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985B1 - 루프형 기저귀 - Google Patents

루프형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985B1
KR101549985B1 KR1020150038696A KR20150038696A KR101549985B1 KR 101549985 B1 KR101549985 B1 KR 101549985B1 KR 1020150038696 A KR1020150038696 A KR 1020150038696A KR 20150038696 A KR20150038696 A KR 20150038696A KR 101549985 B1 KR101549985 B1 KR 10154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diaper
infant
present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석
Original Assignee
전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석 filed Critical 전영석
Priority to KR102015003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형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기저귀 착용자의 머리 또는 발 영역에서 삽입되어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앞쪽이나 뒤쪽에서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통해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이나 아랫배 부분에 배치된 후에 상기 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밴드부와 상기 결합부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주름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프형 기저귀{DISPOSABLE DIAPER FOR LOOP}
본 발명은, 루프형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루프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루프형 기저귀는 소변이나 대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 보유함으로써 신체 배설물이 바깥쪽으로 새어 나와 옷이나 다른 피부를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속옷의 역할을 한다.
루프형 기저귀는 0~4세의 유아가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단 사용된 후에는 재사용 없이 폐기 된다.
한편, 걷기 전인 1세 이하의 유아는 반듯이 누워있거나 활동량이 적어 통상적인 기저귀를 착용시키기가 그리 어렵지 않으므로 대다수 부모들은 이 시기의 유아에 통상적 기저귀를 선호한다.
하지만, 돌을 전후하여 걷기 시작하는 무렵부터는 통상적인 기저귀뿐만 아니라 입히기 편리한 팬티형 기저귀라는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돌이 지나 막 걷거나 뛰기 시작하는 유아의 경우에는 호기심이 많아 움직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어른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기저귀를 착용시키기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육아에 서툰 아빠들의 육아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입히기 편리한 팬티형 기저귀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통상적인 기저귀를 착용시키고자 할 때는 우선 유아를 반듯하게 눕힌 상태에서 유아의 발을 잡고 엉덩이를 약간 들어올린 후 기저귀를 뒤집어 밑에 깔고 유아의 양쪽 다리를 벌려서 기저귀의 일측단부가 유아의 앞쪽으로 오도록 한 후에 기저귀의 타측단부와 상호간 밸크로를 채워야 한다.
이때, 갓 태어난 유아의 경우에는 반듯하게 잘 누워있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시키기가 어렵지 않을 수 있으나 막 걷거나 뛰기 시작할 때는 유아가 가만히 누워 있으려 하지 않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시키는 일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팬티형 기저귀의 경우, 유아가 돌을 전후하여 걷거나 뛰기 시작하는 무렵부터는 통상적인 기저귀보다 유아에게 편리하게 착용시킬수는 있으나 그 착용 과정을 살펴보면 팬티형 기저귀는 유아가 입고 있는 하의와 신발을 모두 벗겨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추운 날씨에 유아는 내복 등, 다수의 하의를 입고 있으므로 이때 팬티형 기저귀를 유아에 착용시키는 과정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예컨대, 팬티형 기저귀를 착용시키고자 할 때는 우선 유아의 신발을 벗기고 나서 내복,바지 등 입고 있는 하의를 모두 벗겨 내고, 팬티형 기저귀를 착용시킨 후에 벗겨낸 하의를 다시 모두 입히고 신발을 다시 신켜야 한다.
이때, 유아는 가만히 있으려 하지 않고 계속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옷과 신발 등을 벗겼다 다시 입히는 일은 굉장히 번거로운 일임과 동시에 유아에게도 스트레스를 주는 과정이다.
그렇다고 해서 기저귀를 착용시키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6-00528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009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574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70093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루프형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저귀 착용자의 머리 또는 발 영역에서 삽입되어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앞쪽이나 뒤쪽에서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통해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이나 아랫배 부분에 배치된 후에 상기 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밴드부와 상기 결합부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주름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기저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는 상기 밴드부의 외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벨크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밴드부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 탄성 팽창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2 탄성 팽창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 상기 주름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에 걸쳐 배치되는 배설물 흡수용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밴드부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루프형 기저귀를 유아에게 착용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밴드부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루프형 기저귀를 유아에게 착용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100)는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밴드부(110), 결합부(120), 주름 연결부(130), 그리고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밴드부(110), 결합부(120), 그리고 주름 연결부(130)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혹은 일부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주름 연결부(130)는 결합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120)의 일 구성일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밴드부(110), 결합부(120), 그리고 주름 연결부(130)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우선, 밴드부(110)는 도 2처럼 환형 형상을 갖는 부분으로서, 도 4처럼 기저귀 착용자의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기저귀 착용자는 대부분이 유아이지만 성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100)는 유아용을 벗어나 성인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아용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밴드부(110)는 유아의 머리에서부터 삽입되어 유아의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유아의 발 영역에서부터 삽입되어 유아의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될 수도 있다.
