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764A - 인공 모발 및 이것을 사용한 가발 - Google Patents

인공 모발 및 이것을 사용한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764A
KR20090016764A KR1020097000178A KR20097000178A KR20090016764A KR 20090016764 A KR20090016764 A KR 20090016764A KR 1020097000178 A KR1020097000178 A KR 1020097000178A KR 20097000178 A KR20097000178 A KR 20097000178A KR 20090016764 A KR20090016764 A KR 2009001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hair
hair
artificial
weigh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시라카시
다카유키 와타나베
오사무 아사쿠라
노부요시 이마이
아케미 이리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09001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83Filaments for making wi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발용(整髮用)으로 사용하는 헤어 드라이어 등에 의한 가열로 팽창하는 열변형성을 가지는 인공 모발 및 이 모발을 사용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인공 모발(1)은,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半)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相容)하여 이루어진다. 인공 모발은, 심부와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8
;sheath)/심(芯;core)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초(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9
)로서는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인공 모발(1)은 유리 전이 온도 이상 또는 80 ~ 100℃정도의 스팀 분위기에서 가열함으로써, 열 변형되고, 실온이나 샴푸에 의한 세발에서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인공 모발, 가발, 초/심 구조, 수지, 요철부

Description

인공 모발 및 이것을 사용한 가발{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발(整髮; hair dressing)용의 헤어 드라이어 등으로 가열함으로써 열변형성을 가지는 인공 모발 및 이 모발을 사용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천연 모발을 소재로 하여 예로부터 제조되어 애용되어 온 것이지만, 최근 천연 모발 소재의 조달 상의 제약, 그 외의 문제로부터 합성 섬유를 가발용 모발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 경우, 사용되는 합성 섬유는, 기본적으로, 감각적으로나 물리적 특성이 천연 모발에 가까운 것을 제1 목표로 하여 선택된다.
사용되는 인공 모발 소재로서는,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섬유는 융점이 낮고, 내열성이 좋지 않으므로, 열처리에 의한 스타일 세팅 후의 형(型) 유지성이 나쁘고, 예를 들면, 온수에 노출되면 컬(curl) 등의 가공이 무너지는 등의 약점이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강도,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이지만, 천연 모발에 비해 흡습성이 극히 낮은 것에 더하여 휨강성값이 너무 높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습도의 환경 하에 있어서 천연 모발과 다른 외관, 촉감, 물성을 나타내어, 가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현저한 위화감을 준다.
여기서, 휨강성값이란, 섬유의 촉감이나 질감 등의 감촉과 관련된 물성값이며, 가와바타(KAWABATA)식 측정법에 의해 수치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섬유 직물 산업에서 널리 인지되어 있는 물성값이다(비특허 문헌 1 참조). 1개의 섬유나 모발의 휨강성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2 참조). 이 휨강성값은 휨강도라고도 하며, 인공 모발에 특정한 크기의 벤딩 모멘트를 가했을 때, 그에 따라 생긴 곡률 변화의 역수(逆數)로 정의된다. 인공 모발의 휨강성값이 클수록 휨에 강하게 저항하는, 즉 하드하고 쉽게 휘지 않는 인공 모발이다. 역으로 이 휨강성값이 작을 수록 휘기 쉽고, 부드러운 인공 모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많은 점에서 천연 모발에 가까운 외관, 물성의 것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부터 가발용 모발로서 실용에 제공되어 특히 표면 처리에 의해 부자연스러운 광택 등을 지우는 본 출원인에 의한 제조 방법의 발명에 의해 우수한 가발이 제공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폴리아미드 섬유에는, 주쇄(主鎖)로서 메틸렌쇄만이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되는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으로 주쇄 중에 페닐렌 단위가 들어가는 반(半)방향족계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도요보(주) 제조의 나일론 6T, 미쓰비시 가스 가가쿠(주) 제조의 MXD6 등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나일론 6 섬유를 소재로 하여 표면 처리를 행한 인공 모발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나일론 6T를 사용한 인공 모발은, 역으로 휨강성값이 천연 모발보다 높고, 이 나일론 6T에 의해 천연 모발과 동질의 모발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나일론 6과 나일론 6T의 혼련(混練) 방사(紡絲)에 의해 천연 모발에 가까운 휨강성을 나타내는 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 2종의 수지는 융점차가 커서, 고융점의 나일론 6T에 맞춘 용융 온도를 설정하면, 저융점에서 내열성도 상대적으로 낮은 나일론 6이 용융 중에 열산화 열화되는 제조 공정의 면에서의 제약이 너무 크다. 그러므로, 상기 나일론 6T의 유닛 또는 다른 수지를 혼합한 단(單)섬유는, 모발 소재로서는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2종류의 수지의 특성을 각각 살리는 방법으로서, 초(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1
;sheath)/심(芯;core) 구조의 섬유가 알려져 있다. 이 섬유는 심으로 되는 섬유와 그것을 둘러싸는 초형의 섬유로 1개의 섬유를 구성하고, 상이한 2종류의 수지 각각의 특성을 살림으로써, 일반 섬유로서, 또한, 가발용 인공 모발 소재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염화비닐리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의 섬유가 개시되고, 특허 문헌 3에는, 폴리아미드계이지만, 심부(芯部)에 단백질 가교(架橋) 겔을 배합함으로써 변성되는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투명감을 가지는 통상의 합성 섬유가 인공 모발로서 사용된 경우,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이루므로,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표면에 요철(凹凸)을 부여함으로써 불투명하게 하고, 천연 모발에 가까운 외관, 감촉을 부여하기 위한 각종의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표면에 구정(球晶)을 발생 성장시킴으로써, 또 특허 문헌 4에서는, 섬유 표면을 화학 약품 처리하는 것에 의한 표면에의 요철 부여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는, 인공 모발의 표면을 모래, 얼음, 드라이아이스 등의 미분(微粉)으로 블라스트(blast) 처리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가발에 사용하는 인공 모발은, 무엇보다도 천연 모발에 가까운 감촉(외관, 촉감, 질감) 및 물성값을 가지는 것이 구해지고, 그에 더하여, 또한 천연 모발보다 우수한 물성값을 가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합성 섬유 소재는 각각의 특징과 약점을 가지고, 그 중에서는 특정한 폴리아미드 섬유, 특히,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이 그 특성이 우수하므로 실용화되어 있지만, 천연 모발과 같이,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한 정발을 할 수 없다.
특허 문헌 5 및 6에는, 인형의 두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온도나 외부 응력에 따라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나 이 수지를 사용한 끈형 상태의 의모(擬毛)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1989-611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2-12943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904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2-161423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1998-127950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6-28700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가와바타 스에오, 섬유 기계 학회잡지(섬유 공학, 26, 10, pp. 721-728, 1973
[비특허 문헌 2] 가토텍 가부시키가이샤, KES-SH 싱글 헤어 벤딩 테스터 취급 설명서
가발에 사용하는 인공 모발은, 무엇보다도 천연 모발에 가까운 감촉(외관, 촉감, 질감) 및 물성값을 가지는 것이 구해지고, 그에 더하여, 또한 천연 모발보다 우수한 물성값을 가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합성 섬유 소재는 각각의 특징과 약점을 가지고, 그 중에서는 특정한 폴리아미드 섬유, 특히,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이 그 특성이 우수하므로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폴리아미드 수지에 의한 인공 모발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원료로 하는 인공 모발로 해도, 천연 모발과 같이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한 정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가발의 출하 전에, 비교적 고온인 150℃ 정도의 온도에서, 미리 컬링을 행하고, 형상 기억을 시킨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나일론 6의 인공 모발을 사용한 가발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컬의 곡률을 바꾼 인공 모발을 사용하여 가발을 만들어, 소정의 헤어스타일을 정돈한 후 사용자에 대하여 출하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 번 가발을 제작하면, 그 헤어스타일을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변경하도록 해도 최초에 가발을 제작했을 때의 모발형의 변경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가발의 장착자라도, 가발의 모발형이 변화되지 않고 일정한 것도 부자연스러우므로, 모발형을 대폭 바꿀 수 없어도,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상이한 모발형으로 하거나 또는 웨이브나 모류(毛流) 방향을 변화시켜 헤어스타일을 변경하거나하여, 시간과 경우에 따라 조금이라도 모발형에 변화를 주고 싶은 필요나 요망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인공 모발을 사용한 가발에서는, 천연 모발과 같이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에 의해 모발형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 인공 모발을 현재는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 모발과 같이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춘 헤어스타일이 가능하고, 또한 이 헤어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는, 신규한 인공 모발 및 이것을 사용한 가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해 온 결과,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특정한 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섬유에 성형한 것은, 이 섬유의 연화 온도 부근에서 가열하여 초기 형상을 부여한 후에,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초기 형상을 부여한 온도 미만의 소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초기 형상과는 상이한 열변형이 생기고, 변형 후의 형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검토를 계속한 바, 상기 특정 수지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임의로 열변형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이것을 자유롭게 제어 가능하고, 또한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언제라도 되돌릴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섬유의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인공 모발로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검토 과제에 앞서,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의 특징을 살려, 심부(芯部)를 휨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섬유로 하고, 초부(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2
