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995A -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995A
KR20090031995A KR1020080092734A KR20080092734A KR20090031995A KR 20090031995 A KR20090031995 A KR 20090031995A KR 1020080092734 A KR1020080092734 A KR 1020080092734A KR 20080092734 A KR20080092734 A KR 20080092734A KR 20090031995 A KR20090031995 A KR 20090031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bush
axial direction
moto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793B1 (ko
Inventor
히토시 다카키
유스케 이와이
다츠야 다타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F01D25/162Bearing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18Incorporating means for passive damping of vibration, either in the turntable, motor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모터의 박형을 도모하면서도, 샤프트와 턴테이블과의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또한, 턴테이블의 진동에 의한 디스크의 면진동을 억제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샤프트(21)의 상부의 외주면은, 부시(24)의 내주면에 압입된다. 그리고, 부시(24)의 외주면은,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부시(24)의 외주면과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은 축 방향에 걸쳐 직경 방향의 간격(G)이 형성된다. 이 간격(G)에 접착제가 충전된다.

Description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MOTOR AND DISK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박형의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특히, 박형의 디스크 구동 장치에 탑재되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에 있어서, 샤프트와 턴테이블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광학적으로 기록 재생을 실행하는 디스크 구동 장치에서는, 박형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이 디스크 구동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따라, 디스크 구동 장치에 탑재되는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또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이러한 종래의 박형의 모터의 예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5-253239호 공보
그러나, 모터의 박형화에 따라, 모터를 구성하는 각 부품은,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작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각 부품끼리의 체결 부분의 접합 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각 부품끼리의 체결력이 저감한다.
특히,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턴테이블과의 체결력은, 샤프트의 외경이 작기 때문에, 매우 작다. 그 때문에, 모터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디스크를 착탈할 때 샤프트와 턴테이블과의 체결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샤프트와 턴테이블과의 체결력이 약해지고, 필요한 체결력을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 턴테이블에는, 디스크가 탑재되는 탑재부가 마련된다. 그 때문에, 샤프트에 대하여 턴테이블은 고정밀도로 장착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스크는 최근 고밀도화되고 있어, 디스크를 회전시켰을 때의 면진동에 의해, 디스크로의 정보 기록 및 재생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터의 박형화를 도모하면서도, 샤프트와 턴테이블과의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턴테이블의 진동에 의한 디스크의 면진동을 억제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중심 개구부를 가지는 환상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있어서,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의 부시와,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원통부 및 해당 원통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가지는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은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간격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관점에 따르면, 샤프트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부시의 외주면에 턴테이블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부시와 턴테이블과의 접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시와 턴테이블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턴테이블의 탑재부에 있어서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한 축 방향의 진동을 조정하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탑재부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회전 진동에 의한 디스크의 기록 재생 에러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의 외경의 크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샤프트에 고정되는 부시의 내주면의 내경이 샤프트의 외주면의 외경 이하가 되어, 부시가 샤프트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와 부시와의 체결력은, 샤프트와 부시가 접착제만으로 고정되는 체결력에 비해 커진다. 따라서, 샤프트와 부시를 튼튼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를 장착할 때의 외부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샤프트에 대하여 부시가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축 방향에 걸쳐서 상기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부시의 외주면과 턴테이블의 원통부의 내주면이 축 방향에 걸쳐서 직경 방향의 간격을 가지는, 즉, 부시의 외주면과 턴테이블의 원통부가 접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더 고정밀도로 턴테이블의 디스크 탑재부를 조정하면서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상기 간격은, 축 방향에 따라 배치된 제 1 간격부 및 상기 제 1 간격부보다 간격 크기가 큰 제 2 간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간격부에 의해, 부시의 외주면의 중심축과 원통부의 내주면의 중심축을 양호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와 턴테이블 회전축을 양호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턴테이블에 있어서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의 회전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간격부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의 내경이 확대되는 원환 오목 형상의 지름 확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원통부의 지름 확대부에 의해, 부시의 외주면과 원통 부의 내주면과의 직경 방향의 간격이 큰 부분(제 2 간격부)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이 지름 확대부에 충전된 접착제의 직경 방향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름 확대부에 충전된 접착제가 부시에 관하여 로터 홀더(즉, 턴테이블)가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턴테이블은 프레스 가공된 자성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지름 확대부는 프레스 가공시에 발생한 쇼크 라인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턴테이블의 원통부를 프레스 가공할 때 형성되는 쇼크 라인을 지름 확대부로서 활용함으로써, 지름 확대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쇼크 라인(지름 확대부)에 충전된 접착제가 부시에 관하여 로터 홀더가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간격부는, 상기 제 2 간격부보다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간격부가 제 2 간격부보다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 1 간격부에 있어서 부시의 외주면의 중심과 턴테이블의 원통부의 중심을 용이하게 정밀도 높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의 탑재부의 면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의 외경이 확대되는 원환 돌기 형상의 원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환 돌기부의 외주에 상기 제 1 간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부시의 외주면에 원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원환 돌기부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원통부와의 직경 방향의 사이에, 제 2 간격부가 형성된다. 이 원환 돌기부에 의해, 부시의 중심축과 턴테이블의 원통부의 중심축을 양호하게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턴테이블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의 회전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외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는,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부시의 외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가, 턴테이블의 원통부의 내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 이하인 것에 의해, 접착제를 턴테이블의 원통부의 외측에 누설하는 일 없이, 내측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모터의 다른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의 상부에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지름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확대부까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확대부까지 접착제가 충전되는 것에 의해, 열에 의한 변형의 경우에, 접착제와 턴테이블의 원통부와의 접합면에 가해지는 힘은, 확대부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인장력이 저감되고, 전단력(剪斷力)이 향상한다. 접착제는 인장력보다 전단력에 관한 내력이 크기 때문에, 부시와 턴테이블과의 체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의 내경이 확대되는 원환 오목 형상의 지름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의 외경이 확대되는 원환 돌기 형상의 원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환 돌기부는, 상기 지름 확대부보다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원환 돌기부가 지름 확대부보다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턴테이블의 원통부와 부시와의 삽입을 실행하기 쉬워진다. 