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270B1 -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270B1
KR102640270B1 KR1020230176285A KR20230176285A KR102640270B1 KR 102640270 B1 KR102640270 B1 KR 102640270B1 KR 1020230176285 A KR1020230176285 A KR 1020230176285A KR 20230176285 A KR20230176285 A KR 20230176285A KR 102640270 B1 KR102640270 B1 KR 10264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member
heat
temperature
heating element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230176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에서는 건물 내부의 기둥 일측에 마련되는 LED 발열체에서 방열 효율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방열 성능을 제공하되, 기존에 설치된 상수도관을 저열원으로 하여 히트파이프를 통해 방열함으로써, 별도의 방열수단을 위한 전원연결 없이 효율적 방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상수도관 뿐만 아니라 외기를 저열원으로 하여 동시에 방열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 인가에 의해 P-N 반도체 접합(P-N junction)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발하는 소자로서, 통상 LED 칩이 탑재된 패키지의 구조로 제작되며, 흔히 "LED 패키지"라고 칭해지고 있다. 위와 같은 LED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한다) 상에 장착되어 그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발광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LED 칩으로부터 발생한 열은 LED 패키지의 발광 성능 및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LED 칩에 발생한 열이 그 LED 칩에 오래 머무르는 경우 LED 칩을 이루는 결정 구조에 전위(dislocation) 및 부정합(mismatch)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LED 칩으로부터 발생한 열의 방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안된 바있다.
KR 10-2011-0130202 KR 10-2009-0031995 KR 10-2011-0098064 KR 10-2019-013983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부의 기둥 일측에 마련되는 LED 발열체에서 방열 효율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방열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는 건물 내부의 기둥 일측에 마련되는 LED 발열체,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되, 측면이 상기 LED 발열체와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메인 열전달부재, 상기 기둥의 상부와 연결된 고층 천장 내부에 설치된 상수도 배관으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배관연결 열전달부재 및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 내부에 설치되되, 상부는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와 연결되고, 측부는 상기 LED 발열체와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LED 발열체를 고열원으로 하고, 상기 상수도 배관을 저열원으로 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열전달부재는 일측이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저층 천장을 관통하여 외기와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에는,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되, 외기와 공기흐름을 가속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팬,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되, 단열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 및 상기 팬 및 상기 커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팬 및 상기 커버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을 동작시켜 상기 LED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기로 배출시키되,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제1임계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커버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팬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센서부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에 비례하게, 상기 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기온도가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보다 높은 제2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팬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히트파이프에는 판상체로써, 상기 LED 발열체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LED 발열체을 칸 구분시키면서 밀착 설치되고, 일측단 또는 양측단이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에 접촉 설치되며, 내부에 직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모세관이 개루프 또는 폐루프로 형성되는 방열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방열판에는 상기 모세관이 가로 및 세로로 각각 평행 설치되되, 좌우 및 상하 단부가 각각 교번 연결되어 가상의 폐루프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에서는 상기 LED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모세관을 따라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 및 외기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각각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에는 상기 히트파이프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기로 열은 전달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외기연결 열전달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로부터 상기 외기연결 열전달부재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부에는 상기 상수도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3온도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온도센서부에서는 상기 제3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상수도 배관의 온도 및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의 차이로 정의되는 제1방열능력값(C°) 및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기의 온도 및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의 차이로 정의되는 제2방열능력값(C°)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방열능력값(C°)이 상기 제2방열능력값(C°)보다 클수록 상기 팬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상기 방열판에서는 상기 LED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모세관을 따라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 및 상기 외기연결 열전달부재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각각 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에서는 건물 내부의 기둥 일측에 마련되는 LED 발열체에서 방열 효율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방열 성능을 제공하되, 기존에 설치된 상수도관을 저열원으로 하여 히트파이프를 통해 방열함으로써, 별도의 방열수단을 위한 전원연결 없이 효율적 방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상수도관 뿐만 아니라 외기를 저열원으로 하여 동시에 방열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폐루프형 모세관이 세로 기본세관, 가로 기본세관으로 대칭 적용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폐루프형 모세관이 세로 기본세관, 가로 기본세관으로 대칭 적용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는 메인 열전달부재(200),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 및 히트파이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방열의 대상이 되는 발열체는 건물 내부의 기둥(13) 일측에 마련되는 LED 발열체(100)로 한다.