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489A - 인 몰드 라벨 용기 - Google Patents

인 몰드 라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489A
KR20090038489A KR1020097004708A KR20097004708A KR20090038489A KR 20090038489 A KR20090038489 A KR 20090038489A KR 1020097004708 A KR1020097004708 A KR 1020097004708A KR 20097004708 A KR20097004708 A KR 20097004708A KR 20090038489 A KR20090038489 A KR 20090038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ontainer
mold
mold label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405B1 (ko
Inventor
쯔또오 야마다
류우이 미하라
미쯔루 가나이
도시유끼 사노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64Applied in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2Lining or labelling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4Linings or labels, e.g. specific geometry, multi-layered or material
    • B29C2049/2429Multilayered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64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 B29C2049/2472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6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rotatable about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94Providing specific wall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6EPM, i.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EPDM, i.e.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s; EPT, i.e. ethylene-propylene ter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5Permeability to gases
    • B29K2995/0067Permeability to gases 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29L2031/716Bottles of the wide mouth type, i.e. the diameters of the bottle opening and its body are substantially iden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라벨에 주름 등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박육화된 용기에 있어서도 용기 외주 측면 전체에 용이하게 라벨 부착할 수 있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인 몰드 라벨 용기를 제공한다. 2축 연신 블로우에 의해 성형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180°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인 몰드 라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 몰드 라벨 용기, 2축 연신 블로우, 배리어층, 회전 테이블, 블로우 금형

Description

인 몰드 라벨 용기 {IN-MOLD LABEL CONTAINER}
본 발명은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인 몰드 라벨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180°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인 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인 몰드 라벨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 몰드 라벨 성형은 블로우 또는 사출 성형 시에 미리 금형에 라벨을 세트해 두고, 수지 형성 시에 수지와 라벨을 융착시켜, 일체적으로 성형과 라벨링을 행하는 성형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2-184884호 공보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3-251437호 공보에는 다이렉트 블로우 중공 성형에 의해, 인 몰드 라벨을 용기의 측면 외주에 설치한 플라스틱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용기 측면의 외주 전체면에 인 몰드 라벨을 설치하는 것은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
한편, 블로우 또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가 식품용 용기로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식품 등을 충전한 용기에는 그 내용물의 상세를 기재하기 위해, 혹은 상품 가치를 높이기 위해, 용기의 외주 측면에 라벨을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 외관이 우수한 것의, 용기 외주 측면으로의 라벨 부착은 택 라벨 등을 용기 성형 후에 부착 함으로써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338018호 공보에는 낱장의 라벨을 미리 원통에 시일한 것을 금형 내에서 개방하고, 이것에 프리폼을 장착하여 성형하는 방법이 일례로서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환경 보호 등의 관점에서 용기에 사용하는 수지량의 저감화, 즉 용기의 박육화가 희구되고 있다.
그러나, 박육화된 플라스틱 용기에 택 라벨을 부착하고자 하면, 용기 두께가 얇기 때문에 용기의 변형이 일어나, 라벨의 부착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용기의 외주 측면 전체에 라벨을 부착할 때, 라벨에 주름 등이 발생하여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한, 용기의 외주 측면에 라벨을 부착한 경우, 라벨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므로, 그 단차 부분으로부터 라벨이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338018호 공보에 제안된 방법에서는, 라벨을 부착하는 영역이 한정되므로, 라벨을 원통의 전체 영역에 덮을 수 없었다. 또한, 원통 라벨의 형성 공정이 필요한 것 등의 문제도 있었다.
한편, 용기의 측면 전체 둘레를 덮을 만큼의 길이를 갖는 라벨을 블로우 금형 내에 삽입하여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상기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338018호 공보에 기재한 방법에 있어서도, 원통의 높이 방향도 포함하여 블로우 성형 용기의 원통 측면 전체 둘레를 덮는 라벨을 갖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용기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라벨에 주름 등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박육화된 용기에 있어서도 용기 외주 측면 전체에 용이하게 라벨 부착할 수 있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또는 인젝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인 몰드 라벨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축 연신 블로우에 의해 성형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180°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인 몰드 라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인 몰드 라벨 용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이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360°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인 몰드 라벨이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365°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일단부의 겹침 부분이 2 내지 5㎜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의 간극이 0 내지 5㎜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 몰드 라벨 용기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견부가, 용기 본체와 조합되는 덮개부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이 단차 없이, 용기 본체와 덮개부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용기 본체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랜덤하게 공중합한 랜덤 코폴리머,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블록적으로 공중합한 블록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이 중간층으로서 배리어층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배리어층이 실리카 증착층, 산화알루미늄 증착층, 알루미늄 증착층 또는 알루미늄박층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의 두께가 200 내지 8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각 단부 테두리가 용기의 블로우 성형 연신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지그재그 형상 또는 파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인 몰드 라벨 용기는 복수의 블로우 금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가능한 회전 테이블과, 라벨을 권취 유지하여 회전 테이블의 블로우 금형 내에 라벨을 공급하는 라벨 유지 코어와, 프리폼을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테이블의 블로우 금형에 끼워 맞추어져 프리폼을 블로우 금형 내에 공급하는 프리폼 유지 공급부와,
회전 테이블의 블로우 금형에 끼워 맞추어지는 프리폼 유지 공급부에 연결된 공기 취입 장치와,
프리폼 유지 공급부에 세트한 프리폼과 프리폼 유지 공급부 및 블로우 금형을 좌우로부터 좁혀 폐쇄하는 블로우 형체결 장치를 구비하고, 라벨 유지 코어는 블로우 금형 내에 삽입 가능한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원통체의 측면 일측에 내측으로 인입되어 라벨의 양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블로우 성형 시스템을 사용하여 성형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한 인 몰드 라벨 용기와 덮개의 조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 몰드 성형에 의해 용기의 외주 측면에 라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라벨에 주름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용기가 박육인 경우라도, 용기 변형에 따른 라벨 부착의 곤란을 수반하지 않아, 용기의 외주 측면에 라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외주 측면에 라벨을 설치한 경우에, 라벨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라벨이 인 몰드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기 사용 시에 라벨이 박리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 몰드 라벨 용기에 있어서는, 인 몰드 라벨의 각 단부 테두리가 용기의 사출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벨의 간극을 따라서 용기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용기의 A-A'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택 라벨을 측면에 설치한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용기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블로우 성형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블로우 성형 시스템을 도시하는 전체 평면도.
