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637A - 노리개 젖꼭지 - Google Patents

노리개 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637A
KR20090018637A KR1020087030492A KR20087030492A KR20090018637A KR 20090018637 A KR20090018637 A KR 20090018637A KR 1020087030492 A KR1020087030492 A KR 1020087030492A KR 20087030492 A KR20087030492 A KR 20087030492A KR 20090018637 A KR20090018637 A KR 2009001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soother
suction
oral
safety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엑카르트 잇첵
귄터 마르
Original Assignee
마파게엠베하 굼미-운트 플라스틱 베르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파게엠베하 굼미-운트 플라스틱 베르케 filed Critical 마파게엠베하 굼미-운트 플라스틱 베르케
Publication of KR2009001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rigidity, e.g. anti-bite-through or anti-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5Nippl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angled, e.g. in respect to the bo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61J11/0055Aesthetic properties for soothing, e.g. toy-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구강 보호물과, 구강 보호물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고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에 연결되고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며 흡입 니플에 연결되어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전 스트립을 포함하는 노리개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은 흡입 니플의 가상의 정중 시상면이 가로지르는 흡입 니플의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리개 젖꼭지, 구강 보호물, 흡입 니플, 안전 스트립, 열가소성 재료

Description

노리개 젖꼭지 {Pacifier}
본 발명은 구강 보호물(mouth shield)과, 구강 보호물에 고정된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 및 흡입 니플에 연결된 안전 스트립을 구비한 노리개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강하게 물거나 흡입함으로써 흡입 니플이 분리되는 것을 안전 스트립으로 방지하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며, 이때 안전 스트립은 비교적 부드러운 흡입 니플에 비해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리개 젖꼭지는 독일 특허 DE 4229 224 C2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노리개 젖꼭지에서, 구강 보호물과 흡입 니플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며 서로 교차 결합된다. 안전 스트립은 구강 보호물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구강 보호물과 연결되어, 흡입 니플의 종방향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리개 젖꼭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 및 제20항의 특징들을 가진 노리개 젖꼭지 및 제24항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기재된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르면, 본 발명의 노리개 젖꼭지는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구강 보호물과, 구강 보호물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고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에 연결되고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며 흡입 니플에 연결되어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전 스트립을 구비한다.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은 흡입 니플의 가상의 정중 시상면(sagittal midplane)이 가로지르는 흡입 니플의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된다.
