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136A - 코아전압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코아전압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136A
KR20090022136A KR1020070087232A KR20070087232A KR20090022136A KR 20090022136 A KR20090022136 A KR 20090022136A KR 1020070087232 A KR1020070087232 A KR 1020070087232A KR 20070087232 A KR20070087232 A KR 20070087232A KR 20090022136 A KR20090022136 A KR 20090022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re
external power
power supply
cor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08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136A/ko
Priority to US12/164,282 priority patent/US7839204B2/en
Publication of KR2009002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아전압을 발생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전압이 하이레벨의 영역에서나 로우레벨의 영역에서 모두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외부 전원전압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벨에 따라서 동작되는 내부 코아전압 발생드라이버의 갯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드라이브의 수가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을 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에서 발생되는 드라이브어빌리티의 부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드라이브의 수가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을 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발생되는 노이즈와 전류소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 코아전압

Description

코아전압 드라이버{Vcore voltage driver}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회로 설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아전압을 발생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어지지만 그 중의 하나가 각종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노트북 컴퓨터를 비롯하여 각종 휴대용 기기들에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대용량화, 고속화, 소형화 그리고 저전력화가 요구되어진다.
상기 저전력화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설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메모리의 코아 영역(Core area)에서 전류소비를 최소한으로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코아 영역은, 메모리 셀(memory cell)과 비트라인(Bit line) 그리고 워드 라인(word line)들로 구성되고, 극미세화된 디자인룰(design rule)에 따라 설계된다. 따라서 극미세화되고 고주파수 동작이 이루어지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원전압이 매우 낮아질 수 밖에 없다.
한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일정값 이하의 외부전원전압을 이용하여 장치 내부에서 필요한 크기의 전원을 생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디램(DRAM)과 같이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사용하는 메모리 소자의 경우, 셀 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하여 코아전압(Vcore)을 사용하고 있다. 워드라인이 활성화되면 그 워드라인에 연결된 다수개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가 비트라인에 전달되고,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는 비트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감지 및 증폭하게 된다. 이러한 수천 개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가 한꺼번에 동작할 때 풀업 전원라인을 사용하고, 사용되는 코아전압단으로부터 많은 양의 전류가 소모된다.
도 1은 종래 코아전압 발생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코아전압 발생회로는, 코아 전압단 전위의 1/2 레벨인 하프 코아 전압으로 구성되는 피드백전압과 기준전압(VREFC)(목표 코아전압의 1/2 레벨; 0.75V)을 차동 비교하는 비교부(10), 상기 비교부(1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증폭된 코아 전압(약 1.5V)을 발생 출력하는 증폭부(11), 그리고 상기 출력되는 코아 전압을 전압 분배하고, 출력되는 코아 전압의 감시를 위해 코아 전압단 전위의 1/2 레벨인 피드백전압을 발생하는 피드백전압발생부(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칭부(13)가 포함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종래의 코아전압 발생회로는, 제어스위칭부(13)를 구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단자에 외부 전원전압(VDD)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스위칭부(12)에 의해 비교부(10)의 동작점이 결정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상기 NMOS 트랜지스터(MN1)에 외부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턴-온 상태일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C)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MN2)가 턴-온되어, 상기 트랜지스터(MN2)와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 전압이 낮아진다. 즉, 노드(N1)의 전위가 낮아진다. 상기 노드(N1)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동작되는 PMOS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단자에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MP3)가 턴 온되면서 출력되는 코아 전압(VCORE)이 높아진다.
