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980A -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980A
KR20090032980A KR1020080085115A KR20080085115A KR20090032980A KR 20090032980 A KR20090032980 A KR 20090032980A KR 1020080085115 A KR1020080085115 A KR 1020080085115A KR 20080085115 A KR20080085115 A KR 20080085115A KR 20090032980 A KR20090032980 A KR 20090032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nnecting plate
link
bracke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339B1 (ko
Inventor
아키히코 우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09003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9/00Chain, staple, and horseshoe making
    • Y10S59/90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범용의 부착 브래킷을 제공하는 동시에,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세세한 전체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링크 모듈(120)의 이음매 아암(126)의 원하는 부분에서 절단하여 이음매부(124)의 개수를 조정한 일단에 이음매부(124), 타단에 수형(male) 연결판(127) 또는 암형(female) 연결판(128)을 가진 브래킷 조인트와,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위치하고,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이음매부(124)와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스냅 피트 기구로 끼워맞춤하는 부착 브래킷을 가진 것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산업용 기계의 가동부에 전력이나 압축 공기 등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케이블류를 수용하는 동시에, 가동부의 이동중에도 케이블류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안내 지지하기에 적합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500)로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510)를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동시에 측판부(510)의 굴곡 내주측 및 굴곡 외주측에 각각 연결 아암(540)을 소정간격으로 가설하여, 측판부(510) 및 연결 아암(540)으로 둘러싸인 케이블 수납 공간내에 케이블류를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고, 측판부(510)가, 이음매부(524)와 이 이음매부(524)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암(526)을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소정수의 측판(522)을 가진 링크 모듈(520)과, 인접한 측판(522) 사이에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이음매부(524)에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는 스토퍼 링크(530)를 가지며, 링크 모듈(520)이, 그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520)과 각각 연결하는 수형(male) 연결판(527) 및 암형(female) 연결판(528)을 가지며, 수형 연결판(527) 및 암형 연결판(528)이, 인접한 링크 모듈(520)의 암형 연결판(528) 및 수형 연결판(527)과 각각 연결되었을 때에 측판(522)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를 개발하고 있다(일본 특원2007-247648호).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서는,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있어서의 부착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서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을 기기 등의 정지부 및 가동부에 부착하는 부착 브래킷을 준비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와 부착 브래킷의 부착 방법이 번잡하였다. 또한, 링크 모듈의 길이 단위로 밖에 전체 길이 설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길이에 따른 복수의 링크 모듈을 준비할 필요가 있어, 부품 관리 부담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많은 금형을 준비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범용의 부착 브래킷을 제공하는 동시에,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세세한 전체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청구항 1과 관련된 발명은,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를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측판부의 굴곡 내주측 및 굴곡 외주측에 각각 연결 아암을 소정간격으로 가설하여, 상기 측판부 및 연결 아암으로 둘러싸인 케이블 수납 공간내에 케이블류를 상기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고, 상기 측판부가, 이음매부와 상기 이음매부로부 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암을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소정수의 측판을 가진 링크 모듈과, 인접한 상기 측판간에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상기 이음매부에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는 스토퍼 링크를 가지며, 상기 링크 모듈이, 그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과 각각 연결하는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이, 상기 인접한 링크 모듈의 상기 암형 연결판 및 수형 연결판과 각각 연결되었을 때에 상기 측판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로서, 상기 링크 모듈의 이음매 아암의 원하는 개소에서 절단하여 상기 이음매부의 개수를 조정한 일단에 상기 이음매부, 타단에 상기 수형 연결판 또는 암형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과 연결 가능한 브래킷 조인트와, 상기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상기 이음매부와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스냅 피트 기구로 끼워맞춤하는 부착 브래킷을 가진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굴곡 가능한 이음매부를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소정수의 측판을 가진 링크 모듈」에 있어서의 「소정수의 측판」에는, 측판이 0개인 경우도 포함되어 있으며, 즉,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링크 모듈에는, 이음매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암의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과 연결하는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을 가진 것도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의하면,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 부를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측판부의 굴곡 내주측 및 굴곡 외주측에 각각 연결 아암을 소정간격으로 가설하여, 상기 측판부 및 연결 아암으로 둘러싸인 케이블 수납 