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290B1 -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290B1
KR100610290B1 KR1020047018473A KR20047018473A KR100610290B1 KR 100610290 B1 KR100610290 B1 KR 100610290B1 KR 1020047018473 A KR1020047018473 A KR 1020047018473A KR 20047018473 A KR20047018473 A KR 20047018473A KR 100610290 B1 KR100610290 B1 KR 10061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layer
density
multilayer film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618A (ko
Inventor
유끼 마나베
히데시 오까모또
게이이찌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오스카 파마슈티칼 팩토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카 파마슈티칼 팩토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스카 파마슈티칼 팩토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11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935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10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 표면층,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100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가요성 층,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0.900 내지 0.965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만들어진, 1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 장벽층, 및 0.910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5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 밀봉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을 개시한다. 이러한 다층 필름은 장벽층에 의해 약제의 흡착을 억제하고 강도 및 가요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약제 용기(10)의 제조를 위한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다층 필름, 약제 용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약제 흡착 방지 효과

Description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제와 약제액의 흡착을 억제하는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몇몇 약제는, 연속 주입에 사용되기 위해서, 주입액과 혼합된 상태로 투여된다. 연속 주입에서의 사용을 위해, 주사용 약제를 미리 묽은 수용액으로 만드는 것(즉 예비-혼합하는 것)이 연구되어 왔다.
지금까지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유리로 만들어진 병 및 앰플이 주입액을 수용하는 약제 용기로서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 약제 용기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취급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주입백 및 주입병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다양한 공지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플라스틱 중에서, 폴리에틸렌이 취급성에 있어서 현저하게 탁월한데, 왜냐하면 이것은 필름 형태일 때 안전성 및 가요성이 높고, 소각시 독성 기체를 발생시키지 않아서 쉽게 폐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폴리에틸렌은 약제 용기의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특정 약제는 폴리에틸렌에 쉽게 흡착되기 때 문에, 약제 함량의 감소와 같은 문제가 혼합 주사제의 투여시 일어나며, 이는 예비-혼합을 방해한다.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Kokai Tokkyo Koho Hei) 제 5-293159 호에는 약제의 흡착을 억제하기 위해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사용하는 약제 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는 니트로글리세린의 흡착의 감소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지만, 경성 및 취성과 같은 단점을 갖기 때문에, 약제 용기의 강도 및 가요성과 같은 성질이 나빠진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더우기,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는 기타 수지와의 상용성 및 접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약제 용기는 층간분리되기 쉽고(delaminated) 강도가 약해지기 쉽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와 기타 수지가 접착성 수지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이들이 약제에 용해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일어난다. 따라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 가요성, 내열성 및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안전성이 뛰어나고, 약제 및 약제액의 흡착을 억제하는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0.935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10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 표면층,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100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가요성 층,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0.900 내지 0.965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만들어진, 1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 장벽층(barrier layer), 및 0.910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5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 밀봉층(seal layer)을 포함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약제 용기는,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이, 그의 표면층이 약제 용기의 외부 표면을 구성하도록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필름을 포함하는 약제 용기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표면층이 외부 표면을 구성하는데에 사용된다. 즉, 다층 필름의 밀봉층이 약제 용기의 최내부 층을 구성하고 용기에 수용된 약제와 직접 접촉한다.
밀봉층의 재료로서는, 통상적인 의료용 용기에서 종종 사용되고 니트로글리세린에 흡착할 수 있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그 두께는 5 내지 80 ㎛ 정도로 얇게 설정되고, 더우기 예정된 구성비율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장벽층이 밀봉층의 외부 표면에 제공된다. 장벽층의 외부 표면에는,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가요성 층과, 고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표면층이 이러한 순서대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층 구조를 갖는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에 따르면, 장벽층에 의해 약제의 흡착을 억제할 수 있고, 장벽층과의 상용성을 유 지하면서, 장벽층을 덮는 밀봉층, 가요성 층 및 표면층에 의해 탁월한 강도 및 탁월한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본 발명의 약제 용기에 사용되는 다층 필름에 있어서, 가요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a)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40 내지 0.970 g/㎤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0 중량% 이하가 혼합됨으로써 얻어진 물질, 또는 (b)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층과;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40 내지 0.970 g/㎤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0 중량% 이하가 혼합됨으로써 얻어진 물질로 만들어진 층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a)에 명시된 바와 같은, 예정된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혼합됨으로써 얻어진 물질, 및 (b)에 명시된 바와 같은, 예정된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층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층의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다층 필름(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의 가요성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다.