상기 코아전압(VCORE)이 상승될 때, 동시에 피드백전압도 상승되면서 트랜지스터(MN3)를 턴 온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MN3)가 턴온되면, 노드(N2)의 전위가 낮아지면서 PMOS 트랜지스터(MP1,MP2)의 게이트단자 전압이 낮아진다. 상기 PMOS 트랜지스터(MP1,MP2)의 게이트단자 전압이 낮아지면, 턴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노드(N1)의 전위가 점차 상승되어진다. 즉 트랜지스터(MP3)의 게이트 전압이 점차 상승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피드백전압과 기준전압(VREFC)이 같아질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코아전압 발생회로는, 외부 전원전압이 기준이 되는 전원전압보다 높은 상태이거나 또는 낮은 상태에 상관없이 동일한 제어를 수행 하고 있다. 즉, 동일한 내부 바이어스 드라이버를 이용한 2단 증폭기의 구성으로 코아전압의 발생을 제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생되는 코아전압은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이 높으면 높은 상태로 낮으면 낮은 상태로 출력 레벨의 변화가 발생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코아전압의 발생이 이루어지는 증폭부의 구성에 하나의 PMOS 트랜지스터(MP13)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MP13)의 갯수는,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을 기준으로 증폭특성을 설정하면,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서 드라이브어빌리티(drivability)의 부족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을 기준으로 증폭특성을 설정하면, 노이즈와 전류소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와 무관하게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발생할 수 있는 코아전압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전원전압의 변동에 따라서 동작하는 내부 바이어스 드라이버의 갯수를 조절하여,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발생할 수 있는 코아전압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는,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디텍터; 상기 전압 디텍터에서 검출된 외부 전원전압 이 하이레벨의 영역에 있을 때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 상기 전압 디텍터에서 검출된 외부 전원전압이 로우레벨의 영역에 있을 때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 2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상기 전압 디텍터의 출력에 상관없이 항상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기준전압과 피드백 코아전압을 차동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외부 전원전압을 증폭하여 코아전압을 출력하는 증폭수단;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단자와 접지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코아전압 감시를 위한 피드백 코아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비교수단으로 제공하는 피드백전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상기 전압 디텍터의 검출값이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에 해당될 때, 상기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코아전압을 보상해주기 위한 보상치만큼의 코아전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기준전압과 피드백 코아전압을 차동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전압 디텍터에서 검출된 전압레벨이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 있을 때 동작하여,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치에 기초하여 보상을 위한 코아전압을 발생하는 코아전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코아전압발생수단은, 상기 전압 디텍터의 출력신호에 온/오프 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외부 전원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코아전압발생수단은, 상기 전압 디텍터의 출력신호를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전달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위칭부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는, 외부 전원전압을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과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으로 구분하고, 외부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동작하는 내부 바이어스 드라이버 갯수를 조절하여,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와 무관하게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는, 외부 전원전압(VDD)을 감시하여 그 크기에 따라서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 (LVDD_EN)을 발생하는 VDD 디텍터(35)와, 상기 VDD 디텍터(35)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로우 외부전원전압에서와 하이 외부전원전압에서 차별화하여 구동하고 안정된 코아전압을 발생하는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25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는, 외부 전원전압이 하이레벨 영역에서는 오프동작되고,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서는 드라이브어빌리티를 만족시키도록 동작되어진다. 상기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는, 도 3에 도시되어진 드라이버 회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의 동작과정은 도 3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는, 외부 전원전압이 하이레벨일 때 최적화되게 튜닝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는, 외부 전원전압의 전압레벨과 무관하게 항상 동작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는, 도 1에 도시되어진 디램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드라이버 회로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VDD 디텍터(35)는,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VDD)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LVDD_EN)를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VDD)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LVDD_EN)를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VDD 디텍터(35)의 상세 구성 및 상세한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4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기준전압(VREF)은,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정격 외부 전원전압의 일정범위(실험치) 내에서 설정되고 있는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고 있는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은, 상기 정격 외부 전원전압의 일정범위보다 조금 낮은 레벨일 때의 외부 전원전압이고,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은 상기 정격 외부 전원전압의 일정범위보다 조금 높은 레벨일 때의 외부 전원전압을 나타낸다.
상기 VDD 디텍터(35)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는,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가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는, 오프상태로 제어되어 출력이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다른 또 하나의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는 동작하여,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에서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상기 VDD 디텍터(35)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는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가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는, 온상태로 제어되어 코아전압을 발생한다. 동시에 또 하나의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도 동작하여, 코아전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에서는 모든 코아전압발생드라이 버(25a,25b)가 동작하여,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 만의 동작으로 부족한 양을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의 동작으로 보상하게 된다.
