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414A - 팬티형 종이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티형 종이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414A
KR20090041414A KR1020097004088A KR20097004088A KR20090041414A KR 20090041414 A KR20090041414 A KR 20090041414A KR 1020097004088 A KR1020097004088 A KR 1020097004088A KR 20097004088 A KR20097004088 A KR 20097004088A KR 20090041414 A KR20090041414 A KR 2009004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ape
body plate
sides
she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123B1 (ko
Inventor
케이지 토리고시
코스케 무라이
요스케 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09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9941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4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adjustable by adding or removing material, e.g. umbilical cord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61F13/565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adjustable pants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7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breakable lateral stitches or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2013/566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connected to itself
    • A61F2013/5677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connected to itself refastenable

Abstract

테이프식 및 팬티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피트성이 우수한 종이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앞몸판(12F)의 양측부와 뒷몸판(12B)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양측에 접합부(12A)가 형성됨과 동시에 웨이스트 개구부(WO)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LO)가 형성되고, 앞몸판(12F)의 양측부에 웨이스트 개구부(WO)의 가장자리에서 레그 개구부(LO)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절취선(100)이 각각 형성되고, 내면에 후크부재(92)를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접합 테이프(90)가 절취선(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종이 기저귀, 테이프식, 팬티형, 고정 테이프, 절취선, 피트성

Description

팬티형 종이 기저귀{PANTS-TYPE PAPER DIAPER}
본 발명은 테이프식으로도 또한 팬티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종이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는 앞몸판의 양측부와 뒷몸판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양측에 접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몸통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장착자의 양다리를 몸통 개구부를 통해 다리 개구부에 삽입시켜 장착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팬티형 기저귀는 치수 형상의 조정이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장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신축 부재를 이용하여 폭방향의 탄성 신축성을 부여하여 피트성을 높이고 있다.
이에 반해, 사용시 등쪽 및 배쪽이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착자에게 맞도록 등쪽의 양측부에 마련된 고정 테이프의 선단부를 배쪽 외면에 고정하는 고정식 또는 테이프식이라 불리는 형태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2703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팬티형으로도 고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겸용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종이 기저귀도 제안되어 있다. 이 종이 기저귀는 등부와 이 등부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앞띠 부와 상기 등부로부터 고간을 통해 착용자의 복부측으로 접어 올릴 수 있는 흡수성 본체를 가지며, 몸통 둘레에 감겨 있는 앞띠부와 접어 올린 흡수성 본체를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고정시킨 형태로 착용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저귀는 장착자가 옆으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품 폭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 좌우 밸런스를 맞추기가 어려웠다.
즉, 장착자가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고정 테이프를 잡고 당겨 빼려하여도 하측 고정 테이프 근방이 장착자의 허리에 눌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상태에서 거의 신장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반해 상측의 고정 테이프 근방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신장시킬 수 있다. 이 때 종래 기저귀는 조정전의 장착상태에서는 몸통 둘레 전체가 거의 균등하게 신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균등한 신장 상태에서 한쪽만을 신장시킨 경우 좌우 밸런스가 크게 무너질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팬티형 및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겸용형 종이 기저귀는 테이프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테이프의 부착위치가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비표준적인 체형의 장착자에게는 피트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중요한 과제는 장착자가 옆으로 누워있는 경우에도 균형있게 제품 폭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테이프식 및 팬티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면서 피트성도 뛰어난 팬티형 종이 기저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
앞몸판의 양측부와 뒷몸판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됨에 따라 양측에 접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웨이스트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앞몸판 및 뒷몸판의 각각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에서 상기 레그 개구부까지의 범위에 복수의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가 폭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
앞몸판 또는 뒷몸판의 양측부에 웨이스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터 상기 레그 개구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절취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 신축 부재는 상기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절취선측의 선단이 상기 절취선과 같은 위치 또는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내면에 걸림부를 갖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발명의 팬티형 종이 기저귀는 절취선으로 분리하기 전에는 소위 팬티형으로, 또한 절취선으로 분리하여 배쪽 및 등쪽을 고정 테이프로 연결함으로써 소위 테이프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팬티형 기저귀에 있어서 몸통 둘레의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 앞몸판 및 뒷몸판의 각각의 웨이스트 개구부에서 레그 개구부까지의 범위에 복수의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를 폭방향을 따라 마련한 경우, 그 탄성 신축 부재가 절취선을 횡단하여 연속되면 절취선을 파단하여도 그 양측이 탄성 신축 소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마련된 탄성 신축 부재는 절취선측의 선단이 상기 절취선과 같은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며 그것을 넘어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 신축 부재에 의해 절취선의 파단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탄성 신축 부재를 절취선이 횡단하는 방향으로 마련함으로써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팬티형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저귀를 찰 때 탄성 신축 부재의 수축력이 절취선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절취선이 멋대로 벌어져 찢어질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항 기재와 같이 고정 테이프가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절취선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고정하면 분리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테이프를 이용하여 제품 폭을 줄이는 경우, 탄성 신축 부재에 의해 부여된 수축량을 초과하여 줄이려고 하면 지나치게 주름이 만들어져 제품과 신체의 사이에 큰 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틈은 샘의 원인이 됨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과 같이 절취선이 가공되어 있으면 필요에 따라 절취선을 따라 파단하여 그 양측을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품 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야간이나 동절기에 사용시 팬티형은 의복(바지)을 완전히 벗기지 않으면 기저귀를 갈아 채울 수 없으나 이와 같이 폭방향 양측의 절취선에 있어서 그 전후의 부분이 파단 분할되도록 되어 있으면 분할 후에 테이프식과 동일하게 장착함으로써 의복(바지)을 완전히 벗기지 않고 기저귀를 착용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신축 부재는 상기 절취선을 횡단하도록 또한 횡단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후에 상기 절취선과 같은 위치 또는 그 근방에서 절단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미리 절단한 탄성 신축 부재를 부착하는 것보다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부착한 후에 절단하면 제조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는 상기 고정 테이프의 걸림부와 겹쳐지는 부분 및 그 근방에만, 상기 절취선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절취선의 양측에 걸쳐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장형의 