공간내에 케이블류를 상기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해 수납하고, 상기 측판부가, 이음매부와 상기 이음매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암을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소정수의 측판을 가진 링크 모듈과, 인접한 상기 측판간에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상기 이음매부에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는 스토퍼 링크를 가지며, 상기 링크 모듈이, 그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과 각각 연결하는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이, 상기 인접한 링크 모듈의 상기 암형 연결판 및 수형 연결판과 각각 연결되었을 때에 상기 측판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이음매부와 스토퍼 링크의 걸어맞춤부와는 별도의 개소에 링크 모듈끼리의 연결부가 설치되게 되므로, 연결 강도가 커지는 동시에,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의 두께를 측판의 두께와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와 같은 본 발명에 특유의 구성에 대응한 각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의하면, 링크 모듈의 이음매 아암의 원하는 개소에서 절단하여 이음매부의 개수를 조정한 일단에 이음매부, 타단에 수형 연결판 또는 암형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과 연결 가능한 브래킷 조인트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세세한 전체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이음매부와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스냅 피트 기구로 끼워맞춤하는 부착 브래킷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착 브래킷의 조립 취급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은,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를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해 다수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측판부의 굴곡 내주측 및 굴곡 외주측에 각각 연결 아암을 소정간격으로 가설하여, 상기 측판부 및 연결 아암으로 둘러싸인 케이블 수납 공간내에 케이블류를 상기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고, 상기 측판부가, 이음매부와 상기 이음매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암을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소정수의 측판을 가진 링크 모듈과, 인접한 상기 측판간에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상기 이음매부에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는 스토퍼 링크를 가지며, 상기 링크 모듈이, 그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과 각각 연결하는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이, 상기 인접한 링크 모듈의 상기 암형 연결판 및 수형 연결판과 각각 연결되었을 때에 상기 측판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링크 모듈의 이음매 아암의 원하는 개소에서 절단하여 상기 이음매부의 개수를 조정한 일단에 상기 이음매부, 타단에 상기 수형 연결판 또는 암형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과 연결 가능한 브래킷 조인트와, 상기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상기 이음매부와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스냅 피트 기구로 끼워맞춤하는 부착 브래킷을 가진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로서,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범용의 부착 브래킷을 제공하는 동시에,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세세한 전체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서 이용하는 링크 모듈, 스토퍼 링크, 연결 아암, 브래킷 조인트, 부착 브래킷 등의 소재에 대해서는, 굴곡 동작시에 발생하기 쉬운 굴곡 일그러짐에 견딜 수 있고 케이블 유지 형태가 뛰어난 치수 안정성을 발휘하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6,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아세탈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성분을 배합시킨 내피로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배합된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성분이 충격에 강하고, 유연성을 부가하기 때문에, 반복 굴곡에 대한 뛰어난 내충격성 및 내피로성을 보다 잘 발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를 개폐 연결 아암(144)을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부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링크 모듈(120)과 스토퍼 링크(130)와, 브래킷 조인트(161,162)와, 부착 브래킷 (150A,150B)를 조립하기 전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부의 확대도이다. 또 한, 도 5는, 링크 모듈(120)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링크 모듈(120)을 안쪽, 즉, 케이블 수납 공간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7은, 1개의 이음매부(124)를 가진 브래킷 조인트(161)의 사시도이고, 도 8은, 3개의 이음매부(124)를 가진 브래킷 조인트(163)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부착 브래킷(150A)를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수형 연결판 (127)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11은, 암형 연결판(128)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5는, 수형 연결판(127)과 암형 연결판(128)이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서 연결될 때의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다른 형상의 링크 모듈 (220)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링크 모듈 (220)을 안쪽, 즉, 케이블 수납 공간쪽에서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장치, 창약시험장치,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등의 정지부와 가동부를 접속하여, 전기신호의 전달이나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전기 케이블이나 압력 액체나 압력 기체를 공급하는 호스와 같은 케이블류를 보호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110)를 정지부에 고착되는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가동부에 고착되는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동시에 측판부(110)의 굴곡 내주측 및 굴곡 외주측에 각각 고정 연결 아암(142) 및 개폐 연결 아암(144)을 소정간격으로 가설하여, 좌우 한 쌍의 측판부(110), 고정 연결 아암(142) 및 개폐 연결 아암(144)으로 둘러싸인 사각형상 단면을 도시한 케이블 수납 공간내에 케이블류(도시되지 않음)를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 을 향하여 수납한다.
