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817A - 차량의 하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817A
KR20090026817A KR1020097002241A KR20097002241A KR20090026817A KR 20090026817 A KR20090026817 A KR 20090026817A KR 1020097002241 A KR1020097002241 A KR 1020097002241A KR 20097002241 A KR20097002241 A KR 20097002241A KR 20090026817 A KR20090026817 A KR 20090026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llar
floor
windshield
under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646B1 (ko
Inventor
고지 다마코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02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하부 구조로서, 차량의 객실; 차량의 측부에 제공되어 있으며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윈드실드 필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윈드실드 필라의 하단부에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록커;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에 제공되어 있는 플로어 터널 부재;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플로어 터널 부재와 록커에 연결되어 있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와; 윈드실드 필라, 록커, 플로어 터널 부재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객실의 플로어를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며, 또한 윈드실드 필라, 록커,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윈드실드 필라로부터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와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차량의 내부로부터 윈드실드 필라를 지지하는 필라 브레이스를 더 포함한다.
록커, 윈드실드 필라, 플로어 크로스 부재.

Description

차량의 하부 구조{VEHICLE LOWER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 2003-237636 (JP-A-2003-237636) 호는, 충돌에 의해 차량에 가해지는 하중 (이하, "충돌 하중" 으로 칭함) 이 차량의 골격 구조 부재에 전달됨으로써 차량 객실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차량 구조를 기술한다. JP-A-2003-237636 에서 기술하는 차량 구조에서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가 플로어 팬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이드실 (이하, "록커 (rocker)" 로 칭함) 로부터 측방향 중앙 부재 (이하, "플로어 팬 터널 부재" 로 칭함) 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서, 오프셋 (offset) 충돌시에 록커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이 플로어 크로스 부재를 개재하여 플로어 팬 터널 부재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범퍼 빔이 록커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프셋 충돌 등의 충돌이 발생하고 차량이 자차량 (host vehicle)의 윈드실드 필라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면,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충돌 하중이 가해진다. 자차량의 앞 타이어를 개재하여 윈드실드 필라에 충돌 하중이 가해질 때,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충돌 하 중이 가해질 수 있다.
JP-A-2003-237636 에서 기술한 구조에 의해, 충돌 하중이 록커로부터 플로어 팬 터널 부재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하지만,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충돌 하중이 가해지면, 이 충돌 하중은 플로어 팬 터널 부재와 같은 보강 부재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분산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오프셋 충돌에 의한 차량 객실의 변형량을 줄이지 못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오프셋 충돌에 의한 차량 객실의 변형량을 최소화시키는 차량의 하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는, 차량의 측부에서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윈드실드 필라, 상기 윈드실드 필라의 하단부에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록커, 차량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윈드실드 필라의 차량 객실 측 외면에 그 일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전달하는 보강부재를 갖는다.
이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록커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록커의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수용하여, 그 수용된 충돌 하중을 보강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충돌 하중을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전달하여 충돌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오프셋 충돌에 의해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윈드실드 필라에 충돌 하중이 가해진다. 상기 보강 부재에 의해,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은, 그 충돌 하중이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하중을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차량 플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록커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보강 부재를 개재하여 차량 플로어부에 전달하여 충돌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오프셋 (offset) 충돌에 의한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차량 플로어부는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와 같은 플로어 팬 골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차량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록커의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의 후측면에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록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가운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성분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다른 일부가 록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보강 부재는 윈드실드 필라로부터 록커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을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이 충돌 하중을 분산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부재의 단부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록커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은 보강 부재를 개재하여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또한, 윈드실드 필라의 지지 강도가 향상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오프셋 충돌에 의한 차량 객실의 변형을 더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부재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와 플로어 크로스 부재가 반드시 서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 결과적으로, 생산 시간과 생산 비용이 줄어든다.