다음은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의 상세 회로도를 참조하여 외부 전원전압(VDD)의 크기에 따라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의 동작 갯수를 차별화시키므로서 안정적인 코아전압이 발생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는, 코아 전압단 전위의 1/2 레벨인 하프 코아 전압으로 구성되는 피드백전압과 기준전압(VREFC)(목표 코아전압의 1/2 레벨; 0.75V)을 차동 비교하는 비교부(20), 상기 비교부(2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증폭된 코아 전압(약 1.5V)을 출력하는 증폭부(21), 그리고 상기 출력되는 코아 전압을 전압 분배하고, 출력되는 코아 전압의 감시에 이용될 코아 전압단 전위의 1/2 레벨인 피드백전압을 발생하는 피드백전압발생부(22), 상기 비교부(20) 및 증폭부(21)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비교부(20) 및 증폭부(21)의 전류통로 형성을 개폐하는 제어스위칭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비교부(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C)과 코아전압의 1/2 레벨인 피드백전압을 이용하여 차동 비교를 수행하는 두개의 NMOS 트랜지스터(MN12,MN13)로 구성되고, 상기 두개의 트랜지스터(MN12,MN13)의 소스 단자는 노드(N15)를 통해 연결되어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N12)의 게이트단자에는 기준전 압(VREFC)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MN13)의 게이트단자에는 피드백전압이 인가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MN12)의 드레인단자는 노드(N11)를 통해 PMOS 트랜지스터(MP11)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MP11)의 소스단자로 외부 전원전압(VDD)이 인가되어진다. 또한 상기 비교부(20)를 구성하는 상기 트랜지스터(MN13)의 드레인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MP12)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MP12)의 게이트단자와 드레인단자가 노드(N12)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노드(N12)에는 상기 PMOS 트랜지스터(MP11)의 게이트단자도 연결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MP12)의 소스단자로 외부 전원전압(VDD)이 공급되어진다.
상기 증폭부(21)는, PMOS 트랜지스터(MP13)로 구성되고, 상기 노드(N11)에 게이트단자를 연결하고, 소스단자로 외부 전원전압(VDD)을 공급받으며, 드레인단자로 증폭된 코아전압(VCORE)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MP13)와 접지전원 사이에 NMOS 트랜지스터(MN16)가 직렬 연결되고 있다.
또한 증폭부(21)는,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서 동작하여 상기 PMOS 트랜지스터(MP13)의 동작특성을 더 보상해주는 PMOS 트랜지스터들(MP20,MP21)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20)는 소스단자를 외부 전원전압에 연결하고, 드레인단자를 노드(N12)에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1)는 소스단자를 외부 전원전압에 연결하고, 드레인단자를 노드(N11)에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트랜지스터(MP20,MP21)의 게이트단자는 인버터(IV1)를 통해서 VDD 디텍터(35)에서 검출되어지는 로우 외부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를 공급받고 있다.