(a)에 명시된 다층 필름에 있어서, 가요성 층에 사용된,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0.860 내지 0.91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10 내지 0.94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 혼합물을 가요성 층의 재료로서 사용함으로써, 다층 필름의 가요성을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본 발명의 약제 용기에 사용되는 다층 필름에 있어서, 가요성 층에 사용된,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장벽층에 사용된, 0.900 내지 0.965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을, 가요성 층 및 장벽층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다층 필름(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의 가요성 및 내충격성을 만족스럽게 유지하면서도, 기체 차단성(barrier property) 및 습기 차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약제 용기와 같은 유연한 의료용 플라스틱 용기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300 ㎛의 총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약제 용기와 같은 유연한 의료용 플라스틱 용기에 사용되기 때문에, 밀봉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흡착능력을 감소시키고 용기의 다양한 특성(예를 들면 내구성)을 개선하도록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밀봉층의 두께는, 약제 흡착 방지 효과를 크게 중요시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인 반면, 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크게 중요시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약제 용기(10)의 실시양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가장 좋은 방법
다층 필름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이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장벽층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필름내 장벽층은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0.900 내지 0.965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만들어지며, 장벽층은 1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다.
장벽층에 사용되는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예는 에틸렌과 디시클로펜타디엔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노르보르넨 화합물의 공중합체, 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의 고리열림 중합체, 다양한 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의 고리열림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첨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들 중에서도, 다층 필름에 고강도 및 우수한 기체/습기 차단성을 부여하는데에, 에틸렌과 노르보르넨 화합물의 수소첨가 공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의 수소첨가 고리열림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수지의 예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 및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04053058740-pct00001
Figure 112004053058740-pct00002
화학식 1 및 화학식 1'에서, R1, R1', R2 및 R2'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탄화수소기 또는 극성기, 예를 들면 할로겐, 에스테르, 니트릴 또는 피리딜이고, R1, R1', R2 및 R2'은 서로 합해져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m 및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 및 n'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다.
Figure 112004053058740-pct00003
화학식 2에서,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탄화수소기 또는 극성기, 예를 들면 할로겐, 에스테르, 니트릴 또는 피리딜이고, R3 및 R4는 서로 합해져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x 및 z는 1 이상의 정수이고; y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 중합시키거나, 이렇게 얻은 고리열림 중합체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소첨가시킴으로써 얻는다.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는 제온 코포레이션(ZEON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수소첨가 중합체[상표명: 제오노르(ZEONOR, 등록상표), 비중: 1.01, 용융유량(MFR): 70 g/10분(190℃), 유리전이온도(Tg): 100℃] 및 재팬 신세틱 러버 캄파니 리미티드(Japan Synthetic Rubber Co., Ltd.)에 의해 "아르톤(ARTON, 등록상표)"이라는 상표명으로 제조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2의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1종, 2종 또는 그 이상의 종류의 노르보르넨 단량체와 에틸렌을 부가공중합시키거나, 이렇게 얻은 중합체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소첨가시킴으로써 얻는다.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는 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Mitsui Chemical Co., Ltd.)에 의해 "아펠(APEL, 등록상표) 6509"라는 상표명으로 제조되는 중합체[비중: 1.02, MFR: 40 g/10분(190℃), 유리전이온도(Tg): 80℃] 및 티코나 게엠베하(Ticona GmbH)에 의해 "토파스(Topas, 등록상표)"라는 상표명으로 제조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중에서, 수소첨가 수지가 포화 중합체이기 때문에 기체 차단성 및 습기 차단성 외에도 내열성, 투명성 및 안정성이 탁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다. 분자량 범위와 관련해서, 용매로서 시클로헥산을 사용하는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수평균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00,000이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분자쇄에 남아있는 불포화 결합이 수소첨가에 의해 포화되는 경우, 수소첨가 비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장벽층에 있어서,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구성비율이 60 중량% 미만이면, 약제 흡착 방지 효과가 감소된다. 다른 한편으로,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구성비율이 95 중량%를 초과하면, 전체 다층 필름의 가요성이 나빠지며, 장벽층과 기타 층과의 접착력도 나빠진다.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서 장벽층을 제외한 모든 층들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지거나, 주성분으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따라서, 장벽층을 구성하는 수지중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제외한 모든 잔여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장벽층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구성비율이 5 중량% 미만이면, 장벽층과 기타 층과의 접착력이 나빠진다. 다른 한편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구성비율이 40 중량%를 초과하면,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구성비율이 감소되 기 때문에, 약제 흡착 방지 효과가 감소된다.
