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398B1 -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 Google Patents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398B1
KR101770398B1 KR1020170087105A KR20170087105A KR101770398B1 KR 101770398 B1 KR101770398 B1 KR 101770398B1 KR 1020170087105 A KR1020170087105 A KR 1020170087105A KR 20170087105 A KR20170087105 A KR 20170087105A KR 101770398 B1 KR101770398 B1 KR 10177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waistband
removable
diaper body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석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Priority to KR102017008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398B1/ko
Priority to CA3063546A priority patent/CA3063546A1/en
Priority to PCT/KR2017/010625 priority patent/WO2019013391A1/ko
Priority to MX2019013844A priority patent/MX2019013844A/es
Priority to JP2018557365A priority patent/JP6640383B2/ja
Priority to BR112019023859-0A priority patent/BR112019023859A2/pt
Priority to CN201780002735.XA priority patent/CN109429485B/zh
Priority to AU2017423552A priority patent/AU2017423552B2/en
Priority to EP17917466.9A priority patent/EP3622926A4/en
Priority to US16/086,568 priority patent/US1130485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61F13/565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adjustable pants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7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breakable lateral stitches or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2013/566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connected to itself
    • A61F2013/5677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connected to itself refasten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앞쪽의 배 영역에 배치되는 기저귀 제1 몸체;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되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해 제거(remov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무빙 허리밴드; 상기 리무빙 허리밴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허리밴드 벨크로;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뒤쪽의 엉덩이 영역에 배치되는 기저귀 제2 몸체; 상기 기저귀 제2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결합날개; 상기 결합날개의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날개 벨크로; 및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 상기 기저귀 제2 몸체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주름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DISPOSABLE DIAPER WITH REMOVING BAND}
본 발명은,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무빙 허리밴드가 적용됨으로써 더욱 쉽고 간편하게 착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착용 후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대변처리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는 소변이나 대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 보유함으로써 신체 배설물이 바깥쪽으로 새어 나와 옷이나 다른 피부를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속옷의 역할을 한다.
기저귀는 0~4세의 유아가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단 사용된 후에는 재사용 없이 폐기 된다.
한편, 걷기 전인 1세 이하의 유아는 반듯이 누워있거나 활동량이 적어 통상적인 기저귀를 착용시키기가 그리 어렵지 않으므로 대다수 부모들은 이 시기의 유아에 통상적 기저귀를 선호한다.
하지만, 돌을 전후하여 걷기 시작하는 무렵부터는 통상적인 기저귀뿐만 아니라 입히기 편리한 팬티형 기저귀라는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돌이 지나 막 걷거나 뛰기 시작하는 유아의 경우에는 호기심이 많아 움직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어른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기저귀를 착용시키기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육아에 서툰 아빠들의 육아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입히기 편리한 팬티형 기저귀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통상적인 기저귀를 착용시키고자 할 때는 우선 유아를 반듯하게 눕힌 상태에서 유아의 발을 잡고 엉덩이를 약간 들어 올린 후 기저귀를 뒤집어 밑에 깔고 유아의 양쪽 다리를 벌려서 기저귀의 일측단부가 유아의 앞쪽으로 오도록 한 후에 기저귀의 타측단부와 상호간 벨크로를 채워야 한다.
이때, 갓 태어난 유아의 경우에는 반듯하게 잘 누워있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시키기가 어렵지 않을 수 있으나 막 걷거나 뛰기 시작할 때는 유아가 가만히 누워 있으려 하지 않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시키는 일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팬티형 기저귀의 경우, 유아가 돌을 전후하여 걷거나 뛰기 시작하는 무렵부터는 통상적인 기저귀보다 유아에게 편리하게 착용시킬 수는 있으나 그 착용 과정을 살펴보면 팬티형 기저귀는 유아가 입고 있는 하의와 신발을 모두 벗겨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추운 날씨에 유아는 내복 등, 다수의 하의를 입고 있으므로 이때 팬티형 기저귀를 유아에 착용시키는 과정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예컨대, 팬티형 기저귀를 착용시키고자 할 때는 우선 유아의 신발을 벗기고 나서 내복, 바지 등 입고 있는 하의를 모두 벗겨 내고, 팬티형 기저귀를 착용시킨 후에 벗겨낸 하의를 다시 모두 입히고 신발을 다시 신겨야 한다.
