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802A - 폐기물 분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분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802A
KR20090018802A KR1020087029478A KR20087029478A KR20090018802A KR 20090018802 A KR20090018802 A KR 20090018802A KR 1020087029478 A KR1020087029478 A KR 1020087029478A KR 20087029478 A KR20087029478 A KR 20087029478A KR 20090018802 A KR20090018802 A KR 2009001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hamber
particles
substrat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746B1 (ko
Inventor
브요른 부
Original Assignee
놀스크 바이오게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놀스크 바이오게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놀스크 바이오게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9001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02C2023/165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는, 장치의 내부 챔버로의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입구로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유연한 패키징,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그물망 및 결속 끈, 그리고 금속 및 유리 등과 같은 이물을 포함할 수 있는, 입구;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공구를 구비하는 회전 샤프트로서, 상기 공구가 상기 샤프트의 원주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공구들이 무딘 형상을 갖는, 회전 샤프트; 상기 챔버 내에 장착되는 고정부로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공구의 대응 공구로 작용하는, 고정부; 밀링된 입자용 배출구; 상기 이물용 배출기로서, 상기 공구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거리는, 더 작은 단편으로 분쇄하기 위해 폐기물의 고형부에 밀링 효과를 실행하게 하는 크기로 되는 반면, 상기 거리의 범위는 밀링 효과가 플라스틱과 같은 폐기물의 더 유연한 부분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용 배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물 분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WASTE MATERIAL}
본 발명은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이 장치는 특정한 입자 크기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organic waste)을 얻기 위해 폐기물을 분류, 세척 및 밀링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은 유기성 폐기물을 바이오 가스 플랜트에서 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요구이다. 이 장치에 의해 제조된 유기성 입자는 종종 바이오 가스 기판으로서 사용된다. 입자의 크기에 대한 필요 조건이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또한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사용되기 전에 기판이 위생화(바람직하게는 살균화)되도록 하는 필요 조건이 또한 존재할 것이다.
오늘날 폐기물로부터 바이오 가스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몇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수 있는 2가지 원리는 펄프화 기술(pulping technique) 및 밀링 프로세스이다.
펄프화 기술은 상이한 규모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심하게 오염된 폐기물 을 취급할 수 있다. 이는 작동 모드에 있는 혼합기와 공통점이 있다. 폐기물은 액체와 합쳐져 탱크 내에서 혼합된다. 플라스틱과 같은 저중량 폐기물은 상부로 떠오른 후 제거될 것이다. 금속 등과 같이 더 무거운 폐기물은 바닥으로 가라앉을 것이다. 유기성 폐기물은 탱크의 중간에 머무를 것이며 그곳에서 나이프에 의해 잘린다. 이러한 기술은 고가이며, 진행중에 많은 액체가 추가되기 때문에 낮은 건조 고형값(dry solids value)을 갖는다. 용어 건조 고형값은 기판의 얼마나 많은 부분이 에너지 함량(energy content)을 갖는지를 지칭한다. 낮은 건조 고형값은 보다 많은 운송 비용을 피하기 위해 펄프화 플랜트가 바이오 가스 플랜트에 인접하여 위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통상적인 밀링 장치는 일련의 나이프와 스크린(screen)을 통해 원료를 급송하는 급송 스크류(feed screw)를 갖는다. 원료는 일련의 회전하는 나이프를 통해 강제되고, 이 나이프는 원료를 미세한 질량으로 자르며, 그 후 미세한 질량은 스크린을 통해 외부로 가압된다. 스크린의 구멍에 대한 정확한 직경을 가짐으로써, 과도하게 큰 입자가 완성 제품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링 프로세스는 미세하게 선별된(finely-screened) 원료를 필요로 한다. 밀링 프로세스시 금속 또는 유리와 같은 비-유기성 물질 및 큰 입자가 추가되는 것은 중단 또는 장치의 파손을 초래할 것이다.
특허 문헌으로부터, 바이오 가스 기판을 제조하기 위해 산업용 프로세스시 펄프화 및 밀링 기술을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몇몇 공보가 공지되어 있다.