즉, 원환 돌기부의 일부가 지름 확대부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모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하면에는, 축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 1 하면과 제 2 하면이 있고, 상기 제 2 하면은, 상기 제 1 하면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하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부시의 제 1 하면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면이 제 1 하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부시의 외주면과 턴테이블의 내주면을 체결하는 접착제가 제 1 하면 측에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 2 하면과 원통부의 하단과의 사이에 접착제를 집적할 수 있어, 부시와 턴테이블의 원통부와의 접합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하면과 상기 제 2 하면과의 직경 방향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하면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제 3 하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3 하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접착제가 제 1 하 면에 침입하는 것을 더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기 원통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시의 하면은, 상기 평면부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샤프트와 턴테이블의 원통부가 직접 고정될 경우에 비하여, 부시의 하면을 축 방향 상측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축받이기구를 샤프트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더 길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샤프트의 회전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함유소결(含油燒結)된 재료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1 경사면과,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2 경사면과, 상기 슬리브의 하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3 경사면과, 상기 슬리브의 하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4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직경 방향 및 축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경사면, 상기 제 3 경사면 및 상기 제 4 경사면의 각각의 직경 방향 및 축 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유지 원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의 축 방향 상측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유지 원통부의 내주면이 슬리브의 외주면보다 축 방향 상측까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슬리브의 상면에 배어 나온 기름을 제 1 경사면과 유지 원통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의 상면에 배어 나온 기름은 다시 슬리브 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슬리브 기름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리브의 축받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면이 제 2 경사면, 제 3 경사면 및 제 4 경사면과 비교해서 가장 크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를 지지하는 내주면을 축 방향으로 연장시키면서도, 슬리브 기름의 감소를 억제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모터의 축 방향의 공간 내에 있어서 샤프트의 회전 진동의 저감과 슬리브의 축받이 수명의 연장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함유소결된 재료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1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내측 둘레는, 상기 제 2 하면의 내측 둘레와 직경 방향으로 동(同)위치, 혹은, 상기 제 2 하면의 내측 둘레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경사면의 내측 둘레가 제 2 하면의 내측 둘레와 직경 방향으로 동위치, 혹은,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 1 경 사면이 제 2 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에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함유소결된 재료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1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내측 둘레는, 상기 제 3 하면의 내측 둘레와 직경 방향으로 동위치, 혹은, 상기 제 3 하면의 내측 둘레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경사면의 내측 둘레가 제 3 하면의 내측 둘레와 직경 방향으로 동위치, 혹은,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 1 경사면이 제 3 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에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기 원통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 또한,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와 상기 제 2 원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연결부보다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원통부와 연결하며, 상기 축받이기구의 직경 방향 외측에 는, 상기 축받이기구를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마련되고, 상기 유지 원통부의 상단부는, 상기 평면부의 하면보다 축 방향 상측, 또한, 상기 연결부의 하면보다 축 방향 하측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원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유지 원통부의 외주면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유지 원통부의 외주면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원통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한정된 모터의 축 방향의 공간 내에 있어서 축받이기구를 축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원통부 및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턴테이블의 굴곡하는 부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턴테이블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얇은 판자의 턴테이블에 있어서도 턴테이블 자체의 진동을 저감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과 상기 회전축이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척킹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킹 기구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거의 원반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상기 중심 개구부에 접촉하고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척킹 발톱부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척킹 발톱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附勢)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전술한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빛을 방사하거나 상기 디스크로부터 반사한 상기 빛을 받아들이는 광픽업 기구와, 상기 광픽업 기구를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디스크의 면진동을 저감시킨,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전술한 모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상기 부시를 압입하는 공정과,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을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부시를, 상기 샤프트가 연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 탑재부의 상면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조절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부시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샤프트에 대하여 턴테이블을 고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의 디스크 탑재부의 면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방법은, 상기 샤프트를 유지하는 축 방향으로 오목 형상의 샤프트 유지부를 가지는 제 1 지그와,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디스크 탑재부의 상면과 접촉하고, 또한,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을 가지는 접촉 평면부가 마련된 턴테이블 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턴테이블을 유지하는 제 2 지그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그에는, 상기 샤프트 유지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인 제 1 평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지그에는, 상기 제 1 평면부와 평행으로 형성된 면으로서 상기 제 1 평면부와 접촉하는 제 2 평면부가 마련되며, 상기 부시에 상기 원통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제 1 평면부와 상기 제 2 평면부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지그 및 제 2 지그에 의해, 용이하게 샤프트와 턴테이블을 고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 공정은, 상기 부시의 외주면 혹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 중의 적어도 한쪽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부시와 상기 턴테이블을 고정하는 제 1 접착 공정과, 상기 제 1 접착 공정의 뒤에, 상기 부시와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접착제를 더 충전하는 제 2 접착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접착 공정의 다음에 또한 제 2 접착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부시와 턴테이블과의 체결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샤프트와 턴테이블을 고정밀도로 장착한 상태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의 경화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샤프트와 턴테이블을 고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박형화를 도모하면서도, 샤프트와 턴테이블과의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턴테이블의 진동에 의한 디스크의 면진동을 억제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모터의 전체 구조)
본 발명의 모터의 실시예의 일형태에 있어서 전체 구조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를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1)는, 소정의 중심축(J1)과 같은 축에 배치되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22)와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 장치(23)를 가지는 회전체(2)와, 샤프트(21)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 기구(3)와, 축받이 기구(3)를 유지하는 하우징(41)을 가지는 고정체(4)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중심축(J1)에 따라 척킹 장치(23) 측을 상측, 하우징(41) 측을 하측으로서 설명하지만, 중심축(J1)은 반드시 중력 방향에 일치하지는 않는다.