장벽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0.900 내지 0.965 g/㎤의 범위의 밀도를 갖는다. 장벽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0.900 g/㎤ 미만이면, 다층 필름의 내열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 밀도가 0.965 g/㎤를 초과하면, 다층 필름이 딱딱해지고 투명도가 나빠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장벽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전술된 밀도 범위를 만족시키기만 한다면, 구체적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으로 공지된 다양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는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등)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가요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볼 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형이다.
장벽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제조한 것이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제조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다층 필름의 가요성 및 내충격성을 만족스럽게 유지하면서도 기체 차단성 및 습기 차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장벽층의 두께는, 약제 흡착 방지 효과와 전체 다층 필름의 가요성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장벽층의 두께가 10㎛ 미만 이면, 약제 흡착 방지 효과가 감소된다. 다른 한편으로, 두께가 80㎛를 초과하면, 전체 다층 필름의 가요성이 나빠진다. 장벽층의 두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이다.
가요성 층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필름내 가요성 층은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지며, 가요성 층은 100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다.
가요성 층의 형성에 있어서,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에 높은 가요성을 부여하는데에, 전술된 범위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장벽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밀도가 상이하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동일한 것이다.
가요성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의 가요성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서, 전술된 범위내의 0.890 내지 0.910 g/㎤이다. 이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 g/10분(190℃)의 MFR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0 ℃의 융점을 갖는다.
가요성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제조한 것이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제조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다층 필름의 가요성 및 내충격성을 만족스럽게 유지하면서도 기체 차단성 및 습기 차단성을 개선할 수 있 다.
가요성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0.860 내지 0.91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10 내지 0.94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다층 필름의 가요성을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가요성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및 가요성 층)는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단독이거나, (a)에 명시된 바와 같은,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40 내지 0.970 g/㎤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0 중량% 이하로 이루어진 혼합물일 수 있다.
(b)에 명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및 가요성 층)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층과,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40 내지 0.970 g/㎤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0 중량% 이하가 혼합됨으로써 얻어진 물질로 만들어진 층의 적층체일 수도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혼합하거나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 전체 가요성 층의 밀도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0.860 내지 0.930 g/㎤이다.
혼합 수지(a) 또는 적층체(b)를 가요성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및 가요성 층)로서 사용하면, 다층 필름의 가요성을 나빠지게 하지 않으면서도 내열성 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혼합되거나 공중합체와 적층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단독중합체이거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적층체(b)를 구성하는 각 층들의 두께의 비율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비율이 선택될 수 있다. 적층체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층을 중간층으로서 포함하는 3층 구조를 포함한다.
가요성 층의 두께는, 전체 다층 필름의 적당한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가요성 층의 두께가 100㎛ 미만이면, 전체 가요성 층의 가요성이 나빠진다. 다른 한편으로, 두께가 200㎛를 초과하면, 전체 다층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껍다.
가요성 층의 두께는, 가요성 층이 적층체로 만들어진 경우에서 조차도, 상기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가요성 층의 두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80 ㎛이다.
밀봉층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필름내 밀봉층은 0.910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지며, 밀봉층은 5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다.
밀봉층의 형성에 있어서, 완성된 밀봉층이 고온 조건에서의 멸균에 견디고(블로킹 내성을 갖고서), 쉽게 열밀봉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며, 약제와 접촉 시 용해되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도록,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장벽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밀도가 상이하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동일한 것이다.
밀봉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밀봉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내에서 설정된다.
밀봉층의 두께는, 밀봉성과 약제 흡착능력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밀봉층의 두께가 5㎛ 미만이면, 밀봉성이 나빠진다. 다른 한편으로, 두께가 80㎛를 초과하면, 약제가 밀봉층에 흡착되기 쉬워져서, 전체 다층 필름의 약제 흡착 방지 효과가 감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을 약제 용기와 같은 유연한 의료용 플라스틱 용기에 사용하는 경우, 밀봉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수용되는 약제의 흡착능력이 나빠진다는 사실을 크게 고려하는 경우에는, 5 내지 40 ㎛인 반면, 밀봉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다양한 특성(예를 들면 내구성)이 개선된다는 사실을 크게 고려하는 경우에는, 40 내지 80 ㎛이다.
표면층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필름내 표면층은 0.935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지며, 표면층은 10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다.
표면층은 약제 용기가 이러한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 표면층으로서 작용하는 층이고, 높은 기계적 강도(특히 인장강도) 및 탁월한 내열성을 가 져야 하므로, 표면층에는 상기 범위내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장벽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밀도가 상이하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동일한 것이다.