상기 보강 부재는, 그 단부가,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량의 중앙 골격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부재의 단부는 차량의 중앙 골격 부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록커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은 보강 부재를 개재하여 차량의 중앙 골격 부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또한, 윈드실드 필라의 지지 강도가 향상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오프셋 충돌에 의한 차량 객실의 변형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차량 중앙 골격 부재는 플로어 팬 터널 부재일 수 있다. 이로써,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보강 부재를 개재하여 플로어 팬 터널부에 직접 전달하여, 이 충돌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중앙 골격 부재는 플로어 터널 부재와 록커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팬 보강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보강 부재를 개재하여 플로어 터널부에 직접 전달하여, 이 충돌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보강 부재를 윈드실드 필라에 근접해 있는 플로어 팬 보강 부재에 연결함으로써, 보강 부재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충돌 하중의 분산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는 상기 윈드실드 필라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강 부재와 벌크헤드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를 두고서 보강 부재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벌크헤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 벌크헤드가 보강 부재와 대면하게 제공되므로, 윈드실드 필라의 지지 강도가 향상되고, 윈드실드 필라로부터 보강 부재에 충돌 하중을 전달하는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차량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록커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충돌 하중을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전달하는 보강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오프셋 충돌에 의한 하중 분산이 더 효율적이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며 유사한 요소에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필라 브레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 충돌 하중이 전달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차량 하부 구조에서 충돌 하중이 전달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필라 브레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벌크헤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필라 브레이스와 벌크헤드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Ⅸ-Ⅸ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Ⅹ-Ⅹ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5 의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 충돌 하중이 전달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5 의 개조된 필라 브레이스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5 에서 개조된 플로어 크로스 부재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 필라 브레이스와 벌크헤드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서 필라 브레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4 의 벌크헤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4 에서 ⅩⅦ-ⅩⅦ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 충돌 하중이 전달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ⅩⅩⅠ-ⅩⅩⅠ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0 의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 충돌 하중이 전달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 은 개조된 필라 브레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한 다. 본 명세서에서, "전", "후", "좌", "우", "상", "하" 와 같은 위치 표현은 자차량이 전진하고 있을 때의 방향을 나타내는다.
먼저, 도 1 과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 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차량의 하부 구조 (1) 에서의 필라 브레이스 (8) 의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하부 구조 (1) 는 차량 객실 (2), 차량의 측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윈드실드 필라 (3), 및 전단부가 상기 윈드실드 필라 (3) 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록커 (4) 를 구비한다. 또, 차량의 하부 구조 (1) 는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터널 부재 (5); 록커 (4) 와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연결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플로어 터널 부재 (5),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되며 차량 객실 (2) 의 플로어를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 (7) 을 더 구비한다. 게다가, 차량의 하부 구조 (1) 는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및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되는 필라 브레이스 (8) 를 구비한다. 도 1 은 차량 객실의 오른쪽 전방부를 보여준다. 차량의 하부 구조 (1) 는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갖는다. 도 1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량 객실의 왼쪽 전방부는 차량 객실의 오른쪽 전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차량의 하부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플로어 터널 부재 (5),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플로어 패널 (7) 은 청구 범위에 기재된 차량 플로어부에 상당한다.
필라 브레이스 (8) 의 일단은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되어 있다. 필라 브레이스 (8) 의 일단은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된다. 필라 브레이스 (8) 는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와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필라 브레이스 (8) 의 타단은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라 브레이스 (8) 는 차량 내측으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를 보강하고 지지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브레이스 (8) 는 이 필라 브레이스 (8) 의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9);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및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되어 있는 플랜지 (10) 를 포함한다. 필라 브레이스 (8) 의 플랜지 (10)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필라 측면 연결부 (10a); 윈드실드 필라 (3) 의 후측면으로부터 록커 (4) 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연결되는 필라 후면 연결부 (10b); 록커 (4) 의 차량 객실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록커 측면 연결부 (10c);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되어 있는 플로어 패널 연결부 (10d) 를 포함한다. 필라 브레이스 (8) 의 플랜지 (10) 는 용접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및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하부 구조 (1) 의 작용에 대해 도 3a, 도 3b 및 도 4 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3a 와 도 3b 는 도 1 의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에 충돌 하중 (Fa) 이 가해졌을 때 충돌 하중 (Fa) 이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3a 와 도 3b 에서 좌측은 차량의 대각선방향으로 우측 전방과 일치하며, 우측은 차량의 대각선방향으로 좌측 후방과 일치한다. 도 3a 는 충돌 하중 (Fa) 이 자차량의 앞 타이어를 개재하여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경우를 나타내는다. 도 3b 는 앞 타이어의 상부에 충돌하는 타차량으로부터 충돌 하중 (Fa) 이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경우를 나타내는다. 도 4 는, 타차량이 프론트측 부재 (미 도시) 를 관여시키지 않은채 자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선을 기준으로 자차량이 비스듬하게 충돌할 때, 충돌 하중 (Fa) 이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그 충돌 하중 (Fa) 은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진다.