회전체(2)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상부에 고정되는 대략 원환 형상의 부시(24)와, 부시(24)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턴테이블(231)과, 턴테이블(231)에 고정되는 로터 마그네트(22)와, 턴테이블(231)의 중앙에 고정되는 척킹 기구인 척 케이스(23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턴테이블(231)과 척 케이스(232)로부터 척킹 장치(23)가 구성된다.
축받이 기구(3)는, 샤프트(21)를 직경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대 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31)와, 샤프트(21)를 축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대략 원판 형상의 스러스트 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슬리브(31)는, 샤프트(21)를 삽입하는, 축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함유소결(含油燒結)된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러스트 플레이트(32)는, 슬리브(31)의 하측에 배치된다.
고정체(4)는, 슬리브(31)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411)를 구비하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42)와, 하우징(41)의 외주 측의 하면에 고정되는 부착판(43)과, 부착판(43)의 상면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44)과, 하우징(41)의 내주 측에 고정되어, 스러스트 플레이트(32)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면을 가지는 플레이트(45)로 구성된다. 또 하우징(41)에 있어서 스테이터(42)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는, 흡인 자석(46)이 고정되어 있다.
(척킹 장치의 전체 구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척킹 장치(23)의 실시예의 일형태에 있어서 전체 구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척킹 장치(23)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턴테이블(231)을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턴테이블(231)을 나타내며, 도 4a는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점선원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척킹 장치(23)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디스크 탑재부(2311)를 가지는 턴테이블(231)과, 디스크 탑재부(2311)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척 케이스(232)로 구성된다.
척 케이스(232)는, 수지재료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한 대략 원반 형상의 케이스(2321)와, 케이스(2321)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2322)(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와, 탄성 부재(2322)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附勢)되는 척킹 발톱부(232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2322) 및 척킹 발톱부(2323)는 예컨대 각각 3개이다. 또한, 케이스(2321)의 외주면에는,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함으로써, 케이스(2321)의 중심과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조심(調芯) 고리(2321a)가 둘레 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띄워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심 고리(2321a)는 예컨대 3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2321)는,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의 내주면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측 원통부(2321a)와 원통부(2321a)의 상측을 덮는 천판부(2321b)와 천판부(2321b)의 중앙부로부터 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하고 중앙에 관통공을 가지는 베이스부(2321c)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321c)의 외면에는, 탄성 부재(2322)의 직경 방향 내측단부와 접촉하는 평면부(2321c1)가 형성된다. 평면부(2321c1)는, 직경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이다. 그리고 평면부(2321c1)의 중앙부에는, 탄성 부재(2322)와 끼워맞춤되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기부(2321c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턴테이블(231)은, 프레스 가공된 얇은 판자의 자성체의 강판에 의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프레스 가공 중, 예컨대 드로잉 가공에 의해 턴테이블(231)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턴테이블(231)을 예컨대 아연 도금 강판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턴테이블(231)은, 부시(24)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는 내주면을 가지는 제 1 원통부(2312)와, 제 1 원통부(2312)의 하단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1 평면부(2313)와, 제 1 평면부(2313)의 외주연부로부터 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 2 원통부(2314)와, 제 2 원통부(2314)의 하단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2 평면부(2315)와, 제 2 평면부(2315)의 외주연부로부터 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 3 원통부(231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 평면부(2313)와 제 2 원통부(2314)로부터 원환 오목부(2317)가 구성된다(도 8 참조). 또한, 제 2 평면부(2315)의 외주 측에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디스크 탑재부(2311)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3 원통부(2316)의 내주면에는, 로터 마그네트(22)가 고정된다(도 1 참조). 또한, 제 1 원통부(2312), 제 1 평면부(2313), 제 2 원통부(2314) 및 제 2 평면부(2315)와 같이, 턴테이블(231)의 중앙 부분에, 굴곡 부분을 3군데 만들도록 하는 형상이 되기 때문에, 턴테이블(231)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부시(24)를 사이에 넣기 위해서, 제 1 평면부(2313)의 직경 방향의 길이를 짧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231)의 강성은 더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가 회전할 때에, 턴테이블(231) 자체가 흔들리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에는, 이 내주면의 내경이 확대되는 지름 확대부(2312a)가 형성된다. 이 지름 확대부(2312a)는, 내주면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환상(環狀) 오목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가게 해서 형성한다. 그리고, 특히 프레스 가공에 있어서, 지름 확대부(2312a)는 쇼크 라인(shock line)에 상당한다. 또한,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의 상단에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지름이 확대되는 확대부(2312b)가 형성된다. 이 확대부(2312b)는, 제 1 원통부(2312)의 상면과 연결된다.
