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350A - 액체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350A
KR20090021350A KR1020087030787A KR20087030787A KR20090021350A KR 20090021350 A KR20090021350 A KR 20090021350A KR 1020087030787 A KR1020087030787 A KR 1020087030787A KR 20087030787 A KR20087030787 A KR 20087030787A KR 20090021350 A KR20090021350 A KR 2009002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yclic polyolefin
container
drug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772B1 (ko
Inventor
도요아키 스즈키
고이치 미우라
아케미 기시모토
구니히코 기무라
요시카즈 가토
유키에 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10T428/1341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Abstract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유리전이온도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배리어층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되는 실링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로 되고, 당해 배리어층과 당해 실링층이 인접하는 것으로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내충격성도 우수한 것으로, 니트로글리세린,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 등의 주사액의 소프트백 제제에도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액체 수납용기{Liquid container}
니트로글리세린이나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 등의 수지 흡착성 또는 수지 투과성 약제의 주사용 액제로의 사용에 적합한 액체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적 정맥주사용 제제로서 주사용 약제를 미리 희석 조제하여, 플라스틱 수지 등 가요성 용기에 충전한 소프트백 제제가 개발되어, 사용시의 편리성과 신속성에 더하여, 유리제 병이나 앰플과 비교하여 폐기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도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니트로글리세린의 주사액에 대해서도, 수술시의 혈압 조정, 만성 심부전의 급성 증악기(增惡期)를 포함하는 급성 심부전, 불안정 협심증을 목적으로 점적 정맥주사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소프트백 제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단백질인 인간 혈장 유래 알부민, 유전자 재조합 유래의 알부민, 호르몬이나 비타민류, 히알루론산 등의 약제에 있어서도 파손의 위험성 경감이나 환경문제로부터 유리제 용기로부터 소프트백화가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니트로글리세린, 알부민이나 호르몬 등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를 비롯한 일부 약물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염화비닐 등, 의약 용기나 의료용 기기의 재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를 성형한 필름에 흡착 또는 투과되는 것이 알려져 있어, 소프트백 제제를 개발하는데 있어 과제로 되어 있다. 현재, 약물의 흡착성이나 투과성이 없는 재료로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알려져 있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되는 외통(外筒)을 갖는 시린지가, 수지 흡착성 약물의 프리필드 시린지 제제에 유용한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등과 비교하여, 고밀도로 3차원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필름으로서 성형한 경우, 단단하여 깨지기 쉬운 필름으로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소프트백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과 맞붙힌 적층 필름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3에는, 외층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내층에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 되는 포장봉지가 개시되어, 고압증기 멸균처리가 가능한 점과 약제 흡착성이 억제되는 것으로부터, 수지 흡착성 약물의 주사 제제로의 사용에 적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로 되는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층한 소프트백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다층 필름을 사용한 소프트백은, 약제 흡착성 관점에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최내층으로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소프트백에 있어서는, 수지끼리의 상용성이나 접착성으로부터, 약액의 배출을 행하는 포트부재로서, 마찬가지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 포트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제 포트부재는 고가일 뿐 아니라, 낙하시에 파손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어, 보다 저렴하고 낙하 등의 충격에도 파손 되기 어려운 폴리에틸렌제나 폴리프로필렌제 포트부재의 사용이 요망된다.
폴리에틸렌제나 폴리프로필렌제의 포트부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층 필름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더 안쪽에 폴리에틸렌계 수지층이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을 설치하면 되나, 이 경우, 폴리에틸렌계 수지층이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이 니트로글리세린, 알부민이나 호르몬 등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 등을 함유하는 약액과 직접 접촉하여, 흡착이나 투과에 의한 약효성분 함량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5에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특정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되는 혼합 수지의 배리어층을 갖는 다층 필름으로 되는 약제 용기가 개시되어 있어, 이 약제 용기의 다층 필름은 약제의 용액과 접촉하는 실링층(seal layer)으로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되는 층을 가지나, 당해 실링층의 두께를 5~80 ㎛로 얇게 설정하고, 추가적으로 실링층의 외측 표면에 배리어층을 설치함으로써 약제의 흡착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폴리에틸렌 사이에 넣은 3층 필름과 폴리에틸렌제 포트부재를 구비하는 소프트백의 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이는 상기 실링층에 상당하는 두께 50 ㎛의 폴리에틸렌층의 외측 표면에 상기 배리어층에 상당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가지나, 멸균 후 40℃ 1개월의 보존에 의해 7.0%의 니트로글리세린 함량의 저하가 있었던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환상 폴리올레핀을 다른 수지와의 혼합 수지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약제의 보존 안정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상기 특허문헌 5의 용기에 대해서도, 멸균 후 60℃ 2주간의 보존에 의해 3.0%~7.0%의 니트로글리세린 함량의 저하가 인정되는 것으로부 터, 보존 안정성에 있어서는 