)를 심부보다 휨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섬유로, 초/심 비율을 특정한 범위로 한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양 수지의 특성을 살려 천연 모발에 극히 가까운 감촉(외관, 촉감, 질감)과 물성값을 가지는 인공 모발로서 최적이라는 지견을 얻고 있다. 또한, 연구를 진행한 바, 상기와 같은 초/심의 이중 구조로, 심부에 특정한 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섬유와 마찬가지의 열변형 특성과,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 및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인공 모발은,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半)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방사 후에 비교적 높은 150℃ 이상의 온도로 형상을 기억시키고, 다음에, 실온보다 높은 온도인 60℃~ 120℃, 예를 들면,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온도역에서, 열풍을 분출함으로써 인공 모발의 컬의 정도, 즉 컬 직경을 바꿀 수가 있다. 이것을 본 발명에서는 2차 부형(賦形; shape forming)이라고 한다. 또한, 이 2차 부형을 통상의 사용 상태 뿐아니라, 샴푸 등을 사용한 세발 후에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발 장착자는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마치 자연 모발과 같이 스스로 취향에 따른 정발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자유롭게 모발형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2차 부형에 의한 열변형은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나 80 ~ 100℃의 스팀 분위기 처리에 의해, 최초의 1차 부형 형상으로 되돌릴 수가 있다. 따라서, 이미용사 또는 구입자는, 2차 부형을 능숙하게 행하지 못한 경우라도, 2차 부형 형상을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2 인공 모발은, 심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심부를,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에 상기 온도 범위에서는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相容)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하고, 초부를, 심부보다 휨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상기 제1 인공 모발과 마찬가지의 열변형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온도나 습도에 따라 강성이 변화되고, 천연 모발에 보다 가까운 거동(擧動)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발 장착자는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마치 자연 모발과 같이 스스로 취향에 따른 정발을 행할 수 있어 그 자유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교호(交互) 공중합체, 또는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가,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가,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상기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 ~ 30중량% 혼입된다. 초부는, 바람직하게는,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다.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카프로락탐 개환(開環) 중합체, 및/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라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의 함유량을 바꾸어 인공 모발의 열변형 특성을 임의로 조절하여, 컬 직경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공 모발의 표면은 미세한 요철부를 가지고 윤지우기가 되고, 이 미세한 요철부가 구정 및/또는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광택을 억제한 마치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광택도를 자아낼 수 있다. 인공 모발에 안료 및/또는 염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임의의 색채를 출현할 수 있다. 초부 및 심부의 초/심 중량비를, 10/90 ~ 35/65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공 모발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사(照射)된 광이 난반사되므로 광택이 억제되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광택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발은, 가발 베이스와 가발 베이스에 심겨지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고, 인공 모발이,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이 온도 범위에서는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인공 모발이, 심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심부가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에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심부보다 휨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발에 상기 구성의 인공 모발을 사용함으로써, 헤어 드라이어 등의 시판 중인 이미용 기구를 사용하여 인공 모발에 열변형을 부여함으로써, 종래의 나일론 6 등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서는 할 수 없었던 모발형을 작성할 수 있어, 원하는 헤어 스타일링이 가능한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발을 제조하고 이것을 고객에게 제공한 후, 고객은, 가발을 장착한 채,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모발형으로 자기 자신이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인공 모발의 휨강성값이,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과 비교하여, 보다 천연 모발과 유사하므로, 특히, 외관, 촉감, 질감 등의 감촉이 매우 우수하여 미관이 자연스러운 가발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인공 모발의 정형(整形)이 가능해지고, 또한 온도나 습도에 따라 휨강성도 변화되고, 인모(人毛)에 보다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에 의해, 마치 두부(頭部)로부터 자연스럽게 생육한 자연 모발과 같은 외관을 이루어, 가발을 쓰고 있는 것이 표시가 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 모발에 함유되어 있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기 형상을 기억시키고, 다음에, 실온보다 높은 온도, 예를 들면, 헤어 드라이어에 의해 열풍을 분출함으로써 인공 모발에 열변형을 부여하여, 2차 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2차 부형은, 통상의 사용 상태 뿐아니라, 샴푸 등을 사용한 세발 후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언제라도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나 80 ~ 100℃의 스팀 분위기 처리에 의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인공 모발의 2차 부형을 능숙하게 하지 못한 경우라도, 2차 부형 형상을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종래의 나일론 6 등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서는 할 수 없었던 헤어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어 마치 자연 모발과 같이 고객 스스로 자유롭게 원하는 각종의 헤어스타일에 마무리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발에 부착한 인공 모발은, 그 휨강성값이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과 비교하여 보다 천연 모발과 유사하므로, 미관이 자연스럽고, 특히, 외관, 촉감, 질감 등의 감촉이 극히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공 모발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 스스로 자유롭게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온도나 습도에 따라 휨강성도 변화되어, 인모에 보다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므로, 마치 두부로부터 자연스럽게 생육한 자연 모발과 같은 외관을 이루는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모발(1)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변형예인 인공 모발을 나타내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모발의 바람직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인공 모발의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인공 모발의 변형예인 인공 모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인공 모발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조 장치에 사용하는 토출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7의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14는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15는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16은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17은 실시예 10에서 제작한 인공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주사 전자 현미경상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나타낸 인공 모발을 알칼리 용액으로 처리한 단면을 나타낸 주사 전자 현미경상이다.
도 19는 도 18을 확대한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주사 전자 현미경상이다.
도 20은 실시예 9의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예 8 ~ 14에서 설명한 인공 모발(6)의 적외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에 대하여, 각각 직경 22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권취하여 초기 형상 기억 상태를 시킨 후, 직경 70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권취하여 열처리한 경우,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4는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5는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6은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7은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8, 9, 10에 있어서의, 인공 모발의 휨강성값의 습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5, 6): 인공 모발
(2a): 요철부
(5A): 초부
(5B): 심부
(5C): 요철부
(11): 가발 베이스
(20): 가발
(30, 50): 제조 장치
(31, 51, 52): 원료조
(31A, 51A, 52A): 용융액
(32, 51D, 52D): 용융 압출기
(32A, 53C): 토출구
(33, 54): 온욕부
(34, 36, 38, 40, 55, 57, 59, 62): 연신 롤러
(35, 37, 39, 56, 58, 60): 건열조
(41, 64): 권취기
(51B, 52B): 기어 펌프
(53): 토출부
(53A): 외측 고리부
(53B): 중심원부
(61): 정전 방지용 오일링 장치
(63): 블라스트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모발은,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하여, 단일의 섬유 구조(후술하는, 초/심의 이중 섬유 구조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고, 단섬유 구조라고도 함)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용이란,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수지가 반응이나 부도형(浮島形)으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한결같이 용융된 상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모발(1)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인공 모발(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진원(眞圓)이라도, 어느 방향으로 편평한 타원형이나, 눈썹형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인공 모발(1)은, 그 평균 직경은 임의이지만, 천연 모발과 마찬가지의 값으로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80㎛ 정도로 한다.
상기 인공 모발(1)의 재료로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강도와 강성이 높고,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60℃~ 120℃, 바람직하게는 60℃~ 100℃정도의 반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가 매우 적합하고, 예를 들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교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예를 들면, 나일론 6T, 또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아디핀산과 메타크실렌디아민을 아미드 결합으로 교호로 결합한 고분자(예를 들면, 나일론 MXD6)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화학식(2)에 의해 표현되는 고분자 재료는, 화학식 1에 의해 표현되는 고분자 재료에 비하여, 헤어 세트를 행하기 쉬운 점에서 유리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4
60℃~ 120℃의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중합(縮重合)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테레프탈산과 1,4-부탄디올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인공 모발의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가 3 ~ 30중량%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인공 모발(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공 모발(1)의 변형예인 인공 모발(2)을 나타낸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이 인공 모발(2)도 단일 섬유 구조이지만, 도 1과는 상이하고, 이 인공 모발(2)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철부(2a)를 표면에 가진 인공 모발(2)에서는, 광이 닿은 경우라도 난반사가 생기므로, 인공 모발(2)의 표면에 있어서 광 조사에 의한 반사를 위한 광택이 쉽게 생기지 않고, 사람의 천연 모발과 마찬가지의 광택을 억제한 윤지우기 효과를 출현할 수 있다.
요철부(2a)는, 광이 난반사되도록 가시광 파장의 오더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철부(2a)는, 인공 모발의 방사(紡絲) 시에 인공 모발의 표면에 구정(球晶)에 의해 형성하거나, 또는 방사 후에 블라스트 처리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인공 모발(2)의 성분은, 제1 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각 형태에 있어서의 인공 모발에는, 소정의 착색을 행하는 안료 또는 염료가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방사 후에 염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1, 2)에 의하면, 방사 후에 비교적 높은 150℃ 이상의 온도로 형상 기억을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형상 기억을, 적당히, 초기 형상 기억 상태 또는 1차 부형(賦形)이라고 하고 있다. 초기 형상 기억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큰 곡률로 컬을 부여하여 가발 베이스에 식모(植毛)하여 가발을 완성한 후, 출하한다. 그 후, 가발 장착 시, 이미용사 또는 구입자는, 초기 형상 기억 처리된 가발을 적당히 가발 고정용 도구에 고정 또는 두부에 씌운 상태에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인 60℃~ 12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시판 중인 헤어 드라이어 등의 이미용 기구의 사용 온도인 70℃~ 90℃ 정도의 열풍을 분출함으로써, 인공 모발(1, 2)의 컬 직경을 바꿀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열변형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당히 2차 부형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인공 모발에 대하여 소정 온도의 열풍을 분사하여 헤어 세팅함으로써, 각종의 컬링과 함께, 각종의 헤어 스타일링을 출현할 수가 있다.