상기 제어스위칭부(23)는, 상기 비교부(20)의 노드(N15)에 드레인단자를 연 결하고, 게이트단자를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바이어스전압(BIAS) 공급받으며, 소스단자를 접지전압에 연결하고 있는 NMOS 트랜지스터(MN11)와, 상기 증폭부(21)의 노드(N13)에 드레인단자를 연결하고, 게이트단자를 통해 바이어스전압을 공급받으며, 소스단자를 접지전압에 연결하고 있는 NMOS 트랜지스터(MN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피드백전압발생부(22)는 상기 증폭부(21)에서 발생하는 코아전압의 출력단자(N13)와 접지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있는 두개의 NMOS 트랜지스터(MN15,MN14)로 구성되고, 상기 두개의 트랜지스터(MN15,MN14) 사이에 연결되고 있는 노드(N14)에 상기 비교부(20)의 트랜지스터(MN13) 게이트단자가 연결되어진다. 상기 두개의 트랜지스터(MN15,MN14)의 드레인단자와 게이트단자는 연결된 상태를 갖는다. 즉, 상기 코아전압이 상기 두개의 트랜지스터(MN15,MN14)에 의해서 분압된 형태를 갖게 되고, 이렇게 분압된 코아전압이 상기 비교부(20)의 트랜지스터(MN13)를 턴 온 시키게 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2단 증폭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코아전압 발생회로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외부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해서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과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레벨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그 레벨 검출값을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로 나타나게 된다. 이 렇게 검출된 외부 전원전압의 레벨값에 기초해서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4a,24)는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어진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하고, 우선 외부 전원전압(VDD)이 기준전압보다 낮을 때는,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 (LVDD_EN)가 하이신호로 인가된다. 상기 하이신호는 인버터(IV1)에서 인버팅되어 로우신호로 천이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하이신호를 갖는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는, PMOS 트랜지스터(MP20,MP21)의 게이트단자에 인가되어 상기 두개의 트랜지스터(MP20,MP21)를 턴-온 상태로 제어한다.
한편, 비교부(20)의 전류원인 트랜지스터(MN11)가 턴-온 되고, 비교부(20)의 전류 통로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기준전압(VREFC)에 의해 턴 온 동작된 트랜지스터(MN12)에 의해서, 노드(N11)의 전압이 낮아지고, 또한 상기 턴 온 동작된 트랜지스터(MN17)에 의해 노드(N15)의 전압도 낮아진다. 상기 노드(N11)의 전위는 상기 노드(N15)의 전위상태에 연계되어진다. 즉, 노드(N15)의 전위가 낮을수록 상기 노드(N11)의 전위도 같이 낮아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드(N11)의 로우레벨신호는 증폭부(21)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MP13)를 턴 온시켜서 노드(N13)에 증폭된 코아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트랜지스터(MN12,MN17)의 드레인 전압이 낮아지 면서 트랜지스터(MP13)의 턴 온 특성은 점차 강해지고, 따라서 출력되는 코아전압은 높아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코아전압을 감시하기 위해 생성되는 피드백전압은, 트랜지스터(MN15,MN14)에 의해서 분압되어, NMOS 트랜지스터(MN13)의 게이트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MN13)가 턴 온되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MN13)의 턴 온동작으로 PMOS 트랜지스터(MP11,MP12)의 게이트전압이 낮아진다.
상기 트랜지스터(MP11,MP12)의 게이트 전압이 낮아지면, 상기 트랜지스터(MP11,MP12)가 턴 온 되고, 이와 함께 노드(N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점차 상승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드(N11)에 인가전압으로 턴 온/오프 되는 트랜지스터(MP13)의 게이트 전압도 점차 상승한다.
상기 트랜지스터(MP13)는 PMOS 트랜지스터이므로 게이트 전압이 상승하면, 턴 온 특성이 약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출력되는 코아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아전압을 감시하기 위해 발생되는 피드백전압과 기준전압(VREFC)이 같아질 때까지 상기 비교부(20)의 차동 비교 동작은 수행되어진다.
한편, 상기 노드(N11)에 상기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PMOS 트랜지스터(MP21)가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MP21)는 턴-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상기 턴-온 동작된 트랜지스터(MP21)에 의해 노드(N11)의 전위가 조절되어진다.