도 11은 라벨 유지 코어를 유지하는 공급 테이블과 라벨 성형 공급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라벨 유지 코어를 유지하는 공급 테이블과 라벨 성형 공급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블로우 금형을 유지하는 회전 테이블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블로우 금형을 유지하는 회전 테이블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블로우 금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6은 라벨 유지 코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다른 형태의 라벨 유지 코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라벨 유지 코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다른 형태의 라벨 유지 코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인 몰드 라벨 용기와 덮개의 조합체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인 몰드 라벨 용기의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블로우 성형 용기
2 : 용기 본체
2a : 프리폼
3 : 라벨
3a : 단부
3b : 겹침 부분
4 : 단차
5 : 개구부
6 : 개구 견부
7 : 외주 측면
10 : 용기의 블로우 성형 시스템
11 : 회전 테이블
12 : 블로우 성형부
13 : 공급 테이블
15 : 프리폼 성형부
16 : 프리폼 냉각부
17 : 게이트 컷트부
18 : 가열부
20 : 라벨 유지 코어
20a : 흡착부
20b, 20c : 소 원통부
20d : 오목부
20e : 원통 라벨 유지 코어
20f : 라벨 흡착 구멍
21 : 라벨 성형 공급부
22 : 라벨 원판
23 : 슬리터
24 : 라벨 절단부
25 : 받침부
26 : 레버
40 : 블로우 금형
140 : 블로우 금형 체결형
41 : 프리폼 유지체
43 : 공기 취입 장치
50 : 덮개
51 : 고정 링
52 : 상판
53 : 측판
54 : 이너 링
55 : 콘택트 링
인 몰드 라벨 용기
본 발명에 의한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인 몰드 라벨 용기(1)는, 하기에 설명하는, 2축 연신 블로우에 의해 성형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2)와, 그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180°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인 몰드 라벨(3)을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용기의 A-A' 방향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3)을 인 몰드 성형에 의해, 용기 성형 시에 일체적으로 용기 본체(2)의 측면에 삽입 부착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택 라벨(3')을 측면에 설치한 용기와 비교하여, 용기 표면측에 라벨의 양 단부 사이(라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와 라벨 부분의 단차(4)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인 몰드 라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360° 이상, 바람직하게는 365°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360° 이상, 즉 라벨이 용기의 측면 전체 둘레에 권취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라벨(3)을 사용함으로써,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용기(1) 전체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60° 이상에 걸쳐서 라벨을 설치하는 경우, 라벨(3)의 양단부의 겹침 부분(3b)은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벨이 겹친 양단부 부분은 한쪽의 표면과 다른 쪽의 이면이 열 융착된다. 이와 같이, 라벨의 양단부 부분을 겹치도록 인 몰드 라벨 형성을 행함으로써, 가일층 라벨이 박리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용기의 측면 전체 둘레에 라벨이 삽입 부착되므로 상품 외관상도 바람직한 것이 된다. 한편, 라벨의 양단부의 겹침 부분이 5㎜를 초과하면, 라벨 장착이 곤란해진다.