이 열에 의한 인공 모발의 팽창은, 인공 모발의 주성분이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이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가 유리 전이 상태로 되어, 비정질 상태이므로 열가소성이 생기는 것에 의한다. 이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함유량이 3%보다 작으면,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열에 의한 인공 모발의 팽창이 너무 크다. 인공 모발의 열팽창이 너무 크면, 극히 단시간에 2차 부형된다. 따라서, 취향에 따른 2차 부형을 행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너무 짧아, 제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역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함유량이 30%를 넘으면, 열에 의한 인공 모발의 팽창이 작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즉, 인공 모발의 2차 부형 효과가 작아 실용적으로는 되지 않는다.
열변형, 즉 2차 부형이 가해진 인공 모발(1, 2)의 형상은, 실온에서의 방치나 샴푸에 의한 세정 등에서는 그 2차 부형된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다. 2차 부형 형상을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리는 데는, 인공 모발을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 은 온도로 열처리하면 된다. 이 열처리는, 건열이나 습열의 어느 쪽의 방법이라도 된다. 건열 상태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정밀도가 높은 온도 제어를 하지 않으면 인공모 벽이 열 열화되거나, 부여한 초기 형상(1차 부형)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수분이 존재하는 이른바 습열 상태의 경우에는, 유리 전이 온도가 건열 시보다 10℃ 이상 저하되므로, 열변형(2차 위형)의 처리 온도보다 다소 높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 범위의 상한 부근인 80 ~ 100℃의 스팀 분위기에 의한 열처리로 충분히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인공 모발(1, 2)에 의하면, 종래의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과 비교하면, 2차 부형에 의한 열변형성이라는 새로운 기능이 부여된다. 또한, 이 2차 부형에 의한 열변형은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나 80 ~ 100℃의 스팀 분위기 처리에 의해, 최초의 1차 부형 형상으로 되돌릴 수가 있다.
따라서, 이미용사 또는 구입자는, 2차 부형을 능숙하게 하지 못한 경우라도, 2차 부형 형상을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다음에, 인공 모발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인공 모발(5)의 바람직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A)는 사시도, (B)는 인공 모발(5)의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다.
인공 모발(5)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단섬유 구조의 인공 모발과 달리, 표면의 초부(5A)에 의해 심부(5B)가 덮힌 초/심의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다. 초 부(5A)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심부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인공 모발(1)과 같은 구성으로 한다. 초/심 구조는 도시한 경우, 대략 동심원형으로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심부(5B) 및 초부(5A) 모두 대략 동심원형 이외의 상이한 형의 형상이라도 되고, 제2 인공 모발(5)의 단면 형상은, 원, 타원, 눈썹형 등이라도 된다.
상기 초부(5A)의 재료로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심부(5B)의 재료보다 휨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하면 되고, 예를 들면,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서는,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카프로락탐의 개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 6, 또는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 66,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5
[화학식 4]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6
인공 모발(5)의 초부(5A)의 표면이 평활한 경우에는 광택이 생기므로, 이 인공 모발(5)의 표면에서의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억제하기 위해, 이른바 윤지우기 처 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인공 모발(5)의 변형예인 인공 모발(6)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공 모발(6)의 초부(5A)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세한 요철부(5C)에 의해, 인공 모발(1)과 마찬가지로, 인공 모발(6)의 표면에 있어서 광 조사에 의한 반사를 위해 광택이 인모와 같은 정도로 억제되어, 이른바 윤지우기 효과가 생긴다.
여기서, 미세한 요철부(5C)는, 인공 모발(5)의 방사 중, 또는 방사 후의 수지를 모래, 얼음, 드라이아이스 등의 미소 분말에 의한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부여할 수 있다. 인공 모발(5)의 방사 중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공 모발(5)의 최외표면에 구정을 형성하면 된다. 이 때, 구정 형성과 상기 모래, 얼음, 드라이아이스 등의 미소 분말에 의한 블라스트 처리를 조합한 처리라도 된다. 이와 같은 구정 또는 블라스트 처리의 조합으로 형성한 요철부는, 광이 난반사되도록, 가시광 파장의 오더보다 큰 요철부(5C)로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인공 모발(5, 6)은, 장착자의 취향에 따른 착색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착색은 방사 시의 원료로 되는 폴리머의 혼련 중에 안료 및/또는 염료를 배합해도 되고, 방사 후에 염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5, 6)에 의하면, 인공 모발(1, 2)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과 비교하면, 2차 부형에 의한 열변형성라는 새로운 기능이 부여된다. 또한, 이 2차 부형에 의한 열변형은,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나 80 ~ 100℃의 스팀 분위기 처리에 의해 최초의 1차 부형 형상으로 되돌릴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 모발(5, 6)은, 심부(5B)에 휨강성이 높은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혼합 수지를 사용하고, 초부(5A)에는 심부(5B)보다 휨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를 사용한 초/심 구조로 함으로써, 온도나 습도에 따라 강성이 변화되므로, 천연 모발에 보다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모발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섬유에서는 휨강성이 강하고, 나일론 6으로 되는 섬유는 휨강성이 약하다는 성질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인공 모발(5, 6)에 있어서는, 초/심 구조의 채용에 의해, 휨강성값이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에 가깝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외관, 감촉, 질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가발 장착자는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마치 자연 모발과 같이 스스로 취향에 따른 정발이 가능해져, 언제라도 최초의 1차 부형 형상으로 되돌릴 수가 있다.
따라서, 이미용사 또는 구입자는, 인공 모발(5, 6)의 2차 부형을 능숙하게 하지 못한 경우라도, 2차 부형 형상을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인공 모발(5, 6)의 헤어 스타일링을 다시 고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발(2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 명의 인공 모발(1, 2, 5, 6)을 사용한 가발(20)은, 가발 베이스(11)에, 인공 모발(1, 2, 5, 6) 중 어느 것 또는 조합에 의해 식모되어 구성되어 있다.
인공 모발(1, 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를 혼합한 단일 섬유 구조로 되고, 또한 실온보다 높은 온도인 60℃~ 120℃에서 열변형성을 가지고 있다. 인공 모발(5, 6)은, 인공 모발(1, 2)을 심지로 하고, 또한 초부를 부가한 초/심의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열변형성과 함께, 온도나 습도에 따라 강성이 변화되어, 천연 모발에 보다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는 개량된 인공 모발이다.
가발 베이스(11)는 네트형 베이스 또는 인공 피부 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한 경우에는, 가발 베이스(11)가 네트 부재의 망눈에 식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발 베이스(11)는, 네트형 베이스와 인공 피부 베이스를 조합시켜 구성해도 되고, 가발의 디자인이나 용도에 맞춘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인공 모발로서는, 그 표면의 경면(鏡面) 광택이 억제되어, 천연 모발과 유사한 광택을 가진 인공 모발(2, 5)이 바람직하다. 이들 인공 모발의 색은, 장착자의 희망에 따라 흑색, 갈색, 블론드 등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사용자의 탈모부 주변의 자연 모발에 맞춘 색의 인공 모발을 선택하면, 자연감이 증가한다. 패션용의 가발 또는 모발 부착으로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인공 모발에 자연 모발과 다른 착색으로 메쉬형으로 하거나, 인공 모발에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예를 들면, 색조의 농담을 변화시키거나 색채를 서서히 변화시켜 그라데이션을 행하는 등 하면 된다.
본 발명의 가발에 의하면, 실온보다 높은 온도의, 60℃~ 120℃에서 열변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발의 장착자 스스로 또는 이미용 기술자가, 인공 모발(1, 2, 5, 6)을 헤어 드라이어 등의 가열 가능한 이미용 기구를 사용하여, 그 모발형을 변화시키는, 즉 정형(整形)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인공 모발(1, 2, 5, 6)의 열변형의 정도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첨가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의 함유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열변형을 완만하게 행하려는 경우, 즉 가발 제조 시에 행한 초기 형상 기억 상태의 컬 직경에 대하여, 컬 직경을 약간 변화시키는 정도로 멈추고 싶은 경우에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첨가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의 함유량을 늘리면 된다.