충분하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02441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29822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254508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081898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국 특허공표 제2005-52595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충격성도 우수한, 니트로글리세린, 알부민이나 호르몬 등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 등을 함유하는 주사액의 소프트백 제제에도 사용 가능한 액체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소프트백을 형성하기 위한 적층 필름 조성에 대해서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전혀 의외로, 유리전이온도(Tg)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리어층을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13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리어층을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실링층으로서 배치한 경우에도 니트로글리세린, 알부민이나 호르몬 등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 등의 약물의 흡착이나 투과가 억제될 뿐 아니라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이것과 폴리에틸렌제나 폴리프로필렌제 포트부재와 조합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프트백 제제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배리어층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실링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로 되고, 당해 배리어층과 당해 실링층이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배리어층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실링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로 되고, 당해 배리어층과 당해 실링층이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납용기에, 수지 흡착성 약액을 충전해서 되는 의약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니트로글리세린, 알부민이나 호르몬 등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 등의 흡착이나 투과 등의 문제가 없고, 약제의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내충격성도 우수하다. 또한, 고압증기 멸균처리 등으로 대표되는 열처리로도 스티킹 등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어, 실용성이 우수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실링층이란, 액체 수납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에 있어서, 용기의 최내층으로 되어 당해 용기에 수용되는 약제와 직접 접촉하는 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의 필름 및/또는 시트로서는, 유리전이온도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배리어층으로,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13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배리어층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실링층을 포함하고, 당해 배리어층이 당해 실링층에 인접해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어, 실링층과 배리어층 사이에 접착제층이나 접착성 수지층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이액(二液)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성 수지층으로서는, 수지로서 이종 재질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종래 공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미쯔이 화학제의 애드머, 미쯔비시 화학제의 모딕, 도소제의 DLZ나 밀도 0.91 이하의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링층과는 반대측 배리어층 표면에, 액체 수납용기로서 필요한 강도 또는 유연성이나 가스 배리어성, 수증기 배리어성을 조정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몇개의 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하는 방법은, 드라이 라미네이션이나 압출 코팅, 압출 라미네이션,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이나 공압출 T 다이법 등의 공압출 라미네이션, 공압출 수냉 인플레이션, 히트 라미네이션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스 배리어성이나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재료로서,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의 증착 PET 필름이나 증착 나일론 필름, 알루미늄 증착 PET, 알루미늄 증착 나일론, 알루미늄박, EVOH, PVA, PVDC, MXD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리어층에 사용하는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유리전이온도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130℃ 이상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30~170℃가 보다 바람직하고, 132~15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란, JIS K7121(DSC)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유리전이온도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규정하는 물성값의 하나로서 잘 알려져 있는데, 약제의 흡착성이나 투과성과의 관계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실란트층에 사용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100~170℃인 것으로 하고, 120℃ 이상인 것을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는 110℃ 이상의 고압증기 멸균을 행한 경우에 포장봉지가 변형·파봉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인 것이 기재되어 있어, 약제의 흡착성이나 보존 안정성이나 열처리나 고압증기 멸균처리 등과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5에는, 실링층과 배리어층에 사용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80~150℃인 것을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하고 있으나, 당해 유리전이온도와 실링층에 있어서의 약제의 흡착성이나 보존 안정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자 등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을수록 약제의 흡착을 억제하는 효과나 보존 안정성으로의 효과가 높고, 특히 유리전이온도가 130℃ 이상일 때,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되는 실링층에 인접하는 배리어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약제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이 효과는 특히 제제공정에 있어서 60℃ 이상의 열처리나 105℃ 이상의 고압증기 멸균처리를 행하는 약제의 경우에 약제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여기서, 60℃ 이상에서의 열처리는 주로 바이러스의 불활성화를 위해 행해지는 처리이고, 105℃ 이상의 고압증기 멸균처리는 균의 멸균을 위해 행해지는 처리이다.