그리고, 측판부(110)가, 능형상의 이음매부(124)와, 이 이음매부(124)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암(126)을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소정수의 측판(122)을 가진 링크 모듈(120)과, 인접한 측판(122) 사이에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이음매부(124)에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는 스토퍼 링크(130)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모듈(120)을 구성하는 측판(122)의 수를 3개로 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연결 아암(142)은, 좌우 한 쌍의 스토퍼 링크(130)의 굴곡 내주측에 일체로 성형되고, 개폐 연결 아암(144)의 일단은, 좌우 한 쌍의 스토퍼 링크(130)의 한쪽의 굴곡 외주측에 굴곡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동시에, 타단이, 좌우 한 쌍의 스토퍼 링크(130)의 다른쪽의 굴곡 외주측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성형되고 있다. 이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스토퍼 링크 (130)와 고정 연결 아암(142)과 개폐 연결 아암(144)이 1개의 부품을 구성하므로, 부품 개수가 감소하여 부품 관리 부담이 경감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스토퍼 링크(130)가 자립하므로, 조립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
여기서, 링크 모듈(120)과 스토퍼 링크(130)의 결합 구조와 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링크 모듈(120)의 이음매부(124)에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링크(130)가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의 굴곡 내주측 및 굴곡 외주측의 굴곡 각도를 규제하고 있 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능형상의 이음매부(124)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단 볼록부위(124a)와 도 4에 도시한 스토퍼 링크(13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오목부위(131)가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이음매부(124)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단 볼록부위(124b)와 스토퍼 링크(13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오목부위(132)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서, 스냅 피트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한 이음매부 (124)의 중앙 약간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원기둥형상 볼록부위(124d)가, 도 4에 도시한 스토퍼 링크(130)의 중앙 약간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원형상 함몰 부위(136)와 끼워맞춤하고, 이음매부(124)와 스토퍼 링크(130)의 결합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스토퍼 링크(130)의 상부측변 볼록부위(137)가, 도 6에 도시한 측판(122)의 이면, 즉, 케이블 수납 공간쪽의 면의 상부 좌우에 형성된 상부 걸어맞춤 영역(122a)에 수용되는 동시에, 도 4에 도시한 스토퍼 링크(130)의 하부 측변 볼록부위(138)가, 도 6에 도시한 측판(122)의 이면의 하부 좌우에 형성된 하부 걸어맞춤 영역(122b)에 수용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이음매부(124)의 케이블 수납 공간쪽에 형성된 원호형상 볼록부위(124c)는, 스토퍼 링크(130)의 원호형상 부위(139)와 접촉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스토퍼 링크(130)에는, 링크 모듈(120)의 측판(122) 사이에 형성된 이음매부(124)를 상하로 지지하는 이음매부 상부 지지 부위(133)와 이음매부 하부 지지 부위(13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매부 상부 지지 부위(133)는, 인접하는 측판부(122,122)의 상부 측면과 그 사이에 형성된 이음매부(124)의 상부 측면과의 사이에 끼워맞춤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가 굴곡 외주측에는, 대략 직선 이상으로 굴곡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서 참조 부호(135)를 부여한 부위는, 개폐 연결 아암(144)의 개폐단이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위이다.