역으로, 열변형을 크게 하려는 경우, 즉 인공 모발(1, 2, 5, 6)의 열변형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를 크게 하려는 경우에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첨가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의 함유량을 줄이면 된다. 따라서, 가발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첨가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의 함유량을 조정하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전자에 비해 열변형이 크기 때문에, 헤어스타일의 자유도가 더하지만, 헤어 드라이어에 의해 모발이 크게 변형되므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오히려 취급하기 어려운 점도 있으므로, 전자의 경우의 쪽이 열 변형이 쉽게 되지 않는 만큼, 헤어 세팅에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취향대로의 정형이 용이하다는 점도 있다. 또한, 인공 모발(1, 2, 5, 6)은, 언제라도 최초의 1차 부형 형상으로 되돌릴 수가 있다. 따라서, 이미용사 또는 구입자는, 인공 모발(1, 2, 5, 6)의 2차 부형을 능숙하게 하지 못한 경우라도, 이 2차 부형 형상을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어느 쪽으로 해도,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주재료에 첨가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의 함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이미용 기술자의 기호에 따른 열변형율을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조할 수 있어 이것을 가발에 장착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따른 세팅성의 조정이 가능한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최초에,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첨가하는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하지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라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공 모발(1, 2)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장치(30)는, 원료로 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릿이나 착색 원료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릿을 넣어 두는 원료조(31)와, 원료를 용융시켜 혼련하는 용융 압출기(32)와, 용융 압출기(32)로 혼련한 용융액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하고, 이 사상(絲狀) 용융물을 고체화하는 온욕부(33)와, 그 후, 각 단이 연신 롤러(34, 36, 38, 40) 및 건열조(35, 37, 39)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건열조(35) 대신에 습열조(濕熱槽)를 사용하는 3단의 연신 열처리 공정을 거쳐, 인공 모발(1)을 권취하는 권취기(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융 압출기(32)는, 원료로 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릿이나 착색 원료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릿 등을 용융하기 위한 가열 장치와, 균일하게 되도록 분산시켜 교반하기 위한 혼련기와, 용융액을 토출구(32A)에 이송하는 기어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부(32)의 토출구(32A)에는, 소정 직경의 구멍이 소정수 구비되어 있고, 토출부(32)의 토출구(32A)로부터 나온 섬유는 도시한 바와 같이, 차례로, 온욕부(33), 제1 연신 롤러(34), 제1 건열조(35) 또는 건열조(35) 대신에 제1 습열조, 제2 연신 롤러(36), 제2 건열조(37), 제3 연신 롤러(38), 제3 건열조(39), 제4 연신 롤러(40)를 거친 후에, 권취기(41)에 권취된다. 여기서, 제1 연신 롤러(34)~ 제4 연신 롤러(40)는 고형화된 실(絲)부재에 대하여 연신 처리를 행한다.
먼저,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를 제1 연신 롤러(34)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실부재에 대하여 제1 연신 처리를 행하고, 다음에,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를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실부재에 대하여 제2 연신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제4 연신 롤러(40)의 롤러 속도를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감소시킴으로써 섬유에 건 텐션을 완화하여 치수를 안정시키는 이완 연신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제4 연신 롤러(40)로부터 권취기(41) 사이에, 정전 방지용 오일링(oiling)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해도 된다.
인공 모발(1)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2a)를 형성하여 인공 모발(2)을 제조 하는 경우에는, 제4 연신 롤러(40)와 권취기(41) 사이에 표면 처리용 블라스트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장치(30)를 사용하여 인공 모발(1, 2)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제조 장치(30)에 있어서, 원료조(31)에,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의 펠릿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착색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용 수지 펠릿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켜 넣는다. 착색용 수지 펠릿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인 인공 모발(1, 2)의 모발 색상을 바꿀 수가 있다.
원료조(31) 내의 펠릿을 용융 압출기(32)에 보내, 펠릿을 용융 압출기(32)에서 혼련한 용융액(31A)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시켜, 온욕부(33)에 의해 사상 용융물을 고체화한다. 온욕부(33)의 온도는, 40℃ ~ 80℃ 전후가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온욕부(33)의 온도가 낮으면, 용융한 수지를 토출한 후, 온욕부(33)에 접할 때, 사상 용융물의 최초에 물에 접하는 외부와 내부에 대하여, 급냉에 의해 내부의 수지의 결정화(結晶化)가 진행되고 외부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는 것에 의한 분자 구조의 차가 생기고, 이것이 원인으로 "실의 웨이브(not straight such as waving shape)"가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온욕부(33)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사상 용융물의 결정화가 너무 진행되는 것에 의해 사상 용융물의 연신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져, 연신 시에 끊어져 버리는 것이 많아져 생산성이 악화된다.
고체화된 실부재에 대하여, 제1 연신 롤러(34) 및 제2 연신 롤러(36)에 의해 제1 단계의 연신 처리를 행하고, 제2 연신 롤러(36) 및 제3 연신 롤러(38)에 의해 제2 단계의 연신 처리를 행하고, 제3 연신 롤러(38) 및 제4 연신 롤러(40)에 의해 이완 처리를 행한다. 제1 및 제2 연신 처리에 의해, 연신 배율로서 합계 배율을 4 ~ 7배 정도의 값으로 한다.
토출구(32A)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이나 온욕(33)의 온도 등의 방사 조건, 제1 ~ 제4 연신 롤러의 속도, 제1 건열조 또는 습열조, 제2 ~ 제3 건열조의 온도 등의 연신 조건을 조정하여,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착색 안료를 첨가한 인공 모발(1, 2)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초/심 구조를 가지는 인공 모발(5, 6)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인공 모발(5, 6)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50)의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제조 장치에 사용하는 토출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장치(50)는, 초부(5A)로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용의 제1 원료조(51)와, 심부(5B)로 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첨가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용의 제2 원료조(52)와, 이들 원료조(51, 52)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용융시켜 혼련하는 용융 압출기(51D, 52D)와, 용융 압출기(51D, 52D)로 혼련한 용융액(51A, 52A)을 토출부(53)로부터 토출하고, 토출된 사상 용융물을 고체화하는 동시에,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온욕부(54)와, 그 후, 각 단(段)이 연신 롤러(55, 57, 59) 및 건열조(56) 또는 건열조 대신에 습열조, 건열조(58, 60)로 이루어지는 3단의 연신 열처리 공정부를 거쳐, 실 표면에 다시 요철부(5C)를 형성하기 위한 블라스트기(63)와, 블라스트기(63)에 의해 원하는 정도로 윤지우기된 인공 모발을 권취하는 권취기(6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용융 압출기(51D, 52D)는,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펠릿을 용융하기 위한 가열 장치와, 균일하게 되도록 분산시켜 교반하기 위한 혼련기와, 용융액(51A, 52A)을 토출부(53)에 이송하는 기어 펌프(51B, 52B)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부(53)의 토출구(53C)로부터 나온 섬유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온욕, 연신, 건열 기구를 거친 후, 정전 방지용 오일링 장치(61)와, 치수를 안정시키기 위해 인공 모발에 건 텐션을 완화하는 연신 롤러(62)와, 표면 처리용 블라스트기(63)를 통하여 권취기(64)에 권취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부(53)는 동심원형으로 설치되는 이중의 토출구를 가지고, 그 중심원부(53B)로부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첨가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2A)을, 그리고, 중심원부(53B)를 에워싸는 외측 고리부(53A)로부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을, 각각 토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제조 장치(50)에 의한 인공 모발(5, 6)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조 장치(50)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기(51D, 52D)에 의해 각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각각에 적합한 온도로 용융시켜 토출부(53)에 이송하고, 토출구의 중심원부(53B)로부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첨가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2A)과 외측 고리부(53A)로부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을 토출구(53C)로부터 토출시켜 초/심 구조의 실로 하여, 인공 모발(5, 6)을 제조할 수 있다.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을 기어 펌프(51B)로 일정 시간 이송한 용량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첨가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2A)을 기어 펌프(52B)로 이송한 용량의 비율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초/심 용량비라고 하기로 한다. 인공 모발(5)의 휨강성값을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는, 초와 심의 중량비인 초/심 중량비는 10/90 ~ 35/65가 바람직한 범위로 된다. 이 초와 심의 중량비를 얻기 위한 제조 조건량비로서 1/2 ~ 1/7이 바람직한 값으로 되고, 이 범위가 인공 모발(5, 6)의 휨강성값 등의 물성값으로 바람직하다. 이 초/심 용량비가 1/2보다 크게 되면, 즉 초부(5A)의 비율이 커지면, 인공 모발(5, 6)의 심부(5B)의 휨강성값의 증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작아진다. 초/심 용량비가 1/7 보다 작아지면, 즉 심부(5B)의 비율이 커지면, 휨강성값이 너무 커져, 천연 모발과 유사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인공 모발(5, 6)의 방사 시의 연신 배율은 5 ~ 6배로 할 수 있다. 이 연신 배율은, 종래의 나일론 6 단독의 인공 모발의 배율보다 약 2배 정도의 값이다. 제2 인공 모발(5, 6)에 있어서는, 방사 시의 연신 배율, 실 직경, 휨강성값 등은, 원하는 설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 모발(5, 6)의 초/심의 형상은, 방사 시의 조건을 적당히 제어함으로써, 대략 동심원형으로 할 수 있다.
인공 모발용 방사에서는, 토출구(53C)로부터 압출한 실을 온욕부(54) 중 80℃ 이상의 수중에 통하게 함으로써 초부(5A)의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표면에 요철부(5C)로 되는 구정을 발생 성장시킬 수 있어 천연 모발과 같은 외관을 부여하여,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지운 윤지움 인공 모발(6)을 제조할 수 있다.
실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5C)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구정의 발생 성장에 의한 것 외에, 방사 후의 실 표면을 모래, 얼음, 드라이아이스 등의 미립자로 블라스트하는 방법, 또는 실 표면을 약품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것 또는 이들을 적당히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부여한다.