탄성 신축 부재가 고정 테이프의 걸림부와 겹쳐지는 부분 및 그 근방에만, 절취선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고, 고정 테이프의 걸림부를 절취선의 양측에 걸쳐지도록 걸림 결합해 둠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절취선의 분리 저지를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한 부위에만 고정 테이프를 걸림 결합하면 되므로 고가의 고정 테이프의 사용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절취선의 분리와 동시에 고정 테이프의 일측의 걸림 결합을 풀 수가 있고 이 상태 그대로 타측의 걸림 결합을 해체하지 않고 일측을 원하는 부위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접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절취선이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기 걸림부가 결합되는 위치와 상기 고정 테이프 일측 단부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고정 테이프의 후단부가 접합부에 고정되어 있으면 고정 테이프의 고정을 양 몸판의 접합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고정 테이프의 고정을 더욱 강력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기저귀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이 걸림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기저귀 외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테이프를 기저귀 외면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식으로 사용할 경우에 고정 테이프의 부착 위치가 완전히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고정 테이프의 위치나 각도를 자유롭게 바꿔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체형에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떼어내면 사이즈 조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절취선을 절취하지 않고 고정 테이프를 떼어내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미사용시에 기저귀를 콤팩트하게 마는 고정 부재로도, 사용후에 기저귀를 말아서 폐기하기 위한 후처리 테이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 테이프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가의 고정 테이프의 치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고정 테이프에서의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 신축함으로써 피트성이 향상되고 사이즈 조정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또한 테이프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고정 테이프의 각 걸림부를 절취선으로 절취한 배쪽 및 등쪽에 각각 걸림 결합시켜 배쪽 및 등쪽을 연결함으로써 팬티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몸통 둘레의 최대 치수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몸판 및 뒷몸판 중 상기 고정 테이프가 마련된 몸판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이, 상기 고정 테이프가 마련되지 않은 몸판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보다 큰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고정 테이프를 갖는 몸판이 고정 테이프를 갖지 않는 몸판보다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이 크므로 고정 테이프를 갖는 몸판이 수축하고 고정 테이프를 갖지 않는 몸판이 신장된다. 그 결과 조정전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인장응력차에 의해서만 미리 폭을 줄인(몸통 둘레를 조인) 상태가 되고 또한 고정 테이프를 갖는 몸판의 양측부가 고정 테이프와 함께 기저귀의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장착자가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에도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 테이프의 근방이 미리 신장되어 있으므로 상측의 고정 테이프를 당겨서 폭 조정을 수행하여도 좌우 밸런스가 쉽게 무너지지 않게 된다. 또한 고정 테이프가 기저귀의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장착자 자신이 제품 폭의 조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고정 테이프를 쉽게 잡을 수 있어 제품 폭의 조정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이라 함은 폭방향의 최대 신장시의 몸판 폭에 대해 15% 수축하였을 때의 인장응력을 의미한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는 상기 앞몸판 또는 뒷몸판의 양측부에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고정 테이프를 양측부에 각각 복수 구비함으로써 테이프식으로 사용할 때의 피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보다 많은 체형에 맞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에 절취선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절취선을 절취함으로써 상기 고정 테이프를 복수의 고정 테이프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정 테이프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식 및 팬티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피트성이 우수하며 장착자가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에도 균형있게 제품 폭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내면을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고,
도 4는 제품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제품상태 정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테이프식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제품상태 정면도이고,
도 8은 제4 실시형태의 제품상태 정면도이고,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테이프식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제5 실시형태의 제품상태 정면도이고,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테이프식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제6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6 실시형태의 전개도이고,
도 14는 제6 실시형태의 고정 테이프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15은 제6 실시형태의 고정 테이프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16은 제6 실시형태의 기능설명을 위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17은 기저귀 폐기 요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흡수성 본체, 12...외장 시트, 12F...앞몸판, 12B...뒷몸판, 90...고정 테이프, 91...기재 시트, 92...후크부재, 100...절취선.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팬티형 일회용 기 저귀(10)는 외면(내면)측의 외장 시트(12)와 내면(표면)측의 흡수성 본체(20)을 구비하고 외장 시트(12)에 흡수성 본체(20)가 고정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0)는 소변이나 대변 등의 배설물을 받아 흡수 보존하는 부분으로서 고간부 및 그 전후 양측의 웨이스트 개구부(WO) 근방까지의 범위로 연장되어 있다. 외장 시트(12)는 흡수성 본체(20)을 착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 된다.
외장 시트(12)는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모래 시계 형상을 가지며 양측이 잘록하며 이곳이 착용자의 다리를 넣는 부위가 된다. 흡수성 본체(20)는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지만 도시한 형태에서는 직사각형으로 하였다.
외장 시트(12)는 흡수성 본체(20)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된 후 전후로 접혀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12)의 앞몸판(12F) 및 뒷몸판(12B)의 양측부의 접합부(12A)가 히트씰 등에 의해 접합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웨이스트 개구부(WO)와 한 쌍의 레그 개구부(LO)를 갖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얻을 수 있다.
도시한 흡수성 본체(20)의 길이방향(즉 도 1의 상하 방향, 제품의 전후 방향이기도 함) 중간의 폭은 외장 시트(12)의 잘록한 부분을 연결하는 폭보다 긴 형태로 되어 있다. 이 폭의 관계는 반대일 수도 있으며 동일한 폭일 수도 있다.
여기에, 도 1의 부호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배쪽과 등쪽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웨이스트 개구연"은 웨이스트 개구부(WO)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레그 개구연"는 레그 개구부(LO)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레그 개구 시단"은 레그 개구부(LO)의 레그 개구 연과 접합부(30)가 교차하는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레그 개구연의 시작 부위를 의미한다. "몸통둘레부"(T)는 웨이스트 개구연에서 레그 개구 시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전체영역을 의미한다. 몸통 둘레부(T)는 개념적으로 "웨이스트부(W)와 요하부(U)"로 나눌 수 있다. 이것들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웨이스트부(W)는 15~40mm, 요하부(U)는 45~220mm이다. "허벅지부"(L)는 레그 개구부를 형성하는 범위 즉, 앞몸판측의 레그개구 시단에서 뒷몸판측의 레그 개구 시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의 전체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중앙부"는 제품의 중앙선을 포함하는 측부를 제외한 중간 영역을 의미한다. "옆구리부"는 몸통둘레부(T)에서의 양측부를 의미한다.
외장 시트(12)는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부직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이 부직포들 사이에 세장형의 탄성 신축 부재(12C)를 신장 상태로 고정시켜 그 신축력에 의해 착용자에 피트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12C)로는 고무줄이나 탄성 발포체의 띠 모양의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다수의 고무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고무줄(12C, 12C...)이 웨이스트부(W)에서는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 평행하게 설치되고 요하부(U)에서는 양측 부분에만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 평행하게 설치되며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중앙부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고무줄(12C, 12C...)이 웨이스트부(W) 및 요하부(U)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품이 착용자에 적절하게 피트된다.