한편, 스토퍼 링크(130)의 이음매부 하부 지지 부위(134)가, 인접하는 측판 (122,122)의 사이에 형성된 이음매부(124)의 하부와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이음매부 하부 지지 부위(134)의 측면(134a)과, 도 2에 도시한 인접하는 측판(122,122)의 하부 측면(122c)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 S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매부 하부 지지 부위(134)의 측면(134a)과 측판(122)의 하부 측면(122c)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굴곡 내주측의 굴곡 각도를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음매 아암 (126)에 과대한 굴곡 응력이 걸리지 않고,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하나인 브래킷 조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래킷 조인트는, 도 3에 참조 부호 (161) 및 (162)를 부여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부착 브래킷(150A,150B)과 링크 모듈(120)의 사이에 연결되고,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의 전체 길이의 세세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브래킷 조인트(161,162)는, 링크 모듈(120)의 이음매 아암(126)의 원하는 개소에서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제작할 수 있고, 일단에 이음매부(124), 타단에 수형 연결판 (127) 또는 암형 연결판(128)을 가진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링크 모듈(120)을 (161)의 위치에서 이음매 아암(126)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수형 연결판(127)과 1개의 이음매부(124)로 이루어진 도 3에 도시한 1링크의 브래킷 조인트 (161)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이 브래킷 조인트(161)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링크 모듈(120)을 (162)의 위치에서 이음매 아암(126)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암형 연결판(128)과 3개의 이음매부(124)와 2개의 측판(122)으로 이루어진 도 3에 도시한 3링크의 브래킷 조인트(162)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링크 모듈(120)을 (163)의 위치에서 이음매 아암(126)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수형 연결판(127)과 3개의 이음매부(124)와 2개의 측판(122)으로 이루어진 도 8에 도시한 3링크의 브래킷 조인트(163)를 얻을 수 있다. 이 브래킷 조인트 (163)는, 도 3에 도시한 브래킷 조인트(16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즉, 쌍이 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링크 모듈(120)의 이음매 아암(126)을 원하는 개소에서, 커터 등으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이음매부(124)의 개수를 조정한, 즉, 길이를 조정한 일단에 후술하는 부착 브래킷과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는 이음매부(124)를 가지며, 타단에 링크 모듈(120)의 수형 연결판(127) 또는 암형 연결판(128)과 연결하는 암형 연결판(128) 또는 수형 연결판(127)을 가진 브래킷 조인트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 조인트는, 일단이 이음매부(124)인 것 이외는, 링크 모듈(120)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 링크(130)와 브래킷 조인트와의 결합은, 상술한 링크 모듈(120)과 스토퍼 링크(130)와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브래킷 조인트를 제작하기 위해서 별도로 금형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부품 제작 부담이나 부품 조립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다른 하나인 부착 브래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착 브래킷은, 도 1 및 도 3에 참조 부호 (150A) 및 (150B)를 부여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의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존재하고, 이들을,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장치, 창약시험 장치,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등의 정지부와 가동부에 각각 고정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부착 브래킷(150A)과 부착 브래킷(150B)은, 경상(鏡像)의 관계에 있으며, 각각, 쌍이 되어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설치되고, 상술한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이음매부(124)와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결합한다.
부착 브래킷(150A)의 확대 사시도를 도 9에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부착 브래킷(150A)은, 스토퍼 링크의 한쪽을 부착부위(151A)와 바꾸어 일체로 성형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부착부위(151A)에는, 부착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는 삽통구멍(152A)가 천공되어 있다. 한편, 부착 브래킷 (150A)의 스토퍼 링크와 동일한 형상을 한 부분은, 상술한 링크 모듈(120)과 스토퍼 링크(13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한 결합 구조에 의해,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이음매부(124)(도 7 및 도 8 참조)와 결합하는 동시에, 그 이음매부(124)에 연접된 수형 연결판(127)(도 7 참조) 또는 측판(122)(도 8 참조)과 걸어맞춤한다. 한편, 부착 브라켓(150A)과 경상의 관계에 있는 부착 브래킷(150B)의 경우에는, 도 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이음매부(124)와 결합하는 동시에, 그 이음매부(124)에 연접된 암형 연결판(128) 또는 측판(122)과 걸어맞춤한다. 한편, 부착 브래킷과 브래킷 조인트의 결합에 대해서는, 상술한 링크 모듈 (120)과 스토퍼 링크(13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므로, 도 9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스토퍼 링크(13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130번대의 참조 부호와 바꾸어 150번대의 참조 부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링크 모듈(120)끼리의 연결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링크 모듈 (12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과 각각 연결하는 수형 연결판(127) 및 암형 연결판(128)을 가지고 있다. 이 수형 연결판 (127) 및 암형 연결판(128)은, 인접한 링크 모듈(120)의 암형 연결판(128) 및 수형 연결판(127)과 각각 연결되었을 때에, 도 1의 A부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 (122)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한다.