인공 모발(5, 6)로서 바람직한 색,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방사 시에 안료 및/또는 염료를 배합해도 되고, 또 방사 종료 후에 인공 모발(5, 6) 자체를 염색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인공 모발(5, 6)은, 인공 모발(1, 2)과 비교하여, 그 최외면에 폴리아미드 수지에 의한 초부를 부가한, 초/심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인공 모발(1, 2)에, 또한, 종래의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유닛의 인공 모발보다 휨강성이 높은 인공 모발(5, 6)을, 양호한 재현성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인공 모발(5)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5C)를 형성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유사한 자연스러운 광택을 부여하여, 모발로서의 자연스러운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방사기(紡絲機)(30)를 사용하여, MXD6 나일론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3중량% 혼합한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인공 모발의 원료로서 MXD6 나일론의 펠릿(미쓰비시 가스 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X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펠릿(도요보(주) 제조, RE530A, 밀도 1.40g/cm3, 융점 255℃)를 사용하였다. 흑색, 황색, 오렌지색, 적색의 각 안료 중량%가, 각각 6%, 6%, 5%, 5%의 착색용 수지 펠릿을 사용하였다.
방사 조건은, 펠릿의 용융 온도를 토출구로부터의 토출 온도로 270℃로 하고, 토출구에는 구경 0.7mm의 구멍을 15개 구비한 아웃렛을 구비하였다. 온욕(33)의 온도를 40℃로 하였다.
연신 조건에 대하여는, 제1 연신 롤러(34) 내지 제4 연신 롤러(40)의 각 롤러의 속도를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인공 모발의 단면 평균 직경이 80㎛으로 되도록 하였다. 즉,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를 제1 연신 롤러(34)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4.6배로 하고,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를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1.3배로 하고, 제4 연신 롤러(40)의 롤러 속도를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0.93배로 하였다.
또한, 제1 연신 온도로서 제1 습열조의 온도를 90℃, 제2 연신 온도로서 제2 건열조(37)의 온도를 150℃, 이완 연신 온도로서 제3 건열조(39)의 온도를 160℃으로 하였다.
실시예 1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는, 블라스트기에 의해 윤지우기 처리를 행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2)을 제조했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2)을 제조했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2)을 제조했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2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2)을 제조했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2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2)을 제조했다.
[실시예 7]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3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2)을 제조했다.
다음에, 실시예 1 ~ 7에 대한 비교예 1 ~ 6을 나타낸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MXD6 나일론 1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3)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3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4)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4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5)
폴리에틸렌 레프탈레이트를 10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나일론 6을 100%로 한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다음에, 실시예 1, 2, 3, 7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走査) 열량 측정(DSC)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 ~ 도 12는, 각각, 실시예 1, 2, 3, 7의 인공 모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dq/dt(mW)를 나타 내고 있다.
도 9 ~ 도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2, 3, 7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는, 237.51℃ 및 256.33℃의 융해 피크가 관측되고, 각각, MXD6 나일론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융점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1, 2, 3, 7의 인공 모발은 MXD6 나일론에 대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을, 각각, 3중량%, 5중량%, 10중량%, 30중량%로 혼합하여 방사를 행했지만, 방사 후의 DSC 결과로부터, 이들 2개의 수지가 반응 등 하지 않고, 서로 혼합되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열변형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한 인공 모발은, 방사 후에 초기 형상 기억(이하, 컬링이라고도 함)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 7, 비교예 1 ~ 4의 인공 모발에서는, 방사한 인공 모발(2)을 150mm의 길이로 절단하고, 이 인공 모발(2)을 직경이 22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아 180℃에서 2시간의 열처리를 행하였다. 비교예 5 및 6의 인공 모발에서는, 170℃에서 1시간의 열처리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컬링을 행하였다. 다음에, 직경이 70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아 헤어 드라이어로 1분간 및 2분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헤어 드라이어로부터의 열풍이 인공 모발(2)에 닿았을 때의 표면 온도는 75℃에서 85℃로 설정했다. 이 열처리가 종료되었을 때의 인공 모발(2)의 컬 직경, 또한, 24시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의 인공 모발(2)의 컬 직경, 그 후 40℃의 온수로 샴푸를 사용하여 세정한 후, 자 연 방치로 건조시킨 실온에서의 컬 직경, 95℃에서 100℃의 온도에 의한 스팀 처리를 가한 후, 실온까지 냉각한 인공 모발(2)의 컬 직경을,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도 13은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에 대하여, 각각, (A)가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가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1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인공 모발(2)(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 3중량%, 이하, 적당히 PET 함유량이라고 함)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8mm로 변화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0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5mm로 변화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4mm, 4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8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2mm로 변화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1mm, 40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7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39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7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8mm, 36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4mm, 3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5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30mm로 변화하지 않아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5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7에 있어서는, 도 1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2)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열처리하여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어, 열변형율은 각각, 192%, 180%, 168%, 160%, 152%, 140%, 120%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2)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은, 실시예 1 ~ 7에서 94 ~ 100%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50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35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9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32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27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27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25mm로 되고, 대략 열변형성이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 후,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25mm로 변화되지 않고, 스 팀 처리 후에는 25mm로 되고, 열변형성이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또는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의 인공 모발이지만,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로부터 변화되지 않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도 25mm이며, 스팀 처리 후에도 25mm이며,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서는, 열변형성이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은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고,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 전후에서 컬 직경은 30mm에서 3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3mm, 31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1mm로 되고,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종래의 나일론 6의 인공 모발에서는, 거의 열변형성이 생기지 않는, 즉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 13 (C)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20%가 되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2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08%가 되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00%가 되었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92%가 되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6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84%가 되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2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8%가 되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40%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그 컬 직경의 변화 및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36%가 되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32%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20%가 되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2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12%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전혀 생기지 않는, 즉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의 인공 모발이며,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26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104%가 되었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은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고,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5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117%가 되었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서는, 열처리 시간을 길게 해도 거의 열변형성이 증가하지 않는, 즉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다음에, 방사한 인공 모발(2)을, 직경이 18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은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2차 부형을 행하였다.
도 14는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가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를, (B) 및 (C)가 변화 비율을 나타 낸 표이다.
도 14 (A)로부터, 실시예 1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7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4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2mm, 41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3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1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9mm, 38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2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3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2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3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1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1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29mm, 28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1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29mm, 28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1mm로 되고,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7에 있어서는, 도 1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2)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열처리하여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고, 열변형율은 각각, 224%, 205%, 195%, 186%, 157%, 148%, 138%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2)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은, 실시예 1 ~ 7에서 94 ~ 100%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9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29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9mm, 48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28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25mm, 24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21mm로 되고,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23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21mm로 되고,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의 인공 모발이지만,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2mm로 극히 근소한 정도밖에 변화되지 않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도 21mm이며, 스팀 처리 후에도 21mm였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은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고,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6mm에서 2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28mm, 26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2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종래의 나일론 6의 인공 모발에서는, 거의 열변형성이 생기지 않는, 즉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었다.
도 14 (C)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5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57%가 되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52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48%가 되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33%가 되었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24%가 되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6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19%가 되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90%가 되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2%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그 컬 직경 변화 및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5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81%가 되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5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71%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43%가 되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29%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3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105%가 되었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나일론 6,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6mm에서 32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112%가 되었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서는, 열처리 시간을 길게 해도 거의 열변형성이 증가하지 않아,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었다.
다음에, 방사한 인공 모발(2)을, 직경이 32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은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2차 부형을 행하였다.
도 15는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의 또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가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이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7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7mm, 56mm로 되고,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7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 54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7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4mm, 5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도 50mm로 변화되지 않고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7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6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5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4mm, 4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5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7에 있어서는, 도 1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2)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1분간 열처리한 후의 열변형율은 각각, 163%, 157%, 154%, 143%, 138%, 129%, 126%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2)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은, 실시예 1 ~ 7에서 98 ~ 102%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6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58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44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6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7mm, 56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42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3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도 38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36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3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5mm, 3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35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3mm로부터 변화되지 않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5mm, 3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35mm가 되었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나일론 6,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46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9mm, 4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47mm가 되었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종래의 나일론 6의 인공 모발에서는,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었다.
도 15 (C)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 후의 컬 직경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6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83%가 되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6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71%가 되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9%가 되었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57%가 되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5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59%가 되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41%가 되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41%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그 컬 직경 변화 및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 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6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86%가 되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6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86%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32%가 되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18%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3mm에서 36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109%가 되었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나일론 6,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46mm에서 52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113%가 되었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서는, 열처리 시간을 길게 해도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었다.
다음에, 방사한 인공 모발(2)을 직경이 50mm인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은 이외에,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컬링을 행한 후, 22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아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 등을 행하였다.
도 16은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의 인공 모발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가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가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16 (A)로부터, 실시예 1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3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0mm, 32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3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0mm, 32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5mm로 되어 완전히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3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4mm, 3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5mm로 되어 완전히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3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6mm, 38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4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3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9mm, 40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4mm로 되어 완전히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3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0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3mm로 되어 완전히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1mm, 4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3mm로 되어 완전히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7에 있어서는, 도 1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2)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1분간의 열처리한 후의 열변형율은, 각각, 55%, 55%, 62%, 65%, 70%, 74%, 75%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2)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 은, 실시예 1 ~ 7에서 100 ~ 103%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3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1mm, 32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59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3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0mm, 33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58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6mm, 4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53mm로 되고,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6mm, 4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53mm로 되고,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2차 부형을 거의 또는 전혀 행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0mm에서 4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 및 스팀 처리 후에도 50mm였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나일론 6,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62mm에서 5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60mm, 64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64mm였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종래의 나일론 6의 인공 모발에서는,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 16 (C)은,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 후의 컬 직경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2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5%가 되었다.
실시예 2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26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7%가 되었다.