또한, 배리어층에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를 혼합하면, 약제의 흡착 또는 투과를 방어하는 효과가 저하되고, 보존 안정성으로의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환상 올레핀 모노머의 중합체나, 환상 올레핀 모노머와 에틸렌 등의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및 그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노르보르나디엔, 메틸노르보르넨, 디메틸노르보르넨, 에틸노르보르넨, 염소화 노르보르넨, 클로로메틸노르보르넨, 트리메틸실릴노르보르넨, 페닐노르보르넨, 시아노노르보르넨, 디시아노노르보르넨, 메톡시카르보닐노르보르넨, 피리딜노르보르넨, 나딕산 무수물, 나딕산 이미드 등의 이환(二環) 시클로올레핀;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이나 그의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3환 시클로올레핀; 디메타노헥사히드로나프탈렌,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이나 그의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4환 시클로올레핀; 트리시클로펜타디엔 등의 5환 시클로올레핀; 헥사시클로헵타데센 등의 6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노르보르넨, 2개의 노르보르넨 고리를 탄화수소 사슬 또는 에스테르기 등으로 결합한 화합물, 이들의 알킬, 아릴 치환체 등의 노르보르넨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라는, 분자골격 중에 노르보르넨 골격을 포함하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및 그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이, 액체 수납용기로서 성형했을 때의 강도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모노머 분자의 중합방법이나 중합 메커니즘으로서는, 개환(開環)중합이어도 되고, 부가(付加)중합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종의 모노머를 병용하는 경우의 중합방법이나 중합 메커니즘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모노머일 때 배합하여 공중합을 행해도 되고, 어느 정도 중합한 후에 배합하여 블록 공중합해도 된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구조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중 특히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에, 특히 약제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1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2
(화학식 중, R1, R2, R3 및 R4는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 및/또는 R3와 R4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수 1~20의 유기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ec-부틸, t-부틸, i-펜틸, t-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t-옥틸(1,1-디메틸-3,3-디메틸부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이코실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의 시클로알킬기; 1-메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 등의 알킬시클로알킬기; 알릴, 프로페닐, 부테닐, 2-부테닐, 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비페닐기, 페녹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설포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2-페닐에틸기(페네틸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환상 폴리올레핀의 유리전이온도는, 상기 화학식 1, 2 중의 l, m, n, p의 값, 또는 치환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 2 이외의 환상 폴리올레핀의 유리전이온도에 대해서도, 사용하는 모노머종, 모노머종의 배합비율, 모노머 서열, 치환기의 종류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일본 제온 주식회사제의 제오넥스, 제오노아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제의 아펠, TICONA사제의 TOPAS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수지 단독으로 구성되어, 다른 수지가 함유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분자재료에서는 내용 약제가 흡착 또는 투과, 일산(逸散)됨으로써 본래 목적으로 하는 함유량을 보유·유지(保持)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내용 약제가 수납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재료의 고분자 사슬에 들어가버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고분자재료에서는 분자 레벨로 미크로브라운 운동(microbrownian motion)을 하여 고분자 사슬의 회전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유리전이온도 이상이 되면, 이 분자 사슬의 미크로브라운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부드러워져, 비교적 저분자의 약제를 간단하게 그 내부에 넣기 쉬워져, 흡착이나 투과, 일산이라는 현상이 일어나, 유효성분의 함유량 저하를 일으킨다. 특히 유리전이온도는 고분자 사슬의 미크로브라운 운동이 시작되는 온도로, 이는 결국 고분자 사슬의 움직이기 용이함을 반영하고 있어, 이 유리전이온도에 착안한 용기재질의 설계를 행하는 것이, 약제의 용기로의 흡착이나 투과, 일산에 의해 발생하는 유효성분의 함유량 저하라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방지하는 최선의 방법인 것을 새롭게 발견한 것이다. 고분자의 움직임은 고분자 사슬의 내부 회전과 입체 장애에 의하므로, 이러한 내부 회전 장벽이 높은 것일수록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져, 약제의 흡착이나 투과, 일산이라는 물질의 이동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내부 회전에 높은 장벽을 갖는 방향족 고리나 헤테로 고리를 많이 주쇄에 결합시킴으로써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고분자재료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재료로서, 상기 화학식 1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R2에 추가적으로 헤테로 고리를 붙이고, 또한 n=3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부 회전 장벽이 매우 높아져, 유리 전이온도 130℃ 이상의 환상 폴리올레핀을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골격에는 상기 화학식 2와 같이 (-CH2CH2-)m의 에틸렌기의 반복단위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입체 장애가 보다 커서, 보다 높은 내부 장벽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과 같이 에틸렌기의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분자구조는 가장 입체 장애가 작아, 분자의 회전운동이 저온도에서 활발히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분자구조를 갖는 고분자를 단독으로 용기 구성에 사용하면 간단히 그 분자 사슬 중에 내용 약제가 흡착 또는 투과, 일산을 일으켜 유효 함유량의 저하를 일으킨다. 상기 화학식 2에서는 노르보르넨 고리의 원자단과 원자단 사이에 이 에틸렌의 반복단위를 도입하여, 그 길이에 따라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고 있는데, 짧게 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노르보르넨 고리의 헤테로 고리 주쇄 중에 이러한 에틸렌기의 반복단위가 들어가는 것은, 입체 장애의 저하를 일으켜, 동일한 유리전이온도이더라도 그 부분으로부터 고분자 사슬 중으로 약제가 진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화학식 1이 보다 바람직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용기는 약제를 충전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 또는 1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의 온도에서 고압증기 멸균처리되기 때문에, 이 온도에서 상기 미크로브라운 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분자구조를 설계하고, 유리전이온도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여, 적어도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유리전이온도가 5℃ 이상 높은 것이 필요하다. 