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005A -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005A
KR20050061005A KR1020030092751A KR20030092751A KR20050061005A KR 20050061005 A KR20050061005 A KR 20050061005A KR 1020030092751 A KR1020030092751 A KR 1020030092751A KR 20030092751 A KR20030092751 A KR 20030092751A KR 20050061005 A KR20050061005 A KR 2005006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airbag
driver
rota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1005A/ko
Publication of KR2005006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태가 원형으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어,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용 에어백에 있어서, 관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하우징 기어부(10a)가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이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우징(10), 관 형태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1)이 연결되는 스티어링 휠 회전축(20), 차량의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내측에 위치되되 이격되어 설치되고 표면에 회전축 기어부(30a)가 형성되는 에어백 회전축(30),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외측면에 밀접하게 회전축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맞물리는 제 1 기어(40),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회전축이 설치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제 1 기어(40)와 맞물리고 타측으로는 에어백 회전축(30)의 회전축 기어부(30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기어(50)로 구성되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에 무관하게 에어백이 일정한 수평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에어백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하고 운전자의 보호 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A rotation preventing apparatus for driver's seat airbag}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이 스티어링 휠의 회전 동작과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수평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신체 보호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차자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부상을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에어 백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에어 백(Front Air Bag)과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 백으로 분류되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에어 백은 시트 벨트(Seat Belt)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운전자 또는 승차자를 위해 대형 에어 백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3점식 시트 벨트의 장착을 전제로 한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에어 백 시스템이라고 불리우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상기 SRS 에어 백 시스템은 시트 벨트와 병행해서 사용되는 에어 백 시스템으로 스티어링 휠 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 에어 백 센서(Sensor)가 그 충돌을 감지하면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안면을 보호한다.
한편,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2)은 도 1에서와 같이 스티어링 휠(1)의 전방에 원형으로 팽창되어 운전자를 보호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수석전방에도 별도의 에어백 장치를 인스트루먼트패널 상면에 장착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동반석에 장착되는 에어백의 경우 그 튜브의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자유롭게 변경가능 하였으나, 운전석 전방의 스티어링 휠(1)에 장착되는 에어백(2)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정면 형상이 원형으로 제한된다.
그 이유는 상기 에어백(2)이 자동차의 조향 방향으로 회전 되어야 하는 스티어링 휠(1)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2)의 정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 또는 기타의 다른 형태일 경우에, 스티어링 휠의 회전 상태에 따라 튜브의 일측부가 운전석 일측의 도어 또는 조수석쪽으로 지나치게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결국,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튜브의 팽창상태에서의 형상은 원형으로 제한되고 그에 따라, 튜브의 팽창 상태에서 운전자의 머리 및 가슴 등은 보호 될 수 있었지만 무릎부분까지는 튜브가 닫지 못하는 관계로 무릎은 보호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용 에어백이 스티어링 휠의 회전 동작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수평 레벨 상태를 유지하여 에어백 전개시 운전자의 부상 정도를 경감시키는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조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도 2의 A 부분의 상세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선의 선단면도로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용 에어백에 있어서, 관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하우징 기어부(10a)가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1)의 회전축이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우징(10), 관 형태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1)이 연결되는 스티어링 휠 회전축(20), 차량의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내측에 위치되되 이격되어 설치되고 표면에 회전축 기어부(30a)가 형성되는 에어백 회전축(30),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외측면에 밀접하게 회전축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맞물리는 제 1 기어(40),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회전축이 설치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제 1 기어(40)와 맞물리고 타측으로는 에어백 회전축(30)의 회전축 기어부(30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기어(5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회전 중심축과 에어백 회전축(30)의 회전 중심축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40, 50)는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을 기준으로 120°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중 선회를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차량의 선회 방향을 결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차량의 선회시 발생되는 사고에 대비하여 본 발명을 사용하도록 한다.
차량의 선회를 위해 스티어링 휠(1)을 조작하면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외측면상에 고정되어있는 제 1 기어(40)의 일측은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하우징 기어부(10a)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즉,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이 반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기어(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기어(40)와 맞물려 있는 제 2 기어(50)는 스티어링 휠 회전축(20)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2 기어(50)는 제 1 기어(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으로 맞물려 있는 에어백 회전축(30)이 회전되도록 한다. 제 2 기어(50)의 회전력을 인가받은 에어백 회전축(30)은 제 2 기어(50)와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에어백 회전축(30)의 회전 방향은 스티어링 휠(1)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므로, 스티어링 휠(1)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에어백은 항상 일정한 수평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상태와는 무관하게 에어백이 고정되어 있어, 에어백의 형상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운전자의 신체에 대한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가 설치되는 조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A 부분의 상세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A 선의 선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0 : 스티어링 휠 회전축
30 : 에어백 회전축 40 : 제 1 기어
50 : 제 2 기어

Claims (3)

  1.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용 에어백에 있어서, 관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하우징 기어부(10a)가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이 차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우징(10), 관 형태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1)이 연결되는 스티어링 휠 회전축(20), 차량의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내측에 위치되되 이격되어 설치되고 표면에 회전축 기어부(30a)가 형성되는 에어백 회전축(30),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외측면에 밀접하게 회전축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맞물리는 제 1 기어(40),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회전축이 설치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제 1 기어(40)와 맞물리고 타측으로는 에어백 회전축(30)의 회전축 기어부(30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기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의 회전 중심축과 에어백 회전축(30)의 회전 중심축은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40, 50)는 스티어링 휠 회전축(20)을 기준으로 120°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KR1020030092751A 2003-12-17 2003-12-17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KR20050061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751A KR20050061005A (ko) 2003-12-17 2003-12-17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751A KR20050061005A (ko) 2003-12-17 2003-12-17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005A true KR20050061005A (ko) 2005-06-22

Family

ID=3725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751A KR20050061005A (ko) 2003-12-17 2003-12-17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10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28B1 (ko) * 2007-12-15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28B1 (ko) * 2007-12-15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 회전 에어백 모듈을 갖춘 차량용 조향 장치
US7931296B2 (en) 2007-12-15 2011-04-26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steering system including irrotational airba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4840B1 (en) Airbag apparatus, passenger protection system, and vehicle
GB2191450A (e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US20100013200A1 (en)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Deployment Method For Air Bag Device For Knee Proctection, And Vehicle
KR20080080968A (ko) 자동차와 비행기용 상반신 에어백 장치
KR20080003201A (ko) 목 보호용 에어백 장치
US7484754B2 (en)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irbag device
JP2009149295A (ja) 最適化された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20050061005A (ko) 운전석용 에어백 회전 방지 장치
JPH11240411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7038846A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069384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4232039B2 (ja) 乗員拘束装置
KR100410844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060098606A (ko) 자동차 에어백의 가변테더장치
KR19980048871U (ko) 비 회전식 운전석 에어백
KR100599572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KR100373636B1 (ko) 에어백이구비된차량용안전벨트
KR200406953Y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482133B1 (ko) 상용차용 에어백 장치
KR200174820Y1 (ko) 에어백의 충격흡수 압력조절장치
KR20050076048A (ko) 조수석 에어백의 쿠션
KR20050029836A (ko) 운전석 에어백 커버의 엠블렘 이탈 방지구조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JP2008143253A (ja) エアバックシステム
KR20090082647A (ko) 운전석 에어백의 회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