(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20)로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면측으로부터 차례로 액체를 투과시키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탑 시트(30)와 흡수요소(50)를 구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 흡수요소(50)의 후면측에는 플라스틱 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액체 불투과성 시트(70)가 설치된다. 이 액체 불투과성 시트(70)의 후면 측은 외장 시트(12)의 몸체 측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체를 신속하게 흡수요소(50)로 이동시키기 위해 탑 시트(30)와 흡수요소(50)와의 사이에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4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흡수부(20)의 양측으로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수부(20)의 양측에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6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흡수성 본체(20)의 각 구성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전면, 비즈 또는 스파이럴 도포 등에 의해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흡수성 본체(20)는 매카니컬 패스너나 점착재를 이용하여 외장 시트(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체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탑 시트(30)의 소재는 액투과성을 발휘하는 것이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섬유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 등 또는 이것들 중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섬유, 복합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가공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 니들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추구하는 경우라면 스판본드법, 스판레이스법이, 큰 부피나 소프트성을 추구하는 경우라면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서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공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탑 시트(30)는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2장 이상의 시트를 점착하여 얻은 적층 시트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탑 시트(30)는 평면 방향으로는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2장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중간 시트)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체를 신속히 흡수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탑 시트(30)보다 액체의 투과속도가 빠르며 통상 "세컨드 시트"라 불리는 중간 시트(4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체를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동시켜 흡수체에 의한 흡수성능을 높일 뿐 아니라 흡수한 액체의 흡수체로부터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여 탑 시트(30)의 표면을 언제나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는 탑 시트(30)와 동일한 소재나 스판레이스,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 및 스판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도시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고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나 전체 폭에 걸쳐 설치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체(56)의 길이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액체를 수용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로 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의 대표적인 소재는 액체의 투과성이 우수한 부직포이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
본 액체 불투과성 시트(70)는 단순하게 흡수체(56)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시트를 의미하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탑 시트(30)와의 사이에 흡수체(56)를 개재시키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액체 불투과성 시트(70)는 그 소재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시킨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액체 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된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최근 짓무름 방지의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불투액성과 투습성을 동시에 갖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불투액성과 투습성을 동시에 갖는 소재의 시트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내에 무기 충진제를 혼련시켜 시트를 형성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70)는 U자 형태로 사용면에 연장(도시하지 않음)시킴으로써 액체의 옆샘을 방지할 수 있으나 실시의 형태에서는 옆샘에 대해서는 배리어 커프스(60)를 형성하는 이중의 배리어 시트(64) 사이에 제2 액체 불투과성 시트(72)를 개재시킴으로써 방지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까지 제2 액체 불투과성 시트(72)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탑 시트(30)를 따라 옆으로 확산된 액체나 배리어 커프스(60), (60) 사이의 무른 대변의 옆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70)에는 상품명, 기능 설명, 캐릭터, 문양 등의 표시부를 마련할 수 있고 이 표시부는 배뇨시에 이를 알리는 알람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배리어 커프스)
제품의 양측에 마련된 배리어 커프스(60), (60)는 탑 시트(30) 상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변이나 무른 대변을 저지하여 옆샘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부가적인 요소이다.
도시된 배리어 커프스(60)는 발수성 부직포 시트를 2중으로 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흡수체(56)의 후면측으로부터 탑 시트(30)의 하방으로의 꺾임 부분을 덮으며 표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탑 시트(30) 상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변을 저지하기 위하여 배리어 커프스(60)를 형성하는 2중의 부직포 시트 사이에 제2 액체 불투과성 시트(72)를 개재시키고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2중의 부직포 시트 사이에 액체 불투과성 시트(70)의 측부를 삽입시켜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배리어 커프스(60)의 중도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커프스(60)의 자체 형상은 적절히 설계 가능하나, 도시된 예에 서는 배리어 커프스(60)의 돌출부의 선단부 및 중간부에 탄성 신축 부재, 예를 들면 고무줄(62)이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시 그 수축력에 의해 배리어 커프스(60)가 기립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부의 고무줄(62)이 선단부의 고무줄(62), (62)보다 중앙측에 위치하여 탑 시트(30)의 전후단부에 고정되는 관계로 도 2와 같이 배리어 커프스(60)의 후단측은 중앙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기립하고 중앙부보다 선단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기립하는 형태가 된다.
(흡수요소)
흡수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의 적어도 후면 및 측면을 감싸는 피복시트(58)를 갖는다. 피복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흡수체(56)와 피복시트(58)의 후면측 부위(하측 부분)와의 사이에 유지시트(8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유지시트(80)는 생략할 수도 있다.
(흡수체)
흡수체(56)는 면상(綿狀) 펄프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에도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는 토(tow)(섬유속)를 개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토 구성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키틴, 키토산 등), 합성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아미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로는, 면, 린터, 목재 펄프 등 식물체 유래의 셀룰로오스나 박테 리아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일 수도 있으며 재생 셀룰로오스는 방사된 섬유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질산초산셀룰로오스 등의 혼산에스테르; 및 폴리카프로락톤 그라프트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50~900,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5~3.0(예를 들면 2~3) 정도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10~1000, 바람직하게는 50~9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로 할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3 정도, 바람직하게는 1~2.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0 정도로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생분해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유기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탄소수 2~4 정도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특히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초화도는 43~62% 정도인 경우가 많으나 특히 30~50% 정도면 생분해성도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 트이다.