라벨의 이면과 표면이 열 융착되지 않는 경우, 라벨의 양단부가 겹치지 않도록 인 몰드 라벨 성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180 내지 360°에 걸쳐서 라벨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의 간극이 0 내지 5㎜가 되도록 인 몰드 라벨 성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간극의 방향과, 용기의 사출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방향이 일치하고 있으면, 용기가 낙하 등에 의한 충격에 의해, 간극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인 몰드 라벨 성형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수지 부분(3c)(라벨이 없는 부분)과 라벨 부분(3)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 수지 부분의 내벽측은 라벨이 있는 부분에 비해, 약간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로 인해, 낙하 충격이 용기에 가해지면, 그 단차의 코너부로부터 오목 부분에 걸쳐서 균열(8)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인 몰드 라벨의 단부 테두리가, 용기의 사출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수지의 유동 방향으로 발생하는 유동 배향에 의해, 단부 테두리를 따라서 용기에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사출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방향(B)에 대해 경사지도록 라벨의 단부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의 사출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방향과 라벨의 단부 테두리(라벨의 간극) 방향을 일치시키지 않음으로써, 낙하 충격을 받은 경우라도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의 단부 테두리의 간극이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고, 또한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인 몰드 라벨을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360 ℃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설치한 경우에는 수지 부분(라벨이 없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 므로, 라벨 단부와 수지 부분의 단차가 해소되므로, 낙하 충격에 의한 균열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인 몰드 라벨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인 몰드 라벨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기의 블로우 성형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폼 성형 금형(15a, 15b)을 갖는 프리폼 성형부(15)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제의 프리폼(2a)이 성형된다.
프리폼 성형부(15)에 있어서 성형된 프리폼(2a)은, 다음에 프리폼 유지체(41)에 의해 유지된다. 프리폼 유지체(41)는 반송체(42)에 의해 유지되어 반송된다. 이 경우, 프리폼 유지체(41)와 반송체(42)에 의해 프리폼 유지부(19)가 구성된다(도 10).
프리폼(2a)을 유지한 프리폼 유지체(41)는 반송체(42)에 의해 가열부(18)까지 반송되어, 이 가열부(18)에 있어서 프리폼(2a)이 가열된다[도 9의 (b)].
다음에, 프리폼 유지체(41)에 의해 유지된 프리폼(2a)에 대해, 블로우 성형부(12)에 있어서 블로우 금형(40)이 강하하여, 블로우 금형(40) 내에 프리폼 유지체(41)가 삽입된다. 이 경우, 블로우 금형(40) 내에는 후술하는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미리 라벨(3)이 공급되어 있다[도 9의 (c)].
다음에,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부(12)에 위치하는 블로우 금형(40)에 삽입된 프리폼 유지체(41)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공기 취입 장 치(43)가 상승하여 접근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리폼 유지체(41)에 공기 취입 장치(43)가 연결되어, 공기 취입 장치(43)로부터 프리폼(2a) 내로 공기가 공급되고, 이와 같이 공급된 공기에 의해 프리폼(2a)이 블로우 금형(40) 내에서 확장되어, 블로우 성형 용기(1)가 성형된다. 이때 블로우 금형(40) 내에 있어서, 프리폼(2a)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측면 전체 둘레에 권취된 라벨(3)로 이루어지는 블로우 성형 용기(1)가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다음에, 프리폼 유지체(41)로부터 블로우 금형(40)이 상승하고, 이와 같이 하여 프리폼 유지체(41) 상에서 라벨(3)을 갖는 블로우 성형 용기(1)가 얻어진다[도 9의 (e)].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기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시스템(10)은, 상술한 복수의 블로우 금형(40)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가능한 회전 테이블(11)과, 라벨(3)을 권취 유지하여 회전 테이블(11)의 블로우 금형(40) 내에 라벨(3)을 공급하는 라벨 유지 코어(20)와, 프리폼(2a)을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테이블(11)의 블로우 성형부(12)에 위치하는 블로우 금형(40)에 끼워 맞추어져 프리폼(2a)을 블로우 금형(40) 내에 공급하는 프리폼 유지체(41)와, 회전 테이블(11)의 블로우 성형부(12)에 위치하는 블로우 금형(40)에 끼워 맞추어지는 프리폼 유지체(41)에 연결 가능한 공기 취입 장치(43)를 구비하고 있다(도 10).
또한, 회전 테이블(11)의 상류측에는 프리폼(2a)을 성형하는 한 쌍의 프리폼 성형 금형(15a, 15b)으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성형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폼 성형부(15)의 하류측에는 프리폼 성형부(15)에 의해 성형된 프리폼(2a)을 냉각하는 프리폼 냉각부(16)와, 프리폼 냉각부(16)에서 냉각된 프리폼(2a)의 게이트를 컷트하는 게이트 컷트부(1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리폼 냉각부(16)에 있어서 냉각되고, 게이트 컷트부에 있어서 게이트 컷트된 프리폼(2a)은 프리폼 유지체(41)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프리폼 유지체(41)는 반송체(42)에 의해 가열부(18)까지 반송된다. 또한, 프리폼 유지체(41)와 반송체(42)에 의해 프리폼 유지 공급부(19)가 구성된다.
프리폼 유지체(41)에 의해 유지된 프리폼(2a)은 가열부(18)까지 반송되어, 이 가열부(18)에 있어서 가열된다. 그 후 프리폼(2a)을 유지한 프리폼 유지체(41)는 회전 테이블(11)까지 반송된다.