본원에서 시상, 횡단 또는 우측 및 좌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는, 입 안에 본 발명의 노리개 젖꼭지를 물고 있는 사용자의 머리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더욱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안전 스트립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흡입 니플 뜯김 방지 기능이 여전히 더 개선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특히, 치아를 고려한 안전 스트립의 배치가 특별한 역할을 수행한다. 흡입 니플의 가상의 정중 시상면을 따라 안전 스트립을 배치하는 공지된 방법에서는, 구강 보호물에 연결된 안전 스트립의 양단부 섹션이 특히 젖먹이 또는 유아의 치아 또는 치열(tooth row)에 대해 노출되는 위치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강하게 물릴 경우, 구강 보호물에 연결된 안전 스트립의 한 섹션 또는 양 섹션 모두가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 스트립의 일 섹션이 흡입 니플의 특정 노출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흡입 니플이 물어 뜯길 위험이 방지된다. 치아의 해부학적 배열로 인해, 이러한 특정 노출 영역은 흡입 니플의 중간, 더욱 정확하게는 흡입 니플의 가상의 정중 시상면이 가로지르는 영역에 위치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앞니가 특히 이러한 영역에 가장 먼저 부딪치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젖먹이에게 처음(6 내지 7개월) 나는 2개의 아래 앞니와 2개의 위 앞니(8 내지 9개월)에 대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지되는 이들 영역에 대한 간격은 임의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안전 스트립은 중공 흡입 니플 내에서 흡입 니플의 종방향축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어도 안전 스트립은 안전 스트립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흡입 니플의 벽에 의해 보호된다. 이들 벽이 노리개 젖꼭지의 사용자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보호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추가로 물어뜯겨서 안전 스트립이 절단되기 전에 노리개 젖꼭지가 교체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은 흡입 니플의 정중 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한다. 따라서, 안전 스트립은 흡입 니플의 종방향 축과 상기 정중 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안전 스트립은 양단부가 구강 보호물에 연결되고, 안전 스트립의 제2 섹션은 제1 섹션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로 인해, 안전 스트립의 두 섹션은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 사이를 연결하며, 좌우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흡입 니플이 구강 보호물로부터 분리되려면, 사용자의 치열과 관련하여 다른 위치에 있는 안전 스트립의 섹션들이 물어 뜯겨야 한다. 이로 인해, 안전 스트립의 양 섹션 모두가 동시에 물어 뜯길 가능성이 상당히 줄어든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전 스트립의 제1 및 제2 섹션은 좌우 방향으로의 간격이 최대가 되도록 흡입 니플 내측에 배치된다. 안전 스트립의 두 섹션 사이의 특히 넓은 간격으로 인해, 동시에 절단될 위험이 더욱 감소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과 제2 섹션은 노리개 젖꼭지의 정중 시상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대칭 배치는 제조시 장점을 제공하며 흡입 니플의 균일한 변형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 및/또는 제2 섹션이 구강 보호물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치열 영역 내에 놓인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이격된 안전 스트립의 섹션들은 의도적으로 사용자의 치열 영역 내에, 즉 흡입 니플의 종방향과 관련하여 사전에 조정된 위치에 의도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전 스트립이 거의 횡단 평면에서 연장한다. 이는 흡입 니플의 유연성에 유리하다. 흡입 니플의 치열 교정 폼(orthodontic form)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은 단면폭이 가장 큰 영역에서 연장됨으로써, 거의 횡단 평면에서 연장된다. 이 경우에도, 최대 유연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스트립은 구강 보호물로부터 먼 쪽에 놓인 흡입 니플의 단부에서 편향된다. 따라서, 안전 스트립은 양단부가 구강 보호물에 고정된 환상선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흡입 니플은 중공이다. 이로 인해, 흡입 니플의 탄성 특성이 개선된다.
또한, 구강 보호물과 대면하는 측에 흡입 니플의 개구가 제공됨으로써, 흡입 니플이 압축되면 흡입 니플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니플은 주연측에서 돌출하는 에지 섹션을 거쳐 구강 보호물에 연결된다. 이러한 흡입 니플의 설계로 인해, 구강 보호물과의 견고한 연결이 개선된다. 또한, 그로 인해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의 연결 영역에서 노리개 젖꼭지가 특히 부드럽기 때문에, 사용감이 더욱 개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전 스트립은 사용자의 치열 영역에서 및/또는 흡입 니플의 첨단부에서 흡입 니플에 연결된다. 흡입 니플이 중공이고, 치열 영역에서 안전 스트립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안전 스트립이 사용자의 치열의 영역에서 흡입 니플의 벽을 따라 연장된다. 안전 스트립의 소정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영역에서 흡입 니플과 안전 스트립을 연결함으로써, 흡입 니플은 흡입 니플의 벽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흡입 니플의 첨단부에 주로 연결되는 경우 흡입 니플의 유연성에 유리한다.