토(tow) 구성섬유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열안정화제, 착색제, 유제, 수율 향상제, 백색도 개선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토 구성섬유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 데닐, 바림직하게는 1~10 데닐,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데닐이 바람직하다. 토 구성섬유는 비권축 섬유일수도 있으나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1인치 당 5~75 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권축 섬유를 사용하면 체적이 크고 가벼운 흡수체를 제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섬유간 엉킴에 의해 일체성이 높은 토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토 구성섬유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이형(예를 들면 Y자형, X자형, I자형, R자형 등)이나 중공형 등의 어떠한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토 구성섬유는 예를 들면 1,000~1,000,000개, 바람직하게는 2,000~1,000,000개 정도의 단섬유을 묶음으로써 형성된 토(섬유속)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속은 1,000~1,000,000개 정도의 연속섬유를 집속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의 토의 베일은 Celanese사나 다이셀화학공업 등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토의 베일은 밀도는 약 0.5g/cm3이며 총중량은 400~600kg이다. 이 베일에서 토를 떼어 원하는 사이즈, 부피가 되도록 넓은 띠 모양으로 개섬한다. 토의 개섬 폭은 임의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폭 50~2000mm, 바람직하게는 제품 흡수체의 폭인 50~300mm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토의 개섬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체의 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56)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적어도 액체 수용 영역에 있어서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에 대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입자)가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도 2의 요부 확대도로서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흡수체(56)의 상부, 하부, 및 중간부에 SAP입자가 없거나 혹은 있어도 극히 적은 경우에는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두께 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필라멘트의 집합체에 대하여 두께 방향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 이외에도 상부, 하부 및/또는 중간부에 "편재"하고 있으나 여전히 상부, 하부 및 중간부의 각 부분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SAP입자가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 내로 침투하지 않고 그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형태나 일부의 SAP입자가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를 통과하여 피복시트(58) 상에 있는 형태나 유지시트(80) 상에 있는 형태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입자 외에 분체도 포함하는 것이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입경은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 용할 수 있고 1000㎛ 이하, 특히 150~400㎛의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데 흡수량 40g/g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으며 전분 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형상으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분립체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가능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흡수 속도가 40초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40초를 넘으면 흡수체(56) 내로 공급된 액체가 흡수체(56) 밖으로 다시 나오는 소위 역류 현상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젤 강도가 1000Pa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체적이 큰 흡수체(56)로 형성한 경우에도 액흡수 후의 끈적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상기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이지는 않으나 50~350g/m2 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50g/m2 이하로 사용함으로써 폴리머의 중량에 의해, 합성 연속섬유를 채용함으로써 경량화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50g/m2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될 뿐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과잉으로 인해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주게 된다.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서 산포밀도 또는 산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의 배설부위에 대해 다른 부위보다 산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 차이를 고려하는 경우, 남자용은 앞쪽에 산포밀도(양)를 높이고 여자용은 중앙부의 산포밀도(양)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56)의 평면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예를 들면 스폿상)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 입경 분포가 다른 것을 복수개 준비하여 두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흡수체(56) 내의 하측에 입경 분포가 작은 것을, 상측에 입경 분포가 큰 것을 분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와 연속섬유와의 비율은 흡수특성을 좌우한다. 흡수체(56)에서의 액체를 직접 받는 영역의 5cm×5cm의 평면 면적내에서의 중량비로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연속섬유 중량이 1~14, 특히 2~9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시트)
피복시트(58)를 사용하는 경우, 그 소재로는 티슈 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다층 라미네이트 부직포, 소공이 형성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빠져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친수성인 SMMS(스판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판본드)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 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위 면적당 중량은 5~40g/m2, 특히 10~3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복시트(58)는 도 2와 같이 연속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의 층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 외에도 그 층의 후면 및 측면만을 감싸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흡수체(56)의 상면 및 측면만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흡수체(56)의 상면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측면 및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등일 수도 있다(이 각 소재들이 피복시트의 구성요소가 된다).
필요에 따라 연속섬유(52, 52...)의 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의 층을 상하 2층의 시트 사이에 형성하는 형태 또는 하면에만 배치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다.
(유지시트)
유지시트(80)를 마련하는 경우, 유지시트(80)와 흡수체(56)와의 사이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를 그 산포 등에 의해 개재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연속섬유(52)의 집합체로의 공급시 또는 그 후의 공정, 또는 소비자가 사용하기까지의 유통과정에서 연속섬유(52)의 집합체를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다. 연속섬유의 집합체를 빠져나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군의 요철은 소비자가 사용시 손으로 만졌을 때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준다. 이에, 흡수체(56)와 피복시트(58)와의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유지 성능을 갖는 유지시트(80)를 개재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유지시트(80)는 티슈 페이퍼(크레이프지) 등의 피복시트(58)만으로는 부족한 탄력을 보강하여 소비자가 사용시 손으로 만졌을 때 위화감을 경감 또는 방지한다.
유지시트(80)의 소재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유지 성능을 갖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부직포, 권축 펄프, 저흡수성의 코튼섬유(예를 들면 미탈지 코튼섬유, 탈지된 코튼섬유, 레이온 섬유를 발수제나 소수화제로 처리한 것 등), 폴리에틸렌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아크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견, 면, 마, 나일론, 폴리우레탄, 아세테이트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지시트(80)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그 유지시트(80)는 KES 시험에 따른 압축 에너지가 0.01~10.00gfcm/cm2, 바람직하게는 0.01~1.00gfcm/cm2이며, 또한 압축 탄성(resilience)이 10~100%, 바람직하게는 70~100%인 부직포일 수 있다.
유지시트(80)를 구비하는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흡수체(56)에서 하방으로 떨어진(빠져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를 유지시킴에 있다. 따라서, 빠져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에 대하여 피복시트(58) 및 유지시트(8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접촉되므로 사용자에게 까슬까슬한 위화감이 전달될 우려가 없다. 특히 상기의 압축 에너지 및 압축 탄성인 부직포를 사용하면 그 기 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빠져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유지시트(80)에 의해 유지되어 피복시트(58) 위를 이동하지 않으므로 흡수 능력의 편재가 발생할 우려도 없다. 특히 유지시트(80) 위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점착성을 갖은 핫멜트 접착제 등을 유지시트(80) 상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유지시트(80)의 상면(사용면 측을 향하는 면)을 거친 면으로 함으로써 유지시트(80) 위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거친 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보풀이 일도록 하는 수단으로서는 부직포의 제조시에서의 네트면이 아닌 비네트면으로 형성하거나, 마블 가공을 수행하거나, 니들 펀치에 의해 가공하거나, 브러싱 가공을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유지시트(8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56)의 하방에만 구비할 수도 있고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흡수체(56)의 측면을 지나 흡수체(56)의 상면까지 감아 연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유지시트(80)를 복수장 겹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예는 흡수체(56)와 피복시트(58)의 후면측 부위와의 사이에 유지시트(80)를 마련한 예이지만 유지시트는 피복시트보다 후면측에 구비할 수도 있는 것으로(이 형태는 도시되지 않음), 중요한 것은 흡수체(56)에 대하여 후면측에 유지시트를 마련하면 제품의 후면에서 접촉하는 경우에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경감시키거나 또는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정 테이프 등)
특징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몸판(12F)의 몸통둘레부(T)에서의 양측부에, 웨이스트 개구부(WO)의 가장자리부터 레그 개구부(LO) 가장자리까지 연장하여 있는 절취선(100, 10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100)의 피치는 임의로 한다. 또한, 절취선(100)의 위치 판별을 용이하게 하는 표시가 인쇄 등에 의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징적으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절취선(100)을 갖는 부분의 외면에 고정 테이프(90, 90)가 각각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고정 테이프(90)는 띠 형상의 기재 시트(91)의 내면에 길이방향 중 어느 일방의 단부를 제외하고 후크부재(매카니컬 패스너의 메일 부재)(92)가 부착되어 있고 후크부재(92)를 갖지 않는 부분이 손잡이부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고정 테이프(90)는 후크부재(92)가 외장 시트(12) 외면의 부직포 섬유에 엉킴으로써 전체가 기저귀 외면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 후크부재(92)로는 버섯 형상이나 J자 형상 등의 후크형 돌기를 표면에 다수 갖는 공지의 시트상 부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고정 테이프(90)의 형상, 치수는 적절히 결정할 수가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테이프(90)의 폭(X1)(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은 20~80mm, 바람직하게는 30~5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테이프(90)의 길이(길이방향)(Y1)는 절취선(100)의 길이(Y3)의 60~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크부재(92)의 폭(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X2)은 고정 테이프(90)의 폭(X1)의 5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크부재(92)의 길이(길이방향)는 고정 테이프(90)의 길이(Y1)의 50~100% 정 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상태에서의 고정 테이프(90)의 걸림 결합 부위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테이프(90)의 후크부재(92)가 절취선(100)의 양측에 걸쳐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미사용 상태 또는 팬티형으로 사용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절취선(10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테이프의 절취선 주변부에서의 박리강도를 절취선의 찢어짐 강도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절취선(100)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고정 테이프(90)의 일측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그대로 타측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지 않고 일측을 원하는 부위에 걸림 결합시키는 사용 또한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고정 테이프(90)의 길이방향이 절취선(100)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기저귀 외면에 걸림 결합되어 있으면 최소한의 자재량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절취선(100)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시된 형태와 같이 절취선(100)을 횡단하여 연속하도록 고무줄 등의 탄성 신축 부재(12C)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절취선(100)을 파단하여도 그 양측이 탄성 신축 부재(12C)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를 회피하기 위해 탄성 신축 부재(12C)는 절취선(100)측의 선단이 절취선(100) 위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도록 절취선(1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 들면 탄성 신축 부재(12C)를 절취선(100)을 횡단하도록 또한 횡단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외장 시트(12)에 고정시킨 후에 절취선(100)과 동일한 위치 또는 그 근방에서 절취선(100)을 따라 니들 펀칭 가공, 새김눈 가 공, 엠보스 가공을 수행하여 절취선(100)을 횡단하는 탄성 신축 부재(12C)를 절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가공 방법은 절취선 가공에 있어서 절취선의 새김을 이용하여 동시에 탄성 신축 부재를 절단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제조가 용이해진다.
