12-15 2008-11-10 包括不旋转的气囊模块的车辆转向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12A KR100980928B1 (ko) 2007-12-15 2007-12-15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231A true KR20090064231A (ko) 2009-06-18
KR100980928B1 KR100980928B1 (ko) 2010-09-07

Family

ID=4068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812A KR100980928B1 (ko) 2007-12-15 2007-12-15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1296B2 (ko)
JP (1) JP5661993B2 (ko)
KR (1) KR100980928B1 (ko)
CN (1) CN101456427B (ko)
DE (1) DE1020080543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571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무회전 코어부를 갖춘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215383B1 (ko) * 2019-11-29 2021-02-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차량용 스티어링휠의 회전력 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70595A1 (it) * 2007-08-29 2009-02-28 Ferrari Spa Airbag frontale per un veicolo stradale
DE102008023753A1 (de) * 2008-05-15 2009-11-26 Takata-Petri Ag Len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Lenkrad und einem Überlagerungsgetriebe
JP5041447B2 (ja) * 2010-03-30 2012-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DE102010039759A1 (de) * 2010-06-30 2012-01-05 Takata-Petri Ag Gassackanordnungen für ein Lenkrad eines Kraftfahrzeuges
JP5942452B2 (ja) * 2012-02-07 2016-06-2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ITMO20120125A1 (it) * 2012-05-11 2013-11-12 Cnh Italia Spa Dispositivo di sterzatura per un veicolo.
DE102012017680B4 (de) * 2012-09-07 2021-03-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slösen eines Airbags für ein Fahrzeug sowie entsprechend ausgestaltetes Sicherheitssystem
EP2857283B1 (en) 2013-10-03 2017-08-16 Volvo Car Corporation A vehicle steering arrangement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steering arrangement
EP3118083B1 (en) * 2014-03-11 2019-11-20 Guangdong Hua'chan Research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o., Ltd. Steering wheel
US9221418B1 (en) * 2014-07-14 2015-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ged mounting system for airbag module having deployable lock
US10589774B2 (en) 2015-05-01 2020-03-1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Counter rotation steering wheel
US20160375931A1 (en) 2015-06-25 2016-12-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otation control system for a steering wheel and method
US9845106B2 (en) 2015-08-31 2017-12-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Overload protection for belt drive mechanism
US10160472B2 (en) * 2015-10-20 2018-12-2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with stationary hub
US10144382B2 (en) * 2015-12-15 2018-12-0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Steering column system for vehicle occupant safety
US10029642B2 (en) * 2016-03-18 2018-07-2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Enhanced steering system utilizing fixed dab for occupant protection in frontal impacts with laterial loading
US10160473B2 (en) 2016-09-13 2018-12-2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decoupling system
US10518732B2 (en) * 2017-08-04 2019-12-31 Byton Limited Airbag devices designed to utilize a reduced interior surface area of a vehicle
US10583855B2 (en) 2017-09-05 2020-03-10 Byton Gmbh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US20190092373A1 (en) * 2017-09-28 2019-03-28 Dura Operating, Llc Steering control assembly for a vehicle steer-by-wire system
US11407436B2 (en) 2019-03-04 2022-08-09 Byton North America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fixed center
CN113353018A (zh) * 2020-03-03 2021-09-07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顶棚安全气囊
CN113120067B (zh) * 2021-05-14 2022-08-02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集控方向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8804A5 (ko) * 1970-07-28 1972-03-10 Peugeot & Renault
DE3007726A1 (de) * 1980-02-29 1981-09-17 Klöckner-Humboldt-Deutz AG, 5000 Köln Lenkrad fue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uer eine zugmaschine
JPS62234781A (ja) * 1986-02-28 1987-10-15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ツグ装備式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2508597Y2 (ja) * 1989-10-20 1996-08-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5152358A (en) * 1989-08-24 1992-10-06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steering apparatus