그런데, 회전 테이블(11)에 유지된 블로우 금형(40)은 회전 테이블(11)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송되는데, 블로우 금형(40) 내에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유지된 라벨(3)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 테이블(11)에 근접하여 공급 테이블(1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공급 테이블(13)에 라벨 유지 코어(20)가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테이블(13)의 회전 테이블(11)과 반대측에, 라벨(3)을 성형하여 공급하는 라벨 성형 공급부(21)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1 및 도 12에 의해, 라벨 유지 코어(20)를 유지하는 공급 테이블(13)과, 라벨 성형 공급부(21)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테이블(11)에 근접하여 공급 테이블(13)이 설치되고, 공급 테이블(13)의 회전 테이블(11)과 반대측에 라벨(3)을 성형하여 공급하는 라벨 성형 공급 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라벨 성형 공급부(21)는 라벨 원판(base sheet)(22)을 공급하는 라벨 원판 공급부(28)와, 라벨 원판 공급부(28)로부터 공급된 라벨 원판(22)을 안내하는 안내 롤러(31)와, 안내 롤러(3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라벨 원판(22)에 반송 방향으로 슬릿을 넣고, 가늘고 긴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띠 형상 라벨 원판(22)을 형성하는 슬리터(23)와, 슬리터(23)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라벨 원판(22)을 절단하여 라벨(3)을 성형하는 라벨 절단부(24)를 갖고 있다.
또한, 라벨 절단부(24)의 하류측에는 라벨 원판(22)을 파지하는 클램프(33)가 설치되고, 라벨 절단부(24)와 클램프(33)의 하방에는 라벨 절단부(24)에 의해 성형된 라벨(3)을 받는 받침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라벨 절단부(24)에 있어서는, 라벨 절단날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라벨의 절단 단부를 파선 형상이나 지그재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25)는 레버(회전 기구)(26)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유지한 라벨(3)을 수직 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즉, 레버(26)는 베이스(35)에 의해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이동체(2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라벨(3)을 받은 받침부(25)를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중, 베이스(35) 상의 이동체(27), 레버(26) 및 받침부(25)에 의해 라벨 공급부가 구성되고, 클램프(33)와 라벨 절단부(24)에 의해 라벨 성형부가 구성된다.
또한, 공급 테이블(13) 상에는 라벨 유지 코어(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라 벨 유지 코어(20)는 공급 테이블(13)의 일측에 4개, 공급 테이블(13)의 타측에 4개, 합계 8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테이블(13)의 일측의 라벨 유지 코어(20) 및 타측의 라벨 유지 코어(20)는 실린더(32)에 의해 서로 분리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라벨 유지 코어(20)는 360° 근변 내지 360°를 초과하는 긴 라벨을 용기에 장착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라벨 유지 코어(20)는,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원통체의 측면 일측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동시에 라벨(3)의 양단부(3a)를 수용하는 오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즉, 라벨 유지 코어(20)의 측면에는 한 쌍의 소 원통부(20b, 20c)가 설치되고, 이 한 쌍의 소 원통부(20b, 20c) 사이에 라벨(3)의 양단부(3a)를 수용하는 오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벨 유지 코어(20)의 측면에는 라벨을 흡착 유지하는 흡착부(20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라벨 유지 코어(20)의 측면에, 라벨(3)의 양단부(3a)를 수용하는 오목부(20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벨 유지 코어(20)의 측면에 라벨(3)을 그 양단부(3a)가 오목부(20d) 내에 인입하도록 하여 권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목부(20d)가 없는 경우에 비교하여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비교적 긴 라벨(3)을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라벨이 원주 방향으로 비교적 짧은 경우, 예를 들어 180° 내지 360° 미만(0 내지 5㎜ 정도의 간극)인 경우에는,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통체만으로 라벨 유지 코어(20e)를 형성한 것을 사용함 으로써, 라벨(3)을 라벨 유지 코어에 권취할 수 있다. 라벨(3)은 원통체의 측면에 설치된 라벨 흡착 구멍(20f)으로부터 흡인됨으로써, 라벨 유지 코어(20e)에 흡착 유지된다.
다음에, 도 13 내지 도 15에 의해, 회전 테이블(11)에 의해 유지된 블로우 금형(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11)에는 2세트 내지 4세트의 블로우 금형(40)이 설치되고(도면 중에는 4세트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음), 각 세트는 4개씩의 블로우 금형(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4개의 블로우 금형(40)으로 이루어지는 블로우 금형의 세트는, 4세트의 블로우 금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서로 90°씩 이격하여 배치되고, 2세트의 블로우 금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180°씩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테이블(11)에 설치된 블로우 금형(40)은 4개씩의 세트마다 유지판(53)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즉, 각 세트의 블로우 금형(40)을 유지하는 유지판(53)은 실린더(50)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1개의 유지판(53)에는 유지 막대(51)를 통해 4개의 블로우 금형(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테이블(11)의 하방에는 기초부(55)가 설치되고, 회전 테이블(11)은 기초부(55)에 설치된 서보 모터(48)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11)의 우측은 블로우 성형부(12)로 되어 있고, 또한 회전 테이블(11)의 좌측은 공급 테이블(13) 상의 라벨 유지 코어(20)에 권취된 라벨(3)을 블로우 금형(40) 내에 삽입하는 이동 적재부(13b)로 되어 있다. 또한, 공급 테이블(13)의 이동 적재부(13b)의 반대측은 라벨(3)을 라벨 유지 코어(20)에 공급하는 공급부(13a)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55) 중, 블로우 성형부(12)에 대응하는 부분에 공기 취입 장치(43)가 설치되고, 이 공기 취입 장치(43)에는 압축 공기 취입구(4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55)에는 공기 취입 장치(43)를 관통하는 스트레치 로드(45)가 설치되고, 이 스트레치 로드(45)는 기초부(55)에 설치된 승강 실린더(45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스트레치 로드(45)는 블로우 금형(40) 내에 유지된 프리폼(2a) 내에 삽입되어, 블로우 성형 시에 프리폼(2a)을 블로우 금형(40)에 대해 압박하는 것이다.