자차량과 타차량 사이의 오프셋 충돌이 일어나면, 도 3a 와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돌 하중 (Fa) 이 록커 (4) 보다 상방 위치에서 그리고 차량 전방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진다. 이 때, 충돌 하중 (Fa) 이 록커 (4) 의 중심의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진다. 이로써,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와 차량 객실의 후부를 향하여 윈드실드 필라 (3) 를 휘게하는 굽힘모멘트 (Ma) 가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진다.
윈드실드 필라 (3) 에 충돌 하중 (Fa) 이 가해질 때,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필라 브레이스 (8) 가 윈드실드 필라 (3) 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필라 브레이스 (8) 는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 (Ma) 에 대항하는 반력을 이용하여, 충돌 하중 (Fa) 을 수용한다. 충돌 하중 (Fa) 은 필라 브레이 스 (8) 의 필라 측면 연결부 (10a) 와 필라 후면 연결부 (10b) 에 의해 수용된다. 그러므로,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은 필라 브레이스 (8) 를 개재하여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플로어 패널 (7)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의 일부는 록커 (4) 에 전달된다. 록커 (4) 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 (Fa) 은 필라 브레이스 (8) 의 록커 측면 연결부 (10c) 로부터 필라 브레이스 (8) 에 전달되고 나서 필라 브레이스 (8) 를 개재하여 플로어 패널 (7)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필라 브레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차량의 하부 구조에서는 윈드쉴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의 일부가 록커에 전달된다. 그러나,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를 지지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는 감소되지 않고, 차량의 객실에서 윈드실드 필라가 휘어지는 양은 충분히 줄어들지 않는다.
이와 대조하여, 상술한 차량의 하부 구조 (1) 에 의하면,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이 필라 브레이스 (8) 를 개재하여 플로어 패널 (7) 에 전달된다. 따라서,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 (Ma) 는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차량의 객실안으로 윈드실드 필라 (3) 가 개입하는 양은 감소된다.
이와 같은 차량의 하부 구조 (1) 에 의해, 오프셋 충돌에 의해 록커 (4) 보 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이 필라 브레이스 (8) 에 의해 수용되고, 이렇게 수용된 충돌 하중 (Fa) 은 차량의 측방 중앙부와 후부를 향하여 전달되어 분산된다. 결과적으로, 오프셋 충돌시 차량 객실의 변형량이 최소화된다.
게다가, 필라 브레이스 (8) 의 플랜지 (10)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 측면 및 후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가운데,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가해지는 성분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필라 브레이스 (8) 는 록커 (4) 에 연결되기 때문에, 필라 브레이스 (8) 는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록커 (4) 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 (Fa) 을 수용하고,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충돌 하중 (Fa) 을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2)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2)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차량의 하부 구조 (12) 에서 필라 브레이스 (13)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차량의 하부 구조 (12) 에서 벌크헤드 (14)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필라 브레이스 (13) 와 벌크헤드 (14) 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IX-IX 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X-X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2) 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 와 다른 점은, 필라 브레이스 (13) 가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및 플로어 패널 (7) 과 마찬가지로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되어 있으며, 벌크헤드 (14) 가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내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필라 브레이스 (13) 의 일단이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된다. 필라 브레이스 (13) 는 록커 (4) 보다 상방에서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된다. 필라 브레이스 (13) 는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차량 객실의 측방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필라 브레이스 (13) 의 타단은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된다. 이로써, 필라 브레이스 (13) 는 윈드실드 필라 (3) 를 차량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보강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게다가, 필라 브레이스 (13) 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되고, 이로써 차량의 하부 구조 (12) 는 트러스 구조를 형성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브레이스 (13) 는 필라 브레이스 (13) 의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15) 와,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와 플로어 패널 (7)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되는 플랜지 (16) 를 구비한다. 필라 브레이스 (13) 의 플랜지 (16)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외면에 연결된 필라 측면 연결부 (16a), 윈드실드 필라 (3) 의 후측 외면으로부터 록커 (4) 의 외부 상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연결되는 필라 후면 연결부 (16b), 록커 (4) 의 차량 객실측 외면에 연결되는 록커 측면 연결부 (16c),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되 는 플로어 패널 연결부 (16d),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되는 플로어 크로스 연결부 (16e) 를 포함한다. 또한, 필라 브레이스 (13) 는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플로어 패널 (7)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용접에 의해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해 연결될 수 있다.