절취선 가공시에는 후크부재(92) 및 고정 테이프 기재(91)의 융점이 외장 시트(12)의 부직포보다 10℃ 이상 높아지도록 소재를 선택하고 절취선(100)의 새김과 동시에 열 또는 초음파를 가하는 방법에 의해 절취선(100)을 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장 시트(12)의 외면 또는 고정 테이프(90)의 내면(후크부재(92) 측면)에 실리콘 처리 등의 수단에 의해 융착 저해 처리를 실시한 후에 열 또는 초음파를 가하는 방법에 의해 절취선(100)을 커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커팅시에는 탄성 신축 부재를 부직포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소정부위에 고정 테이프(90)를 부착하고 이 고정 테이프(90)의 부착측 반대측에서 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장 시트(12)와 고정 테이프(90)가 융착되지 않거나 융착되더라도 약하게 융착되기 때문에 사용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조공정이 복잡해 지지 않는 이점도 있다.
또한, 외장 시트(12)의 앞몸판(12F) 및 뒷몸판(12B)의 양측부를 히트씰에 의해 접합시키는 경우, 그 히트씰에 의해 탄성 신축 부재(12C)를 절단함과 동시에 양측의 탄성 신축 부재(12C)를 그 수축에 의해 절취선(100) 위치를 넘어 폭방향 중앙측으로 끌어오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부분에서 탄성 신축 부재(12C)가 형성되 지 않도록 탄성 신축 부재(12C)를 절단하는 경우, 그 절단에 의해 폭방향 중앙측의 탄성 신축 부재(12C)를, 절취선(100) 위치를 넘어 폭방향 외측으로 끌어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 탄성 신축 부재의 절단과 절취선 형성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 절취선(100)을 횡단하는 탄성 신축 부재(12C)에 의해 절취선(100)의 절단이 저해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제조도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기저귀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100)으로 분리시키기 전에는 소위 팬티형으로서, 또한 양 절취선(100)을 분리하여 고정 테이프(90, 90)의 후크부재(92)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의 양단부를 배쪽 및 등쪽에 각각 걸림 결합(즉 고정 테이프(90)로 배쪽 및 등쪽을 연결)시킴으로써 소위 테이프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테이프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쪽의 양측부와 등쪽의 양측부를 겹치게 할 수도 있으며 이격시킬 수도 있다. 이 때, 고정 테이프(90, 90)를 기저귀 외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테이프식으로 사용할 때의 고정 테이프(90, 90)의 부착 위치가 완전히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고정 테이프(90, 90)의 위치나 각도를 자유롭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체형에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테이프(90)를 부분적으로 떼어내면 사이즈 조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절취선(100)을 분리시키지 않고 고정 테이프(90)를 떼어내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미사용시 기저귀를 콤팩트하게 마는 고정 부재로도, 사용후 기저귀를 말아 폐기하기 위한 후처리 테이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5에 제품 상태 및 도 6에 테이프식 상태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테이프(90)를 앞몸판(12F)의 양측부에 각각 복수개 부착시킬 수 있다. 고정 테이프(90)를 양측부에 각각 복수개 마련하는 경우에는 각 측의 전체 고정 테이프(90, 90)의 총 길이(Y1+Y1)를 절취선(100)의 길이(Y3)의 50~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테이프(90)의 형상/치수, 후크부재(92)의 치수는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절취선 1줄당 복수의 고정 테이프(90)를 구비함으로써 절취선(100)으로 분리된 부위를 2부위(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절취선(100)의 양단부)에서 연결할 수 있고, 아울러 이 고정 테이프(90)들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식으로 사용할 때 피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한 보다 많은 체형에 피트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100)을 횡단하도록 고무줄 등의 탄성 신축 부재(12C)를 마련하는 경우, 고정 테이프(90)의 후크부재(92)를 절취선(100)의 양측에 걸치도록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시킬 뿐 아니라 나아가 고정 테이프의 후크부재(92)와 겹쳐지는 부분 및 그 근방에만 한정하여 탄성 신축 부재(12C)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절취선(100)에 있어서 예기치 않게 파단되는 부분이 감소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테이프(90)를 걸림 결합하는 부분또한 감소하므로 고가의 고정 테이프(90)의 소비량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형태>
도 8에 제품 상태 및 도 9에 테이프식의 상태가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재(92)를 고정 테이프(9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품 상태에서의 걸림 결합 형태로서는 후크부재(92)가 절취선(100)의 형성방향과 평행한 방향(탄성 신축 부재(12C)의 신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간헐적으로, 직교하는 방향(탄성 신축 부재(12C)의 신장 방향과 같은 방향)에서는 연속적이 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제4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신축 부재(12C), 고정 테이프(90), 후크부재(92)를 같은 방향에서 제조라인으로 공급하고 또한 공급된 방향 그대로 90도 회전시키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종이 기저귀에 대해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정 테이프(90) 전체가 기저귀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테이프식으로 사용할 때 90도 회전시키는 것이 사용상 편리한 경우에는 고정 테이프(90)를 떼어 낸 다음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품 상태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후크부재(92)가 절취선(100)을 따르는 방향에서는 연속되고 절취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간헐적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정 테이프(90)의 부착 방향은 기본적으로 임의로 할 수 있다. 고정 테이프(90)를 제품 상태에서 사용시의 방향으로 부착시켜 두어 사용시에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도록 할 수도 또한 제품상태에서 사용시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부착시켜 두고 사용시에 테이프를 떼어내어 사용하기 편리한 방향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