이때, 유아는 가만히 있으려 하지 않고 계속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옷과 신발 등을 벗겼다 다시 입히는 일은 굉장히 번거로운 일임과 동시에 유아에게도 스트레스를 주는 과정이다.
그렇다고 해서 기저귀를 착용시키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본 출원인은 이러한 발명에 대해 출원을 하여 등록번호 제10-1549985호로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 등록 발명(제10-1549985호)은 기저귀에 허리밴드를 적용함으로써 기저귀 착용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공보에는 허리밴드를 밴드부로 명명했다.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상기 발명의 경우, 허리밴드로 인해 착용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는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허리밴드로 인한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대변처리 문제, 착용상 문제 등이 야기될 수도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허리밴드를 계속 차고 있을 경우,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대변처리 문제 등이 야기될 수도 있으며, 착용시에도 착용상의 불편함이 야기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허리밴드는 유아 피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허리밴드를 계속 차고 있을 경우 허리밴드 부분에 땀이 차게 되는데 유아가 활발히 놀거나 특히, 더운 날씨에는 땀이 더 차게 될 것이므로 유아들이 허리밴드로 인해 더 답답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또한 활동성이 강해진 유아들은 계속 움직이면서 쪼그리고 앉았다 일어났다 하는데 이 과정에서 허리밴드의 모양이 뒤 틀리거나 겹이 져서 주름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떨어지거나 벌어진 허리밴드의 벨크로가 유아 피부에 쓸려 피부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유아의 활발한 움직임에 의해 뒤틀리거나 겹이 져서 주름이 생긴 허리밴드는 미관상으로도 굉장히 좋지 않은데 특히 유아가 앉고 일어서는 것을 반복하면 허리에 밀착된 허리밴드의 위치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엉덩이 쪽의 기저귀 몸체는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기저귀 몸체에 가려져 있던 허리밴드가 기저귀 몸체위로 노출되게 되고 이렇게 노출된 뒤틀리고 주름진 허리밴드는 시각적 또는 미관상으로 굉장히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게 된다.
또한 허리밴드는 소변으로 인한 기저귀 교체시에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대변으로 인한 교체시에는 오히려 기존 기저귀보다 더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예컨대, 유아가 대변을 많이 봤거나 대변 양이 적더라도 대변을 본 상태에서 바닥에 앉아서 놀게 될 경우에는 허리밴드까지 대변이 밀려 올라와 허리밴드에 묻게 되는데 기저귀를 교체하려면 허리밴드 벨크로를 떼어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엄마의 손에 유아의 대변이 묻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엄마들은 유아가 서있는 상태에서 대변을 처리하는 것은 깨끗하게 닦아 주는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유아를 눕혀서 대변을 처리해 주는 것을 선호하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차고 있던 기저귀 옆면의 벨크로 등을 떼어내고 한 손으로 유아의 두 다리를 잡고 위로 든 다음, 다른 한 손으로 대변이 묻지 않은 기존 기저귀의 앞쪽 패드를 이용하여 대변을 한번 대충 닦아낸 후 물티슈 등으로 대변을 마저 닦고 씻겨 주고 있다. 하지만, 허리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눕혔을 경우, 허리밴드가 유아의 등에 눌리게 되서 허리밴드 벨크로를 떼어내기가 더 불편해지게 되고 결국 또 유아의 대변이 손에 묻을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유아를 눕혀 대변을 처리해야 하는 엄마들에게 허리밴드는 기존보다 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엄마들은 최초에 허리밴드를 착용시킬 때 허리밴드 착용 후의 전술한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등이 발생 될 것을 우려해 가능한 주름지지 않고 반듯한 모양으로 착용시키고자 노력하지만 이 과정에서 조차도 유아들이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허리밴드를 반듯한 모양으로 한 번에 착용시키기가 만만치 않으며, 이로 인해 허리밴드 벨크로를 몇 번이고 붙였다 떼었다 하게 되는 등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착용상의 불편함까지도 야기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반적인 사항들을 고려해볼 때, 허리밴드로 인한 착용의 편의성은 더욱 향상시키는 한편 착용 후 허리밴드가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대변처리 문제 등의 문제 발생을 저지시킬 수 있도록 한 신개념의 기저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6-00528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009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574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70093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리무빙 허리밴드가 적용됨으로써 더욱 쉽고 간편하게 착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착용 후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대변처리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앞쪽의 배 영역에 배치되는 기저귀 제1 몸체;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되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해 제거(remov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무빙 허리밴드; 상기 리무빙 허리밴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허리밴드 벨크로;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뒤쪽의 엉덩이 영역에 배치되는 기저귀 제2 몸체; 상기 기저귀 