벌크헤드 (14) 는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을 필라 브레이스 (13) 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강 부재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크헤드 (14) 는 이 벌크헤드 (14) 의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17) 와, 윈드실드 필라 (3) 및 록커 (4) 에 연결되는 플랜지 (18) 를 포함한다. 벌크헤드 (14) 의 플랜지 (18)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 측 내면에 연결되는 필라 내측면 연결부 (18a), 윈드실드 필라 (3) 의 후부측 내면으로부터 록커 (4) 의 내부 상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연결되는 필라 내측 후면 연결부 (18b), 록커 (4) 의 차량 객실측의 내면에 연결되는 록커 내측면 연결부 (18c) 및, 록커 (4) 의 내부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록커 바닥면 연결부 (18d) 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크헤드 (14) 는 윈드실드 필라 (3) 및 록커 (4) 내에서 필라 브레이스 (13) 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필라 브레이스 (13) 의 필라 측면 연결부 (16a) 는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의 외면에 부착되고, 벌크헤드 (14) 의 필라 내측면 연결부 (18a) 는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의 내면에 부착되어, 필라 측면 연결부 (16a) 와 필라 내측면 연결부 (18a) 는 그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을 두고 서로 대향한 다. 필라 브레이스 (13) 의 필라 후면 연결부 (16b)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후측 외면으로부터 록커 (4) 의 외부 상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부착되며, 벌크헤드 (14) 의 필라 내후면 연결부 (18b)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후측 내면으로부터 록커 (4) 의 내부 상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부착되어, 필라 후면 연결부 (16b) 와 필라 내후면 연결부 (18b) 는 그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를 두고 서로 대향한다. 필라 브레이스 (13) 의 록커 측면 연결부 (16c) 는 록커 (4) 의 차량 객실 측 외면에 부착되며, 벌크헤드 (14) 의 록커 내측면 연결부 (18c) 가 록커 (4) 의 차량 객실 측 내면에 부착되어, 이 록커 측면 연결부 (16c) 와 록커 내측면 연결부 (18c) 는 그 사이에 록커 (4) 를 두고 서로 대향한다. 벌크헤드 (14) 의 상부에서, 벌크헤드 (14) 와 필라 브레이스 (13) 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폐단면을 형성한다. 벌크헤드 (14) 의 하부에서, 벌크헤드 (14) 와 필라 브레이스 (13) 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하부 구조 (12) 의 작용을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타차량이 프론트 사이드 부재 (미 도시) 를 관여시키지 않은채 자차량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자차량에 충돌하였을 때 충돌 하중 (Fa) 이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이 충돌 하중 (Fa) 은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진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하중 (Fa) 이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차량 객실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질 때,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의 내면에 부착된 벌크헤드 (14) 에도 충돌 하중 (Fa) 이 가해진다. 그리고 나서, 윈드실드 필라 (3) 와 벌크헤드 (14)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은 필라 브레이스 (13) 에 전달된다.
필라 브레이스 (13) 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 (Fa) 은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 (Fa) 은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전달되고, 또한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록커 (4) 에도 전달되어 분산된다.
차량의 하부 구조 (12) 에서,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 및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필라 브레이스 (13) 의 단부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된다. 따라서, 윈드실드 필라 (3) 의 지지 강도가 증가되며,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이 필라 브레이스 (13) 를 개재하여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직접적으로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그리고 나서,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 (Fa) 은 플로어 터널 부재 (5) 와 록커 (4)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그 결과,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 (Ma) 가 줄어들고, 이로써 차량 객실에서 윈드실드 필라 (3) 가 휘는 양이 감소한다. 이로써, 예컨대 오프셋 충돌에 의한 차량 객실의 변형량이 감소된다.
필라 브레이스 (13) 가 윈드실드 필라 (3) 와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 결되고, 이로인해 윈드실드 필라 (3), 필라 브레이스 (13),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록커 (4) 및 플로어 터널 부재 (5) 가 트러스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필라 브레이스 (13) 가 윈드실드 필라 (3) 를 지지하는 힘이 증가한다.