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는 열전달력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관체로써, 상기 기둥(13)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는 상기 기둥(13) 내부에 설치되면서도 측면이 상기 LED 발열체(100)와 소정거리 이격된 채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LED 발열체(100)로부터 열전달 받을 수 있는 충분한 거리에 위치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는 상기 상수도 배관(12)의 형상이나 구조가 건물마다 다양하므로, 상기 상수도 배관(12)과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가 원활히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관 특징에 맞는 어댑터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즉 상기 기둥(13)의 상부와 연결된 고층 천장(10) 내부에 설치된 상수도 배관(12)으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400)는 모세관(420) 및 작동 유체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히트파이프(400)를 의미하고, 상기 히트파이프(400)는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 내부에 설치되되, 상부는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와 연결되고, 측부는 상기 LED 발열체(100)와 소정거리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히트파이프(400)는 상기 LED 발열체(100)를 고열원으로 하고, 상기 상수도 배관(12)을 저열원으로 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는 저층 천장(11)을 관통하여 연장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저층 천장(11)을 관통하여 외기와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에는 팬(600), 커버(700) 및 제어부(8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600)은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의 타측에 설치되되, 외기와 공기흐름을 가속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700)는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되, 단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700)는 외기에서 발생되는 이물질로부터 상기 팬(600) 및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200)를 보호하고, 한겨울 또는 한여름에 외기 온도가 임계값을 벗어나면 차단됨으로써 내부 구성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팬(600) 및 상기 커버(7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0)에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온도센서부(810) 및 상기 팬(600) 및 상기 커버(70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8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팬(600)을 동작시켜 상기 LED 발열체(10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기로 배출시키되, 상기 온도센서부(810)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제1임계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커버(700)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팬(600)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센서부(810)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811), 상기 LED 발열체(1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8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2온도센서(812)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100)의 온도에 비례하게 상기 팬(6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온도센서(811)에서 측정된 외기온도가 상기 제2온도센서(812)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100)의 온도보다 높은 제2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700)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팬(600)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파이프(400)에는 판상체로써, 상기 LED 발열체(100)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LED 발열체(100)을 칸 구분시키면서 밀착 설치되고, 일측단 또는 양측단이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에 접촉 설치되며, 내부에 직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모세관(420)이 개루프 또는 폐루프로 형성되는 방열판(4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세관(420)에는 작동유체가 주입되어 열에 의해 기화와 액화를 반복하여 열을 측방향으로 열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410)에는 상기 모세관(420)이 가로 및 세로로 각각 평행 설치되되, 좌우 및 상하 단부가 각각 교번 연결되어 가상의 폐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세관(420)을 상기 방열판(410) 일측단에 단위체로 형성하여 제1루프영역(A)을 이루고 타측에 단위체로 형성되어 제2루프영역(B)을 이루도록 구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루프영역(A)과 제2루프영역(B)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의해서, 상기 방열판(410)의 상하방향으로의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분 영역되어 설치됨으로써, 단위체의 시각에서 상기 모세관(420)의 양단에는 열원이 배치되어 열이송 이동 방향이 양단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열이송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방열판(410)에서는 상기 LED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모세관(420)을 따라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 및 외기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각각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에는 상기 히트파이프(4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기로 열은 전달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외기연결 열전달부재(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파이프(400)는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로부터 상기 외기연결 열전달부재(5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부(810)에는 상기 상수도 배관(1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3온도센서(8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부(810)에서는 상기 제3온도센서(813)에서 측정된 상기 상수도 배관(12)의 온도 및 상기 제2온도센서(812)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100)의 온도의 차이로 정의되는 제1방열능력값(C°) 및 상기 제1온도센서(811)에서 측정된 외기의 온도 및 상기 제2온도센서(812)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100)의 온도의 차이로 정의되는 제2방열능력값(C°)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에서는 상기 제1방열능력값(C°)이 상기 제2방열능력값(C°)보다 클수록 상기 팬(600)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상기 방열판(410)에서는 상기 LED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모세관(420)을 따라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300) 및 상기 외기연결 열전달부재(500)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각각 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고층 천장