실시예 3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26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7%가 되었다.
실시예 4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2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54%가 되었다.
실시예 5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3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56%가 되었다.
실시예 6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3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66%가 되었다.
실시예 7의 인공 모발(2)(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3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72%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그 컬 직경 변화 및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2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5%가 되었다.
비교예 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2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5%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75%가 되었다.
비교예 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 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1mm로 되고, 열변형율은 77%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3 및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인공 모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0mm에서 47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94%가 되었다.
비교예 6의 인공 모발(나일론 6, 100%)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62mm에서 50mm로 변화되고, 열변형율은 81%가 되었다.
이로써,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서는, 열처리 시간을 길게 해도 거의 열변형성이 증가하지 않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8]
도 7에 나타낸 방사기(紡絲機)(50)를 사용하여 초/심 구조의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심부(1B)의 수지로서 MXD6 나일론(미쓰비시 가스 가가쿠 (주) 제조, 상품명 MX 나일론)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도요보(주) 제조, 밀도 1.40g/cm3, 융점 255℃)를 3중량% 혼합한 수지를 사용하고, 초부(1A)의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 6(도요보(주) 제조)을 사용하여,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온욕(24) 는 40℃의 온탕을 사용하였다. 초/심 용량비는 1/5로 하고 토출구 온도를 275℃로 설정하여,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착색제로서는, 상기 초부(1A) 또는 심부(1B)에 사용하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안료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 용융하고, 혼련 후에 냉각하여 칩형으로 한 수지 칩을 사용하였다. 이 착색제로서 사용하는 수지 칩을 마스터-배치(master-batch)라고 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마스터-배치로서 흑색의 무기 안료를 3중량% 함유한 수지 칩, 황색의 유기 안료를 3중량% 함유한 수지 칩, 적색의 유기안료를 4중량% 함유한 수지 칩을 사용하였다.
방사기는 15 구멍의 아웃렛을 사용하여 15개의 섬유를 방출(紡出)하는 기계이다. 토출구(53C)를 나온 초/심 구조의 섬유는, 길이가 1.5m로 40℃의 온탕으로 이루어지는 온욕(54) 중을 통과시켜 표면에 구정을 발생시켰다.
그 후, 제1 연신 롤(55)로 90℃의 열수(熱水)에 의해 제1 연신을 행하고, 제2 연신 롤(57) 및 150℃의 제2 건열조(58)를 통해 히트-세트(heat-set)하고, 또한 제3 연신 롤(59), 160℃의 제3 건열조(60)를 통해 실 직경 치수를 안정시키기 위한 열처리(어닐링)를 행한 후, 정전 방지를 위한 오일링 장치(61)를 통하게 했다.
최종 공정으로서, 제4 연신 롤(62) 및 블라스트기(63)를 통해 표면에 미세한 알루미나 파우더를 내뿜어 섬유 표면을 거칠게 한 후, 권취기(64)에 권취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 배율을 5.6배로 하고, 연신 속도 0.9배의 이완 연신을 행하였다. 권취 속도가 150m/분으로 되도록 제1 내지 제4까지의 연신 롤(55, 57, 59, 62)의 속도를 조정하였다. 제조한 인공 모발(6)의 직경은 80㎛였 다.
[실시예 9]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실시예 10]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실시예 11]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실시예 12]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2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실시예 13]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2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실시예 14]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3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6)을 제조했다.
다음에, 실시예 8 ~ 14에 대한 비교예 7 ~ 10을 나타낸다.
(비교예 7)
심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MXD6 나일론 1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8)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1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9)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3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비교예 10)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4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균 직경 80㎛의 인공 모발을 제조했다.
상기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6)의 제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실시예 10에서 제작한 인공 모발(6)의 단면을 나타내는 주사 전자 현미경상이다. 전자(電子)의 가속 전압은 15kV이며, 배율은 1000배이다. 이 인공 모발의 초/심 용량비는 1/5이며, 그 직경은 80㎛, 연신 배율은 5.6배이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심부(1B)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MXD6 나일론, 그 주위에 초부(1A)로서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나일론 6)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서 나타낸 인공 모발(6)을 알칼리 용액으로 처리한 단면을 나타낸 주사 전자 현미경상이다. 전자의 가속 전압은 15kV이며, 배율은 1000배이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심부가 부식되고 초부가 부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심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알칼리 용액에 부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심부의 단면 표면은, 섬 형상 등에는 부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을 확대한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주사 전자 현미경상이다. 전자의 가속 전압은 15kV이며, 배율은 2000배이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단면에는 피트(pits)가 대략 한결같이 분포되어 있고, 심부의 MXD6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굳어져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닌 것이 판명되었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실시예 9 및 10의 인공 모발(6)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나타낸 것이며, 가로축은 온도(℃), 세로축은 dq/dt(mW)이다. 도 20 및 도 2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9, 10의 인공 모발(6)에 있어서는, 100℃ 근방에 있어서 유리 전이(도 20 및 도 21의 화살표 Tg 참조)가 발생하고,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에 있어서는, 211.95℃, 235.86℃ 및 255.12℃의,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에 있어서는, 208.20℃, 236.05℃ 및 255.97℃의, 융해 피크가 관측되고, 각각, 초부의 나일론 6, 심부의 MXD6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융점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9, 10의 인공 모발은 MXD6 나일론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5중량% 및 1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하였으나, 방사 후의 DSC 결과로부터, 심부의 2개의 수지가 반응 등 하지 않고 서로 고르게 혼합되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2는 실시예 8 및 9의 인공 모발(6)의 적외 흡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가로축은 파수(波數)(cm-1)를, 세로축은 흡광강(吸光强)(임의 눈금)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는, 참조용 시료로서 MXD6 나일론, PET, 나일론 6 및 초/심 구조의 인공 모발의 적외선 흡수 특성도 나타내고 있다.
참조용 시료의 인공 모발은, 초부가 MXD6 나일론으로 이루어지고 심부는 MXD6 나일론과 1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초/심의 비율은, 방사 토출 용량비가 1/5이며, 중량비가 22/78이다.
도 2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 및 참조용 시료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MXD6 나일론, PET 및 나일론 6의 각 적외 흡수 피크 이외의 새로운 적외 흡수가 검출되지 않은 것이 판명되었다
도면 중의 화살표 A는, PET 유래의 적외선 흡수 피크(약 1730cm-1)를 나타내고, 참조용 시료의 인공 모발, 실시예 8 및 9의 인공 모발(6)의 순으로 PET 유래의 적외선 흡수 피크가 증대하고 있고 PET 함유량의 증가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심부의 2개의 수지가 반응 등 하지 않고, 서로 고르게 혼합되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6)의 열변형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측정 방법은, 실시예 1 ~ 7의 경우와 같다.
도 23은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6)에 대하여, 각각 직경 22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권취하여 초기 형상 기억 상태를 시킨 후, 직경 70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권취하여 열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A)가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가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3 (A)로부터,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0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6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1mm, 4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0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0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0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0mm, 37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8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8mm, 34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8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4mm, 32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7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0mm, 28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8 ~ 14의 인공 모발(6)에 있어서는, 도 2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6)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열처리한 후의 열변형율은, 각각, 196%, 184%, 172%, 160%, 152%, 140%, 120%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특성은, 실시예 1 ~ 7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6)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은, 실시예 8 ~ 14에서 89 ~ 100%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50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35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9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32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 8 ~ 14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27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27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25mm로 되고,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26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25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25mm로 되고, 열변형성이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3 (C)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 후의 길이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20%가 되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00%가 되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00%가 되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6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84%가 되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80%가 되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42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8%가 되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40%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컬 직경 변화 및 그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열변형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는 실시예 1 ~ 7과 같은 정도였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36%가 되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5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28%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 8 ~ 14의 경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3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20%가 되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5mm에서 2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12%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방사한 인공 모발(6)을, 직경이 18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은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2차 부형을 행하였다. 도 24는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6)의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가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가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4 (A)로부터,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4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5mm, 44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4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4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2mm, 40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3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2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9mm, 3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3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3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3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3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32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2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2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29mm, 28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2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29mm, 27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22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8 ~ 14의 인공 모발(6)에 있어서는, 도 2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6)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1 분간 열처리한 후의 열변형율은, 각각, 223%, 205%, 200%, 177%, 157%, 152%, 143%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특성은, 실시예 1 ~ 7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6)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은, 실시예 8 ~ 14에서 88 ~ 97%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5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7mm, 48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30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4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7mm, 48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29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 8 ~ 14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6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25mm, 24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22mm로 되고,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23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21mm로 되고, 열변형성이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4 (C)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 후의 길이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53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41%가 되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4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23%가 되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33%가 되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4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05%가 되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14%가 되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4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90%가 되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2%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컬 직경 변화 및 그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열변형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는 실시예 1 ~ 7과 같은 정도였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56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55%가 되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2mm에서 5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250%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 8 ~ 14의 경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3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43%가 되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21mm에서 2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33%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2차 부형을 행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방사한 인공 모발(6)을 직경이 32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은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2차 부형을 행하였다.