그런데, 블로우 금형(4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측면 인서트 다이(40a)와, 측면 인서트 다이(40a)를 둘러싸는 블로우 금형 체결형(140)과, 바닥 인서트 다이(40c)를 갖고 있다. 또한, 프리폼(2a)을 유지하는 프리폼 유지체(41)는 블로우 금형(40)과 블로우 금형 체결형(140)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고, 프리폼(2a)은 프리폼 유지체(41)와, 프리폼 유지체(41)의 외측에 설치된 블로우 금형 체결형(140)에 의해 끼움 지지된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블로우 금형(40) 내에는 전술한 스트레치 로드(45)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상승하여 프리폼(2a)을 블로우 금형(40)의 바닥 인서트 다이(40c)에 대해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리폼 성형 금형(15a, 15b)을 갖는 프리폼 성형부(15)에 있어서, 프리폼(2a)이 성형된다.
프리폼 성형부(15)에 있어서 성형된 프리폼(2a)은 프리폼 냉각부(16)에서 냉각된다.
다음에, 프리폼(2a)은 게이트 컷트부(17)로 이송되어 게이트 컷트된다.
프리폼 냉각부(16)에 있어서 냉각되고, 게이트 컷트부에 있어서 게이트 컷트된 프리폼(2a)은 프리폼 유지체(41)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프리폼 유지체(41)는 반송체(42)에 의해 가열부(18)까지 반송된다.
프리폼 유지체(41)에 의해 유지된 프리폼(2a)은 가열부(18)까지 반송되어, 이 가열부(18)에 있어서 가열된다. 그 후, 프리폼(2a)을 유지한 프리폼 유지체(41)는 회전 테이블(11)까지 반송된다.
이 사이, 회전 테이블(11)에 유지된 블로우 금형(40)은 회전 테이블(11)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송되어, 블로우 금형(40) 내에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유지된 라벨(3)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라벨(3)을 성형하고 또한 이 라벨(3)을 블로우 금형(40) 내에 공급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 성형 공급부(21)에 있어서, 라벨(3)이 성형되고, 이와 같이 성형된 라벨(3)은 라벨 유지 코어(20)측으로 공급 된다.
즉,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라벨 성형 공급부(21)의 라벨 원판 공급부(28)로부터 라벨 원판(22)이 공급되고, 라벨 원판 공급부(28)로부터 공급된 라벨 원판(22)은 안내 롤러(31)에 의해 안내 롤러(31)의 하류측에 설치된 슬리터(23)측으로 보내진다. 라벨 원판(22)은 이 슬리터(23)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슬릿이 넣어져, 가늘고 긴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띠 형상 라벨 원판(22)이 형성된다. 띠 형상 라벨 원판(22)은, 그 후 슬리터(23)의 하류측에 설치된 라벨 절단부(24)에 있어서 절단되어 라벨(3)이 성형된다. 또한 이때, 라벨 원판(22)은 그 선단부가 클램프(33)에 의해 파지되어 있다.
다음에, 라벨 절단부(24)에 있어서 라벨 원판(22)을 절단하여 성형된 라벨(3)은 라벨 절단부(24)와 클램프(33)의 하방에 설치된 받침부(25)에 의해 받쳐진다.
다음에, 각각의 받침부(25)를 유지하는 이동체(27)가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받침부(25)가 폭 방향으로 넓어지고, 다음에 받침부(25)가 90° 회전하여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라벨(3)이 그 방향을 바꾸어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음에, 받침부(25) 상의 라벨(3)은 레버(회전 기구)(26)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방향이 바뀐다.
이와 같이 받침부(25)에 의해 라벨(3)의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바뀜으로써, 공급 테이블(13)의 공급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던 4개의 라벨 유지 코어(20)의 외주에 라벨(3)이 권취된다.
이 경우, 라벨 유지 코어(20)의 외주에는 흡착부(20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라벨 유지 코어(20)의 흡착부(20a)에 의해 라벨(3)이 흡착 유지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 유지 코어(20)의 측면에는 한 쌍의 소 원통부(20b, 20c)가 설치되고, 이 한 쌍의 소 원통부(20b, 20c) 사이에 라벨(3)의 양단부(3a)를 수용하는 오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라벨 유지 코어(20)의 측면에 라벨(3)의 양단부(3a)를 수용하는 오목부(20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벨 유지 코어(20)의 측면에 라벨(3)을 그 양단부(3a)가 오목부(20d) 내에 인입하도록 하여 권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목부(20d)가 없는 경우에 비교하여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비교적 긴 라벨(3)을 권취할 수 있다.