WO2005061114에는 습식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플랜트가 설명된다. 이 플랜트는 몇몇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며, 이 스테이션에서 유기성 폐기물은 먼저 밀(mill) 내에서 처리되고, 밀은 유기성 폐기물 및 플라스틱을 특정한 입자 크기로 거칠게 자른다. 폐기물이 금속을 포함하여야 하는 경우, 밀이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탄성 카운터-강(resilient counter-steel)이 사용된다. 밀을 지나서, 밀링된 물질은 입자를 더 작은 입자로 분해하는 유닛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분해 프로세스는 원뿔형 용기에서 입자에 액체를 추가함으로써 실행되며, 이러한 용기의 바닥에는 높은 회전 속도 및 톱날형 치형(saw blade-shaped teeth)을 갖는 공구가 존재한다. 이 프로세스(펄프화 프로세스)에서, 혼합물의 유기성 폐기물은 더 작은 입자로 분쇄되고, 플라스틱은 다소 큰 입자로 분쇄되는 반면, 무거운 물체는 용기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무거운 물체는 제외하고, 혼합물은 후속 스테이션으로 전달되며, 후속 스테이션에서 플라스틱은 나선 분리기(screw separator)에 의해 선별된다.
또한, WO03092922에는 만족스러운 프로세스를 얻기 위해 액체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플랜트가 설명된다. 이 플랜트에서 프로세스는 또한 몇몇 스테이션의 단(stage)에서 실행된다. 제 1 단에서 수분이 첨가되어 폐기물과 혼합되며, 후속 단에서 습식 폐기물은 수분이 고온 증기로 전환될 때까지 가열되며, 이에 따라 폐기물이 가열되어 낮은 수분 함량을 갖는 펄프(pulp)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WO03092922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는 펄프화 프로세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건식 고형물 함량(dry solids content)을 갖는 바이오 가스 기판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장치는 장치 내부로 급송되는 폐기물 혼합물 내에 위치되는 이물(foreign objects)을 간단하게 선별할 수 있다. 이 장치의 특별한 이점은 장치내에 식품이 배치되기 전에 식품으로부터 패키징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점이다. 이 장치는 플라스틱, 그물망(netting) 및 종종 우둔심(round meat)에 사용되는 결속 끈(binding twine), 금속 및 유리 패키징 등과 같이, 많은 상이한 패키징 범주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종류의 폐기물 처리에 대해, 폐기물과 혼합된 플라스틱의 분리가 까다로운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을 간단히 분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플라스틱을 취급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그물망 및 결속 끈과 같이 상이한 유형의 유연한 패키징을 취급할 수도 있음이 밝혀졌다. 이하, 단순성을 위해 이 장치는 플라스틱의 취급에 대해 설명될 것이지만, 보호 범주는 모든 유형의 유연한 패키징을 또한 포함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에서, 플라스틱 물질은 폐기물의 나머지와 함께 작은 단편으로 밀링된다. 플라스틱은 그 후 별도의 프로세스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른바 일체형 장치이다. 이는 이 장치가 종래 기술에 따라서는 상이한 스테이션에 의해 또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더 큰 플랜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몇몇 장치에 의해 취급되는 몇몇 기능들을 실행함을 의미한다. 다기능 장치는 바이오 가스 기판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유기성 입자를 생산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또한 추가의 처리로 보내지기 전에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이물을 분리하고 이물을 깨끗하게 세척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대해, 이물은 플라스틱, 유리 및 금속으로 된 요소를 지칭하며, 이들은 종종 장치 내부로 급송되는 유기성 폐기물과 함께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WO2005061114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한 예비 분류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 처리되어야 하는 폐기물은 장치 내부로 급송되며, 이 장치 내부에서 유기성 폐기물은 작은 크기의 입자로 처리되는 반면,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이물이 분리되고 금속 및 유리와 같은 다른 이물로부터 플라스틱 물질이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면, 유기성 폐기물을 적절한 입자 크기로 분해하기 위해 예를 들면 물과 같은 액체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장치 내에서 폐기물이 가열될 필요도 없다. 상기 공보에서 설명된 프로세스에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위해 및 일부 경우에는 폐기물이 가열되도록 액체가 추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열을 위해 물을 추가하거나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교적 많은 재정 절감이 수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건식 유기성 폐기물이 습식 폐기물, 예를 들면 쿠킹 오일, 혈액, 또는 높은 수분 함량을 갖는 다른 폐기물과 혼합되는 점에 기초한다. 습식 유기성 폐기물은 장치 내의 건식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도록 도울 것이다.