(샤프트, 부시, 턴테이블의 체결 구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샤프트(21)와 부시(24)와 턴테이블(231) 간의 체결 구조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b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샤프트(21)와 부시(24)와 턴테이블(231) 간의 체결 구도를 나타낸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점선원의 확대도이다. 도 7a 및 7b는 부시(24)를 나타내고, 도 7a는 부시(24)를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며, 도 7b는 부시(24)를 하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크로스 해칭(cross hatching)된 부분은 접착제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을 참조하면, 부시(24)는, 절삭성이 좋은 금속 재료를 절삭함으로써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시(24)는 예컨대 놋쇠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시(24)에는, 샤프트(21)와 끼워맞춰지는 축 방향에 따른 관통공(241)이 형성된다. 부시(24)의 외주면의 하부에는, 외주면의 상부에 비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원환 돌기부(242)가 형성된다.
부시(24)의 하면은, 부시(24)의 하면의 내주 측인 제 1 하면(243)과, 제 1 하면(243)보다 외주 측의 하면인 제 2 하면(244)을 가진다. 그리고, 제 2 하면(244)은, 제 1 하면(243)에 비해 축 방향 상측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 제 1 하면(243)과 제 2 하면(244)과의 직경 방향의 사이에는, 제 2 하면(244)보다 축 방향 상측이 되는 제 3 하면(245)이 형성된다. 제 1 하면(243) 및 제 2 하면(244)과 제 3 하면(245)은 각각 경사면으로 연결된다.
부시(24)는, 상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지름이 감소하는 제 1 모따기부(246)와, 하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지름이 확대되는 제 2 모따기부(247)를 구비한다. 또한, 부시(24)의 내주면 측에 마찬가지로 모따기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도 5를 참조하면, 샤프트(21)의 상부의 외주면은, 부시(24)의 관통공(241)의 내주면에 압입(壓入)된다. 그리고, 부시(24)의 외주면은,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과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부시(24)의 외주면의 외경은, 샤프트(21)의 외주면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231)과 부시(24)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부시(24)의 외주면과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과의 직경 방향의 사이에는, 축 방향의 간격(G)이 형성된다. 접착제는, 이 간격(G)에 충전된다. 간격(G)은, 부시(24)의 원환 돌기부(242)의 외주면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간격부(G1)와, 원환 돌기부(242)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제 1 간격부(G1)보다 직경 방향의 간격이 큰 제 2 간격부(G2)로 구성된다. 제 2 간격 부(G2)가 제 1 간격부(G1)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의 동축도(同軸度)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부시(24)는, 턴테이블(231)의 하측으로부터 고정되기 때문에, 처음에 제 1 간격부(G1)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제 1 간격부(G1)에 의해,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동축도를 고정밀도로 조정함으로써, 제 1 간격부(G1)보다 간격이 넓은 제 2 간격부(G2)에 있어서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동축도의 정밀도가 저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 2 간격부(G2)는, 부시(24)의 외주면과, 그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그 중에서도 특히 지름 확대부(2312a) 및 그 상측의 내주면)과의 직경 방향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턴테이블(231)의 지름 확대부(2312a)에 상당하는 쇼크 라인이 제 2 간격부(G2) 측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쇼크 라인의 형성에 의해,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와의 동축도가 저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지름 확대부(2312a)에 의해, 간격(G)에 있어서 축 방향의 중앙부의 간격이, 중앙부보다 축 방향 상측 및 축 방향 하측의 간격에 비하여 넓은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제 1 간격부(G1)와 제 2 간격부(G2)를 가지는 구조로 함으로써, 부시(24)의 외주면과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에 충전하는 접착제는, 접착 계면의 박리 내력(剝離耐力)과 접착제 자체의 전단파괴 내력(剪斷破壞耐力)을 겸비한 접착 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체결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지름 확대부(2312a)와 부시(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에 의해, 부시(24)에 관한 턴테이블(231)의 축 방향의 빠짐 방지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부시(24)의 외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는,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 구조에 의해, 부시(24)의 외주면과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가, 제 1 원통부(231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누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부시(24) 및 제 1 원통부(2312) 이외의 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원통부(2312)의 확대부(2312b)는, 부시(24)의 상면과 축 방향으로 동등하거나, 부시(24)의 상면보다 축 방향 상측이 되도록 마련된다. 또 접착제는, 확대부(2312b)의 적어도 일부까지 충전된다. 이 구조에 의해, 열에 의한 변형의 경우에, 접착제와 제 1 원통부(2312)와의 접합면에 가해지는 힘은, 확대부(2312b)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인장력이 저감하고, 전단력이 향상한다. 접착제는, 인장력에 관한 내력보다 전단력에 관한 내력이 크기 때문에,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온 환경 및 저온 환경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 1 원통부(2312)와 제 1 평면부(2313)와의 사이에는, 제 1 원통부(2312)로부터 지름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부(231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착제는, 굴곡부(2312c)의 적어도 일부까지 충전된다. 이 구조에 의해, 열에 의한 변형의 경우에, 접착제와 제 1 원통부(2312)와의 접합면에 가해지는 힘 은, 굴곡부(2312c)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인장력이 저감하고 전단력이 향상한다. 따라서,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체결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온 환경 및 저온 환경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착제는, 부시(24)의 상면의 외주 측 및 부시(24)의 제 3 하면(245)까지 충전된다. 부시(24)에 제 2 하면(244) 및 제 3 하면(245)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접착제의 집적부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제 1 하면(242) 및 샤프트(21)에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슬리브(31)에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부시와 슬리브와의 관계)