표면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표면층의 기계적 강도(특히 인장강도) 및 내열성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내의 0.935 내지 0.94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940 g/㎤이다. 더우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g/10분(190℃)의 MFR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0℃의 융점을 갖는다.
표면층의 두께는, 기계적 강도(특히 인장강도)와 내열성과 전체 다층 필름의 두께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
수냉식 공압출 팽창법, 공압출 T-다이 방법 등과 같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서, 다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약제 용기와 같은 유연한 의료용 플라스틱 용기에 사용되기 때문에, 총 두께는 다층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180 내지 300 ㎛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총 두께가 130㎛ 미만이면, 약제 용기의 강도가 감소되기 쉽다. 다른 한편으로, 총 두께가 300㎛를 초과하면, 약제 용기의 가요성이 나빠지고 취급성이 나빠지기 쉽다.
약제 용기
본 발명의 약제 용기가, 약제 용기의 실시양태를 보여주는 도 1과 관련해서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약제액 백)의 실시양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약제 용기(10)는, 본 발명의 다층 필름 2개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절단하고, 각 다층 필름을, 각 밀봉층이 내부 표면을 구성하도록, 배치하고, 다층 필름의 주변부(22)를 열밀봉하고, 포트(port) 부재(20)를 열밀봉과 같은 수단을 사용해서 주변부(22)에 붙이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약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으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약제 용기는 예를 들면 다층 필름의 밀봉층이 내부를 향하도록 튜브로 성형된 후 열밀봉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다층 필름을 열밀봉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130 내지 200 ℃의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약 250㎛의 두께를 갖는 필름의 경우, 상기 범위의 온도에서 약 0.5 내지 6 초 정도의 단시간 동안 밀봉을 완결할 수 있다.
포트 부재(20)로서, 다층 필름내 밀봉층에 탁월한 용착성을 갖는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것)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20 내지 130 ℃의 융점을 갖는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포트 부재(20)의 경우, 포트 부재를 수초 동안 예열하고, 약 140 내지 170 ℃에서 약 0.5 내지 5 초 동안 가열함으로써 열밀봉을 수행할 수 있다.
약제 용기에 수용될 수 있는 약제의 바람직한 예는, 전술된 니트로글리세린 외에도, 이소소르비드 니트레이트, 니카르디핀 히드로클로라이드, 미다졸람 및 에다라본을 포함한다. 이 약제들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약제 용기에 흡착되기 쉽지만, 본 발명의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약제 용기에 수용됨으로서, 흡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용기에 수용될 수 있는 약제의 형태는 예를 들면 전술된 수용액 외에도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 용기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소통가능한(communicatable) 격벽에 의해 분리된 2개 이상의 방이 형성되며, 여기서 한 방은 분말형 약제를 수용할 수 있고, 다른 방은 분말형 약물의 용액을 수용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다층 필름 및 약제 용기의 제조
다음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다음과 같다.
수지 A: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울트젝스(ULTZEX, 등록상표) 4020B"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밀도: 0.940 g/㎤, MFR: 2.1 g/10분(190℃)]
수지 B: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울트젝스 3020B"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밀도: 0.930 g/㎤, MFR: 2.1 g/10분(190℃)]
수지 C: 메탈로센 촉매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에볼루에(Evolue, 등록상표)"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밀도: 0.905 g/㎤, MFR: 1.5 g/10분(190℃)]
수지 D: 고밀도 폴리에틸렌[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히-젝스(HI-ZEX, 등록상표)"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밀도: 0.965 g/㎤, MFR: 15 g/10분(190℃)]
수지 E: 에틸렌-테트라시클로도데센 공중합체[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아펠 6509"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비중: 1.02, MFR: 40 g/10분(190℃), 유리전이온도: 80℃]
수지 F: 에틸렌-테트라시클로도데센 공중합체[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아펠 8008"이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비중: 1.02, MFR: 40 g/10분(190℃), 유리전이온도: 70℃]
수지 G: 노르보르넨 단량체의 수소첨가 고리열림 중합체[제온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오노르 1020R"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비중: 1.01, MFR: 20 g/10분(190℃), 유리전이온도: 105℃]
수지 H: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울트젝스 2010B"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밀도: 0.920 g/㎤, MFR: 1.0 g/10분(190℃)]
수지 I: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미쓰이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타프머(TAFMER) A0585B"라는 상표명으로서 제조됨, 밀도: 0.885 g/㎤, MFR: 0.5 g/10 분(190℃)]
실시예 1
수지 A, 수지 C, 수지 E와 수지 A를 3: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고리형 올레핀 중합체(CO)의 혼합비: 75 중량%) 및 수지 A를 각각 표면층, 가요성 층, 장벽층 및 밀봉층으로서 사용하였다.