유아가 서있는 상태를 고려해볼 때, 밴드부(110)는 유아의 머리에서부터 삽입되어 유아의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밴드부(110)를 유아의 머리 쪽으로 삽입하여 유아의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시키려면 밴드부(110)가 탄성적으로 늘어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밴드부(110)에는 밴드부(110)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 탄성 팽창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팽창부(111)는 고무밴드의 박음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120)는 밴드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유아의 앞쪽이나 뒤쪽에서 유아의 가랑이 사이를 통해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나 아랫배 부분에 배치된 후에 밴드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부(120)가 도 5 및 도 6처럼 유아의 앞쪽에서 유아의 가랑이 사이를 통해 유아의 엉덩이 쪽으로 배치된 후에 엉덩이를 커버하면서 밴드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100)를 착용하고 나면 도 6처럼 뒤에서 볼 때, 결합부(120)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20)의 양측에는 밴드부(110)의 외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벨크로(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결합부(120)에도 결합부(120)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2 탄성 팽창부(121)가 마련된다. 제2 탄성 팽창부(121) 역시, 고무밴드의 박음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름 연결부(130)는 밴드부(110)와 결합부(120)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주름 연결부(1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100)를 접었을 때는 부피가 작아지는데 반해, 사용할 때는 사이즈가 확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는 밴드부(110), 주름 연결부(130) 및 결합부(120)에 걸쳐 배치되는 패드이다.
밴드부(110), 주름 연결부(130) 및 결합부(120) 역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천으로 제작되지만 실질적으로 소변이나 대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 보유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밴드부(110), 주름 연결부(130) 및 결합부(120)에는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가 마련되어 소변이나 대변과 같은 배설물을 흡수,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루프형 기저귀(100)의 착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처럼 유아가 뒤돌아 있는 상태라면 이 상태에서 밴드부(110)를 도 4의 화살표 A 방향처럼 유아의 머리로 삽입하여 내린 후, 유아의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5처럼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결합부(120)를 가랑이 사이를 통해 유아의 엉덩이 쪽으로 끄집어낸다.
그런 다음, 도 6처럼 결합부(12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올려 결합부(120)가 엉덩이를 커버하도록 한 후, 결합부(120)의 양측을 화살표 D1,D2 방향으로 당기면서 벨크로(125)를 이용하여 밴드부(110)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굳이 서있는 유아를 눕힐 필요가 없다. 또한 탄성이 있고 뚫려 있는 밴드부(110)의 형태는 유아가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도 밴드부(110)의 착용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팬티형 기저귀와 같이 유아가 입고 있는 하의와 신발을 모두 벗겨 냈다 다시 입히는 번거로움이 없어져 유아의 스트레스를 없앨 수 있으며, 또한 부모 역시, 어렵지 않게 루프형 기저귀(100)를 서있는 상태에서 편리하게 착용시킬 수 있어 육아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 하루 10개 이상의 기저귀를 갈아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될 경우, 부모에게 많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통상의 팬티형 기저귀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100)는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실제, 팬티형 기저귀가 생각보다 편리하지 않는데, 즉 팬티형 기저귀의 경우, 입히는 것 자체는 편리해 보이지만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는 입고 있는 하의를 모두 벗겨낸 후에 팬티형 기저귀를 입히고 옷을 다시 입혀야 하는 큰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100)는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도 쉽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착용시킬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루프형 기저귀(100)에 따르면,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200) 역시, 밴드부(210), 결합부(120), 주름 연결부(130), 그리고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밴드부(2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양단이 분리된 형태로 마련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분리된 밴드부(210)의 양단에는 벨크로 또는 단추 등의 결합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밴드부(210)가 양단이 분리된 형태로 마련될 경우, 밴드부(210)를 유아의 머리 또는 발 영역에서 착용할 필요가 없으며, 그대로 엉덩이 영역에서 벨트를 착용하듯이 사용하면 될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루프형 기저귀(200)를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300) 역시, 밴드부(110), 결합부(120), 주름 연결부(130), 그리고 배설물 흡수용 패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설물 흡수용 패드(34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착탈식 배설물 흡수용 패드(340)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처럼 착탈식 배설물 흡수용 패드(340)가 적용될 경우, 소변량이 적을 경우에는 루프형 기저귀(30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착탈식 배설물 흡수용 패드(340)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상 유리할 수 있다.
착탈식 배설물 흡수용 패드(340)는 벨크로(341)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착탈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루프형 기저귀(300)를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400) 역시, 밴드부(110), 결합부(420), 주름 연결부(130), 그리고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결합부(420)의 양측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 날개부(421)가 마련되며, 연장 날개부(421)에 벨크로(425)가 형성된다.
이럴 경우, 도 6에서 화살표 D1,D2 방향으로 당길 때, 연장 날개부(421)를 잡고 당기면서 벨크로(425)로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착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루프형 기저귀(400)를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기저귀(500) 역시, 밴드부(510), 결합부(520), 주름 연결부(130), 그리고 배설물 흡수용 패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밴드부(510)와 결합부(520)의 양측에는 각각 이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추(515,525)가 마련된다. 벨크로 대신 단추(515,525)가 마련될 경우에는 좀 더 강력하게 루프형 기저귀(500)를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밴드부(510)에 마련되는 단추(515)는 복수 개로 적용됨으로써, 결합부(520)의 결합강도를 조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좀 더 간편하면서도 손쉬운 방식으로 루프형 기저귀(500)를 유아에게 착용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결합부가 유아의 앞쪽에서 유아의 가랑이 사이를 통해 유아의 엉덩이 쪽으로 배치된 후에 엉덩이를 커버하면서 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었으나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결합부를 뒤쪽, 즉 엉덩이 부분에서 가랑이 사이로 배서 앞쪽, 즉 아랫배 부분의 밴드부에 결합시키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소개된 기저귀는 비단 유아용뿐만 아니라 성인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 바,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루프형 기저귀 110 : 밴드부
111 : 제1 탄성 팽창부 120 : 결합부
121 : 제2 탄성 팽창부 125 : 벨크로
130 : 주름 연결부 140 : 배설물 흡수용 패드