다음으로 부시(24)와 슬리브(31)와의 관계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부시(24) 및 슬리브(31)의 주변을 확대한,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슬리브(31)는, 슬리브(31)의 상면 및 외주면을 연결하는, 축 방향 상측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제 1 경사면(311)과, 슬리브(31)의 상면 및 내주면을 연결하는, 축 방향 상측으로 지름이 확대되는 제 2 경사면(312)과, 슬리브(31)의 하면 및 내주면을 연결하는, 축 방향 하측으로 지름이 확대되는 제 3 경사면(313)과, 슬리브(31)의 하면 및 외주면을 연결하는, 축 방향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제 4 경 사면(314)을 가진다. 여기에서, 제 1 경사면(311)의 축 방향의 폭 및 직경 방향의 폭의 크기는, 제 2 경사면(312), 제 3 경사면(313), 제 4 경사면(314)의 각각의 축 방향의 폭 및 직경 방향의 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우징(41)의 유지 원통부(411)의 내주면은, 슬리브(31)의 외주면보다 축 방향 상측까지 연장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슬리브(31)의 상면보다 축 방향 하측이 되도록 마련된다. 즉, 슬리브(31)의 상면은, 유지 원통부(411)의 상면보다 축 방향 상측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 유지 원통부(411)의 내주면의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서 유지 원통부(411)의 내주면의 내경이 상측을 향해 확경(擴徑)되는 경사면(4111)이 형성된다. 이 경사면(4111)과 슬리브(31)의 제 1 경사면(311)과의 제 3 간격부(G3)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직경 방향의 폭이 확대한다. 이 구조에 의해, 샤프트(21)의 회전으로 슬리브(31)의 상면에 배어 나온 기름은 제 3 간격부(G3)에 수용된다. 그리고, 다시 슬리브(31)에 기름이 스며드는 것에 의해, 슬리브(31)의 축받이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부시(24)의 제 1 하면(243)과 슬리브(31)의 상면은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그리고 제 1 경사면(311)의 내측 둘레와 제 1 하면(243)의 외주연은 직경 방향으로 거의 동(同)위치가 된다. 또한, 제 2 하면(244) 및 제 3 하면(245)은, 제 1 경사면(311)과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 구조에 의해, 슬리브(31)의 상면을 부시(24)의 하면에 접근시키더라도, 접착제와 슬리브(31)의 상면 및 제 1 경사면(311)이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31)의 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31)는 샤프트(21)를 축 방향으로 길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 탑재부(2311)의 회전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축받이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슬리브(31)의 외주면은, 부시(24)의 환상 돌기(242)의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41)의 유지 원통부(411)의 상면은,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하단부 및 제 1 평면부(2313)의 하면과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턴테이블(231)의 제 2 평면부(2315)는, 슬리브(31)의 상면 및 하우징(41)의 유지 원통부(411)의 상면보다 축 방향 하측에 배치된다. 즉, 슬리브(31)의 상부의 일부 및 유지 원통부(411)의 상부의 일부는, 원환 오목부(2317)에 수용된다. 이 구조에 의해, 슬리브(31)의 축 방향의 크기를 확보하면서도, 박형의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부시(24)의 외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가,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보다 작은 것에 의해, 부시(24)의 하면은, 제 1 평면부(2313)의 하면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된다. 이 구조에 의해, 슬리브(31)를 또한 축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31)는 샤프트(21)를 축 방향으로 길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 탑재부(2311)의 회전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축받이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부시(24)와 샤프트(21)는 압입되어 있기 때문에, 부시(24) 자체의 축 방향의 크기가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보다 작아지더라도, 부시(24)와 샤프트(21)와의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하우징(41)의 유지 원통부(411)의 상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부(4112)가 형성된다. 또 턴테이블(231)의 제 2 평면부(2315)의 하면에 있어서 내측 둘레에는, 제 2 원통부(2314)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둘레 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둔 복수의 돌기부(251)를 가지는 빠짐 방지 부재(25)가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체(2)가 고정체(4)에 대하여 축 방향 상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유지 원통부(411)의 환상 돌기부(412)의 하면과 빠짐 방지 부재(25)의 돌기부(251)의 상면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회전체(2)는, 고정체(4)에 대하여 축 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외주면에는, 케이스(2321)의 베이스부(2321c)의 관통공의 내주면이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부(2321c)의 평면부(2321c1)는, 제 1 평면부(2313)보다 하측으로 연장하고, 또한, 제 2 원통부(2314)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모터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모터(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은, 모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샤프트(21)와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모터(1)는, 회전체(2) 및 고정체(4)를 미리 제조하고, 고정체(4)에 회전체(2)를 내장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에서는, 특히 회전체(2)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샤프트(21)의 외주면에 부시(24)의 내주면을 압입한다(도 9의 스텝 S1의 압 입 공정). 