윈드실드 필라 (3) 안에 필라 브레이스 (13) 에 상응하는 위치에 벌크헤드 (14) 가 배치된다. 따라서,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필라 브레이스 (13) 에 충돌 하중 (Fa) 을 전달하는 효율이 향상된다. 필라 브레이스 (13) 와 벌크헤드 (14) 는 그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 (3) 를 두고 폐단면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필라 브레이스 (13) 를 개재하여 벌크헤드 (14)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이 직접 필라 브레이스 (13) 에 전달된다. 따라서, 충돌 하중 (Fa) 을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필라 브레이스 (13) 에 전달하는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브레이스 (13) 와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는 서로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라 브레이스 (13) 와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를 서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이 줄어든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는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록커 (4) 에 연결되어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크로스 (19) 에 필라 브레이스 (13) 가 연결된 도 13 에 도시된 구조에 의해, 필라 브레이스 (1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은 플로어 크로스 (19)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다음으로, 도 1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9)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9) 에서 필라 브레이스 (30) 와 벌크헤드 (33) 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차량의 하부 구조 (29) 에서의 필라 브레이스 (3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차량의 하부 구조 (29) 에서의 벌크헤드 (33)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4 의 XVII-XV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9) 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2) 와 다른 점은, 필라 브레이스 (13) 의 플랜지 (16) 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실현되는 필라 브레이스 (30) 와, 벌크헤드 (14) 의 플랜지 (18) 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실현되는 벌크헤드 (33) 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브레이스 (30) 는 필라 브레이스 (30) 의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31), 및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플로어 패널 (7) 과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되는 플랜지 (32) 를 포함한다. 필라 브레이스 (30) 의 플랜지 (32)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외면에 연결되는 필라 측면 연결부 (32a),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외면으로부터 록커 (4) 의 차량 객실 외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연결되는 필라 측면 연결부 (32b), 록커 (4) 의 차량 객실측 외면에 연결되는 록커 측면 연결부 (32c),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되는 플로어 패널 연결부 (32d),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되는 플로어 크로스 연결부 (32e) 를 포함한다.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크헤드 (33) 는 이 벌크헤드 (33) 의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34) 와,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에 연결되는 플랜지 (35) 를 갖는다. 벌크헤드 (33) 의 플랜지 (35)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내면에 연결되는 필라 내측면 연결부 (35a),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내면으로부터 록커 (4) 의 차량 객실측 내면까지 연장되는 면에 연결되는 필라 내측면 연결부 (35b), 록커 (4) 의 차량 객실측 내면에 연결되는 록커 내측면 연결부 (35c), 및 록커 (4) 의 내부 바닥면에 연결되는 록커 내부 바닥면 연결부 (35d) 를 포함한다.
윈드실드 필라 (3) 및 록커 (4) 내에 필라 브레이스 (30) 에 상응하는 위치에 벌크헤드 (33) 가 배치된다. 즉, 필라 브레이스 (30) 의 필라 측면 연결부 (32a) 가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의 외면들에 부착되어 있으며, 벌크헤드 (33) 의 필라 내측면 연결부 (35a) 는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의 내면에 부착되어, 필라 측면 연결부 (32a) 와 필라 내측면 연결부 (35a) 는 그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를 두고 서로 대향한다. 필라 브레이스 (30) 의 필라 측면 연결부 (32b)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외면으로부터 차량의 객실측 록커 (4) 의 외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부착되며, 벌크헤드 (33) 의 필라 내측면 연결부 (35b) 는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내면으로부터 록커 (4) 의 차량 객실측 내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면에 부착되어, 필라 측면 연결부 (32b) 와 필라 내측면 연결부 (35b) 는 그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 (3) 와 록커 (4) 를 두고 서로 대향한다. 필라 브레이스 (30) 의 록커 측면 연결부 (32c) 는 록 커 (4) 의 차량 객실측 외면에 부착되며, 벌크헤드 (14) 의 록커 내측면 연결부 (35c) 는 록커 (4) 의 차량 객실측 내면에 부착되어, 록커 측면 연결부 (32c) 와 록커 내측면 연결부 (35c) 는 그 사이에 록커 (4) 를 두고 서로 대향한다. 벌크헤드 (14) 의 상부에서, 벌크헤드 (33) 와 필라 브레이스 (30) 는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며 폐단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하부 구조 (29) 에 의하면, 필라 브레이스 (30) 가 윈드실드 필라 (3) 의 차량 객실측 외면에서만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되기 때문에, 플랜지 (32) 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드실드 필라 (3) 안에서 필라 브레이스 (30) 에 상응하는 위치에 벌크헤드 (33) 를 제공함으로써,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필라 브레이스 (30) 에 충돌 하중 (Fa) 을 전달하는 효율이 향상된다. 게다가, 필라 브레이스 (30) 와 벌크헤드 (33) 는 그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 (3) 를 두고 폐단면을 형성하므로, 벌크헤드 (3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을 필라 브레이스 (30) 를 개재하여 직접적으로 필라 브레이스 (30) 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필라 브레이스 (30) 에 충돌 하중 (Fa) 을 전달하는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필라 브레이스 (30) 는 반드시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까지 연장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 의 필라 브레이스 (8) 에서와 같이, 필라 브레이스 (30) 는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및 플로어 패널 (7) 에 연결된 짧은 형상의 부재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 로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브레이스 (8) 에, 필라 후면 연결부 (10b) 대신에, 도 15 에 나타내는 필라 측면 연결부 (32b) 를 제공함으로써 필라 브레이스 (30) 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0)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0) 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12) 와 다른 점은,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플로어 패널 (7), 및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필라 브레이스 (21) 가 연결된다는 점이다.