이 멸균처리 부근 또는 그 이하의 온도인 경우에는, 열처리나 고압증기 멸균처리 중에 상기 미크로브라운 운동이 일어나, 분자 사슬이 회전운동을 행하기 때문에, 사용한 용기 중으로의 내용 약제의 흡착이나 침입·일산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유효성분의 함유량 저하를 일으킨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최적의 환상 폴리올레핀의 유리전이온도로서는,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을 필요가 있어, 바람직하게는 환상 폴리올레핀의 유리전이온도가 130℃ 이상인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을 발견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리어층은, 유리전이온도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고,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13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한다. 여기서, 배리어층에는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기타 수지를,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은 가능하나,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리어층의 두께는 5~40 ㎛, 더욱이 10~30 ㎛인 것이 약제의 보존성과 용기의 유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링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통상 의약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나 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으로서는, JIS K7121(DSC)로 측정한 융해 피크온도의 값으로서, 105~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1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융점으로서는, JIS K7121(DSC)로 측정한 융해 피크온도의 값으로서, 120~145℃인 것이 바람직하 고, 130~1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도소 주식회사제의 페토로센, 니폴론이나 주식회사 프라임폴리머제의 모아테크, 에볼류, 일본 폴리에틸렌제의 하모렉스, 노바테크 HD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의 블렌드여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에는, 종래 공지의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중화제, α정핵제(晶核劑), β정핵제, 안티블로킹제, 활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성분이라 할 때는, 그 성분의 함유량이 90 중량% 이상, 특히 9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층은 약제가 충전된 상태에서 6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 또는 105℃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증기 멸균처리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용기 내면이 용착(溶着)되는 스티킹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피하기 위해 실링층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융점이 110~130℃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융점이 120~14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링층의 두께는 20~120 ㎛, 더욱이 30~80 ㎛인 것이 용기의 강도 유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리어층의 실링층과는 반대측 표면에는, 용기로서 성형한 경우의 강도 또는 유연성을 조정하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기재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상기 실링층과 동일한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더하여,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나 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과 배리어층의 적층에 있어서, 접착제층이나 접착성 수지층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이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성 수지층으로서는, 수지로서 이종 재질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종래 공지의 수지를 사용하 수 있어, 예를 들면, 미쯔이 화학제의 애드머, 미쯔비시 화학제의 모딕, 도소제의 DLZ나 밀도 0.91 이하의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층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30~200 ㎛, 더욱이 70~160 ㎛인 것이 용기의 강도 유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 전체로서 두께는, 의료용 액체 수납용기로서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100~400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두께가 100 ㎛ 이하인 경우는 용기로서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전체의 두께가 400 ㎛를 초과하면 용기의 유연성이 손상되거나, 취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로서는, 실링층이 융점 110~1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융점 120~14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해서 되고, 배리어층이 유리전이온도 130~170℃의 노르보르넨계 수지로 되며, 추가적으로 융점 110~1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융점 120~14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되는 기재층을 구 비하는 3층 이상의 필름 및/또는 시트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배리어층, 실링층,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5~40 ㎛, 20~120 ㎛, 30~2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 ㎛, 30~80 ㎛, 70~16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배리어층과 실링층 및 기재층의 적층시에 접착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0.1~7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3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는, 드라이 라미네이션이나 압출 코팅, 압출 라미네이션, 공압출 인플레이션법이나 공압출 T 다이법 등의 공압출 라미네이션, 공압출 수냉 인플레이션, 히트 라미네이션 등 종래 공지의 각종 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채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예를 들면, 상기 다층 필름 2장을 통상의 방법으로 재단하고, 각각의 실링층이 내층이 되도록 겹쳐서 그 주연부(周緣部)를 히트 실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층 필름의 실링층을 내측으로 하여 튜브형상으로 성형한 후, 주연을 히트 실링함으로써 성형해도 된다. 다층 필름의 히트 실링은 150~230℃의 온도범위에서 행하면 된다.