흡입 니플의 벽 내부에 안전 스트립을 매설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더욱 견고한 연결이 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니플은 사용자와 대면하는 측에서 안전 스트립을 덮는다. 이로 인해, 흡입 니플의 외측은 전적으로 흡입 니플의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균일하게 부드러운 표면으로 인해 사용감이 더욱 개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교적 단단한 재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비교적 단단한 재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것도 바람직하다. 두 재료 모두 구강 보호물과 안전 스트립의 제조를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사출 성형 방법에 적합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경우, 상온에서 비교적 단단한 재료가 생성되도록 재료의 조성이 선택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단단한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기본적으로는 예컨대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다른 탄성 재료도 흡입 니플에 적절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가용성인 비결정질 열가소성 수지의 영역들이 생성되는, 고무와 같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분자 영역(molecular area)을 갖는 다상 재료이다. 이러한 이유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변형이 가능한 동시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다.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제조하기가 상당히 간편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흡입 니플은 안전 스트립 및/또는 구강 보호물과 교차 결합된다. 이로 인해, 2개의 다른 재료의 특히 긴밀한 연결이 달성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연결은, 예컨대 접착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교차 결합은 매우 간단하고 견고한 연결 방법이다. 재료의 선택에 따라, 화학적 교차 결합 또는 소위 물리적 교차 결합(physical cross linking)이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교차 결합의 경우, 분자 체인은 서로 화학적으로 교차 결합되지 않고, 단지 서로 얽혀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는 비교적 단단한 재료와 동일한 베이스 폴리머(base polymer)를 함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 재료의 결합 성능 및 가교 결합 성능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청구항 제20항에 따르면, 본 발명의 노리개 젖꼭지는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구강 보호물과, 구강 보호물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며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 상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한다. 손잡이는, 구강 보호물에 단부들이 연결된,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테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노리개 젖꼭지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각각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2개의 손잡이 테의 단부들은 구강 보호물에 연결되고, 구강 보호물과 동일한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테는 하나의 공정 단계에서 구강 보호물과 함께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잡이를 구비한 노리개 젖꼭지를 제조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 제공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손잡이 테들은 구강 보호물과의 연결 지점에 인접한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중앙 섹션끼리 서로 연결된다. 즉, 구강 보호물 상에 형성된 테들은 제조시 처음에는 제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연결 지점에 인접한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회를 통해, 양측 손잡이 테가 그들의 중앙 섹션이 서로 맞닿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테들의 두 중앙 섹션은 서로 연결된다. 테의 제1 위치는 작업편이 간단하게 탈형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테의 4개의 연결 지점에서 구강 보호물 상에 지지되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테의 중앙 섹션들은 서로 용접된다. 이는 매우 안정적이고 간단한 연결 방법이다. 그 대안으로, 스냅-온 연결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테의 중앙 섹션들이 서로 대면한 측에 리브들을 구비한다. 리브들은 양측 손잡이 테의 정합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연결 공정, 특히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초음파 용접에서는, 적절한 에너지 디렉터(energy director)가 제공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24항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2개의 손잡이 테가 우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구강 보호물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구강 보호물과의 연결 지점에 인접한 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서로 맞닿아 용접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2개의 구현 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손잡이 테들이 서로 멀어지게 선회된 노리개 젖꼭지를 사용자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노리개 젖꼭지의, 손잡이 테들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횡단 평면에서의 도1의 노리개 젖꼭지의 횡단면도이다.
도4는 정중 시상면에서의 도1의 노리개 젖꼭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노리개 젖꼭지의 또 다른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노리개 젖꼭지는 구강 보호물(10), 손잡이를 형성하는 2개의 테(14) 및 흡입 니플(20)로 구성된다.
구강 보호물(10)은 실질적으로 오목하며 구강의 외부 구조에 맞게 설계되어 있다. 구강 보호물(10)의 외부 윤곽은 실질적으로 코가 시작되는 부위를 위한 자유 공간으로서 상부 에지에 큰 반경을 갖는 굴곡부를 구비한 신장(kidney)의 형상이다. 2개의 비상용 호흡 구멍(12)이 구강 보호물(10)의 좌우측에 배치된다. 구강 보호물(10)의 중앙에는 거의 타원형인 개구(24)가 존재하고, 이 개구의 에지 영역에서 흡입 니플(20)이 구강 보호물(10)과 연결된다.
2개의 손잡이 테(14)의 양단부가 구강 보호물(10)의 외부측에 각각 연결된다. 2개의 테는 서로 연결될 때까지, 각각 대략 구강 보호물(10)와의 연결 지점(16)을 지나는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각 테의 중앙 섹션에는, 2개의 테(14)가 서로를 향해 선회되어 서로 맛닿아 용접되는 영역에 리브들(18)이 존재한다. 구강 보호물(10)과 2개의 테(14)는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다.