이에 따라, 샤프트(21)는 부시(24)의 관통공(241)에 들어간다. 샤프트(21)에 부시(24)를 압입함으로써, 샤프트(21)에 대하여 부시(24)를 튼튼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시(24)의 외주면에 턴테이블(231)을 접착제에 의해 고정한다(도 9의 스텝 S2의 접착 공정). 이 때에, 턴테이블(231)은, 로터 마그네트(22) 및 빠짐 방지 부재(25)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는,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한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고정은, 샤프트(21)를 유지하는 제 1 지그(7)와, 턴테이블(231)을 유지하는 제 2 지그(8)에 의해 실행한다. 제 1 지그(7)는, 샤프트(21)를 유지하는 원통오목 형상의 샤프트 유지부(71)와, 샤프트 유지부(71)보다 축 방향 상측, 또한,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샤프트(21)가 연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즉,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 1 평면부(72)가 마련된다. 제 2 지그(8)는, 턴테이블(231)을 유지하는 턴테이블 유지부(81)와, 턴테이블 유지부(81)보다 축 방향 하측이 되고,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 2 평면부(8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턴테이블 유지부(81)는 예컨대 환상의 마그네트이다. 그리고, 이 마그네트로 턴테이블(231)의 제 2 평면부(2315)를 흡인함으로써, 제 2 지그(8)에 턴테이블(231)은 유지된다.
샤프트(21)와 턴테이블(231)을 체결할 때는, 제 1 평면부(72)와 제 2 평면 부(82)가 접촉한다(도 11 참조). 그리고, 제 1 평면부(72)와 제 2 평면부(82)가 접촉한 상태에서, 부시(24)의 외주면과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다. 제 2 지그(8)의 상부에는, 예컨대 자외선 조사기(도시하지 않음)의 자외선을 부시(24)와 제 1 원통부(2312)와의 사이에 조사하기 위한 개구부(8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부시(24)의 외주면과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접착제가 경화한다. 그 결과,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은 고정된다.
여기서, 접착 공정은 턴테이블(231)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턴테이블(231)을 부시(24)에 부착해서 체결하는 제 1 접착 공정과, 제 1 접착 공정의 다음에,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굴곡부(2312c)와의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제 2 접착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접착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부시(24)의 외주면과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을 축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231)과 부시(24)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시(24)의 하면에 제 2 하면(244) 및 제 3 하면(245)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접착 공정에서 접착제를 충전하더라도 제 1 하면(243) 측에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굴곡부(2312c)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접착제가 굴곡부(2312c)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부시(24)의 외주면과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 사이에는 축 방향에 걸쳐서 직경 방향의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부시(24)와 샤프트(21)를 압입함으로써 부시(24)의 외주면이 변형되더라도, 직경 방향의 간격에 의해 부시(24)의 외주면의 변형은 흡수된다. 따라서,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내주면이 변형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턴테이블(231)의 디스크 탑재부(2311)의 회전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의 면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턴테이블 유지부(81)는, 디스크 탑재부(2311)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접촉 평면부(811)를 가진다. 이 접촉 평면부(811)는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다.
다음으로 턴테이블(231)의 제 1 원통부(2312)의 외주면에 척 케이스(232)를 장착한다(도 9의 스텝 S3). 이 공정에 의해, 회전체(2)가 완성된다.
그리고, 별도 제작한 고정체(4)에 회전체(2)를 장착한다(도 9의 스텝 S4). 이것은 샤프트(21)를 슬리브(31)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고정체(4)에 회전체(2)를 받아들일 수 있다.
(디스크 구동 장치의 전체 구조)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의 실시예의 일형태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의 실시예의 일형태를 나타낸,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디스크 구동 장치(50)는, 중심으로 개구 구멍(61)을 가지는 원반 형상의 디스크(60)의 개구 구멍(6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디스크(60)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조심(調芯)하고, 디스크(6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51)와, 디스크(60)에 빛을 방사 및 디스크(60)로부터 반사한 빛을 받아들이는 광픽업 기구(52)와, 이 광픽업 기구(52)를 디스크(60)의 회전 직경 방향으로 이동을 실행하는 이동 기구인 기어 기구(53)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체(54)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51) 및 광픽업 기구(52)는, 섀시(55)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섀시(55)가 적어도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핀들 모터(51)의 척킹 장치에 디스크(60)의 개구 구멍(61)이 장착된다. 또 섀시(55)에는, 개구 구멍이 형성되고 있어, 그 개구 구멍의 내부에 광픽업 기구(52)가 배치된다.
기어 기구(53)는, 출력축으로 기어를 가지는 모터(531)와, 이 모터(531)의 회전 토크를 전달되는 피전달측 기어(532)를 구비한다.