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에는, 내용물의 적절한 배출을 행할 목적에서, 포트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트부재로서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발생시키기 쉽다는 등의 문제가 없어, 상기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에 대해 양호한 용착성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로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융점이 120~14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 렌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트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용기 본체와 비교한 내표면적의 차이 등에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나, 흡착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는 니트로글리세린, 단백질,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미량원소, 라디칼 포착제 등의 약제의 보존 안정성으로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는다. 포트부재를 융점 120~14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제로 한 경우의 용착조건으로서는, 포트부재를 수초간 예비가열한 후, 180~250℃에서 약 2~6초간의 범위에서 1단 또는 다단 실링 가열하고, 그 후에 5~30℃에서 1~5초간의 범위에서 냉각하면 된다. 포트부재를 융점 120~165℃의 폴리프로필렌제로 한 경우의 용착조건으로서는, 포트부재를 수초간 예비가열한 후, 180~250℃에서 약 2~6초간의 범위에서 1단 또는 다단 실링 가열하고, 그 후에 5~30℃에서 1~5초간의 범위에서 냉각하면 된다.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약제의 흡착 등의 문제가 없고, 보존 안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수지에 흡착성인 액체의 약제에 이용 가능하나, 특히 니트로글리세린 함유 약제, 단백질 함유 약제, 히알루론산 함유 약제, 비타민류 함유 약제, 미량원소 함유 약제, 라디칼 포착제 함유 약제 등을 충전한 의약 제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적 정맥주사용 소프트백 제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의약 제제로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액체 수납용기는 통상,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되나,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 후에도 스티킹(용기 내부의 용착 또는 들러붙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열처리조건으로서는 60℃ 10시간, 고압증기 멸균처리조건으로서는 105℃ 이상의 조건에서 30분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40분의 고압증기 멸균처리이다.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를 니트로글리세린 주사액의 의약 제제에 사용하는 경우, 니트로글리세린으로서는 의약품 원약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니트로글리세린의 D-글루코오스 희석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로글리세린 주사액으로서는, 상기 니트로글리세린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하면 된다. 즉, 예를 들면, 상기 니트로글리세린 희석분말을 일본약국방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필요에 따라, D-글루코오스나 염화나트륨 둥의 등장화제, 수산화나트륨이나 염산 등의 pH 조정제를 첨가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 중의 니트로글리세린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001~0.1 w/v%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5~0.05 w/v%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재료로 기재층, 배리어층 및 실링층을 갖는 3층 이상의 필름을 공압출법 및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을 조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재료로 포트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동시에, 이들 3층 이상의 필름 및 포트부를 사용하여 내용량 100 mL가 되는 액체 수납용기를 제작하였다.
또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하기 a~l 및 I-VI를 사용하였다.
a : 융점 1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프라임폴리머제, 모아테크)과 융점 105℃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일본 폴리에틸렌제, 하모렉스)을 80:20의 비율로 혼합한 것
b : 융점 1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프라임폴리머제, 모아테크)과 융점 105℃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일본 폴리에틸렌제, 하모렉스)을 85:15의 비율로 혼합한 것
c : 융점 1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도소제, 페토로센)
d : 융점 1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프라임폴리머제, 모아테크)
e : 융점 13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일본 폴리에틸렌제)
f : 알루미나 증착 PET 필름(토판 인쇄제, GL)
g : 융점 136℃의 고밀도 폴리에틸렌(도소제, 니포론하드)과 융점 1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프라임폴리머제, 모아테크)을 80:20의 비율로 혼합한 것
h : 융점 111℃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제, 유메리트)
i : 융점 108℃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일본 폴리에틸렌제, 하모렉스)
j : 융점 165℃의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미쯔비시 화학제, 젤라스)
k : 접착성 수지(미쯔비시 화학제, 모딕)
l : 융점 160℃의 폴리프로필렌(일본 폴리프로필렌제, 노바텍)
I : 유리전이온도가 136℃인 환상 폴리올레핀(일본 제온제, 제오넥스 690R)
II : 유리전이온도가 163℃인 환상 폴리올레핀(일본 제온제, 1600R)
III : 유리전이온도가 135℃인 환상 폴리올레핀(미쯔이 화학제, 아펠 APL5014DP)
IV : 유리전이온도가 105℃인 환상 폴리올레핀(일본 제온제, 제오노아 1020R)
V : 유리전이온도가 75℃인 환상 폴리올레핀(일본 제온제, 제오노아 750R)
VI : 유리전이온도가 145℃인 환상 폴리올레핀(미쯔이 화학제, 아펠 APL6015T)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프라임폴리머제 에볼류)을 8:2의 비율로 혼합한 것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3
[시험예 1] 보존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액체 수납용기에 0.05% 니트로글리세린 주사액 100 mL를 충전하고, 110℃, 0.106 MPa의 조건에서 40분간 고압증기 멸균을 행하였다. 멸균 후, 용기의 외관을 관찰하여, 스티킹의 발생에 대해서 평가한 후, 40℃에서 보존시험을 실시하였다. 보존 개시로부터 1개월 및 3개월의 시점에 있어서의 각 제제 중의 니트로글리세린 농도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하여, 초기 농도에 대한 비율을 잔존율로서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2] 낙하시험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에 대해서 내충격성을 평가하기 위해, 낙하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액체 수납용기에 대해서,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약제를 충전하고, 고압증기 멸균처리를 행한 후, 5℃에서 48시간 보존하였다. 