수형 연결판(127)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모듈(12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수형 연결판(127)은, 외형은, 측판(122)을 수직 중앙선에서 절단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단면 중앙에 원기둥형상의 볼록부 (127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볼록부(127a)를 중심으로 상하의 점대칭인 위치에 상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7b) 및 하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7c)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편, 암형 연결판(128)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모듈(1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암형 연결판(128)도, 외형은, 측판(122)을 수직 중앙선에 서 절단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단면 중앙에 원형의 오목부 (128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오목부(128a)를 중심으로 상하의 점대칭인 위치에 상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8b) 및 하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8c)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수형 연결판(127)과 암형 연결판(128)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의 동작에 의해서 연결된다.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링크 모듈(120)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근시켜, 수형 연결판 (127)과 암형 연결판(128)을 대향시킨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연결판(127)의 볼록부와 암형 연결판(128)의 오목부를 끼워맞춤시킨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연결판(127)의 표면과 암형 연결판(128)의 표면이 면일치가 되도록 양 연결판을 볼록부와 오목부의 끼워맞춤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수형 연결판(127)의 상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7b)와 암형 연결판(128)의 상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8b)가 서로 맞물리는 동시에, 수형 연결판(127)의 하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7c)와 암형 연결판(128)의 하부 걸어맞춤 멈춤쇠부(128c)가 서로 맞물린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연결판(127)와 암형 연결판(128)의 연결이 완료하여, 양자가 측판(122)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링크 모듈(120)의 수형 연결판(127)과 브래킷 조인트의 암형 연결판 (128) 및 링크 모듈(120)의 암형 연결판(128)과 브래킷 조인트의 수형 연결판(127)의 연결도 상술한 링크 모듈(120)끼리의 연결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링크 모듈(120)끼리의 연결 및 링크 모듈(120)과 브래킷 조인트의 연결에 이러한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가 그 자체로 결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링크 모듈(120)끼리 또는 링크 모듈(120)과 브래킷 조인트의 연결을 선행하여 행하고, 나중에 스토퍼 링크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 작업 부담이 현저히 경감되는 동시에, 조립 작업의 배치(batch)처리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조립후에, 링크 모듈 및 브래킷 조인트를 다른 수의 측판을 가진 별도의 링크 모듈 및 브래킷 조인트에 다시 조립하는 것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전체 길이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어 취급성이 향상한다.
또한, 링크 모듈끼리 사이 및 링크 모듈과 브래킷 조인트끼리 사이의 연결이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동작 방향과는 관계 없는 회전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연결후에는,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의 상하에 설치되어 서로 걸어맞춤하는 멈춤쇠부에 의해서 동작 방향에 가해지는 힘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강도·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링크 모듈(120)을 구성하는 측판(122)의 수가 3개인 것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링크 모듈을 구성하는 측판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4이상의 경우 및 2이하의 경우여도 상관없다. 또한, 측판의 수가 0개여도 상관없다. 이에 따라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전체 길이를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6은, 측판의 수가 0개인 링크 모듈(220)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즉, 이음매부(224)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 암(226)의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과 연결하는 수형 연결판(227) 및 암형 연결판 (228)을 가지고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링크 모듈(220)을 안쪽, 즉, 케이블 수납 공간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측판의 수가 0개인 링크 모듈(220)은, 수형 연결판, 암형 연결판, 이음매 아암, 이음매부 등의 형상, 기능은, 상술한 링크 모듈(120)과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위에는, 100번대의 참조 부호를 바꾸어 200번대의 참조 부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에 의하면,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세세한 전체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스토퍼 링크와 같은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간단하게 부착 브래킷을 연결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100)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Ⅳ부의 확대도.
도 5는 링크 모듈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링크 모듈을 안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1링크의 브래킷 조인트의 사시도.
도 8은 3링크의 브래킷 조인트의 사시도.
도 9는 부착 브래킷의 사시도.
도 10은 수형 연결판의 확대 사시도.
도 11은 암형 연결판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수형 연결판과 암형 연결판이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서 연결될 때의 상태도(연결전).