이 장치는 입구를 갖도록 설계되며, 이 입구에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금속 및 유리와 같은 이물을 또한 포함할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이 챔버의 내부로 급송된다. 챔버의 내부에는 회전 샤프트가 장착된다. 샤프트는 하나 이상의 공구를 구비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샤프트의 원주에 배치되는 몇몇 공구를 구비한다. 공구/공구들은 형상이 무디다. 또한, 챔버에는 고정부가 장착된다. 고정부는 공구의 카운터-공구(counter-tool)로 작용한다. 또한, 장치는 이물용 배출기뿐만 아니라 기판용 배출구를 갖는다. 밀링 공구와 고정부 사이의 거리는, 폐기물의 고형부(soild parts)가 공구와 카운터-공구 사이를 지날 때, 더 작은 단편으로 분쇄하기 위해 폐기물의 고형부에 밀링 효과(milling effect)를 얻도록 조정된다. 그러나 이 거리는 유연한 패키징,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 그물망/육류 패키징용 결속 끈과 같이 유연한 부분에 분쇄 효과(grinding effect)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정된다.
장치 내에서 하기의 프로세스가 일어난다: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이 챔버 내에서 함께 혼합되며, 이러한 혼합은 바람직하게 샤프트의 운동에 의해 제공된다. 폐기물의 고형부는 더 작은 부분으로 밀링되고, 유기성 폐기물의 습식부는 챔버 내에서 고형 유기성 입자를 분해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유리 및 금속과 같은 특정한 비율의 이물은 더 작은 부분으로 또한 분쇄될 것이다. 플라스틱 물질은 밀링되지 않는데, 이는 공구와 카운터-공구 사이의 거리가 너무 크고 공구가 무딘 형상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물질은 실질적으로 그 크기를 유지한다. 유기성 폐기물 입자가 특정한 크기로 밀링될 때, 이들 입자는, 배출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밀링된 이물(유리 및 금속)의 일부와 함께, 장치 내에 제공된 배출구를 통해 방출된다. 더 큰 크기의 이물은 장치의 챔버내에 남아 있으며, 플라스틱과 함께 장치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공구와 고정부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10㎜일 것이나, 장치 내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물질의 유형에 따라 다른 치수가 선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거리는 예를 들면 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 공구에 의해 조정될 수 있거나, 조정에 대한 가능성이 다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공구를 구비할 것이며, 복수의 공구는 샤프트의 원주를 따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기판용 배출구가 장치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또한, 격자(grid) 또는 스크린(screen)이 배출구 바로 위에 장착된다. 바이오 가스 기판의 입자 크기가 1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 공공 요건이 존재한다. 이 요건은 이 장치에 의해 충족된다. 스크린의 개구의 크기는, 예를 들면 4㎜ 내지 25㎜ 범위 이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스크린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된 크기의 입자로 분쇄되는 금속 및 유리는 배출구를 통해 방출될 것이지만, 그 후 가라앉아 후속 처리 탱크의 바닥 상에 침전될 것이다.
폐기물이 장치에 추가될 때, 유기 질량 덩어리 및 이물이 발달되어 챔버를 채울 것이다. 이는 프로세스가 작동하는 것을 중지시킬 것이며, 이들 덩어리를 분쇄하고 이물을 제거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물은 추가의 처리가 예정되기 때문에, 선별되기 전에 세척되는 것이 중요하다. 세척 프로세스가 없으면 이물은 매우 끈적여서 처리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또한,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이유로, 가능한 많은 값비싼 유기성 물질을 남겨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을 세척하는 것은 노즐에 의해 실행되며, 노즐은 챔버 내부로 고온 증기를 도입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이물용 배출기가 장치의 상부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회전 샤프트의 바로 위의 측벽에 배치된다.