제2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결합날개; 상기 결합날개의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날개 벨크로; 및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 상기 기저귀 제2 몸체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주름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에는 상기 기저귀 제1 몸체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 탄성 팽창부가 마련되며, 상기 기저귀 제2 몸체에는 상기 기저귀 제2 몸체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2 탄성 팽창부가 마련되며, 상기 기저귀 제1 몸체, 상기 주름 연결부 및 상기 기저귀 제2 몸체에는 배설물 흡수용 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무빙 허리밴드가 적용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착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착용 후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리무빙 허리밴드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대한 도 1a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아의 뒷모습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유아에게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를 유아에게 착용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4 내지 도 7에 대응되는 실제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가 밴드형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가 팬티형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의 평면 구조도, 도 1b는 도 1a에서 리무빙 허리밴드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에 대한 도 1a의 사시도, 도 3은 유아의 뒷모습,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유아에게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를 유아에게 착용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은 도 4 내지 도 7에 대응되는 실제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적용됨으로써 더욱 쉽고 간편하게 착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착용 후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대변처리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기저귀 제1 몸체(110), 기저귀 제2 몸체(120), 그리고 주름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저귀 제1 몸체(110), 기저귀 제2 몸체(120), 그리고 주름 연결부(130)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혹은 일부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주름 연결부(130)는 기저귀 제2 몸체(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기저귀 제2 몸체(120)의 일 구성일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기저귀 착용자는 도 3처럼 대부분이 유아일 수 있으나 성인, 예컨대 거동이 어려운 환자 등의 성인과 애완견 등의 반려동물이 그 대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유아용을 벗어나 성인용과 반려동물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아용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기저귀 제1 몸체(110)는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앞쪽의 배 영역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즉 도 3처럼 유아의 뒤쪽에서 기저귀(100)를 착용시키고자 할 때는 기저귀 제1 몸체(110)가 배 영역, 즉 유아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유아의 앞쪽에서 기저귀(100)를 착용시킬 때는 기저귀 제1 몸체(110)가 엉덩이 영역에 배치되고, 기저귀 제2 몸체(120)가 배 영역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 방향성에 무관하다.
기저귀 제1 몸체(110)에는 기저귀 제1 몸체(110)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 탄성 팽창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팽창부(111)는 밴드의 박음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팽창부(111)가 마련되면 착용에 편리하나 제1 탄성 팽창부(111)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기저귀 제1 몸체(110)에는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마련된다.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기저귀 제1 몸체(110)의 양측에 연결되되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며, 기저귀 제1 몸체(11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선(117)에 의해 제거(remov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일종의 일회성 접착 날개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기저귀 제1 몸체(110)의 양측에 대칭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유아들의 각자 다른 발육상태와 허리 사이즈를고려할 때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적용되어야 하나 반드시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리무빙 허리밴드(115)의 단부에는 허리밴드 벨크로(116)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절취선(117)에 의해 기저귀 제1 몸체(110)에 연결되기 때문에 도 1a에서 도 1b처럼 리무빙 허리밴드(115)를 당기면 기저귀 제1 몸체(110)에서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쉽게 분리되면서 제1 몸체(110)에서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한 번 채워놓은 상태에서 기저귀(100)를 완전히 착용시키고 나면 제거되는 부분인 것이다.