표면층, 가요성 층, 장벽층 및 밀봉층을 이러한 순서대로 겹치고, 수냉식 공압출 팽창법을 사용하여, 230㎛의 총 두께를 갖는 다층 필름(상기 순서일 때 표면층으로부터 보면, 각 성분층은 20㎛, 170㎛, 30㎛ 또는 10㎛의 두께를 가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은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약제 백(약제 용기)(10)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을 포트 부재(20)의 재료로서 사용하였다. 포트 부재(20)의 밀봉을 140 내지 150 ℃에서 3초 동안 수행하는 반면, 주변부(22)의 밀봉을 155℃에서 4.5초 동안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수지 A, 수지 C와 수지 D를 95: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혼합비: 5 중량%], 수지 F와 수지 C를 3: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CO의 혼합비: 75 중량%] 및 수지 B를 각각 표면층, 가요성 층, 장벽층 및 밀봉층으로서 사용하였다.
표면층, 가요성 층, 장벽층 및 밀봉층을 이러한 순서대로 겹치고, 수냉식 공압출 팽창법을 사용하여, 230㎛의 총 두께를 갖는 다층 필름(상기 순서일 때 표면 층으로부터 보면, 각 성분층은 20㎛, 175㎛, 20㎛ 또는 15㎛의 두께를 가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 필름을 사용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약제 백(1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지 F와 수지 C를 3:2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CO의 혼합비: 60 중량%]를 사용하여 장벽층을 만든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3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가요성 층의 두께를 160㎛로 바꾸고, 밀봉층의 두께를 30㎛로 바꾼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3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가요성 층의 두께를 155㎛로 바꾸고, 장벽층의 두께를 40㎛로 바꾼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3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수지 E와 수지 C를 3: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CO의 혼합비: 75 중량%]를 사용하여 장벽층을 만든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3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수지 E와 수지 F와 수지 C를 3:3:2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CO의 혼합비: 75 중량%]를 사용하여 장벽층을 만든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3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장벽층의 수지 E 대 수지 A의 혼합비를 1:1로 바꾼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CO의 혼합비: 50 중량%], 다층 필름(총 두께: 23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가요성 층의 두께를 100㎛로 바꾸고 밀봉층의 두께를 90㎛로 바꾼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3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수지 A, 수지 H와 수지 I와 수지 D를 25:70: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HDPE의 혼합비: 5 중량%], 수지 G와 수지 A를 3: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혼합 수지 및 수지 B를 각각 표면층, 가요성 층, 장벽층 및 밀봉층으로서 사용하였다.
표면층, 가요성 층, 장벽층 및 밀봉층을 이러한 순서대로 겹치고, 수냉식 공압출 팽창법을 사용하여, 240㎛의 총 두께를 갖는 다층 필름(상기 순서일 때 표면층으로부터 보면, 각 성분층은 20㎛, 150㎛, 20㎛ 또는 50㎛의 두께를 가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 필름을 사용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약제 백(1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표면층의 두께, 가요성 층의 두께, 장벽층의 두께 및 밀봉층의 두께를 각각 20㎛, 130㎛, 10㎛ 및 80㎛로 바꾼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4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표면층의 두께, 가요성 층의 두께, 장벽층의 두께 및 밀봉층의 두께를 각각 20㎛, 160㎛, 10㎛ 및 50㎛로 바꾼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4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3
표면층의 두께, 가요성 층의 두께, 장벽층의 두께 및 밀봉층의 두께를 각각 20㎛, 120㎛, 10㎛ 및 90㎛로 바꾼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필름(총 두께: 240㎛)을 제조하고 약제 백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의 층 구조가 표 1 및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4 5 6 7 1 2
표면층
수지의 종류 A A A A A A A A A
두께(㎛) 20 20 20 20 20 20 20 20 20
가요성 층
수지의 종류 C C+D C+D C+D C+D C+D C+D C C
혼합비(중량비) - 95:5 95:5 95:5 95:5 95:5 95:5 - -
HDPE의 구성비율(중량%) - 5 5 5 5 5 5 - -
두께(㎛) 170 175 175 160 155 175 175 170 100
장벽층
수지의 종류 E+A F+C F+C F+C F+C E+C E+F+C E+A E+A
혼합비(중량비) 3:1 3:1 3:2 3:1 3:1 3:1 3:3:2 1:1 3:1
CO의 구성비율(중량%) 75 75 60 75 75 75 75 50 75
두께(㎛) 30 20 20 20 40 20 20 30 20
밀봉층
수지의 종류 A B B B B B B A A
두께(㎛) 10 15 15 30 15 15 15 10 90

실시예 비교실시예
8 9 10 3
표면층
수지의 종류 A A A A
두께(㎛) 20 20 20 20
가요성 층
수지의 종류 H+I+D H+I+D H+I+D H+I+D
혼합비(중량비) 25:70:5 25:70:5 25:70:5 25:70:5
HDPE의 구성비율(중량%) 5 5 5 5
두께(㎛) 150 130 160 120
장벽층
수지의 종류 G+A G+A G+A G+A
혼합비(중량비) 3:1 3:1 3:1 3:1
CO의 구성비율(중량%) 75 75 75 75
두께(㎛) 20 10 10 10
밀봉층
수지의 종류 B B B B
두께(㎛) 50 80 50 90

표 1 및 표 2에서, "C+D"는 2종 이상의 수지(예를 들면 이 경우에는 수지 C 및 수지 D)가 혼합되어 혼합 수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C, D"는 2종 이상의 수지(예를 들면 이 경우에는 수지 C 및 수지 D)가 적층됨을 의미한다.