다음에, 공급 테이블(13)이 180° 회전하여, 공급 테이블(13)의 공급 위치(13a)에 있는 4개의 라벨 유지 코어(20)가 공급 테이블(13)의 이동 적재 위치(13b)로 보내져, 이 이동 적재 위치(13b)에 있어서,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유지되어 있던 라벨(3)이 블로우 금형(40) 내에 삽입되어 이동 적재된다.
즉, 이동 적재 장치(13b)에는 회전 테이블(11)에 의해 유지된 4개의 블로우 금형(40)이 대기하고 있다. 라벨 유지 코어(20)가 이동 적재 위치(13b)로 오면, 회전 테이블(11)에 설치된 실린더(50)에 의해 블로우 금형(40)이 라벨 유지 코어(20)측으로 강하하여,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유지되어 있던 라벨(3)이 블로우 금형(40) 내에 삽입되고, 라벨 유지 코어의 흡착 해제와 블로우 금형의 흡착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라벨(3)이 라벨 유지 코어(20)로부터 블로우 금 형(40) 내로 이동 적재된다.
이때, 블로우 금형(40) 내면에 형성된 흡착 구멍, 흡착 슬릿,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라벨(3)이 흡착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비교적 원주 방향 길이가 긴 라벨(3)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블로우 금형(40) 내로 원주 방향 길이가 긴 라벨을 삽입 부착할 수 있어, 블로우 성형 용기(1)의 대략 전체 둘레를 라벨(3)에 의해 덮을 수 있다.
다음에, 회전 테이블(11)이 서보 모터(48)에 의해 회전하여, 블로우 금형(40)이 블로우 성형부(12)측으로 온다. 이때 블로우 금형(40)의 하방에는 프리폼(2a)을 유지한 프리폼 유지체(41)가 배치되어 있다. 그 후, 블로우 금형(40)과 프리폼 유지체(41)가 강하하고, 기초부(55) 중 블로우 성형부(12)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공기 취입 장치(43)에 대해 프리폼 유지체(41)가 끼워 맞추어진다.
다음에, 공기 취입 장치(43)에 형성된 압축 공기 취입구(43a)로부터 프리폼(2a) 내로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부(55)에는 공기 취입 장치(43)를 관통하는 스트레치 로드(45)가 설치되어 있고, 프리폼(2a) 내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과 동시에 스트레치 로드(45)가 기초부(55)에 설치된 승강 실린더(45a)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방으로 이동한 스트레치 로드(45)는 블로우 금형(40) 내에 유지된 프리폼(2a) 내에 삽입되어, 프리폼(2a)을 블로우 금형(40)에 대해 압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블로우 금형(40) 내에서 측면 외측에 라벨(3)이 접착된 용 기 본체(2)로 이루어지는 블로우 성형 용기(1)가,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블로우 금형(40) 내로 라벨 유지 코어(20)에 의해 유지된 라벨(3)을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라벨 유지 코어(20)에는 라벨(3)의 양단부(3a, 3a)를 수용하는 오목부(20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원주 방향 길이가 긴 라벨(3)을 블로우 금형(40) 내에 삽입 부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주 방향 길이가 긴 라벨(3)에 의해 블로우 성형 용기(1)의 대략 전체 둘레를 덮을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유산 등의 열가소성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저취성(低臭性)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랜덤하게 공중합한 랜덤 코폴리머,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블록적으로 공중합한 블록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블록 코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낙하 충격 강도가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인 몰드 라벨을 부착한 용기는 용기 본체의 두께를 200 내지 800㎛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두께」라 함은, 인 몰드 라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용기 두께를 의미하는 것이지만, 라벨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서는 용기 주위면에 단차가 거의 없으므로, 인 몰드 라벨이 부착된 용기 측면 부분에 있어서도, 두께는 대강 200 내지 800㎛가 된 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 몰드 라벨(3)은 다층 구조의 것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인쇄 기재층, 중간층, 용기 본체의 접착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 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막하여 접착제를 통해 접합(드라이 라미네이션)하거나, 또는 그 일부 혹은 전체층을 용융 압출(EC, 공압출)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용도ㆍ목적에 따라서 인쇄 기재층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인쇄 기재로서의 필름은 일반적으로 인쇄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나일론 필름, 합성지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 중에서도 특히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하, OPP 필름이라고도 함)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의 일단부를 2 내지 5㎜ 겹쳐서 몰드 라벨 형성하는 경우에는, 라벨 단부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유포(유포 코퍼레이션사제)나 칼레(carre)(틱소사제) 등의 합성지가 바람직하다.
중간층은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a) 알루미늄박(두께 7 내지 25 ㎛), (b)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 등으로 플라스틱 필름 등에 적층한 것, 예를 들어 산화규소 증착 플라스틱 필름, 산화 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필름, 다이아몬드상 카본 화학 증착 필름, (c) 그 밖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EVOH(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PVDC(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PVDC 코트 2축 연신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원하는 성능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 다.