다음으로, 기저귀 제2 몸체(120)는 기저귀 제1 몸체(110)와 연결되며,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뒤쪽의 엉덩이 영역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도 6처럼 기저귀 제2 몸체(120)는 엉덩이 영역을 감싸면서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를 착용하고 나면 도 6처럼 뒤에서 볼 때, 기저귀 제2 몸체(120)만 보일 수 있다.
기저귀 제2 몸체(1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결합날개(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결합날개(125)의 단부에는 결합날개 벨크로(126)가 마련된다.
결합날개(125)에 형성되는 결합날개 벨크로(126)가 기저귀 제1 몸체(110)에 각각 부착됨으로써 기저귀 제1 몸체(110)와 기저귀 제2 몸체(120)를 연결시킨다. 즉 기저귀 제2 몸체(120)는 유아의 앞쪽에서 유아의 가랑이 사이를 통해 유아의 엉덩이 부분에 배치된 후에 결합날개(125)의 결합날개 벨크로(126)를 통해 기저귀 제1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기저귀 제2 몸체(120)에도 기저귀 제2 몸체(120)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2 탄성 팽창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팽창부(121) 역시, 밴드의 박음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탄성 팽창부(121) 역시 선택사항이다.
다음으로, 주름 연결부(130)는 기저귀 제1 몸체(110)와 기저귀 제2 몸체(120)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주름 연결부(1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를 접었을 때는 부피가 작아지는데 반해, 사용할 때는 사이즈가 확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는 기저귀 제1 몸체(110), 주름 연결부(130) 및 기저귀 제2 몸체(120)에 걸쳐 배치되는 패드이다. 일체형일 수도 있고, 혹은 별도로 제작되어 해당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기저귀 제1 몸체(110), 주름 연결부(130) 및 기저귀 제2 몸체(120) 역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천이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되지만 실질적으로 소변이나 대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 보유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기저귀 제1 몸체(110), 주름 연결부(130) 및 기저귀 제2 몸체(120)에는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가 마련되어 소변이나 대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의 착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처럼 유아가 뒤돌아 있는 상태라면 이 상태에서 기저귀 제1 몸체(110)를 유아의 배 영역에 배치한 후, 한 쌍의 리무빙 허리밴드(115)를 엉덩이 쪽으로 돌리면서(도 4의 +A, -A 방향) 리무빙 허리밴드(115)에 마련되는 허리밴드 벨크로(116)에 의해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서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기저귀 착용 완료 후 즉시 제거 할 대상임으로 허리밴드 벨크로(116)의 부착 위치나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서로 연결된 모양 등을 신경 쓰지 않고 단지 착용상의 편리함을 위해 리무빙 허리밴드를 잠시 붙여 놓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즉, 기존의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등의 걱정으로 허리밴드를 반듯하게 잘 붙이기 위해 몇 번이고 붙였다 떼었다 하는 불편함 없이 한 번에 단지 서로 연결해 붙여 놓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한 쌍의 리무빙 허리밴드(115)로 인해 기저귀(100)가 유아의 허리 부분에 일단 착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4 및 도 8이다.
다음, 도 5 및 도 9처럼 화살표 B 방향으로 기저귀 제2 몸체(120)를 가랑이 사이를 통해 유아의 엉덩이 쪽으로 끄집어낸다.
그런 다음, 도 6 및 도 10처럼 기저귀 제2 몸체(12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올려 기저귀 제2 몸체(120)가 엉덩이를 감싸도록 한 후, 기저귀 제2 몸체(120)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날개(125)들을 화살표 D1,D2 방향으로 당기면서 결합날개 벨크로(126)를 이용하여 기저귀 제1 몸체(110)에 결합시킨다.
이처럼 기저귀 제2 몸체(120)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날개(125)들을 기저귀 제1 몸체(110)에 결합시키면 도 6 및 도 10처럼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기저귀 제2 몸체(120)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그렇지만,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유아의 허리를 감싸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 및 도 11처럼 기저귀 제2 몸체(120)를 벌려 그 내부로 손을 넣어 리무빙 허리밴드(115)를 잡아당긴다.