고정 테이프를 양측부에 각각 복수개 부착하는 경우 미리 별도로 구비함과 아울러, 도 10에 제품 상태 및 도 11에 테이프식의 상태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93)을 분리함으로써 복수의 부분(90A, 90B)으로 분할할 수 있는 고정 테이프(90)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고정 테이프(90)의 길이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크부재(92)를 복수개 마련하고 후크부재(92)와 후크부재(92) 간의 간격 부분에 절취선(93)을 가공함으로써 분할부분(90A, 90B)의 각각에 후크부재(92)를 갖지 않는 손잡이부(94)를 형성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테이프(90)는 기저귀 양측부의 접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앞몸판(12F)의 몸통둘레부(T)에서의 양측부에, 전후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걸쳐 복수의 고정 테이프(90, 90)가 각각 나란히 마련되어 있고 뒷몸판(12B)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절취선(100)의 형성부위에 대응하여 고정 테이프(90)를 뒷몸판(12B)에만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전후가 반대로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절취선(100)의 형성부위에 대응하여 고정 테이프(90)를 양측면에 하나씩 마련할 수도 있고 상하방향의 일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도시예의 고정 테이프(90)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95)가 접합부(12A)에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부위는 접합부(12A) 근방(폭방향 중앙측)일 수도 있다. 고정 테이프(90)의 후단부(95)의 고정은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으나 접합부(12A) 형성시의 히트씰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 테이프(90)의 후단부(95)의 강도가 향상되어 착용자의 심한 움직임으로 인해 몸통 둘레 방향으로 높은 부하가 걸려도 후단부(95)가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접합부(12A)의 형성과 동시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효율도 높아진다.
고정 테이프(90)에 있어서 후단부(95)보다 선단측의 부분(96)은 후단부(95)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그 선단부에는 기저귀 외면에 걸림 결합 가능한 후크부재(92)가 마련되어 있다.
외장 시트(12)의 외면이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후크부재(92)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 부재를 사용하면 그 후크를 부직포섬유에 엉키게 함으로써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걸림 결합이 불충하게 될 우려가 있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테이프(90, 90) 사이의 적절한 부위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후크가 걸리는 루프를 갖는 피메일 부재 또는 점착재가 양호하게 점착되는 수지 테이프 등의 타깃 테이프(110)를 마련할 수 있다.
고정 테이프(90)에서의 선단측 부분(96)은 이미 여러번 접어 가고정시켜 두거나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등의 탄성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길이가 충분히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형태에서는 단순히 고정 테이프(90)가 마련될 뿐 아니라 고정 테이프(90)가 마련된 몸판(앞몸판(12F))에서의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이, 고정 테이프(9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몸판(뒷몸판(12B))에서의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보다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의 차이는 각 몸판(12F, 12B)에 마련된 탄성 신축 부재(12C)의 탄성력(소재의 종류), 개수, 두께, 배치를 적절히 달리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각 몸판(12F, 12B)의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은 일률적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앞몸판(12F)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이 뒷몸판(12B)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보다도 10% 이상 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의 탄성변형 범위 내에 있어서 응력차가 너무 크면 고정 테이프(90)를 갖지 않은 몸판(도시한 형태에서는 뒷몸판(12B))이 너무 많이 신장되어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고 응력차가 너무 작으면 고정 테이프(90)를 갖는 몸판(도시한 형태에서는 앞몸판(12F))의 양측부의 변위가 적어진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PN)의 평면 개략도로서, 상술한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 차이에 의해 고정 테이프(90)를 갖는 앞몸판(12F)이 수축되고 고정 테이프(90)를 갖지 않은 뒷몸판(12B)이 신장되어 고정 테이프(90)를 갖는 앞몸판(12F)의 양측부가 고정 테이프(90)를 포함하여 2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의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자가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에도 균형있게 제품 폭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테이프(90)를 접합부(12A)에 고정하여도 고정 테이프(90)가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잡기가 쉽다. 또한, 조정시에는 기저귀를 신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 테이프(90)를 잡고 기저귀의 몸통 둘레 방향의 조여지는 정도를 보면서 고정 테 이프(90)의 후크부재(92)를 앞몸판(12F) 외면에서의 폭방향 중앙측의 적절한 부위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웨이스트 개구부(WO)에서 레그 개구부(LO)까지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절취선(100)을 형성하는 경우 이 절취선(100)은 도시예와 같이 고정 테이프(90)를 갖은 몸판(앞몸판(12F))의 양측 고정 테이프(90, 90) 사이에 있어서 각 고정 테이프(90)에서의 후크부재(92)의 걸림 결합부위(제품 폭의 조정시에 걸림 결합되는 위치)와 후단부(95)의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선(100)은 상방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면 "<" 형상 등의 굴곡선 형상, 물결 형상 등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취선(100)이 가공되어 있으면 필요에 따라 제품 양측에 마련된 절취선(100)을 각각 파단하고 각 파단부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단부의 일측 부분(12Y)과 타측 부분(12Z)을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품 폭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절취선(100)으로 파단한 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식 기저귀와 동일한 사용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절취선(100)의 폭방향 중앙측(12Z)을 내측으로 하고 고정 테이프(90)를 갖는 측(21Y)을 외측으로 하여 중첩시키고 있으나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절취선(100)은 제품 상태에 있어서 후크부재(92)와 후단부(95)의 사이에 또는 후크부재(92)와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사용 상태 또는 팬티형으로 사용할 경우의 예기치 못한 절취선(10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저귀의 폐기시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부(L)을 앞몸판(F)측으로 말아 올림과 동시에 앞몸판(12F)의 양측에 있는 고정 테이프(90, 90)를 말아 올려진 부분(RL)의 외면으로 돌리고 후크부재(92)를 감아 올려진 부분(RL) 외면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기저귀를 둥글게 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깨끗하게 기저귀를 폐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테이프(90)를 몸통 둘레 조임 조정용 및 후처리용으로서 겸용하면 두 기능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자재비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다른 형태)
(a) 고정 테이프(90)에는 외면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캐릭터 등의 그림 문양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 외면에서 완전히 분리 가능한 고정 테이프(90)에 그림 문양을 인쇄하면 그 밖의 의류 등에 부착할 수도 있고 수집하는 재미가 있는 휘장적인 물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b) 흡수성 본체(20)에 배설을 알려주는 표시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수단은 예를 들면 액체 불투과성 시트(70)의 내면(흡수 요소(50)측의 면)에 수분에 의해 변색되는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마련할 수 있다.