이물이 세척되어야 할 때, 장치의 챔버로의 폐기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반면, 샤프트는 계속해서 회전한다. 고온 증기는 노즐을 통해 방출되며 이물에 들러붙은 유기성 폐기물을 세척한다. 세척된 유기성 폐기물은 배출구를 통해 방출된다. 챔버 내에 수집된 플라스틱 물질은 샤프트의 운동을 따르며, 바이오 가스 기판과 같이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어야 하는 너무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예를 들면 금속 및 유리의 이물과 함께 배출기로부터 방출된다. 이에 따라 장치는 자동식이며, 그 결과 수동 제어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랩(flap)의 형태일 수 있는 배출기의 외면상에 폐기물을 수집하고 멀리 운반하기 위한 장치가 장착된다. 장치의 챔버가 비어있을 때, 배출기는 폐쇄되며 입력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에 의해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2가지 상이한 측면도와 더불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장치의 세부도와 더불어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폐기물을 분류, 밀링 및 세척하기 위한 장치(1)가 도시된다. 입구(2)는 장치의 상부에 제공된다. 플라스틱, 결속 끈, 금속, 유리 및 다른 패키징과 같은 이물과 혼합되는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과 같은 모든 유형의 폐기물 이 장치의 내부 챔버(3)를 향해 입구(2) 내부로 급송된다. 내부 챔버(3) 내에는 회전 샤프트(4)가 장착되며, 회전 샤프트 상에는 샤프트(4)의 원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몇몇 공구(5)가 부착된다. 샤프트(4)는 모터(10)에 의해 구동되며 베어링(11) 상에 장착된다. 장치는 카운터-공구(6)를 더 구비한다. 샤프트의 공구(5)는 카운터-공구(6)에 대한 간격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조정된다. 이러한 거리는 변화할 수 있지만, 5㎜ 내지 10㎜의 거리가 바람직할 것이다. 샤프트의 공구(5)는 형상이 무디다. 카운터-공구(6)에 대한 거리뿐 아니라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절단 효과는 없지만 공구(5)와 카운터-공구(6) 사이를 지난 폐기물 내의 고형 입자상에 밀링 효과(milling effect)가 존재한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 금속 및 유리와 같은 상이한 종류의 폐기물은 더 작은 단편으로 분쇄될 것이다.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 모두로 채워지는 챔버(3)는 유기성 폐기물의 파쇄(fragmentation)에 추가로 기여한다. 이러한 폐기물의 혼합에 의해 습식 폐기물로부터의 수분은 건식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것을 도우며, 프로세스에 추가의 액체를 더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공구(5)와 카운터-공구(6) 사이의 거리는 공구(5)의 무딘 형상과 함께 플라스틱, 끈, 음식물을 둘러싸는데 사용되는 그물망과 같은 패키징이 더 작은 단편으로의 분쇄 없이 공구들 사이를 지나도록 하여서, 챔버 내에서 자신의 원래 크기를 실질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챔버의 바닥에는 개구를 구비하는 스크린(8) 또는 체가 위치되며, 각각의 개구는 바람직하게 4㎜ 내지 25㎜의 크기를 갖는다. 이 스크린(8)은 스크린의 개구의 크기에 맞는 크기로 밀링되는 유기성 입자 및 금속과 유 리 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로부터 입자는 배출구(9)를 통해 저장 탱크로 방출된다. 스크린(8)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는 크기의 분쇄된 유리 및 금속 입자는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어 저장 탱크의 바닥에 가라앉을 것이다.
장치의 챔버가 폐기물로 채워질 때, 유기 질량 덩어리뿐 아니라 이물의 축적이 챔버 내에서 증대될 것이다. 작은 입자의 유기 질량의 분리는 더 이상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않을 것이다. 이때 폐기물 분류가 계속될 수 있기 전에 챔버로부터 이물의 퍼지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 후, 챔버로의 폐기물 공급은 중단될 것이다. 고온 증기가 노즐(7)을 통해 챔버로 추가된다. 증기로 인해 유기 질량은 분쇄되어 배출구(9)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어진다. 동시에 이물은 추가의 처리로 진행되기 전에 깨끗하게 세척된다. 샤프트는 챔버의 내용물이 세척되는 동안 계속해서 회전한다. 샤프트의 회전은 챔버 내에 위치된 남아 있는 이물(플라스틱, 끈, 그물망, 유리, 금속 등)이 장치의 상부의 배출기(12)를 통해 버려지게 한다. 이 단계에서의 목적은 챔버가 이물을 비우는 것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 후, 챔버는 다시 추가의 분류 및 처리를 위해 폐기물을 수용할 준비가 된다.