도 13은 수형 연결판과 암형 연결판이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서 연결될 때의 상태도(볼록부와 오목부의 끼워맞춤시).
도 14는 수형 연결판과 암형 연결판이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서 연결될 때의 상태도(회전시).
도 15는 수형 연결판과 암형 연결판이 회전형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서 연결될 때의 상태도(연결 완료시).
도 16은 다른 형상의 링크 모듈을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링크 모듈을 안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18은 종래의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의 사시도.
[부호의 설명]
100…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110…측판부
120, 220…링크 모듈
122…측판
122a…(측판의) 상부 걸어맞춤 영역
122b…(측판의) 하부 걸어맞춤 영역
122c…(측판의) 하부 측면
124, 224…이음매부
124a…(이음매부의) 상단 볼록부위
124b…(이음매부의) 하단 볼록부위
124c…(이음매부의) 원호형상 볼록부위
124d…(이음매부의) 원기둥형상 볼록부위
126, 226…이음매 아암
127, 227…수형 연결판
127a, 227a…(수형 연결판의) 볼록부
127b, 227b…(수형 연결판의) 상부 걸어맞춤 멈춤쇠부
127c, 227c…(수형 연결판의) 하부 걸어맞춤 멈춤쇠부
128, 228…암형 연결판
128a, 228a…(암형 연결판의) 오목부
128b, 228b …(암형 연결판의) 상부 걸어맞춤 멈춤쇠부
128c, 228c…(암형 연결판의) 하부 걸어맞춤 멈춤쇠부
130…스토퍼 링크
131…(스토퍼 링크의) 상부 오목부위
132…(스토퍼 링크의) 하부 오목부위
133…(스토퍼 링크의) 이음매부 상부 지지 부위
134…(스토퍼 링크의) 이음매부 하부 지지 부위
135…(스토퍼 링크의) 걸어맞춤 오목부위
136…(스토퍼 링크의) 원형상 함몰 부위
137…(스토퍼 링크의) 상부측변 볼록부위
138…(스토퍼 링크의) 하부측변 볼록부위
139…(스토퍼 링크의) 원호형상 부위
142…고정 연결 아암
144…개폐 연결 아암
150A,150B…부착 브래킷
151A…(부착 브래킷의) 부착부위
152A…(부착 브래킷의) 삽통구멍
151…(부착 브래킷의) 상부 오목부위
152…(부착 브래킷의) 하부 오목부위
153…(부착 브래킷의) 이음매부 상부 지지 부위
154…(부착 브래킷의) 이음매부 하부 지지 부위
155…(부착 브래킷의) 걸어맞춤 오목부위
156…(부착 브래킷의) 원형상 함몰 부위
157…(부착 브래킷의) 상부 측변 볼록부위
158…(부착 브래킷의) 하부 측변 볼록부위
159…(부착 브래킷의) 원호형상 부위
161,162,163…브래킷 조인트
500…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510…측판부
520…링크 모듈
522…측판
524…이음매부
526…이음매 아암
527…수형 연결판
528…암형 연결판
530…스토퍼 링크
540…연결 아암

Claims (1)

  1. 이간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를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다수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측판부의 굴곡 내주측 및 굴곡 외주측에 각각 연결 아암을 소정간격으로 가설하고, 상기 측판부 및 연결 아암으로 둘러싸이는 케이블 수납 공간내에 케이블류를 상기 부착 고정단으로부터 부착 이동단을 향하여 수납하고, 상기 측판부가, 이음매부와 상기 이음매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이음매 아암을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소정수의 측판을 가진 링크 모듈과, 인접한 상기 측판간에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상기 이음매부에 스냅 피트 기구에 의해 조립되는 스토퍼 링크를 가지며, 상기 링크 모듈이, 그 양단에 인접한 링크 모듈과 각각 연결하는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을 가지며, 상기 수형 연결판 및 암형 연결판이, 상기 인접한 링크 모듈의 상기 암형 연결판 및 수형 연결판과 각각 연결되었을 때에 상기 측판과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로서,
    상기 링크 모듈의 이음매 아암의 원하는 개소에서 절단하여 상기 이음매부의 개수를 조정한 일단에 상기 이음매부, 타단에 상기 수형 연결판 또는 암형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과 연결 가능한 브래킷 조인트와,
    상기 부착 고정단 및 부착 이동단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 조인트의 일단에 존재하는 상기 이음매부와 케이블 수납 공간쪽으로부터 걸어맞춤하여 스냅 피트 기구로 끼워맞춤하는 부착 브래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류 보호안내장 치.