(c) 상기 예에서는 앞몸판(12F)의 양측부에 절취선(100)을 형성했으나 이를 대신하여 뒷몸판(12B)의 양측부에 동일한 절취선을 형성할 수 있다.
(d) 제품 상태에 있어서 절취선(100) 이외의 부위에 고정 테이프(9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e) 고정 테이프(90)의 걸림 결합부는 상기 예에서는 후크부재(92)를 사용하였으나 기저귀 외면에 걸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후크부재(92) 대신에 점착재층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기저귀 외면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고정 테이프(90)를 걸림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결합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기저귀 외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후크부재(92)가 걸리는 루프를 갖는 타깃 테이프 혹은 점착재가 양호하게 점착되는 수지 테이프 등을 마련할 수가 있다.
(f) 고정 테이프(9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신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피트성이 향상되고 사이즈 조정의 범위가 더욱 넓어진다. 특히 제4 실시형태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크부재(92)를 복수개 마련한 경우에는 후크부재(92) 사이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 신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고정 테이프(90)의 각 후크부재(92)를 절취선(100)으로 분리된 배쪽 및 등쪽 에 각각 걸림 결합하여 배쪽 및 등쪽을 연결함으로써 팬티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몸통 둘레의 최대 치수를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고정 테이프(90)를 탄성 신축시키는 경우, 고정 테이프(90)(기재 시트(91) 및 후크부재(92)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고무 시트 등의 탄성신축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시트 형상 또는 실 모양의 탄성재료를 신장 상태에서 부직포 등의 시트에 부착시킨 탄성 시트와 같이 탄성 신축 소재와 비신축 소재를 조합시킬 수도 있다. 탄성 신축 소재에 부분적으로 비신축 가공을 실시할 수도 있고 반대로 비신축 소재에 탄성 신축 가공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테이 프(90) 전체가 신축성을 가질 수도 있으나 걸림부나 손잡이부나 후단부가 신축성을 갖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적용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앞몸판의 양측부와 뒷몸판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양측에 접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웨이스트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앞몸판 및 뒷몸판의 각각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로부터 상기 레그 개구부에 이르는 범위에 복수의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가 폭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
    앞몸판 또는 뒷몸판의 양측면에 웨이스트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레그 개구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절취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탄성 신축 부재는 상기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절취선측의 선단이 상기 절취선과 같은 위치 또는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내면에 걸림부를 갖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신축 부재는 상기 절취선을 횡단하도록 또한 횡단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된 후에 상기 절취선과 같은 위치 또는 그 근방에서 절단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는 상기 고정 테이프의 걸림부와 겹쳐지는 부분 및 그 근방에만 상기 절취선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절취선의 양측에 걸쳐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접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절취선이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기 걸림부가 걸림 결합되는 위치와 상기 고정 테이프 일측 단부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기저귀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걸림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기저귀 외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 테이프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몸판 및 뒷몸판 중 상기 고정 테이프가 마련된 몸판에서의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이, 상기 고정 테이프가 마련되지 않은 몸판에서의 폭방향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보다 큰 팬티형 종이 기저귀.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는 상기 앞몸판 또는 뒷몸판의 양측부에 각각 복수개 부착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에 절취선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절취선을 절취함으로써 상기 고정 테이프를 복수의 고정 테이프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티형 종이 기저귀.
KR1020097004088A 2006-07-31 2007-07-31 팬티형 종이 기저귀 KR101390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09229 2006-07-31
JP2006209229A JP4369941B2 (ja) 2006-07-31 2006-07-31 パンツ型紙おむつ
JP2006324860 2006-11-30
JPJP-P-2006-324860 2006-11-30
PCT/JP2007/064924 WO2008016020A1 (fr) 2006-07-31 2007-07-31 Couche en papier du type culo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14A true KR20090041414A (ko) 2009-04-28
KR101390123B1 KR101390123B1 (ko) 2014-04-28

Family

ID=3899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88A KR101390123B1 (ko) 2006-07-31 2007-07-31 팬티형 종이 기저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11406B2 (ko)
EP (1) EP2052705B1 (ko)
KR (1) KR101390123B1 (ko)
RU (1) RU2423094C2 (ko)
WO (1) WO20080160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07B1 (ko) * 2013-07-08 2014-01-03 김주호 일회용 변기 시트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196A (ja) * 2004-08-17 2006-03-02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パンツ
US8518006B2 (en) * 2008-05-30 2013-08-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 with tab
US20100130955A1 (en) * 2008-11-24 2010-05-27 Tice Renee J Reusable absorbent article for ambulatory users
US8845503B2 (en) 2009-07-21 2014-09-30 Zuik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worn article
JP5615116B2 (ja) * 2010-09-27 2014-10-29 大王製紙株式会社 止着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24754B2 (ja) * 2011-03-30 2016-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RU2651437C2 (ru) 2013-03-22 2018-04-19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US20150032078A1 (en) 2013-07-29 2015-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a visual cue
US9480611B2 (en) 2013-07-29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615980B2 (en) 2013-07-29 2017-04-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339425B2 (en) 2013-11-04 2016-05-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adapted to enhance gasketing
US9468569B2 (en) 2013-11-04 2016-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and waist elastic with low load loss properties
US9597237B2 (en) 2013-12-31 2017-03-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980859B2 (en) 2014-01-31 2018-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improved flexibility
US9849043B2 (en) 2014-10-31 2017-1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otected fastening system
BR112017013761A2 (pt) * 2014-12-25 2018-03-13 Procter & Gamble conjunto de artigos do tipo para vestir
CN106913420B (zh) * 2016-08-18 2019-11-08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弹性腰围片材的加工方法
JP6404297B2 (ja) * 2016-10-21 2018-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102075055B1 (ko) * 2016-12-16 2020-02-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내부 물질과 탄성체가 없는 부분 미중첩 허리 패널 구조를 갖는 기저귀 팬티
WO2018143921A1 (en) * 2017-01-31 2018-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side pocket
MX2019013006A (es) 2017-05-31 2020-02-05 Kimberly Clark Co Articulos absorbentes con lados cerrados con abertura delantera o posterior.