또 하우징체(54)에는, 디스크(60)의 이동과 기어 기구(53)를 나누는 얇은 판자로 형성된 경계판(5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체(54)에는, 디스크(60)의 삽입 및 방출을 실행하는 개구 구멍(542)이 형성되어 있다.
픽업 기구(52)는, 빛, 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방사하거나, 디스크(60)로부터 반사한 레이저광을 받아들이는 발광 수광부(521)와, 이 발광 수광부(521)의 디스크(60)의 회전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마련되고, 발광 수광부(521)의 이동을 실행하는 이동부(522)를 구비한다. 이 이동부(522)는, 피전달측 기어(532)와 맞물리는 맞물림부(522a)를 가진다. 그리고 발광 수광부(521)에는 이동부(522)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모터(531)에 장착된 기어부(531a)와 피전달측 기어(532)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피전달측 기어(532)는 회전하고, 피전달측 기어(532)가 이동부(522)의 맞물림부(522a)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이동부(522)가 회전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리고 이 이동부(522)의 이동에 의해 발광 수광부(521)는 회전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디스크 구동 장치(50)의 스핀들 모터(51)에 본 발명의 모터(1)를 적용함으로써, 광픽업 기구(52)의 빛의 조사 방향에 대하여, 디스크(60)의 하면을 정밀도 높게 수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60)에 대한 기록 재생의 정밀도가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핀들 모터(51)에 디스크(60)를 탑재했다고 해도, 기록 재생 에러를 막는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디스크 구동 장치(50) 자체의 박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모터(1)에 있어서 부시(24)와 턴테이블(231)과의 체결 강도가 높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가지가지인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축받이 기구(3)에서는, 슬리브(31)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리브(31)의 대신에 볼베어링 등의 구체(球體) 베어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척킹 장치(23)는, 복수의 탄성 부재(2322) 및 척킹 발톱부(2323)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크 구동 장치 측에 디스크의 상면을 억제하는 클램프 부재가 마련되고, 척킹 장치는 조심 고리뿐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부시(24)의 제 1 하면(243), 제 2 하면(244) 및 제 3 하면(245)은 각 각 경사면으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하면(243), 제 2 하면(244) 및 제 3 하면(245)을 각각 축 방향인 면으로 연결해도 좋다. 또 축 방향인 면과 경사면과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하면(243), 제 2 하면(244) 및 제 3 하면(245) 자체가 경사함으로써 각각이 연결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은 축 방향에 걸쳐 간격(G)이 설치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시(24)와 턴테이블(231)은, 축 방향의 일부가 압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턴테이블(231)은, 제 1 원통부(2312), 제 1 평면부(2313), 제 2 원통부(2314), 제 2 평면부(2415) 및 제 3 원통부(2316)로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턴테이블(231)에 환상 오목부(2317)가 형성되면 되므로, 제 1 평면부(2313)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제 2 원통부(2314)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지름이 감소하는 대략 원통 형상이 된다. 또한, 이 경우, 연결부는, 제 1 원통부(2312)와 제 2 원통부(2314)와의 사이의 굴곡 부분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의 실시예의 일형태를 나타낸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척킹 장치의 실시예의 일형태를 나타낸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턴테이블의 실시예의 일형태를 나타낸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턴테이블의 실시예의 일형태를 나타내며, 그 중에서 도 4a는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점선원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샤프트와 부시와 턴테이블과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점선원의 확대도이다.
도 7a 및 7b은 본 발명의 부시를 나타내고, 도 7a는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며, 도 7b는 하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부시 및 슬리브의 주변을 나타낸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모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샤프트와 부시와 턴테이블과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샤프트와 부시와 턴테이블과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축 방 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의 실시예의 일형태를 나타낸 축 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모터
2 회전체
21 샤프트
22 로터 마그네트
23 척킹 장치
231 턴테이블
2311 디스크 탑재부(탑재부)
2312 제 1 원통부(원통부)
2312a 지름 확대부(쇼크 라인)
2312b 확대부
2313 제 1 평면부(연결부)
2314 제 2 원통부
2315 제 2 평면부
2316 제 3 원통부
2317 환상오목부
232 척 케이스
2321 케이스
2322 탄성 부재
2323 척킹 발톱부
24 부시
242 환상 돌기부
243 제 1 하면
244 제 2 하면
245 제 3 하면
3 축받이 기구
31 슬리브
311 제 1 경사면
312 제 2 경사면
313 제 3 경사면
314 제 4 경사면
4 고정체
41 하우징
411 유지 원통부
4111 경사면
G 간격
G1 제 1 간격부
G2 제 2 간격부
J1 중심축(회전축)

Claims (19)

  1. 중심 개구부를 가지는 환상(環狀)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있어서,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의 부시와,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가지는 턴테이블을 구비하되,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은,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간격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축 방향에 걸쳐서 상기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상기 간격은,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간격부 및 상기 제 1 간격부보다 간격 크기가 큰 제 2 간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간격부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의 내경이 확대되는 원환 오목 형상의 지름 확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프레스 가공된 자성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지름 확대부는, 프레스 가공시에 발생하는 쇼크 라인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격부는 상기 제 2 간격부보다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의 외경을 확대하는 원환 돌기 형상의 원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환 돌기부의 외주에 상기 제 1 간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는,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의 축 방향의 크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의 상부에는, 축 방향 상측을 향해 지름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확대부까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의 내경이 확대되는 원환 오목 형상의 지름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의 외경이 확대되는 원환 돌기 형상의 원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환 돌기부는 상기 지름 확대부보다 축 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하면에는, 축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 1 하면과 제 2 하면이 있고,
    상기 제 2 하면은, 상기 제 1 하면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하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면과 상기 제 2 하면과의 직경 방향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하면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제 3 하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기 원통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시의 하면은 상기 평면부보다 축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함유소결(含油燒結)된 재료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1 경사면과,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2 경사면과,