평가시험
시험실시예 1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각 약제 백(약제 용기)에 0.005% 니트로글리세린 용액 100㎖를 채우고, 고압하 106℃에서 40분 동안 증기 멸균시키고, 이어서 60℃에서 2주일 동안 저장하였다. 저장 동안에는, 용기를 수평한 표면위에 올려놓아진 상태로 정치시키며, 니트로글리세린 용액과 용기 사이의 접촉 면적을 약 160㎠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2주일 동안 저장 후 용액중 니트로글리세린의 농도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측정하고, 이렇게 얻은 농도 대 초기 농도(0.005%)의 비를 결정하여 잔존률(%)을 얻었다.
대조물로서, 유리 앰플에 0.005% 니트로글리세린 용액 100㎖를 채우고, 동일한 조건에서 저장한 후 잔존률(%)을 결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대조물의 잔존률(%)과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의 잔존률 사이의 차이(포인트)를 결정하였다.
시험실시예 2
니트로글리세린 용액 대신에 0.005% 이소소르비드 니트레이트 용액을 사용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시험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압 증기 멸균 및 60℃에서 2주일 동안의 저장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시험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2주일 동안 저장 후 용액중 이소소르비드 니트레이트의 농도를 HPLC에 의해 측정하고, 이렇게 얻은 농도 대 초기 농도의 비를 결정하여 잔존률(%)을 얻었다.
시험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 앰플을 사용한 대조시험을 수행하고, 이러한 대조물의 잔존률(%)과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의 잔존률 사이의 차이( 포인트)를 결정하였다.
시험실시예 3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실시예 3에서 얻은 약제 백(약제 용기)에 대해서, 시험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3에 명시되어 있다.
잔존률(대조물과의 차이(포인트))
시험실시예 1 (니트로글리세린 용액) 시험실시예 2 (이소소르비드 니트레이트 용액)
실시예 1 97.0%(+0.1) 98.6%(-0.2)
실시예 2 96.0%(-0.9) 96.6%(-2.2)
실시예 3 93.0%(-3.9) 95.5%(-3.3)
실시예 4 95.8%(-1.1) 96.7%(-2.1)
실시예 5 96.4%(-0.5) 97.9%(-0.9)
실시예 6 96.8%(-0.1) 98.8%(0)
실시예 7 96.2%(-0.7) 98.1%(-0.7)
실시예 8 - 98.6%(-0.2)
실시예 9 - 97.0%(-1.8)
실시예 10 - 98.5(-0.3)
비교실시예 1 85.1%(-11.8) 92.3%(-6.5)
비교실시예 2 83.2%(-13.7) 92.0%(-6.8)
비교실시예 3 - 92.8%(-6.0)
대조물 96.9% 98.8%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에서 사용된 다층 필름 및 실시예 1 내지 7의 약제 백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에 해당한다.
표 3에 도시된 잔존률 결과에 명백하게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7의 약제 용기에서는, 약제의 흡착량이 최소로 감소되었다. 예를 들면 흡착량(잔존률)은 유리 앰플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많았다. 더우기, 실시예 1 내지 7의 모든 약제 용기는 약제 용기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 며, 탁월한 가요성 및 탁월한 내열성을 가졌다. 약제 용기(특히 밀봉층)는 주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것은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안전성에 있어 탁월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장벽층이 소량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비교실시예 1과, 약제액와 직접 접촉하는 밀봉층이 너무 두꺼운 비교실시예 2에서, 약제의 흡착량은 매우 많았다.