Claims (9)

  1.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장치의 내부 챔버로의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입구로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유연한 패키징,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그물망 및 결속 끈, 그리고 금속 금속 및 유리 등과 같은 이물을 포함할 수 있는, 입구,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공구를 구비하는 회전 샤프트로서, 상기 공구가 상기 샤프트의 원주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공구들이 무딘 형상을 갖는, 회전 샤프트,
    상기 챔버 내에 장착되는 고정부로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공구의 카운터-공구로 작용하는, 고정부,
    밀링된 입자용 배출구,
    상기 이물용 배출기로서, 상기 공구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더 작은 단편으로 분쇄(grinding)하기 위해 폐기물의 고형부에 밀링 효과(milling effect)를 실행하게 하는 크기로 되는 반면, 상기 거리의 범위는 밀링 효과가 플라스틱과 같은 폐기물의 더 유연한 부분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용 배출기를 포함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거리가 5㎜ 내지 10㎜이며, 조정 가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가 상기 샤프트의 원주를 따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된 입자용 배출구가 상기 장치의 바닥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용 배출기가 상기 장치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샤프트 바로 위의 측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 크기의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screen)이 기판용 상기 배출구 상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크기는 4㎜ 내지 25㎜에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가 상기 챔버 내부로 고온 증기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장치.
  8.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연한 패키징,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그물망 및 결속 끈, 그리고 금속 및 유리 등과 같은 이물을 포함하는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이 장치의 내부 챔버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습식 및 건식 유기성 폐기물이 상기 챔버내에서 함께 혼합되며, 상기 혼합이 바람직하게 샤프트의 운동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
    상기 폐기물의 고형부가 하나 이상의 밀링 공구에 의해 밀링되고, 상기 밀링 공구가 무딘 형상을 가지며 회전 샤프트의 원주 상에 장착되고, 상기 챔버 내에 장착된 고정부와 상호 작용하며, 이때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습식부가 상기 챔버 내에서 고형 유기성 입자를 분해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플라스틱, 그물망 등과 같은 상기 폐기물의 더 유연한 부분은 밀링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자신의 크기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유기성 폐기물 입자가 특정한 크기로 밀링될 때, 상기 유기성 폐기물 입자가 상기 장치 내에 제공된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방법.
  9. 상기 챔버에서 비유기성 폐기물을 제거하고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8 항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챔버로의 폐기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샤프트가 회전하며,
    상기 챔버 내에 남아 있는 이물에 들러붙은 유기성 폐기물을 세척하기 위해 상기 챔버 내에 제공된 노즐을 통해 고온 증기가 방출되며,
    상기 세척된 유기성 폐기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고,
    상기 장치 내에 제공되는 배출기가 개방되며,
    남아 있는 상기 이물이 상기 샤프트의 운동을 따르며 상기 배출기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가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기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기판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87029478A 2006-05-02 2007-04-30 폐기물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1296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61940A NO326890B1 (no) 2006-05-02 2006-05-02 Sorteringsmaskin
NO20061940 2006-05-02
PCT/NO2007/000152 WO2007129900A1 (en) 2006-05-02 2007-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wast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802A true KR20090018802A (ko) 2009-02-23
KR101296746B1 KR101296746B1 (ko) 2013-08-20

Family

ID=3866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478A KR101296746B1 (ko) 2006-05-02 2007-04-30 폐기물 분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8657216B2 (ko)
EP (1) EP2024094B1 (ko)
JP (1) JP5187772B2 (ko)
KR (1) KR101296746B1 (ko)
CN (1) CN101437622B (ko)
AP (1) AP2584A (ko)
AU (1) AU2007249034B2 (ko)
BR (1) BRPI0711129A2 (ko)
CA (1) CA2651056C (ko)
EA (1) EA014093B1 (ko)
GE (1) GEP20115284B (ko)
HK (1) HK1132957A1 (ko)
IL (1) IL195048A (ko)
MX (1) MX2008013781A (ko)
NO (1) NO326890B1 (ko)
NZ (1) NZ573011A (ko)
UA (1) UA92797C2 (ko)
WO (1) WO2007129900A1 (ko)
ZA (1) ZA2008098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5972B (zh) * 2010-07-29 2014-07-02 绿色科技有限公司 干燥装置
ES2471716B1 (es) * 2012-12-21 2015-03-31 Fundación Para Las Tecnologías Auxiliares De La Agricultura Instalación para separar residuos plásticos de residuos orgánicos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EP3215463B1 (en) * 2014-11-06 2023-10-18 CRI-Man S.p.A. A device for drying and sanitising organic waste material
CN107953483A (zh) * 2017-10-16 2018-04-24 福建汇利丰环保科技有限公司 废利乐包塑料回收工艺
US11369973B2 (en) * 2017-11-14 2022-06-28 Eco Tec Miner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milling and separation of solids and granular materials including metal containing materials as well as phytogenic materials with high level of silicon in a controlled airflow
CN109289974B (zh) * 2018-11-06 2020-10-30 徐州亚苏尔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陶瓷生产用原料加工工艺
CN109513480B (zh) * 2018-11-28 2020-10-16 滨州职业学院 一种化工物料粉碎干燥装置
NL2022846B1 (en) * 2019-04-01 2020-10-08 Pharmafilter B V Separator and method of separating.