JPH0424480A (ja) 1990-05-21 1992-01-28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の負荷量表示装置
JP2519747Y2 (ja) * 1990-09-19 1996-12-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CN2140329Y (zh) * 1992-06-11 1993-08-18 张火根 安全方向盘
US5558365A (en) * 1992-12-18 1996-09-24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 Seisakusho Tethered air bag
US5720494A (en) * 1995-12-27 1998-02-24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with air bag device
JP3075165B2 (ja) * 1996-01-24 2000-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980008956A (ko) * 1996-07-25 1998-04-30 강기동 자동차용 조향 장치
KR19980021627A (ko) * 1996-09-18 1998-06-25 정몽규 에어백구조
JPH10258698A (ja) 1997-03-19 1998-09-2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US5749598A (en) * 1997-03-20 1998-05-1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teering wheel assembly
US6485057B1 (en) * 1997-12-16 2002-11-26 Nsk Autoliv Co., Ltd. Automotive passenger restraint and protection apparatus and seatbelt protraction and retraction amount-detecting device
JP4608072B2 (ja) * 2000-02-25 2011-01-0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431012B2 (ja) * 2000-10-10 2003-07-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10059928C2 (de) * 2000-11-23 2003-07-17 Takata Petri Ag Lenk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R2821317B1 (fr) * 2001-02-27 2003-05-30 Faurecia Ind Ensemble de colonne de direction a coussin central fixe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US6892605B2 (en) * 2002-03-04 2005-05-17 Delphi Technologies, Inc. Hand wheel actuator having stationary hub
JP4322080B2 (ja) * 2003-09-22 2009-08-2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20050061005A (ko) * 2003-12-17 2005-06-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EP1732785A1 (de) 2004-03-31 2006-12-20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sowie getrieb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GB2413781B (en) * 2004-05-05 2007-03-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US7380828B2 (en) * 2005-03-09 2008-06-03 Delphi Technologies, Inc. Stationary wheel hub
JP4574407B2 (ja) * 2005-03-24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571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무회전 코어부를 갖춘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215383B1 (ko) * 2019-11-29 2021-02-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차량용 스티어링휠의 회전력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928B1 (ko) 2010-09-07
DE102008054316A1 (de) 2009-06-18
JP2009143542A (ja) 2009-07-02
US7931296B2 (en) 2011-04-26
CN101456427B (zh) 2013-03-06
US20090152840A1 (en) 2009-06-18
CN101456427A (zh) 2009-06-17
JP5661993B2 (ja)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4231A (ko)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EP1668999B1 (en)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passenger
US10358106B2 (en) Airbag apparatus
US20070046002A1 (en) Airbag apparatus
EP2216213B1 (en) Airbag cover and airbag apparatus
JP2006143200A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US8517418B2 (en) Child restraint system and vehicle containing same
CN107856629B (zh) 安全气囊总成
US9481336B2 (en) Vehicle steering arrangement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steering arrangement
CN103921758A (zh) 一种主动预紧型安全带电机驱动式预紧器
CN103192866A (zh) 转向柱压溃系统
JP2009523640A (ja) 制御モジュール
KR20080003201A (ko) 목 보호용 에어백 장치
US8596676B2 (en) Steering device
US10518732B2 (en) Airbag devices designed to utilize a reduced interior surface area of a vehicle
KR100882202B1 (ko) 안전벨트장치용 전동식 버클 프리텐셔너
CN115151451A (zh) 用于安全带系统的方法、用于车辆的安全带系统和具有安全带系统的车辆
WO1998028166A3 (de) Lenkrad-rückhalte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20080013494A (ko) 스티어링 컬럼 압축장치가 구비되는 스티어링 시스템
KR20110105916A (ko) 통합 에어백 전자 제어 유닛
KR20240084327A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0622123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427249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용 프리텐션닝 장치
KR100599572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KR20020021214A (ko) 자동차용 시트밸트 로드 리미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