안전 스트립(22)도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안전 스트립의 단부는 좌우측에서 구강 보호물(10)의 타원형 개구(24)의 에지로 이어진다. 제조시, 안전 스트립(22)은 구강 보호물 및 2개의 테(14)와 함께 사출 성형된다.
흡입 니플(20)은 비교적 부드러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된다. 도면에 서 하부에 도시된 흡입 니플(20)의 단부는 노리개 젖꼭지의 사용 중 사용자의 구강 내에 배치되며, 반대편 단부는 단면이 타원형인 깔때기 형상으로 개구(24)의 직경까지 확대된다. 흡입 니플은 내부가 중공이며, 구강 보호물과 대면하는 쪽에 공동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를 갖는다. 구강 보호물(10)의 도시되지 않은 하부에서는, 흡입 니플(20)의 확대된 단부가 구강 보호물(10)에 연결된다.
안전 스트립(22)은 중공 흡입 니플(20)의 벽을 따라 거의 횡단 평면에서 연장된다. 노리개 젖꼭지의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과 마찬가지로, 안전 스트립(22)도 노리개 젖꼭지의 정중 시상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정중 시상면의 좌우측에 배치된 안전 스트립(22)의 섹션들은 흡입 니플을 최대한 유연하고 부드럽게 하기 위해 항상 가능한 최대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1에서, 2개의 테(14)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며, 이때 2개의 테는 사출 성형 후 쉽게 탈형될 수 있다.
도2에서, 2개의 테(14)은 처음 위치에 비해 선회되어, 중앙 섹션들끼리 서로 매칭된다. 이 영역에서, 상기 테들은 서로 용접된다. 이로 인해, 2개의 테의 4개의 단부에 의해 구강 보호물(10)에 견고하게 고정된 단일 손잡이가 형성된다.
도3의 단면도에서는, 흡입 니플(20)의 둥근 형상과, 상기 흡입 니플(20)의 벽에 매설되어 흡입 니플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도시된 횡단 평면에서 연장하는 안전 스트립(22)을 볼 수 있다. 상기 안전 스트립(22)의 양 단부는 구강 보호물(10)로 이음매 없이(seamlessly) 연결된다. 구강 보호물(10)을 향하여 깔때기 형상으로 확대되는 흡입 니플(20)은 구강 보호물(10)에 연결된 도면부호 28로 지시된 부분에 서 주연측이 돌출되며 구강 보호물(10)과 연결된 에지 섹션을 갖는다. 안전 스트립(22)이 정중 시상면(30)을 기준으로 완전히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면부호 26으로 지시된 치열의 영역에서도, 정중 시상면(30)의 양측에 배치된 안전 스트립(22)의 섹션들은 최대 간격을 갖는다.
도4는 정중 시상면을 따르는, 노리개 젖꼭지의 횡단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흡입 니플(20)의 형상이 해부학적 관점에 따라 설계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안전 스트립(22)은 도면의 단면(sectional plane)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하지만, 횡단 평면(transversal plane)에서의 상기 안전 스트립의 경로를 도시하기 위해, 도면에 포함되었다. 2개의 테(14)는 결합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2개의 테(14)가 처음 위치(32)에 있을 때의 모습이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32)는 사출 성형 후의 테(14)의 위치에 해당하며, 작업편의 탈형을 용이하게 한다. 이어서, 손잡이 테들(14)은 구강 보호물(10)과의 연결 지점(16)을 중심축으로 하여 선회된다.