필라 브레이스 (21) 의 일단이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된다. 이 필라 브레이스 (21) 는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된다. 필라 브레이스 (21) 는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타단은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연결된다. 따라서, 필라 브레이스 (21) 는 차량 내측으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9 는 타차량이 프론트 사이드 부재 (미 도시) 를 관여시키지 않으며 자차량의 길이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자차량과 충돌할 때, 충돌 하중 (Fa) 이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에 충돌 하중 (Fa) 이 가해진다.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윈드실드 필라 (3) 에 충돌 하중 (Fa) 이 가해질 때, 이 충돌 하중 (Fa) 은 필라 브레이스 (21) 에 전달된다. 필라 브레이스 (21) 에 전달된 충돌 하중 (Fa) 은 중앙 골격 부재의 역할을 하는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은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외부를 향하여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차량의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필라 브레이스 (21) 의 단부가,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연결됨으로써, 록커 (4) 보다 상부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 (Fa) 이, 필라 브레이스 (21) 를 개재하여 차량 중앙 골격 부재의 역할을 하는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플로어 터널 부재 (5) 는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차량의 다수의 골격 부재 (미 도시) 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플로어 터널 부재 (5) 에 충돌 하중 (Fa) 을 전달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골격 부재에 충돌 하중 (Fa) 이 전달되어 분산된다. 이로써, 윈드실드 필라의 지지 강도를 보다 높일 수가 있어서, 결과적으로 오프셋 충돌에 의한 차량 객실의 변형량이 감소된다.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2)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2)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XXI-XX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2) 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하부 구조 (20) 와 다른 점은, 록커 (4) 와 플로어 터널 부재 (5) 사이에 사이드 부재 (23) 와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가 제공되어 있다는 점이다. 사이드 부재 (23) 는 플로어 패널 (7) 아래에 배치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와 사이드 부재 (23) 사이에 플로어 패널 (7) 을 두고 사이드 부재 (23) 와 대향하며, 후방단은 플로어 크로스 부재 (6) 에 연결된다. 또, 차량 하부 구조 (22) 는, 필라 브레이스 (25) 가 윈드실드 필라 (3), 록커 (4), 플로어 패널 (7) 및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량 하부 구조 (20) 와 다르다.
사이드 부재 (23) 와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는 그 사이에 플로어 패널 (7) 을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사이드 부재 (23) 와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차량 플로어부에 상당한다.
필라 브레이스 (25) 의 일단은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된다. 이 필라 브레이스 (25) 는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윈드실드 필라 (3) 에 연결된다. 필라 브레이스 (25) 는, 윈드실드 필라 (3) 로부터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타단이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에 연결된다. 이로써, 필라 브레이스 (25) 는 차량의 내부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를 지지하는 보강 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도 22 는 타차량이 프론트 사이드 부재 (미 도시) 를 관여시키지 않은 채, 자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자차량과 충돌할 때, 충돌 하중 (Fa) 이 전달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그 충돌 하중 (Fa) 은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진다. 도 2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하중 (Fa) 이 록커 (4) 보다 상방의 위치로부터 차량 객실의 측방향 중앙부 및 후부를 향하여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해질 때, 충돌 하중 (Fa) 은 필라 브레이스 (25) 에 전달된다. 필라 브레이스 (25) 에 전달된 충돌 하중 (Fa) 은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에 전달된 충돌 하중 (Fa) 은 사이드 부재 (23) 에 전달되어 분산된다.