접착층으로서는, 용기 본체의 수지와 접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용기측의 수지와 동일한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히트 시일성이 있는 수지 필름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층은 상법에 따라서,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압출 라미네이션법, 압출 코팅법, 그 밖의 코팅법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인 라벨의 층 구성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1) OPP(30㎛)/접착제/PET(12㎛)/잉크층/접착제/알루미늄박(7㎛)/접착제/히트 시일성 OPP(30㎛)
(2) OPP(40㎛)/잉크/접착층/알루미늄박(7㎛)/접착층/히트 시일성 OPP(30㎛)
(3) OPP(30㎛)/잉크/접착층/알루미늄 증착 PET(12㎛)/접착제/히트 시일성 OPP(30㎛)
(4) OPP(30㎛)/잉크/접착층/알루미늄 증착 히트 시일성 OPP(30㎛)
(5) OPP(30㎛)/잉크/접착층/투명 증착 PET(12㎛)/접착층/히트 시일성 OPP(30㎛)
(6) OPP(30㎛)/잉크/접착층/히트 시일성 OPP(30㎛)
(7) OP 잉크/합성지(80㎛)/히트 시일제
인 몰드 라벨 용기와 덮개의 조합체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인 몰드 라벨 용기와 덮개의 조합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덮개(50)를 인 몰드 라벨 용기(1)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덮개(50)의 고정 링(51)이 인 몰드 라벨 용기의 개구부(5)와 결합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링(51)에 의해 덮개(50)는 용기(1)와 착탈 가능하다.
용기 본체의 개구 견부(6)는 용기(1)와 조합되는 덮개(50)의 외주면인 고정 링(51)과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7)이 단차 없이, 용기 본체와 덮개부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의 고정 링 부분의 주위면과 용기의 외주 측면 사이에 간극이 없어짐으로써, 조합체 전체의 일체감이 향상되어 미관상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덮개의 상판(52)에는 상판(52)의 주위선으로부터 하강하는 측판(53)과 함께, 그 측판(53)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이너 링(54)이 구비된다. 측판(53)과 이너 링(54)의 간극에 용기(1)의 개구부(5)의 상단부가 압입됨으로써, 덮개가 폐쇄된다. 용기의 개구부(6)와 측판(53) 또는 이너 링(54) 사이에는 간극이 거의 없으므로, 용기의 밀폐성이 유지된다.
또한, 덮개의 상판(52)에는 측판(53)과 이너 링(54) 사이에, 상판의 주위선으로부터 하강하는 콘택트 링(5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콘택트 링(55)은 덮개(50)가 용기(1)와 결합 고정되었을 때, 용기의 개구부(5)의 상단부를 누르도록 접촉한다. 이 콘택트 링에 의해 용기의 밀폐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해 인 몰드 라벨 용기에 대해, 용기 본체의 형태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구가 넓은 원통 용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해 왔으나, 그 이외의 형태의 용기 본체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라벨을 장착하는 부위가 원통 형 상이면,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구가 좁은 네크 인 보틀이라도 좋다.
또한, 용기 본체의 라벨 장착 부분은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띠 형상의 라벨을 용기 측면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원 통형상, 코너가 라운딩된 삼각 통형상 또는 사각 통형상이라도 좋다.

Claims (15)

  1. 2축 연신 블로우에 의해 성형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그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180°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인 몰드 라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인 몰드 라벨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이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360°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인 몰드 라벨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 몰드 라벨이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365°에 걸쳐서 연장되는, 인 몰드 라벨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일단부의 겹침 부분이 2 내지 5㎜인, 인 몰드 라벨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의 간극이 0 내지 5㎜인, 인 몰드 라벨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 견부가, 용기 본체와 조합되는 덮개부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이 단차 없이, 용 기 본체와 덮개부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인 몰드 라벨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랜덤하게 공중합한 랜덤 코폴리머,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블록적으로 공중합한 블록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인 몰드 라벨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인, 인 몰드 라벨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이 중간층으로서 배리어층을 구비하는, 인 몰드 라벨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이 알루미늄 증착층 또는 알루미늄박층인, 인 몰드 라벨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 측면의 두께가 200 내지 800㎛인, 인 몰드 라벨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각 단부 테두리가 용기의 사출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인 몰드 라벨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 몰드 라벨의 일단부와 다른 쪽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지그재그 형상 또는 파선 형상인, 인 몰드 라벨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블로우 금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가능한 회전 테이블과,
    라벨을 권취 유지하여 회전 테이블의 블로우 금형 내에 라벨을 공급하는 라벨 유지 코어와,
    프리폼을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테이블의 블로우 금형에 끼워 맞추어져 프리폼을 블로우 금형 내에 공급하는 프리폼 유지 공급부와,
    회전 테이블의 블로우 금형에 끼워 맞추어지는 프리폼 유지 공급부에 연결된 공기 취입 장치와,
    프리폼 유지 공급부에 세트한 프리폼과 프리폼 유지 공급부 및 블로우 금형을 좌우로부터 좁혀 폐쇄하는 블로우 형체결 장치를 구비하고,
    라벨 유지 코어는 블로우 금형 내에 삽입 가능한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블로우 성형 시스템을 사용하여 성형된, 인 몰드 라벨 용기.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 몰드 라벨 용기와 덮개의 조합체.