CN111468225A (zh) * 2020-04-14 2020-07-31 蓝仙松 一种废旧型砂破碎清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2828A (en) * 1939-05-06 1941-02-25 Fred M Roddy Rotary cutting machine
US3761024A (en) * 1971-06-30 1973-09-25 J Schwey Apparatus for processing raw organic material into clean, sterilized powder, meal or flakes
US3826433A (en) * 1973-06-01 1974-07-30 Us Agriculture Process for removing bark from wood chips
US4000860A (en) * 1975-11-13 1977-01-04 Leesona Corporation Size reduction apparatus
ATE27625T1 (de) * 1982-04-19 1987-06-15 Bert Steffe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ennung von zellstofflocken von deren umhuellungen von zellstoff-hygieneartikeln.
DE3214294C1 (de) * 1982-04-19 1984-01-05 Bert 5470 Andernach Steffens Verfahren zur Rueckgewinnung von Zellstofflocken und flaechigen Umhuellungen aus Zellstoff-Hygieneartikeln
DE3343788A1 (de) * 1983-12-03 1985-06-13 Bert 5470 Andernach Steffe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ennung von produkten oder werkstoffmischungen aus faserigen werkstoffen und nichtfaserigen werkstoffen
RU1787531C (ru) 1990-05-15 1993-01-15 Воронежски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им.К.Д.Глинки Дробилка кормов
SU1741903A1 (ru) 1990-07-10 1992-06-23 Воронежски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им.К.Д.Глинки Дробилка кормов
DE4031928C2 (de) * 1990-10-09 2000-09-21 Babcock Energie Umwelt Rohrmühle
DE4400297C2 (de) * 1994-01-07 1996-01-11 Eco Umwelttechnik Vertriebs Gm Einrichtung zum Zerkleinern
JP3000347U (ja) * 1994-01-21 1994-08-09 輝清 北澤 廃棄物処理装置
DE4433473A1 (de) * 1994-09-20 1996-03-21 Colortronic Gmbh Schneidmühle
DK0722671T3 (da) * 1994-12-21 2000-12-11 Nestle Sa Fødevarepulver
DE19500224A1 (de) 1995-01-05 1996-07-18 Dietmar Guschall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Mischkunststoffen
CN2248096Y (zh) * 1995-08-18 1997-02-26 北京市建筑材料科学研究院 玻璃纤维碎丝机
DE19600482A1 (de) * 1995-11-11 1997-05-15 Schaefer Elektrotechnik Sond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Bauteilen aus Mischkunststoffen und damit vermischten anderen Baustoffen sowie deren Anwendung
KR100235196B1 (ko) * 1997-08-21 1999-12-15 이명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3755982B2 (ja) * 1998-02-10 2006-03-15 株式会社クボタ 有機性廃棄物の再資源化方法
JPH11240015A (ja) * 1998-02-26 1999-09-07 Nkk Corp 塊状合成樹脂類の粒状化処理方法
US6073866A (en) * 1999-03-05 2000-06-13 Silver; James S.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pulverizing and cleaning brittle recyclable materials
EP1068904B1 (en) * 1999-06-24 2006-11-15 Donald E. Maynard Apparatus for granulating plastic
CN1299583A (zh) * 1999-12-15 2001-06-20 李仕清 一种收割机吸入式全封闭安全割台
JP2001334161A (ja) * 2000-05-26 2001-12-04 Fuji Kogyo Co Ltd 破砕機
JP3509714B2 (ja) 2000-07-27 2004-03-22 アタカ工業株式会社 生ごみ破砕分別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JP3666800B2 (ja) * 2000-12-18 2005-06-29 鹿島建設株式会社 生ごみ様廃棄物の異物分離装置
JP2002248623A (ja) * 2001-02-26 2002-09-03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のガラスとフイルムとの分離方法及びリサイクル方法
WO2002092229A1 (en) * 2001-05-17 2002-11-21 Rader Companies A hammermill
KR20010079302A (ko) * 2001-07-06 2001-08-22 홍순걸 음식물 찌꺼기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DE10137008C1 (de) 2001-07-28 2003-01-30 Foru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raktion aus Abfallstoffen, insbesondere aus Holz, und 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3093910A (ja) 2001-09-25 2003-04-02 Niigata Prefecture 破砕機の安全装置