리무빙 허리밴드(115)를 잡아당기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절취선(117)이 뜯기면서 기저귀 제1 몸체(110)에서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분리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제거되면 허리를 감싸면서 압박했던 요소가 사라지기 때문에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11의 경우는 마치 유아를 눕혀서 일반 기저귀를 채운 것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리무빙 허리밴드(115)는 기저귀(100)를 쉽게 착용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제공한 후, 제거됨으로써 리무빙 허리밴드(115)를 계속 착용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무빙 허리밴드(115)가 적용됨으로써 더욱 쉽고 간편하게 착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착용 후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기성 문제, 피부손상 문제, 미관상 문제, 대변처리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 좀 더 기술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100)를 사용하면 굳이 서있는 유아를 눕힐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100)는 팬티형 기저귀와 같이 유아가 입고 있는 하의와 신발을 모두 벗겨 냈다 다시 입히는 번거로움이 없어져 유아의 스트레스를 없앨 수 있으며, 또한 부모 역시, 어렵지 않게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를 서있는 상태에서 편리하게 착용시킬 수 있어 육아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 하루 10개 이상의 기저귀를 갈아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될 경우, 부모에게 많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통상의 팬티형 기저귀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실제, 팬티형 기저귀가 생각보다 편리하지 않는데, 즉 팬티형 기저귀의 경우, 입히는 것 자체는 편리해 보이지만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는 입고 있는 하의를 모두 벗겨낸 후에 팬티형 기저귀를 입히고 옷을 다시 입혀야 하는 큰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도 쉽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착용시킬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에 따르면,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가 밴드형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가 팬티형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부모들은 한 가지 형태의 기저귀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통상적인 일반 기저귀와 팬티형 기저귀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다양한 육아 환경과 상황에 따라 기저귀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모든 벨크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무빙 허리밴드(115)를 절취선(117)을 따라 제거하면 도 13처럼 팬티형 기저귀처럼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벨크로를 분리하고 리무빙 허리밴드(115)를 절취선(117)을 따라 제거하면 통상적인 일반 기저귀, 즉 도 12와 같은 밴드형 기저귀처럼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다양한 육아환경과 상황에 따라 팬티형 기저귀(도 13 참조)와 통상적인 일반 기저귀(도 12 참조)로도 변형해서 사용 가능한 3-in-1기능의 멀티형 기저귀라는 점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는 도 2, 도 12 및 도 13처럼 3가지 형태, 즉 루프형, 밴드형, 팬티형으로 사용 가능한 3-in-1 멀티 기저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부모들은 다양한 육아 환경과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팬티형 기저귀나 통상적인 일반 기저귀를 따로 구비할 필요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100)만 구비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저귀 110 : 기저귀 제1 몸체
111 : 제1 탄성 팽창부 115 : 리무빙 허리밴드
116 : 허리밴드 벨크로 117 : 절취선
120 : 기저귀 제2 몸체 121 : 제2 탄성 팽창부
125 : 결합날개 126 : 결합날개 벨크로
130 : 주름 연결부 140 : 배설물 흡수용 패드

Claims (2)

  1.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앞쪽의 배 영역에 배치되는 기저귀 제1 몸체;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되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해 제거(remov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리무빙 허리밴드;
    상기 리무빙 허리밴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허리밴드 벨크로;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허리를 기준으로 해서 뒤쪽의 엉덩이 영역에 배치되는 기저귀 제2 몸체;
    상기 기저귀 제2 몸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결합날개;
    상기 결합날개의 단부에 마련되는 결합날개 벨크로; 및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와 상기 기저귀 제2 몸체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주름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제1 몸체에는 상기 기저귀 제1 몸체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 탄성 팽창부가 마련되며,
    상기 기저귀 제2 몸체에는 상기 기저귀 제2 몸체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2 탄성 팽창부가 마련되며,
    상기 기저귀 제1 몸체, 상기 주름 연결부 및 상기 기저귀 제2 몸체에는 배설물 흡수용 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KR1020170087105A 2017-07-10 2017-07-10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KR10177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05A KR101770398B1 (ko) 2017-07-10 2017-07-10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US16/086,568 US11304859B2 (en) 2017-07-10 2017-09-26 Diaper including removable waistband
MX2019013844A MX2019013844A (es) 2017-07-10 2017-09-26 Pañal que incluye pretina removible.