마지막으로,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는 특히, 구강 보호물(10)의 사용자 반대편에 소위 돔(36)이 형성된다는 점이 도1 내지 도4의 예와 다르다. 이러한 돔은 사용자 반대측에서 덮개 캡(34)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캡은 대체로 둥근 형상을 가지며, 특히 다루기 편한 환형 목부(circulating throat)(40)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가동 링을 고정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한 덮개 캡(34)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24)

  1.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구강 보호물과, 구강 보호물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고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에 연결되고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고 흡입 니플에 연결되어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전 스트립을 구비한 노리개 젖꼭지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은 흡입 니플의 가상의 정중 시상면이 가로지르는 흡입 니플의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은 흡입 니플의 정중 시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은 양단부가 구강 보호물에 연결되고, 안전 스트립의 제2 섹션은 제1 섹션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의 좌우 방향 간격이 최대가 되도록 흡입 니플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과 제2 섹션은 노리개 젖꼭지의 정중 시상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의 제1 섹션 및/또는 제2 섹션은 사용자의 치열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강 보호물 가까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은 거의 횡단 평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은 구강 보호물로부터 먼쪽에 놓인 흡입 니플의 단부에서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니플은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0. 제9항에 있어서, 흡입 니플은 구강 보호물과 대면하는 측에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니플은 주연측에서 돌출하는 에지 섹션을 거쳐 구강 보호물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은 사용자의 치열 영역 및/또는 흡입 니플의 첨단부에서 흡입 니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스트립은 흡입 니플의 벽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니플은 사용자와 대면하는 측에서 안전 스트립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단단한 재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단단한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흡입 니플은 안전 스트립 및/또는 구강 보호물과 교차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는 상기 비교적 단단한 재료와 동일한 베이스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20.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구강 보호물과, 구강 보호물의 내부로부터 돌출하고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흡입 니플과, 구강 보호물에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한, 특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에 있어서,
    손잡이는, 단부들이 구강 보호물에 연결된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손잡이 테들은 구강 보호물과의 연결 지점에 인접한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중앙 섹션들끼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22.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손잡이 테들은 그들의 중앙 섹션들끼리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 테들의 중앙 섹션들은 서로 대면하는 측에 리브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24. 제20항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2개의 손잡이 테가 우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구강 보호물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구강 보호물과의 연결 지점에 인접한 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서로 맞닿아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제조 방법.
KR1020087030492A 2006-05-16 2007-01-10 노리개 젖꼭지 KR20090018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2669.0 2006-05-16
DE102006022669A DE102006022669A1 (de) 2006-05-16 2006-05-16 Beruhigungssau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637A true KR20090018637A (ko) 2009-02-20

Family

ID=3798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492A KR20090018637A (ko) 2006-05-16 2007-01-10 노리개 젖꼭지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90312796A1 (ko)
EP (2) EP2018141B1 (ko)
JP (1) JP4962877B2 (ko)
KR (1) KR20090018637A (ko)
CN (1) CN101442973A (ko)
AT (1) ATE513538T1 (ko)
AU (1) AU2007250300A1 (ko)
BR (1) BRPI0712401A2 (ko)
CA (1) CA2651903A1 (ko)
DE (1) DE102006022669A1 (ko)
ES (2) ES2393476T3 (ko)
IL (1) IL195162A0 (ko)
MX (1) MX2008014477A (ko)
RU (1) RU2431459C2 (ko)
TN (1) TNSN08458A1 (ko)
WO (1) WO20071315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01B1 (ko) 2015-07-16 2016-02-16 김상표 노리개 젖꼭지 및 그 결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34474A (en) * 2008-02-05 2009-08-16 Medela Holding Ag Mouthpiece and process for production
DE102008008116B4 (de) * 2008-02-08 2011-12-22 Mapa Gmbh Saugflasche
DE202008005269U1 (de) 2008-02-28 2008-08-21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Beruhigungssauger mit an einem Mundschild fixiertem Lutschteil
AU2013279286B2 (en) * 2012-06-20 2017-02-02 Orthoglobal Sarl Maturative guiding pacifier for baby
USD838858S1 (en) 2016-10-17 2019-01-22 Handi-Craft Company Pacifier shield
WO2018183156A1 (en) 2017-03-27 2018-10-04 Davis John J Pacifier
US20180369074A1 (en) * 2017-06-27 2018-12-27 Live-Right, Llc Teether having handles surrounding a concave interior
US20220313561A1 (en) * 2021-03-31 2022-10-06 Mallory Millet Oral Development Teething R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364A (en) * 1908-05-07 1911-09-05 Josiah S Bridges Teething device.