그 후, 각 용기를 1.80 m의 높이에서 10회 연속으로 낙하시켜 외관을 확인한 후, 추가로 이물질이 없는 철판면에 두고 손으로 눌러, 용기의 깨짐이나 액누설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각 실시예에 대해서 각각 100개의 용기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4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에서는 40℃에서 3개월 보존한 경우도, 니트로글리세린의 함량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에 대해, 배리어층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10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 유리전이온도가 7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 유리전이온도가 14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40℃ 1개월의 보존에 의해 각각 7%, 10%, 9%로 대폭적인 함량의 저하가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는 낙하시험에 있어서 모두 깨짐이나 액누설이 없어, 낙하 충격에 대해 높은 내성을 구비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한편, 비교예 4에 있어서, 실링층을 유리전이온도가 136℃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고, 포트도 유리전이온도가 136℃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백을 제작한 경우에는, 약제의 보존 안정성은 양호하였으나, 마찬가지로 낙하시험을 행하면 포트부로부터의 액누설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약제를 20% 알부민 주사액으로 하고, 고압증기 멸균처리 대신에, 60℃에서 10시간의 열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및 2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 구성의 용기에는 인간 혈장 유래의 알부민을 사용하고, 기타 실시예 및 비교예 구성의 용기에는 유전자 재조합 유래의 알부민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5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니트로글리세린과 마찬가지로 알부민에 대해서도, 40℃에서 3개월 보존한 경우,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대해, 배리어층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7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 유리전이온도가 14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40℃ 1개월의 보존에 의해 각각 6%, 7%로 대폭적인 함량의 저하가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에 60℃에서 10시간의 열처리를 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모두 깨짐이나 액누설은 없어, 본 발명의 용기는 낙하 충격에 대해 높은 내성을 구비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시험예 4]
약제를 비타민 D3 함유 제제로 하고,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조건을 105℃, 0.106 MPa에서 30분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및 2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6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니트로글리세린이나 알부민과 마찬가지로 비타민 D3에 대해서도, 40℃에서 3개월 보존한 경우,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대해, 배리어층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10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 유리전이온도가 7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 유리전이온도가 14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40℃ 1개월의 보존에 의해 각각 6.7%, 7%, 9%로 대폭적인 함량의 저하가 보였다.
또한, 내용액을 비타민 D3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모두 깨짐이나 액누설은 없어, 본 발명의 용기는 낙하 충격에 대해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5]
약제를 라디칼 포착제 함유 제제인 에다라본으로 하고,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조건을 105℃, 0.106 MPa에서 30분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및 2와 동일하게 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7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니트로글리세린이나 알부민과 마찬가지로 라디칼 포착제인 에다라본에 대해서도, 40℃에서 3개월 보존한 경우,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대해, 배리어층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7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 유리전이온도가 145℃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40℃ 1개월의 보존에 의해 각각 11%, 11.1%로 대폭적인 함량의 저하가 보였다.
또한, 기재층과 실링층을 융점 120℃ 이하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비교예 5에서는 스티킹에 의해 용기 내부의 부분적 들러붙음이 발생하고, 그 밖에 용기 외면에서도 멸균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강하여, 다른 용기에 들러붙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내용액을 에다라본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액체 수납용기는 모두 깨짐이나 액누설은 없어, 본 발명의 용기는 낙하 충격에 대해서도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2)

  1. 유리전이온도가 용기의 열처리 또는 고압증기 멸균처리의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배리어층과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실링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로 되고, 당해 배리어층과 당해 실링층이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유리전이온도가 13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액체 수납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레에틸렌계 수지가, 융점 110~1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융점 120~14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납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 및/또는 시트가, 상기 배리어층의 상기 실링층과 반대측에, 융점 110~1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융점 120~145℃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해서 되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것인 액체 수납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트부가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액체 수납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다음의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납용기.
    [화학식 1]
    Figure 112008086877930-PCT00008
    (화학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이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납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용기가 6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 또는 105℃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증기 멸균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납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체 수납용기에 수지 흡착성 및/또는 수지 투과성 약제의 용액을 충전해서 되는 주사용 의약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흡착성 및/또는 수지 투과성 약제가 니트로글리세린 함유 약제인 의약 제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흡착성 및/또는 수지 투과성 약제가 단백질 함유 약제, 히알루론산 함유 약제, 비타민류 함유 약제, 또는 미량원소 함유 약제, 라디칼 포착제 함유 약제인 의약 제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함유 약제가 인간 혈장 유래 알부민, 유전자 재조합 유래 알부민, 또는 호르몬을 함유하는 약제인 의약 제제.