또한, 상기 노드(N12)에 상기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서 동작하 도록 구성된 PMOS 트랜지스터(MP20)가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MP20)는 턴-온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상기 턴-온 동작된 트랜지스터(MP20)에 의해, 노드(N12)의 전위가 변화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20) 및 코아전압을 증폭 발생하는 증폭부(21)의 동작은 상기 턴-온 동작되는 트랜지스터(MP20,MP21)를 경유해서 공급되는 외부 전원전압에 영향을 받게 되고, 상기 증폭부(21)는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서 보상이 필요한 만큼의 코아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는 동작상태에 있다. 즉,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코아전압을 발생한다(이 구성 및 동작은 종래 기술에서 이미 언급한 부분이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이 공급되어질 때,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상기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에서 발생되어지는 코아전압과 상기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에 기초해서 동작하는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에서 발생되어지는 보상치만큼의 코아전압이 가산되어져서 출력되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외부 전원전압이 로우레벨 영역에 있더라도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b)에 의해 발생되는 코아전압이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5a)에서 발생되는 코아전압만큼 보상되어, 안정적인 코아전압 발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외부 전원전압(VDD)이 기준전압보다 높을 때는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 (LVDD_EN)가 로우신호로 인가된다. 이 신호가 인버터(IV1)에서 인버팅되면 하이신호로 천이되면서 트랜지스터(MP20,MP21)를 턴-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MP20,MP21)는 증폭기로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MP13)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전압이 하이레벨의 영역에서는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4a)는 동작이 차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24a)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하여, 비교부(20) 및 증폭부(21)의 동작점을 결정하는 전류원인 제어스위칭부(23)의 동작을 오프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코아전압 발생회로에서는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과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으로 구분하고, 외부 전원전압 영역에 따라서 동작되는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의 갯수를 다르게 조절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전원전압의 변화에도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고 있는 VDD 디텍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되고 있는 VDD 디텍터는, 외부 전원전압을 분압하기 위한 저항(R1,R2)과 캐패시터(C1,C2)로 구성되는 분압회로, 그리고 상기 분압회로에서 출력되는 외부 전원전압과 기준전압(VREF)을 차동 비교하기 위해 NMOS 트랜지스터(MN18,MN19)와 PMOS 트랜지스터(MP14,MP15)로 구성되는 비교회로, 상기 비교회로의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MN20)로 구성되는 스위치, 상기 비교회로의 비교치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인버터(IV6,IV5, IV3), 그리고 외부 전원전압이 안정된 후에 발생하는 펄스신호(VDD_DET_ENp)를 입력하는 인버터(IV2)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준전압(VREF)은,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값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외부 전원전압(VDD)이 분압되어서 기준전압과 비교가 이루어진다. 즉 분압된 외부 전원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클 때 트랜지스터(MN18)가 턴-온되고, 이때 인버터(IV6)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이 하이신호가 다시 인버터(IV5)에서 인버팅되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외부 전원전압(VDD)이 기준전압보다 클 때, 하이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상태로 인식하고, 이 경우에는 VDD 디텍터에서 출력되는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이블신호(LVDD_EN)는 로우레벨상태가 된다.
반대로 외부 전원전압(VDD)이 기준전압보다 작을 때 트랜지스터(MN19)가 턴-온되고, 이때 인버터(IV6)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된다. 이 로우신호가 다시 인버터(IV5)에서 인버팅되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외부 전원전압(VDD)이 기준전압보다 작을 때,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상태로 인식하고, 이 경우에는 VDD 디텍터에서 출력되는 로우 외부 전원전압 인에 이블신호(LVDD_EN)는 하이레벨상태가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외부 전원전압의 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코아전압을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아전압 발생회로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DD 디텍터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비교부 21 : 증폭부
22 : 피드백전압발생부 23 : 제어스위칭부
25 :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 35 : VDD 디텍터
MN11~MN20 : NMOS 트랜지스터 MP11~MP21 : PMOS 트랜지스터
IV1 : 인버터

Claims (8)

  1. 외부 전원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압 디텍터;
    상기 전압 디텍터에서 검출된 외부 전원전압이 하이레벨의 영역에 있을 때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
    상기 전압 디텍터에서 검출된 외부 전원전압이 로우레벨의 영역에 있을 때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 2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상기 전압 디텍터의 출력에 상관없이 항상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기준전압과 피드백 코아전압을 차동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외부 전원전압을 증폭하여 코아전압을 출력하는 증폭수단;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단자와 접지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코아전압 감시를 위한 피드백 코아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비교수단으로 제공하는 피드백전압발생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상기 전압 디텍터의 검출값이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 영역에 해당될 때, 상기 제 1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에서 발생되는 코아전압을 보상해주기 위한 보상치만큼의 코아전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아전압발생드라이버는, 기준전압과 피드백 코아전압을 차동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전압 디텍터에서 검출된 전압레벨이 로우레벨의 외부 전원전압의 영역에 있을 때 동작하여,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치에 기초하여 보상을 위한 코아전압을 발생하는 코아전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전압발생수단은, 상기 전압 디텍터의 출력신호에 온/오프 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외부 전원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 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전압발생수단은, 상기 전압 디텍터의 출력신호를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전달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전압 발생회로.