KR1020097004708A 2006-08-09 2007-08-09 인 몰드 라벨 용기 KR101562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17152 2006-08-09
JP2006217152 2006-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489A true KR20090038489A (ko) 2009-04-20
KR101562405B1 KR101562405B1 (ko) 2015-10-21

Family

ID=3903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708A KR101562405B1 (ko) 2006-08-09 2007-08-09 인 몰드 라벨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77594B2 (ko)
KR (1) KR101562405B1 (ko)
CN (1) CN101500782B (ko)
TW (1) TWI403406B (ko)
WO (1) WO20080185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15A1 (ko) * 2022-05-03 2023-11-09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1328B2 (ja) * 2009-02-12 2012-04-04 東洋製罐株式会社 フィルムラベル缶
KR101038371B1 (ko) 2009-08-31 2011-06-01 주식회사 비앤씨 인몰드 라벨, 그를 포함하는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0001191A1 (de) * 2010-01-25 2011-07-28 Krones Ag, 93073 Etikettiervorrichtung zum Etikettieren von Kunststoffbehältern in der Blasform in einer Rundläufer-Blasmaschine
GB2547767B (en) * 2014-05-01 2019-01-09 Gr8 Eng Ltd Apparatus for forming a blow moulded container
JP6486346B2 (ja) * 2014-05-30 2019-03-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複合容器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並びに複合容器
CN104139905A (zh) * 2014-07-15 2014-11-12 盐城金沃医疗科技有限公司 医用塑料器皿贴标结构
JP6680458B2 (ja) 2014-07-31 2020-04-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複合容器の製造方法
BE1022703B1 (nl) * 2015-02-10 2016-08-17 CARDIFF GROUP,naamloze vennootschap Vat voor CO2-bevattende dranken en gebruik daarvan
DE102017107675A1 (de) * 2017-04-10 2018-10-11 Saier Verpackungstechnik Gmbh & Co. Kg Behälter aus Kunststoff mit In-Mould-Label
JP2020050371A (ja) * 2018-09-26 2020-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多角インモールド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9327A (ja) * 1983-10-20 1985-05-20 Dainippon Printing Co Ltd 胴部にラベルが貼着されている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JPH0421426A (ja) * 1990-05-17 1992-01-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ラベル付中空容器の製法
JPH0664029A (ja) * 1992-08-21 1994-03-08 Toppan Printing Co Ltd 厚紙ラベル付き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361871B2 (ja) * 1994-01-13 2003-01-07 株式会社ブレンズ 中空体の成型装置
JP3513673B2 (ja) * 1994-12-01 2004-03-31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口栓部保持用のマンドレル
ATE502859T1 (de) * 1999-07-23 2011-04-15 Yupo Corp Etikettierte kunststoffflasche
JP5002879B2 (ja) * 2001-09-27 2012-08-15 凸版印刷株式会社 多層ブロー成形ボトル
JP2003237753A (ja) * 2002-02-15 2003-08-27 Toppa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容器
JP4194318B2 (ja) * 2002-08-06 2008-12-10 みのる化成株式会社 ネジ構造を備えるブロー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15A1 (ko) * 2022-05-03 2023-11-09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7594B2 (ja) 2014-08-27
WO2008018546A1 (fr) 2008-02-14
CN101500782B (zh) 2013-05-29
JPWO2008018546A1 (ja) 2010-01-07
TWI403406B (zh) 2013-08-01
CN101500782A (zh) 2009-08-05
TW200829422A (en) 2008-07-16
KR101562405B1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8489A (ko) 인 몰드 라벨 용기
US10906218B2 (en) In-mould labelling process
US6422605B1 (en) In-mold expanded content label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JP5259816B2 (ja) フィルムバリヤライナ付きの肩部/ノズルの製造方法
US5344305A (en) Apparatus for in-mold labelling
CA3015820A1 (en) Integrally, extrusion blow molded container, label and rfid tag
US8944711B2 (en) Bottle, especially for mascara, comprising a label having barrier properties, and production method
JP4334861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カ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947511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合成樹脂製容器
EP3936304B1 (en) Container with product visualization aperture
JP6553426B2 (ja) ラベル付き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ラベル付き成形体
TW201801892A (zh) 附設標籤之容器的製造裝置及其製造方法與其所採用之程式產品及記錄媒體
JPH11226997A (ja) インモ−ルドラベリング成形容器
JPH02139328A (ja) ラベル付プラスチック容器の製法
CN113365794A (zh) 用于模内贴标的系统和方法
JP2004091002A (ja) ポリエステル樹脂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95770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用いる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用ラベル並びに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品
JP7004237B2 (ja) シート成形体、射出成形容器および射出成形容器の製造方法
JPH055653B2 (ko)
JPH04338526A (ja) ラベル封入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法
JP4095137B2 (ja) 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JP6928899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
JP2020055631A (ja) 射出成形容器、蓋体付容器および射出成形容器の製造方法
JPH01124534A (ja) 容器の切り欠き方法及びその切欠装置
JP2008162249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材及び該ラベル材を用いた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28

Effective date: 201507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