RU2763484C2 (ru) * 2017-05-31 2021-12-29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Замкнутые по бокам впитывающие изделия, раскрывающиеся спереди или сзади
KR101770398B1 (ko) * 2017-07-10 2017-08-22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JP6585751B2 (ja) * 2018-02-26 2019-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低体重児用おむつ
JP1675979S (ko) * 2020-05-27 2021-01-04
CN113041035A (zh) * 2021-03-04 2021-06-29 龙弟力 一种婴儿拉拉裤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1747A (en) * 1957-02-11 1960-04-05 Fred F Dexter Fabric fastener
US3800796A (en) * 1972-04-13 1974-04-02 E Jacob Disposable diaper with semielastic strip fasteners
US4081301A (en) * 1975-10-30 1978-03-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ttaching discrete, stretched elastic strands to predetermined isolated portions of disposable abosrbent products
US4555244A (en) * 1983-07-25 1985-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ste-containment garment having absorbent body and reuseable side-bridging fastener fitments
ES295655Y (es) * 1984-01-27 1987-11-01 Beghin-Say Articulo de higiene desechable.
US4639949A (en) * 1985-01-10 1987-02-03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 form-fitting closure constructions for disposable garments
US4909804A (en) * 1986-04-28 1990-03-20 Douglas Sr Herman Child's toilet training pants
US4743239A (en) * 1986-11-07 1988-05-10 Cole Shelley K Disposable brief having an area of relatively thin absorbent material and an area of relatively thick absorbent material
JPH07100068B2 (ja) * 1988-01-14 1995-11-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に弾性部材を取り付ける装置
US5257167A (en) 1989-08-24 1993-10-2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Silhouette illuminated vehicle display apparatus
JP3096152B2 (ja)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ES2106886T3 (es) 1992-10-27 1997-11-16 Procter & Gamble Far East Inc Pañal desechable con una abertura de cintura completamente elastificada.
US5374262A (en) * 1992-12-30 1994-12-20 Kimberly-Clark Corporation Adjustable garment attachment system
US5304162A (en) * 1992-12-30 1994-04-19 Kimberly-Clark Corporation Garment and pleated, adjustable strap member therefor
DE69418713T2 (de) * 1993-06-25 1999-11-11 Procter & Gamble Wegwerfhöschen mit unperforierter trennlinie
US5776123A (en) * 1993-07-28 1998-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arment with tactile position indicators
JP3365658B2 (ja) * 1993-09-30 2003-01-14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収体製品
DE19813334B4 (de) 1998-03-26 2007-09-06 Paul Hartmann Ag Windel- oder Inkontinenzhösch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6036805A (en) 1998-06-19 2000-03-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n asborbent article with prefastened side panels
US6972012B1 (en) * 1998-12-18 2005-12-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6752796B2 (en) * 1999-02-10 2004-06-22 First Quality Products, Inc. Disposable pant type absorbent article
US20030176846A1 (en) * 1999-02-10 2003-09-18 First Quality Enterprises, Inc. Disposable pant typ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multifold fastening system
JP3089419B1 (ja) 1999-06-15 2000-09-18 有限会社 福富ヘルスサイエンスアンドサービス 蛇腹状連続交換式体液吸収性物品
US6524293B1 (en) * 1999-12-17 2003-0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tretch panel
JP3699331B2 (ja) * 2000-05-26 2005-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243008B2 (ja) 2000-07-21 2009-03-25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
US6579275B1 (en) * 2000-09-28 2003-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releasable seams and a folded fastening feature
US6508797B1 (en) * 2000-11-03 2003-01-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 releasable line of weakness and a fastener
US20020111596A1 (en) 2001-02-15 2002-08-15 Fletcher Amy L. Garment having removable side panels
US20020148557A1 (en) * 2001-04-13 2002-10-17 Kimberly-Clark Worlwide, Inc. Method of assembling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
US20030055389A1 (en) * 2001-09-14 2003-03-20 Sanders Donald J.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
US6682626B2 (en) 2001-09-14 2004-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s
US20030120253A1 (en) * 2001-12-21 2003-06-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one piece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20030130641A1 (en) 2001-12-28 2003-07-10 Richlen Sandra A. Absorbent garment having a weakened region
JP4350335B2 (ja) 2002-01-30 2009-10-21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3090821U (ja) * 2002-06-18 2002-12-26 日本紙工機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US20040068246A1 (en) * 2002-10-02 2004-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s with improved elastic filament placement control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7077834B2 (en) 2003-03-21 2006-07-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nt-like disposable garment for absorbing human discharge
US6991696B2 (en) 2003-03-21 2006-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a disposable,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JP4530249B2 (ja) 2003-06-27 2010-08-25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式の紙おむつ
JP4683522B2 (ja) * 2003-11-28 2011-05-1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4181065B2 (ja) 2004-02-20 2008-11-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および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4284216B2 (ja) 2004-03-25 2009-06-2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開閉式使い捨てパンツ
JP4019151B2 (ja) 2004-03-30 2007-12-12 大王製紙株式会社 展開型紙おむつ
JP4279190B2 (ja) 2004-04-19 2009-06-1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163144B2 (ja) 2004-04-28 2008-10-0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34402A (ja) * 2004-07-23 2006-02-09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パンツ
US20060069376A1 (en) * 2004-09-30 2006-03-30 Elizabeth Miller Absorbent article with extended side panels
JP4312140B2 (ja) * 2004-10-01 2009-08-12 花王株式会社 通気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727265B2 (ja) * 2005-03-17 2011-07-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US20070038199A1 (en) * 2005-08-10 2007-02-15 Edward Erdma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side sea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07B1 (ko) * 2013-07-08 2014-01-03 김주호 일회용 변기 시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705B1 (en) 2017-11-15
RU2009107147A (ru) 2010-09-10
WO2008016020A1 (fr) 2008-02-07
KR101390123B1 (ko) 2014-04-28
US20090198207A1 (en) 2009-08-06
EP2052705A1 (en) 2009-04-29
EP2052705A4 (en) 2012-10-17
RU2423094C2 (ru) 2011-07-10
US9011406B2 (en)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123B1 (ko) 팬티형 종이 기저귀
KR102287484B1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물품
JP5095700B2 (ja) パンツ型紙おむつ
JP5140367B2 (ja) 紙おむつ
JP5984156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5658982B2 (ja) ペット用止着式使い捨ておむつ
JP2010005453A5 (ko)
JP2008155015A5 (ko)
JP2008104874A5 (ko)
JP4369941B2 (ja) パンツ型紙おむつ
JP5941278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207785B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074470B2 (ja) 吸収性物品用シート状素材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999754B2 (ja) 吸収性物品用シート状素材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並びに吸収性物品用シート状素材の製造方法
JP596768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524792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2657A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19449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07111503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68852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650298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885981B2 (ja) 吸収性物品用シート状素材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603266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129179B2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
JP5674330B2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