KR1020087030787A 2006-06-28 2007-06-26 액체 수납용기 KR10143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77513 2006-06-28
JP2006177513 2006-06-28
PCT/JP2007/000689 WO2008001496A1 (en) 2006-06-28 2007-06-26 Liquid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350A true KR20090021350A (ko) 2009-03-03
KR101430772B1 KR101430772B1 (ko) 2014-08-18

Family

ID=3884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787A KR101430772B1 (ko) 2006-06-28 2007-06-26 액체 수납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63446A1 (ko)
EP (1) EP2033615B1 (ko)
JP (1) JP5493115B2 (ko)
KR (1) KR101430772B1 (ko)
CN (1) CN101478945B (ko)
ES (1) ES2627032T3 (ko)
WO (1) WO2008001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38046B (zh) * 2005-06-15 2012-05-23 藤森工业株式会社 多室包装体
CN101917991B (zh) * 2007-11-22 2012-04-18 田边三菱制药株式会社 含有环状聚烯烃层的塑料容器
JP5262407B2 (ja) 2008-08-05 2013-08-14 藤森工業株式会社 多層液体容器
JP5314972B2 (ja) * 2008-09-12 2013-10-16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及び多層フィルムを用いた薬剤容器
FR2949195B1 (fr) 2009-08-24 2011-10-14 Lfb Biomedicaments Poche de stockage de solution therapeutique
JP5632226B2 (ja) 2010-07-30 2014-11-26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多層チューブ、および医療用輸液バッグ
JP5921928B2 (ja) * 2012-03-28 2016-05-24 テルモ株式会社 既希釈デクスメデトミジン製剤
BR112015013198B1 (pt) 2012-12-07 2021-03-30 Bemis Company, Inc Película multicamadas e embalagem tipo blister termoformada obtida a partir de dita película
JP5997043B2 (ja) * 2012-12-27 2016-09-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状封止材、封止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2014148077A (ja) * 2013-01-31 2014-08-21 Lintec Corp フィルム状封止材、封止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WO2014103866A1 (ja) * 2012-12-27 2014-07-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状封止材、封止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20150225151A1 (en) 2014-02-11 2015-08-13 Christopher L. Osborn Anti-Scalping Transdermal Patch Packaging Film
US9468584B2 (en) 2014-04-02 2016-10-18 Bemis Company, Inc. Child-resistant packaging
CN107106409A (zh) * 2014-10-02 2017-08-29 泰尔茂株式会社 用于容纳蛋白质溶液制剂的医疗用容器
JP6451987B2 (ja) * 2015-03-17 2019-01-16 Dic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
JP6551668B2 (ja) * 2015-07-30 2019-07-3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多層容器
JP6086137B2 (ja) * 2015-09-14 2017-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JP6086138B2 (ja) * 2015-09-14 2017-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JP6642377B2 (ja) * 2016-10-25 2020-02-05 ニプロ株式会社 液体製剤、及び、パロノセトロンの安定性を向上する方法
CN108236592B (zh) * 2016-12-23 2022-06-07 安姆希比创新咨询有限公司 液体粉体用多室容器
JP2018192139A (ja) * 2017-05-19 2018-12-06 藤森工業株式会社 薬液収容プラスチック容器
JP6863845B2 (ja) * 2017-07-19 2021-04-21 藤森工業株式会社 積層体及び容器
EP3677529A4 (en) * 2017-08-31 2021-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BAG
JP7186181B2 (ja) * 2017-12-08 2022-12-08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体
CA3091089A1 (en) * 2018-02-15 2019-08-22 Fujimori Kogyo Co., Ltd. Plastic container
JP6987002B2 (ja) * 2018-03-16 2021-12-22 藤森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WO2023006565A1 (en) 2021-07-26 2023-02-02 Medichem, S.A. Process for preparing formulations of edaravone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075B2 (ja) * 1988-06-10 1997-11-12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内容物入り容器
US5267646A (en) * 1990-11-07 1993-12-07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JP3227709B2 (ja) * 1991-03-04 2001-11-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医療用または食品包装用容器
JPH054638A (ja) * 1991-06-28 1993-01-14 Toppan Printing Co Ltd 板紙製密封角型容器
JP3518553B2 (ja) * 1992-12-28 2004-04-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医療用器材
JP3212679B2 (ja) * 1992-03-31 2001-09-25 出光興産株式会社 医療用輸液バッグ
US5423421A (en) * 1992-05-03 1995-06-13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US6165573A (en) * 1994-07-05 2000-12-26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Multi-layer laminates and uses thereof
JP3016348B2 (ja) * 1995-03-23 2000-03-0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複室容器
JP3419139B2 (ja) * 1995-04-11 2003-06-23 ニプロ株式会社 可撓性複室容器