사이드 부재 (23) 와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는 그 사이에 플로어 패널 (7) 을 두고 폐단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에 전달되는 충돌 하중 (Fa) 이 직접적으로 사이드 부재 (23) 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로부터 사이드 부재 (23) 에 충돌 하중 (Fa) 을 전달하는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필라 브레이스 (25) 를 윈드실드 필라 (3) 에 가까이 배치된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에 연결함으로써, 필라 브레이스 (25) 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충돌 하중 (Fa) 의 분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사이드 부재 (23) 와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를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시켜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플로어 팬 보강 부재 (24) 로부터 사이드 부재 (23) 에 충돌 하중 (Fa) 을 전달하는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을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이 필라 브레이스를 개재하여 전달될 수 있다면, 임의의 필라 브레이스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라 브레이스는 복수개의 부재들을 결합해 형성해도 좋다.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브레이스 (26) 는 윈드실드 필라 (3) 및 록커 (4) 에 연결되고 단면 직경이 변하는 제 1 의 부분 (27) 과, 다른 골격 부재에 연결되고 단면 직경이 변하지 않는 제 2 의 부분 (28) 을 갖는다. 제 1 의 부분 (27) 을 제 2 의 부분 (28) 에 연결시킴으로써, 필라 브레이스 (26) 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부를 연결하여 필라 브레이스를 형성함으로써, 필라 브레이스의 성형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 하부 구조로서,
    차량의 측부에서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윈드실드 필라,
    상기 윈드실드 필라의 하단부에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록커,
    차량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윈드실드 필라의 차량 객실측 외면에 그 일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전달하는 보강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윈드실드 필라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을 차량 플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하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다른 일부가 차량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록커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윈드실드 필라의 후측 외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다른 일부 가 상기 록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플로어 크로스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차량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그리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후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차량의 측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량 중앙 골격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중앙 골격 부재는 플로어 팬 터널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하부 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중앙 골격 부재는, 플로어 터널 부재와 상기 록커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량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로어 팬 보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 필라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강 부재와 벌크헤드 사이에 윈드실드 필라를 두고서 보강 부재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벌크헤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부 구조.
KR1020097002241A 2006-08-04 2007-07-24 차량의 하부 구조 KR101076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3392A JP4304529B2 (ja) 2006-08-04 2006-08-04 車両の下部構造
JPJP-P-2006-213392 2006-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17A true KR20090026817A (ko) 2009-03-13
KR101076646B1 KR101076646B1 (ko) 2011-10-27

Family

ID=3877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241A KR101076646B1 (ko) 2006-08-04 2007-07-24 차량의 하부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62108B2 (ko)
EP (1) EP2046626B1 (ko)
JP (1) JP4304529B2 (ko)
KR (1) KR101076646B1 (ko)
CN (1) CN101500881B (ko)
BR (1) BRPI0715127B1 (ko)
RU (1) RU2404079C2 (ko)
WO (1) WO2008015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3303A1 (ja) * 2008-12-22 2010-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8292353B2 (en) 2009-12-01 2012-10-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nstruct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CN102803052A (zh) * 2010-03-16 2012-11-2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前纵梁构造
JP5670246B2 (ja) * 2011-04-07 2015-0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019735B2 (ja) * 2011-08-29 2016-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および車体の製造方法
JP5924345B2 (ja) * 2011-11-07 2016-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樹脂フロア構造
JP5934534B2 (ja) * 2012-03-27 2016-06-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DE112012006141B4 (de) * 2012-03-29 2023-01-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ahrzeugkarosserie
MX352297B (es) * 2012-04-10 2017-11-1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arrocería de vehículo.