Claims (4)

  1. 엉덩이 상부 영역에 착용되되, 양단이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분리된 양단에는 벨크로 또는 단추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밴드부;
    일측부는 상기 밴드부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기저귀 착용자의 앞쪽이나 뒤쪽에서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를 통해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이나 아랫배 부분에 배치된 후에 다수의 벨크로를 통해 상기 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밴드부와 상기 결합부를 주름지게 연결하는 주름 연결부; 및
    상기 밴드부, 상기 주름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에 걸쳐 배치되는 배설물 흡수용 패드; 를 포함하되,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밴드부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 탄성 팽창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2 탄성 팽창부가 마련되고,
    상기 배설물 흡수용 패드는 벨크로를 통해 상기 밴드부, 상기 주름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기저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38696A 2015-03-20 2015-03-20 루프형 기저귀 KR10154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696A KR101549985B1 (ko) 2015-03-20 2015-03-20 루프형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696A KR101549985B1 (ko) 2015-03-20 2015-03-20 루프형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985B1 true KR101549985B1 (ko) 2015-09-11

Family

ID=5424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696A KR101549985B1 (ko) 2015-03-20 2015-03-20 루프형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91A1 (ko) 2017-07-10 2019-01-17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KR102168186B1 (ko) * 2020-05-27 2020-10-20 한성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기저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95Y1 (ko) 2001-05-21 2001-10-15 홍창일 일회용 기저귀용 씌우개
JP2006051240A (ja) 2004-08-13 2006-02-23 Uni Charm Corp 簡易おむつ
JP2007524481A (ja) 2004-02-10 2007-08-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パンツ型使い捨て衣類
JP2012135405A (ja) * 2010-12-27 2012-07-19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95Y1 (ko) 2001-05-21 2001-10-15 홍창일 일회용 기저귀용 씌우개
JP2007524481A (ja) 2004-02-10 2007-08-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パンツ型使い捨て衣類
JP2006051240A (ja) 2004-08-13 2006-02-23 Uni Charm Corp 簡易おむつ
JP2012135405A (ja) * 2010-12-27 2012-07-19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91A1 (ko) 2017-07-10 2019-01-17 주식회사 대디포베베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KR102168186B1 (ko) * 2020-05-27 2020-10-20 한성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기저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0352B2 (en) Diaper
US20080052806A1 (en) Strap member for use in securing a garment to a wearer
TW200403981A (en) Disposable diaper capable of being put on either from the front or the back of a wearer
CZ378798A3 (cs) Dětské absorpční plenkové kalhotky s léčebnou ortopedickou vložkou
KR20050110702A (ko) 일회용 팬티형 속옷
US20180256419A1 (en) Fully padded disposable diaper
KR101549985B1 (ko) 루프형 기저귀
JP3131265U (ja) トランクス型のおむつ
US11439545B2 (en) Disposable pants
JP3058259U (ja) 使い捨てパンツ
KR101770398B1 (ko)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CN202682193U (zh) 前开式可调组合尿片套
JP3205471U (ja) 下着構造
KR100724114B1 (ko) 팬티형 천기저귀
JP5224993B2 (ja) 展開型おむつ
CN114007566A (zh) 可重复使用的尿布
WO2014057974A1 (ja)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0075542A (ja) 展開型おむつ
RU2707697C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RU218168U1 (ru) Изделие в форме трусов двухслойное
CN211067467U (zh) 一种分离式纸尿裤
RU194924U1 (ru) Мног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CN206197114U (zh) 婴儿连体裤
JP2006314652A (ja) パンツ
JP3188898U (ja) 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