DE19548789A1 (de) * 1995-12-27 1997-07-03 Hoechst Trespaphan Gmbh Peelfähige, siegelbare polyolefinische 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3951376B2 (ja) * 1997-08-28 2007-08-01 東洋製罐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を含む積層体
US6159471A (en) * 1997-10-23 2000-12-12 Yoshitomi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Room temperature storable immunoglobulin preparation for intravenous injection
JPH11128315A (ja) * 1997-11-04 1999-05-18 Material Eng Tech Lab Inc 医療用容器
TW367247B (en) * 1998-02-03 1999-08-21 Otsuka Pharma Co Ltd Storage container for Vitamin D solution and transfusion container
GB2360038A (en) * 2000-03-08 2001-09-12 Rexam Med Packaging Ltd Heat sealable polymeric films
JP4916609B2 (ja) * 2000-06-28 2012-04-18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液体容器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2003024415A (ja) 2001-05-10 2003-01-28 Eisai Co Ltd 注射剤容器
US6846894B2 (en) * 2001-07-31 2005-01-25 Mitsui Takeda Chemicals, Inc. Laminate adhesive and usage thereof
EP1454835A4 (en) * 2001-11-22 2006-02-22 Fujimori Kogyo Co PACKAGING BA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TE477810T1 (de) * 2002-02-28 2010-09-15 Nipro Corp Stabilisierte albumin-zubereitungen
TWI252203B (en) * 2002-03-28 2006-04-01 Showa Denko Plastic Product Co Infusion container with multiple chamber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50208240A1 (en) * 2002-05-17 2005-09-22 Yuki Manabe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MY134275A (en) 2002-05-17 2007-11-30 Otsuka Pharma Co Ltd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SE526013C2 (sv) * 2002-11-08 2005-06-14 Gambro Lundia Ab Behållare med syrabarriär och användning därav
JP4175095B2 (ja) * 2002-11-19 2008-1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EP1592745B1 (en) * 2003-01-28 2007-04-11 Cryovac, Inc. Cycloolefinic copolymer for high modulus film
CN100457069C (zh) * 2003-03-12 2009-02-04 藤森工业株式会社 多隔室容器
US7243787B2 (en) * 2003-03-26 2007-07-17 Nipro Corporation Medicine bag
JP2004298220A (ja) 2003-03-28 2004-10-28 Terum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4412463B2 (ja) * 2003-12-11 2010-02-10 藤森工業株式会社 複室容器
JP4488166B2 (ja) 2003-12-11 2010-06-23 藤森工業株式会社 複室包装体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4596124B2 (ja) * 2004-03-09 2010-12-08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4644480B2 (ja) * 2004-07-13 2011-03-02 ベスパック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複室袋
JP4696773B2 (ja) 2004-08-16 2011-06-08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多層容器および医療用多層複室容器
KR101211552B1 (ko) * 2004-08-16 2012-12-12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TWI409057B (zh) * 2004-09-27 2013-09-21 Nipro Corp 醫療用容器
WO2006043459A1 (ja) * 2004-10-18 2006-04-27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医療用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バッグ
KR100871204B1 (ko) * 2004-11-26 2008-12-01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의료용 약액 용기 및 약제-함입 의료용 약액 용기
KR101310177B1 (ko) * 2005-09-12 2013-09-23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복실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3615A4 (en) 2012-09-05
JP5493115B2 (ja) 2014-05-14
ES2627032T3 (es) 2017-07-26
WO2008001496A1 (en) 2008-01-03
CN101478945A (zh) 2009-07-08
EP2033615A1 (en) 2009-03-11
KR101430772B1 (ko) 2014-08-18
EP2033615B1 (en) 2017-05-10
US20100163446A1 (en) 2010-07-01
JP2008029829A (ja) 2008-02-14
CN101478945B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1350A (ko) 액체 수납용기
KR101493833B1 (ko) 환상 폴리올레핀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용기
JP4717007B2 (ja) 医療用ガスバリ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バッグ
KR102157522B1 (ko)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KR101211552B1 (ko)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KR100610290B1 (ko)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
US8309189B2 (en) Multilayered liquid container
JP5411008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て作製される包装容器
JP2010162344A (ja) 包装体
JP5382986B2 (ja) ヘパリン注射液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