11:저층 천장
12:상수도 배관
13:기둥
100:LED 발열체
200:메인 열전달부재
300:배관연결 열전달부재
400:히트파이프
410:방열판
420:모세관
500:외기연결 열전달부재
600:팬
700:커버
800:제어부
810:온도센서부
811:제1온도센서
812:제2온도센서
813:제3온도센서
820:전력공급부
A:제1루프영역
B:제2루프영역

Claims (3)

  1. 삭제
  2. 건물 내부의 기둥 일측에 마련되는 LED 발열체;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되, 측면이 상기 LED 발열체와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메인 열전달부재;
    상기 기둥의 상부와 연결된 고층 천장 내부에 설치된 상수도 배관으로 열을 전달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배관연결 열전달부재; 및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 내부에 설치되되, 상부는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와 연결되고, 측부는 상기 LED 발열체와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LED 발열체를 고열원으로 하고, 상기 상수도 배관을 저열원으로 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인열전달부재는 일측이 상기 배관연결 열전달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저층 천장을 관통하여 외기와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의 타측에 설치되되, 외기와 공기흐름을 가속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팬;
    상기 메인 열전달부재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되, 단열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 및
    상기 팬 및 상기 커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온도센서부; 및
    상기 팬 및 상기 커버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을 동작시켜 상기 LED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기로 배출시키되,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제1임계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커버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팬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에 비례하게, 상기 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기온도가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LED 발열체의 온도보다 높은 제2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팬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KR1020230176285A 2023-12-07 2023-12-07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KR10264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285A KR102640270B1 (ko) 2023-12-07 2023-12-07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285A KR102640270B1 (ko) 2023-12-07 2023-12-07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270B1 true KR102640270B1 (ko) 2024-02-27

Family

ID=9005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285A KR102640270B1 (ko) 2023-12-07 2023-12-07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2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995A (ko) 2007-09-26 2009-03-31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KR101044240B1 (ko) * 2009-03-23 2011-06-27 강환국 냉각 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 장치
KR20110098064A (ko) 2010-02-26 2011-09-01 한국전력공사 건축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KR20110130202A (ko) 2010-05-27 2011-12-05 이호석 히트 파이프 기능을 가지는 복합방열기구를 적용한 고효율 엘이디등
US8651704B1 (en) * 2008-12-05 2014-02-18 Musco Corporation Solid state light fixture with cooling system with heat rejection management
KR20190139836A (ko) 2017-02-01 2019-12-18 앵스티튀 베드콩 통합된 슬롯들을 가진 안테나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를 구비한 전자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995A (ko) 2007-09-26 2009-03-31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US8651704B1 (en) * 2008-12-05 2014-02-18 Musco Corporation Solid state light fixture with cooling system with heat rejection management
KR101044240B1 (ko) * 2009-03-23 2011-06-27 강환국 냉각 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 장치
KR20110098064A (ko) 2010-02-26 2011-09-01 한국전력공사 건축용 복합소재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KR20110130202A (ko) 2010-05-27 2011-12-05 이호석 히트 파이프 기능을 가지는 복합방열기구를 적용한 고효율 엘이디등
KR20190139836A (ko) 2017-02-01 2019-12-18 앵스티튀 베드콩 통합된 슬롯들을 가진 안테나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를 구비한 전자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975B2 (en) LED lighting apparatus
US7866851B2 (en) LED heat sink
BR122020023285B1 (pt) corpo luminoso elétrico tendo dissipador de calor com abertura de ar axial e radial
US20140078737A1 (en) Active heat dissipating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lamp
KR20100112831A (ko) 엘이디 방열 조명등
KR101288623B1 (ko) 조명기기용 냉각 장치
TW201643351A (zh) 相變化散熱裝置及燈具
KR102640270B1 (ko) 개선된 방열 성능을 지닌 led 조명 장치
TWI525288B (zh) Lighting device
CN201206811Y (zh) 发光二极管散热器
KR101274040B1 (ko) 양방향 발광 장치
CN201215303Y (zh) 高散热性发光二极管灯具散热模块
KR101318434B1 (ko) Led 조명 장치
CN103292285B (zh) 散热器
EP2837881A1 (en) Light module and light assembly using the same
US20140197444A1 (en) Light emitting element,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7719187U (zh) 一种散热型二极管的封装结构
US20160341412A1 (en) Led lighting apparatus
KR102349877B1 (ko) 냉각핀 결합 방식의 방열장치
CN102200265A (zh) Led发光二极管散热器
KR20150139139A (ko) 엘이디 조명 장치
CN205790059U (zh) 一种高效散热集成led封装结构
CN205790067U (zh) 一种散热型led封装结构
CN210200757U (zh) 一种光电封装体
CA2897344C (en) Led ligh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