KR1020070087232A 2007-08-29 2007-08-29 코아전압 드라이버 KR20090022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232A KR20090022136A (ko) 2007-08-29 2007-08-29 코아전압 드라이버
US12/164,282 US7839204B2 (en) 2007-08-29 2008-06-30 Core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232A KR20090022136A (ko) 2007-08-29 2007-08-29 코아전압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136A true KR20090022136A (ko) 2009-03-04

Family

ID=4040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232A KR20090022136A (ko) 2007-08-29 2007-08-29 코아전압 드라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39204B2 (ko)
KR (1) KR200900221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4311A1 (en) * 2010-03-25 2011-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information terminal
US8779838B2 (en) 2011-10-25 2014-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ology and apparatus for tuning driving current of semiconductor transistors
CN108923778A (zh) * 2018-06-22 2018-11-30 比飞力(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逻辑电平转换电路及集成电路
WO2024083240A1 (zh) * 2022-10-20 2024-04-25 上海嘉楠捷思信息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电路、电路板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3410B2 (ja) * 1991-10-18 1998-09-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H05217370A (ja) * 1992-01-30 1993-08-27 Nec Corp 内部降圧電源回路
JPH11231954A (ja) * 1998-02-16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内部電源電圧発生回路
JP4697997B2 (ja) * 2000-04-13 2011-06-08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内部電圧発生回路
JP2002008374A (ja) * 2000-06-22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圧降圧回路
US6661279B2 (en) * 2001-04-11 2003-12-09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hich outputs first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and second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lower than first internal supply power voltage
JP3494635B2 (ja) * 2001-09-19 2004-02-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内部降圧電源回路
KR20060031027A (ko)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어전압 발생회로
KR20060111798A (ko) 2005-04-25 2006-10-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원 전압 발생 회로
US7417494B2 (en) * 2005-09-29 2008-08-26 Hynix Semiconductor Inc. Internal voltage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39204B2 (en) 2010-11-23
US20090058510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611B2 (en) Bandgap reference generating circuit
KR10073896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286241B1 (ko) 최대 전압 선택회로
KR20090022136A (ko) 코아전압 드라이버
KR100904467B1 (ko) 펌핑전압 감지회로
KR100925368B1 (ko) 센스앰프 전압 공급 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TWI475567B (zh) 核心電壓產生器
KR100990138B1 (ko) 코어전압 발생회로
KR100859839B1 (ko) 코아전압 발생회로
US11120862B2 (en) Non-volatile memory read method for improving read margin
KR20090072337A (ko) 펌핑전압 검출회로
KR100889322B1 (ko) 내부전압 발생회로
JP2005063231A (ja) レギュレータ回路
US6847253B2 (en) Half voltage generator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US7864616B2 (en) Bulk voltage detector
KR100889324B1 (ko) 코아전압 릴리즈 드라이버
KR100467017B1 (ko) 증폭 회로로 안정적인 전류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로드 트랜지스터 회로
KR100917640B1 (ko) 펌핑전압 검출회로
KR20100054349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전압 발생회로 및 제어방법
KR101039868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전압 발생회로 및 제어방법
KR20110074127A (ko) 반도체 장치의 내부전압 생성회로
KR20100076798A (ko) 코어전압 발생회로
KR20090112419A (ko) 내부전압 제어회로 및 방법
KR20100005306A (ko) 반도체 장치의 벌크 전압 생성 회로
KR20110108978A (ko) 전압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