PCT/KR2017/010625 WO2019013391A1 (ko) 2017-07-10 2017-09-26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CA3063546A CA3063546A1 (en) 2017-07-10 2017-09-26 Diaper including removable waistband
JP2018557365A JP6640383B2 (ja) 2017-07-10 2017-09-26 リムービング腰バンドを備えたオムツ
BR112019023859-0A BR112019023859A2 (pt) 2017-07-10 2017-09-26 Fralda com cós removíveis
CN201780002735.XA CN109429485B (zh) 2017-07-10 2017-09-26 具有可拆卸腰带的纸尿裤
AU2017423552A AU2017423552B2 (en) 2017-07-10 2017-09-26 Diaper including removable waistband
EP17917466.9A EP3622926A4 (en) 2017-07-10 2017-09-26 DIAPER WITH REMOVABLE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05A KR101770398B1 (ko) 2017-07-10 2017-07-10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398B1 true KR101770398B1 (ko) 2017-08-22

Family

ID=5975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105A KR101770398B1 (ko) 2017-07-10 2017-07-10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304859B2 (ko)
EP (1) EP3622926A4 (ko)
JP (1) JP6640383B2 (ko)
KR (1) KR101770398B1 (ko)
CN (1) CN109429485B (ko)
AU (1) AU2017423552B2 (ko)
BR (1) BR112019023859A2 (ko)
CA (1) CA3063546A1 (ko)
MX (1) MX2019013844A (ko)
WO (1) WO20190133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91A1 (ko) * 2017-07-10 2019-01-17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881B2 (ja) 1989-06-16 2001-01-09 株式会社トーキン 超音波モータ
JP5107423B2 (ja) 2007-05-31 2012-12-26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転用可能な吸収用品
US20140163513A1 (en) 2012-12-06 2014-06-12 Amanda N. Schambon Diape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JP5552054B2 (ja) 2007-11-09 2014-07-16 タミケア リミテッド 正面で開くパネルが付いた、改良された使い捨て下着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13U (ko) * 1989-06-05 1991-01-21
KR100355652B1 (ko) * 1993-06-25 2003-02-1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비천공성절취선을갖는일회용소아팬티
JPH09508035A (ja) * 1994-01-19 1997-08-19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変換可能なベルト付きおむつ
JPH09224975A (ja) * 1996-02-23 1997-09-02 Makoto Adachi おむつ取付け補助具および紙おむつ
JP3946270B2 (ja) * 1998-05-28 2007-07-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い捨て引き上げ装着衣類
KR20000000987A (ko) 1998-06-05 2000-01-15 전주범 브이씨알의 녹화 방법
US20040082933A1 (en) * 1998-06-12 2004-04-29 Hamzeh Karami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fastening system
US6752796B2 (en) * 1999-02-10 2004-06-22 First Quality Products, Inc. Disposable pant type absorbent article
US20020111596A1 (en) * 2001-02-15 2002-08-15 Fletcher Amy L. Garment having removable side panels
JP4633303B2 (ja) * 2001-08-08 2011-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20030055389A1 (en) * 2001-09-14 2003-03-20 Sanders Donald J.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
US6575950B1 (en) * 2002-03-05 2003-06-1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Stretch ear diaper having perforated backsheet
JP2004305599A (ja) * 2003-04-09 2004-11-04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EP1600132A1 (en) * 2004-05-28 2005-11-30 Hyga S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djustable and prefastening tape
JP4025321B2 (ja) * 2004-08-17 2007-12-1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
US20060142729A1 (en) * 2004-12-27 2006-06-29 Humanicare International, Inc. Adult incontinence garment with extension strip
JP4508892B2 (ja) 2005-01-31 2010-07-2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MY146975A (en) * 2005-04-11 2012-10-15 Oji Nepia Co Ltd Disposable pant-type diaper
US7641641B2 (en) * 2005-04-20 2010-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product line