    상기 슬리브의 하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3 경사면과,
    상기 슬리브의 하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4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직경 방향 및 축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경사면, 상기 제 3 경사면 및 상기 제 4 경사면의 각각의 직경 방향 및 축 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유지 원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의 축 방향 상측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함유소결된 재료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1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내측 둘레는, 상기 제 2 하면의 내측 둘레와 직경 방향으로 동(同)위치, 혹은, 상기 제 2 하면의 내측 둘레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축 방향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함유소결된 재료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유지 원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상의 제 1 경 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내측 둘레는, 상기 제 3 하면의 내측 둘레와 직경 방향으로 동위치, 혹은, 상기 제 3 하면의 내측 둘레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과 상기 회전축이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척킹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기구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거의 원반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상기 중심 개구부에 접촉하고,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척킹 발톱부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척킹 발톱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세(附 勢)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빛을 방사하거나 상기 디스크로부터 반사한 상기 빛을 받아들이는 광픽업 기구와,
    상기 광픽업 기구를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 장치.
KR1020080092734A 2007-09-26 2008-09-22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KR100996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48447A JP4941200B2 (ja) 2007-09-26 2007-09-26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JP-P-2007-00248447 2007-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995A true KR20090031995A (ko) 2009-03-31
KR100996793B1 KR100996793B1 (ko) 2010-11-25

Family

ID=4051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734A KR100996793B1 (ko) 2007-09-26 2008-09-22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41200B2 (ko)
KR (1) KR100996793B1 (ko)
CN (1) CN10139947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00B1 (ko) * 2008-12-29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WO2024039021A1 (en) * 2022-08-19 2024-02-22 New Motech Co., Ltd. Motor for laundry dryer with cushion bushing
KR102640270B1 (ko) 2023-12-07 2024-02-27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99B1 (ko) 2010-08-18 2012-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US8370868B2 (en) 2010-08-18 2013-02-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pindle motor and disk driver having the same
KR101801822B1 (ko) * 2011-12-23 2017-11-2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스핀들 모터
CN204992804U (zh) * 2014-07-09 2016-01-20 苹果公司 风扇装置和计算系统
TWI659590B (zh) * 2017-11-15 2019-05-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定子固定構造
JP6829234B2 (ja) * 2018-10-26 2021-02-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ステータを組み込んだモータジャケッ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500B1 (ko) * 1996-11-13 1999-11-15 이형도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지지 구조 및 조립 방법
JPH1169706A (ja) * 1997-08-06 1999-03-09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JP4018287B2 (ja) * 1999-03-19 2007-12-05 日本電産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1178078A (ja) * 1999-12-17 2001-06-29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
JP2001332014A (ja) * 2000-05-18 2001-11-30 Sony Corp ターンテ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43016A (ja) * 2001-05-18 2002-11-29 Tokyo Parts Ind Co Ltd ターンテーブル部を備えたスピンドルモータとその製法
JP2005063615A (ja) * 2003-08-20 2005-03-10 Tokyo Parts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7226925A (ja) * 2006-02-27 2007-09-06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00B1 (ko) * 2008-12-29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WO2024039021A1 (en) * 2022-08-19 2024-02-22 New Motech Co., Ltd. Motor for laundry dryer with cushion bushing
KR102640270B1 (ko) 2023-12-07 2024-02-27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793B1 (ko) 2010-11-25
CN101399479A (zh) 2009-04-01
JP4941200B2 (ja) 2012-05-30
CN101399479B (zh) 2011-05-18
JP2009080883A (ja)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793B1 (ko)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US6700256B2 (en) Brushless mo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7913268B2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998778B1 (ko)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505588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746093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スピンドルモータの製造方法
KR20080099793A (ko) 모터 및 모터의 제조 방법
US6445096B1 (en) Spindle motor
JP2008043045A5 (ko)
KR101101606B1 (ko) 모터 및 이를 이용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8934196B2 (en) Rotating apparatus with increased inner diameter of bearing hole opening
US20080067890A1 (en) Sleete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motor using the sleeve unit
US20100220374A1 (en) Polygon mirror scanner motor
US7873971B2 (en) Motor having chucking device and disk driv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0982846B1 (ko)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장치
US8975797B2 (en) Disk-rotating motor and disk-driving device
JP200600597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10020201A (ko)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와 모터의 제조 방법
JP2010166632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591699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5578346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US8018107B2 (en) Brushless motor having a substantially flat attachment plate and a circuit board, and disk driv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06277874A (ja) 記録ディスク調芯装置および記録ディスク調芯装置を用いた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7102894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2324344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のターンテ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