US3662756A (en) * 1970-05-07 1972-05-16 Albert S Hakim Pacifiers
GB1435302A (en) * 1972-12-14 1976-05-12 Woolf Griptight Ltd Lewis Baby soother
JPS62227356A (ja) * 1986-03-29 1987-10-06 堀川 次郎 おしやぶりの製造方法
US5395392A (en) * 1989-10-02 1995-03-07 Suhonen; Jouko Device for the oral administration of an active substance for prevention of tooth decay in infants
US5275619A (en) * 1991-01-03 1994-01-0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Low birth weight infant pacifier
AT396869B (de) * 1991-07-11 1993-12-27 Sterner Franz Schnuller
DE4133064C2 (de) * 1991-10-04 1994-11-10 Michael Kesselring Babysauger
DE4229224C2 (de) * 1992-09-02 2002-11-07 Mapa Gmbh Gummi Plastikwerke Einteiliger Saug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T399275B (de) * 1993-04-21 1995-04-25 Mam Babyartikel Beruhigungssauger
DE4418604A1 (de) * 1993-05-27 1994-12-01 Continua Kunststoffverarbeitun Sauger
WO1995032702A1 (de) * 1994-05-27 1995-12-07 Continua Kunststoffverarbeitung Gmbh & Co. Kg Sauger
US5993478A (en) * 1998-07-23 1999-11-30 The First Years Inc. Teether
US6968964B2 (en) * 2003-03-19 2005-11-29 Gilmore Carolyn K Nipple configuration for use in feeding and nursing newborn infants
AT6721U1 (de) * 2003-04-29 2004-03-25 Bamed Ag Sauger
DE10325458B4 (de) * 2003-06-05 2007-02-15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aug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01B1 (ko) 2015-07-16 2016-02-16 김상표 노리개 젖꼭지 및 그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1903A1 (en) 2007-11-22
AU2007250300A1 (en) 2007-11-22
EP2018141A1 (de) 2009-01-28
WO2007131556A1 (de) 2007-11-22
CN101442973A (zh) 2009-05-27
TNSN08458A1 (en) 2010-04-14
US20090312796A1 (en) 2009-12-17
MX2008014477A (es) 2008-11-27
EP2368538A1 (de) 2011-09-28
RU2008147804A (ru) 2010-06-27
EP2368538B1 (de) 2012-10-03
JP2009537188A (ja) 2009-10-29
ES2364091T3 (es) 2011-08-24
EP2018141B1 (de) 2011-06-22
BRPI0712401A2 (pt) 2012-10-16
ES2393476T3 (es) 2012-12-21
DE102006022669A1 (de) 2007-11-22
JP4962877B2 (ja) 2012-06-27
ATE513538T1 (de) 2011-07-15
RU2431459C2 (ru) 2011-10-20
IL195162A0 (en)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8637A (ko) 노리개 젖꼭지
JP4963959B2 (ja) 改良されたエアウェイ装置
JP4597702B2 (ja) 口唇閉鎖具
JP5124572B2 (ja) 膨らんだ吸着体を備えた歯磨きおしゃぶり
PT2787875T (pt) Laringoscópio
CN107115202B (zh) 出牙嚼器
JP2014128681A (ja) スーザー
BR112017012626B1 (pt)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JP2005516681A (ja) 歯固め
US20160183959A1 (en) Intraoral cleaner
JP6760839B2 (ja) 改善された歯科用ウェッジ
JP2005342133A (ja) マウスガード
KR20180010944A (ko) 보호 팁을 가진 치간 브러시
KR100830918B1 (ko) 치과용 진료용 입술 및 혀 리트랙터
JP2011516105A (ja) マウスシールドに固定される乳首部を有するおしゃぶり
JPH10174697A (ja) いびき防止具
KR20120090238A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0089506A (ja) 歯茎振動口腔ケア器
EP1414364B1 (en) Acetal resin crowns for children
JP5240882B1 (ja) 口呼吸防止具
CN218652071U (zh) 矫治器
EP3687610B1 (en) A tooth protector
JP6637751B2 (ja) 小児用歯牙保護デバイス
JP5777438B2 (ja) 気管挿管用歯牙保護デバイス
KR20170136142A (ko) 마우스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