KR1020080085115A 2007-09-28 2008-08-29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148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54961 2007-09-28
JP2007254961A JP4114815B1 (ja) 2007-09-28 2007-09-28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980A true KR20090032980A (ko) 2009-04-01
KR101148339B1 KR101148339B1 (ko) 2012-05-25

Family

ID=3966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115A KR101148339B1 (ko) 2007-09-28 2008-08-29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93353B2 (ko)
JP (1) JP4114815B1 (ko)
KR (1) KR101148339B1 (ko)
CN (1) CN10139805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6339A (zh) * 2012-02-21 2013-08-21 株式会社椿本链条 管线类保护引导装置
CN103256338A (zh) * 2012-02-17 2013-08-21 株式会社椿本链条 管线类保护引导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8447B (zh) * 2009-08-05 2015-01-21 普睿司曼股份公司 扁平能量电缆
KR101010244B1 (ko) * 2010-05-04 2011-01-21 고은석 저소음 케이블 체인
DE202011004785U1 (de) * 2011-04-01 2011-07-07 igus GmbH, 51147 Energieführungskette mit deformierbaren Gelenkelementen
JP5709799B2 (ja) * 2012-05-28 2015-04-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部材
US9057420B1 (en) * 2014-09-02 2015-06-16 Kang Yang Hardware Enterprise Co., Ltd. Protective guiding device for use with a cable
CN105003740B (zh) * 2015-06-25 2017-05-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日照供电公司 防脱电缆卡子
JP6233723B2 (ja) * 2015-09-09 2017-11-2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ガイド装置
US9972984B1 (en) 2017-06-07 2018-05-15 Custom Plastics, Inc. Cable management assembly
JP2023532405A (ja) * 2020-05-27 2023-07-28 イ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フレキシブルジョイントコネクタを有する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サイドプレート、及びそのためのジョイントコネクタ
WO2022251453A1 (en) * 2021-05-26 2022-12-01 Ppc Broadband, Inc. Flexible cable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0976B2 (ja) 1998-08-10 2004-03-29 株式会社ハーモ総研 ケーブルホースの保護案内チェーン
JP3722477B2 (ja) 2002-04-02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ガイド
JP3722482B2 (ja) 2003-02-17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16989B2 (ja) * 2003-05-07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44869B2 (ja) * 2003-09-11 2008-09-0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67B2 (ja) * 2005-09-29 2008-07-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06B2 (ja) * 2006-03-28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8308B2 (ja) * 2006-04-14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052073B2 (ja) * 2006-09-04 2012-10-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368886B2 (ja) * 2006-11-27 2009-11-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密閉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391547B2 (ja) * 2007-04-17 2009-12-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ューブ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08736B1 (ja) * 2007-09-25 2008-06-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503658B2 (ja) * 2008-04-25 2010-07-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6338A (zh) * 2012-02-17 2013-08-21 株式会社椿本链条 管线类保护引导装置
CN103256339A (zh) * 2012-02-21 2013-08-21 株式会社椿本链条 管线类保护引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339B1 (ko) 2012-05-25
JP4114815B1 (ja) 2008-07-09
CN101398057B (zh) 2012-02-22
JP2009089506A (ja) 2009-04-23
US7893353B2 (en) 2011-02-22
US20090084603A1 (en) 2009-04-02
CN101398057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339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20090113176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CN101240831B (zh) 缆线类保护引导装置
US7406819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520122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428808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454072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149693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032812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4136905B2 (ja) 水平設置型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TW200404654A (en) Robot with at least one conductor guiding apparatus
JP4121446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US20080265105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20090015816A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9765852B2 (en) 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
KR20140043861A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ITGE20080038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e guida di un cavo.
CN217271410U (zh) 用于能量供应管线的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