도 25는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6)에 대하여, 각각, (A)가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가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5 (A)로부터,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7mm에서 5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8mm, 57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8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6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4mm, 5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8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6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5mm, 54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7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1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1mm, 50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 리 후에는 37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4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6mm, 4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5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4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5mm, 4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6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4mm, 4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35mm로 되어 거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8 ~ 14의 인공 모발(6)에 있어서는, 도 2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6)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1분간 열처리한 후의 열변형율은, 각각, 159%, 160%, 160%, 146%, 137%, 126%, 126% 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특성은, 실시예 1 ~ 7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6)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은, 실시예 8 ~ 14에서 94 ~ 102%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8mm에서 61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60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47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7mm에서 61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59mm, 58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46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실시예 8 ~ 14보다 2차 부형시의 열변형율은 크지만, 1차 부형에의 복원율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3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38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36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38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8mm, 3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36mm로 되고, 열변형성이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2차 부형을 거의 할 수 없거나 전혀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5 (C)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 후의 길이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7mm에서 6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73%가 되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9%가 되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9%가 되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5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54%가 되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4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37%가 되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5mm에서 4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37%가 되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8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41%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컬 직경 변화 및 그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열변형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는 실시예 1 ~ 7과 같은 정도였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8mm에서 6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68%가 되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7mm에서 6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73%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 8 ~ 14의 경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5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32%가 되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34mm에서 40mm로 되고, 열변형율은 118%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 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방사한 인공 모발(2)을, 직경이 50mm의 알루미늄제의 원통에 감은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2차 부형을 행하였다.
도 26은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6)의 다른 2차 부형에 대하여, 각각, (A)는 열처리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 (B) 및 (C)는 변화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도 26 (A)로부터,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7mm에서 3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3mm, 3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7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6mm에서 33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4mm, 3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6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6mm에서 3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4mm, 35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6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3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6mm, 38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5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3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9mm, 40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4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39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0mm로 변화되지 않고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4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0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1mm, 43mm로 되어 2차 부형을 행할 수 있었다. 스팀 처리 후에는 53mm로 되어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완전히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8 ~ 14의 인공 모발(6)에 있어서는, 도 2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모발(6)의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부터 헤어 드라이어로 1분간 열처리한 후의 열변형율은, 각각, 58%, 59%, 61%, 64%, 72%, 72%, 75%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특성은, 실시예 1 ~ 7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서의 인공 모발(6)의 컬 직경의 열변형율은, 실시예 8 ~ 14에서 100 ~ 108%로 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열변형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8mm에서 3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35mm, 3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60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7mm에서 34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6mm, 4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54mm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 8 ~ 14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5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각각 46mm, 47mm로 되고, 스팀 처리 후에는 54mm로 되어 거의 초 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1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7mm로 되고, 실온 24시간 방치 후 및 샴푸 후에는 47mm로 변화되지 않고, 스팀 처리 후에는 53mm로 되고, 열변형성이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2차 부형을 거의 할 수 없거나 또는 전혀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6 (C)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 후의 길이 및 열변형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7mm에서 2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7%가 되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6mm에서 2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8%가 되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6mm에서 2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8%가 되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1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5mm에서 2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53%가 되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32mm로 되고, 열변형율은 59%가 되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25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4mm에서 3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69%가 되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6)(PET 함유량 30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39mm로 되고, 열변형율은 74%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한 열처리 시간이 2분인 경우에도, 컬 직경 변화 및 그 열변형율(%)은 1분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함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열변형에 의한 컬 직경의 변화는 실시예 1 ~ 7과 같은 정도였다.
한편,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8mm에서 2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7%가 되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에서는,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7mm에서 27mm로 되고, 열변형율은 47%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7 및 8의 MXD6가 10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1중량%인 경우에는, 열변형율이 실시예 8 ~ 14의 경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2분간의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2mm로 되고, 열변형율은 79%가 되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한 열처리의 전후에서 컬 직경은 53mm에서 44mm로 되고, 열변형율은 83%가 되었다.
이로써, 비교예 9 및 10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2차 부형을 거의 할 수 없거나 또는 전혀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인공 모발의 휨강성값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휨강성값은, 일반적으로 섬유 등에 적용되는 물성값이며, 모발의 경우에도 감촉(외관, 촉감, 질감) 등의 감각적인 성상에 상관하는 물성으로서 최근 인지되고 있다. 섬유의 휨강성의 측정은 직물에 관하여 가와바타식 측정법과 그 원리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것을 개량한 싱글 헤어 벤딩 테스터(가토텍(주) 제조, 모델 KES-FB2-SH)을 사용하여, 인공 모발의 휨강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으로서는, 시료로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의 인공 모발 및 천연 모발의 어느 쪽의 경우에도, 각 1cm의 1개에 대하여, 모발 전체를 일정 곡률까지 원호형으로 등속도로 굽히고, 그에 따른 미소한 벤딩 모멘트를 검출하여, 벤딩 모멘트와 곡률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이로써, 벤딩 모멘트/곡률 변화에 따라 휨강성값을 구하였다. 대표적인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척(chuck) 사이 거리: 1cm
토크 검출기: 토션 와이어(스틸 와이어)의 비틀림 검출 방식
토크 감도: 1.0gf·cm(전면적 10V에 있어서)
휨률: ± 2.5cm-1
휨 변위 속도: 0.5cm-1/sec
측정 사이클: 1왕복
여기서, 척은, 상기 1cm의 각 모발을 끼워넣는 기구이다.
도 27은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8, 9, 10에 있어서의, 인공 모발(6)의 휨강성값의 습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습도(%)를, 세로축은 휨강성값(10-5gfcm2/개)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 온도는 22℃이다.
도 27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공 모발의 휨강성값에 있어서의 습도 의존성을, 천연 모발의 특성과 함께 나타내고 있다.
천연 모발은 개체차가 크기 때문에, 연령층 20 ~ 50대 각 층의 남성 25명, 여성 38명으로부터 두발을 채취하고, 그 중 직경 80㎛의 시료에 대한 휨강성값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표준치로 한 것 이외에, 도면에는 최대값과 최소값도 나타냈다.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은, 습도가 40% 및 80%에서는, 각각, 720×10-5gfcm2/개, 510×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과 함께, 대략 단조롭게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최대값은, 습도 40% 및 80%로, 각각 740×10-5gfcm2/개, 600×10-5gfcm2/개였다. 또한, 그 최소값은, 습도 40% 및 80%로, 각각 660×10-5gfcm2/개, 420×10-5gfcm2/개이며,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은 폭을 가지 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8의 인공 모발(6)은, 실 직경이 80㎛이며, 초/심 용량비가 1/5이며, 심지가 MXD6 나일론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3중량%)로 이루어지고,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31×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24×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37×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8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보다 높지만, 최대값보다 낮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5중량%)이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다른 것은, 심(芯)의 조성이다.
실시예 9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35×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31×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43×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9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보다 높지만, 최대값보다 낮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0중량%)이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다른 것은, 심의 조성이다.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42×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45×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56×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0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 및 최대값보다 높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5중량%)이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다른 것은, 심의 조성이다.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46×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57×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67×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1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 및 최대값보다 높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20중량%)이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다른 것은, 심의 조성이다.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55×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68×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73×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2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 및 최대값보다 높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25중량%)이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다른 것은, 심의 조성이다.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62×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77×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86×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 및 최대값보다 높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0중량%)이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다른 것은, 심의 조성이다.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66×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85×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81×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4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 및 최대값보다 높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7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0중량%)은,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같은 초/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30×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10×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60×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비교예 7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보다 높지만, 최대값보다 낮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8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1중량%)은, 실시예 8의 인공 모발과 같은 초/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습도 40%의 조건에서는, 휨강성값은 731××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약 628××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약 533××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비교예 8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평균값보다 높지만, 최대값보다 낮은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9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35중량%)은, 실시예 8으로 같은 초/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습도 40%로 휨강성값이 780×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702×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608×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비교예 10의 인공 모발(PET 함유량 40중량%)은, 실시예 8과 같은 초/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습도 40%로 휨강성값이 794×10-5gfcm2/개이며, 습 도의 상승에 따라 휨강성값이 서서히 감소하고, 습도 60%에서는 714×10-5gfcm2/개까지 저하되고, 습도 80%에서는 619×10-5gfcm2/개까지 저하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비교예 9 및 10의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측정한 전습도 범위에서 천연 모발의 휨강성값의 최대값보다 높은 휨강성값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도 27에는 참고를 위해, MXD6으로 이루어지는 단섬유의 인공 모발의 휨강성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습도 40%, 60%, 80%에 있어서의 휨강성값은, 각각 940××10-5gfcm2/개, 870×10-5gfcm2/개, 780×10-5gfcm2/개이며, 습도의 상승와 함께 저하되지만, 이들 값은 어느 쪽도 천연 모발이나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7 ~ 10의 인공 모발보다 큰 휨강성값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8 ~ 14의 초/심 구조의 인공 모발에 의하면, 초기 형상을 기억한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2차 부형이 생기고, 이 2차 부형이 실온 상태나 샴푸 후에도 유지되고, 스팀 처리 후에 재차 초기 형상 기억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실시예 8 ~ 14의 초/심 구조의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과 유사한 휨강성값과 습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적당히,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9)

  1.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半)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相容)한 단섬유(單纖維) 구조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
  2. 심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
    Figure 112009000533037-PCT00007
    ;sheath)/심(芯;core) 구조를 가지고,
    상기 심부는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에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부는 상기 심부보다 휨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교호 공중합체, 또는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이며,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인공 모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이며, 상기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며, 상기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 ~ 30중량% 혼입되어 있는, 인공 모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직쇄(直鎖)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카프로락탐 개환(開環) 중합체, 및/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인, 인공 모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모발의 표면은, 미세한 요철부(凹凸部)를 가지고 윤지우기가 행해져 있는, 인공 모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요철부는, 구정(球晶)의 발생 및/또는 블라스트(blast)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인공 모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모발은 안료 및/또는 염료를 함유하고 있는 인공 모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 및 심부의 초/심 중량비는, 10/90 ~ 35/65인, 인공 모발.