EP1962759B1 (en) * 2005-12-19 2016-05-11 SCA Hygiene Products AB Refastenable pant-like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making it
JP3122881U (ja) * 2006-03-27 2006-06-29 啓子 光吉 紙おむつ
US9011406B2 (en) * 2006-07-31 2015-04-21 Daio Paper Corporation Underpants type disposable diaper
TWI434904B (zh) 2006-10-25 2014-04-21 Kuraray Co 透明導電膜、透明電極基板及使用它之液晶配向膜之製法、以及碳奈米管及其製法
US8821467B1 (en) * 2007-07-16 2014-09-02 Lisa Minella Absorbent article with front waist belt
CN102711695A (zh) * 2010-01-20 2012-10-03 宝洁公司 能够重复扣紧的吸收制品
JP5014452B2 (ja) * 2010-03-31 2012-08-2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203089566U (zh) * 2013-02-22 2013-07-31 刘江 一种新型可拆卸式纸尿裤
JP6424085B2 (ja) * 2014-12-25 2018-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JP5934815B1 (ja) * 2015-01-30 2016-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KR101549985B1 (ko) 2015-03-20 2015-09-11 전영석 루프형 기저귀
CA3008234C (en) * 2015-12-22 2020-07-14 Sca Hygiene Products Ab Belted absorbent article with distinguishable belt ends
CN105769451A (zh) * 2016-03-28 2016-07-20 申华英 节约型婴儿纸尿裤
KR101770398B1 (ko) 2017-07-10 2017-08-22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881B2 (ja) 1989-06-16 2001-01-09 株式会社トーキン 超音波モータ
JP5107423B2 (ja) 2007-05-31 2012-12-26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転用可能な吸収用品
JP5552054B2 (ja) 2007-11-09 2014-07-16 タミケア リミテッド 正面で開くパネルが付いた、改良された使い捨て下着
US20140163513A1 (en) 2012-12-06 2014-06-12 Amanda N. Schambon Diape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91A1 (ko) * 2017-07-10 2019-01-17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US11304859B2 (en) 2017-07-10 2022-04-19 Daddy For Bebe Co., Ltd. Diaper including removable waist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423552A1 (en) 2019-11-28
CN109429485B (zh) 2021-11-05
BR112019023859A2 (pt) 2020-06-02
US20210177674A1 (en) 2021-06-17
EP3622926A4 (en) 2021-01-27
EP3622926A1 (en) 2020-03-18
AU2017423552B2 (en) 2020-12-24
US11304859B2 (en) 2022-04-19
WO2019013391A1 (ko) 2019-01-17
JP6640383B2 (ja) 2020-02-05
CA3063546A1 (en) 2019-01-17
MX2019013844A (es) 2020-07-14
CN109429485A (zh) 2019-03-05
JP2019524169A (ja)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467B1 (en) Absorbent article with front waist belt
EP0374542B1 (en) Improved brief
US9060905B2 (en) Wearable absorbent articles
US8926579B2 (en) Fastening zone configurations for outer covers of absorbent articles
US20180256419A1 (en) Fully padded disposable diaper
KR101770398B1 (ko)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KR101549985B1 (ko) 루프형 기저귀
KR20210074837A (ko) 성인용 겉기저귀
JPH0435663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KR100724114B1 (ko) 팬티형 천기저귀
WO2020209757A9 (ru) Мног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WO2014057974A1 (ja)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20050027280A1 (en) Hook and loop disposable undergarment
RU218168U1 (ru) Изделие в форме трусов двухслойное
CN215685066U (zh) 一种便捷脱卸式病裤
CN210960551U (zh) 一种护理裤
RU194924U1 (ru) Мног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JP2003159275A (ja) 使いすておむつ
JP2020048751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オムツ
EA042898B1 (ru) Мног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GB2506646A (en) Garments comprising temporary connection means
KR20230171739A (ko) 착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팬티형 방수 기저귀 커버
JPH044745Y2 (ko)
JP5354698B2 (ja) オムツ固定カバー
JP3008413U (ja) 病人若しくは老人用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