DE102012011878A1 (de) * 2012-06-13 2013-12-19 Audi Ag Karosserie-Tragstruktur für eine Fahrzeug-Karosserie
US8985681B2 (en) * 2012-06-21 2015-03-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RU2610643C2 (ru) * 2012-06-22 2017-02-14 Ниппон Стил Энд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прессованием изделия
FR2994554B1 (fr) * 2012-08-20 2014-08-08 Renault Sa "ensemble de structure de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plancher avant plat"
JP2014058279A (ja) * 2012-09-19 2014-04-03 Toyota Motor Corp 車体下部構造
JP5971059B2 (ja) * 2012-09-28 2016-08-1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構造
DE102013004793A1 (de) * 2013-03-20 2014-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Boden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AU2013384023A1 (en) * 2013-03-26 2015-10-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mobile front pillar bottom structure
US9248860B2 (en) * 2013-07-22 2016-0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enter tunnel integrated truss architecture
JP6252160B2 (ja) * 2013-12-19 2017-12-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キャブオーバー型車両の構造
JP6225364B2 (ja) * 2014-01-22 2017-11-0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WO2015118852A1 (ja) * 2014-02-04 2015-08-1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自動車用骨格部品、及びそれを備えたフロントピラーロアー
JP6079662B2 (ja) * 2014-02-14 2017-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FR3020793B1 (fr) * 2014-05-07 2016-10-21 Renault Sa Tablier ava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9487239B2 (en) 2014-10-10 2016-11-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structure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JP6577732B2 (ja) * 2015-03-31 2019-09-18 株式会社Subaru 車体フロア構造
JP6276236B2 (ja) * 2015-10-19 2018-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269634B2 (ja) * 2015-10-30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2018069778A (ja) * 2016-10-25 2018-05-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627807B2 (ja) * 2017-03-03 2020-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CN109204536B (zh) * 2017-06-30 2021-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身结构及车辆
JP6618211B2 (ja) * 2018-02-15 2019-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USD957289S1 (en) 2020-06-30 2022-07-12 Elvy Inc. Personal electric vehicle
USD945319S1 (en) 2020-06-30 2022-03-08 Elvy Inc. Personal electric vehicle
WO2022000084A1 (en) * 2020-06-30 2022-01-06 Elvy Inc. Personal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5715A (en) * 1970-12-03 1973-10-16 Fiat Spa Reinforcing structural element for vehicle body
JPS61215178A (ja) 1985-03-19 1986-09-24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4804222A (en) * 1985-10-31 1989-02-14 Mazda Motor Corporation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JPH0544230Y2 (ko) * 1987-07-10 1993-11-09
JPH0242875A (ja) 1988-05-24 1990-02-13 Ricoh Co Ltd カラー画像読取り装置
US5020846A (en) * 1989-05-30 1991-06-04 Ford Motor Company Reinforcing insert for convertible vehicle
US4944553A (en) 1989-06-30 1990-07-31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reinforcing structure
JPH04215574A (ja) * 1990-12-13 1992-08-06 Toyota Motor Corp 自動車車体のモジユール組付構造
JPH0585419A (ja) 1991-09-27 1993-04-0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3335774B2 (ja) 1994-07-15 2002-10-2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下方部構造
JP3357201B2 (ja) * 1994-10-19 2002-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0006836A (ja) 1998-06-25 2000-01-11 Toyota Motor Corp コンバーチブル車体にプレストレスを導入する方法
JP2000211549A (ja) 1999-01-26 2000-08-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ロッカ前部構造
DE10059912A1 (de) * 2000-12-01 2002-06-20 Porsche Ag Fahrzeug mit einer Bodenaufbaustruktur
JP2003237636A (ja) 2002-02-19 2003-08-27 Nissan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DE10338025B3 (de) * 2003-08-19 2005-04-14 Thyssenkrupp Stahl Ag Versteifungsprofil
KR100622213B1 (ko) * 2003-08-25 2006-09-13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차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6626A1 (en) 2009-04-15
JP2008037238A (ja) 2008-02-21
BRPI0715127A2 (pt) 2013-06-04
RU2009103627A (ru) 2010-09-10
US20090243343A1 (en) 2009-10-01
KR101076646B1 (ko) 2011-10-27
CN101500881B (zh) 2011-04-27
US7862108B2 (en) 2011-01-04
CN101500881A (zh) 2009-08-05
EP2046626B1 (en) 2013-02-27
BRPI0715127B1 (pt) 2019-10-15
JP4304529B2 (ja) 2009-07-29
RU2404079C2 (ru) 2010-11-20
WO2008015518A1 (en)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646B1 (ko) 차량의 하부 구조
US8585129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7823964B2 (en) Bottom structure of vehicle body
US781087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8857902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CN101868399B (zh) 车身侧部构造
EP3150467B1 (en) Vehicle framework structure
US20050140179A1 (en) Floor-supporting configuration in motor vehicles
US10471993B2 (en) Two-track vehicle
US7735870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JP2006193118A (ja) 車体の前部構造
JP2006232147A (ja) 車体前部構造
US11505260B2 (en) Vehicle body
CN110733578A (zh) 车辆后部构造
CN111169544A (zh) 用于车辆的载荷分布结构
JPH09175433A (ja) 支持構造付きの乗用車の前部構造
CN107953846B (zh) 保险杠强化部与纵梁的联结结构
KR10237124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CN112758190A (zh) 一种汽车发动机舱纵梁总成
JP2005153800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CN113443016B (zh) 车身结构以及汽车
CN115140192B (zh) 车辆
US20240166272A1 (en) Lowe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CN220391349U (zh) 悬置安装结构和车辆
KR20230151262A (ko) 차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