표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8 내지 10에서 사용된 다층 필름 및 실시예 8 내지 10의 약제 백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에 해당한다.
표 3에 도시된 잔존률 결과에 명백하게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8 내지 10의 약제 용기에서는, 약제의 흡착량이 최소로 감소되었다. 더우기, 밀봉층이 충분한 두께를 갖기 때문에, 약제 용기 자체는 내구성이 현저히 탁월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밀봉층이 너무 두꺼운 비교실시예 3의 약제 용기에서, 약제의 흡착량은 매우 많았다.
상기 결과에 명백하게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는 약제 및 약제액을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한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폴리에틸렌에 흡착되기 쉬운 약제를 예비-혼합하는 용도에서,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장벽층, 저밀도 에 틸렌-α-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가요성 층, 고밀도 에틸렌-α-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표면층, 및 장벽층의 외부 표면에 제공되어 장벽층을 덮는 밀봉층을 포함한다. 다층 필름은 장벽층에 의해 약제의 흡착을 억제할 수 있고, 탁월한 강도 및 탁월한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약제 용기의 제조를 위한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10)

  1. 0.935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10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 표면층,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100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가요성 층,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0.900 내지 0.965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만들어진, 1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 장벽층, 및 0.910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5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 밀봉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층이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40 내지 0.970 g/㎤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0 중량% 이하가 혼합됨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층이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층과;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40 내지 0.970 g/㎤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0 중량% 이하가 혼합됨으로써 얻어진 물질로 만들어진 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층에 사용된,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다층 필름.
  5. 제 2 항에 있어서, 가요성 층에 사용된, 0.860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0.860 내지 0.91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0.910 내지 0.940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인 다층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장벽층에 사용된, 0.900 내지 0.965 g/㎤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다층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130 내지 300 ㎛의 총 두께를 갖는 다층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층이 5 내지 40 ㎛의 두께를 갖는 다층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층이 4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 다층 필름.
  10. 제 1 항의 다층 필름을, 그의 표면층이 약제 용기의 외부 표면을 구성하도록, 사용하여 이루어진 약제 용기.
KR1020047018473A 2002-05-17 2003-05-09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 KR100610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3342 2002-05-17
JPJP-P-2002-00143342 2002-05-17
JP2002336859 2002-11-20
JPJP-P-2002-00336859 2002-11-20
PCT/JP2003/005808 WO2003097355A1 (en) 2002-05-17 2003-05-09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618A KR20040111618A (ko) 2004-12-31
KR100610290B1 true KR100610290B1 (ko) 2006-08-09

Family

ID=2955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473A KR100610290B1 (ko) 2002-05-17 2003-05-09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507662B1 (ko)
JP (1) JP4732751B2 (ko)
KR (1) KR100610290B1 (ko)
CN (1) CN100377871C (ko)
AT (1) ATE307719T1 (ko)
AU (1) AU2003235910B2 (ko)
CA (1) CA2485831C (ko)
DE (1) DE60302066T2 (ko)
DK (1) DK1507662T3 (ko)
EG (1) EG24596A (ko)
ES (1) ES2247537T3 (ko)
MY (1) MY134275A (ko)
TW (1) TWI232171B (ko)
WO (1) WO20030973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086B1 (ko) 2019-09-24 2020-10-16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합성수지제 용기의 내부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7609B2 (ja) * 2005-02-08 2011-01-0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液バッグ、薬液バッグ収容体および薬液バッグ収容体の製造方法
US20070026173A1 (en) * 2005-07-27 2007-02-01 Owens-Illinois Healthcare Packaging Inc. Multilayer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5973118B2 (ja) * 2005-11-10 2016-08-23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ピラゾロン化合物含有水溶液が充填されたプラスチック容器