  11. 가발 베이스와 상기 가발 베이스에 심겨지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는 가발로서,
    상기 인공 모발은 60℃~ 12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한 단섬유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인공 모발은 심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상기 심부는 60℃~ 120℃정도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에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를 소정 비율로 상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부는 심부보다 휨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교호 공중합체, 또는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이며,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가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이며, 상기 온도 범위에서 팽창하지 않는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며, 상기 메타크실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 ~ 30중량% 혼입되는, 가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카프로락탐 개환 중합체, 및/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의 교호 공중합체인, 가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모발의 표면은 미세한 요철부를 가지고 윤지우기가 행해져 있는, 가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요철부는 구정 및/또는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가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모발은 안료 및/또는 염료를 함유하고 있는, 가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 및 심부의 초/심 중량비는 10/90 ~ 35/65인, 가발.
KR1020097000178A 2006-08-14 2007-08-07 인공 모발 및 이것을 사용한 가발 KR20090016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20901 2006-08-14
JP2006220901 2006-08-14
JP2007199924A JP5063242B2 (ja) 2006-08-14 2007-07-31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JPJP-P-2007-199924 2007-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764A true KR20090016764A (ko) 2009-02-17

Family

ID=3908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178A KR20090016764A (ko) 2006-08-14 2007-08-07 인공 모발 및 이것을 사용한 가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900702B2 (ko)
EP (1) EP2052634B1 (ko)
JP (1) JP5063242B2 (ko)
KR (1) KR20090016764A (ko)
CN (1) CN101557729B (ko)
AU (1) AU2007285277B2 (ko)
CA (1) CA2656483A1 (ko)
DK (1) DK2052634T3 (ko)
MX (1) MX2009001694A (ko)
NO (1) NO20091002L (ko)
RU (1) RU2419364C2 (ko)
TW (1) TWI331905B (ko)
WO (1) WO2008020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215203A1 (en) * 2005-02-15 2006-08-24 Unihair Co., Ltd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JP5063242B2 (ja) 2006-08-14 2012-10-31 株式会社アデランス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JP4883568B2 (ja) * 2006-08-31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自毛活用型かつら
US20080293326A1 (en) * 2007-05-22 2008-11-27 The Pilot Ink Co., Ltd. Hair for toys
US20120052219A1 (en) * 2009-04-17 2012-03-01 Atsushi Horihata Artificial hair fiber,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ITCS20120012A1 (it) * 2012-03-02 2013-09-03 Evergreen Srl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impianti tricologici, partendo dalla scansione e digitalizzazione della conformazione cranica di un individuo.
JP5978306B2 (ja) * 2012-08-31 2016-08-24 富士ケミカル株式会社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US10876251B2 (en) * 2013-03-20 2020-12-29 Goodwell Sino Trading Limited Composition of artificial hai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50361595A1 (en) * 2014-06-11 2015-12-17 Noble Fiber Technologies, Llc Antimicrobial Multicomponent Synthetic Fib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70203506A1 (en) * 2014-07-22 2017-07-20 Stratasys, Inc. Gear-based liquefier assembly for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4305614A (zh) * 2014-09-26 2015-01-28 洛阳市航远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抗菌弹力网假发
CN104223544A (zh) * 2014-09-26 2014-12-24 洛阳市航远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记忆发丝假发
CN104305615A (zh) * 2014-09-26 2015-01-28 洛阳市航远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医用级假发
CN109068780B (zh) 2016-04-28 2021-02-26 电化株式会社 人工毛发纤维
KR101849672B1 (ko) * 2017-04-13 2018-04-19 (주)하이모 가발용 모발의 가공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발의 제조방법
KR200485789Y1 (ko) * 2017-04-21 2018-02-22 (주)제이엔케이아이엔씨 항암 환자용 가발
JP7036551B2 (ja) * 2017-08-08 2022-03-1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玩具用毛髪
US10617164B2 (en) * 2018-02-19 2020-04-14 Francine Larissa Feumba Breathable and waterproof swimming cap SMP wig
CN115506047B (zh) * 2022-08-19 2023-08-22 邵阳深镁科技时尚有限公司 一种高强度假发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489A (en) 1985-12-27 1988-12-20 Aderans Co., Ltd. Synthetic fibers having uneven surfaces and a method of producing same
JPS646114A (en) 1987-06-26 1989-01-10 Aderans Kk Synthetic fiber having uneven surface and production thereof
JPH01282309A (ja) * 1988-05-09 1989-11-14 Unitika Ltd 人工毛髪用ポリアミド繊維
JP2824130B2 (ja) * 1989-07-25 1998-11-11 株式会社クラレ 感温変色性複合繊維
JPH03185103A (ja) * 1989-12-15 1991-08-13 Toray Ind Inc 人工毛髪用太単糸繊度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59740B2 (ja) 1993-04-02 2002-02-2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人工毛髪用延伸ポリアミド繊維
DE4314023C2 (de) * 1993-04-29 1997-05-15 Bergmann Gmbh & Co Kg Perücken und Haarersatz aus monofilen Fasern auf der Basis von Polyest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3427224B2 (ja) * 1993-12-08 2003-07-14 株式会社アデランス 人工毛髪の製造方法
JPH0860439A (ja) * 1994-08-11 1996-03-05 Teijin Ltd ポリマーブレンド繊維及びその混繊糸
US5895718A (en) 1996-04-19 1999-04-20 The Pilot Ink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temperature-dependent shape-transformable/fixable products making use of the same
JPH10127950A (ja) 1996-10-31 1998-05-19 Pilot Ink Co Ltd 頭髪整形人形セット
JP2000178833A (ja) * 1998-12-14 2000-06-27 Pilot Ink Co Ltd 感温変形性複合フィラメント
JP2001123328A (ja) * 1999-10-21 2001-05-08 Toray Ind Inc 夜光性複合繊維およびその用途
JP2002129432A (ja) 2000-10-18 2002-05-09 Asahi Kasei Corp 芯鞘型塩化ビニリデン系複合繊維
US6933055B2 (en) * 2000-11-08 2005-08-23 Valspar Sourcing, Inc. Multilayered package with barrier properties
JP2002161423A (ja) 2000-11-22 2002-06-04 Artnature Co Ltd 人工毛髪
US6906160B2 (en) 2001-11-06 2005-06-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sotactic propylene copolymer fib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3910877B2 (ja) 2001-11-22 2007-04-25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感温変色性複合繊維
US20030144402A1 (en) * 2001-12-17 2003-07-31 Schenck Timothy Tyler Blends of polyamide and polyester for barrier packaging
JP3895606B2 (ja) * 2002-01-28 2007-03-22 株式会社カネカ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人工頭髪用繊維
JP2004052184A (ja) 2002-07-23 2004-02-19 Dta:Kk 帯電防止機能を有するかつ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7614B2 (ja) * 2003-06-20 2008-07-16 富士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人工毛髪
WO2005089821A1 (ja) 2004-03-19 2005-09-29 Kaneka Corporation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
JP2006028700A (ja) * 2004-07-20 2006-02-02 Pilot Ink Co Ltd 形態変形性擬毛
AU2006215203A1 (en) 2005-02-15 2006-08-24 Unihair Co., Ltd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EP1980166B1 (en) 2006-01-30 2017-11-08 Aderans Company Limited Artificial hair, wig having artificial hai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hair
KR101028791B1 (ko) 2006-02-17 2011-04-12 가부시키가이샤 유니헤어 가발
JP5063242B2 (ja) 2006-08-14 2012-10-31 株式会社アデランス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634A1 (en) 2009-04-29
CA2656483A1 (en) 2008-02-21
AU2007285277B2 (en) 2013-02-21
CN101557729A (zh) 2009-10-14
NO20091002L (no) 2009-03-05
TWI331905B (en) 2010-10-21
US20090320866A1 (en) 2009-12-31
AU2007285277A1 (en) 2008-02-21
TW200819070A (en) 2008-05-01
EP2052634A4 (en) 2010-09-22
JP2008069505A (ja) 2008-03-27
JP5063242B2 (ja) 2012-10-31
WO2008020552A1 (en) 2008-02-21
DK2052634T3 (en) 2018-05-28
RU2008151143A (ru) 2010-09-27
US8900702B2 (en) 2014-12-02
EP2052634B1 (en) 2018-02-07
RU2419364C2 (ru) 2011-05-27
CN101557729B (zh) 2013-08-21
MX2009001694A (es)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6764A (ko) 인공 모발 및 이것을 사용한 가발
JP5127443B2 (ja)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JP4823237B2 (ja) 人工毛髪、人工毛髪を有するかつら並びに人工毛髪の製造方法
KR100706481B1 (ko) 인공모발용 섬유
CN100525664C (zh) 人工毛发和使用了该人工毛发的假发
CN116367752A (zh) 用于假发的压缩型纹理股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