SE0103499D0 (sv) * 2001-10-19 2001-10-19 Rapid Granulator Ab Granuleringskvarn
US7766263B2 (en) * 2001-10-19 2010-08-03 Rapid Granulator Ab Granulator mill
JP3682621B2 (ja) * 2001-11-12 2005-08-10 明治乳業株式会社 食品等の包装廃棄物の自動処理装置
GB2377900B (en) 2002-05-03 2003-06-18 John Alan Porter Treat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NO20035803L (no) 2003-12-23 2005-06-24 Geir Nordahl Fremgangsmate og innretning for forbehandling av kildesortert vatorganisk avfall
JP2007023187A (ja) * 2005-07-19 2007-02-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固形燃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601519B2 (ja) * 2005-08-30 2010-12-2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有機系燃料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11129A2 (pt) 2011-08-30
EA200870490A1 (ru) 2009-04-28
NO326890B1 (no) 2009-03-16
CA2651056C (en) 2013-10-29
UA92797C2 (ru) 2010-12-10
MX2008013781A (es) 2009-01-27
IL195048A (en) 2014-08-31
CN101437622B (zh) 2012-07-18
JP2009535209A (ja) 2009-10-01
US8657216B2 (en) 2014-02-25
EP2024094A1 (en) 2009-02-18
HK1132957A1 (en) 2010-03-12
JP5187772B2 (ja) 2013-04-24
CA2651056A1 (en) 2007-11-15
ZA200809870B (en) 2010-02-24
AP2584A (en) 2013-02-04
US20090101739A1 (en) 2009-04-23
WO2007129900A1 (en) 2007-11-15
KR101296746B1 (ko) 2013-08-20
CN101437622A (zh) 2009-05-20
NZ573011A (en) 2010-06-25
GEP20115284B (en) 2011-09-12
IL195048A0 (en) 2009-08-03
EP2024094A4 (en) 2014-01-01
AU2007249034A1 (en) 2007-11-15
AU2007249034B2 (en) 2011-11-03
NO20061940L (no) 2007-11-05
AP2008004685A0 (en) 2008-12-31
EA014093B1 (ru) 2010-08-30
EP2024094B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46B1 (ko) 폐기물 분리 장치 및 방법
NL1002520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winnen van harsmateriaal uit industrieel afval van kunststoffoelie.
KR20090096463A (ko) 폐 플라스틱, 특히 혼합 플라스틱의 재활용 과정에서 셀룰로스 및 기타 부착성 물질들을 분리하는 방법
CN102794289B (zh) 一种有机废弃物资源化处理方法
CA3001749C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lid waste
KR101097999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102171040B1 (ko) 폐합성수지 박피 제거 및 선별 시스템
EP3567157A1 (en) Paper waste processing
CN1212638A (zh) 合理分类处理下脚料的方法和设备
KR100825212B1 (ko) 동식물성 부산물의 자원화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2263675B1 (ko) 음식물류 폐기물 복합처리 시스템
KR1017864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1587678A (zh) 一种简易高效的秸秆超细化粉碎工艺及装置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KR20030013889A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FI94365C (fi) Laite taipuisien pakkausaineiden hajottamiseksi
KR10245411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KR200255183Y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100828090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0426977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JPH11267623A (ja) 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61536B1 (ko) 음식물을포함한협잡물쓰레기처리시스템
JP7114064B2 (ja) プラスチック包装された食品廃棄物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100352003B1 (ko) 음식물쓰레기의 비닐봉지 제거장치
KR101702855B1 (ko) 일체형 파쇄 선별기 겸용 미세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