JP5493115B2 (ja) 2006-06-28 2014-05-14 藤森工業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5052833B2 (ja) * 2006-07-13 2012-10-17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JP5340909B2 (ja) * 2007-02-23 2013-11-13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および容器
US8328783B2 (en) 2007-07-20 2012-12-11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Drug container and multilayer film
WO2009049460A1 (fr) * 2007-10-15 2009-04-23 Jiangsu Hengrui Medicine Co., Ltd. Nouveau matériau conditionné de sévoflurane
KR101493833B1 (ko) 2007-11-22 2015-02-16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환상 폴리올레핀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용기
AU2007363011B2 (en) * 2007-12-20 2012-08-09 Hosokawa Yoko Co., Ltd. Multilayered body for medical containers and medical container
EP2266521B1 (en) 2008-03-14 2013-08-28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Plastic ampule
JP5587597B2 (ja) * 2008-12-19 2014-09-10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体
JP5462694B2 (ja) * 2010-04-26 2014-04-02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容器
JP5462697B2 (ja) * 2010-04-28 2014-04-02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当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容器
JP5467074B2 (ja) * 2011-05-23 2014-04-09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CN103958177B (zh) * 2011-09-01 2016-03-23 2266170安大略公司 多层材料和容器以及制造容器的方法
FR3026095B1 (fr) * 2014-09-19 2016-12-09 Roquette Freres Procede de conditionnement d'un dianydrohexitol, solution aqueuse de dianhydrohexitol conditionnee et ses utilisations
US10155615B2 (en) * 2016-09-26 2018-12-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eal bar and process for using same
JP6642377B2 (ja) * 2016-10-25 2020-02-05 ニプロ株式会社 液体製剤、及び、パロノセトロンの安定性を向上する方法
US11905397B2 (en) 2017-08-23 2024-02-2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containing ethylene-based polymer and cycloolefin interpolymer, and films formed from the same
CA3084961A1 (en) 2017-12-08 2019-06-13 Fujimori Kogyo Co., Ltd. Package
JP7216027B2 (ja) * 2018-02-05 2023-01-31 藤森工業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プラスチック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435B2 (ja) * 1990-03-27 2000-11-20 三菱化学株式会社 医療液体用袋
JP3052398B2 (ja) * 1991-02-21 2000-06-12 昭和電工株式会社 医療用バッグ
JP3021258B2 (ja) * 1992-12-04 2000-03-1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CN1058453C (zh) * 1992-12-04 2000-11-15 株式会社大塚制药工厂 多层薄膜及容器
JP3075144B2 (ja) * 1995-06-26 2000-08-07 東洋製罐株式会社 保香性包装体
MY117691A (en) * 1997-07-17 2004-07-31 Otsuka Pharma Co Ltd Multilayer film and container
JP3951376B2 (ja) * 1997-08-28 2007-08-01 東洋製罐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を含む積層体
EP0968817A3 (de) * 1998-06-29 2000-04-05 Ticona GmbH Thermoformbare Verbundfolie
JP3968928B2 (ja) * 1998-10-22 2007-08-29 凸版印刷株式会社 低溶出包装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3607103B2 (ja) * 1998-12-14 2005-01-0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および容器
JP2003024415A (ja) * 2001-05-10 2003-01-28 Eisai Co Ltd 注射剤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086B1 (ko) 2019-09-24 2020-10-16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합성수지제 용기의 내부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507662T3 (da) 2006-01-30
CN100377871C (zh) 2008-04-02
ATE307719T1 (de) 2005-11-15
CA2485831A1 (en) 2003-11-27
KR20040111618A (ko) 2004-12-31
CA2485831C (en) 2008-07-08
TWI232171B (en) 2005-05-11
WO2003097355A1 (en) 2003-11-27
TW200400113A (en) 2004-01-01
DE60302066D1 (de) 2005-12-01
EP1507662A1 (en) 2005-02-23
JP2005525952A (ja) 2005-09-02
ES2247537T3 (es) 2006-03-01
AU2003235910A1 (en) 2003-12-02
JP4732751B2 (ja) 2011-07-27
AU2003235910B2 (en) 2007-09-20
CN1652935A (zh) 2005-08-10
MY134275A (en) 2007-11-30
DE60302066T2 (de) 2006-07-13
EG24596A (en) 2009-12-13
EP1507662B1 (en)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290B1 (ko)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약제 용기
US8029885B2 (en)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US9956203B2 (en) Plastic container comprising cyclic polyolefin layer
KR101430772B1 (ko) 액체 수납용기
KR101150566B1 (ko) 의료용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의료용 백
EP2330048B1 (en) Multilayered liquid container
EP2127866B1 (en) Multilayer film and container
KR101450368B1 (ko) 약제 용기 및 다층 필름
WO2009081462A1 (ja)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JP7240435B2 (ja) 積層体及び容器
JP2023052479A (ja) 積層体およびプラスチック容器
JP2022115886A (ja) 薬液収容プラスチック容器
KR102665924B1 (ko) 플라스틱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